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67473A1 - 기능수 생성모듈 - Google Patents

기능수 생성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67473A1
WO2016167473A1 PCT/KR2016/002155 KR2016002155W WO2016167473A1 WO 2016167473 A1 WO2016167473 A1 WO 2016167473A1 KR 2016002155 W KR2016002155 W KR 2016002155W WO 2016167473 A1 WO2016167473 A1 WO 20161674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inlet
guide par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215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성태
나기석
이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노
주식회사 더보탬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노, 주식회사 더보탬, 김성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노
Publication of WO20161674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674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13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number generation module.
  • Patent Document 1 KR10-0133975 B1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water generation module in which the amount of gas generated through electrolysis and the amount of dissolved gas generated are increased.
  • the flow direction changing unit may be formed so that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ort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port flows in at least a portion of a ridge.
  •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in which an anode electrode of the electrolytic unit is located and a second housing in which an anode electrode of the electrolytic unit is located inside, and an air inlet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 the inner side of the first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flow of water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groove.
  • a second guide part may be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to protrude the flow of water in at least a portion in a ridge shape.
  • the electrolytic unit Located between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the electrolytic unit guides the flow of water flowing in at least a portion to a zigzag, and further comprises a third guide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inlet, the second guide portion the second outlet In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guide portion may include a flow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guide portion.
  • the flow hole may be located near the end of the flow path formed in the third guide portion.
  • the electrolytic unit is position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of the pair of electrodes, and passes through the hydrogen ions generated at the anode electrode of the pair of electrodes to the cathode electrode to generate scale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 I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electrode for reducing the.
  • the electrolytic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positioned between the anod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of the pair of electrodes and spaced apart from the anod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 Water flowing in the first housing and water flowing in the second housing may flow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the amount of gas generated through electrolysis is increased.
  • the dissolved amount of the generated gas is increased to improve the sterilizing power of ozone water and the efficacy of hydrogen wat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wat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the functional wat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Y of FIG. 1.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functional wat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ottom view of a first housing of a functional wat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lan view of a second housing in a state in which a third guide part of a functional water generating module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compon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 the first housing 110 may accommodate the anode electrode 21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inside. However, the cathode electrode 22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 the first housing 110 may include a first guide part 310 inside.
  • the first housing 110 may include a first inlet 111 and a first outlet 112 on the outside thereof.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inlet 111 may flow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be discharged to the first outlet 112.
  •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inlet 111 may be ozone water in which ozone (O 3 ) generated by the anode electrode 210 is dissolv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112.
  • the first guide part 310 position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prevents the flow of water flowing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11 may enter the first housing ( 110) can increase the time to stay inside.
  • the second housing 120 may accommodate the cathode electrode 22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inside. However, the anode electrode 21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 the second housing 120 may include a second guide part 320 and a third guide part 330 therein.
  • the second housing 120 may include a second inlet 121 and a second outlet 122 on the outside thereof.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inlet 121 may flow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housing 120 and be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122. For example, th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inlet 121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122 as hydrogen H 2 generated by the cathode electrode 220 becomes dissolved hydrogen water.
  • the second guide part 320 and the third guide part 330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interfere with the flow of water flowing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to the second inlet 121. Inflow of water may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second housing 120.
  • the second housing 120 may include a third guide part 330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part 320 and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guide part 320.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guide portion 320 may be provided as a seating end 123 on which the third guide portion 330 is seated. Meanwhile,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inlet 121, and the second guide part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outlet 122. At this time, at least some of the seating end 123 may be provided as a stepped portion 124 formed to be stepped. That is,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inlet 121 through the stepped part 124, and the second guide part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outlet 122.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part 320 and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flow hole 325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guide part 330.
  • 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0. That is, the housing 100 may have an inner space, and 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0.
  • 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perform electrolysis of water. That is, 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electrolyze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s 111 and 121, and the electrolyzed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lets 112 and 122.
