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356A - 목 베게 - Google Patents

목 베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356A
KR20230173356A KR1020220074022A KR20220074022A KR20230173356A KR 20230173356 A KR20230173356 A KR 20230173356A KR 1020220074022 A KR1020220074022 A KR 1020220074022A KR 20220074022 A KR20220074022 A KR 20220074022A KR 20230173356 A KR20230173356 A KR 20230173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cylindrical
neck pillow
floor fla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우
Priority to KR1020220074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356A/ko
Publication of KR20230173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3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2S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바닥평탄부;
상기 바닥평탄부의 장방향 일측부에 구성된 날개부;
상기 바닥평탄부의 상부는 원주형 요홈부를 구성하는 경추안착부;
상기 경추안착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에 구성한 경추길이방향돌기부;
상기 경추안착부의 좌우측단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한 측면원통형부;
상기 바닥평탄부,상기 날개부,상기 경추안착부 및 상기 경추길이방향돌기부의 재질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경추안착부에 경추를 올려놓을 경우에 쿠션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측면원통형부의 일단에서 타단부까지 슬릿부를 구성하며,
상기 측면원통형부에 삽입하도록 탄성이 없는 재질의 원기둥구성을 갖는 원기둥형봉;의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 베게{Neck pillow}
본발명은 목베게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도9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종래 발명의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는, 사용자의 어깨 위에 올려진 어깨누름부(11); 어깨누름부(11)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감싸는 후방지지부(12); 및 후방지지부(12)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상부경추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자극돌기(13)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어깨 위에 올려진 어깨누름부(11); 어깨누름부(11)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감싸는 후방지지부(12); 및 후방지지부(12)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상부 승모근과 맞닿는 부분에서부터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의 상부경추까지 연장형성된 자극돌기(13)를 포함한다.
어깨누름부(11)는 사용자의 승모근 위에서부터 사용자의 전방을 향해 연장형성된다. 어깨누름부(11)는 어느정도 중량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눌러준다. 이와 같은 중량감은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준다.
후방지지부(12)는 어깨누름부(11)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감싸는 부분이다. 상부경추는 두개골보다 의자의 등받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의자로서는 지지할 수 없다. 후방지지부(12) 일면은 의자의 등받이와 맞닿고, 그 반대면은 사용자의 경추(특히 상부경추)를 지지한다.
자극돌기(13)는 후방지지부(12) 돌출되어 상부경추를 지지하고, 목덜미를 지압한다.
자극돌기(13)는, 사용자의 후두기저(OCB)를 자극하여 근막이완을 유도한다. 자극돌기(13)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전체적으로 자극한다.
자극돌기(13)는 사용자의 후두하부를 지지하며, 목근육을 지압한다. 자극돌기(13)후두융기와 마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자극돌기(13)는 뒷머리와 목의 경계지점인 후두골의 목덜미선(nuchal line)과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면서 후두기저 (Occipital Cranial Base; OCB)와 상부경추(upper cervical;C1,C2,C3) 주변을 자극 및 이완시킨다. 또한, 자극돌기(13)는 후두골하부(suboccipital, C0)와 대응되는 곳에 형성되어, 후두하 근육과 근막(suboccipital muscle and fascia)을 자극 및 이완시킨다.
자극돌기(13)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의 후두근 섬유를 자극한다. 후두근 섬유는 뭉치근육으로 14등분 되어 있으며, 강한 섬유질로 구성되어 있다. 후두근 섬유는 신체 장기계에서 보호를 필요로 하거나 치료를 받아야할 곳에 대한 경보시스템 구역이다. 후두골 섬유는 두개천골 호흡 메커니즘에 의해 특정 척추부분의 기능적인 면들이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것이 국소적으로 구조적 운동성을 저해하고, 뇌척수액(CSF)의 순환과 양도 억제한다.
복수의 자극돌기(13)는 통풍 골(131)에 의해 구분된다. 또한 자극돌기(13)의 상측(13a)은 융기부로 인해 더욱 돌출되므로 후두기저 및 후두근 섬유에 대한 자극 효과가 증가한다.
자극돌기(13)는 후두기저(OCB)와 상부경추에 분포되어 있는 부교감신경을 활성화하여 스트레스로 인해 긴장되어 있던 교감신경의 기전을 정상적인 기전으로 만들어주어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이루게 함으로써 생체의 리듬과 에너지를 정상적인 상태로 만들어 준다.
