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59529A1 -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함유하는 유탕면 - Google Patents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함유하는 유탕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59529A1
WO2016159529A1 PCT/KR2016/002307 KR2016002307W WO2016159529A1 WO 2016159529 A1 WO2016159529 A1 WO 2016159529A1 KR 2016002307 W KR2016002307 W KR 2016002307W WO 2016159529 A1 WO2016159529 A1 WO 20161595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oodle
hpmc
viscosity
apparent viscosity
noo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23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배인영
이현규
장혜림
Original Assignee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61595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595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odle containin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and more specifically, by adding HPMC, oil absorption and free fatty acid content is reduced, reducing the taste and low calorie noodle It is about.
  • HPMC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noodles have the second largest market after bread. According to the 2012 Food Distribution Yearbook, the domestic market size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over the past five years. Noodles are also loved by busy modern people for their convenience, variety and low price.
  • ramen made by fried noodles in oil is a favorite food of modern people, and is widely used at home and abroad.
  • Ramen refers to the noodle, which is made of wheat flour, starch and refined salt, and steamed using steam at 100 ° C, and then fried at a high temperature by a certain amount, which is a conservative aspect of the food, texture and texture It is one of the processing methods that have been widely used in food in terms of promotion.
  • the noodle after oiling has a high fat content due to oil absorption inside.
  • high calories are known to be an important factor of adult diseases such as obesity, coronary artery disease, heart disease.
  •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develop a noodle with reduced oil absorption usin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 HPMC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from a cotton dough containing a flour mixture, and then fried in oil, the flour mixture comprises flour and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It provides an HPMC-containing milk noo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ion.
  • the flour mixture comprises flour and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It provides an HPMC-containing milk noo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ion.
  • HPMC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Hypromellose Hypromellose
  • This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swells in water to form a mucus suspension, such as a transparent opal, and insoluble in alcohol or ethanol.
  • pH is 5.0-8.0, and it changes from a sol to a gel by heating and cooling.
  • the flour mixture preferably contains 0.1 to 10% by weight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more preferably 0.5 to 5.0% by weight.
  • the HPMC preferably has a viscosity of 4,000 to 100,000 mPa ⁇ s.
  • the noodle is preferably steamed for 2 to 8 minutes before frying.
  • the noodle containin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il absorption and the free fatty acid content, thereby reducing the taste and providing the noodle with low calorie.
  • 1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oil absorption as the concentration of HPMC (0.5, 1.5, 3.0, 5.0% (w / w)) and self viscosity (CN100, CN4000, CN100000) increases.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free fatty acid content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HPMC (0.5, 1.5, 3.0, 5.0% (w / w)) and self viscosity (CN100, CN4000, CN100000).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f oil absorption amou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lf-viscosity (CN100, CN4000, CN100000) of HPMC when the apparent viscosity (low apparent viscosity, high apparent viscosity) of the tang surface is the same (* p ⁇ 0.05, ** p ⁇ 0.05, *** p ⁇ 0.05).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free fatty acid cont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lf-viscosity (CN100, CN4000, CN100000) of HPMC when the apparent viscosity (low apparent viscosity, high apparent viscosity) of the noodle is the same (* p ⁇ 0.05) , ** p ⁇ 0.05, *** p ⁇ 0.05).
  • FIG. 5 is a confocal microscopy photograph of the size of fat globul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viscosity (CN100, CN4000, CN100000) of HPMC when the apparent viscosity (low apparent viscosity, high apparent viscosity) of the tang surface is the same. (1024 x 1024 pixels, pixel size is 246.03 nm).
  • HPMC-containing noodle noodles are 'Kim, Y., Kim, Y., Bae, I. Y., Lee, H. G., Hou, G. G., & Lee, S. Utilization of preharvest-dropped apple powder as an oil barrier for instant fried noodles. It was prepared as follows by the method of LWT-Food Science and Technology, 53 (1), 2013, 88-93 '.
  • ⁇ flour 49.75 g, 49.25 g, 48.5 g, 47.5 g '',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CN100 with a viscosity of 100 mPa ⁇ s, 4000 mPa ⁇ s, 100000 mPa ⁇ s , CN4000, CN100000 was prepared for each viscosity '0.25 g, 0.75 g, 1.5 g, 2.5 g' by mixing with the flour in order to prepare a flour mixture.
  • HPMC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the dough was spread to a thickness of 1.5 mm using a cotton noodle machine (Bestknife, China), and cut into 4 mm ⁇ 10 cm.
  • the cut noodles were steamed for 5 minutes on boiling water and then fried at 150 ° C. for 50 seconds. Thereafter, the mixture was allowed to cool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nd lyophilized to prepare each of the noodle containing the flour mixture having 12 conditions as shown in Table 1 below.
  • HPMC Self Viscosity mPas
  • HPMC Concentration %, w / w
  • One 100 0.5 2 100 1.5 3 100 3.0 4
  • 100 5.0 5 4000 0.5 6 4000 1.5 7
  • 4000 3.0 8 4000 5.0 9
  • 100000 0.5 10 100000 1.5 11 100000 3.0 12 100000 5.0
  • Example 1 In the present experimental example was to measure the oil absorption of the twelve tang noodle prepared in Example 1.
