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13723A1 -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 Google Patents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13723A1
WO2016013723A1 PCT/KR2014/011010 KR2014011010W WO2016013723A1 WO 2016013723 A1 WO2016013723 A1 WO 2016013723A1 KR 2014011010 W KR2014011010 W KR 2014011010W WO 2016013723 A1 WO2016013723 A1 WO 201601372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erebrospinal fluid
laryngeal
pillow
ventricula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10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아이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아이, 김희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아이
Priority to CN201480080727.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535717A/zh
Priority to TW104123964A priority patent/TWI559879B/zh
Publication of WO201601372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13723A1/ko
Priority to US15/410,777 priority patent/US1056156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1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between the skin and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4Shoulder, e.g. for neck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5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contoured to fit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low for inducing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using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method and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method of cranial sacral therapy.
  • Cranial Sacral Therapy is a treatment method that has been in the US for over 100 years. Cranial sacral therapy can treat a variety of problems caused by cerebrospinal fluid circulatory depression caused by central nervous system membrane disease.
  • CSF normal flow of CSF enhances all the circulatory capacity up to the capillary and cellular levels of the whole body by relieving tens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the membranes surrounding the spinal cord. It activates the self-healing immune system.
  • Two sacral therapy is a treatment method that balances the flow cycle of cerebrospinal fluid by relaxing the limited intima and dura by touching the skull and sacrum with a fine hand of about 5 grams.
  • Cerebrospinal fluid balance can reduce headache, posterior neck muscle tone, back neck stiffness and shoulder muscle pain, fever, sudden chronic musculoskeletal disorders, back pain, degenerative arthritis, cerebral congestion and pulmonary congestion and edema There is.
  •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includes a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and supporting the larynx; Cervical support that extends from the back of the head receiving portion to support the cervical spine; And a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 Cerebrospinal fluid guiding pillow includes a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pressure is applied to the occipital ridge.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is formed in a 'U' or 'V' shape to stimulate left and right of the laryngeal part, respectively.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has a width W of at least 2 cm and is formed within 10 cm.
  • the laryngeal head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sidewalls that form an approximately semicircular border and support the larynx.
  • the side wall portion includes a left side wall portion and a right side wall portion respectively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 head portion; And a cervical spine connecting partition forming a boundary with the cervical spine support.
  •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includes a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posterior head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is extended from the cervical connecting septum.
  •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includes a side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portion in a lateral direction,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ar groove recessed to accommodate the user's ear.
  • the side support forms an elongated mountain to support the cervical spine side of the user.
  •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has a spinous process accommodating groove for receiving the spinous process of the cervical spine.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inous process accommodation groove.
  • An external shape forming part in which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and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are formed; And a core part disposed inside the contour forming part and different in hardness from the contour forming part.
  • the core unit the cervical spine support co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And a posterior head fixation core formed to avoid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and formed below the edge of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 the contour forming portion includes a side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core portion includes a side support core extending from the laryngeal head fixing core and formed below the side support portion.
  • the core portion is formed of a foam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outline forming portion.
  • Cerebral 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comprises a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applying pressure to the occipital bone; A fourth ventricular dilator pressurizing the epiglottis ridge; And a posterior head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and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are formed and recessed to support the laryngeal head.
  •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comprises a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which prevents further expansion during the bending cycl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aryngeal bone are expanded during cerebrospinal fluid generation; A fourth ventricular dilator that prevents further protrusion during the extension cycle in which the occipital bulge of the occipital bone protrudes when cerebrospinal fluid production stops; And a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which supports the laryngeal part and forms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and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on a surface facing the laryngeal bone.
  • Cerebrospinal fluid guiding pillow is a core portion formed of a cervical spine support core for supporting the load applied from the cervical spine and a laryngeal fixation cor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dge of the occipital bone; And an outer surface forming part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part and formed of a foam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core part, and having protrusions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laryngeal bone at a position not supported by the laryngeal head fixing core.
  • Figure 1 is a simplified representation of the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 Figure 2 (a) shows the flow of the cerebrospinal fluid and the movement of the skull and lumbar spine during the flexion cycle
  • Figure 2 (b) shows the flow of the cerebrospinal fluid and movement of the skull and lumbar spine during the extension cycle.
  • Figure 3 (a) shows the relaxation of the larynx and cerebrospinal fluid flow during the flexion cycle
  • Figure 3 (b) shows the contraction of the larynx and the flow of cerebrospinal fluid during the extension cycle.
  • FIG. 4 (a) shows the procedure of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method CV4, and FIG. 4 (b) shows the procedure of the fourth ventricular dilation method EV4.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guide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guide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ory induction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rear view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ory induction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side view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ory induction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re por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b) is a bottom view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guide pillow attached to the core portion
  • Figure 10 (c) is a shape of the appearance without the core portion It is expressed.
  • Figure 11 (a) is a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ory guidance pillow to which the pad is attached.
  • Figure 12 represents the compression point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ory induction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simplified representation of the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 Figure 2 (a) shows the flow of the cerebrospinal fluid and the movement of the skull and lumbar spine during the flexion cycle
  • Figure 2 (b) shows the flow of the cerebrospinal fluid and movement of the skull 45 and lumbar spine during the extension cycle.
  • Figure 3 (a) shows the relaxation of the larynx and cerebrospinal fluid flow during the flexion cycle
  • Figure 3 (b) shows the contraction of the larynx and the flow of cerebrospinal fluid during the extension cycle.
  • parietal bone 51 is a rectangular flat bone covering the back of the cranial brain containing the brain.
  • the parietal bones 51 are all two and protrude outwards, respectively.
  • the two parietal bones 51 abut the sagittal sutures 56.
  • the parietal bone 51 is connected to the occipital bone 53 by the factorial suture 55.
  • the temporal bone 52 is disposed in the temporal section.
  • the skull 45 is not a rigid structure, but a tissue having flexibility to express a flexion cycle that expands upon generation of cerebrospinal fluid and a contraction cycle that contracts when production stops. With the above structure, the skull 45 may repeat contraction and relaxation. Craniosacral rhythm contains information about stress and immunity. The two sacral movements of a healthy person are very stable with 8-12 cycles of flexion and extension.
  • Flexion or expansion is equivalent to expansion or expansion.
  • the two sacral rhythms can be detected by hand.
  • the feeling of curvature transmitted to the hand can be understood as a 'swelling feeling' or 'a feeling that the whole body rotates outward and widened' and is also called 'outward rotation'.
  • Extension is a concept or opposite feeling of flexion and opposition. Extension can be understood as contraction.
  • a temple can be understood as a feeling of being sucked in deep. The temple can also be described as the whole body turning inward and narrowing. The temple is also called 'inner turn'.
  • the cycle of cranial sacral movement consists of two processes, 'flexion' and 'temple' or 'extension' and 'contraction'. Between the bend and the temple can be called a 'neutral point'.
  • the human body is in a state of 'relaxation' where tension is released with a feeling of being stopped at a neutral point.
  • the period of flexion and extension is constant and preferably the same. Differences or mismatches in flexion and extension can cause abnormalities in the body.
  • the flexion and extension cycles are caused by the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SF). Cerebrospinal fluid is produced in the ventricular.
  • CSF cerebrospinal fluid
  • the ventricles are spaces inside the human brain and are enclosed in the ventricles. There are three ventricles: the lateral ventricle, the third ventricle, and the fourth ventricle 60. There are two left and right ventricles, and the third ventricle and the fourth ventricle 60 are each one, so all four ventricles constitute the ventricle system.
  • the lateral ventricle is a space inside the cerebrum and is composed of two left and right (first ventricle, second ventricle) symmetrically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ventricles,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third ventricle.
