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05114A1 -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 Google Patents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05114A1
WO2016105114A1 PCT/KR2015/014164 KR2015014164W WO2016105114A1 WO 2016105114 A1 WO2016105114 A1 WO 2016105114A1 KR 2015014164 W KR2015014164 W KR 2015014164W WO 2016105114 A1 WO2016105114 A1 WO 20161051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ser
shoulder
neck pillow
sacral therap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41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아이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아이, 김희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아이
Publication of WO20161051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051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는, 사용자의 어깨 위에 올려진 어깨누름부; 상기 어깨누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감싸는 후방지지부; 및 상기 후방지지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상부경추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사용자의 후두기저를 자극하여 근막이완을 유도하는 자극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자극돌기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자극돌기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통풍 골(groove) 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본 발명은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후두골하부(suboccipital, C0)와 상부경추(C1, C2, C3)를 자극하여 후두기저(occipital cranial base; OCB)의 근막이완을 유도하는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에 관한 것이다.
두개천골 요법(Cranio Sacral Therapy - CST)은 미국에서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이미 1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치료방법이다. 두개천골 요법은 중추신경계의 막성장애로 인한 뇌척수액 순환저하로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를 치료할 수 있다.
뇌척수액의 정상적인 순환은 분당 8 -12회 주기로 굴곡(흡기, 외회전)과 신전(호기, 내회전)패턴으로 순환(굴곡, 신전 1회 주기 6-9초)하며, 뇌척수액 전신 1회순환 주기는 시간당 6-7시간정도이며, 1일 4-5회 순환하고 1일 생성량은 500cc이다.
뇌척수액(CSF)의 정상적 흐름은 중추신경계인 뇌와 척수를 감싸고 있는 막의 긴장을 완화하고 나아가 외부에 모든 조직이 연결되어 있는 근막의 긴장도를 완화함으로써 전신의 모세혈관과 세포 수준까지 모든 순환능력을 증진시켜 주고, 자가 치유 면역 시스템을 가동시켜준다.
두개천골 요법은 두개골과 천골을 5 그램 정도의 미세한 손으로 터치하여 제한된 뇌내막과 경막을 이완하여 뇌척수액의 흐름 주기를 정상적인 균형을 맞추어주는 치료방법이다.
뇌척수액의 균형은 두통, 후경부 근육긴장, 뒷목의 뻣뻣함과 어깨근육통, 발열, 급 만성 근골격계 질환, 요통, 퇴행성관절염, 대뇌울혈(cerebral congestion)과 폐울혈(pulmonary congestion) 그리고 부종 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두개천골 요법을 시술받기 위해서는 시간과 비용을 많이 들여 전문 시술사를 찾아야 하는 문제가 있어 바쁜 현대인들에게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을 때도 사용자가 편하게 쉴 수 있는 목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차량, 사무실, 항공기 등에서 휴식을 취할 때 심신을 더욱 편안하게 이완해주는 것이다.
셋째, 전문 기술이 없어도, 후두 기저 지압법(Occipital cranial base reaease) 을 자신에게 시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는, 사용자의 어깨 위에 올려진 어깨누름부; 상기 어깨누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감싸는 후방지지부; 및 상기 후방지지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상부경추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사용자의 후두기저를 자극하여 근막이완을 유도하는 자극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자극돌기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자극돌기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통풍 골(groove) 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는, 사용자의 어깨 위에 올려진 어깨누름부; 상기 어깨누름부로 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 상기 후두부 지지부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 양 옆을 압박하는 제4뇌실 압박돌기; 및 복수의 산과 상기 복수의 산들 사이에 통풍을 유도하는 골이 형성되고, 상기 후두부 지지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감싸는 경추 지지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좌석에 앉아 두개천골 요법을 시술 받을 수 있다.
둘째, 좌석에 앉은 상태에서 스스로 두개천골 요법을 시술 받을 수 있어 짧은 시간 동안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고, 빠른 에너지 회복에 도움을 준다.
셋째, 신체를 자주 이완시켜줄 수 있고, 일회 구입으로 일상 생활에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며 두개천골 요법을 시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뇌척수액의 순환을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도2(a)는 굴곡주기일 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고, 도2(b)는 신전주기일 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다.
도 3(a)은 굴곡주기일 때 후두부의 이완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신전주기일 때 후두부의 수축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4는 제 4뇌실 압박법(CV4)의 시술방법을 표현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와 후두부의 접촉 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저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저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측면도이다.
도15(a)는 목덜미와 후두기저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고, 도15(b)는 경막과 연결된 소후두직근 및 상부경추를 표시한 것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배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측면도이다.
