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04935A1 - 파이프형 전해셀 - Google Patents

파이프형 전해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04935A1
WO2016104935A1 PCT/KR2015/011466 KR2015011466W WO2016104935A1 WO 2016104935 A1 WO2016104935 A1 WO 2016104935A1 KR 2015011466 W KR2015011466 W KR 2015011466W WO 2016104935 A1 WO2016104935 A1 WO 20161049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ipe
electrolytic cell
flui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14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붕익
김정식
신현수
김민용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윈 filed Critical (주)테크윈
Priority to JP201753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JP6435413B2/ja
Priority to CN201580069447.7A priority patent/CN107109671B/zh
Priority to EP15873463.2A priority patent/EP3239360B1/en
Publication of WO20161049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04935A1/ko
Priority to US15/623,995 priority patent/US1055048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01Electrolytic cell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9/015Cylindric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25B1/265Chlo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34Simultaneous production of alkali metal hydroxides and chlorine, oxyacids or salts of chlorine, e.g. by chlor-alkali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36Bipolar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25B9/63Holders for electrodes; Positioning of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type electrolytic c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type electrolytic cell that can reduce the size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size while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the tubular electrolytic cell.
  • an electrolysis tank for electrolyzing electrolyte solutions such as seawater and brine
  • electrolyte solutions such as seawater and brine
  • Such an electrolytic cell has a pipe-shaped electrode, and is usually composed of an outer and an inner pipe.
  • the inner pipe it is an integral bipolar tube electrode, one of which is an anode, the other of which is a cathode, and, in the case of an outer pipe, an individual pipe electrode, which is the anode and cathode of the opposite polarity of the inner electrode, based on the insulating spacer in the center of the cell.
  • the inner and outer pipes may be composed of monopolar electrodes each composed of a single electrode.
  • the electrolyte solution passes through the outer and inner pipes, and the electrolysis is performed by supplying DC power to each terminal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hereby generating the desired electrolytic water.
  • the electrolysis process is a process of producing chlorine, caustic soda, sodium hypochlorite through electrolysis of seawater or brine, hydrogen or oxygen generation by electrolysis, various organic chemical manufacturing process through electrolysis of carbon dioxide, ammonia or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processes such as organic decomposition, acidic and alkaline water production processes.
  • chlorine ions are generated through oxidation of chlorine ions (Cl ⁇ ) at the anode, and hydrogen gas (H 2 ) and hydroxide ions (OH ⁇ ) are generated at the cathode through water decomposition.
  • the hydroxide ions generated at the cathode (OH -) are bulk sodium ion (Na +) and produced caustic soda (NaOH) by meeting and produced in such a caustic soda the anode chlorine (Cl 2) reacts on the bulk sodium hypochlorite Will produce (NaOCl).
  • Sodium hypochlorite thus produced will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for the purpose of lowering biological activity, sterilization and cleaning.
  • the hardness material (Ca, Mg)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solution is scaled by forming the scale at the cathode by the following chemical reaction during the electrolytic reaction, the electrolytic efficiency is lowered, the cell voltage is increased, and the fluid flow is increased. Not only will it interfere, but in extreme cases it will result in physical damage from short-circuit.
  • an anode bar is provided as an anode inside a pipe through which a fluid flows.
  •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housing surrounding a bar is used as a cathode and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an anode bar to form an electromagnetic field in the flow path to prevent generation of scale. That is, when the fluid flows along the flow path in which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formed, the inorganic material in the fluid is sufficiently contained by the electromagnetic field, thereby changing to a stable structure to prevent scale generation.
  • the density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should be uniformly formed.
  • the density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uniform.
  • the method of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scale by the electric method as in the prior art requires a high level of technology that must precisely control the strength of the applied current according to the flow rate, it is easy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generation of scale substantial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orcibly remove the generated scale by a mechanical method.
  •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32399 (pipe type electrolytic cell) is disclosed.
  • the conventional 'pipe type electrolysis cell' implements the shape of the electrolytic cell without the edge portion of the electrode in the fluid flow region in order to block the scale genera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por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lytic cell. 6 is shown.
  • the conventional pipe type electrolytic cell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outer pipe 12 and a negative electrode outer pipe 13 are connected with a central insulating portion 11 interposed therebetween.
  • a cathode inner pipe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anode outer pipe 12, and an anode inner pipe 13 ′ is installed inside the cathode outer pipe 13.
  • the insulating bush 14, the spiral block 15, the fixing bush 16, and the inlet / outlet connecting nipple 17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outer coupling member 18 at the end of the electrolytic cell 10.
  • the pipe-type electrolytic cell 10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s a unit electrolytic cell, a plurality of electrolytic cells 10 are connected in series as shown in FIG.
  • the unit modules 20 may be further connected in parallel to increase installation capacity as shown in FIG. 2.
  • the electrolytic module using the pipe-type electrolytic cell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better pressure resistance, simpler structure, and smoother hydrogen distribution according to a smooth flow rate distribution than the conventional electrolytic module using a square casing type electrode. It has the advantage of smooth drainage and minimizing scale scale.
  • Patent Document 1 Published Patent 10-2006-0098445 (Electromagnetic Field Water Treat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 and reduces the number of assembly parts, simplifies the assembly process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and halved the size of the unit module of the same capacity while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technology ensured safety.
  •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mproved pipe-type electrolytic cell to overcome the space constraints by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pipe-type electrolysis cell that can reduce the installation space and reduce the cost by maintaining the electrolysis performance while reducing the size. There is this.
  • the purpose is to achieve uniformity and efficiency of the reaction by making the current distribution uniform in the multistage pipe type electrolyzer.
  • Pipe type electrolytic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air of terminal electrodes consisting of a pipe-type external electrode and the inner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the other en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pipe-shaped bipolar electrode installed inside the pair of terminal electrodes and insulated from the terminal electrode.
