WO2015199379A1 -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99379A1
WO2015199379A1 PCT/KR2015/006221 KR2015006221W WO2015199379A1 WO 2015199379 A1 WO2015199379 A1 WO 2015199379A1 KR 2015006221 W KR2015006221 W KR 2015006221W WO 2015199379 A1 WO2015199379 A1 WO 20151993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m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ultra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62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인규
성준희
임정구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321,949 priority Critical patent/US10495799B2/en
Publication of WO20151993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99379A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4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or in a heterocyclic ring system;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5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4Arrangements for reducing warping-twis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thin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ltra-thin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in which the occurrence of curl is suppressed, so that a bonding failure due to curl does not occur during the bonding process with the liquid crystal cell. Relates to a device.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r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notebooks, mobile phones, liquid crystal TVs, etc., and generally include liquid crystal cells and polarizing plates containing liquid crystals, and as adhesive layers or adhesive layers for bonding them. It is composed.
  • a polarizer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generally a polarizer in which iodine-based compounds or dichroic polarizers are adsorbed on a polyvinyl alcohol (PVA) resin film arran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lso called 'polarizing film'). It includes,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a first and second polarizer protective film represented by a triacetyl cellulose (TAC) is laminated through an adhesive, respectively, one sid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liquid crystal cell It has a multilayered structure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are laminated.
  • PVA polyvinyl alcohol
  • TAC triacetyl cellulose
  • Korean Patent No. 10-1008869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by attaching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to both sides of a polarizer, and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suppressing curl by controlling the moisture content of two protective films. However, this is a method that can not be applied to the ultra-thin polarizing plate using only one protective film.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ltra-thin polarizing plate that the curling of the polarizing plate is suppressed, the bonding failure by the curl does not occur during the bonding process with the liquid crystal cell.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ultra-thin polarizing plate on at least one side of a liquid crystal cell.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tective film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rface attached to the protective film, the ultra-thin polarizing plate of the resisting force (resisting force) of the protective film is 2.1 to 18.7N. to provide.
  • the strength of the protective film is a value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 E is the elastic modulus (MPa) of the protective film
  • is the shrinkage of the polarizer
  • A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ective film (mm 2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ultra-thin polarizing plat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 Ultra-thin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strength of the protective film to 2.1 to 18.7N,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url on the polarizing plate to prevent the bonding failure caused by curl during the bonding process with the liquid crystal cell, Since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flexible displays and the like.
  • a protective film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an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attached, and an ultra-thin polarizing plate having a resisting force of 2.1 to 18.7 N of the protective film. It is about.
  • the proof strength of the protective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lue defined by Equation 1 below.
  • E is the elastic modulus (MPa) of the protective film
  • is the shrinkage of the polarizer
  • A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tective film (mm 2 ).
  • the method of measuring the shrinkage of the polarizer and the elastic modulus of the protect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may be measured by the method given in the experimental example described later.
  • the proof strength of the protective film to 2.1 to 18.7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url in the polarizing plate an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 the protective film may be used in the film excellent in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water shielding, isotropy, etc.
  • Specific examples ar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iso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Polyester-based films such as terephthalate; Cellulose films such as diacetyl cellulose and triacetyl cellulose; Acrylic films such as polymethyl (meth) acrylate and polyethyl (meth) acrylate; Styrene films such as polystyrene and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s; Polycarbonate film; Polyolefin-based film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cyclo-based or norbornene-structured polyolefins, ethylene propylene copolymers; Vinyl chloride film; Amide films such as nylon and aromatic polyamides; Imide film; Polyether sulfone-based film; Sulfone film; Polyether ether ether
  • the protective film can b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in the art, for example, by extrusion molding using a melt extrusion method such as T-die method or inflation, cast molding using a melt casting method, or calender molding. It is desirable to. Extrusion molding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roductivity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step of drying and scattering the organic solvent in the adhesive used during processing, such as a dry lamination method.
  • molding a film is mentioned.
  • the screw type of the extruder may be single or biaxial, and additives such as a plasticizer or an antioxidant may be added.
  • extrusion molding temperature can be adjusted suitabl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80-180 degreeC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resin used as a raw material of a protective film,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00-150 degreeC high. If the extrusion temperature is too low, the flowability of the resin is insufficient, poor moldability, if the temperature is too high, the viscosity of the resin is lowere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stability, such as non-uniform thickness of the final molded film may occur.
  • a surface treatment layer such as a hard coating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 antiglare layer, an antistatic layer may be further laminated as necessary.