도21(a) 및 도21(b)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활용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에는 성인의 두개골(45)은 굳어져 석회화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골(45)은 굳어진 상태로 서로 융합되어 움직임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졌었다. 그러나 두개골(45)은 미세하게 움직이며 천골(40)(꼬리표 위쪽)의 움직임과 더불어 인체의 뇌척수액순환에 영향을 주고받는다. 두개천골 요법은 두개골(45)의 움직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도1은 뇌척수액의 순환을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도2(a)는 굴곡주기일 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45)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고, 도2(b)는 신전주기일 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45)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다. 도3(a)는 굴곡주기일 때 후두부의 이완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신전주기일 때 후두부의 수축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4는 제 4뇌실 압박법(CV4)의 시술방법을 표현한 것이다.
도1내지 도4를 참조하면, 두정골(51)(parietal bone)은 뇌가 들어있는 두개골의 뒤쪽 위를 덮고 있는, 사각형의 편평한 뼈이다. 두정골(51)은 모두 2개이며 바깥쪽으로 각각 튀어나와 있다. 2개의 두정골(51)은 시상봉합(56)으로 접해있다. 두정골(51)은 인자봉합(55)으로 후두골(53)에 연결된다. 측두골(52)은 측두부에 배치된다. 두개골(45)은 단단한 구조물이 아닌 뇌척수액의 생성시 확장되는 굴곡주기와 생성이 멈출 시에 수축하는 신전주기를 표현하는 유연성을 갖는 조직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두개골(45)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할 수 있다. 두개천골 리듬(Craniosacral rhythm)은 스트레스나 면역력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건강한 사람의 두개천골 움직임은 굴곡과 신전이 8-12회 주기로 매우 안정되어 있다.
굴곡(flexion, expansion)은 확장 혹은 팽창에 해당한다. 두개천골 리듬은 손으로 감지할 수 있다. 손에 전달되는 굴곡의 느낌은 '부풀어 오르는 느낌' 또는 '몸 전체가 바깥으로 회전하며 넓어진 느낌'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외회전'이라고도 불린다.
신전(extension, compression)은 굴곡과 반대의 개념 혹은 반대의 느낌이다. 신전은 수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전은 '깊숙이 빨려들어 가는 느낌'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전은 몸 전체가 안쪽으로 회전하며 좁아지는 느낌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신전은 '내회전' 이라고도 불린다.
두개천골 움직임의 주기는 '굴곡'과 '신전' 또는 '확장'과 '수축'의 두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굴곡과 신전 사이는 '중립지점'이라 할 수 있다. 인체는 중립지점에서 정지되는 느낌과 더불어 긴장이 풀리게 되는 '이완'의 상태에 놓이게 된다. 굴곡과 신전의 주기는 일정하며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과 신전의 주기가 다르거나 불일치하면 신체에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굴곡주기와 신전주기는 뇌척수액(CSF; cerebrospinal fluid)의 순환으로 비롯된다. 뇌척수액은 뇌실(ventricular)에서 만들어진다. 뇌실은 인간의 뇌 내부에 있는 공간을 말하며 뇌실막에 싸여있다. 뇌실은 측 뇌실, 제3뇌실, 제4뇌실(60)의 세 가지가 있다. 측 뇌실은 좌우 2개가 있으며, 제3뇌실과 제4뇌실(60)은 각각 하나씩 있어 모두 4개의 뇌실이 뇌실계를 구성한다.
측 뇌실은 대뇌 내부에 있는 공간으로 좌우 2개(제1뇌실, 제2뇌실)가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뇌실 사이 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제3뇌실과도 연결된다. 제3뇌실은 뇌실 사이 구멍을 통해 측뇌실과 교통하며, 중간뇌수도관을 통해 제4뇌실(60)과 연결된다. 제4뇌실(60)은 중간뇌수도관을 통해 제3뇌실과 교통하며 이곳에서 정중 구멍(마장디공) 또는 측 구멍(루시카공)을 통해 거미막 밑 공간(지주막 하강)과 교통하기도 한다. 제4뇌실(60)은 소뇌와 뇌줄기로 둘러싸여 있다. 제4뇌실(60)에서는 뇌척수액이 척수 내의 중심관을 통해 척수로 내려가거나 정중 구멍 또는 측구멍을 통해 뇌의 바깥으로 나가 뇌 주위를 순환하게 된다.