자극돌기(13)는 후두기저(OCB)와 상부경추 주변의 목덜미 근육을 자극, 이완시켜 후두하부, 환추(경추1번)와 축추(경추2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자세의 교정, 목 디스크의 예방, 치료 효과를 유도한다. 또한, 자극돌기(13)는 경막(DM)과 후두하부의 근육의 긴장상태를 자극, 이완시킨다.
자극돌기(13)는, 사용자의 후두 기저에 존재하는 소후두직근(RCPM)을 자극할 수 있다. 소후두직근(RCPM)은 중추 신경계로 정적 또는 동적 고유수용체의 생체 되먹임(Biofeedback) 신호를 제공하며, 머리 움직임과 위치를 감지하고 주변 근육들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소후두직근(RCPM)이 이러한 근육과 경막(DM) 사이의 연결 조직 역할에 의해 경막(DM)의 긴장을 감지하고 조절한다.
소후두직근(RCPM)이은 뇌와 척수를 보호하는 경막(DM ; Dura meter)에 강하게 붙어 있다. 자극돌기(13)는, 소후두직근(RCPM; Rectus Capitis Posterior Miner)에 지속적인 자극(지압력)을 주게 되므로, 감마신호 활동의 증가를 억제한다. 이로 인해, 서서히 근육이 이완될 것이며 주변 연부조직과 근막도 이완되어 적절한 운동과 자세를 조절해 줄 수 있다.
자극돌기(13)는 소후두직근 뿐 아니라 , 후두기저(OCB)에 존재하는 다양한 혈을 자극하여 뇌빈혈, 뇌출혈, 뇌혈전, 신경쇠약, 뇌염증, 전신경련, 두통, 두풍, 현훈, 설인 신경마비, 언어장애, 대뇌발육부전, 뇌진탕후유증 개선에 도움을 준다.
자극돌기(13)의 길이는,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에서 경추 1번(C1)까지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자극돌기(13)의 길이는,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에서 경추 3번(C3)까지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자극돌기(13)는, 사용자의 상부 승모근과 맞닿는 부분에서부터 경추를 가로질러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와 맞닿는 부분까지 연장형성된다.
자극돌기(13)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후두기저(OCB)에서부터 경추 3번(C3) 이상을 자극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자극돌기(13)의 하측(13b) 단부는 사용자의 승모근과 맞닿고 자극돌기(13)의 상측(13a) 단부는 사용자의 후두기저 (OCB)와 맞닿는다. 다만, 돌출 정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자극돌기(13)는,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에서 경추 3번(C3)까지 마주하는 부분이 자극돌기(13)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돌출형성될 수 있다. 자극돌기(13)는 승모근과 맞닿는 하측에서부터 후두기저(OCB)와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자극돌기(13)는 사용자의 목근육 상측에 더욱 강한 자극을 줄 수 있다. 자극의 증가는 목 근육과 경추의 이완을 더욱 촉진하여, 경추가 바른 자세를 잡고, 몸이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630386(2016.06.14)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890991(2018.08.22)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로는 사용자의 일자형 경추를 원래의 굴곡된 형상으로 되돌리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로는 힘을 가하여도 더이상 낮아지지 않도록 구성하여 목베게의 원래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로는 원기둥형봉의 구성을 통하여 하나의 목베게로 온 가족이 다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4과제로는 원기둥형봉의 구성을 통하여 하나의 목베게로 좀더 신속하게 또는 기간을 가지고 목운동을 하여 거북목을 치료하는데 사용자가 선택할 수있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바닥평탄부;
상기 바닥평탄부의 장방향 일측부에 구성된 날개부;
상기 바닥평탄부의 상부는 원주형 요홈부를 구성하는 경추안착부;
상기 경추안착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에 구성한 경추길이방향돌기부;
상기 경추안착부의 좌우측단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한 측면원통형부;
상기 바닥평탄부,상기 날개부,상기 경추안착부 및 상기 경추길이방향돌기부의 재질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경추안착부에 경추를 올려놓을 경우에 쿠션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측면원통형부의 일단에서 타단부까지 슬릿부를 구성하며,
상기 측면원통형부에 삽입하도록 탄성이 없는 재질의 원기둥구성을 갖는 원기둥형봉;의 목베게를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원기둥형봉의 크기는 다양한 크기의 지름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의 중앙부위에는 목뼈안착홈부를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추길이방향돌기부의 단부 방향에 돌기부를 구성하여 경추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경우에 지압효과가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로는 사용자의 일자형 경추를 원래의 굴곡된 형상으로 되돌리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발명의 제2효과로는 힘을 가하여도 더이상 낮아지지 않도록 구성하여 목베게의 원래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발명의 제3효과로는 원기둥형봉의 구성을 통하여 하나의 목베게로 온 가족이 다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발명의 제4효과로는 원기둥형봉의 구성을 통하여 하나의 목베게로 좀더 신속하게 또는 기간을 가지고 목운동을 하여 거북목을 치료하는데 사용자가 선택할 수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1은 목베게의 전체 구성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2는 도1의 배면의 구성을 보이는 슬릿부의 구성 도이다.
