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95213A1 -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95213A1
WO2016195213A1 PCT/KR2016/001722 KR2016001722W WO2016195213A1 WO 2016195213 A1 WO2016195213 A1 WO 2016195213A1 KR 2016001722 W KR2016001722 W KR 2016001722W WO 2016195213 A1 WO2016195213 A1 WO 20161952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yer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layer
surface material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17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정일
이승훈
정재열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ublication of WO20161952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952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Definitions

  • the automotive interio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rvature radius (R) ⁇ 5 and the maximum molding depth (D): 6 ⁇ 12mm, to ensure excellent moldability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curvature radius and molding depth.
  • R curvature radius
  • D maximum molding depth
  •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may be improved, and various designs may be applied.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interi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utomotive interior 100 includes a base layer 120 and a finish layer 140.
  • the automotive interi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rface coating layer (160).
  • the base layer 120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interior of the automotive interior 100, the substrate layer 120 is previously by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insert injection It may be injection molded.
  • the flexible layer 144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not shown) having a flexible property, and an adhesive (not shown) impregnated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substrate.
  • the interior material for automobiles since the flexible layer is formed in an integrated structure in which the adhesive is impregnated on both sides of the flexible substrate, there is no need to form a separate adhesive layer, the interlayer according to the raw material reduction and layer structure increase There is a structural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peeling defect in advance.
  • Curvature radius (R) 2 and the maximum molding depth (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nish layer was manufactured by molding under the condition of 10mm.
  • Curvature radius (R) 2 and the maximum molding depth (D): except for manufacturing a finish layer by molding under the condition of 10mm was prepared in the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강도 보강층과, 상기 강도 보강층 상에 형성된 표면재층과, 상기 강도 보강층 및 표면재층 사이에 개재된 접착제가 함침된 유연화층을 갖는 마감재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장재로써 쎈터페시아, 계기판 마감재, 도어 가니쉬, 콘솔박스 부위에 수지성형부품이 사용되고 있고, 가전 제품의 표면 마감재로 수지성형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내부 운전석 및 조수석 주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및 오디오데크, 기어변속부, 에어백, 도어잠금 및 창문개폐부 등에는 각종의 제어부 및 편의장치들이 설치되는 바, 각종 제어장치 및 편의장치의 외곽과 내장재 사이의 틈새에는 내장재 마감 패널이 설치되어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게 되고, 이러한 내장재는 차량의 실내에 대한 감성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용 내장재는 자동차 내부의 미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자동차가 고급화, 개성화되는 흐름에 있어서 외관상 미적인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외관상 세련미 및 고급 질감을 얻기 위하여 리얼우드 등의 천연 소재를 적용한 자동차용 내장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0882호(2008.05.22 공고)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강화적층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곡률반경 및 성형깊이 개선을 통해 우수한 성형성을 확보하여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강도 보강층과, 상기 강도 보강층 상에 형성된 표면재층과, 상기 강도 보강층 및 표면재층 사이에 개재된 접착제가 함침된 유연화층을 갖는 마감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 제조 방법은 (a) 강도 보강층, 접착제가 함침된 유연화층 및 표면재층이 차례로 적층된 마감재층을 형성한 후, 상기 마감재층을 열압착 방식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마감재층 하부에 미리 사출 성형된 기재층을 인서트 사출로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은 표면재층과 강도 보강재층의 사이 공간에 접착제가 함침된 유연화층을 삽입시킴으로써, 마감재층의 곡면 성형시 유연화층에 의해 유연성 및 완충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가장자리 굴곡 부분에서 표면재층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찢겨지는 등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은 유연성 기재의 양면에 접착제가 함침되는 일체형 구조로 유연화층이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원재료 절감 및 층 구조 증가에 따른 층간 박리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조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은 곡률반경(R) < 5 및 최대 성형깊이(D) : 6 ~ 12mm를 가짐으로써, 곡률반경 및 성형깊이 개선을 통해 우수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6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용 내장재의 성형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용 내장재의 성형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용 내장재의 성형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100)는 기재층(120) 및 마감재층(14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100)는 표면 도장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100)는 미리 사출 성형된 기재층(120)을 적용함으로써, 자동차용 내장재(100)로서 주요 기능인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면서, 기계적 물성과 일차적인 치수안정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100)에서, 기재층(120)은 자동차용 내장재(100)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층(120)은 인서트 사출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미리 사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기재층(120)으로는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나일론(nylo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nat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탄소 섬유(carbon fiber), 유리 섬유(glass fiber), 베크라이트(Bakeli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기재층(120)으로 발포제를 이용한 발포 성형 공정을 거치지 아니한 비발포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일차적인 치수안정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마감재층(140)은 기재층(120) 상에 형성된 강도 보강층(142)과, 강도 보강층(142) 상에 형성된 표면재층(146)과, 강도 보강층(142) 및 표면재층(146) 사이에 개재된 접착제가 함침된 유연화층(144)을 포함한다.