  • the third ventricle is a space between the cerebral brains and communicates with the lateral ventricle through the interventricular hole, and is connected to the fourth ventricle 60 through the intermediate cerebral canal.
  • the fourth ventricle 60 communicates with the third ventricle through the middle cerebral canal, where it also communicates with the subarachnoid space (the subarachnoid descent) through the median or lateral (Lucica).
  • the fourth ventricle 60 is surrounded by the cerebellum and brain stem. In the fourth ventricle 60, cerebrospinal fluid is circulated around the brain by going down to the spinal cord through the central tube in the spinal cord or through the median or lateral opening.
  • cerebrospinal fluid Inside the ventricles, there is a structure called choroid plexus, which produces cerebrospinal fluid.
  • the amount of cerebrospinal fluid produced by choroidal ice per day is about 500 ml.
  • This cerebrospinal fluid is made up of a constant amount every day and the same amount is lost, resulting in the same amount of cerebrospinal fluid in the ventricles.
  • Cerebrospinal fluid circulates between the arachnoid (arachnoid membrane) and the soft membrane (smoke) to buffer.
  • the ventricles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storage and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ultimately protecting the brain.
  • CV4 Compression of 4th Ventricle is a method of compressing the sides of the occipital ridge of the larynx 54.
  • CV4 is a method for promoting steel points, which refers to the compression or narrowing of the enlarged ventricles during the flexion cycle.
  • the CV4 technique reduces the ability of the larynx to affect the pressure changes in the spinal cord by inducing steel points by resisting the rhythm during the flexion cycle.
  • the pressure of the spine in the skull 45 is increased and the cerebrospinal fluid is directed in all other possible routes. This allows the CV4 technique to promote and exchange cerebrospinal fluid movement.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method, or EV4 technique is a method of inducing still points in the extension cycle.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method is a method for compressing the occipital ridge of the larynx 54.
  • the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is the most protruding site in the middle of a large squama occupying the back of the laryngeal bone 53.
  • EV4 corresponds to the extension cycle and resists the compression of the laryngeal ridges 45 into the fingers through internal rotation, thereby expanding the fourth ventricle 60 in the skull 45.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method and / or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method eliminates the movement of the entire cranial sacrum and results in a completely stopped state. This is called a still-point.
  • the steel point is semi-forced by compression and / or expansion of the fourth ventricle 60.
  • the cranial sacrum may indicate cramping, pulsating, or shaking movements. Attempts to resist by compression and / or expansion of the fourth ventricle 60 will eventually stop the activity of the cranial sacrum. That is, a steel point has occurred. When this still point occurs, the subject may experience some changes. Once the Steel Point condition is reached, the subject may experience recurrence of previous pain in the lower back, or relapse of several previous inactive pains. Also, the practitioner changes his breathing and sweats lightly on his forehead.
  •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that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two sacral therapy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 the user's torso direction forward,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ar, the user's temporal bone 52 direction to the left and right, the user's frontal bone direction to the upper direction, the user's laryngeal bone ( 53) will be described as the downward direc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guide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guide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ory induction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rear view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ory induction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includes a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10 for accommodating and supporting the larynx; Cervical support portion 30 extending from the back of the head receiving portion 10 to support the cervical spine; And a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protruding from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10.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exerts pressure on the back of the user.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induces a steel point in the bending cycle.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induces the cerebrospinal fluid to descend.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may be formed in a 'V' or 'U' shape to stimulate the left and right of the laryngeal head, respectively.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may be formed in a horseshoe shape.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exerts pressur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aryngeal bone 53.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may b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3 to 4 cm points of the outer occipital ridge 54.
  • the fourth ventricle compression protrusion 13 compresses the ventricles of the user.
  • the temporal bone 52 and the laryngeal bone 53 are connected by laryngeal papillary sutures 57.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is formed at a position not facing the laryngeal papillary suture 57. Therefore,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has a width 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less than 10 cm.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may have a width W of 2 cm or more.
  • the horizontal width W of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may be 2 cm or more and 7 cm or less. Such a width limit prevents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from stimulating the temporal bone 52.
  •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includes a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protruding from the posterior head accommodating part 10.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may be formed in plural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fourth ventricular expansion protrusion 11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s 13.
  •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10 has a shape recessed downward to a place where the back head bone is accommodated.
  • the laryngeal head receiving portion 10 supports the laryngeal head.
  • the laryngeal head accommodating part 10 may have a circular or semi-circular shape and includes a side wall part 15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erected to support the laryngeal part.
  • Cervical support portion 30 supports the user's neck. Cervical support portion 30 may b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Cervical support portion 30 is formed to extend in front of the back of the head receiving portion (10). Cervical support portion 3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vertical height is gradually lowered as it extends to the front.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exerts pressure on the external laryngeal ridge 54 of the user's larynx.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11 induces a still point in the extension cycle.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opens and relaxes the skull 45.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induces pumping of the cerebrospinal fluid.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induces cerebrospinal fluid to be upward.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11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EV4 of the two sacral therapy.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may be formed with a bone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head so that the contact area is wide. The back of the head has a wider support area due to the bone, allowing the user to mainta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However, since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is formed at a position for pressing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outer occipital ridge 54, the shape and the position can be modified.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and the fourth ventricular expansion protrusion 1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is formed in the shape of feeling wrapped around the inside so as to be softly press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arynx, and the fourth ventricular expansion protrusion 11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and 4 ventricle compression protrusion 13 may be formed to extend inward.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ventricular expansion protrusion 11. However, connecting to each other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may distribu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back of the head to give a more comfortable feeling.
  • the laryngeal head accommodating part 10 includes the side wall part 15 which form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boundary, and supports a laryngeal part. Since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10 should be formed in the shape of feeling wrapped around the inside of the laryngeal head so as to be softly press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inner side to accommodate the laryngeal part. The edge of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10 is formed by the side wall part 15. The side wall portion 15 supports the back head.
  • the side wall portion 15 includes a left wall portion 16 and a right wall portion 17 which respectively suppor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ck head portion; And a cervical vertebral septum 18 forming a boundary with the cervical spine support 30.
  • the side wall portion 15 includes a left wall portion 16 and a right wall portion 17.
  • the left wall portion 16 and the right wall portion 17 support the temporal bone 52.
  • the side wall portion 15 includes a cervical spine partition wall 18.
  • a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is formed between the left wall portion 16 and the right wall portion 17, and a fourth ventricular expansion protrusion 11 is formed between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11 may extend from the cervical vertebral septum 18.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11 may extend backward from the cervical vertebral septum 18.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11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rvical vertebral septum 18.
  •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includes a side support part 20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side wall part 15.
  • the side support portion 20 may b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ortion 10, respectively.
  • the side support 20 supports the temporal bone 52 when the user is lying sideways to look left or right.
  • the side support part 20 is formed from the left wall part 16 and the right wall part 17, respectively.
  • the side support 20 is formed above a certain height. That is, the height of the side support portion 20 is determined to mainta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user's cervical spine.
  • the side support portion 20 may be formed with an ear groove 21 recessed to receive the user's ear.
  • Ear groove 21 is formed lower than the general height of the side support (20). Since the user's ears protrude laterally, the load of the head is transferred to one ear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lying on the side. Therefore, by placing the ear in the ear groove 21, the load of the head can be evenly transmitted to the temporal bone 52, parietal bone 51 and the frontal bone.
  •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10 may be formed with a spinous process accommodating groove 31 for receiving the spinous process of the cervical spine.
  • the spinous process accommodating groove 31 may be formed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Spinous process is formed protruding to the cervical spine. Therefore, the load may be concentrated on the spinous process.
  •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10 forms the spinous process receiving groove 31. The spinous process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bone, so that the contact area is widened, and more uniform pressure is applied to the cervical spine.