  • 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lyte membrane 230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electrodes 210 and 220.
  • the electrolytic unit 200 is position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220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and passes hydrogen ions generated from the anode electrode 230 to the cathode electrode 220 to surface the cathode electrode 220.
  • Auxiliary electrode 240 may be further included to reduce scale generation at.
  • the electrolytic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250 positioned between the anode electrode 210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and spaced apart from the anode electrode 210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 the cathode electrode 220 when the raw water is continuously generated ozone with high quality of tap water without expensive pretreatment such as strong acid cation exchange resin or reverse osmosis filtration, the cathode electrode 220 In order to reduce the scale generated on the surface, the auxiliary electrode 240 is insert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220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so that a certain amount of scale generated is lost together with water.
  • the auxiliary electrode 240 smoothly transfers hydrogen ions generated from the anode to the cathode electrode 220, and scales generated by reacting OH ⁇ ions generated from the cathode electrode 220 with cation divalent ions. 240 is generated on the surface to minimize scale generation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 220.
  • the auxiliary electrode 2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hin thin wire so that the scale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scal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electrode 240, the electrolysis resistance is increased by the existing scale accumulation The problem is solved.
  • the auxiliary electrode 240 has a fine mesh structure in order to secure adhesion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220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 the material of the auxiliary electrode 240 may be resistant to acid / alkali components or oxidizing materials and excellent in conductivity. That is, the auxiliary electrode 24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titanium, and carbon as an example.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electrode 240 may have a network structure, the mesh may be 10 to 100, the thickness may be 0.1 to 2.0mm.
  • the material of the anode electrode 210 and the cathode electrode 220 may be a platinum material suitable for ozone generation.
  • the positive electrode 2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220 may have a planar structure in order to increase adhesion when combined with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 the positive electrode 2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220 may have a predetermined opening area so that bubbles generated on the electrode surface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electrode surface.
  • the cathode electrode 210 and the cathode electrode 220 may have an opening ratio of 30 to 80% of the total area.
  •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may have a thickness (mm) of 0.05 to 0.5.
  •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electrodes 210 and 220.
  •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aling members 400 as illustrated in FIGS. 3 and 4.
  •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may contact the first sealing portion 410,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may contact the second sealing portion 420.
  • the spacer 250 and the auxiliary electrode 24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respectively, to provide a uniform mechanical pressing property of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between the pair of electrodes 210 and 220 and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 the flow direction change unit may be formed so that water flowing into the inlets 111 and 121 and discharged to the outlets 112 and 122 flows in a zigzag at least in part. Meanwhile, the inlets 111 and 121, the outlets 112 and 122, and the flow direction changing unit may be located i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respectively.
  • the flow obstruction portion or the flow direction change portion may include a guide portion 300 for guiding the flow of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111, 121) discharged to the outlet (112, 122).
  • the guide part 300 may guide the flow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s 111 and 121 and discharged to the outlets 112 and 122.
  • the guide part 300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guide part 310, a second guide part 320, and a third guide 330.
  • the guide part 300 may be provided by omitting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guide part 310, the second guide part 320, and the third guide 330.
  • the first guide part 31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 to guide the flow of the flowing water at least partially in a ridge shape. That is, the first guide part 31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first housing 110 to guide the flow of water flowing in at least a part of the zigzag.
  • the first guide part 310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311 and a second partition 312.
  • the second partition 312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partition 311.
  • water may flow between the second partition 312 and the first partition 311.
  • the first guide part 310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313 and a second flow path 314.
  • the first flow path 313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first partition 311. That is, the water flowing along the first partition 311 may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artition 312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13.
  • the second flow path 314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second partition 312. That is, water that flows along one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312 may flow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artition 312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314.
  • first flow path 313 and the second flow path 314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artition 311 and the second partition 312 are disposed.
  • the water flowing in the first flow passage 313 and the second flow passage 314 in sequence has a Galge-shaped flow flow.