  • the polarizer is a dichroic dye adsorbed on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stituting the polarizer can be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 polyvinyl acetate type resin the copolymer etc. of vinyl acetate and the 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is besides th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re mentioned.
  •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type, an unsaturated sulfonic acid type, an olefin type, a vinyl ether type, an acrylamide type monomer which has an ammonium group, etc. are mentioned.
  • the polyvinyl alcohol resin may be modifie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polyvinyl acetal, or the like modified with aldehydes may also be used.
  •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85 to 100 mol%, preferably 98 mol% or more.
  •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1,000 to 10,000, preferably 1,500 to 5,000.
  • the film formation method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 well-known method can be used.
  •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 based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0 to 150 ⁇ m.
  • a polarizer is normally manufactured through the process of uniaxially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type film as described above, a process of dyeing with a dichroic dye and adsorbing, a process of treating with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nd washing with water and drying.
  • the process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be performed before dyeing,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with dyeing, or may be performed after dyeing.
  • the un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after dyeing, it may be performed before boric acid treatment, or may be performed during boric acid treatment.
  • uniaxial stretching rolls or heat rolls with different circumferential speeds can be used.
  • uniaxial stretching may be dry stretching extending
  • the draw ratio is usually 3 to 8 times.
  • the method of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type film i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dichroic dye can be used, for example.
  • a dichroic dye iodine or a dichroic dye is used.
  •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preferably swelled by dipping in water before dyeing.
  • the method of immersing and dyeing a polyvinyl alcohol-type film in the aqueous dyeing solution containing iodine and potassium iodide can be used normally.
  • the content of iodine in the aqueous solution for dyeing is 0.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distilled water), and the content of potassium iodide is 0.5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for dyeing is usually 20 to 40 ° C.
  • the immersion time (dyeing time) is usually 20 to 1,800 seconds.
  • the method of immersing and dyeing a polyvinyl alcohol-type film in the aqueous dyeing solution containing a water-soluble dichroic organic dye can be used normally.
  • the content of the dichroic organic dye in the aqueous solution for dyeing is usually 1 ⁇ 10 -4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 ⁇ 10 -3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 This dyeing aqueous solution may further contain inorganic salts such as sodium sulfate as a dyeing aid.
  •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for dyeing is usually 20 to 80 ° C., and the dipping time (dyeing time) is usually 10 to 1,800 seconds.
  • the process of boric acid treating the dy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be performed by immersing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 the content of boric acid i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is 2 to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5 to 12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 the boric acid-containing aqueous solution preferably contains potassium iodide, and its content is usually 0.1 to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5 to 12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 the temperature of the boric acid-containing aqueous solution is usually 50 ° C or higher, preferably 50 to 85 ° C, more preferably 60 to 80 ° C, and the immersion time is usually 60 to 1,200 seconds, preferably 150 to 600 seconds, more preferably 200 to 400 seconds.
  •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usually washed with water and dried. Wash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boric acid-treat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water.
  •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of a water washing process is 5-40 degreeC normally, and immersion time is 1-120 second normally.
  • a polarizer can be obtained by drying after washing with water. Drying process can be normally performed using a hot air dryer or a far-infrared heater.
  • the drying treatment temperature is usually 30 to 100 ° C, preferably 50 to 80 ° C, and the drying time is usually 60 to 600 seconds, preferably 120 to 600 seconds.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directly bonded to the polarizer without a separate protective film,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hinner and lighter weight of the polarizing plat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s known in the art.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include an acrylic copolymer and a crosslinking agent.
  • the acrylic copolymer may be a copolymer of a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d a 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 (meth) acrylate means acrylate and methacrylate.
  •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examples include n-butyl (meth) acrylate, 2-butyl (meth) acrylate, t-butyl (meth) acrylate, and 2-ethyl.
  • the 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s a component for reinforcing the cohesive force or adhesive strengt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chemical bonding and imparting durability and cutting property, for example, a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and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Monovalent acids such as (meth) acrylic acid and a crotonic acid; Diacids such as maleic acid, itaconic acid and fumaric acid, and monoalkyl esters thereof; 3- (meth) acryloylpropionic acid; Amberic anhydride ring-opening adduct of 2-hydroxyalkyl (meth) acrylate of 2-3 carbon atoms of alkyl group, Ambernoic acid ring-opening adduct of hydroxyalkylene glycol (meth) acrylate of 2-4 carbon atoms of alkylene group And compounds obtained by ring-opening addition of succinic anhydride to a caprolactone adduct of 2-hydroxyalkyl (meth) acrylate having 2 to 3 carbon atoms of an alkyl group, among which (meth) acrylic acid is preferred.
