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637A - 목 교정기 - Google Patents

목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637A
KR20230174637A KR1020220075808A KR20220075808A KR20230174637A KR 20230174637 A KR20230174637 A KR 20230174637A KR 1020220075808 A KR1020220075808 A KR 1020220075808A KR 20220075808 A KR20220075808 A KR 20220075808A KR 20230174637 A KR20230174637 A KR 20230174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user
neck
cervical spine
sid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우
Priority to KR1020220075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637A/ko
Publication of KR2023017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6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바닥평탄부;
상기 바닥평탄부의 장방향 일측부에 구성된 날개부;
상기 바닥평탄부의 상부는 원주형 요홈부를 구성하는 경추안착부;
상기 경추안착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에 구성한 돌기부;
상기 경추안착부를 구성하는 몸체는 원통형상으로 구성한 측면원통형부;
사용자가 상기 경추안착부에 경추를 올려놓을 경우에 쿠션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측면원통형부의 일단에서 타단부까지 슬릿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 교정기{Neck traction device}
본발명은 목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도7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종래 발명의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는, 사용자의 어깨 위에 올려진 어깨누름부(11); 어깨누름부(11)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감싸는 후방지지부(12); 및 후방지지부(12)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상부경추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자극돌기(13)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어깨 위에 올려진 어깨누름부(11); 어깨누름부(11)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감싸는 후방지지부(12); 및 후방지지부(12)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상부 승모근과 맞닿는 부분에서부터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의 상부경추까지 연장형성된 자극돌기(13)를 포함한다.
어깨누름부(11)는 사용자의 승모근 위에서부터 사용자의 전방을 향해 연장형성된다. 어깨누름부(11)는 어느정도 중량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를 눌러준다. 이와 같은 중량감은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준다.
후방지지부(12)는 어깨누름부(11)에서 연장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감싸는 부분이다. 상부경추는 두개골보다 의자의 등받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의자로서는 지지할 수 없다. 후방지지부(12) 일면은 의자의 등받이와 맞닿고, 그 반대면은 사용자의 경추(특히 상부경추)를 지지한다.
자극돌기(13)는 후방지지부(12) 돌출되어 상부경추를 지지하고, 목덜미를 지압한다.
자극돌기(13)는, 사용자의 후두기저(OCB)를 자극하여 근막이완을 유도한다. 자극돌기(13)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덜미를 전체적으로 자극한다.
자극돌기(13)는 사용자의 후두하부를 지지하며, 목근육을 지압한다. 자극돌기(13)후두융기와 마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자극돌기(13)는 뒷머리와 목의 경계지점인 후두골의 목덜미선(nuchal line)과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면서 후두기저 (Occipital Cranial Base; OCB)와 상부경추(upper cervical;C1,C2,C3) 주변을 자극 및 이완시킨다. 또한, 자극돌기(13)는 후두골하부(suboccipital, C0)와 대응되는 곳에 형성되어, 후두하 근육과 근막(suboccipital muscle and fascia)을 자극 및 이완시킨다.
자극돌기(13)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의 후두근 섬유를 자극한다. 후두근 섬유는 뭉치근육으로 14등분 되어 있으며, 강한 섬유질로 구성되어 있다. 후두근 섬유는 신체 장기계에서 보호를 필요로 하거나 치료를 받아야할 곳에 대한 경보시스템 구역이다. 후두골 섬유는 두개천골 호흡 메커니즘에 의해 특정 척추부분의 기능적인 면들이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것이 국소적으로 구조적 운동성을 저해하고, 뇌척수액(CSF)의 순환과 양도 억제한다.
복수의 자극돌기(13)는 통풍 골에 의해 구분된다. 또한 자극돌기(13)의 상측(13a)은 융기부로 인해 더욱 돌출되므로 후두기저 및 후두근 섬유에 대한 자극 효과가 증가한다.
자극돌기(13)는 후두기저(OCB)와 상부경추에 분포되어 있는 부교감신경을 활성화하여 스트레스로 인해 긴장되어 있던 교감신경의 기전을 정상적인 기전으로 만들어주어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이루게 함으로써 생체의 리듬과 에너지를 정상적인 상태로 만들어 준다.
자극돌기(13)는 후두기저(OCB)와 상부경추 주변의 목덜미 근육을 자극, 이완시켜 후두하부, 환추(경추1번)와 축추(경추2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자세의 교정, 목 디스크의 예방, 치료 효과를 유도한다. 또한, 자극돌기(13)는 경막(DM)과 후두하부의 근육의 긴장상태를 자극, 이완시킨다.
자극돌기(13)는, 사용자의 후두 기저에 존재하는 소후두직근(RCPM)을 자극할 수 있다. 소후두직근(RCPM)은 중추 신경계로 정적 또는 동적 고유수용체의 생체 되먹임(Biofeedback) 신호를 제공하며, 머리 움직임과 위치를 감지하고 주변 근육들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소후두직근(RCPM)이 이러한 근육과 경막(DM) 사이의 연결 조직 역할에 의해 경막(DM)의 긴장을 감지하고 조절한다.
소후두직근(RCPM)이은 뇌와 척수를 보호하는 경막(DM ; Dura meter)에 강하게 붙어 있다. 자극돌기(13)는, 소후두직근(RCPM; Rectus Capitis Posterior Miner)에 지속적인 자극(지압력)을 주게 되므로, 감마신호 활동의 증가를 억제한다. 이로 인해, 서서히 근육이 이완될 것이며 주변 연부조직과 근막도 이완되어 적절한 운동과 자세를 조절해 줄 수 있다.