  • the first guide part 310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311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other side.
  • the first guide part 310 may include a second partition 312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one side.
  • the first partition 311 and the second partition 312 may be disposed in parallel.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first partition 311 and the second partition 312,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partition 311 and the second partition 312 is to flow in the gallbladder shape.
  • the second guide part 32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0 to guide the flow of flowing water in at least a portion in a ridge shape. That is, the second guide part 32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20 to guide the flow of flowing water in at least a portion in a zigzag manner.
  • first flow path 323 and the second flow path 324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artition 321 and the second partition 322 are disposed.
  • the water flowing sequentially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23 and the second flow path 324 will have a Galge-shaped flow flow.
  • the second guide part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flow hole 335 of the third guide part 330.
  • the second guide part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outlet 122. That is,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guide part 320 through the flow hole 335 of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be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122 through the second guide part 320. .
  • the flow hole 335 of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be located near the end of the flow path formed in the third guide part 330. That is, the flow hole 335 of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be located near the second outlet 122.
  • the second guide part 320 may include a first area A1, which is an area in which water flowing from the flow hole 335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inlet 121.
  • the second guide part 320 may include a second area A2, which is an area in which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area A1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discharge port 122.
  • a separation wall 325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That is, the second guide part 3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A1 and a second area A2 based on the separation wall 325. However, at least a part of the dividing wall 325 may be opened to allow the first region A1 and the second region A2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first region A1 may communicate with the flow hole 335 and the second region A2.
  • the second area A2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outlet 122.
  • Each of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may guide the flowing water at least partially in a ridge shape.
  • the second guide part 320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wall 321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ward the separation wall 325.
  • the second guide part 320 may include a second partition 322 extending from the separating wall 325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first partition 321 and the second partition 322 may be arranged in parallel. Through the structures of the first and second barrier ribs 321 and 322,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arrier ribs 321 and 322 flows in a ridge shape.
  •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guide part 320 to guide the flow of flowing water in at least a portion in a ridge shape. That is,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guide part 320 and the electrolytic unit 200 to guide the flow of flowing water in at least a part in a zigzag manner.
  •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331 and a second partition 332.
  • the second partition 332 may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partition 331.
  • water may flow between the second partition 332 and the first partition 331.
  •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include a first flow path 333 and a second flow path 334.
  • the first flow path 333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31. That is, water flowing along the first partition wall 331 may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32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33.
  • the second flow path 334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32.
  • first flow path 333 and the second flow path 334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artition 331 and the second partition 332 are disposed.
  • the water flowing in sequence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33 and the second flow path 334 has a flow profile of a Galza.
  •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guide part 320.
  •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be seated on a seating end 123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art 320. That is,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120.
  • the seating end 123 of the second housing 120 may include the stepped portion 124 at least in part. In this case, a stepped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epped portion 124 may be provided below the third guide part 330.
  •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inlet 121, and the second guide part 32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outlet 122.
  •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include a flow hole 335 on the bottom surface. That is, the flow hole 335 may b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guide part 330.
  • the flow hole 335 may be located near the end of the flow path formed in the third guide portion 330. That is, the flow hole 335 may be positioned to be as far away from the second inlet 121 as possibl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since the flow path of the third guide part 330 is zigzag,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flow hole 335 and the second inlet 121 may be close.
  •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guide part 320 through the flow hole 335. That is,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flow into the second guide part 320 through the flow hole 335.
  •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include a first partition 331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other side.
  • the third guide part 330 may include a second partition 332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one side.
  • the first partition 331 and the second partition 332 may be arranged in parallel. Through the structures of the first and second barrier ribs 331 and 332,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arrier ribs 331 and 332 flows in a ridge shape.
  • the sealing member 4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out betwee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That is,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may be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400.
  • the sealing member 400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sealing member 410 and a second sealing member 420.
  • the first sealing member 41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electrolytic unit 200.
  • the second sealing member 420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120 and the electrolytic unit 200.