  • Example 1 Each of the twelve tang noodle prepared in Example 1 was grinded and filtered into 100 mesh sieves, and Soxhlet extraction using ether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merican Institute of Analytical Chemistry (AOAC, 2005). The oil absorption amount was measured by the method.
  •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oil absorption as the concentration of HPMC (0.5, 1.5, 3.0, 5.0% (w / w)) and self viscosity (CN100, CN4000, CN100000) increases.
  • Example 1 the free fatty acid content of the twelve tang noodle prepared in Example 1 was measured.
  • Free fatty acid content of yumtang noodle is' Versantvoort, CH, Oomen, AG, Van de Kamp, E., Rompelberg, CJ, & Sips, AJ Applicability of an in vitro digestion model in assessing the bioaccessibility of mycotoxins from food.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3 (1), 2005, 31-40. ' And 'Hur, SJ, Lim, BO, Park, GB, & Joo, ST Effects of various fiber additions on lipid digestion during in vitro digestion of beef patties. Journal of food science, 74 (9), 2009, C653-C657. 'Was modified as follows.
  • the amount of samples used in the experiment was adjusted to be equal to the oil absorption of 5 g of the control (control).
  • the duodenal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9.0 g of pancreatin, 1.0 g of bovine serum albumin (BSA), and 1.5 g of lipase (lipase) in 1 L distilled water to adjust the pH to 8.1 ⁇ 0.2.
  • BSA bovine serum albumin
  • lipase lipase
  • Bile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1.8 g of BSA and 3.0 g of bile acid in 1 L distilled water to adjust the pH to 8.2 ⁇ 0.2.
  • duodenal and bile solutions were homogenized for 2 hours, and the twelve tang noodles prepared in Example 1 were boiled in 50 ml of boiling water for 3 minutes. Thereafter, 12 ml of duodenal liquor and 6 ml of bile were mixed as in the small intestine, and were added to the lactose and then reacted at 37 ° C. and 100 rpm for 2 hours, and the free fatty acid content was measured.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free fatty acid content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HPMC (0.5, 1.5, 3.0, 5.0% (w / w)) and self viscosity (CN100, CN4000, CN100000).
  • HPMC acts as a physical barrier to inhibit enzymatic hydrolysis.
  • the proper cooking time for the noodle is' Oh, N. H., Seib, P. A., Deyoe, C. W., & Ward, A. B. Noodles. I. Measuring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cooked noodles. Cereal Chemistry. 62 (6), 1983, 431-436. 'Was measured as follows.
  • the titration time was measured by checking the time at which the white part disappears and becomes completely transparent when the boiled tang noodles are pressed between two slide glasses.
  • the breakdown stress was the same as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noodle containing CN100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as in the result of proper cooking time, and 1.5% in the noodle containing CN4000 and the noodle containing CN100000. w / w)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from the concentration.
  • CN100, CN4000, CN100000 each of HPMC's own viscosity of 100 mPa ⁇ s, 4000 mPa ⁇ s, and 100000 mPa ⁇ s, respectively, was added to the flour at the respective concentrations shown in Table 3, and the shear rate was 50 s ⁇
  • the noodle surface was prepared so that the apparent viscosity in 1 may be '1 Pa.s' or '10 Pa.s'. In the experiments below, '1 Pa ⁇ s' was described as low apparent viscosity and '10 Pa ⁇ s' as high apparent viscosity.
  • the apparent viscosity of the noodle was measured by a controlled strain rheometer after grinding the noodle by grinding the 100 mesh sieve, and the shear rate 0.1 ⁇ 100 s -1 , 'power law model '.
  • the oil absorption amount of the milk surface having the same apparent viscosity was meas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viscosity of the HPMC itself affected the oil absorption.
  • the oil absorption amount was obtained by grinding the tang noodle prepared in Experimental Example 4 and filtering 100 mesh sieves, and then extracting Soxhlet using ether according to the American Society for Analytical Chemistry (AOAC, 2005). It was measured by the method.
  • HPMC having a higher degree of polymerization (DP) value shows an excellent oil absorption reduction effect. That is, in spite of the same apparent viscosity, the oil absorption amount reduction effect of the noodle containing CN100000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which is inferred to be affected by the high degree of polymerization.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f oil absorption amou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lf-viscosity (CN100, CN4000, CN100000) of HPMC when the apparent viscosity (low apparent viscosity, high apparent viscosity) of the tang surface is the same (* p ⁇ 0.05, ** p ⁇ 0.05, *** p ⁇ 0.05).
  • the amount of the experimental group sample used in the experiment was adjusted to be the same as the oil absorption of the control (5 g).
  • the duodenal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9.0 g of pancreatin, 1.0 g of bovine serum albumin (BSA), and 1.5 g of lipase (lipase) in 1 L distilled water to adjust the pH to 8.1 ⁇ 0.2.
  • Bile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1.8 g of BSA and 3.0 g of bile acid in 1 L distilled water to adjust the pH to 8.2 ⁇ 0.2.