자극돌기(13)는 소후두직근 뿐 아니라 , 후두기저(OCB)에 존재하는 다양한 혈을 자극하여 뇌빈혈, 뇌출혈, 뇌혈전, 신경쇠약, 뇌염증, 전신경련, 두통, 두풍, 현훈, 설인 신경마비, 언어장애, 대뇌발육부전, 뇌진탕후유증 개선에 도움을 준다.
자극돌기(13)의 길이는,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에서 경추 1번(C1)까지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자극돌기(13)의 길이는,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에서 경추 3번(C3)까지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자극돌기(13)는, 사용자의 상부 승모근과 맞닿는 부분에서부터 경추를 가로질러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와 맞닿는 부분까지 연장형성된다.
자극돌기(13)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후두기저(OCB)에서부터 경추 3번(C3) 이상을 자극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자극돌기(13)의 하측(13b) 단부는 사용자의 승모근과 맞닿고 자극돌기(13)의 상측(13a) 단부는 사용자의 후두기저 (OCB)와 맞닿는다. 다만, 돌출 정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자극돌기(13)는, 사용자의 후두기저(OCB)에서 경추 3번(C3)까지 마주하는 부분이 자극돌기(13)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돌출형성될 수 있다. 자극돌기(13)는 승모근과 맞닿는 하측에서부터 후두기저(OCB)와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자극돌기(13)는 사용자의 목근육 상측에 더욱 강한 자극을 줄 수 있다. 자극의 증가는 목 근육과 경추의 이완을 더욱 촉진하여, 경추가 바른 자세를 잡고, 몸이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630386(2016.06.14)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890991(2018.08.22)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는 사용자의 일자형 경추를 원래의 굴곡된 형상으로 되돌리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바닥평탄부;
상기 바닥평탄부의 장방향 일측부에 구성된 날개부;
상기 바닥평탄부의 상부는 원주형 요홈부를 구성하는 경추안착부;
상기 경추안착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에 구성한 돌기부;
상기 경추안착부를 구성하는 몸체는 원통형상으로 구성한 측면원통형부;
사용자가 상기 경추안착부에 경추를 올려놓을 경우에 쿠션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측면원통형부의 일단에서 타단부까지 슬릿부를 구성하는 목 교정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의 중앙부위에는 목뼈안착홈부를 길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를 구성하는 몸체의 반대면에 좌우고정홈부를 구성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목주변의 좌우를 안착시켜주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측면원통형부는 전체적으로 2 자형상의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측면원통형부는 목주위를 지탱하는 좌우단부방향에서 상기 측면원통형부의 중앙부로 갈수록 공간부의 크기가 점점 줄어들 수 있도록 완만경사부로 구성하여 상기 중앙부는 원통형부의 반경이 작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로는 사용자의 일자형 경추를 원래의 굴곡된 형상으로 되돌리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1은 목 교정기의 전체 구성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2는 도1의 전면을 보이는 도이다.
도3은 도1의 배면의 구성을 보이는 슬릿부의 구성 도이다.
도4는 측면원통형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5는 돌기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6은 바닥평탄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7은 배경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1내지 도면6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바닥평탄부(400)를 구성한다.
상기 바닥평탄부(400)의 장방향 일측부에 날개부(100)를 구성한다.
상기 바닥평탄부(400)의 상부는 원주형 요홈부를 구성하는 경추안착부(200)를 두어 사용자가 경추부분을 올려놓고 상하로 이동하여 적당한 위치를 잡는다.
상기 경추안착부(200)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에 돌기부(210,220,230)를 구성하여 경추를 C자형으로 되돌리도록 운동 및 치료를 하는 것이다.
상기 경추안착부(200)를 구성하는 몸체는 원통형상으로 측면원통형부(300)를 구성한다.
사용자가 상기 경추안착부(200)에 경추를 올려놓을 경우에 쿠션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측면원통형부(300)의 일단에서 타단부까지 슬릿부(310)를 구성하여 바닥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힘에 의하여 지탱하다가 그보다 더 큰 힘이 가해질 경우에 슬릿부가 구성되어 단부가 바닥부에 닿게 되는 것으로 쿠션을 발휘하게 되는 목 교정기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날개부(100)의 중앙부위에는 목뼈안착홈부(110)를 길게 구성하여 목에 구성된 돌기뼈가 방해받지 않고 목뼈안착홈부(110)에 안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돌기부(210,220,230)를 구성하는 몸체의 반대면에 좌우고정홈부(240)를 구성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목주변의 좌우를 안착시켜주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몸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원통형부(300)는 전체적으로 2 자형상의 구성을 갖는 것이다.
슬릿부는 2자의 시작부분과 같고 바닥부는 마지막 구성한 2자의 구성과 같이 구성한 것이다.
상기 측면원통형부(300)는 목주위를 지탱하는 좌우단부방향에서 상기 측면원통형부(300)의 중앙부(350)로 갈수록 공간부의 크기가 점점 줄어들 수 있도록 완만경사부(320)로 구성하여 상기 중앙부(350)는 원통형부의 반경이 가장 작아지도록 구성하여 힘을 가장 많이 받는 중앙부위인 중앙부(350)에 공간부가 가장 적게 구성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날개부 110: 목뼈안착홈부
200: 경추안착부 210,220,230:돌기부
240:좌우고정홈부 300:측면원통형부 310:슬릿부 320:완만경사부
350:중앙부
400:바닥평탄부