  • the first sealing member 410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and the second sealing member is formed at the other surface of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420 may contact.
  • water flowing in the first housing 110 and water flowing in the second housing 120 may flow independently. That is, the flow path of the water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flow path of the water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may not communicat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part of the functional wat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ottom view of a first housing of the functional wat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 plan view of a second housing in a state in which a third guide part of a functional water generating module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third guide of a functional wat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of the 2nd housing in which the part was removed.
  • the flow path of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flow path of the second housing 120 include the electrolyte membrane 23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It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on the basis of. That is,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11 may pass through the first guide part 310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to be discharged to the first outlet 112. In addition,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121 passes through the third guide part 330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guide part 320 to be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122. Can be. That is, water flowing through the anode electrode 210 and water flowing through the cathode electrode 220 may not be mixed.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obtained in the state that the ozone water and hydrogen water are not mixed, respectively.
  • the anode electrode 210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0 and will be described as generating ozone wate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housing 110, but the anode electrode 210 is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It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in the ozone wate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housing 120.
  •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inlet 111 of the first housing 110 (A).
  • the supplied water flows into the first guide part 310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110.
  •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guide part 310 meets the first partition 311 and flows on the first partition 311 to pass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13 (E).
  •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passage 313 flows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311 and the second partition 312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ssage 314 (F).
  • the liquid flows alo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312. That is,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guide part 310 passes through the first partition 311, the first flow path 313, the second partition 312, and the second flow path 314. To flow.
  • the water flows in a ridge shape and is discharged to the first outlet 112.
  • the five guides flow may be guided by the first guide part 310.
  • the anode electrode 210 of the electrolytic unit 200 is located below the first guide part 310, water flowing in the first guide part 3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node electrode 210.
  • the anode electrode 210 flows through the first guide part 310 by interaction with the cathode electrode 22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Electrolysis of water is carried out. In this process, ozone (O 3 ) is generated in the water electrolyzed by the anode electrode 210. On the other hand, the generated ozone is dissolved in water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112 as ozone water.
  •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water and the anode electrode 210 is delayed, and thus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through electrolysis.
  • This has an increasing feature.
  • ozone generated through electrolysis is also disturbed in flow like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guide part 310, so that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is dissolved in water. That is, through the first outlet 112 of the functional wat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ake the ozone water in a state where ozone is sufficiently dissolved.
  • the cathode electrode 220 is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20 and will be described as generating hydrogen wate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housing 120.
  • the cathode electrode 220 is the first housing 110. It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inside to generate hydrogen wate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housing 110.
  •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inlet 121 of the second housing 120.
  • the supplied water flows into the third guide part 330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housing 120.
  • Water introduced into the third guide part 330 meets the first partition 331 and flows on the first partition 331 to pass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33 (G).
  •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33 flows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31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332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334 (H).
  • the liquid flows alo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32. That is, the water flowing into the third guide part 330 flows through the first partition 331, the first flow path 333, the second partition wall 332, and the second flow path 334 in a galle shape. .
  • the flow hole 335 is located close to the second outlet 122 as an example.
  • the water (J) introduced into the second guide portion 320 through the flow hole 335 meets the first partition 321 flows through the first partition 321 to open the first flow path (323) Pass through (K).
  •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323 flows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321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322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324 (L).
  • the liquid flows alo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322.
  •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water and the cathode electrode 220 is delayed. It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hydrogen generated through decomposition. Furthermore, since the hydrogen generated through electrolysis is disturbed in flow like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third guide part 330 and the second guide part 320, the amount of hydrogen generated in the water is also increased. That is, through the second outlet 122 of the functional wat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ake hydrogen water in a state where hydrogen is sufficiently dissolv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해유닛;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전해유닛에 의해 전기분해되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유동 방향 변경부를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수 생성모듈
본 발명은 기능수 생성모듈에 관한 것이다.