  • the fourth ventricle expansion protrusion 11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inous process accommodating groove 31.
  • the fourth ventricle expanding protrusion 11 and the spinous process accommodating groove 31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 the laryngeal ridges may be formed on the central line of the skull 45, and the cervical spine is also formed in a straight line on the central line of the trunk.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11 increases in height toward the cervical connecting septum 18, and the spinous process accommodating groove 31 gradually decreases in height toward the front from the cervical connecting septum 18.
  • Figure 9 is a side view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ory induction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de support 20 forms an elongated mountain 23 to support the cervical spine side of the user.
  • the side support 20 forms a mountain 23.
  • the mountain 23 may be formed to protrude the highest from the side support 20.
  • the mountain 23 may be incli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user's jaw. Since the diameter of the neck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kull 45, when the user is lying sideways, the neck is not supported. Accordingly, the mountain 23 may protrude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side support 20 to support the user's neck. Both the temporal bone 52 and the cervical spine side of the user are supported so that a more comfortable posture can be maintained.
  • Figure 10 is a representation of the core portion and the shape forming por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re por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b) is induction of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fluid with the core portion
  • the bottom view of the pillow
  • Figure 10 (c) is a representation of the appearance forming part without the core portion.
  •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vical spine support core 81 for supporting the load applied from the cervical spine and the laryngeal fixation cor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dge of the laryngeal bone 53 ( A core portion 80 formed of 83;
  •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portion 80 is formed of a foam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core portion 80, and an external shape forming portion having protrusions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laryngeal bone 53 at a position not supported by the laryngeal head fixing core 83.
  • And 70 are examples of a foam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core portion 80, and an external shape forming portion having protrusions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laryngeal bone 53 at a position not supported by the laryngeal head fixing core 83.
  • the larynx head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30 may be formed of a foam.
  • the contour forming portion 70 is a portion directly contacting the back of the user's back and the cervical spine and is adapted to the load applied from the user and absorbs pressure evenly.
  • the contour forming portion 70 is a foam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core portion 80.
  • the core portion 80 is a foam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from the outer shape forming portion 70.
  • the core portion 80 preferably has a higher hardness than the outline forming portion 70. Foams have elasticity, but over time, moisture can be released, reducing their durability to elasticity.
  • the core portion 80 supports the load of the contour forming portion 70 to increase durability.
  • the core part 80 supports the outer shape forming part 70 to prevent the outer shape forming part 70 from being severely deformed due to durability that may fall due to the weight of the user for a long time.
  • the contour forming portion 70 forms a projection.
  • the protrusion may be a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and a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 the core unit 80 may not support the loads applied to the fourth ventricular expansion protrusion 11 and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and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can be more freely deformed so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laryngeal bone 54 of the user is reduced. Therefore, even if the user uses the pillow for a long time, the user can get a good night's sleep.
  • Cerebrospinal fluid guiding pillow is the appearance forming part formed with the back head receiving portion 10,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30 and the fourth ventricular dilator 11 and / or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70; And a core portion 80 disposed inside the contour forming portion 70 and having a different hardness from the contour forming portion 70.
  • the shape forming part 70 and the core part 80 differ from each other in hardness.
  • the hardness of the core portion 80 is higher than the hardness of the contour forming portion 70.
  • the core portion 80 includes: a cervical spine support core 81 formed below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30; And a posterior head fixation core 83 formed to avoid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and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and formed below the edge of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10.
  • Cervical support core 81 to support the cervical spine to limit the deformation of the cervical support (30).
  • the core part 80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10, it does not limit the deformation of the laryngeal head accommodating part 10. Thus it does not limit the neck muscle relaxation of the user.
  • the contour forming portion 70 further includes a side support portion 20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osterior head accommodating portion 10, and the core portion 80 extends from the posterior head fixation core 83 to extend the side support portion 20. It includes a side support core 85 formed below.
  • the side support core 85 suppresses the deformation of the side support 20.
  • the user can press sideways while sleeping.
  • the cervical spine may be inclined without maintaining a straight line.
  • the side support core 85 restricts the deformation of the side support 20 so that the cervical spine is maintained in a straight line.
  • Figure 11 (a) is a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ory guidance pillow to which the pad is attached.
  •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low the contour forming portion 70 and the core portion 80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contour forming portion 70. More).
  • the pad 90 may be used in plurality, or may be removed and used according to a user's body size.
  • Foam has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due to the formation of many fine pores on its surface. Therefor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attachment member, the pad 90 and the pillow can maintain the attachment state.
  • the outer shell of the pillow is formed to wrap the pad 90 and the pillow together. Therefore, the pillow can be integrated even without a separate adhesive member increases the user's convenience.
  • Figure 12 represents the compression point of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ory induction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to apply pressure to the laryngeal bone 53; A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epiglottis ridge 54; And a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11 and a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formed therein and recessed to fix the laryngeal head.
  •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for inducing a bending cycle of the skull 45; A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for inducing an extension cycle of the skull 45; And a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10 which supports the laryngeal part and forms a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and a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11 on a surface facing the laryngeal bone 53. .
  • the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pillow includes a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which prevents further expansion during the flexion cycl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aryngeal bone 53 are expanded during the generation of the cerebrospinal fluid during the flexion cycle; A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11 that prevents the extraoral larynx bulge 54 of the laryngeal bone 53 from protruding further during the extenuating cycle when the generation of cerebrospinal fluid during the extension cycle stops; And a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10 which supports the laryngeal part and forms a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and a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protrusion 11 on a surface facing the laryngeal bone 53.
  •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protrusion 13 exerts pressure on the laryngeal bone 53, and the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exerts pressure on the lateral occipital ridge 54.
  • the laryngeal accommodating part 10 supports and supports the laryngeal part. Therefore, the user undergoes two sacral therapy during a good night's sleep. In addition, the effect of receiving CV4 and EV4 at the same time of the two sacral therapy can induce the steel point state more frequently.
  • CV4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method
  • EV4 fourth ventricular dilation method
  • CV4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method
  • EV4 fourth ventricular dilation method
  • cranial sacral therapy is a treatment that leads to changes in the body with a very fine touch by hand, so there are no side effects. As a result, it is useful not only for pregnant women and the elderly, but also for those who require the comfort of mind and body, mental stability and comfortable life for modern people due to stress.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to apply pressure to the outer laryngeal ridge 54.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ion protrusion 11 compresses the occipital ridge 54.
  • the fourth ventricle expansion protrusion 11 expands the ventricles of the user.
  • the fourth ventricular dilatation 11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EV4 of the two sacral therapy.
  • the fourth ventricle expanding protrusion 11 expands the fourth ventricle 6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후두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후두부 수용부; 상기 후두부 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및 상기 후두부 수용부에 돌출 형성된 제4뇌실 압박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본 발명은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개천골요법의 제4뇌실 확장법과 제4뇌실 압박법을 적용한 뇌척수액의 순환을 유도하는 베개에 대한 것이다.
두개천골요법(Cranio Sacral Therapy - CST)은 미국에서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이미 1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치료방법이다. 두개천골요법은 중추신경계의 막성장애로 인한 뇌척수액 순환저하로 생기는 여러가지 문제를 치료할 수 있다.
뇌척수액의 정상적인 순환은 분당 8 -12회 주기로 굴곡(흡기,외회전)과 신전(호기,내회전)패턴으로 순환(굴곡, 신전 1회 주기 6-9초)하며, 뇌척수액 전신 1회순환 주기는 시간당 6-7시간정도이며, 1일 4-5회 순환하고 1일 생성량은 500cc이다.