도3은 측면원통형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4는 경추길이방향돌기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5는 바닥평탄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6은 다양한 크기의 원기둥형봉을 보이는 도이다.
도7 및 도8은 목베게의 측면원통형부(300)에 원기둥형봉을 삽입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9는 배경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1내지 도면8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은 목베게의 전체 구성도를 보이는 도이다.도2는 도1의 배면의 구성을 보이는 슬릿부의 구성 도이다. 도3은 측면원통형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4는 경추길이방향돌기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5는 바닥평탄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6은 다양한 크기의 원기둥형봉을 보이는 도이다.
도7 및 도8은 목베게의 측면원통형부(300)에 원기둥형봉을 삽입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바닥평탄부(400)를 구성하여 평평한 바닥에 안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바닥평탄부(400)의 장방향 일측부에 날개부(100)를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베게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목베게를 베게 될 경우에 경추부가 구성되는 경사부에 따라 경추굴곡이 큰 부위에 경추안착부(200)가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경추를 바로잡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바닥평탄부(400)의 상부는 원주형 요홈부인 경추안착부(200)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경추의 중심부위를 경추안착부(200)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경추안착부(200)를 중심으로 경추를 상하로 이동위치하도록 운동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경추안착부(2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에 경추길이방향돌기부 (210,220,230,240)를 구성하여 경추안착부(200)에 경추를 위치하여 상하로 이동하면서 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경추안착부(200)의 좌우측단부는 원통형상으로 측면원통형부(300)를 구성한다.
전체적으로는 바닥평탄부(400)를 제외한 부분은 원통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경추안착부(200)에 경추를 올려놓을 경우에 쿠션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측면원통형부(300)의 일단에서 타단부까지 슬릿부(31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여 경추부위에 힘을 가할 경우에 베게에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평탄부(400),상기 날개부(100),상기 경추안착부(200) 및 상기 경추길이방향돌기부((210,220,230,240))의 재질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다.
사용자가 상기 경추안착부(200)에 경추를 올려놓을 경우에 쿠션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측면원통형부(300)의 일단에서 타단부까지 슬릿부(310)를 구성하며,
상기 측면원통형부(300)에 빈공간에 삽입하도록 탄성이 없는 재질의 원기둥구성을 갖는 원기둥형봉(500)의 구성을 갖도록 목베게를 구성한다.
목베게에 코아부분에는 탄성이 없는 재질의 원기둥형봉(500)을 삽입함으로 목을 중심으로 힘을 가할경우에도 일정한 높이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경추안착부(200)에 경추를 올려놓을 경우에 상기 원기둥형봉이 다양한 크기의 지름의 구성을 가지고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제1원기둥형봉(510),제2원기둥형봉(520),제3원기둥형봉(530)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더 다양하게 구성하여 힘을 가하여도 더이상 낮아지지 않도록 구성하여 목베게의 원래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다양한 크기의 지름의 구성을 통하여 하나의 목베게로 온 가족이 다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경추안착부92000의 볼륨감의 높낮이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양한 크기의 원기둥형봉(500)의 구성을 통하여 하나의 목베게로 좀더 신속하게 또는 기간을 가지고 목운동을 하여 거북목을 치료하는데 사용자가 선택할 수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즉 거북목이 심하게 또는 그보다 심하지 않는 사용자가 목운동을 할 때 다양한 원기둥형봉(500)의 사용으로 인하여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하고 치료의 기간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자는 좀더 지름이 큰 원기둥형봉(500)을 목베게의 공간부인 측면원통형부(300)에 삽입하여 사용하고 시간을 좀더 길게 하고자 하는 자는 작은지름의 원기둥형봉(500)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처음에는 작은 지름의 원기둥형봉(500)을 사용하다가 순차적으로 큰지름의 원기둥형봉(500)을 목베게에 삽입하여 운동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상기 날개부(100)의 중앙부위에는 목뼈안착홈부(110)를 구성하여 경추에서 척추방향에 구성된 경추끝단의 볼록한 부위가 편안하게 위치할 수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경추길이방향돌기부(210,220,230,240)의 단부 방향에 돌기부(215,225,235,245)를 구성하여 경추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경우에 지압효과가 일어날 수 있도록 목베게를 구성한다.