  • the insulating portion for supporting and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terminal electrode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spiral block coupled to one end of the pair of terminal electrod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spiral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 the terminal electrode prefer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inner electrode and the external electrode, and includes a connection plate having a fluid passage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electrode and the external electrode to guide the fluid movement.
  • end insulation spacers provided at each of both ends of the bipolar electrode to insulate the connecting plate from the internal electrodes and the external electrodes.
  •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which is not subjected to the electrolytic reaction that is, plated with a metal having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on at least one of the outside of the pipe of the external electrode or the inside of the pipe of the internal electrode.
  • connection plate having the fluid through hole and the external electrode and the inner electrode may be welded.
  • the plurality of fluid through holes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is preferably formed to pass through to match the spiral guide of the spiral block.
  • the positioning guide pin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plate, the spiral block,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plate, a plurality of spiral guide hole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luid through hole is formed It is good.
  • a positioning hole for determining a coupling position is formed so that the guide hole and the fluid through hole of the connecting plat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coupled with the connecting plate.
  • the insulating unit may include: an outer insulating spacer provided outside the center of the bipolar electrode; And an inner insulating spacer installed inside the center of the bipolar electrode.
  • the insulating portion for supporting and connecting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terminal electrode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spiral block coupled to one end of the pair of terminal electrod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spiral guide hole through which a fluid passes.
  • the outer insulating spac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and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termediate electrode; It is preferable to have a pair of electrode coupling portion formed to be stepped to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coupled to the external electrode.
  • the inner insulating spacers are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intermediate electro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and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pair of electrode coupling portions formed on both ends are formed stepp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one end of the inner electrode is fitted.
  • connection pipe or a connection nippl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erminal electrode and connected to the adjacent pipe-type electrolytic cell, wherein the connection pipe and the connection nipple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luid passage therein is gradually inclined upwardly good.
  • the pipe-type electrolytic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bipolar electrode can be used for electrolysis, electrolysis can be performed twice as much as before with the same volume capac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while lowering the cost of the entire electrolytic module produced by connecting the pipe-type electrolytic cell of such a configuration.
  • the current distribution of the electrode can be uniformed to achieve uniformity and efficiency of the electrolytic reaction.
  • Such a pipe-type electrolytic cell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reduced to 1/2 while maintaining the same electrolysis performance, in particular due to the prior art, which is constrained by the installation space, thereby reducing the cos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unit electrolytic modul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arge capacity electrolytic module.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pipe type electrolytic cell.
  • FIG.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portion A of FIG. 3.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3.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piral block shown in FIG. 5.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type electrolytic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1 of FIG. 7.
  •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2 of FIG. 7.
  •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3 of FIG. 7.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mediate electrode illustrated in FIG. 7.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main portion of FIG. 11.
  • 13 is a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ternal electrode and the internal electrode.
  •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n outer insulating space of FIG. 7.
  • 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an inner insulation space of FIG. 7.
  • FIG. 16 is a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spiral block of FIG.
  • connection pipe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ion pipe.
  • 17B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ng nipple.
  • the pipe-type electrolytic cel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20 on one side, the inlet and outlet connection nipple 130 is coupled to the electrolytic unit module Configured to achieve.
  • the pipe type electrolytic cell 110 includes a pair of terminal electrodes, a bipolar electrode, an insulation part, and a spiral block 118.
  • each of the pair of terminal electrodes has one end of the internal electrodes 115a and 115b and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connected to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internal electrodes 115a and 115b and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to each other.
  • the connecting plate 116 is electrically connected.
  • the bipolar electrode includes a pipe-shaped intermediate electrode 111 provided between the internal electrodes 115a and 115b and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is a bipolar electrode having opposite polarities at each end, and as shown in FIGS. 11 and 12, end insulation spacers 117 are coupled to each end.
  • end insulation spacers 117 may be provided at each end of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and each of the end insulation spacers 117 may be provided at intervals of 120 degrees, but the quantity and spacing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end insulating spacer 117 may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and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 the end insulating spacer 117 is formed with a coupling pin 117a coupled to the spacer coupling hole 111b formed at the end of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is spaced apart from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insulating state is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constant interval with the connecting plate 116.
  • the end insulation space 117 is spaced apart from the above-described shape as well as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and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at regular intervals, and also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tube 116 at regular intervals to maintain an insulating state.
  • the structure can be any shape and structure. In this case, however, the electrolyte solution flowing into the fluid through hole of the connection pipe 116 shoul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luid can be moved between the electrodes.
  • the insulating part includes an outer insulating spacer 112 provided outside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and an inner insulating spacer 113 installed inside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It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have a pipe shape, one of which is a cathode and the other of which is supplied with a positive power source.
  • An outer insulating spacer 112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to insulate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from each other and to maintain the intermediate electrodes 111 at regular intervals. That is, as shown in FIG. 15, the outer insulating spacer 112 has a protrusion 112a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so that the outer insulating spacer 112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maintain the posture. can do.
  •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2a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 the electrode coupling portions 112b into which the respectiv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are inserted and coupled to each of both ends of the outer insulating spacer 112, are formed to be stepped (expand the inner diameter)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2c.
  • 114a and 114b may be coupled to the outer insulating spacer 112 in a state insulated from each other.
  • one end adjacent to each other of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is coupled to the outer insulating spacer 112,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is fitted into the connector 120 or the inlet / outlet connecting nipple 130.
  • connection tube 116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is coupled in a fastening method capable of maintaining conductivity by lowering electrical resistance through methods such as welding and welding the other ends of the internal electrodes 115a and 115b and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Therefore, the internal electrodes 115a and 115b and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plate 116 have opposite electrodes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the one electrode 114a and 115a connected to each other have the same pole (cathode). 114b and 115b have the same pole (anode).