뇌척수액(CSF)의 정상적 흐름은 중추신경계인 뇌와 척수를 감싸고 있는 막의 긴장을 완화하고 나아가 외부에 모든 조직이 연결되어 있는 근막의 긴장도를 완화함으로써 전신의 모세혈관과 세포 수준까지 모든 순환능력을 증진시켜 주고, 자가 치유 면역 시스템을 가동시켜준다.
두개천골요법은 두개골과 천골을 5 그램 정도의 미세한 손으로 터치하여 제한된 뇌내막과 경막을 이완하여 뇌척수액의 흐름 주기를 정상적인 균형을 맞추어주는 치료방법이다.
뇌척수액의 균형은 두통, 후경부 근육긴장, 뒷목의 뻣뻣함과 어깨근육통, 발열, 급 만성 근골격계 질환, 요통, 퇴행성관절염, 대뇌울혈(cerebral congestion)과 폐울혈(pulmonary congestion) 그리고 부종 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두개천골요법을 시술받기 위해서는 시간과 비용을 많이 들여 전문 시술사를 찾아야 하는 문제가 있어 바쁜 현대인들에게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면중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시간과 비용, 공간의 제약없이 가정에서 두개천골요법을 시술받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후두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후두부 수용부; 상기 후두부 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및 상기 후두부 수용부에 돌출 형성된 제4뇌실 압박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상기 후두부 수용부에 돌출 형성된 제4뇌실 확장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외후두 융기에 압력을 가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는 후두부의 좌우를 각각 자극하도록 'U' 또는 'V'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는 좌우방향 폭(W)이 2cm 이상이고, 10cm 이내로 형성된다.
상기 후두부 수용부는, 대략 반원형의 경계를 이루고 후두부를 지지하는 측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는, 후두부의 좌우측을 각각 지지하는 좌측벽부와 우측벽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와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추연결격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상기 후두부 수용부에 돌출 형성된 제4뇌실 확장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상기 경추연결격벽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상기 측벽부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부는, 사용자의 귀를 수용하도록 함몰된 귀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지지부는, 사용자의 경추 측면을 지지하도록 길게 연장된 산을 형성한다.
상기 후두부 수용부는, 경추의 극돌기를 수용하는 극돌기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상기 극돌기수용홈의 길이방향에 형성된다.
상기 후두부 수용부와 상기 경추지지부와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가 형성된 외형 형성부; 및 상기 외형 형성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형 형성부와 경도가 다른 코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부는, 상기 경추지지부의 하측에 형성된 경추지지코어; 및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의 하측을 피해 형성되고 상기 후두부 수용부 가장자리의 하측에 형성된 후두부고정코어를 포함한다.
상기 외형 형성부는, 상기 후두부 수용부의 좌우방향에 연장 형성된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상기 후두부고정코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측에 형성된 측면지지코어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부는 상기 외형 형성부보다 경도가 높은 폼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형 형성부와 상기 코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형 형성부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후두골에 압력을 가하는 제4뇌실 압박돌기; 외후두 융기에 압력을 가하는 제4뇌실 확장돌기; 및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와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가 형성되고 후두부를 고정지지하도록 함몰된 후두부 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뇌척수액 생성시 후두골의 좌우 측면이 확장되는 굴곡주기 때 더 확장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제4뇌실 압박돌기; 뇌척수액 생성이 멈춤시 후두골의 외후두 융기가 돌출되는 신전주기 때 더 돌출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제4뇌실 확장돌기; 및 후두부를 고정지지하고, 후두골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와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를 형성한 후두부 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경추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경추지지코어와 후두골의 가장자리를 고정 및 지지하는 후두부고정코어로 형성된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상면을 감싸고, 상기 코어부보다 경도가 낮은 폼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두부고정코어로부터 지지받지 못하는 위치에 후두골에 압력을 가하는 돌기가 형성된 외형 형성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정에서도 혼자 두개천골요법을 베개라는 생활용품에 적용 할 수 있어 공간적 제약이 사라진다.
둘째, 수면 중에도 두개천골요법을 시술받을 수 있는 느낌을 주어 시간적 제약이 사라진다.
셋째, 일회 구입으로 반영구적으로 두개천골요법을 시술받을 수 있어 비용이 절약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뇌척수액의 순환을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도2(a)는 굴곡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고, 도2(b)는 신전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다.
도3(a)는 굴곡주기일때 후두부의 이완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신전주기일때 후두부의 수축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4(a)는 제 4뇌실 압박법(CV4)의 시술방법을 표현한 것이고, 도4(b)는 제 4뇌실 확장법(EV4)의 시술방법을 표현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정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배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측면도이다.
도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코어부의 사시도이고, 도10(b)는 코어부가 부착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저면도이며, 도10(c)는 코어부가 없는 외형 형성부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도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드이고, 도11(b)는 패드가 부착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압박지점을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에는 성인의 두개골(45)은 굳어져 석회화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골(45)은 굳어진 상태로 서로 융합되어 움직임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졌었다. 그러나 두개골(45)은 미세하게 움직이며 천골(40)(꼬리표 위쪽)의 움직임과 더불어 인체의 뇌척수액순환에 영향을 주고받는다. 두개천골요법은 두개골(45)의 움직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도1은 뇌척수액의 순환을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도2(a)는 굴곡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45)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고, 도2(b)는 신전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45)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다. 도3(a)는 굴곡주기일때 후두부의 이완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신전주기일때 후두부의 수축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1내지 도3을 참조하면, 두정골(51)(parietal bone)은 뇌가 들어있는 뇌두개의 뒤쪽 위를 덮고 있는, 사각형의 편평한 뼈이다. 두정골(51)은 모두 2개이며 바깥쪽으로 각각 튀어나와 있다. 2개의 두정골(51)은 시상봉합(56)으로 접해있다. 두정골(51)은 인자봉합(55)으로 후두골(53)에 연결된다. 측두골(52)은 측두부에 배치된다. 두개골(45)은 단단한 구조물이 아닌 뇌척수액의 생성시 확장되는 굴곡주기와 생성이 멈출시에 수축하는 신전주기를 표현하는 유연성을 갖는 조직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두개골(45)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할 수 있다. 두개천골 리듬(Craniosacral rhythm)은 스트레스나 면역력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건강한 사람의 두개천골 움직임은 굴곡과 신전이 8-12회 주기로 매우 안정되어 있다.
굴곡(flexion, expansion)은 확장 혹은 팽창에 해당한다. 두개천골 리듬은 손으로 감지할 수 있다. 손에 전달되는 굴곡의 느낌은 '부풀어 오르는 느낌' 또는 '몸전체가 바깥으로 회전하며 넓어진 느낌'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외회전' 이라고도 불린다.
신전(extension, compression)은 굴곡과 반대의 개념 혹은 반대의 느낌이다. 신전은 수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전은 '깊숙이 빨려들어 가는 느낌'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전은 몸 전체가 안쪽으로 회전하며 좁아지는 느낌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신전은 '내회전' 이라고도 불린다.
두개천골 움직임의 주기는 '굴곡'과 '신전' 또는 '확장' 과 '수축' 의 두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굴곡과 신전 사이는 '중립지점' 이라 할 수 있다. 인체는 중립지점에서 정지되는 느낌과 더불어 긴장이 풀리게 되는 '이완' 의 상태에 놓이게 된다. 굴곡과 신전의 주기는 일정하며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과 신전의 주기가 다르거나 불일치하면 신체에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굴곡주기와 신전주기는 뇌척수액(CSF; cerebrospinal fluid)의 순환으로 비롯된다. 뇌척수액은 뇌실(ventricular)에서 만들어진다. 뇌실은 인간의 뇌 내부에 있는 공간을 말하며 뇌실막에 싸여있다. 뇌실은 측뇌실, 제3뇌실, 제4뇌실(60)의 세 가지가 있다. 측뇌실은 좌우 2개가 있으며, 제3뇌실과 제4뇌실(60)은 각각 하나씩 있어 모두 4개의 뇌실이 뇌실계를 구성한다.