  • Monovalent acids such as (meth) acrylic acid and a crotonic acid
  • Diacids such as maleic acid, itaconic acid and fumaric acid, and
  • the content is less than 0.05 parts by weight,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reduced, the durability may be lowered.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 adhesive strength is lowered by a high gel fraction may cause problems in durability.
  • the acrylic copolymer may further contain other polymerizable monomers other than the monomers in a range of not lowering the adhesive strength, for example, 10 wt% or less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epared using a method such as bulk polymeriz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or suspension polymerization, which are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solution polymerization is preferable.
  • a solvent,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chain transfer agent for molecular weight control, and the like, which are usually used in the polymerization may be used.
  • the acrylic co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polystyrene equivalent, Mw)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usually 50,000 to 2 million, preferably 400,000 to 2 million.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50,000, there is a lack of cohesion between the copolymers may cause problems in adhesion durability,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more than 2 million may require a large amount of dilution solvent to ensure fairness during coating.
  • Mw polystyrene equivalent
  • the crosslinking agent can improve the adhesion and durability, and can maintain the shape of the adhesive and the adhesive at high temperature
  • isocyanate, epoxy, peroxide, metal chelate, oxa A sleepy system or the like may be used, and one or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in combination.
  • isocyanate type is preferable.
  • diisocyanate compound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2, 4- or 4, 4-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adducts of polyhydric alcohol-based compounds such as trimethyrolpropane of diisocyanate.
  • melamine derivatives such as hexamethyrolmelamine, hexamethoxymethylmelamine, hexabutoxymethylmelamine and the like; Polyepoxy compounds such as bisphenol A and epoxy compounds of epichlorohydrin condensate type;
  • One or more crosslinking ag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glycidyl ether, glycerin di- or triglycidyl ether of polyoxyalkylene polyol, tetraglycidyl xylene diamine and the like can be added and used together.
  •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cohesion force may be reduced due to insufficient crosslinking degree, which may impair the adhesive durability and the cutting property.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5 parts by weight, problems may occur in reducing residual stress due to excessive crosslinking reaction.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lane coupling agent.
  • the kind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vinylchlorosilan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2- (3,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3-glycid D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d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p-styryltrimethoxysilane, 3- Meth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3-acryloxypropyltrimethoxy Silane, N-2- (aminoethyl) -3-aminopropylmethyldimeth
  • the silane coupl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1 parts by weight, the amount is too small to expect the durability improvement effect, if it exceeds 5 parts by weight, the cohesive force is excessively increased, the durability may be lowered as the adhesive property is lower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ckifying resin, antioxidant, corrosion inhibitor, leveling agent, surface lubricant, dye in order to adjust the adhesion, cohesion, viscosity, modulu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etc. requir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And additives such as pigments, antifoaming agents, fillers, light stabilizers and antistatic agents.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s appli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rface to which the protective film of the polarizer is bonded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the coat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for example,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bonded by a mayer bar coating method, gravure coating method, die coating method, dip coating method, spraying method, or the like.
  • coating to another surface is mentioned.
  •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by the above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3 to 100 ⁇ m, and preferably 10 to 100 ⁇ m.
  • the ultra-thin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specifically,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o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laminated is bond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a liquid crystal cell can be configured.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ultra-thin polarizing plate on at least one side of a liquid crystal cell.
  • a polyvinyl alcohol-based (PVA) film having a polymerization degree of 2,400 and a saponification degree of 99.9 mol% or more by about 5 times dry, and immersing in distilled water at 60 ° C. for 1 minute while maintaining tension. And immersed for 60 seconds in an aqueous solution at 28 ° C. having a weight ratio of iodine / potassium iodide / distilled water of 0.05 / 5/100. Thereafter, the weight ratio of potassium iodide / boric acid / distilled water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of 72 ° C. having 8.5 / 8.5 / 100 for 300 second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at 26 ° C. for 20 seconds, and then dried at 65 ° C. to form a polyvinyl alcohol film. To prepare a polarizer with iodine adsorption-oriented. The thickness of the produced polarizer was 22 ⁇ m.
  •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3 parts by weight of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Cosenol Z200, Nippon Synthetic Chemical Co., Ltd.) and 0.3 parts by weight of glyoxalic crosslinking agent (SPM-01, Nippon Kyosoy)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hen, 50 parts by weight of copper sulfate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to prepare an adhesive layer-forming composition.