  • An inner insulating spacer 113 is provided between the internal electrodes 115a and 115b so that the internal electrodes 115a and 115b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the internal electrodes 115a and 115b and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maintain the status.
  • the inner insulating spacer 113 is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and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3a protruding outward.
  • the protrusion 113a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3c of the inner insulation spacer 113 and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 both ends of the inner insulating spacer 113 are stepp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3c, and coupling portions 113b having one end adjacent to each other of the inner electrodes 115a and 115b are fitt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 the inner insulation spacers 113 support the internal electrodes 115a and 115b while insulating each other, and maintain the insulated stat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 the outer insulating spacer 112 and the inner insulating spacer 113 are not only supported as described above, but also supported while insulating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or the internal electrodes 115a and 115b, respectively, and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If the structure can maintain an insulated stat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any shape and structure. However,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12a of the outer insulating spacer 112 and the protrusion 113a of the inner insulating spacer 113 configured to maintain the insulated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are electrolytes circulat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electrodes and the intermediate electrode. It is desi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does not disturb the flow of the solution as much as possible.
  •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ie, the bipolar electrode, which is provided at intervals in a pipe shape between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and the internal electrodes 115a and 115b, is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and 114b and the internal electrodes. Power sources of the opposite poles corresponding to the ones 115a and 115b are applied. Therefore, the electrolysis reaction is performed while the fluid passes between eac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At this time, the fluid flows to each of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so that the electrolysis can be performed, and thus, the electrolytic capacity is more than twice that of the conventional pipe type electrolytic cell. That is, twice the electrolysis capacity can be obtained with the same volume as the existing electrolytic module.
  •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operation of such a pipe-type electrolytic cell are well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ior art, and thus, further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nnecting plate 116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luid through-holes (116a) to pass the fluid between the internal electrodes (115a, 115b) and the external electrodes (114a, 114b) in a constant size an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o.
  • the positioning guide pin 116b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connecting plate 116 so that the coupling posture may be configured to be precisely aligned when combined with the spiral block 118.
  • the connecting plate 116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intimate multi-stage. When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it is preferable to form a spiral structure by combing and stacking the fluid through-holes, or to configure the fluid through-hole itself to form a spiral to serve as a spiral guide.
  • the spiral block 118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plate 116, a plurality of spiral guide hole 118a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helical guide hole 118a, the fluid is guided so as to have a spiral (spiral) shape when the fluid flows in and out, so that the velocity distribution can be uniform. In addition, the spiral block 118 in the coupling position so that the guide hole 118a and the fluid passage hole 116a of the connecting plate 116 coincide with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coupling plate 116 is coupled to each other.
  • the positioning hole 118b for determining the shape is formed.
  • the spiral block 118 is coupled to the connector 120 or the inlet and outlet nipple 130.
  • the intermediate electrode 111 is a double-sided anode coating proces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half of the entire length, it is possible to use both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electrolysis unlike the conventional, so that the electrolysis capacity can be doubled do.
  • the terminal electrode that is, the cathode-side external electrode 114a and the internal electrode 115a may be formed of titanium, stainless steel, or nickel alloy.
  • the cathode side external electrode 114a and the internal electrode 115a are combined in a fastening method to maintain electrical conductivity by lower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through a method such as welding with the connecting plate 116, and conducting an electrolytic reaction while the electrolyte passes.
  • One or more of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i.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electrode 115a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electrode 114a, is plated with a metal having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so that a current is appl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during the electrolytic reaction. It can make it possible to distribute uniformly. As a result, the uniformity and efficiency of the electrolytic reaction and the calorific value control that can not be solved in the conventional multistage electrolyzer can be configured.
  • the anode-side external electrode 114b and the internal electrode 115b are formed using titanium, and the external electrode 114a is formed of an insoluble electrode coated with platinum group oxi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electrode 115b.
  • the same method as the cathode terminal electrode described above is manufactured to maintain electrical conductivity through plating and welding.
  • the plurality of pipe-type electrolytic cells 1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tate arranged in series to be interconnected by the connecting pipe 120 so that the fluid can move.
  • connection pipe 120 or the connection nipple 130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ipe-type electrolytic cell 110, respectively. Tha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pipe 120 or the connection nipple 130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ipe-type electrolytic cell 110 is also possible, and the connection pipe 120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connection nipple 13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The structure is possible.
  • connection pipe 120 and the connection nipple 130 has a bottom portion (as shown in FIGS. 17A and 17B)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fluid and separation of hydrogen.
  • Surface) 121 and 131 may be configured to be gradually inclined upwardly.
  • the electrolytic unit modul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pipe-type electrolytic cells 110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nnected in series.
  • the pipe-type electrolytic cell 110 is provided with a pipe-type bipolar electrode (intermediate electrode) between a terminal electrode made of an external electrode and an internal electrode, and thus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bipolar electrode.
  • a pipe-type bipolar electrode intermediate electrode
  • the electrolytic capacity corresponding to two sets of existing modules can be treated as one set module.
  • the electrolytic capacity can be obtained in the same way. In this case, only 65% of the electrode material needs to be used, and about 50% of the epoxy molding amount, and the corresponding frame amount. It can also be reduced by approximately 50%.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size while reducing the cost while maintaining capacity, which is very economical.
  • pipe type electrolytic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device for electrolyzing general water such as general fresh water as well as the electrolysis of sea water, br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Abstract

일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분리되는 파이프형의 외부전극 및 내부전극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터미널전극과, 한 쌍의 터미널 전극 내부에 설치되며 터미널전극과 절연된 상태의 파이프형의 바이폴라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파이프형 전해셀
본 발명은 파이프형 전해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형의 전해셀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사이즈를 줄여 설치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는 파이프형 전해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 염수 등의 전해질용액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전기분해조의 일예로서, 파이프형 전해셀이 있다.