측뇌실은 대뇌 내부에 있는 공간으로 좌우 2개(제1뇌실, 제2뇌실)가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뇌실사이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제3뇌실과도 연결된다. 제3뇌실은 사이뇌의 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뇌실사이구멍을 통해 측뇌실과 교통하며, 중간뇌수도관을 통해 제4뇌실(60)과 연결된다. 제4뇌실(60)은 중간뇌수도관을 통해 제3뇌실과 교통하며 이곳에서 정중구멍(마장디공) 또는 측구멍(루시카공)을 통해 거미막밑공간(지주막 하강)과 교통하기도 한다. 제4뇌실(60)은 소뇌와 뇌줄기로 둘러싸여 있다. 제4뇌실(60)에서는 뇌척수액이 척수내의 중심관을 통해 척수로 내려가거나 정중구멍 또는 측구멍을 통해 뇌의 바깥으로 나가 뇌 주위를 순환하게 된다.
뇌실의 내부에는 맥락얼기(맥락총)라는 구조물이 있는데, 이것이 뇌척수액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맥락얼기가 하루에 생산하는 뇌척수액의 양은 500ml 정도이며 결과적으로 뇌실 내부는 항상 뇌척수액으로 가득 차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뇌척수액은 매일 일정한 양이 만들어지고 같은 양이 없어져서 결과적으로 뇌실 내의 뇌척수액은 항상 같은 양을 유지하게 된다. 뇌척수액은 거미막(지주막)과 연질막(연막) 사이에서 순환하며 완충작용을 한다. 뇌실은 뇌척수액의 생성, 저장 및 순환에 기여함으로 궁극적으로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우선, 두개천골요법에 대해 설명한다.
두개천골계에 비생리적인 움직임을 일으키기 위해 많은 힘은 가하지 말아야 한다. 두개천골계에 접촉하는 힘은 크기는 4~5g 정도이며, 이런 적은 힘으로 접촉하는 목적은 두개골(45)의 움직임이 스스로 새로운 경로를 찾아 움직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새로운 경로 발견은 새로 추가된 운동성과 자유로운 움직임을 일으킨다. 두개천골요법 중 피시술자의 후두부에 테크닉을 적용함으로써 스틸포인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CV4 및 EV4테크닉이라 한다.
제4뇌실압박법 즉, CV4테크닉(Compression of 4th Ventricle , CV-4 Technique)은 후두부의 외후두 융기(54) 양 옆을 압박해주는 방법이다. CV4는 스틸포인트 촉진을 위한 한 방법으로, 굴곡주기 때의 확장되는 뇌실의 압박 또는 좁힘을 말한다.
CV4테크닉은 굴곡주기에서 리듬을 저항하여 스틸포인트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척수의 압력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후두린의 능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두개골(45)내 척추의 압력은 증가되며 뇌척수액은 모든 다른 가능한 경로로 방향을 돌린다. 이로인해 CV4테크닉은 뇌척수액의 움직임을 촉진하며 교환한다.
제4뇌실확장법 즉, EV4테크닉(Expansion of 4th Ventricle)은 신전주기에서 스틸포인트를 유도하는 방법이다. 제4뇌실확장법은 후두부의 외후두 융기(54)를 압박해주는 방법이다. 외후두 융기(54)(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는 후두골(53)의 뒤쪽을 차지하는 커다란 후두린(squama)의 한가운데서 가장 돌출한 부위이다. EV4는 신전주기에 해당하며, 내회전을 통해 손라락으로 외후두 융기(45)가 돌출되는 것을 압박을 통해 저항하여 두개골(45) 내의 제4뇌실(60)을 확장시킨다.
제4뇌실압박법 및/또는 제4뇌실확장법을 통해 전체적 두개천골계의 움직임은 없어져 완전히 정지된 상태가 된다. 이것을 스틸포인트(still-point)라고 한다. 스틸포인트는 제4뇌실(60)의 압박 및/또는 확장에 의해 반강제적으로 이루어진다.
두개천골계는 경련이나 박동 또는 흔들리는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는데, 제4뇌실(60)의 압박 및/또는 확장에 의해 저항을 시도하면 두개천골계의 활동은 결국 순간적으로 중지한다. 즉 스틸포인트가 발생한 것이다. 이 스틸포인트가 발생할 때 피시술자는 몇 가지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스틸포인트 상태에 도달하면 피시술자는 예전에 발생한 허리의 통증이 다시 발생하거나 또는 비활동적인 예전의 여러 통증들이 재발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피시술자는 호흡이 변화하고 가볍게 이마에 땀을 흘리기도 한다.
스틸포인트 과정 중에는 인체는 이완되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앞에서 발생한 통증은 서서히 사라진다. 그리고 허리와 골반부위의 천장골 체성 기능장애는 자연스럽게 교정되기 시작한다. 어떤 때에는 '딱' 하는 소리가 나면서 관절이 교정된다. 이어서 피시술자의 호흡도 안정되고 긴장된 근육들은 이완되기 시작한다. 이 스틸포인트는 짧으면 몇 초에서 길면 몇 분까지 유지된다. 스틸포인트 현상이 끝나면 두개천골계의 움직임이 다시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관찰하여 보면 대칭적으로 그리고 증가된 움직임의 진폭이 감지된다. 스틸포인트가 끝나고 두개천골계의 활동이 호전되고 움직임이 대칭적으로 복원된다. 스틸포인트는 두개천골계 활동을 원활히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두개천골요법을 적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인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천장을 보고 베개를 누워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몸통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 사용자의 측두골(52) 방향을 좌우방향, 사용자의 전두골 방향을 상측방향, 사용자의 후두골(53)방향을 하측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정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배면도이다.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후두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후두부 수용부(10); 후두부 수용부(10)로부터 연장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30); 및 후두부 수용부(10)에 돌출 형성된 제4뇌실 압박돌기(13)을 포함한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사용자의 후두부에 압력을 가한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굴곡주기에서 스틸포인트를 유도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뇌척수액이 하향하도록 유도한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후두부의 좌우를 각각 자극하도록 'V' 또는 'U'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말굽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후두골(53) 양 좌우측면에 압력을 가한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외후두 융기(54)의 좌우 3~4cm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사용자의 뇌실을 압박 시킨다.
측두골(52)과 후두골(53)은 후두유양봉합(57)에 의해 연결된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후두유양봉합(57)과 마주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좌우 방향 폭(W)이 10cm 이내이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좌우 방향 폭(W)이 2cm 이상일 수 있다. 또는 제4뇌실 압박돌기(13)의 좌우 방향 폭(W)은 2cm 이상, 7cm 이하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폭 제한으로 제4뇌실 압박돌기(13)가 측두골(52)을 자극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후두부 수용부(10)에 돌출 형성된 제4뇌실 확장돌기(11)를 포함한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좌우로 길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복수의 제 4뇌실 압박돌기(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후두부 수용부(10)는 뒤통수뼈가 수용되는 곳으로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이다. 후두부 수용부(10)는 후두부를 지지한다. 후두부 수용부(10)는 원형 또는 반원형 형상일 수 있으며 후두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세워진 후술할 측벽부(15)를 포함한다.