  •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resin Cosenol Z200, Nippon Synthetic Chemical Co., Ltd.
  • SPM-01 glyoxalic crosslinking agent
  • a monomer mixture consisting of 95 parts by weight of n-butyl acrylate (BA), 4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and 1 part by weight of 2-hydroxyethyl acrylate was added to a 1 L reactor equipped with a refrigeration system to allow nitrogen gas to reflux and to facilitate temperature control.
  • Ethyl acetate as solvent 100 parts by weight was added. Then, after purging nitrogen gas for 1 hour to remove oxygen, it was maintained at 62 °C. After homogenizing the mixture, 0.07 parts by weight of azobisisobutyronitrile (AIBN) was added as a reaction initiator, and reacted for 6 hours to synthesize an acrylic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 million.
  • AIBN azobisisobutyronitrile
  • the elastic modulus was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Shimadzu, AG-X).
  • Residual force when the polarizer shrinks at room temperature through the shrinkage and elastic modulus measured above was calculated using Equation 2 below, and the result was 2.1N (calculated at the cross-sectional area when the width is 2mm).
  • E is the elastic modulus (MPa) of the polarizer
  • is the shrinkage of the polarizer
  • A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larizer (mm 2 ).
  • the elastic modulus was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Shimadzu, AG-X).
  • the protective film (400x400mm) of Table 1 below was bonded, and 60 °C Drying at temperature for 5 minutes to prepare a polarizing plat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3 was appli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with a protective film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25 ⁇ m after drying, and dried at 100 ° C. for 1 minute to form an adhesive layer to prepare an ultra-thin polarizing plate.
  • the concave side of the curled sample was placed face up on a reference plane, such as a plane on the table, and the humidity was adjusted for 48 hours under an atmosphere of 25 ° C., 65% RH.
  • the sample was cut
  • TAC saponified triacetylcellulose film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 the ultra-thin polarizing plates of Examples 1 to 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url i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ultra-thin polarizing plate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11 with a proof strength of less than 2.1N.
  •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too thick to apply to the ultra-thin polarizing 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자의 일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보호필름이 부착된 면의 타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필름의 내력(resisting force)이 2.1 내지 18.7N인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편광판은 편광판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액정셀과의 접합 공정 중 컬에 의한 접합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보호필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은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컬의 발생이 억제되어 액정셀과의 접합 공정 중 컬에 의한 접합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노트북, 휴대전화, 액정 TV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액정을 포함하고 있는 액정셀과 편광판, 이를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폴리비닐알코올계(polyvinyl alcohol, PVA) 수지 필름에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물질이 흡착 배향된 편광자('편광필름'이라고도 함)를 포함하며, 편광자의 양 면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riacetyl cellulose, TAC)으로 대표되는 제1 및 제2 편광자 보호필름이 접착제를 통하여 각각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편광자 보호필름의 한 면에는 액정셀과 점합하게 되는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다층 구조를 갖는다.
최근에는 슬림형 대형 벽걸이 TV, 모바일 타입의 컴퓨터, 차량용 TV,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휴대전화 등과 같은 슬림화된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시장이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모듈 전체를 얇게 하기 위하여 박형화 및 경량화된 초박형 편광판(ultra thin polarizing plate, UTP)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초박형 편광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편광판의 구성에서 편광자 보호필름 한 층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즉, 별도의 보호필름 없이 편광자와 점착제층을 직접 접합한 초박형 편광판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초박형 편광판은 제조 공정 상에서 악성 컬(curl)이 발생하며, 이와 같이 컬이 발생된 편광판을 액정셀과 접합하는 경우 접합 면에서 기포의 발생 또는 들뜸(박리)와 같이 접합 내구성이 저하되고 외관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8869호에는 두께가 상이한 투명 보호필름을 편광자의 양 면에 접착시켜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두 보호필름의 수분율을 조절하여 컬을 억제할 수 있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보호필름만이 사용되는 초박형 편광판에는 적용될 수 없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편광판의 컬이 억제되어 액정셀과의 접합 공정 중 컬에 의한 접합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초박형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셀의 적어도 한 면에 상기 초박형 편광판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편광자의 일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보호필름이 부착된 면의 타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필름의 내력(resisting force)이 2.1 내지 18.7N인 초박형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보호필름의 내력은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값이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5006221-appb-I000001
상기 수학식에서,
Force는 보호필름의 내력(resisting force)이고,
E는 보호필름의 탄성률(MPa)이며,
ε은 편광자의 수축률이고,
A는 보호필름의 단면적(mm2)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액정셀의 적어도 한 면에 상기 초박형 편광판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편광판은 보호필름의 내력을 2.1 내지 18.7N으로 조절함으로써, 편광판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액정셀과의 접합 공정 중 컬에 의한 접합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보호필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편광자의 일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보호필름이 부착된 면의 타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필름의 내력(resisting force)이 2.1 내지 18.7N인 초박형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보호필름의 내력은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값이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5006221-appb-I000002
상기 수학식에서,
Force는 보호필름의 내력(resisting force)이고,
E는 보호필름의 탄성률(MPa)이며,
ε은 편광자의 수축률이고,
A는 보호필름의 단면적(mm2)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편광자의 수축률 및 보호필름의 탄성률을 측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험예에 제시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보호필름의 내력을 2.1 내지 18.7N으로 조절함으로써, 편광판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보호필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보호필름>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보호필름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에서 우수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필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염화비닐계 필름;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필름; 이미드계 필름; 폴리에테르술폰계 필름; 술폰계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필름; 황화 폴리페닐렌계 필름; 비닐알콜계 필름; 염화비닐리덴계 필름; 폴리옥시메틸렌계 필름; 에폭시계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셀룰로오스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또는 폴리올레핀계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의 두께는 통상 20 내지 500㎛이다.