물(H2O)을 전기분해하는 경우, 양극전극에서는 오존(O3)이 발생하고 음극전극에서는 수소(H2)가 발생하게 된다. 즉, 양극전극으로부터 오존이 용존된 상태의 물인 오존수가 생성되며, 음극전극으로부터 수소가 용존된 상태의 물인 수소수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오존수는 세정 또는 살균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수소수는 음용이 가능하다.
한편, 위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기능수(오존수,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방법과 그 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33975호)"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해수 생성방법과 그 장치"에 따르면 물에 용존되는 오존 또는 수소의 양이 충분하지 않아 오존수의 살균력 또는 수소수의 효능이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0133975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되는 기체의 발생량 및 발생된 기체의 용존량이 증가된 기능수 생성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해유닛;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전해유닛에 의해 전기분해되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흐름을 방해하는 유동 방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방해부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유동 방향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은,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해유닛;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전해유닛에 의해 전기분해되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유동 방향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방향 변경부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방향을 2회 이상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 방향 변경부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이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전해유닛의 양극전극이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내측에 상기 전해유닛의 음극전극이 위치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 배출구 및 유동 방향 변경부는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전해유닛의 양극전극이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내측에 상기 전해유닛의 음극전극이 위치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기 유입구는,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는 제1유입구와, 상기 제2하우징에 위치하는 제2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제2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전해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제1실링부; 및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전해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제2실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해유닛은,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수행하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막의 일면은 상기 제1실링부와 접촉하고, 상기 전해질막의 타면은 상기 제2실링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 상면에는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는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전해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제2유입구와 연통되는 제3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배출구와 연통되며,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제2가이드부와 연통되는 유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홀은 상기 제3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말단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유동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제2유입구 방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인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한 물이 상기 제2배출구 방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인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유닛은,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수행하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음극전극과 상기 전해질막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양극전극에서 발생되는 수소이온을 상기 음극전극으로 통과시켜 상기 음극전극 표면에서의 스케일 생성을 감소시키는 보조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양극전극과 상기 전해질막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양극전극과 전해질막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방향 변경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격벽; 및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격벽과 평행하게 이격되는 제2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격벽 및 상기 제2격벽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에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 내부를 유동하는 물과 상기 제2하우징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전해유닛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전해유닛과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되는 기체의 발생량이 증가된다.
또한, 발생된 기체의 용존량이 증가되어 오존수의 살균력과 수소수의 효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X-Y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1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3가이드부가 결합된 상태의 제2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3가이드부가 제거된 상태의 제2하우징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X-Y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1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3가이드부가 결합된 상태의 제2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3가이드부가 제거된 상태의 제2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은, 하우징(100), 전해유닛(200), 가이드부(300), 및 실링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은, 하우징(100), 전해유닛(200), 가이드부(300), 및 실링부재(400)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기능수 생성모듈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에 가까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타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형상 또는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내측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전해유닛(200), 가이드부(300), 및 실링부재(400)가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일례로서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은, 일례로서 내측에 전해유닛(200)의 양극전극(210)이 위치하는 제1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일례로서 내측에 전해유닛(200)의 음극전극(220)이 위치하는 제2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하우징(110)의 하면과 제2하우징(120)의 상면이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하우징(110)의 하면과 제2하우징(120)의 상면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결합은, 일례로서 나사결합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사이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부재(40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은, 내측에 전해유닛(200)의 양극전극(210)을 수용할 수 있다. 