이러한 전해셀은 파이프형의 전극을 갖게 되며, 통상적으로 외부 및 내부파이프로 구성된다. 내부 파이프의 경우에는 한쪽은 양극, 다른 한쪽은 음극인 일체형 바이폴라 튜브 전극으로, 그리고 외부 파이프의 경우에는, 셀 중앙의 절연 스페이서를 기준으로 하여 내부전극의 반대 극성의 양극 및 음극인 개별 파이프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및 외부파이프가 각각 단일 전극으로 구성된 모노폴라형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형 전해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및 내부 파이프 상으로 전해질 용액이 통과하면서 양극과 음극의 각 단자에 직류전원을 공급하여 전기분해를 수행하면 목적하는 전기분해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기분해공정은 해수나 염수의 전기분해를 통한 염소, 가성소다,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을 생산하는 공정, 수전해에 의한 수소나 산소생성, 이산화탄소의 전해를 통한 다양한 유기화학물 제조공정, 암모니아나 유기물의 분해공정, 산성수 및 알카리수 제조공정 등 다양한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이중 가장 대표적인 공정인 해수나 염수의 전기분해에 의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에 대한 주요 화학반응식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양극반응) 2Cl- → Cl2 + 2e-
음극반응) 2H2O + 2e- → 2OH- + H2
벌크반응) Cl2 + 2NaOH → NaOCl + NaCl + H2O
이와 같이 양극에서는 염소이온(Cl-)의 산화반응을 통해 염소(Cl2)가 생성되고 음극에서는 물분해반응을 통해 수소가스(H2)와 수산화이온(OH-)이 생성된다. 음극에서 생성된 수산화이온(OH-)은 벌크상 나트륨이온(Na+)과 만나면서 가성소다(NaOH)를 생성하고 이러한 가성소다와 양극에서 생성된 염소(Cl2)가 벌크 상에서 반응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생물의 활성을 낮추거나, 살균소독 및 세정을 목적으로 다양한 사용처에서 사용되게 된다.
그러나 이때 전해질용액에 포함된 경도물질(Ca, Mg) 등이 전해반응 중 아래의 화학반응에 의해 음극에 스케일을 형성하여 축척되므로 전해효율을 낮추고, 셀전압의 상승을 가져오며, 유체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극간 단락에 의한 물리적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스케일 생성반응) HCO3 - + NaOH → CO3 2- + H2O + Na+
Ca2+ or Mg2+ + CO3 2- → CaCO3 or MgCO3
Ca2 + or Mg2 + + 2OH- → Ca(OH)2 or Mg(OH)2
이와 같은 스케일의 축척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10-2006-0098445(전자장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도 개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흐르는 배관 내부에 양극으로서 어노드바를 설치하고, 어노드바를 둘러싼 하우징을 음극으로 하고, 어노드바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유로에 전자장을 형성시켜서 스케일의 생성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즉, 유체가 전자장이 형성된 유로를 따라 흐를 때, 유체 내의 무기물은 전자장에 의해 충분히 자유전자가 함유됨으로써 안정적인 구조로 변화되어 스케일 생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전자장을 형성시켜 스케일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전자장의 밀도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유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이 일정하지 않고 변동될 경우, 전자장의 밀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스케일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전기적인 방법에 의해 스케일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은 유량에 따라서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정밀하게 제어해야 하는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므로, 실질적으로 스케일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따라서 생성되는 스케일을 기구적인 방법에 의해 강제로 제거해 줄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32399호(파이프형 전해셀)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파이프형 전해셀'은 전해조의 운전시 발생하는 음극부의 스케일 생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유체 유동 영역에서 전극의 모서리 부분이 없이 전해조의 형상을 구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화된 구성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파이프형 전해셀(10)은 중앙의 절연부(11)를 사이에 두고 양극 외부파이프(12)와, 음극 외부파이프(13)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양극 외부파이프(12)의 내측에는 음극 내부파이프(미도시)가 설치되고, 음극 외부파이프(13)의 내측에는 양극 내부파이프(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해셀(10)의 단부에는 절연부시(14), 스파이럴 블록(15), 고정부시(16) 및 입출구 연결니플(17)이 서로 외측의 결합부재(18)에 의해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스파이럴 블록(15)을 사용함으로써 스파이럴 블록(15)의 나선홀(15a)을 통해 유체가 전해셀(10) 내외로 유입 및 유출시 스파이럴(나선) 형상으로 구성하여 속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전해 반응시 생성되는 가스(H2, O2)들이 특정구간에서 밀집되어 유동하게 하는 원인을 제거하여 가스로 인한 전극 표면 반응 방해 요인이 제거되어 전극 표면의 균일한 반응이 수반됨으로써 전해 반응 효율 및 수명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파이프형 전해셀(10)을 단위 전해셀로 하여 복수의 전해셀(10)을 도 1과 같이 직렬 연결하여 단위 모듈(20)을 제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단위 모듈(20)을 병렬로 더 연결하여 도 2와 같이 용량을 늘려서 설치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파이프형 전해셀(10)을 이용한 전해모듈은 기존 평판형 전극을 이용한 사각케이싱 방식의 전해모듈에 비해 내압성이 우수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원활한 유속분포에 따라 생성된 수소의 원활한 배출과 스케일 축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이프형 전해셀의 경우 전극의 일면만을 사용함으로 인해 소재의 낭비가 크고, 설치공간이 협소한 곳에 사용하는 것에 한계를 가진다. 더불어 전극을 구성하는 구성품의 소요가 많고, 조립이 복잡한 이유 등으로 인해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기존 파이프형 전해셀의 경우 전극에서의 전류분포가 불균일하여 다단으로 구성하기가 어려우며, 다단으로 구성하더라도 균일한 반응성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전극의 수명이 단축 및 발열량 과다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공개특허 10-2006-0098445(전자장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조립부품 수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작원가를 낮추고, 안전성이 확보된 기존 기술의 장점들을 최대한 가지면서도 동일 용량의 단위 모듈 크기를 반으로 제작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줄여 공간 제약을 극복하도록 개선된 파이프형 전해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이즈를 줄이면서 전기분해성능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줄이고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파이프형 전해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단 파이프형 