상기 보호필름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T-다이법 또는 인플레이션 등의 용융 압출법을 이용하는 압출 성형, 용융 유연법을 이용하는 캐스트 성형, 또는 캘린더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 성형은 드라이(dry) 라미네이션 방법과 같이 가공시에 사용되는 접착제 중의 유기용매를 건조, 비산시키는 공정이 불필요하여 생산성 면에서 좋다. 구체적인 예로, T-다이에 연결된 압출기에 원료가 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공급, 용융 혼련, 압출한 후 수냉시켜 인취하여 필름을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압출기의 스크류 타입은 단축 또는 2축일 수 있으며, 가소제 또는 산화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도 된다. 압출성형 온도는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지만, 보호필름의 원료가 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보다 80 내지 180℃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150℃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압출 성형 온도가 너무 낮으면 수지의 유동성이 부족하여 성형성이 좋지 못하며, 온도가 너무 높으면 수지의 점도가 낮아져 최종 성형된 필름의 두께 불균일 등의 생산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호필름의 편광자와 접합되지 않는 다른 한 면 상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방현층, 대전방지층 등의 표면처리층이 더 적층될 수 있다.
<편광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이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이외에,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계, 불포화 술폰산계, 올레핀계, 비닐에테르계,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변성된 것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내지 100몰%이며,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이다.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이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막으로 형성한 것이 편광자의 원반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막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원반 필름의 막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0 내지 150㎛일 수 있다.
편광자는 통상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흡착시키는 공정,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수세, 건조하는 공정을 경유하여 제조된다.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은 염색 전에 수행할 수 있고, 염색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염색 후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일축 연신을 염색 후에 수행하는 경우에는 붕산 처리 전에 수행할 수 있고, 붕산 처리 중에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이들 복수개의 단계로 일축 연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축연신에는 주속이 다른 롤 또는 열 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축 연신은 대기 중에서 연신하는 건식 연신일 수도 있고, 용매로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하는 습식 연신일 수도 있다. 연신비는 통상 3 내지 8배이다.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공정은,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는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가 이용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은 염색 전에 물에 미리 침지하여 팽윤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염색용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통상 염색용 수용액에서의 요오드의 함량은 물(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이고, 요오드화칼륨의 함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중량부이다. 염색용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내지 40℃이고, 침지시간(염색시간)은 통상 20 내지 1,800초이다.
한편, 이색성 색소로서 이색성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수용성 이색성 유기 염료를 포함하는 염색용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염색용 수용액에서의 이색성 유기 염료의 함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10-4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10-3 내지 1중량부이다. 이 염색용 수용액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염색 보조제로서 더 함유할 수 있다. 염색용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내지 80℃이고, 침지시간(염색시간)은 통상 10 내지 1,800초이다.
염색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붕산 처리하는 공정은 붕산 함유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통상 붕산 함유 수용액에서의 붕산의 함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중량부이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한 경우에는 붕산 함유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통상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중량부이다. 붕산 함유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이고, 침지시간은 통상 60 내지 1,200초,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60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초이다.