  • the prepared duodenum and bile were homogenized for 2 hours, and the noodle prepared in Experiment 4 was boiled for 3 minutes in 50 ml of boiling water. Thereafter, 12 ml of duodenal fluid and 6 ml of bile were mixed and added to the sample of the noodle, and then reacted at 37 ° C. and 100 rpm for 2 hours, and the free fatty acid content was measured.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free fatty acid cont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lf-viscosity (CN100, CN4000, CN100000) of HPMC when the apparent viscosity (low apparent viscosity, high apparent viscosity) of the noodle is the same (* p ⁇ 0.05) , ** p ⁇ 0.05, *** p ⁇ 0.05).
  • the size of fat globules was measured by using a tang noodle having the same apparent viscosity prepared in Experimental Example 4.
  • the fat before and after digestion of the Experimental Example 6 was confocal microscopy using 'Nile red' and '488-nm argon laser line'. Measured by. At this time, the pinhole size was 95.54 ⁇ m.
  • the size of the fat globules was smaller after digestion compared to the fat digestion.
  • the size of the fat globules in the control group is smaller.
  • the fat ball size of the noodle containing CN100 was smaller, and the fat ball size was relatively smaller at lower apparent viscosity than at high apparent viscosity (FIG. 5).
  • FIG. 5 is a confocal microscopy photograph of the size of fat globul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viscosity (CN100, CN4000, CN100000) of HPMC when the apparent viscosity (low apparent viscosity, high apparent viscosity) of the tang surface is the same. (1024 x 1024 pixels, pixel size is 246.03 nm).
  • the proper cooking time for the noodle is' Oh, N. H., Seib, P. A., Deyoe, C. W., & Ward, A. B. Noodles. I. Measuring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cooked noodles. Cereal Chemistry. 62 (6), 1983, 431-436. 'Was measured as follows.
  • the titration time was measured by checking the time at which the white part disappears and becomes completely transparent when the boiled tang noodles are pressed between two slide glasses.
  • the fracture stress did not differ from the control at low apparent viscosity regardless of the viscosity of HPMC itself.
  • the breaking stress tended to increase in the case of the noodle containing CN4000 and the noodle containing CN100000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high viscosity of HPMC itself has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fracture stress of the tang surface at high apparent viscos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함유한 유탕면에 관한 것으로,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함유함으로써, 흡유량 및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함량이 저감되어, 칼로리가 낮은 유탕면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함유하는 유탕면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를 함유하는 유탕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HPMC가 첨가됨으로써, 흡유량 및 유리지방산 함량이 저감되어, 느끼한 맛이 줄어들고 칼로리가 낮은 유탕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이 서구화됨에 따라 쌀 중심의 식생활에서 벗어나 밀가루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식 외 간식류의 섭취가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밀가루 소비량이 연간 약 200만 톤에 달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밀가루를 이용한 식품 중 면은 빵 다음으로 큰 시장을 가진다. 2012년 식품유통연감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국내 시장규모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면은 조리의 편리성, 다양한 맛 및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바쁜 현대인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한편, 면을 기름에 튀겨 제조한 라면은 현대인의 기호식품으로, 국내외에서 널리 애용되고 있다. 라면은 소맥분, 전분 및 정제염을 주원료로 하여, 100℃의 스팀(Steam)을 이용하여 찐 후, 일정량씩 고온에서 튀겨내는 유탕면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데, 유탕은 식품의 보존적인 측면과 식감 및 조직감 증진 측면에서 식품에 많이 이용되어온 가공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유탕과정을 거친 면은 내부로 기름이 흡유되어 높은 지방함량을 지닌다. 또한, 칼로리가 높아 비만, 관상동맥질환, 심장병 등 성인병의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지방함량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하여 유탕면 제품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를 이용하여 흡유량이 저감된 유탕면을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가루 혼합물을 함유하는 면 반죽으로부터 면을 제조한 후, 기름으로 튀겨 제조되되, 상기 밀가루 혼합물은 밀가루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MC 함유 유탕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는 하이프로멜로스(Hypromellose)라고도 불리며, 노란색 또는 흰색의 섬유상 가루 또는 알갱이로서 냄새가 없는 물질이다. 이러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는 물에 팽윤되어 투명한 오팔과 같은 점액성의 현탁액을 생성하고, 알코올이나 에탄올에 녹지 않는다. 또한, 흡습성이 있고, pH는 5.0~8.0이며, 가열과 냉각에 의해 졸(sol)에서 겔(gel)로 변화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특징이 있는 HPMC를 밀가루 반죽에 첨가하여 유탕면을 제조한 결과, 흡유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HPMC 함유 유탕면에 있어서, 상기 밀가루 혼합물은 바람직하게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0.1~10중량%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0중량%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HPMC 함유 유탕면에 있어서, 상기 HPMC는 바람직하게 자체 점도가 4,000~100,000 mPa·s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HPMC 함유 유탕면에 있어서, 상기 면은 튀기기 전, 2~8분간 스팀 처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함유한 유탕면은 흡유량 및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함량이 저감되어, 느끼한 맛이 줄어들고, 칼로리가 낮은 유탕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HPMC의 함유 농도(0.5, 1.5, 3.0, 5.0%(w/w)) 및 자체점도(CN100, CN4000, CN100000)가 증가함에 따른 흡유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HPMC의 함유 농도(0.5, 1.5, 3.0, 5.0%(w/w)) 및 자체점도(CN100, CN4000, CN100000)가 증가함에 따른 유리지방산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유탕면의 겉보기 점도(낮은 겉보기 점도, 높은 겉보기 점도)가 동일할 때, HPMC의 자체점도(CN100, CN4000, CN100000)의 변화에 따른 흡유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0.05, **p<0.05, ***p<0.05).