전해조에서 전류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반응의 균일성과 효율증가를 이루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이프형 전해셀은, 일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분리되는 파이프형의 외부전극 및 내부전극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터미널전극과; 상기 한 쌍의 터미널 전극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전극과 절연된 상태의 파이프형의 바이폴라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터미널 전극의 서로 분리된 타단을 지지하여 연결하는 절연부와; 상기 한 쌍의 터미널전극의 서로 연결된 일단에 대응되게 결합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나선형 가이드공을 가지는 스파이럴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전극은, 상기 내부전극과 외부전극의 단부를 연결지지하며, 상기 내부전극과 외부전극 사이와 연통되어 유체이동을 가이드 하는 유체통과공을 가지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이폴라 전극의 양단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판과 상기 내부전극 및 외부전극과 이격되어 절연시키는 단부 절연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전해반응이 수행되지 않는 전극의 타측면, 즉 외부전극의 파이프 외부 또는 내부전극의 파이프 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도금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통과공을 갖는 연결판과 상기 외부 전극 및 내부전극과 용접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체통과공은 상기 스파이럴 블록의 나선형 가이드와 일치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판의 외측으로 위치결정 가이드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파이럴블록에는, 상기 연결판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통과공에 대응되게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나선형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연결판과의 결합시 상기 가이드공과 연결판의 유체통과공이 서로 일치하여 맞닿아 연결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공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절연부는, 상기 바이폴라전극의 중심부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절연스페이서; 및 상기 바이폴라전극의 중심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절연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터미널 전극의 서로 분리된 타단을 지지하여 연결하는 절연부와; 상기 한 쌍의 터미널전극의 서로 연결된 일단에 대응되게 결합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나선형 가이드공을 가지는 스파이럴 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외측 절연스페이서는, 내주측의 중앙부분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중간전극의 외주에 접촉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내주면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전극의 결합되는 한 쌍의 전극 결합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내측 절연스페이서는, 상기 중간전극의 내부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며, 외주로 돌출되고 원주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양단부 각각에 형성되어 외주면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전극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전극 결합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터미널 전극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웃한 파이프형 전해셀과 연결하는 연결관 또는 연결니플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 및 연결니플은 그 내부의 유체 통로의 바닥면이 점진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파이프형 전해셀에 의하면, 바이폴라전극의 내면과 외면 모두를 전기분해에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동일한 부피용량으로 기존보다 2배의 전기분해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파이프형 전해셀을 연결하여 제작되는 전해모듈 전체의 원가를 낮추면서도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다단전해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해반응을 수행하지 않는 전극의 타측면에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을 도금처리함으로 전극의 전류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전해반응의 균일성과 효율증가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형 전해셀은 특히, 설치공간상의 제약을 받는 종래 기술에 빙하여 동일한 전기분해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설치공간은 1/2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따라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단위 전해모듈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대용량 전해모듈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파이프형 전해셀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5은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파이럴 블록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셀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D1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D2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D3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1는 도 7에 도시된 중간전극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는 외부전극와 내부전극의 연결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도 7의 외측 절연스페이스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도 7의 내측 절연스페이스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6은 도 7의 스파이럴블록을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7a는 연결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b는 연결니플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셀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셀(110)은 일측에 연결관(120)에 연결되고, 타측에 입출구 연결니플(130)이 결합되어 전해 단위모듈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셀(110)은 한 쌍의 터미널전극과, 바이폴라 전극, 절연부 및 스파이럴블록(118)을 구비한다.
여기서, 한 쌍의 터미널 전극 각각은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내부전극(115a,115b)과 외부전극(114a,114b)과, 내부전극(115a,115b)과 외부전극(114a,114b)의 일단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판(116)을 구비한다.
그리고 바이폴라 전극은 내부전극(115a,115b)과 외부전극(114a,114b) 사이에 설치되는 파이프형의 중간전극(111)을 구비하다.