붕산 처리 후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은 통상 수세 및 건조된다. 수세 처리는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물에 침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수세 처리의 물의 온도는 통상 5 내지 40℃이고, 침지시간은 통상 1 내지 120초이다. 수세 후 건조함으로써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건조 처리는 통상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가열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건조 처리 온도는 통상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고, 건조시간은 통상 60 내지 600초,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600초이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점착제층은 별도의 보호필름 없이 편광자와 직접 접합되어, 편광판의 박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점착제층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는 화학 결합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의 응집력 또는 점착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과 절단성을 부여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가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5-히드록시펜틸비닐에테르, 6-히드록시헥실비닐에테르, 7-히드록시헵틸비닐에테르, 8-히드록시옥틸비닐에테르, 9-히드록시노닐비닐에테르, 10-히드록시데실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1가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등의 2가산 및 이들의 모노알킬에스테르; 3-(메타)아크릴로일프로피온산; 알킬기의 탄소수가 2-3인 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무수호박산 개환 부가체,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무수호박산 개환 부가체,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2-3인 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체에 무수호박산을 개환 부가시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메타)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8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제의 응집력이 작아지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 초과인 경우 높은 겔분율에 의해 점착력이 떨어지고 내구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단량체들 이외에 다른 중합성 단량체를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예를 들어 총량에 대하여 10중량% 이하로 더 함유할 수 있다.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괴상중합, 용액중합, 유화중합 또는 현탁중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용액중합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시 통상 사용되는 용매, 중합개시제, 분자량 제어를 위한 연쇄이동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된 중량평균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 Mw)이 통상 5만 내지 200만이며, 바람직하게는 40만 내지 200만이다. 중량평균분자량이 5만 미만인 경우 공중합체 간의 응집력이 부족하여 점착 내구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200만 초과인 경우 도공 시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량의 희석 용매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교제는 밀착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온에서의 신뢰성 및 점착제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성분으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과산화물계, 금속킬레이트계, 옥사졸린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이소시아네이트계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티롤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계 화합물의 어덕트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에 추가적으로 멜라민 유도체, 예를 들면 헥사메티롤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등; 폴리에폭시 화합물, 예를 들면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히드린 축합체형의 에폭시 화합물;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및 테트라글리시딜크실렌디아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교제를 첨가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부족한 가교도로 인해 응집력이 작게 되어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의 물성을 해칠 수 있으며,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다 가교반응에 의한 잔류응력 완화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비닐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그 양이 너무 미미하여 내구성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응집력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점착물성이 저하됨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점착력, 응집력, 점성, 탄성률, 유리전이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착성 부여 수지, 산화방지제, 부식방지제, 레벨링제, 표면윤활제, 염료, 안료, 소포제, 충전제, 광안정제,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성분들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편광자의 보호필름이 접합된 면의 타면에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상기 도포 방법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메이어 바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다이 코팅법, 침지 코팅법, 분무법 등에 의해 편광자의 보호필름이 접합된 면의 타면에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3 내지 10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이다.
본 발명의 초박형 편광판은 통상의 액정표시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된 편광판을 액정셀의 적어도 한 면에 접합한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액정셀의 적어도 한 면에 상기 초박형 편광판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1: 편광자의 제조
중합도가 2,400이고 비누화도가 99.9몰% 이상인 60㎛ 두께의 폴리비닐알코올계(PVA) 필름을 건식으로 약 5배로 일축 연신하고,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60℃의 증류수에 1분 동안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증류수의 중량비가 0.05/5/100인 28℃의 수용액에서 60초 동안 침지하였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증류수의 중량비가 8.5/8.5/100인 72℃ 수용액에 300초 동안 침지하고, 26℃의 증류수로 20초 동안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자의 두께는 22㎛이었다.
제조예 2: 접착제층 형성 조성물의 제조
물 100 중량부에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 수지(코세놀 Z200, ㈜일본 합성화학공업) 3 중량부와 글리옥살계 가교제(SPM-01, ㈜니폰 교세이) 0.3 중량부를 첨가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상기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산구리 5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접착제층 형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95중량부, 아크릴산 4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 1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런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62℃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한 후, 반응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7중량부를 투입하고,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 약 100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가교제(코로네이트 L, 일본폴리우레탄공업사) 1.0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KBM-403, 신에츠사) 0.5중량부를 혼합하고, 코팅성을 위해 메틸에틸케톤에 희석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잔류력(Residual Force)의 측정
실험예 1-1: 편광자의 수축률 측정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편광자를 연신방향으로 커팅(길이 25mm, 폭 2mm)한 후, 레오미터(Rheometer, Anton Paar, MCR-302)를 이용하여 25℃, 12시간 동안의 편광자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1-2: 편광자의 탄성률 측정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편광자를 연신방향으로 커팅(길이 100mm, 폭 5mm)한 후, 만능재료시험기(UTM, Shimadzu, AG-X)를 이용하여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1-3: 잔류력(Residual Force)의 측정
상기에서 측정한 수축률과 탄성률을 통하여 편광자가 상온에서 수축할 때의 잔류력을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그 결과는 2.1N이었다(폭이 2mm일 때의 단면적으로 계산).