뇌실의 내부에는 맥락얼기(맥락 총)라는 구조물이 있는데, 이것이 뇌척수액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맥락얼기가 하루에 생산하는 뇌척수액의 양은 500ml 정도이며 결과적으로 뇌실 내부는 항상 뇌척수액으로 가득 차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뇌척수액은 매일 일정한 양이 만들어지고 같은 양이 없어져서 결과적으로 뇌실 내의 뇌척수액은 항상 같은 양을 유지하게 된다. 뇌척수액은 거미막(지주막)과 연질막(연막) 사이에서 순환하며 완충작용을 한다. 뇌실은 뇌척수액의 생성, 저장 및 순환에 기여함으로 궁극적으로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우선, 두개천골 요법에 대해 설명한다.
두개천골계에 비생리적인 움직임을 일으키기 위해 많은 힘은 가하지 말아야 한다. 두개천골계에 접촉하는 힘은 크기는 4~5g 정도이며, 이런 적은 힘으로 접촉하는 목적은 두개골(45)의 움직임이 스스로 새로운 경로를 찾아 움직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새로운 경로 발견은 새로 추가된 운동성과 자유로운 움직임을 일으킨다. 두개천골 요법 중 피시술자의 후두부에 테크닉을 적용함으로써 스틸 포인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CV4 및 EV4테크닉이라 한다.
제4뇌실압박법 즉, CV4테크닉(4th Ventricular Compression Variation, CV-4 Technique)은 후두부의 외후두 융기 양 옆(54a)을 압박해주는 방법이다. CV4는 스틸 포인트 촉진을 위한 한 방법으로, 뇌실의 압박 또는 좁힘을 말한다.
CV4테크닉은 굴곡주기에서 리듬을 저항하여 스틸 포인트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척수의 압력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후두린의 능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두개골(45)내 척추의 압력은 증가되며 뇌척수액은 모든 다른 가능한 경로로 방향을 돌린다. 이로인해 CV4테크닉은 뇌척수액의 움직임을 촉진하며 교환한다.
참고로, 제4뇌실확장법 즉, EV4테크닉(Expansion of 4th Ventricle)은 신전주기에서 스틸 포인트를 유도하는 방법이다. 제4뇌실확장법은 후두부의 외후두 융기(54)를 압박해주는 방법이다. 외후두 융기(54)(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는 후두골(53)의 뒤쪽을 차지하는 커다란 후두린(squama)의 한가운데서 가장 돌출한 부위이다. EV4는 신전주기에 해당하며, 내회전을 통해 손가락으로 외후두 융기(54)가 돌출되는 것을 압박을 통해 저항하여 두개골(45) 내의 제4뇌실(60)을 확장시킨다.
제4뇌실압박법 및/또는 제4뇌실확장법을 통해 전체적 두개천골계의 움직임은 없어져 완전히 정지된 상태가 된다. 이것을 스틸 포인트(still-point)라고 한다. 스틸 포인트는 제4뇌실(60)의 압박 및/또는 확장에 의해 반강제적으로 이루어진다.
두개천골계는 경련이나 박동 또는 흔들리는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는데, 제4뇌실(60)의 압박 및/또는 확장에 의해 저항을 시도하면 두개천골계의 활동은 결국 순간적으로 중지한다. 즉 스틸 포인트가 발생한 것이다. 이 스틸 포인트가 발생할 때 피시술자는 몇 가지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스틸 포인트 상태에 도달하면 피시술자는 예전에 발생한 허리의 통증이 다시 발생하거나 또는 비활동적인 예전의 여러 통증들이 재발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피시술자는 호흡이 변화하고 가볍게 이마에 땀을 흘리기도 한다.
스틸 포인트 과정 중에는 인체는 이완되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앞에서 발생한 통증은 서서히 사라진다. 그리고 허리와 골반부위의 천장골 체성 기능장애는 자연스럽게 교정되기 시작한다. 어떤 때에는 '딱'하는 소리가 나면서 관절이 교정된다. 이어서 피시술자의 호흡도 안정되고 긴장된 근육들은 이완되기 시작한다. 이 스틸 포인트는 짧으면 몇 초에서 길면 몇 분까지 유지된다. 스틸 포인트 현상이 끝나면 두개천골계의 움직임이 다시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관찰하여 보면 대칭적으로 그리고 증가된 움직임의 진폭이 감지된다. 스틸 포인트가 끝나고 두개천골계의 활동이 호전되고 움직임이 대칭적으로 복원된다. 스틸 포인트는 두개천골계 활동을 원활히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인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를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와 후두부의 접촉 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도5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는, 사용자의 어깨 위에 올려진 어깨누름부(10); 어깨누름부(10)로 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20); 및 후두부 지지부(20)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54) 주변을 압박하는 제4뇌실 압박돌기(21)를 포함한다.