도 4는 유탕면의 겉보기 점도(낮은 겉보기 점도, 높은 겉보기 점도)가 동일할 때, HPMC의 자체점도(CN100, CN4000, CN100000)의 변화에 따른 유리지방산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0.05, **p<0.05, ***p<0.05).
도 5는 유탕면의 겉보기 점도(낮은 겉보기 점도, 높은 겉보기 점도)가 동일할 때, HPMC의 점도(CN100, CN4000, CN100000)의 변화에 따른 지방구 크기를 촬영한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y) 사진이다(1024 x 1024 픽셀, 픽셀 사이즈는 246.03 nm).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PMC)를 함유한 유탕면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를 함유하는 유탕면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HPMC 함유 유탕면은 'Kim, Y., Kim, Y., Bae, I. Y., Lee, H. G., Hou, G. G., & Lee, S. Utilization of preharvest-dropped apple powder as an oil barrier for instant fried noodles. LWT-Food Science and Technology, 53(1), 2013, 88-93'의 방법에 의해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밀가루 49. 75 g, 49.25 g, 48.5 g, 47.5 g'을 준비하고, 100 mPa·s, 4000 mPa·s, 100000 mPa·s의 점도를 지니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CN100, CN4000, CN100000을 각 점도별로 '0.25 g, 0.75 g, 1.5 g, 2.5 g'씩 준비하여 차례대로 상기 밀가루와 혼합하여 밀가루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밀가루와 점도별 HPMC를 차례대로 혼합한 총 12가지 밀가루 혼합물과 물 19.5 ml, 소금 0.75 g을 각각 혼합하여 12가지 샘플을 제조한 후, 반죽기(Kitchen Aid, St Joseph. MI, USA)를 이용하여 'speed 1'에서 1분 동안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그 후, 반죽을 한번 긁어 내리고, 'speed 1'에서 2분 동안 더 반죽하였다.
이후, 반죽을 제면기(Bestknife, China)를 이용하여 1.5 mm 두께로 펴고, 4 mm × 10 cm로 절단하였다. 절단된 면을 끓는 물 위에서 5분간 스팀 처리한 후, 대두유 150℃에서 50초 동안 튀겼다. 그 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냉하고, 동결건조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12가지 조건의 밀가루 혼합물을 함유하는 유탕면을 각각 제조하였다.
No HPMC 자체 점도(mPa·s) HPMC 함유 농도(%,w/w)
1 100 0.5
2 100 1.5
3 100 3.0
4 100 5.0
5 4000 0.5
6 4000 1.5
7 4000 3.0
8 4000 5.0
9 100000 0.5
10 100000 1.5
11 100000 3.0
12 100000 5.0
[ 실험예 1: 유탕면의 흡유량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12가지 유탕면의 흡유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12가지 유탕면을 각각 분쇄(grinding)하여 100메시(mesh) 체에 거른 후, 미국 공인분석화학회(AOAC, 2005) 방법에 따라 에테르를 사용한 속슬렛(Soxhlet) 추출방법으로 흡유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CN100을 함유한 유탕면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CN100000을 함유한 유탕면의 경우, 가장 효과적으로 유탕면의 흡유량을 감소시켰으며, CN100000을 함유한 유탕면 다음으로 CN4000을 함유한 유탕면이 높은 흡유량의 저감 효과를 보였다. 또한, HPMC의 함유 농도가 증가할수록 흡유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 도 1은 HPMC의 함유 농도(0.5, 1.5, 3.0, 5.0%(w/w)) 및 자체점도(CN100, CN4000, CN100000)가 증가함에 따른 흡유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실험예 2: 유탕면의 유리지방산 함량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12가지 유탕면의 유리지방산 함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유탕면의 유리지방산 함량은 'Versantvoort, C. H., Oomen, A. G., Van de Kamp, E., Rompelberg, C. J., & Sips, A. J. Applicability of an in vitro digestion model in assessing the bioaccessibility of mycotoxins from food.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3(1), 2005, 31-40.' 및 'Hur, S. J., Lim, B. O., Park, G. B., & Joo, S. T. Effects of various fiber additions on lipid digestion during in vitro digestion of beef patties. Journal of food science, 74(9), 2009, C653-C657.'의 방법을 변형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지방 소화에 따른 유리지방산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실험에 사용한 샘플의 양은 대조군(control) 5 g의 흡유량과 동일하게 조정하였다. 또한, 십이지장액은 1 L 증류수에 판크레아틴(pancreatin) 9.0 g, BSA(bovine serum albumin) 1.0 g, 리파아제(lipase) 1.5 g 를 녹여 pH 8.1±0.2로 조정하여 제조하였다. 담즙액은 1 L 증류수에 BSA 1.8 g, 담즙산 3.0 g를 녹여 pH 8.2±0.2로 조정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십이지장액과 담즙액은 2시간 동안 균질화 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12가지 유탕면은 각각 끓는 물 50 ml에서 3분간 끓여주었다. 그 후, 소장에서의 조건과 같이 십이지장액 12 ml, 담즙액 6 ml를 혼합하여, 상기 유탕면에 가한 후, 37℃, 100 rpm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유리지방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HPMC의 함유 농도가 높을수록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PMC의 점도에 따라서는, 대조군 > CN100 > CN4000 > CN100000 순으로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도 2는 HPMC의 함유 농도(0.5, 1.5, 3.0, 5.0%(w/w)) 및 자체점도(CN100, CN4000, CN100000)가 증가함에 따른 유리지방산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로부터, HPMC의 점도가 높을수록 지방 소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고, HPMC가 물리적 장벽 역할을 하여 효소적 가수분해를 저해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HPMC의 점도가 흡유량과 지방 소화 억제에 주요한 요인인지 확인하고자, 하기 실험에서 겉보기 점도 효과를 확인해 보았다.