이때, 강도 보강층(142)은 기재층(12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종 소재 적층에 따른 소재 고유의 각기 다른 물성적 거동을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하게 하는 추가적인 치수안정 효과를 구현함과 동시에, 내부 층간 박리 강도의 향상으로 인해 기계적 물성을 더욱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강도 보강층(142)은 0.4 ~ 0.6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도 보강층(142)의 두께가 0.4mm 미만일 경우에는 적정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 표면재층(146)의 변형을 막아주는 효과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강도 보강층(142)의 두께가 0.6mm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도 확보에는 유리하나, 연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곡면 성형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이때, 강도 보강층(142)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나일론(nylon), 유리 섬유(glass fiber), 탄소 섬유(carbon fiber), 부직포, 베크라이트(Bakeli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 금속(metal), 직물(fabric), 고무(rubber), 석재(stone)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재층(146)은 강도 보강층(142)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접착제가 함침된 유연화층(144)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외관상의 세련미 및 고급 질감을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표면재층(146)은 0.3 ~ 0.7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재층(146)의 두께가 0.3mm 미만일 경우에는 적정 강도 확보가 어려워 외부 충격에 쉽게 깨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크며, 도장 등의 표면처리 전 샌딩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표면재층(146)의 두께가 0.7mm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두께 설계로 인하여 곡면 성형시 크랙 등의 불량을 유발할 수 있어 제조원가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때, 표면재층(146)으로는 목재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아연, 구리, 탄소강, 합금강, 황동 및 청동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과, 탄소 섬유와, 탄소 프리프레그(prepreg)와, 석재와, 가죽과, 직물과, 고무와 합성고분자 필름, 합성고분자 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재층(146)의 재질로 천연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천연 목재 또는 합성 목재가 이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천연 목재는 무늬목 단판(리얼우드), 합판, 중밀도 섬유판(MDF), 고밀도 섬유판(HDF), 파티클보드(PB), 집성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천연 목재로서 리얼우드를 자동차용 내장재(100)의 표면재층(146)에 적용하게 되면, 외관상 세련미 및 고급 질감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리얼우드 소재 고유의 안정감으로 타 소재 대비 적용빈도가 높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서 '리얼우드'라 함은 물푸레나무 (Ash), 호두나무 (Walnut) 등을 얇게 켠 베니어 (veneer)를 의미하는 것이며, 일부는 천연 목재를 집성하여 절단하여 제작한 집성 베니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100)는 치수안정 효과 및 기계적 물성을 높였는바, 표면재층(146)으로 이러한 리얼우드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리얼우드는 자동차 내장재(100)로서의 외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천연 목재 수종을 선별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물푸레나무, 호두나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정 수종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100)로 리얼우드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자동차의 실내 디자인을 고급화할 수 있어, 센터페시아(centre facia), 도어 트림 가니쉬(door trim garnish), 기어박스(gear box), 크래시 패드(Crash Pad) 등으로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유연화층(144)은 강도 보강층(142) 및 표면재층(146)의 사이 공간에 삽입 배치되어, 자동차용 내장재(100)에 유연성 및 완충성을 부여하여 성형성의 개선으로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강도 보강층(142) 및 표면재층(146)과의 접착 성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연화층(144)은 0.05 ~ 0.5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화층(144)의 두께가 0.05mm 미만일 경우에는 유연성 확보에는 유리하나, 완충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유연화층(144)의 두께가 0.5mm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두께 설계로 인하여 성형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크다.