어깨누름부(10)는 사용자의 어깨 및 사용자의 목 주변을 감싼다. 어깨누름부(10)는 사용자의 후두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후두부 지지부(20)는 어깨누름부(1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후두부와 마주하는 면에 배치된다. 사용자를 중심으로 어깨누름부(10)는 사용자의 측방에, 후두부 지지부(20)는 사용자의 후방에 배치된다. 후두부 지지부(20)는 사용자의 후두부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4뇌실 압박돌기(21)는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54) 주변을 압박한다. 제4뇌실 압박돌기(21)는 후두부의 외후두 융기(54) 근방을 앞박하여 스틸 포인트를 촉진한다. 후두부 지지부(20)는,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54)가 수용되는 수용홈(23)을 형성하고, 제4뇌실 압박돌기(21)는, 수용홈(23)의 좌우 측에 각각 형성된다.
수용홈(23)은 후방 중앙에 형성된다. 수용홈(23)의 근방에는 제4뇌실 압박돌기(21)가 형성된다. 수용홈(23)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4뇌실 압박돌기(21)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4뇌실 압박돌기(21) 사이는 상대적으로 제4뇌실 압박돌기(21)에 비하여 함몰된 형상이 된다. 이 경우, 제4뇌실 압박돌기(21)로 인하여 수용홈(23)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저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측면도이다.
도 7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어깨누름부(10)는, 사용자의 어깨가 삽입되는 어깨삽입부(11)를 형성한다. 어깨삽입부(11)는, 사용자의 승모근과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어깨삽입부(11)는 어깨누름부(10)의 하측에 형성된다. 어깨삽입부(11)는 사용자의 목에서 팔의 위 끝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형성되거나, 어깨삽입부(11)의 깊이가 점점 낮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어깨삽입부(11)는 사용자의 어깨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며, 승모근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게 된다.
후두부지지부는, 전면은 제4뇌실 압박돌기(21)를 형성하고, 후면은 경사면(25)이 형성된다. 경사면(25)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밀착되면 어깨누름부(10)가 숙여지도록 형성된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를 베고 좌석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좌석의 등받이에 기대면 경사면(25)은 등받이와 밀착된다. 경사면(25)의 경사도 또는 경사 방향으로 인해 어깨누름부(10)의 기울어진 방향 또는 기울어짐도 달라진다.
바람직하게는, 경사면(25)의 경사 방향은 어깨누름부(10)가 사용자의 어깨를 누르도록 하는 것이다. 어깨누름부(10)는 어깨삽입부(11)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어깨를 균일한 압력으로 지긋이 누르므로 사용자는 안정감과 포근함 속에서 휴식을 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는, 후두부 지지부(2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감싸는 경추 지지부(27)를 더 포함한다.
후두부 지지부(20)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경추 지지부(27)는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한다. 경추 지지부(27)는 사용자의 경추 둘레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다.
경추 지지부(27)는, 복수의 산(13)과 복수의 산(13)들 사이에 통풍을 유도하는 골(14)을 형성한다. 경추 지지부(27)가 사용자의 목에 밀착되면 통풍이 되지 않아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산(13)과 골(14)을 형성하여 통풍을 유도한다. 복수의 산(13)은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고, 복수의 골(14)은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저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에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어깨누름부(10)는, 사용자의 머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벽(28)을 형성한다.
지지벽(28)은 어깨누름부(10)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머리 주변을 감싸는 형상이다. 즉, 후두부 지지부(20)가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한다면, 지지벽(28)은 사용자의 측두부가 사용자의 어깨를 향해 기울어질 경우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벽(28)은, 사용자의 후방에서 사용자의 전방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감소한다.
지지벽(28)은 전방으로 향할 수록 높이가 낮아지므로 사용자의 전방 시야 차단을 최소화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깨누름부(10)에 의해 어깨가 눌려지는 상황이라도 전방 시야가 개방되어 답답함을 느끼지 않게 된다. 어깨누름부(10)는 사용자의 전방에 형성된 양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형상이고, 어깨누름부(10)의 양 단부는, 사용자의 턱과 간섭을 방지하도록 경사진 걸림방지면(29)이 형성된다.
지지벽(28)은 사용자의 머리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30)이 형성된다. 걸림턱(30)은 지지벽(28)에 형성된다. 스틸 포인트 유도를 위해 제4 뇌실 압박돌기(21)는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54) 주변을 소정 시간 압박해야 하므로, 사용자는 후두부 지지부(20)에 후두부를 맞대고 기대어 있어야 한다.