다만, 제1하우징(110)의 내측에 전해유닛(200)의 음극전극(220)이 수용될 수도 있다. 제1하우징(110)은, 내측에 제1가이드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은, 외측에 제1유입구(111)와 제1배출구(1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유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은 제1하우징(110)의 내측 공간을 유동하고 제1배출구(112)로 배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유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은 양극전극(210)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O3)이 용존된 오존수가 되어 제1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가이드부(310)는, 제1하우징(11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을 방해하여 제1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이 제1하우징(110)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은, 내측에 전해유닛(200)의 음극전극(220)을 수용할 수 있다. 다만, 제2하우징(120)의 내측에 전해유닛(200)의 양극전극(210)이 수용될 수도 있다. 제2하우징(120)은, 내측에 제2가이드부(320) 및 제3가이드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은, 외측에 제2유입구(121)와 제2배출구(1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유입구(121)로 유입되는 물은 제2하우징(120)의 내측 공간을 유동하고 제2배출구(122)로 배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유입구(121)로 유입되는 물은 음극전극(220)에 의해 발생되는 수소(H2)가 용존된 수소수가 되어 제2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부(320) 및 제3가이드부(330)는, 제2하우징(12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을 방해하여 제2유입구(121)로 유입된 물이 제2하우징(120)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은, 내측에 제2가이드부(320)를 구비하며 제2가이드부(32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3가이드부(330)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부(320)의 상부는 제3가이드부(330)가 안착되는 안착단(1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3가이드부(330)는 제2유입구(121)와 연통되고 제2가이드부(320)는 제2배출구(122)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안착단(123) 중 적어도 일부는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단차부(124)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단차부(124)를 통해 제3가이드부(330)는 제2유입구(121)와 연통되고 제2가이드부(320)는 제2배출구(122)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2가이드부(320)와 제3가이드부(330)는, 제3가이드부(330)의 바닥면에 제공되는 유동홀(325)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전해유닛(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은 내측공간을 구비하며, 전해유닛(200)은 하우징(100)의 내측공간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전해유닛(200)은, 물의 전기분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전해유닛(200)은 유입구(111,12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으며, 전기분해된 물은 배출구(112,122)로 배출할 수 있다.
전해유닛(200)은,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수행하는 한 쌍의 전극(210,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210,220)은, 양극전극(210)과 음극전극(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물(H2O)을 전기분해를 통해, 양극전극(210)에서는 오존(O3)이 발생하고 음극전극(220)에서는 수소(H2)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양극전극(210)에서는 오존이 용존된 상태의 물인 오존수가 생성되며, 음극전극(220)에서는 수소가 용존된 상태의 물인 수소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오존수는 세정 또는 살균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수소수는 음용이 가능하다.
전해유닛(200)의 양극전극(210)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단자(2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해유닛(200)의 음극전극(220)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단자(2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양극전극(210)과 음극전극(22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 쌍의 전극(210,220)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각각 양극(+) 및 음극(-)의 극성을 지닐 수 있다. 양극전극(210)과 음극전극(220)는 전해질막과 결합시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평면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전극표면에 발생되는 기포를 전극표면으로부터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홀(212,222)이 형성될 수 있다.
전해유닛(200)은, 한 쌍의 전극(210,220)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해유닛(200)은, 음극전극(220)과 전해질막(230) 사이에 위치하며, 양극전극(230)에서 발생되는 수소이온을 음극전극(220)으로 통과시켜 음극전극(220) 표면에서의 스케일 생성을 감소시키는 보조전극(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해유닛(200)은, 양극전극(210)과 전해질막(230) 사이에 위치하며 양극전극(210)과 전해질막(230)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에서는 원료수를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나 역삼투 여과 등과 같이 고가의 전처리 공정 없이 수도수 수준의 수질로 하여 연속적으로 오존을 발생시킬 경우, 음극전극(220) 표면에 생성되는 스케일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보조전극(240)을 음극전극(220)과 전해질막(230)의 사이에 삽입하여 일정량 생성되는 스케일이 물과 함께 유실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보조전극(240)은 양극에서 발생되는 수소이온을 음극전극(220)으로 원활하게 전달하고, 음극전극(220)에서 발생되는 OH-이온이 양이온 2가 이온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스케일을 보조전극(240) 표면에 생성시켜 음극전극(220)의 표면에서의 스케일 생성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보조전극(240)은 얇은 세선으로 이루어진 망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케일이 보조전극(240)의 표면에 부착하였다가 용이하게 탈리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의 스케일 축적에 의해 전기분해 저항이 증대되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한편, 보조전극(240)은, 음극전극(220) 및 전해질막(230)과의 밀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미세 망사 구조로 되어 있다.