[수학식 2]
Figure PCTKR2015006221-appb-I000003
상기 수학식에서,
Force는 편광자의 잔류력이고,
E는 편광자의 탄성률(MPa)이며,
ε은 편광자의 수축률이고,
A는 편광자의 단면적(mm2)이다.
실험예 2: 내력(Resisting Force)의 측정
실험예 2-1: 보호필름의 탄성률 측정
하기 표 1의 보호필름을 연신방향으로 커팅(길이 100mm, 폭 5mm)한 후, 만능재료시험기(UTM, Shimadzu, AG-X)를 이용하여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2-2: 내력(Resisting Force)의 측정
상기에서 측정한 편광자의 수축률과 보호필름의 탄성률을 통하여 편광자 보호필름의 내력을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17 및 비교예 1 내지 11: 초박형 편광판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편광자의 일면에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접착제층 형성 조성물을 건조막 두께가 0.1㎛가 되도록 도포한 후, 하기 표 1의 보호필름 (400x400mm)을 접합하고, 60℃의 온도에서 5분 동안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보호필름이 부착된 편광자의 타면에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1분 동안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초박형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편광판의 컬량의 측정
테이블 위의 평면과 같은 기준 면에 컬링된 샘플의 오목한 면이 위로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25℃, 65%RH의 분위기 하에서 48시간 동안 습도를 조절하였다. 샘플은 장변이 305㎜, 단변이 254㎜인 장방형 샘플을 각 변이 편광판의 제막 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이루어지도록 재단하였다.
습도가 조절된 샘플의 2개의 대각선 중 편광판의 제막 방향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는 대각선의 양단의 각이 컬에 의하여 기준면으로부터의 들려진 높이를 측정하고, 이를 평균하여 편광판의 컬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 컬량 5mm 이하
△: 컬량 15mm 이하
Ⅹ: 컬량 15mm 초과
표 1
보호필름 탄성률(MPa) 단면적(mm2) 내력(N) 컬량(mm)
실시예 1 SRF-PET 5054 0.160 2.99 3.5
실시예 2 TAC 2976 0.200 2.20 4.5
실시예 3 SRF-PET 5054 0.200 3.74 2.0
실시예 4 PET 3738 0.200 2.77 3.0
실시예 5 SRF-PET 5054 0.240 4.49 1.5
실시예 6 TAC 2976 0.300 3.30 3.0
실시예 7 SRF-PET 5054 0.300 5.61 1.0
실시예 8 PET 3738 0.300 4.15 2.0
실시예 9 TAC 2976 0.500 5.51 1.0
실시예 10 SRF-PET 5054 0.500 9.35 0.5
실시예 11 PMMA 1520 0.500 2.81 3.0
실시예 12 PET 3738 0.500 6.92 1.0
실시예 13 COP 1543 0.500 2.85 3.5
실시예 14 TAC 2976 0.800 8.81 0.5
실시예 15 SRF-PET 5054 0.800 14.96 0
실시예 16 PMMA 1520 0.800 4.50 0.0
실시예 17 COP 1543 0.800 4.57 2.0
비교예 1 TAC 2976 0.050 0.55 40.0
비교예 2 PET 3738 0.076 1.05 24.5
비교예 3 SRF-PET 5054 0.100 1.87 11.0
비교예 4 PET 3738 0.100 1.38 13.0
비교예 5 COP 1543 0.100 0.57 42.0
비교예 6 TAC 2976 0.120 1.32 17.0
비교예 7 PMMA 1520 0.120 0.67 35.0
비교예 8 TAC 2976 0.160 1.76 11.0
비교예 9 PMMA 1520 0.160 0.90 33.0
비교예 10 COP 1543 0.200 1.14 13.0
비교예 11 PMMA 1520 0.300 1.69 11.5
SRF-PET: 일축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TAC: 검화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PM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COP: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7의 초박형 편광판은 보호필름의 내력이 2.1N 미만인 비교예 1 내지 11의 초박형 편광판에 비해 컬량이 현저히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보호필름의 내력을 18.7N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는 보호필름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져 초박형 편광판에 적용할 수 없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편광자의 일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보호필름이 부착된 면의 타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필름의 내력(resisting force)이 2.1 내지 18.7N인 초박형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보호필름의 내력은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값인 초박형 편광판:
    [수학식 1]
    Figure PCTKR2015006221-appb-I000004
    상기 수학식에서,
    Force는 보호필름의 내력(resisting force)이고,
    E는 보호필름의 탄성률(MPa)이며,
    ε은 편광자의 수축률이고,
    A는 보호필름의 단면적(mm2)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보호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셀룰로오스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또는 폴리올레핀계 필름인 초박형 편광판.