걸림턱(28)은 사용자가 후두부를 후두부 지지부(20)에 맞대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 없이 자세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즉, 걸림턱(28)은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벽(28)을 타고 구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걸림턱(28)은 사용자가 올바른 위치에 후두부를 둘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걸림턱(28)은 제4뇌실 압박돌기(21)의 좌우 방향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좌우 각각 형성된 걸림턱(28) 사이에 후두부를 안치할 수 있다. 걸림턱(28)으로 인해 사용자는 올바른 자세, 즉 외후두 융기(54) 주변이 제4뇌실 압박돌기(21)와 마주하는 위치임을 인식할 수 있다.
도15(a)는 목덜미와 후두기저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고, 도15(b)는 경막과 연결된 소후두직근 및 상부경추를 표시한 것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상측 사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16 내지 도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는, 사용자의 어깨 위에 올려진 어깨누름부(110); 어깨누름부(110)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감싸는 후방지지부(120); 및 후방지지부(120)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상부경추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자극돌기(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는, 사용자의 어깨 위에 올려진 어깨누름부(110); 어깨누름부(110)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감싸는 후방지지부(120); 및 후방지지부(120)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상부 승모근과 맞닿는 부분에서부터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의 상부경추까지 연장형성된 자극돌기(130)를 포함한다.
어깨누름부(110)는 사용자의 승모근 위에서부터 사용자의 전방을 향해 연장형성된다. 어깨누름부(110)는 어느 정도 중량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눌러준다. 이와 같은 중량감은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준다.
후방지지부(120)는 어깨누름부(110)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감싸는 부분이다. 상부경추는 두개골보다 의자의 등받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의자로서는 지지할 수 없다. 후방지지부(120)는 일면은 의자의 등받이와 맞닿고, 그 반대면은 사용자의 경추(특히 상부경추)를 지지한다.
자극돌기(130)는 후방지지부(120)에 돌출되어 상부경추를 지지하고, 목덜미를 지압한다.
자극돌기(130)는, 사용자의 후두기저(OCB)를 자극하여 근막이완을 유도한다. 자극돌기(13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전체적으로 자극한다.
자극돌기(130)는 사용자의 후두하부를 지지하며, 목근육을 지압한다. 자극돌기(130)후두융기와 마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자극돌기(130)는 뒷머리와 목의 경계지점인 후두골의 목덜미선(nuchal line)과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면서 후두기저(Occipital Cranial Base; OCB)와 상부경추(upper cervical;C1, C2, C3) 주변을 자극 및 이완시킨다. 또한, 자극돌기(130)는 후두골하부(suboccipital, C0)와 대응되는 곳에 형성되어, 후두하 근육과 근막(suboccipital muscle and fascia)을 자극 및 이완시킨다.
자극돌기(13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의 후두근 섬유를 자극한다. 후두근 섬유는 뭉치근육으로 14등분 되어 있으며, 강한 섬유질로 구성되어 있다. 후두근 섬유는 신체 장기계에서 보호를 필요로 하거나 치료를 받아야할 곳에 대한 경보시스템 구역이다. 후두골 섬유는 두개천골 호흡 메커니즘에 의해 특정 척추부분의 기능적인 면들이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것이 국소적으로 구조적 운동성을 저해하고, 뇌척수액(C.S.F)의 순환과 양도 억제한다.
복수의 자극돌기(130)는 통풍 골(131)에 의해 구분된다. 또한 자극돌기(130)의 상측(130a)은 융기부(140)로 인해 더욱 돌출되므로 후두기저 및 후두근 섬유에 대한 자극 효과가 증가한다.
자극돌기(130)는 후두기저(OCB)와 상부경추에 분포되어 있는 부교감신경을 활성화하여 스트레스로 인해 긴장되어 있던 교감신경의 기전을 정상적인 기전으로 만들어주어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이루게 함으로써 생체의 리듬과 에너지를 정상적인 상태로 만들어 준다.
자극돌기(130)는 후두기저(OCB)와 상부경추 주변의 목덜미 근육을 자극, 이완시켜 후두하부, 환추(경추1번)와 축추(경추2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자세의 교정, 목 디스크의 예방, 치료 효과를 유도한다. 또한, 자극돌기(130)는 경막(DM)과 후두하부의 근육의 긴장상태를 자극, 이완시킨다.
자극돌기(130)는, 사용자의 후두 기저에 존재하는 소후두직근(RCPM)을 자극할 수 있다. 소후두직근(RCPM)은 중추 신경계로 정적 또는 동적 고유수용체의 생체 되먹임(Biofeedback) 신호를 제공하며, 머리 움직임과 위치를 감지하고 주변 근육들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소후두직근(RCPM)이 이러한 근육과 경막(DM) 사이의 연결 조직 역할에 의해 경막(DM)의 긴장을 감지하고 조절한다.