[ 실험예 3: 조리 적정 시간 및 파괴응력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12가지 유탕면의 조리 적정 시간(optimum cooking time) 및 파괴응력(breaking stress)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유탕면의 조리 적정 시간은 'Oh, N. H., Seib, P. A., Deyoe, C. W., & Ward, A. B. Noodles. I. Measuring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cooked noodles. Cereal Chemistry. 62(6), 1983, 431-436.'의 방법에 따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250 ml의 끓는 물이 든 비커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12가지의 유탕면 각 8 g을 넣어 삶았다.
적정 시간은 두 개의 슬라이드 글라스 사이에 상기 삶은 유탕면을 눌렀을 때 하얀 부분이 사라지고 완전히 투명해지는 지점의 시간을 확인하는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유탕면의 파괴응력은 'Oh, N. H., Seib, P. A., Deyoe, C. W., & Ward, A. B. Noodles. I. Measuring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cooked noodles. Cereal Chemistry. 62(6), 1983, 431-436. Oh, N. H., Seib, P. A., Ward, A. B., & Deyoe, C. W. Noodles IV. Influence of flour protein, extraction rate, particle size, and starch damag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y noodles. Cereal Chem, 62(6), 1985, 441-446.' 및 'Park, C. S., Hong, B. H., & Baik, B. K. Protein quality of wheat desirable for making fresh white salted noodles and its influences on processing and texture of noodles. Cereal chemistry, 80(3), 2003, 297-303.'의 방법을 사용하여 텍스쳐 아날라이져(texture Analyzer, TA-XT2i, Stable Micro System, Haslemere, U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test speed', 'post-test speed'는 각 2.0, 10.0 mm/s, 'trigger type'은 'bottom', 테스트 모드(test mode)는 'compression'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HPMC 함유 농도(%,w/w) 조리 시간(min) 파괴응력(g force)
대조군 0.0 6.03±0.17a 1287.60±49.58a
CN100 0.5 6.00±0.30a 1196.93±42.94a
1.5 6.00±0.25a 1150.30±171.92a
3.0 6.25±0.25a 1194.25±248.53a
5.0 6.33±0.14a 1321.10±054.39a
대조군 0.0 6.03±0.17d 1287.60±49.58d
CN4000 0.5 6.61±0.51cd 1335.95±53.68cd
1.5 7.25±0.66c 1425.35±49.87c
3.0 8.22±0.50b 1742.63±76.67b
5.0 10.08±0.22a 1915.85±129.39a
대조군 0.0 6.03±0.17e 1287.60±49.58d
CN100000 0.5 7.00±0.33d 1350.55±58.42d
1.5 8.19±0.38c 1778.28±69.48c
3.0 9.08±0.36b 2014.98±57.15b
5.0 12.00±0.22a 2512.63±139.96a
주) 같은 열(colum)에서 다른 문자를 갖는 수치는 유의적으로 다름을 의미한다(p < 0.05).
실험결과, 적정 조리 시간은 HPMC 점도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CN100을 함유한 유탕면의 경우 농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CN4000을 함유한 유탕면의 경우 1.5%(w/w) 농도부터 유의적으로 조리 시간이 증가하였으며, CN100000을 함유한 유탕면의 경우에는 0.5%(w/w) 농도부터 조리 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파괴응력은 적정 조리 시간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CN100을 함유한 유탕면에서는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 없이 모두 대조군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고, CN4000을 함유한 유탕면 및 CN100000을 함유한 유탕면에서는 1.5%(w/w) 농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실험예 4: 동일한 겉보기 점도를 가진 유탕면의 제조]
본 실험예에서는 동일한 겉보기 점도를 가지는 유탕면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HPMC 자체점도가 각각 100 mPa·s, 4000 mPa·s, 100000 mPa·s인, CN100, CN4000, CN100000을 하기 표 3에 표시된 각각 농도로 각각 밀가루에 첨가하여, 전단 속도(shear rate) 50 s-1에서 겉보기 점도 '1 Pa·s' 또는 '10 Pa·s'가 되도록 유탕면을 제조하였다. 하기 실험에서는 '1 Pa·s'을 낮은 겉보기 점도, '10 Pa·s'을 높은 겉보기 점도로 기재하였다.