즉, 중간전극(111)은 양단 각각에서 서로 반대의 극성을 띠게 되는 바이폴라 전극이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각각에는 단부 절연스페이서(117)가 결합된다. 구체적인 예로, 단부 절연스페이서(117)는 중간전극(111)의 양단 각각에 3개씩 설치되며, 각각은 120도 간격을 두고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그 수량과 간격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단부 절연스페이서(117)는 중간전극(111)의 단부에서 돌출되며, 외주측으로도 돌출되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부 절연스페이서(117)에는 중간전극(111)의 단부에 형성된 스페이서 결합공(111b)에 결합되는 결합핀(117a)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부 절연스페이서(117)에 의해 중간전극(111)은 외부전극(114a,114b)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연결판(116)과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절연상태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단부 절연스페이스(117)는 상기와 같은 형태뿐만 아니라 중간전극(111)과 외부전극(114a,114b)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연결관(116)과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절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 이때 연결관(116)의 유체통과공으로 유입되는 전해질용액이 전극사이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는 중간전극(111)의 중심부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절연스페이서(112)와, 중간전극(111)의 중심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절연스페이서(113)를 구비하며,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외부전극(114a,114b)은 파이프 형상으로서 하나는 음극이고 다른 하나는 양극 전원이 인가된다. 한 쌍의 외부전극(114a,114b) 사이에는 외측 절연스페이서(112)가 설치되어 외부전극(114a,114b)을 서로 절연시키면서 중간전극(111)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즉, 외측 절연스페이서(11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측의 중앙부분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112a)를 구비함으로써 중간전극(111)의 외주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자세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112a)는 복수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중간전극(111)의 외주에 접촉지지된다. 그리고 외측 절연스페이서(112)의 양단부 각각으로 각 외부전극(114a,114b)이 끼워져 결합되는 전극 결합부(112b)가 내주면(112c)으로부터 단차지게(내경이 확장되게)게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전극(114a,114b)이 서로 절연된 상태로 외측 절연스페이서(112)에 지지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전극(114a,114b)의 서로 인접한 일단은 외측 절연스페이서(112)에 결합되고, 반대측 타단은 연결관(120) 또는 입출구 연결니플(130)에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외부전극(114a,114b)의 타단은 연결판(116)에 의해 내부전극(115a,115b)의 타단과 연결된다. 연결관(116)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전극(115a,115b)과 외부전극(114a,114b)의 타단과 용접과 같은 방법을 통해 전기적 저항을 낮추어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은 체결방식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서로 연결판(116)에 의해 연결된 내부전극(115a,115b)과 외부전극(114a,114b)은 서로 연결된 어느 한쪽 전극(114a,115a)이 동일한 극(음극)을 띠고, 서로 연결된 반대측 전극(114b,115b)은 동일한 극(양극)을 띠게 된다.
그리고 내부전극(115a,115b)들 사이에는 내측 절연스페이서(113)가 설치되어, 내부전극(115a,115b) 서로가 절연되고, 내부전극(115a,115b)과 중간전극(111)이 이격되어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내측 절연스페이서(113)는 중간전극(111)의 내부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며, 외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13a)를 가진다. 돌출부(113a)는 내측 절연스페이서(113)의 외주면(113c)에서 돌출되고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중간전극(111)의 내주에 접촉된다. 그리고 내측 절연스페이서(113)의 양단부에는 외주면(113c)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내부전극(115a,115b)의 서로 인접한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113b)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 절연스페이서(113)는 내부전극(115a,115b)을 서로 절연시키면서 지지하고, 중간전극(111)과도 이격되어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외측 절연스페이서(112)와 내측 절연스페이서(113)는 상기와 같은 형태뿐만 아니라 각각 외부전극(114a,114b)간에 또는 내부전극(115a,115b)간을 절연시키면서 지지하고, 중간전극(111)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절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 이때 중간전극(111)을 이격하여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외측 절연스페이서(112)의 돌출부(112a)와 내측 절연스페이서(113)의 돌출부(113a)는 내외부전극 및 중간전극 사이로 유통되는 전해질용액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부전극(114a,114b)과 내부전극(115a,115b) 사이에 파이프형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중간전극(111) 즉, 바이폴라 전극은 외부전극(114a,114b) 및 내부전극(115a,115b)과 서로 대응되는 반대 극의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중간전극(111)의 외주측 및 내주측 각각의 사이로 유체가 통과하면서 전기분해 반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중간전극(111)의 내측 및 외측 각각으로 유체가 흐르면서 전기분해를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의 파이프형 전해셀보다 2배 이상의 전기분해능력을 갖게 된다. 즉, 기존 전해모듈과 같은 부피를 가지고 2배의 전기분해능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형 전해셀의 자세한 설명 및 동작은 종래기술로부터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연결판(116)에는 유체를 내부전극(115a,115b)과 외부전극(114a,114b) 사이로 통과하도록 하는 다수의 유체통과공(116a)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크기 및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판(116)의 외측으로 위치결정 가이드핀(116b)이 적어도 하나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파이럴블록(118)과의 결합시 결합자세를 정확하게 정렬시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판(116)은 두 개 이상이 밀접된 다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다단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유체통과공을 빗겨서 적층하여 스파이럴의 구조를 형성하거나, 유체통과공 자체를 스파이럴을 형성하여 나선형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파이럴블록(118)은 연결판(116)의 외측에 결합되며, 다수의 나선형의 가이드공(118a)이 원주방향으로 따라 형성된다. 유체가 나선형의 가이드공(118a)을 통과하면서 유체의 유출입시 유체를 스파이럴(나선) 형상이 되도록 가이드 하여 속도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파이럴블록(118)에는 연결판(116)과의 결합시 가이드공(118a)과 연결판(116)의 유체통과공(116a)이 서로 일치하여 맞닿아 연결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공(118b)이 형성된다. 이 위치결정공(118b)에 연결판(116)의 위치결정 가이드핀(116b)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연결하면, 유체통과공(116a)과 가이드공(118a)이 일치되어 유체가 저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파이럴블록(118)은 연결관(120) 또는 입출구 연결니플(13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간전극(111)은 외주면과 내주면을 전체 길이 중 절반을 양면 양극 코팅 처리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내면과 외면 모두를 전기분해에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전기분해 용량을 2배 늘릴 수 있게 된다.