Claims (5)

  1. 바닥평탄부;
    상기 바닥평탄부의 장방향 일측부에 구성된 날개부;
    상기 바닥평탄부의 상부는 원주형 요홈부를 구성하는 경추안착부;
    상기 경추안착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에 구성한 돌기부;
    상기 경추안착부를 구성하는 몸체는 원통형상으로 구성한 측면원통형부;
    사용자가 상기 경추안착부에 경추를 올려놓을 경우에 쿠션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측면원통형부의 일단에서 타단부까지 슬릿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교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중앙부위에는 목뼈안착홈부를 길게 구성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교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구성하는 몸체의 반대면에 좌우고정홈부를 구성하여 사용시 사용자의 목주변의 좌우를 안착시켜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교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원통형부는 전체적으로 2 자형상의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교정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원통형부는 목주위를 지탱하는 좌우단부방향에서 상기 측면원통형부의 중앙부로 갈수록 공간부의 크기가 점점 줄어들 수 있도록 완만경사부로 구성하여 상기 중앙부는 원통형부의 반경이 작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교정기.



KR1020220075808A 2022-06-21 2022-06-21 목 교정기 KR20230174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808A KR20230174637A (ko) 2022-06-21 2022-06-21 목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808A KR20230174637A (ko) 2022-06-21 2022-06-21 목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637A true KR20230174637A (ko) 2023-12-28

Family

ID=8938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808A KR20230174637A (ko) 2022-06-21 2022-06-21 목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63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386B1 (ko) 2014-12-23 2016-06-14 주식회사 티앤아이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KR101890991B1 (ko) 2016-09-12 2018-08-22 정혜선 목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386B1 (ko) 2014-12-23 2016-06-14 주식회사 티앤아이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KR101890991B1 (ko) 2016-09-12 2018-08-22 정혜선 목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780Y1 (ko) 숙면용 정형 베개
US20170128307A1 (en) Functional pillow for manipulation therapy
KR101077885B1 (ko)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JP4999883B2 (ja)
CN106456351B (zh) 脊椎支撑架
KR100926484B1 (ko) 두개천골 요법을 이용한 명상베개
US20120024295A1 (en) Orthopedic device
KR101630386B1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KR200484005Y1 (ko) 기능성 라텍스 베개
KR20200136286A (ko)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20200136285A (ko) 경추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KR100718661B1 (ko) 물리치료용 헤드레스터
KR100795271B1 (ko) 베어 등목 베개
KR101378163B1 (ko) 멀티자세 교정기
KR20230174637A (ko) 목 교정기
KR102626050B1 (ko) 목 베게
KR20230174656A (ko) 목교정기
KR20230166377A (ko) 목 베게
KR20230173356A (ko) 목 베게
KR101848645B1 (ko) 기능성 경추 이완 장치
KR2002161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01664462B1 (ko)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KR100371610B1 (ko) 의자를 이용한 척추 교정방법
CN205234139U (zh) 失眠康复枕
KR20210132831A (ko) 경추의 견인운동을 통한 마사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