이때, 유탕면의 겉보기 점도는 유탕면을 분쇄(grinding)하여 100 메시(mesh) 체에 거른 후, 'controlled strain rheometer'로 측정하였으며, 전단 속도(shear rate) 0.1~100 s-1, 'power law model'을 이용하였다.
HPMC CN 유형 CN100 CN4000 CN100000
점도(mPa·s) 100 4000 100000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 DP) 216 556 1229
낮은 겉보기 점도(Low apparent viscosity) 면에서의 첨가 농도(w/w) 1.5 0.70 0.44
50s-1 에서 겉보기 점도(Pa·s) 0.803±0.01a 1.003±0.02a 1.074±0.01a
높은 겉보기 점도 (High apparent viscosity) 면에서의 첨가 농도(w/w) 3.00 1.96 1.75
50s-1 에서 겉보기 점도(Pa·s) 9.917±0.15a 9.375±0.24a 9.062±0.12a
주) 같은 행(row)에서 다른 문자를 갖는 수치는 유의적으로 다름을 의미한다(p < 0.05).
[ 실험예 5: 동일한 겉보기 점도를 가진 유탕면의 흡유량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동일한 겉보기 점도(낮은 겉보기 점도, 높은 겉보기 점도)를 가지는 유탕면의 흡유량을 측정하여, HPMC 자체의 점도가 흡유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흡유량은 상기 실험예 4에서 제조된 유탕면을 각각 분쇄(grinding)하여 100메시(mesh) 체에 거른 후, 미국 공인분석화학회(AOAC, 2005) 방법에 따라 에테르를 사용한 속슬렛(Soxhlet) 추출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낮은 겉보기 점도'에서는 대조군과 CN100을 함유하는 유탕면, CN4000을 함유하는 유탕면은 흡유량 차이가 없었고, CN100000을 함유하는 유탕면에서는 흡유량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높은 겉보기 점도'에서는 CN4000을 함유하는 유탕면 및 CN100000을 함유하는 유탕면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흡유량 저감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 DP) 값이 높은 HPMC일수록 우수한 흡유량 감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즉, 동일한 겉보기 점도에도 불구하고, CN100000을 함유하는 유탕면의 흡유량 저감 효과가 다른 것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높은 중합도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론된 것이다.
따라서, 흡유량은 유탕면 자체의 겉보기 점도보다 HPMC 자체의 점도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결론내릴 수 있었다(도 3). 도 3은 유탕면의 겉보기 점도(낮은 겉보기 점도, 높은 겉보기 점도)가 동일할 때, HPMC의 자체점도(CN100, CN4000, CN100000)의 변화에 따른 흡유량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0.05, **p<0.05, ***p<0.05).
[ 실험예 6: 동일한 겉보기 점도를 가진 유탕면의 유리지방산 함량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동일한 겉보기 점도(낮은 겉보기 점도, 높은 겉보기 점도)를 가지는 유탕면의 유리지방산 함량을 측정하여, HPMC 자체의 점도가 지방 소화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Versantvoort, C. H., Oomen, A. G., Van de Kamp, E., Rompelberg, C. J., & Sips, A. J. Applicability of an in vitro digestion model in assessing the bioaccessibility of mycotoxins from food.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3(1), 2005, 31-40.' 및 'Hur, S. J., Lim, B. O., Park, G. B., & Joo, S. T. Effects of various fiber additions on lipid digestion during in vitro digestion of beef patties. Journal of food science, 74(9), 2009, C653-C657.'의 방법을 변형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지방 소화에 따른 유리지방산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실험에 사용한 실험군 샘플의 양은 대조군(control) 5 g의 흡유량과 동일하게 조정하였다. 또한, 십이지장액은 1 L 증류수에 판크레아틴(pancreatin) 9.0 g, BSA(bovine serum albumin) 1.0 g, 리파아제(lipase) 1.5 g 를 녹여 pH 8.1±0.2로 조정하여 제조하였다. 담즙액은 1 L 증류수에 BSA 1.8 g, 담즙산 3.0 g를 녹여 pH 8.2±0.2로 조정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십이지장액과 담즙액은 2시간 동안 균질화 하였고, 실험예 4에서 제조된 유탕면은 끓는 물 50 ml에서 3분간 끓여주었다. 그 후, 소장에서의 조건과 같이 십이지장액 12 ml, 담즙액 6 ml를 혼합하여 상기 유탕면 샘플에 가한 후, 37℃, 100 rpm 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유리지방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낮은 겉보기 점도에서는 HPMC 자체의 점도에 따라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적으로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함량이 감소하였다. 높은 겉보기 점도에서도 유의적으로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대조군 > CN4000 = CN100 > CN100000 순으로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때, CN100000을 함유한 유탕면은 낮은 겉보기 점도 및 높은 겉보기 점도 모두에서 유리 지방산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지방 소화 저해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도 4). 도 4는 유탕면의 겉보기 점도(낮은 겉보기 점도, 높은 겉보기 점도)가 동일할 때, HPMC의 자체점도(CN100, CN4000, CN100000)의 변화에 따른 유리지방산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p<0.05, **p<0.05, ***p<0.05).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겉보기 점도보다 HPMC 자체의 점도가 지방 소화 억제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 실험예 7: 동일한 겉보기 점도를 가진 유탕면의 지방구 크기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험예 4에서 제조한 동일한 겉보기 점도를 가지는 유탕면을 사용하여 지방구 크기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소화 전·후 지방의 지방구 크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6의 소화 전·후 지방을, 'Nile red' 및 '488-nm argon laser line'을 사용하여,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y)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핀홀 사이즈(pinhole size)는 95.54 ㎛였다.