또한, 터미널 전극 즉, 음극측 외부전극(114a) 및 내부전극(115a)은 티타늄이나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니켈합금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극측 외부전극(114a) 및 내부전극(115a)을 연결판(116)과 용접과 같은 방법을 통해 전기적 저항을 낮추어 전기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체결방식으로 결합하고, 전해질이 통과하면서 전해반응을 수행하지 않는 전극의 타 측면, 즉 내부전극(115a)의 내주면 또는 외부전극(114a)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도금하여 줌으로써, 전해 반응시 전극의 길이 방향으로 전류를 균일하게 배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 방식의 다단전해조에서 해결할 수 없는 전해반응의 균일성과 효율증가 및 발열량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터미널 전극 중 양극측 외부전극(114b)과 내부전극(115b)은 티타늄을 사용하여 형성하되, 외부전극(114a)은 내면을 내부전극(115b)은 외면을 백금족 산화물을 코팅한 불용성전극으로 구성하고, 앞서 설명한 음극측 터미널 전극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금 및 용접을 통해 전기전도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제작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복수의 파이프형의 전해셀(110)은 직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한 단부가 상기 연결관(12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수의 파이프형 전해셀(110) 중에서 양측의 최외곽에 위치한 전해셀(110)에는 입출구 연결니플(130)이 각각 연결된다. 즉, 파이프형 전해셀(110)의 양측에 연결관(120) 또는 연결니플(130)이 연결된 구조도 가능하고, 일측에는 연결관(120)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연결니플(130)이 연결된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관(120)과 연결니플(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내부 유체이동구 즉, 유체이동통로의 형태가 유체의 이동과 수소의 분리가 더욱 용이하도록 도 17a 및 도 17b와 같이 그 바닥부(면)(121,131)이 점진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구성과 같이 전해 단위모듈(100)은 복수의 파이프형 전해셀(110)이 서로 나란하게 이웃하여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전해셀(110)은 외부전극과 내부전극으로 이루어진 터미널전극 사이에 파이프형 바이폴라전극(중간전극)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바이폴라전극의 내면과 외면 각각에서 전기분해반응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모듈 2세트에 해당되는 전기분해용량을 본 발명의 전해모듈 경우에는 1세트모듈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종래보다 전체 사이즈를 50% 줄이면서도 전기분해용량은 동일하게 얻을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전극소재의 사용량도 대략 65%만 사용하면 되고, 에폭시 몰딩량의 경우에도 대략 50%, 해당 프레임 사용량도 대략 50% 정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용량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원가를 낮추면서도 사이즈도 줄일 수 있게 되어, 매우 경제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의 파이프형 전해셀을 이용한 전해모듈을 선박에 적용할 경우, 새로이 건조되는 선박뿐만 아니라, 기존의 선박에도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파이프형 전해셀은 해수, 염수의 전기분해 뿐만 아니라 일반 담수등의 일반수를 전기분해하는 장치에도 적용가능한 것을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50..전해모듈 100..단위 전해모듈
110..파이프형 전해셀 120..연결관
130..연결 니플

Claims (15)

  1. 일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분리되는 파이프형의 외부전극 및 내부전극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터미널전극과;
    상기 한 쌍의 터미널 전극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전극과 절연된 상태의 파이프형의 바이폴라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터미널 전극의 서로 분리된 타단을 지지하여 연결하는 절연부와;
    상기 한 쌍의 터미널전극의 서로 연결된 일단에 대응되게 결합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나선형 가이드공을 가지는 스파이럴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전극은,
    상기 내부전극과 외부전극의 단부를 연결지지하며, 상기 내부전극과 외부전극 사이와 연통되어 유체이동을 가이드 하는 유체통과공을 가지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전극의 양단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판과 상기 내부전극 및 외부전극과 이격되어 절연시키는 단부 절연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5. 제1항에 있어서,
    전해반응이 수행되지 않는 타측면인 상기 외부전극의 파이프 외부 또는 상기 내부전극의 파이프 내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도금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과공을 갖는 연결판과 상기 외부 전극 및 내부전극과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체통과공은 상기 스파이럴 블록의 나선형 가이드와 일치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외측으로 위치결정 가이드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파이럴블록에는,
    상기 연결판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통과공에 대응되게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나선형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과의 결합시 상기 가이드공과 연결판의 유체통과공이 서로 일치하여 맞닿아 연결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바이폴라전극의 중심부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절연스페이서; 및
    상기 바이폴라전극의 중심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절연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11.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터미널 전극의 서로 분리된 타단을 지지하여 연결하는 절연부와;
    상기 한 쌍의 터미널전극의 서로 연결된 일단에 대응되게 결합되며, 유체가 통과하는 나선형 가이드공을 가지는 스파이럴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바이폴라전극의 중심부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절연스페이서; 및
    상기 바이폴라전극의 중심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절연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절연스페이서는,
    내주측의 중앙부분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중간전극의 외주에 접촉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내주면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전극의 결합되는 한 쌍의 전극 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절연스페이서는,
    상기 중간전극의 내부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며, 외주로 돌출되고 원주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양단부 각각에 형성되어 외주면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전극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전극 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전극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웃한 파이프형 전해셀과 연결하는 연결관 또는 연결니플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 및 연결니플은 그 내부의 유체 통로의 바닥면이 점진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전해셀.
PCT/KR2015/011466 2014-12-23 2015-10-28 파이프형 전해셀 WO2016104935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533467A JP6435413B2 (ja) 2014-12-23 2015-10-28 パイプ型電解セル
CN201580069447.7A CN107109671B (zh) 2014-12-23 2015-10-28 管式电解槽
EP15873463.2A EP3239360B1 (en) 2014-12-23 2015-10-28 Pipe-type electrolysis cell
US15/623,995 US10550485B2 (en) 2014-12-23 2017-06-15 Pipe-type electrolysis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430A KR101712586B1 (ko) 2014-12-23 2014-12-23 파이프형 전해셀
KR10-2014-0187430 2014-12-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623,995 Continuation US10550485B2 (en) 2014-12-23 2017-06-15 Pipe-type electrolysis ce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4935A1 true WO2016104935A1 (ko) 2016-06-30

Family

ID=5615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1466 WO2016104935A1 (ko) 2014-12-23 2015-10-28 파이프형 전해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50485B2 (ko)
EP (1) EP3239360B1 (ko)
JP (1) JP6435413B2 (ko)
KR (1) KR101712586B1 (ko)
CN (1) CN107109671B (ko)
WO (1) WO20161049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3813B2 (en) * 2017-02-07 2021-12-21 Bright Spark B.V. Device comprising a channel, a cathode, an anode and a power sour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hlorine dioxide
CN112030183B (zh) * 2020-08-26 2021-11-02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套管式微通道电解反应装置及其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370A2 (ko) * 2010-03-15 2011-09-22 유니테크 주식회사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용 전해조
KR101329046B1 (ko) * 2012-12-13 2013-11-20 유니테크 주식회사 차아염소산 나트륨 제조용 튜브형 전해조
KR101366343B1 (ko) * 2012-07-31 2014-02-25 (주) 테크윈 파이프형 전해조
KR101412721B1 (ko) * 2013-05-23 2014-06-30 (주) 테크윈 전해모듈
KR101466371B1 (ko) * 2013-04-30 2014-11-27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고농도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용 나트륨 해수전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74072C (nl) * 1971-09-08 1984-04-16 Engelhard Corp Elektrolysecel.