경추지지부(30)는 사용자의 목뼈를 지지한다. 경추지지부(30)는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추지지부(30)는 후두부 수용부(10)의 전방으로 연장형성된다. 경추지지부(30)는 전방으로 연장될 수록 상하방향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사용자의 후두부의 외후두융기(54)에 압력을 가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신전주기에서 스틸포인트를 유도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두개골(45)을 벌려 이완시킨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뇌척수액의 펌핑을 유도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뇌척수액이 상향하도록 유도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두개천골요법 중 EV4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후두부와 접촉면적이 넓도록 접하는 부분에 골이 형성될 수도 있다. 후두부는 골로 인해 지지면적이 넓어져 사용자는 보다 편한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외후두 융기(54)의 좌우부분을 압박하는 위치에 형성되면 충분하므로, 형상이나 위치는 변형 가능하다.
제4뇌실 압박돌기(13)와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서로 연결형성 될 수 있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후두부 좌우측에서 부드럽게 압박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감싸는 느낌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제4뇌실 압박돌기(13)의 중앙과 연결되어 제4뇌실 압박돌기(13)의 내측으로 연장형성 될 수 있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제4뇌실 확장돌기(11)와 이격되어 형성 될 수 있다. 다만, 서로 연결되어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표면적을 넓히는 것이 사용자의 후두부에 가하는 압력을 분산시켜 보다 편한한 느낌을 줄 수 있다.
후두부 수용부(10)는, 대략 반원형의 경계를 이루고 후두부를 지지하는 측벽부(15)를 포함한다. 후두부 수용부(10)는 후두부 좌우측에서 부드럽게 압박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감싸는 느낌의 모양으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내측에 홈이 형성되어 후두부를 수용하는 형상일 수 있다. 후두부 수용부(10)의 가장자리는 측벽부(15)에 의해 형성된다. 측벽부(15)는 후두부를 지지한다.
측벽부(15)는, 후두부의 좌우측을 각각 지지하는 좌측벽부(16)와 우측벽부(17); 및 경추지지부(30)와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추연결격벽(18)을 포함한다. 측벽부(15)는 좌측벽부(16)와 우측벽부(17)를 포함한다. 좌측벽부(16)와 우측벽부(17)는 측두골(52)을 지지한다. 측벽부(15)는 경추연결격벽(18)을 포함한다. 좌측벽부(16)와 우측벽부(17) 사이에는 제4뇌실 압박돌기(13)가 형성되고, 제4뇌실 압박돌기(13) 사이에는 제4뇌실 확장돌기(11)가 형성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경추연결격벽(18)으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경추연결격벽(18)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경추연결격벽(18)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제4뇌실 확장돌기(11)로부터 과도한 압력을 받을 경우 숙면에 방해가 될 염려가 있으므로, 제4뇌실 확장돌기(11)와 후두부의 접촉면적은 일정 면적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경추연결격벽(18)과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측벽부(15)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측면지지부(20)를 포함한다. 측면지지부(20)는 후두부 수용부(10)의 좌우방향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측면지지부(20)는 사용자가 좌 또는 우방향을 바라보도록 옆으로 누울 경우 측두골(52)을 지지한다. 측면지지부(20)는 좌측벽부(16)와 우측벽부(17)로부터 각각 형성된다.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경우 사용자의 두개골(45) 직경과 사용자의 가슴직경은 상이하기 때문에 측면지지부(20)는 일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된다. 즉, 사용자의 경추가 되도록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측면지지부(20)의 높이가 정해진다.
측면지지부(20)는, 사용자의 귀를 수용하도록 함몰된 귀수용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귀수용홈(21)은 측면지지부(20)의 일반적인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사용자의 귀는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경우 머리의 하중이 사용자의 한쪽 귀에 전달된다. 따라서 귀를 귀수용홈(21)에 위치하도록 하여 머리의 하중이 측두골(52), 두정골(51) 및 전두골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후두부 수용부(10)는, 경추의 극돌기를 수용하는 극돌기수용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극돌기 수용홈(31)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극돌기는 경추에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극돌기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다. 극돌기에 모이는 하중을 줄이기 위해 후두부 수용부(10)는 극돌기 수용홈(31)을 형성한다. 극돌기는 수용골에 삽입되므로 접촉면적이 넓어져 경추에 보다 균일한 압력이 가해진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극돌기 수용홈(31)의 길이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제4뇌실 확장돌기(11)와 극돌기 수용홈(31)은 일직선 상에 형성된다. 후두부융기는 두개골(45)의 정중앙 선상에 형성될 수 있고, 경추도 몸통의 중앙 선상에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경추연결격벽(18)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증가하고, 극돌기 수용홈(31)은 경추연결격벽(18)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진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측면도이다.
도9을 참조하면, 측면지지부(20)는, 사용자의 경추 측면을 지지하도록 길게 연장된 산(23)을 형성한다. 측면지지부(20)는 산(23)을 형성한다. 산(23)은 측면지지부(20)에서 가장 높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산(23)은 사용자의 턱과 간섭되지 않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목의 직경은 두개골(45)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경우, 목이 지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산(23)은 측면지지부(20)의 전방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측두골(52)과 경추 측면이 모두 지지받게 되므로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코어부와 외형 형성부를 표현한 것으로, 도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코어부의 사시도이고, 도10(b)는 코어부가 부착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저면도이며, 도10(c)는 코어부가 없는 외형 형성부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도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경추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경추지지코어(81)와 후두골(53)의 가장자리를 고정 및 지지하는 후두부고정코어(83)로 형성된 코어부(80); 코어부(80)의 상면을 감싸고, 코어부(80)보다 경도가 낮은 폼으로 형성되며, 후두부고정코어(83)로부터 지지받지 못하는 위치에 후두골(53)에 압력을 가하는 돌기가 형성된 외형 형성부(70)을 포함한다.
후두부 수용부(10)와 경추지지부(30)는 폼(foa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형 형성부(70)는 사용자의 후두부 및 경추와 직접 맞닿는 부위로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맞게 변형되며 압력을 균일하게 흡수한다. 외형 형성부(70)는 코어부(80)보다 경도가 낮은 폼이다. 코어부(80)는 외형 형성부(70)와 물성이 다른 폼이다. 코어부(80)는 외형 형성부(70)보다 경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폼은 탄성력을 갖고 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수분이 배출되어 탄성에 대한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코어부(80)는 외형 형성부(70)의 하중을 지지하여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코어부(80)는 외형 형성부(70)를 지지하여 외형 형성부(70)가 장기간의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해 떨어질 수 있는 내구성으로 심하게 변형되는 것을 막는다.
외형 형성부(70)는 돌기를 형성한다. 돌기는 제4뇌실 확장돌기(11)와 제4뇌실 압박돌기(13)일 수 있다. 코어부(80)는 제4뇌실 확장돌기(11)와 제4뇌실 압박돌기(13)에 가해지는 하중은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 제4뇌실 확장돌기(11)와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보다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후두골(54)에 가하는 압력은 줄어든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시간 베개를 사용하더라도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후두부 수용부(10)와 경추지지부(30)와 제4뇌실 확장돌기(11) 및/또는 제 4뇌실 압박돌기(13)가 형성된 외형 형성부(70); 및 외형 형성부(70) 내측에 배치되고 외형 형성부(70)와 경도가 다른 코어부(80)를 포함한다. 외형 형성부(70)와 코어부(80)는 경도가 서로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코어부(80)의 경도가 외형 형성부(70)의 경도보다 높다.
코어부(80)는, 경추지지부(30)의 하측에 형성된 경추지지코어(81); 및 제4뇌실 확장돌기(11) 및 제4뇌실 압박돌기(13)의 하측을 피해 형성되고 후두부 수용부(10) 가장자리의 하측에 형성된 후두부고정코어(83)를 포함한다. 경추지지코어(81)는 경추를 지지하여 경추지지부(30)의 형상 변형을 제한한다. 다만, 코어부(80)는 후두부 수용부(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므로 후두부 수용부(10)의 변형을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목 근육 이완을 제한하지 않는다.