실험결과, 지방구의 사이즈는 지방 소화 전과 비교하여 소화 후에 더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만, HPMC 함유 유탕면과 비교해 볼 때, 대조군의 지방구 사이즈가 더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N100과 CN4000을 함유한 유탕면을 비교할 때, CN100을 함유하는 유탕면의 지방구 사이즈가 더 작았고, 높은 겉보기 점도에서보다 낮은 겉보기 점도에서 지방구 사이즈가 비교적 작았다(도 5). 도 5는 유탕면의 겉보기 점도(낮은 겉보기 점도, 높은 겉보기 점도)가 동일할 때, HPMC의 점도(CN100, CN4000, CN100000)의 변화에 따른 지방구 크기를 촬영한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y) 사진이다(1024 x 1024 픽셀, 픽셀 사이즈는 246.03 nm).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유탕면에서 HPMC 자체의 높은 점도가 지방 소화율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 실험예 8: 동일한 겉보기 점도를 가진 유탕면의 조리 적정 시간 및 파괴응력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험예 4에서 제조한 동일한 겉보기 점도를 가지는 유탕면의 조리 적정 시간(optimum cooking time) 및 파괴응력(breaking stress)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유탕면의 조리 적정 시간은 'Oh, N. H., Seib, P. A., Deyoe, C. W., & Ward, A. B. Noodles. I. Measuring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cooked noodles. Cereal Chemistry. 62(6), 1983, 431-436.'의 방법에 따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250 ml의 끓는 물이 든 비커에 상기 실험예 4에서 제조한 동일한 겉보기 점도를 가지는 유탕면 8 g을 각각 넣어 삶았다.
적정 시간은 두 개의 슬라이드 글라스 사이에 상기 삶은 유탕면을 눌렀을 때 하얀 부분이 사라지고 완전히 투명해지는 지점의 시간을 확인하는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유탕면의 또한, 유탕면의 파괴응력은 'Oh, N. H., Seib, P. A., Deyoe, C. W., & Ward, A. B. Noodles. I. Measuring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cooked noodles. Cereal Chemistry. 62(6), 1983, 431-436. Oh, N. H., Seib, P. A., Ward, A. B., & Deyoe, C. W. Noodles IV. Influence of flour protein, extraction rate, particle size, and starch damag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y noodles. Cereal Chem, 62(6), 1985, 441-446.' 및 'Park, C. S., Hong, B. H., & Baik, B. K. Protein quality of wheat desirable for making fresh white salted noodles and its influences on processing and texture of noodles. Cereal chemistry, 80(3), 2003, 297-303.'의 방법을 사용하여 텍스쳐 아날라이져(texture Analyzer, TA-XT2i, Stable Micro System, Haslemere, U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test speed', 'post-test speed'는 각 2.0, 10.0 mm/s, 'trigger type'은 'bottom', 테스트 모드(test mode)는 'compression'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조리 시간(min) 파괴응력(g force)
낮은 겉보기 점도(Low apparent viscosity)
대조군 6.03±0.18c 1287.60±49.58a
CN100 6.00±0.25c 1150.30±171.92a
CN4000 6.56±0.25b 1332.53±224.82a
CN100000 7.19±0.39a 1341.40±82.66a
높은 겉보기 점도(High apparent viscosity)
대조군 6.03±0.18b 1287.60±49.58c
CN100 6.25±0.25b 1194.25±248.53c
CN4000 7.78±0.35a 1569.33±173.07b
CN100000 8.17±0.34a 1885.58±140.02a
주) 같은 열(colum)에서 다른 문자를 갖는 수치는 유의적으로 다름을 의미한다(p < 0.05).