이를 위해, 상기 유연화층(144)은, 도면으로 상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플렉서블한 성질을 갖는 유연성 기재(미도시)와, 유연성 기재의 양면에 함침된 접착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유연성 기재로는 부직포, 유리 섬유 종이(glass fiber paper), 탄소 섬유 직물(carbon fiber fabric), 셀룰로우스(cellulose), 펄프(pulp)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착제로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페놀(phenol), 멜라민(melamine), 요소(urea), 에폭시(epoxy),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알키드(alkid), 아세틸셀룰로오스(acetyl cellulose),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 cellulose) 및 핫멜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hot melt thermoplastic 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표면재층(146)과 강도 보강재층(142) 사이 공간에 접착제가 함침된 유연화층(144)을 삽입시킬 경우, 마감재층(140)의 곡면 성형시 유연화층(144)에 의해 유연성 및 완충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가장자리 굴곡 부분에서 표면재층(146)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찢어지는 등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화층(144)은 유연성 기재의 양면에 접착제가 함침되는 일체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별도의 접착제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원재료 절감 및 층 구조 증가에 따른 층간 박리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조적인 이점이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100)는 곡률반경(R) < 5 및 최대 성형깊이(D) : 6 ~ 12mm를 가짐으로써, 곡률반경 및 성형깊이 개선을 통해 우수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표면 도장층(160)은 표면재층(146)의 상부에 형성되어, 자동차용 내장재(100)의 외관을 고급스러운 질감으로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표면 도장층(160)은 0.4 ~ 0.7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도장층(160)의 두께가 0.4mm 미만일 경우에는 도막 두께가 얇아 고급 질감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표면 도장층(160)의 두께가 0.7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도막 두께만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표면 도장층(160)은 수성계 도료, 유성계 도료, 합성수지계 도료, 천연수지계 도료, 섬유소계 도료, 금속계 도료 및 금속산화물계 도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성계 도료는 용제로 물을 사용하여 희석시키는 도료로서, 비닐 에멀젼, 밀크 카제인, 규산 소다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성계 도료는 용제로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희석시키는 도료로서, 보일유, 아마인유, 수지 바니시, 오일 바니시 및 오일 에나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계 도료는 합성수지를 착색제로 포함하는 도료로서, 폴리우레탄, (불포화)폴리에스터, 아크릴산,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페놀, 멜라민, 요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에나멜 및 프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천연수지계 도료는 천연수지를 착색제로 포함하는 도료로서, 래크(lac) 바니시, 댐머(damer) 바니시 또는 속건니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섬유소계 도료는 섬유소를 착색제로 포함하는 도료로서,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 또는 벤질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계 도료 또는 금속산화물계 도료는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착색제로 포함하는 도료로서, 게르마늄(Ge), 산화하프늄(HfO2), 불화마그네슘(MgF2), 산화마그네슘(MgO2), 이산화규소(SiO2), 산화티타늄(TiO),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티타늄(Ⅲ)(Ti2O3), 산화탄탈룸(Ⅴ)(Ta2O5), 산화이트륨(Y2O3), 황화아연(ZnS) 및 이산화지르코늄(ZrO2), 니켈-크롬(50Ni-50C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는 표면재층과 강도 보강재층의 사이 공간에 접착제가 함침된 유연화층을 삽입시킴으로써, 마감재층의 곡면 성형시 유연화층에 의해 유연성 및 완충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가장자리 굴곡 부분에서 표면재층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찢겨지는 등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는 유연성 기재의 양면에 접착제가 함침되는 일체형 구조로 유연화층이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원재료 절감 및 층 구조 증가에 따른 층간 박리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조적인 이점이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는 곡률반경(R) < 5 및 최대 성형깊이(D) : 6 ~ 12mm를 가짐으로써, 곡률반경 및 성형깊이 개선을 통해 우수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 보강층(142), 접착제가 함침된 유연화층(144) 및 표면재층(146)이 차례로 적층된 마감재층(140)을 형성한 후, 마감재층(140)을 열압착 방식으로 성형한다.