외형 형성부(70)는, 후두부 수용부(10)의 좌우방향에 연장 형성된 측면지지부(20)를 더 포함하고, 코어부(80)는, 후두부고정코어(83)로부터 연장되어 측면지지부(20)의 하측에 형성된 측면지지코어(85)를 포함한다.
측면지지코어(85)는 측면지지부(20)의 변형을 억제한다. 사용자는 취침중 옆으로 누을 수 있다. 이경우 측면지지부(20)의 변형정도가 크다면 경추는 일직선을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 질 수 있다. 측면지지코어(85)는 측면지지부(20)의 변형을 제한하여 경추가 일직선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도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드이고, 도11(b)는 패드가 부착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사시도이다.
도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외형 형성부(70)와 코어부(80)의 하측에 배치되어 외형 형성부(70)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패드(90)를 더 포함한다. 패드(90)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복수로 사용될 수도 있고, 제거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폼은 표면에 미세한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마찰계수가 높다. 따라서 별도의 부착부재가 없더라도 패드(90)와 베개는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개의 외피는 패드(90)와 베개를 함께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베개는 별도의 접착부재등이 없어도 일체화 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 유도베개의 압박지점을 표현한 것이다.
도5 및 도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후두골(53)에 압력을 가하는 제4뇌실 압박돌기(13); 외후두 융기(54)에 압력을 가하는 제4뇌실 확장돌기(11); 및 제4뇌실 확장돌기(11)와 제4뇌실 압박돌기(13)가 형성되고 후두부를 고정지지하도록 함몰된 후두부 수용부(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두개골(45)의 굴곡주기를 유도하는 제4뇌실 압박돌기(13); 두개골(45)의 신전주기를 유도하는 제4뇌실 확장돌기(11); 및 후두부를 고정지지하고, 후두골(53)과 마주하는 면에 제4뇌실 압박돌기(13)와 제4뇌실 확장돌기(11)를 형성한 후두부 수용부(10)를 포함한다.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는 굴곡주기때의 뇌척수액 생성시 후두골(53)의 좌우 측면이 확장되는 굴곡주기 때 더 확장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제4뇌실 압박돌기(13); 신전주기때의 뇌척수액 생성이 멈춤시 후두골(53)의 외후두 융기(54)가 돌출되는 신전주기 때 더 돌출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제4뇌실 확장돌기(11); 및 후두부를 고정지지하고, 후두골(53)과 마주하는 면에 제4뇌실 압박돌기(13)와 제4뇌실 확장돌기(11)를 형성한 후두부 수용부(10)를 포함한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후두골(53)에 압력을 가하고,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외후두 융기(54)에 압력을 가한다. 또한 후두부 수용부(10)는 후두부를 고정 지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숙면중에 두개천골요법을 시술받게 된다. 또한 두개천골요법 중 CV4 와 EV4를 동시에 시술받는 효과가 있어 스틸포인트 상태를 보다 자주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를 사용할 경우, 횡경막 활동과 호흡의 자율신경조절에 영향을 주어 교감신경계에 긴장도를 이완시킨다. 또한, CV4(제 4뇌실 압박법) 및 EV4(제 4뇌실 확장법)테크닉은 인체의 모든 결합조직을 이완시키기 때문에 스트레스성 환자의 만성적 교감신경계의 긴장을 완화시켜주며, 두통, 후경부 근육긴장, 뒷목의 뻣뻣함과 어깨근육통, 발열, 급 만성 근골격계 질환, 요통, 퇴행성관절염, 대뇌울혈(cerebral congestion)과 폐울혈(pulmonary congestion) 그리고 부종 현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자폐증, 주의산만 아이, 두통, 요통, 우울증, 난치병에 효과적이다.
또한, 가정에서 수면중에 이용할 수 있어 바쁜 현대인들에게 시간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가정에서 전문가의 도움없이 스스로 시술 가능하므로 공간적 제약과 비용적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두개천골요법은 손으로 아주 미세한 터치로 몸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 치료이다 보니 부작용이 없다. 때문에 임산부나 노약자 뿐 아니라 스트레스로 인한 현대인에게 심신의 편안함이나 정신적 안정, 안락한 생활을 요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외후두 융기(54)에 압력을 가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외후두 융기(54)를 압박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사용자의 뇌실을 확장시킨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두개천골요법 중 EV4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제4뇌실(60)을 확장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1)

  1. 후두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후두부 수용부;
    상기 후두부 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및
    상기 후두부 수용부에 돌출 형성된 제4뇌실 압박돌기를 포함하는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부 수용부에 돌출 형성된 제4뇌실 확장돌기를 더 포함하는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외후두 융기에 압력을 가하는 위치에 형성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는 후두부의 좌우를 각각 자극하도록 'U' 또는 'V'모양으로 형성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는 좌우방향 폭이 2cm 이상이고, 10cm 이내로 형성되는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부 수용부는,
    대략 반원형의 경계를 이루고 후두부를 지지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후두부의 좌우측을 각각 지지하는 좌측벽부와 우측벽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와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추연결격벽을 포함하는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부 수용부에 돌출 형성된 제4뇌실 확장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상기 경추연결격벽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는,
    사용자의 귀를 수용하도록 함몰된 귀수용홈이 형성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는,
    사용자의 경추 측면을 지지하도록 길게 연장된 산을 형성하는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부 수용부는, 경추의 극돌기를 수용하는 극돌기수용홈이 형성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상기 극돌기수용홈의 길이방향에 형성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부 수용부와 상기 경추지지부와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가 형성된 외형 형성부; 및
    상기 외형 형성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형 형성부와 경도가 다른 코어부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경추지지부의 하측에 형성된 경추지지코어; 및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의 하측을 피해 형성되고 상기 후두부 수용부 가장자리의 하측에 형성된 후두부고정코어를 포함하는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 형성부는,
    상기 후두부 수용부의 좌우방향에 연장 형성된 측면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상기 후두부고정코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면지지부의 하측에 형성된 측면지지코어를 더 포함하는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외형 형성부보다 경도가 높은 폼으로 형성된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 형성부와 상기 코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형 형성부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패드를 더 포함하는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19. 후두골에 압력을 가하는 제4뇌실 압박돌기;
    외후두 융기에 압력을 가하는 제4뇌실 확장돌기; 및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와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가 형성되고 후두부를 고정지지하도록 함몰된 후두부 수용부를 포함하는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20. 뇌척수액 생성시 후두골의 좌우 측면이 확장되는 굴곡주기 때 더 확장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제4뇌실 압박돌기;
    뇌척수액 생성이 멈춤시 후두골의 외후두 융기가 돌출되는 신전주기 때 더 돌출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제4뇌실 확장돌기; 및
    후두부를 고정지지하고, 후두골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4뇌실 압박돌기와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를 형성한 후두부 수용부를 포함하는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21. 경추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경추지지코어와 후두골의 가장자리를 고정 및 지지하는 후두부고정코어로 형성된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상면을 감싸고, 상기 코어부보다 경도가 낮은 폼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두부고정코어로부터 지지받지 못하는 위치에 후두골에 압력을 가하는 돌기가 형성된 외형 형성부를 포함하는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PCT/KR2014/011010 2014-07-24 2014-11-17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WO2016013723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80727.3A CN106535717A (zh) 2014-07-24 2014-11-17 脑脊液循环诱导枕