실험 결과, 낮은 겉보기 점도 및 높은 겉보기 점도 모두에서, DP 값이 높은 CN100000 샘플이 낮은 샘플보다 적정 조리 시간이 유의적으로 길게 나타났다. 다만, CN100을 함유하는 유탕면의 경우에는, 낮은 겉보기 점도와 높은 겉보기 점도 모두에서 대조군과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상기 실험을 통해, 조리 시간이 HPMC 자체의 점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파괴응력은 HPMC 자체의 점도와 상관없이 낮은 겉보기 점도에서는 모두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높은 겉보기 점도에서는 CN4000을 함유하는 유탕면 및 CN100000을 함유하는 유탕면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파괴응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HPMC 자체의 높은 점도가 높은 겉보기 점도에서 유탕면의 파괴응력 증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Claims (4)

  1. 밀가루 혼합물을 함유하는 면 반죽으로부터 면을 제조한 후, 기름으로 튀겨 제조되되,
    상기 밀가루 혼합물은 밀가루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MC 함유 유탕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가루 혼합물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0.1~1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MC 함유 유탕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는,
    4,000~100,000 mPa·s의 점도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MC 함유 유탕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은,
    튀기기 전, 2~8분간 스팀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MC 함유 유탕면.
PCT/KR2016/002307 2015-03-31 2016-03-09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함유하는 유탕면 WO201615952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750A KR101840845B1 (ko) 2015-03-31 2015-03-31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함유하는 유탕면
KR10-2015-0044750 2015-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9529A1 true WO2016159529A1 (ko) 2016-10-06

Family

ID=5700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2307 WO2016159529A1 (ko) 2015-03-31 2016-03-09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함유하는 유탕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0845B1 (ko)
WO (1) WO201615952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0573A (en) * 1988-06-17 1990-02-13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of inhibiting oil adsorption in coated fried foods using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US6042866A (en) * 1994-02-07 2000-03-28 Nestec S.A. Preparation of instant fried noodles
KR20120020160A (ko) * 2009-05-18 2012-03-07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튀긴 식품의 오일 흡수를 감소시키는 방법
KR20120091856A (ko) * 2011-02-10 2012-08-20 안동시 마를 이용한 국수 또는 수제비용 반죽조성물
KR20140082473A (ko) * 2012-12-24 2014-07-02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냉동튀김식품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859B1 (ko) 2010-02-22 2012-07-24 주식회사농심 지방이 저감화된 유탕면의 제조 방법
KR101477269B1 (ko) 2013-08-09 2014-12-2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사과 분말 함유 유탕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0573A (en) * 1988-06-17 1990-02-13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of inhibiting oil adsorption in coated fried foods using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US6042866A (en) * 1994-02-07 2000-03-28 Nestec S.A. Preparation of instant fried noodles
KR20120020160A (ko) * 2009-05-18 2012-03-07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튀긴 식품의 오일 흡수를 감소시키는 방법
KR20120091856A (ko) * 2011-02-10 2012-08-20 안동시 마를 이용한 국수 또는 수제비용 반죽조성물
KR20140082473A (ko) * 2012-12-24 2014-07-02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냉동튀김식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845B1 (ko) 2018-03-22
KR20160117732A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yashita et al. Consumption of a buckwheat protein extract retards 7, 12-dimethylbenz [α] anthracene-induced mammary carcinogenesis in rats
CN104366374B (zh) 一种马铃薯馒头及其制备方法
CN104146020B (zh) 改善无面筋蛋白面团发酵性能及营养特性的方法
CN104381921B (zh) 一种马铃薯发糕及其制备方法
KR20140052970A (ko) 메트포르민 및 dpp-4 억제제 또는 sglt-2 억제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N104365733B (zh) 一种马铃薯膳食纤维面包及其制作方法
JPS58107147A (ja) 無加熱米粉−含有組成物
EP1481684A1 (en) Remedies for liver diseases, hyperlipemia and diabetes
CN104430707B (zh) 一种全薯类无明矾油条及其制备方法
CN104366378B (zh) 一种由全薯制备的烤馕及其制备方法
CN104365732A (zh) 富含甘薯膳食纤维的面包及其制作方法
CN104431750A (zh) 一种全薯类馒头及其制备方法
WO2016159543A2 (ko) 기름에 튀기지 않은 즉석 복원 용기형 건조면의 제조방법
CN104366364B (zh) 一种马铃薯渣无面筋蛋白饺子皮及其加工方法
WO2013042872A2 (ko) 인산염 무첨가 육가공 제품 및 그 제조방법
CN104366365A (zh) 一种全薯类饺子皮及其制作方法
WO2016159529A1 (ko)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함유하는 유탕면
JP2008029354A (ja) 機能性食品、当該機能性食品における添加物及び当該食品添加物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並びに、当該食品添加物の製造方法
JP5128983B2 (ja) アンギオテンシン変換酵素阻害ペプチド
CN109925287A (zh) 一种盐酸赛庚啶片剂及其制备方法
CN102260469A (zh) 一种装裱稀糊的制备方法
CN104366376A (zh) 一种全薯类花卷及其制备方法
TWI610681B (zh) 一種黑蒜頭之抗血色素糖化及降血糖萃取物之製作方法
CN110583786A (zh) 一种猴头菇营养粉及其制备方法
AL‐Ansi et al. Effect of kidney bean extract on phytohaemagglutinin activity, functional properties, and the estimated glycaemic index in‐vit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733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733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