이때, 핫 프레스(hot press)에 의한 열압착은 강도 보강층(142), 접착제가 함침된 유연화층(144) 및 표면재층(146)의 적층 구조를 상부 및 하부 열압착판 사이에 삽입한 후,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것으로, 핫 프레스에 의한 성형을 통해 균일하고 고밀도의 마감재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재층(140) 하부에 미리 사출 성형된 기재층(120)을 인서트 사출로 합착한다.
이러한 기재층(120)은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마감재층(140)과 합착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 방식은 금형 내에 기재층(120) 및 마감재층(140)을 투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합착하는 것으로, 인서트 사출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재층(12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자동차용 내장재로서 주요 기능인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재층(146) 상에 도장 처리를 실시하여 표면 도장층(160)을 형성한다.
이러한 표면 도장층(160)은 수성계 도료, 유성계 도료, 합성수지계 도료, 천연수지계 도료, 섬유소계 도료, 금속계 도료 및 금속산화물계 도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이용한 스트레이 코팅 방식으로 도장 처리하고, 건조 및 경화 처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자동자용 내장재 제조
실시예 1
호두나무(Walnut) 수종을 이용하여 0.6mm 두께를 갖는 리얼우드 표면재층을 준비하였다. 리얼우드 표면재층 하부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접착제가 함침된 0.3mm 두께의 유연화층을 형성한 후, 복합재질로 이루어진 0.5mm 두께를 가진 부직포를 강도 보강층으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표면재층, 유연화층 및 강도 보강층을 핫프레스 설비를 이용하여 140℃의 온도에서 30kg/㎠의 압력으로 180초 동안 열압착하되, 곡률반경(R) = 2 및 최대 성형깊이(D) : 7mm 조건으로 성형하여 마감재층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마감재층 하부에 미리 사출 성형된 기재층을 배치한 후, 인서트 사출로 합착하여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곡률반경(R) = 3 및 최대 성형깊이(D) : 10mm 조건으로 성형하여 마감재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곡률반경(R) = 2 및 최대 성형깊이(D) : 10mm 조건으로 성형하여 마감재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호두나무(Walnut) 수종을 이용하여 0.6mm 두께를 갖는 리얼우드 표면재층을 준비하였다. 리얼우드 표면재층 하부에 열경화성 접착제로 함침된 두께 0.2mm의 글루 시트(Glue sheet)를 접착층으로 형성한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복합재질로 이루어진 0.5mm 두께를 가진 부직포를 강도 보강층으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표면재층, 접착층 및 강도 보강층을 핫프레스 설비를 이용하여 140℃의 온도에서 30kg/㎠의 압력으로 180초 동안 열압착하되, 곡률반경(R) = 2 및 최대 성형깊이(D) : 7mm 조건으로 성형하여 마감재층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마감재층 하부에 미리 사출 성형된 기재층을 배치한 후, 인서트 사출로 합착하여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곡률반경(R) = 3 및 최대 성형깊이(D) : 10mm 조건으로 성형하여 마감재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곡률반경(R) = 2 및 최대 성형깊이(D) : 10mm 조건으로 성형하여 마감재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2. 성형성 평가
도 6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용 내장재의 성형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용 내장재의 성형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용 내장재의 성형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에는 곡률반경(R) = 2 및 최대 성형깊이(D) : 7mm 조건으로 성형이 실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마감재층의 가장자리 부분에 크랙 및 찢겨진 흔적 없이 매끈한 표면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마감재층의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에 크랙이 발생하여 찢겨져 나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반경(R) = 3 및 최대 성형깊이(D) : 10mm 조건으로 성형된 실시예 2 및 곡률반경(R) = 2 및 최대 성형깊이(D) : 10mm 조건으로 성형된 실시예 3의 