경추길이방향돌기부(210,220,230,240)는 사용자의 목근육 자극을 주는 것이어서 운동의 효과를 더욱 발휘할 수 있다. 자극의 증가는 목 근육과 경추의 이완을 더욱 촉진하여, 경추가 바른 자세를 잡고, 몸이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날개부 110: 목뼈안착홈부
200: 경추안착부 210,220,230,240:경추길이방향돌기부
215,225,226,235,236,245:돌기부 300:측면원통형부 310:슬릿부
400:바닥평탄부 500:원기둥형봉 510:제1원기둥형봉
520:제2원기둥형봉 530:제3원기둥형봉

Claims (4)

  1. 바닥평탄부;
    상기 바닥평탄부의 장방향 일측부에 구성된 날개부;
    상기 바닥평탄부의 상부는 원주형 요홈부를 구성하는 경추안착부;
    상기 경추안착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에 구성한 경추길이방향돌기부;
    상기 경추안착부의 좌우측단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한 측면원통형부;
    상기 바닥평탄부,상기 날개부,상기 경추안착부 및 상기 경추길이방향돌기부의 재질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경추안착부에 경추를 올려놓을 경우에 쿠션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측면원통형부의 일단에서 타단부까지 슬릿부를 구성하며,
    상기 측면원통형부에 삽입하도록 탄성이 없는 재질의 원기둥구성을 갖는 원기둥형봉;의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형봉의 크기는 다양한 크기의 지름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중앙부위에는 목뼈안착홈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길이방향돌기부의 단부 방향에 돌기부를 구성하여 경추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경우에 지압효과가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게.


KR1020220074022A 2022-06-17 2022-06-17 목 베게 KR20230173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022A KR20230173356A (ko) 2022-06-17 2022-06-17 목 베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022A KR20230173356A (ko) 2022-06-17 2022-06-17 목 베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356A true KR20230173356A (ko) 2023-12-27

Family

ID=8937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022A KR20230173356A (ko) 2022-06-17 2022-06-17 목 베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35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386B1 (ko) 2014-12-23 2016-06-14 주식회사 티앤아이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KR101890991B1 (ko) 2016-09-12 2018-08-22 정혜선 목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386B1 (ko) 2014-12-23 2016-06-14 주식회사 티앤아이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KR101890991B1 (ko) 2016-09-12 2018-08-22 정혜선 목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780Y1 (ko) 숙면용 정형 베개
US20170128307A1 (en) Functional pillow for manipulation therapy
JP4999883B2 (ja)
KR101077885B1 (ko)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CN106456351B (zh) 脊椎支撑架
KR101630386B1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KR100926484B1 (ko) 두개천골 요법을 이용한 명상베개
KR200484005Y1 (ko) 기능성 라텍스 베개
KR101904119B1 (ko) 목 받침 기능성 경추 이완장치
KR20200136286A (ko)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0718661B1 (ko) 물리치료용 헤드레스터
KR100795271B1 (ko) 베어 등목 베개
KR20200136285A (ko) 경추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KR20230173356A (ko) 목 베게
KR102626050B1 (ko) 목 베게
KR20230166377A (ko) 목 베게
KR20230174656A (ko) 목교정기
KR20230174637A (ko) 목 교정기
KR101664462B1 (ko)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KR2002161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210132831A (ko) 경추의 견인운동을 통한 마사지장치
KR20210133333A (ko) 경추굴곡 감지를 통한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CN104207565A (zh) 颈椎康复枕
KR101895003B1 (ko) 기능성 베개
TWI583364B (zh) 用於物理治療之顱薦椎治療與整脊治療用的肌筋膜鬆弛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