소후두직근(RCPM)이은 뇌와 척수를 보호하는 경막(DM: Dura meter)에 강하게 붙어 있다. 자극돌기(130)는, 소후두직근(RCPM; Rectus Capitis Posterior Miner)에 지속적인 자극(지압력)을 주게 되므로, 감마신호 활동의 증가를 억제한다. 이로 인해, 서서히 근육이 이완될 것이며 주변 연부조직과 근막도 이완되어 적절한 운동과 자세를 조절해 줄 수 있다.
자극돌기(130)는 소후두직근 뿐 아니라, 후두기저(OCB)에 존재하는 다양한 혈을 자극하여 뇌빈혈, 뇌출혈, 뇌혈전, 신경쇠약, 뇌염증, 전신경련, 두통, 두풍, 현훈, 설인 신경마비, 언어장애, 대뇌발육부전, 뇌진탕후유증 개선에 도움을 준다.
자극돌기(130)의 길이는,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에서 경추 1번(C1)까지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자극돌기(130)의 길이는,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에서 경추 3번(C3)까지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자극돌기(130)는, 사용자의 상부 승모근과 맞닿는 부분에서부터 경추를 가로질러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와 맞닿는 부분까지 연장형성된다.
자극돌기(13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후두기저(OCB)에서부터 경추 3번(C3) 이상을 자극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자극돌기(130)의 하측(130b) 단부는 사용자의 승모근과 맞닿고 자극돌기(130)의 상측(130a) 단부는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와 맞닿는다. 다만, 돌출 정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자극돌기(130)는,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에서 경추 3번(C3)까지 마주하는 부분이 자극돌기(13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돌출형성될 수 있다. 자극돌기(130)는 승모근과 맞닿는 하측에서부터 후두기저(OCB)와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자극돌기(130)는 사용자의 목근육 상측에 더욱 강한 자극을 줄 수 있다. 자극의 증가는 목 근육과 경추의 이완을 더욱 촉진하여, 경추가 바른 자세를 잡고, 몸이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도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18을 참조하면, 자극돌기(130)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자극돌기(130)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통풍 골(131)(groove)이 형성된다.
통풍 골(131)은 복수의 자극돌기(130)들 사이에 형성된다. 통풍 골(131)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환기 통로를 형성하여 목덜미가 환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목덜미 부근에서 땀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장기간 본 발명에 의한 착석용 목 베개를 착용하더라도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통풍 골(131)은 사용자의 가시뼈 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중앙 골(133)과 중앙 골(133)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외곽 골(135)을 포함하고, 중앙 골(133)은 외곽 골(135)에 비하여 폭이 넓게 형성된다.
중앙 골(133)은 외곽 골(135)들에 비하여 폭이 넓으므로 통풍 정도가 더욱 증가한다. 또한, 자극돌기(130)가 가시뼈 돌기를 자극하지 않게 되어 상부 경추에 가하는 부담을 줄여준다.
도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배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측면도이다.
도19 및 도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는, 어깨누름부(110)의 상측에 형성되고, 자극돌기(130)와 근접할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융기부(140)를 더 포함한다.
융기부(140)는 자극돌기(130)의 상측(130a) 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융기부(140)는 자극돌기(130)의 상측(130a)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후방지지부(120)의 외측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된다. 다만, 융기부(140)는 자극돌기(13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부터 멀어질 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므로 후방지지부(120)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은 자극돌기(130)의 자극 정도를 더욱 높이는 효과와 함께, 사용자는 착석한 상태에서 목을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간섭 현상을 최소화 한다.
어깨누름부(110)는, 상측면이 사용자의 전방으로 향할수록 낮아지는 형상이다. 이는 사용자가 실제 착용한 경우 더욱 그렇게 된다. 즉, 이와 같은 형상은 어깨누름부(110)의 형상 자체의 높이가 전방이 낮거나, 어깨누름부(110)가 사용자의 전방으로 숙여지도록 제작되어 결과적으로 어깨누름부(110)의 전방 높이가 낮아진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은 후방지지부(120)가 사용자의 경추후방을 눌러 자극돌기(130)의 자극력을 증가시키고, 어께누름부(110)가 어깨 전방에 밀착되어 어께를 더욱 눌러주는데 기여한다.
어깨누름부(110)는, 사용자의 어깨에서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수록 상하방향 폭이 점점 증가한다. .