경우, 마감재층의 가장자리 부분에 크랙이나 찢겨진 흔적 없이 매끈한 표면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곡률반경(R) = 3 및 최대 성형깊이(D) : 10mm 조건으로 성형된 비교예 2 및 곡률반경(R) = 2 및 최대 성형깊이(D) : 10mm 조건으로 성형된 비교예 3의 경우, 마감재층의 가장자리 부분의 상당 부분이 찢겨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면재층과 강도 보강재층의 사이 공간에 접착제가 함침된 유연화층을 삽입시킬 경우, 마감재층의 곡면 성형시 유연화층에 의해 유연성 및 완충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가장자리 굴곡 부분에서 표면재층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찢겨지는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강도 보강층과, 상기 강도 보강층 상에 형성된 표면재층과, 상기 강도 보강층 및 표면재층 사이에 개재된 접착제가 함침된 유연화층을 갖는 마감재층;
    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나일론(nylo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nat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폴리염화비닐(poluvinyl chlor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탄소 섬유(carbon fiber), 유리 섬유(glass fiber), 베크라이트(Bakeli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층의 두께는
    0.4 ~ 0.6mm인 자동차용 내장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층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나일론(nylon), 유리 섬유(glass fiber), 탄소 섬유(carbon fiber), 부직포, 베크라이트(Bakeli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 금속(metal), 직물(fabric), 고무(rubber) 및 석재(stone)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화층의 두께는
    0.05 ~ 0.5mm인 자동차용 내장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화층은
    유연성 기재와,
    상기 유연성 기재의 양면에 함침된 상기 접착제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기재는
    부직포, 유리 섬유 종이(glass fiber paper), 탄소 섬유 직물(carbon fiber fabric), 셀룰로우스(cellulose) 및 펄프(pulp)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페놀(phenol), 멜라민(melamine), 요소(urea), 에폭시(epoxy),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알키드(alkid), 아세틸셀룰로오스(acetyl cellulose),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 cellulose) 및 핫멜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hot melt thermoplastic 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층의 두께는
    0.3 ~ 0.7mm인 자동차용 내장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층은
    목재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아연, 구리, 탄소강, 합금강, 황동 및 청동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과, 탄소 섬유와, 탄소 프리프레그(prepreg)와, 석재와, 가죽과, 직물과, 고무와 합성고분자 필름, 합성고분자 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는
    상기 표면재층 상에 형성된 표면 도장층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도장층의 두께는
    0.4 ~ 0.7mm인 자동차용 내장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도장층은
    합성수지계 도료, 수성계 도료, 유성계 도료, 섬유소계 도료, 천연수지계 도료, 금속계 도료, 금속계 도료 및 금속산화물계 도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층은
    곡률반경(R) < 5를 갖는 자동차용 내장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층은
    최대 성형깊이(D) : 6 ~ 12mm를 갖는 자동차용 내장재.
  16. (a) 강도 보강층, 접착제가 함침된 유연화층 및 표면재층이 차례로 적층된 마감재층을 형성한 후, 상기 마감재층을 열압착 방식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b) 상기 마감재층 하부에 미리 사출 성형된 기재층을 인서트 사출로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c) 상기 표면재층 상에 도장 처리를 실시하여 표면 도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제조 방법.