  4. 제1항에 있어서, 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또는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필름인 초박형 편광판.
  5. 액정셀의 적어도 한 면에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초박형 편광판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
PCT/KR2015/006221 2014-06-25 2015-06-19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519937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21,949 US10495799B2 (en) 2014-06-25 2015-06-19 Ultra-thi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299 2014-06-25
KR1020140078299A KR102172750B1 (ko) 2014-06-25 2014-06-25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9379A1 true WO2015199379A1 (ko) 2015-12-30

Family

ID=5493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6221 WO2015199379A1 (ko) 2014-06-25 2015-06-19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95799B2 (ko)
KR (1) KR102172750B1 (ko)
TW (1) TW201601909A (ko)
WO (1) WO2015199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675B1 (ko) * 2016-01-19 2017-11-3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6932421B2 (ja) * 2016-08-15 2021-09-08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層、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JP6932420B2 (ja) * 2016-08-15 2021-09-08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層、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CN118043205A (zh) * 2021-09-09 2024-05-14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叠层体的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040A (ko) * 2005-08-03 2007-02-08 후지필름 홀딩스 가부시끼가이샤 반사방지 필름, 편광판 및 영상 표시 장치
US20070237966A1 (en) * 2006-03-28 2007-10-11 Nitto Denko Corporation Hard-coated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and image display
KR20080059879A (ko) * 2006-12-26 2008-07-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점착제용 필러,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포함하는 광학 필름
KR20100084290A (ko) * 2009-01-16 2010-07-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컬이 방지되는 편광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
KR20130105510A (ko) * 2012-03-15 2013-09-25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편광판, 액정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343B1 (ko) 2005-03-31 2013-01-2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US8007878B2 (en) 2005-08-03 2011-08-30 Fujifilm Corporation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4335901B2 (ja) 2006-11-14 2009-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5324316B2 (ja) * 2008-05-27 2013-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TW201028292A (en) 2008-12-11 2010-08-01 Sumitomo Chemical Co Process for producing composite polarizing plate
KR20100078564A (ko) * 2008-12-30 2010-07-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박막형 편광판 및 이것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
WO2014017541A1 (ja) * 2012-07-27 2014-01-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6262514B2 (ja) 2013-12-12 2018-01-1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040A (ko) * 2005-08-03 2007-02-08 후지필름 홀딩스 가부시끼가이샤 반사방지 필름, 편광판 및 영상 표시 장치
US20070237966A1 (en) * 2006-03-28 2007-10-11 Nitto Denko Corporation Hard-coated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and image display
KR20080059879A (ko) * 2006-12-26 2008-07-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점착제용 필러,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포함하는 광학 필름
KR20100084290A (ko) * 2009-01-16 2010-07-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컬이 방지되는 편광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
KR20130105510A (ko) * 2012-03-15 2013-09-25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편광판, 액정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32A (ko) 2016-01-05
KR102172750B1 (ko) 2020-11-02
US10495799B2 (en) 2019-12-03
TW201601909A (zh) 2016-01-16
US20170131450A1 (en)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88240A2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전자 장치
WO2017204161A1 (ja) 積層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0120105A2 (ko) 점착제 조성물
WO2016148388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TW200842416A (e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WO2013035977A1 (ko) 위상차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WO2015199379A1 (ko)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2074233A2 (ko)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204252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3180504A1 (ko)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16171389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9013599A1 (ko) 편광판
WO2011152616A2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4196766A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를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편광판
WO2017018672A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6108460A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WO2017099465A1 (ko) 점착제 조성물
KR20160007272A (ko)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9045236A1 (ko) 아크릴 필름
WO2023096410A1 (ko) 백 플레이트 필름
WO2018182120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23096407A1 (ko) 백 플레이트 필름
WO2021194328A1 (ko)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한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WO2017065458A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22050675A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124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321949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124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