어깨누름부(110) 전방의 상하 방향 폭의 증가로 어깨누름부(110) 전방의 무게가 증가할 수 있다. 즉, 어깨누름부(110)의 전방이 숙여지는 결과 자극돌기(130)가 후두기저(OCB)를 향하여 상승할 수 있다. 즉 어깨누름부(110)의 중량 증가로 사용자의 어깨를 눌러 사용자가 보다 안정감 있게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더욱이 자극돌기(130)가 후두기저(OCB)와 대응하는 위치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된다.
어깨누름부(110)는, 사용자의 어깨가 삽입되는 어깨삽입부(111)를 형성한다. 어깨삽입부(111)는 사용자의 승모근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어깨삽입부(111)는 승모근의 형상과 유사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인체공학적 형상으로 인해 어깨누름부(110)는 사용자의 어깨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며, 고른 압력 분산으로 인해 오랫동안 목 베개를 착용하여도 불편함이 없게 된다.
도21(a) 및 도21(b)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의 활용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를 어깨에 걸치고 좌석에 앉는다. 그후, 어깨삽입부(11)에 어깨를 끼우고 등받이에 몸을 기댄다. 후두부 지지부(20)의 후면에 형성된 경사면(25)은 등받이에 접하게 되고, 경사면(25)의 경사로 인해 어깨누름부(10)는, 화살표 방향으로 사용자의 어깨를 지긋이 누르게 되어 심리적, 육체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후두부 지지부(20)의 전면에 형성된 제4뇌실 압박돌기(21)는 대략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후두 융기 양 옆(54a)을 압박해 스틸 포인트 유도한다.
한편, 경추 지지부(27)는 사용자의 경추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데 이 부분이 사용자의 경추를 눌러 주므로 사용자의 경추가 이완된다. 따라서 좌석에 장시간 앉아 일하는 사용자는 눌려진 경추를 이완시킬 수 있어 시원함과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를 통해 두개천골(14) 요법을 간단히 시술 받을 수 있음은 물론, 눌려진 경추를 스트레칭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벽(28)은 사용자의 목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걸림턱(30)은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를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극돌기(130)가 후두기저(OCB)를 자극하므로, 후두기저(OCB) 와 상부경추에 분포되어 있는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스트레스로 인해 긴장상태이던 교감신경의 기전을 정상적 기전으로 회복시키고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이루게 함으로써 생체 리듬과 에너지를 정상 상태로 회복시키게 된다.
또한, 목 움직임 제한, 뒷목 결림이 해소되며, 경추부의 관절과 후두하부 근육군의 근막통이 해소되어 두통이 완화된다. 또한, 일자목(Straight neck), 거북이목(Turtle neck), 흉추 후만증(Kyphosis), 요추 전만증(Lordosis), 기능적 척추 측만증(Funtional scoliosis)이 교정될 수 있으며, 뒷목의 경직되어 있는 근육이 이완되면 압박되어 있는 추골동맥의 경로를 풀어주어 시각중추로 가는 추골동맥의 혈액순환을 촉진함으로써 침침해진 시력이 회복될 수 있다.
또한, 가정에서 수면중에 이용할 수 있어 바쁜 현대인들에게 시간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가정에서 전문가의 도움없이 스스로 시술 가능하므로 공간적 제약과 비용적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두개천골 요법은 아주 미세한 터치로 몸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치료이다 보니 부작용이 없다. 때문에 임산부나 노약자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로 인한 현대인에게 심신의 편안함이나 정신적 안정, 안락한 생활을 요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5)

  1. 사용자의 어깨 위에 올려진 어깨누름부;
    상기 어깨누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감싸는 후방지지부; 및
    상기 후방지지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상부경추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사용자의 후두기저를 자극하여 근막이완을 유도하는 자극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자극돌기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자극돌기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통풍 골(groove) 이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골은 사용자의 가시뼈 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중앙 골과 상기 중앙 골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외곽 골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골은 상기 외곽 골에 비하여 폭이 넓게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자극돌기와 근접할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융기부를 더 포함하는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부는,
    사용자의 경추후방과 어깨 전방이 밀착되도록 사용자의 전방으로 향할수록 하측으로 완만하게 낮아지는 형상인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부는,
    사용자의 어깨에서 사용자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수록 상하방향 폭이 점점 증가하는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부는,
    사용자의 어깨가 삽입되는 어깨삽입부가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삽입부는,
    사용자의 승모근과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8. 사용자의 어깨 위에 올려진 어깨누름부;
    상기 어깨누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
    상기 후두부 지지부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양 옆을 압박하는 제4뇌실 압박돌기; 및
    복수의 산과 상기 복수의 산들 사이에 통풍을 유도하는 골이 형성되고, 상기 후두부 지지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감싸는 경추 지지부를 포함하는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부 지지부는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는 상기 수용홈의 좌우 측에 각각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부는,