JPS5268872A (en) * 1975-12-05 1977-06-08 Hitachi Cable Ltd Electrolytic cell for generating apparatus of electrolyzed sodium hypo chlorite
JPS52139677A (en) * 1976-05-18 1977-11-21 Kobe Steel Ltd Electrolytic cell of plural tubes structure
US4392937A (en) * 1982-04-26 1983-07-12 Uhde Gmbh Electrolysis cell
AU1574588A (en) * 1987-06-09 1989-01-04 Cleanup And Recovery Corporation System for electrolytic treatment of liquid
CN2064366U (zh) * 1989-12-05 1990-10-24 航空航天部航空工业规划设计研究院 双极阴极换向除垢次氯酸钠发生器
US5385650A (en) * 1991-11-12 1995-01-31 Great Lakes Chemical Corporation Recovery of bromine and preparation of hypobromous acid from bromide solution
RU2104961C1 (ru) * 1997-03-11 1998-02-20 Харрисон Инвестментс Лтд.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US20030205482A1 (en) * 2002-05-02 2003-11-06 Allen Larry 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ydrogen and oxygen
WO2004097072A1 (en) * 2003-04-30 2004-11-11 Hydrox Holding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mbustible fluid
KR100718723B1 (ko) 2005-03-03 2007-05-15 주식회사 성창엔지니어링 전자장 수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915761B2 (ja) * 2005-03-25 2012-04-1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流水式電気分解装置
US7374645B2 (en) * 2006-05-25 2008-05-20 Clenox, L.L.C. Electrolysis cell assembly
EP2631334A1 (de) * 2012-02-24 2013-08-28 Caliopa AG Elektrolysezelle, insbesondere zur Verwendung in einer Anlage zur Erzeugung einer elektrochemisch aktivierten Kochsalzlösung, sowie Anlage mit einer Anzahl derartiger Elektrolysezellen
KR101389937B1 (ko) * 2012-03-29 2014-04-30 (주) 테크윈 파이프형 전해셀
CN105377396A (zh) * 2013-03-15 2016-03-02 Cft环球有限责任公司 用于电解的压力诱导的气体发生器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370A2 (ko) * 2010-03-15 2011-09-22 유니테크 주식회사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용 전해조
KR101366343B1 (ko) * 2012-07-31 2014-02-25 (주) 테크윈 파이프형 전해조
KR101329046B1 (ko) * 2012-12-13 2013-11-20 유니테크 주식회사 차아염소산 나트륨 제조용 튜브형 전해조
KR101466371B1 (ko) * 2013-04-30 2014-11-27 주식회사 욱영전해씨스템 고농도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산용 나트륨 해수전해장치
KR101412721B1 (ko) * 2013-05-23 2014-06-30 (주) 테크윈 전해모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239360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09671B (zh) 2019-05-21
KR101712586B1 (ko) 2017-03-06
CN107109671A (zh) 2017-08-29
EP3239360A4 (en) 2018-11-21
EP3239360B1 (en) 2019-11-27
US20170283962A1 (en) 2017-10-05
JP2017538868A (ja) 2017-12-28
JP6435413B2 (ja) 2018-12-05
KR20160076860A (ko) 2016-07-01
EP3239360A1 (en) 2017-11-01
US10550485B2 (en)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67473A1 (ko) 기능수 생성모듈
CN215628323U (zh) 一种新型氢气发生器
WO2016052938A2 (ko) 전기분해 수처리장치
WO2011030945A1 (ko) 접촉 비표면적을 증대시킨 유가금속 회수용 전해조
WO2016104935A1 (ko) 파이프형 전해셀
WO2016104934A1 (ko) 전해모듈
KR102228562B1 (ko) 수소 발생 장치
WO2012053668A1 (ko) 전극구조
WO2018079965A1 (ko) 효율적인 수소-전기 생산이 가능한 역전기 투석 장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및 에너지 자립형 수소-전기 복합 충전 스테이션
CN111032919A (zh) 电解池及电解池用电极板
KR200285556Y1 (ko) 전해조
KR101329046B1 (ko) 차아염소산 나트륨 제조용 튜브형 전해조
WO2019240313A1 (ko) 수소 발생 장치
WO2014014143A1 (ko) 고농도의 용존수소를 갖는 전해기능수의 생성장치
WO2004113592A1 (en) Membrane of water electrolyzer for separating hydrogen and oxygen gas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0506544U (zh) 一种离子膜电解设备
RU2092614C1 (ru) Электролизер
WO2019225797A1 (ko)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CN213895303U (zh) 高效电解槽
KR200475903Y1 (ko) 튜블라 타입 전해 장치
WO2019231006A1 (ko)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CN213061043U (zh) 一种次氯酸钠发生器
KR102266282B1 (ko) 알칼리 수전해조 스택
WO2019231005A1 (ko) 수소 발생 장치
WO2019240312A1 (ko)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34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3346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873463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