TW104123964A TWI559879B (en) 2014-07-24 2015-07-24 Pillow for inducing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US15/410,777 US10561561B2 (en) 2014-07-24 2017-01-20 Functional pillow for manipulation therap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866 2014-07-24
KR1020140093866A KR101610933B1 (ko) 2014-07-24 2014-07-24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410,777 Continuation-In-Part US10561561B2 (en) 2014-07-24 2017-01-20 Functional pillow for manipulation therap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3723A1 true WO2016013723A1 (ko) 2016-01-28

Family

ID=5516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1010 WO2016013723A1 (ko) 2014-07-24 2014-11-17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61561B2 (ko)
KR (1) KR101610933B1 (ko)
CN (1) CN106535717A (ko)
TW (1) TWI559879B (ko)
WO (1) WO20160137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9196S1 (en) * 2017-08-25 2019-12-10 S&J Space Co., Ltd. Cervical pillow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60639C (en) 2005-09-23 2014-12-16 Adrian Dennewald An orthotic device
US10863837B2 (en) 2016-09-21 2020-12-15 Purple Innovation, Llc Pillow including gelatinous elastomer cushioning materials
US10772445B2 (en) 2016-09-21 2020-09-15 Purple Innovation, Llc Pillow including gelatinous elastomer cushion having deformable wall members and related methods
TWM552320U (zh) * 2016-12-30 2017-12-01 wei xuan Wang 健康枕
KR101878598B1 (ko) * 2017-03-24 2018-07-13 김민호 기능성 베개
US20180153321A1 (en) * 2017-07-17 2018-06-07 Bentley Dawson Oliver Pillow
US20190069698A1 (en) * 2017-09-06 2019-03-07 Oderbau Furniture Co., Ltd. Pillow
US10791845B2 (en) * 2018-01-02 2020-10-06 Gary TACON Therapeutic cushion
CN108420682A (zh) * 2018-04-18 2018-08-21 清华大学天津高端装备研究院 一种阿尔兹海默氏病辅助治疗仪
CN108379034A (zh) * 2018-04-18 2018-08-10 清华大学天津高端装备研究院 一种促进脑脊液循环与交换的老年痴呆症治疗装置系统
US11019945B2 (en) * 2018-08-04 2021-06-01 Pomax, LLC Side sleeper pillows having vented earhole features
US11219322B2 (en) * 2018-09-24 2022-01-11 Denneroll Holdings Pty Ltd Cavity contour pillow
US11950721B2 (en) 2018-09-24 2024-04-09 Denneroll Holdings Pty Ltd Cavity contour pillow
US11278136B2 (en) * 2019-02-23 2022-03-22 Timothy Michael Murphy Restorative head and neck pillow
USD887176S1 (en) 2019-04-02 2020-06-16 Todd Nielsen Pillow
US11596247B2 (en) 2019-05-29 2023-03-07 James Park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KR102169030B1 (ko) * 2019-08-09 2020-10-23 주식회사 티앤아이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수면용 통풍베개
USD950073S1 (en) * 2019-12-24 2022-04-26 Global Medical Foam, Inc. Scrotal edema pressure redistribution device
US11833368B2 (en) * 2020-02-11 2023-12-05 Jonathan A. Shanker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low-level electromagnetic radiation to a patient
USD1008700S1 (en) 2021-02-08 2023-12-26 Jonathan A. Shanker Neck therapy cushion
USD944034S1 (en) * 2020-09-29 2022-02-22 Chengdu Gyson Technology Inc. Neck pillow
KR102380480B1 (ko) * 2020-10-06 2022-03-31 주식회사 티앤아이 경추견인이 가능한 두개천골요법 적용 베개
KR102256595B1 (ko) * 2020-12-11 2021-05-27 주식회사 자생바이오 경추 지지 베개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0491B1 (ko) * 2020-12-28 2021-07-22 김정률 경추 서포트가 구비된 이중 베개
KR102540821B1 (ko) * 2021-11-29 2023-06-08 주식회사 티앤아이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코어-쉘 구조의 베개
AT525773B1 (de) * 2022-01-05 2024-02-15 Steiner Johannes Kopfpolster
USD982939S1 (en) * 2022-11-27 2023-04-11 Mo Zhou Cervical pillow
USD1025659S1 (en) * 2023-09-01 2024-05-07 Chengdu Yishouweisheng Technology Inc. Pillow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4261A (en) * 1980-12-22 1985-01-22 Spinal Dynamics, Inc. Head and neck cushion
US4550458A (en) * 1983-11-14 1985-11-05 Fiore John W Cervical support pillow
US5778469A (en) * 1997-05-13 1998-07-14 Festa; John Philip Therapeutic cervical pillow
KR20110007957U (ko) * 2010-02-05 2011-08-11 김희수 숙면용 정형 베개
KR20120005893A (ko) * 2010-07-09 2012-01-17 서정인 기능성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8335A (en) * 1987-08-12 1990-05-29 John Pedrow Orthopedic pillow and sizing kit therefor
CN2588956Y (zh) * 2002-12-20 2003-12-03 吕井山 脊柱矫正保健治疗器
US7926134B2 (en) * 2005-11-29 2011-04-19 Victor Ramon Carlos Spinal supporting sleep pillow
WO2007091863A1 (en) * 2006-02-09 2007-08-16 Sang-Hyun Moon Bear back and neck pillow
TWM308688U (en) * 2006-08-31 2007-04-01 Ruei-Guang Ye Cushion and chair equipped with it
KR100926484B1 (ko) * 2008-05-30 2009-11-12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두개천골 요법을 이용한 명상베개
TWM446586U (zh) * 2012-09-04 2013-02-11 Green Sweet Mattress Corp 防止打鼾之枕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4261A (en) * 1980-12-22 1985-01-22 Spinal Dynamics, Inc. Head and neck cushion
US4550458A (en) * 1983-11-14 1985-11-05 Fiore John W Cervical support pillow
US5778469A (en) * 1997-05-13 1998-07-14 Festa; John Philip Therapeutic cervical pillow
KR20110007957U (ko) * 2010-02-05 2011-08-11 김희수 숙면용 정형 베개
KR20120005893A (ko) * 2010-07-09 2012-01-17 서정인 기능성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9196S1 (en) * 2017-08-25 2019-12-10 S&J Space Co., Ltd. Cervical pil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03758A (zh) 2016-02-01
US20170128307A1 (en) 2017-05-11
US10561561B2 (en) 2020-02-18
TWI559879B (en) 2016-12-01
KR20160012439A (ko) 2016-02-03
KR101610933B1 (ko) 2016-04-08
CN106535717A (zh)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13723A1 (ko)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WO2011096663A9 (ko) 숙면용 정형 베개
KR102079421B1 (ko)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WO2016105114A1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목 베개
KR101077885B1 (ko)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WO2015190758A1 (ko) 척추 지지대
WO2015190838A2 (ko)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US10561554B2 (en) Head relaxing pillow
KR102169030B1 (ko)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수면용 통풍베개
US20090293885A1 (en) Meditation pillow using craniosacral therapy
EP2896393B1 (en) Head relaxing pillow
KR100718661B1 (ko) 물리치료용 헤드레스터
WO2011074718A1 (ko) 물리 치료용 근막 이완기
KR101616087B1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CN202919716U (zh) 磁疗定型易筋枕
WO2016072537A1 (ko) 두개천골 요법과 카이로프락틱을 적용한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KR101664462B1 (ko)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CN210748508U (zh) 一种使用颅骶疗法的矫形枕
CN110537810A (zh) 一种使用颅骶疗法的矫形枕
CN215821301U (zh) 一种功能性矫形枕
KR102540821B1 (ko)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코어-쉘 구조의 베개
KR102540819B1 (ko) 뇌척수액 순환유도효과 강화 베개
KR20160077014A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 베개
KR102380480B1 (ko) 경추견인이 가능한 두개천골요법 적용 베개
CN212651060U (zh) 一种颈椎病康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IDP00201500229

Country of ref document: ID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980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980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