    사용자의 어깨가 삽입되는 어깨삽입부를 형성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삽입부는,
    사용자의 승모근과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부지지부는,
    전면은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를 형성하고,
    후면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밀착되면 상기 어깨누름부가 사용자의 어깨를 향해 숙여지도록, 사용자가 기대는 등받이와 맞닿는 면을 경사지게 형성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부는,
    사용자의 머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벽을 형성하는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부는 사용자의 전방에 형성된 양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형상이고,
    상기 어깨누름부의 양 단부는,
    사용자의 턱과 간섭을 방지하도록 경사진 걸림방지면이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은,
    사용자의 머리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PCT/KR2015/014164 2014-12-23 2015-12-23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WO201610511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442 2014-12-23
KR1020140187442A KR101630386B1 (ko) 2014-12-23 2014-12-23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5114A1 true WO2016105114A1 (ko) 2016-06-30

Family

ID=5615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4164 WO2016105114A1 (ko) 2014-12-23 2015-12-23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0386B1 (ko)
WO (1) WO20161051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39687B (zh) * 2020-12-04 2021-09-11 吳國源 頸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494B1 (ko) 2020-06-11 2021-10-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KR20230166377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지우 목 베게
KR102626050B1 (ko) 2022-06-16 2024-01-18 주식회사 지우 목 베게
KR20230173356A (ko) 2022-06-17 2023-12-27 주식회사 지우 목 베게
KR20230174637A (ko) 2022-06-21 2023-12-28 주식회사 지우 목 교정기
KR20230174656A (ko) 2022-06-21 2023-12-28 주식회사 지우 목교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19402S1 (en) * 2010-01-15 2010-07-13 David Bret Sternlight Travel pillow
JP3169451U (ja) * 2011-05-20 2011-07-28 株式会社レーベン販売 安眠まくら
KR20110128547A (ko) * 2010-05-24 2011-11-30 이상호 지압용 목 베개
KR20120131060A (ko) * 2011-05-24 2012-12-04 김종훈 목베개
KR20130033028A (ko) * 2011-09-26 2013-04-03 김민경 안마와 지압이 가능한 목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42B2 (ja) * 1989-11-30 1995-01-25 株式会社平和時計製作所 巻真の製造方法
JP3169451B2 (ja) * 1992-09-10 2001-05-2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使用済燃料のサイロ貯蔵・輸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19402S1 (en) * 2010-01-15 2010-07-13 David Bret Sternlight Travel pillow
KR20110128547A (ko) * 2010-05-24 2011-11-30 이상호 지압용 목 베개
JP3169451U (ja) * 2011-05-20 2011-07-28 株式会社レーベン販売 安眠まくら
KR20120131060A (ko) * 2011-05-24 2012-12-04 김종훈 목베개
KR20130033028A (ko) * 2011-09-26 2013-04-03 김민경 안마와 지압이 가능한 목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39687B (zh) * 2020-12-04 2021-09-11 吳國源 頸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386B1 (ko) 201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05114A1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WO2016013723A1 (ko)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WO2011096663A9 (ko) 숙면용 정형 베개
KR101077885B1 (ko)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KR102079421B1 (ko)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WO2015190758A1 (ko) 척추 지지대
KR101780277B1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KR20170090389A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US11019946B2 (en) Head and neck rest device
US20160128902A1 (en) Chair with Backrest Having Pressure Points for Stimulating Mechanoreceptors
KR101649416B1 (ko) 머리 이완용 베개
Heinrich The role of physical therapy in craniofacial pain disorders: an adjunct to dental pain management
KR100795271B1 (ko) 베어 등목 베개
KR100718661B1 (ko) 물리치료용 헤드레스터
KR101616087B1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WO2011074718A1 (ko) 물리 치료용 근막 이완기
JP2005046553A (ja) 健康枕
CN202919716U (zh) 磁疗定型易筋枕
KR101664462B1 (ko)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KR20160077014A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 베개
TWI583364B (zh) 用於物理治療之顱薦椎治療與整脊治療用的肌筋膜鬆弛器
KR102540819B1 (ko) 뇌척수액 순환유도효과 강화 베개
KR102380480B1 (ko) 경추견인이 가능한 두개천골요법 적용 베개
TWI778635B (zh) 釋壓擺位輔具結構
KR101485364B1 (ko) 뒤통수 밑 근육 운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36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736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