PCT/KR2016/001722 2015-06-02 2016-02-22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WO201619521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700 2015-06-02
KR1020150077700A KR20160142427A (ko) 2015-06-02 2015-06-02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5213A1 true WO2016195213A1 (ko) 2016-12-08

Family

ID=5744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1722 WO2016195213A1 (ko) 2015-06-02 2016-02-22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42427A (ko)
WO (1) WO201619521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3977A (zh) * 2017-01-17 2017-06-20 中山博锐斯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船体堵漏用囊体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407413A (zh) * 2017-02-09 2018-08-17 因塔思株式会社 实木膜及适用所述实木膜的实木注塑物制造方法
CN110116522A (zh) * 2018-02-05 2019-08-13 富尔西亚排气系统公司 包含主层和加强层的预浸渍部件
US20200139924A1 (en) * 2018-11-02 2020-05-07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ide impact airbag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837B1 (ko) * 2017-01-13 2017-05-23 주식회사 아로텍 복합 강화필름 및 제조방법
KR102443335B1 (ko) * 2017-11-06 2022-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금속질감을 갖는 자동차용 내장재
KR102449562B1 (ko) 2017-11-27 2022-10-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부품용 투광성 부재
KR102208078B1 (ko) * 2018-12-03 2021-01-28 에스엠화진 주식회사 적층 시트와 그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 가공 방법
KR102223124B1 (ko) 2020-12-07 2021-03-04 (주)유니크라미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2446141B1 (ko) * 2021-03-12 2022-09-22 (주)우성정공 이종 재료가 코팅된 부품의 사출 성형방법
KR102631990B1 (ko) * 2021-06-24 2024-01-31 (주)엘엑스하우시스 차량용 우드 내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3841A (ja) * 2006-05-29 2007-12-06 Yamaha Corp 化粧部材、車両用内装材及び化粧部材の製造方法
KR20090107835A (ko) * 2008-04-10 2009-10-14 주식회사 포스코 향상된 내열성과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크롬프리 수지 용액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강판
KR20120009578A (ko) * 2010-07-19 2012-02-02 한일이화주식회사 경량성 다층 구조물 및 제조방법
KR20130015350A (ko) * 2011-08-03 2013-02-14 석정기 탄성이 개질 된 무늬목층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
KR20130120567A (ko) * 2012-04-26 2013-11-05 한일이화주식회사 폴리우레탄 폼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체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3841A (ja) * 2006-05-29 2007-12-06 Yamaha Corp 化粧部材、車両用内装材及び化粧部材の製造方法
KR20090107835A (ko) * 2008-04-10 2009-10-14 주식회사 포스코 향상된 내열성과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크롬프리 수지 용액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 강판
KR20120009578A (ko) * 2010-07-19 2012-02-02 한일이화주식회사 경량성 다층 구조물 및 제조방법
KR20130015350A (ko) * 2011-08-03 2013-02-14 석정기 탄성이 개질 된 무늬목층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
KR20130120567A (ko) * 2012-04-26 2013-11-05 한일이화주식회사 폴리우레탄 폼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용 적층체 및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3977A (zh) * 2017-01-17 2017-06-20 中山博锐斯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船体堵漏用囊体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407413A (zh) * 2017-02-09 2018-08-17 因塔思株式会社 实木膜及适用所述实木膜的实木注塑物制造方法
CN110116522A (zh) * 2018-02-05 2019-08-13 富尔西亚排气系统公司 包含主层和加强层的预浸渍部件
CN110116522B (zh) * 2018-02-05 2021-06-11 富尔西亚排气系统公司 包含主层和加强层的预浸渍部件
US20200139924A1 (en) * 2018-11-02 2020-05-07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ide impact airbag module
US10807558B2 (en) * 2018-11-02 2020-10-20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ide impact airba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427A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95213A1 (ko) 자동차용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2326B1 (ko)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5851B1 (ko) 장식된 트림 부재
US6180211B1 (en) Composite laminate and method therefor
KR20160049051A (ko)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화장 부재
JP2011501706A (ja) 木質材料層による部品の被覆方法及び前記層で被覆した部品
WO2016010334A1 (ko)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9328562A (ja) 化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
KR20180088060A (ko)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용 내장재
KR101915971B1 (ko) 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 제조방법
WO2016002999A1 (ko) 트림용 우드 포일 및 그의 제조방법
CA2385598A1 (en) Gloss-adjusting mask layer with particulate filler
WO2018012691A2 (ko)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그 자동차 내장재
KR102107400B1 (ko)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60485A (ko) 한지를 이용한 차량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4060966B2 (ja) 繊維強化加飾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EP0395814A2 (en) Polyvinylchloride lamina and process for making it
WO2021060931A1 (ko) 자동차 내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US6710133B2 (en) Recyclable vehicle interior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20180040347A (ko) 리얼우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3841894B2 (ja) 化粧シート
JP2002144485A (ja) 化粧シート
JP3156150B2 (ja) 耐候性のあるオレフィン系化粧シート
JP2000177071A (ja) 成形用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H11246830A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035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035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