보조전극(240)의 재질은 산/알칼리 성분이나 산화성물질에 강하고 전도성이 우수할 수 있다. 즉, 보조전극(240)은, 일례로서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탄소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보조전극(240)의 형태는 망구조가 일 수 있으며, 망은 Mesh 10 ∼ 100, 두께는 0.1∼2.0mm일 수 있다.
보조전극(240)을 포함하여 전해유닛(200)을 형성하게 되면, 음극전극(220)에서의 스케일 형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전해질막(230)에 대한 누름량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수행하게 되므로 전기분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양극전극(210)과 음극전극(220)의 재질은 오존발생에 적합한 백금재질일 수 있다. 양극전극(210)과 음극전극(220)의 형태는 전해질막(230)과 결합시에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평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양극전극(210)과 음극전극(220)은, 전극표면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전극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개구 면적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양극전극(210)과 음극전극(220)은, 일례로서 개구율이 전체 면적대비 30∼80%의 범위일 수 있다.
전해질막(230)은, 막의 두께(mm) = 0.05∼0.5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전해질막(230)은, 한 쌍의 전극(210,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전해질막(2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4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전해질막(230)의 일면은 제1실링부(410)와 접촉하고, 전해질막(230)의 타면은 제2실링부(420)와 접촉할 수 잇다.
스페이서(250)는 전해질막(230)과 양극전극(210)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페이서(250)는, 양극전극(210)의 가장자리 및 중앙부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250)는, 테프론과 같은 물리적, 화학적으로 열화특성이 우수한 재질의 테이프, sheet, film, 혹은 플라스틱을 사용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250)와 양극전극(210) 사이의 이격 거리는 0.05∼0.5mm일 수 있다.
스페이서(250)와 보조전극(240)은, 전해질막(2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의 전극(210,220)과 전해질막(230) 사이에서 전해질막(230)에 대한 균일한 기계적 누름 특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은, 유입구(111,121)로 유입되어 배출구(112,122)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흐름을 방해하는 유동 방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은, 유입구(111,121)로 유입되어 배출구(112,122)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방향을 변경시키는 유동 방향 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 방향 변경부는, 유입구(111,121)로 유입되어 배출구(112,122)로 배출되는 물이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之)형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 방향 변경부는, 유입구(111,121)로 유입되어 배출구(112,122)로 배출되는 물이 적어도 일부에서 지그재그(zigzag)로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입구(111,121), 배출구(112,122) 및 유동 방향 변경부는 제1하우징(110) 및 제2하우징(120)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유동 방해부 또는 유동 방향 변경부는, 유입구(111,121)로 유입되어 배출구(112,122)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유입구(111,121)로 유입되어 배출구(112,122)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일례로서 제1가이드부(310), 제2가이드부(320) 및 제3가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부(300)는, 제1가이드부(310), 제2가이드부(320) 및 제3가이드(3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생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10)는, 제1하우징(110)의 내측 상면에 구비되어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부(310)는, 제1하우징(110)의 내측 상면에 구비되어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지그재그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10)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311) 및 제2격벽(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격벽(312)은 제1격벽(311)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격벽(312)과 제1격벽(311) 사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10)는, 제1유동로(313) 및 제2유동로(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동로(313)는, 제1격벽(311)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격벽(311)을 따라 유동한 물은, 제1유동로(313)을 통해 제2격벽(312)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2유동로(314)는, 제2격벽(312)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격벽(312)의 일측을 따라 유동한 물은, 제2유동로(314)를 통해 제2격벽(312)의 타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단, 제1유동로(313)와 제2유동로(314)는, 제1격벽(311)과 제2격벽(312)이 배치된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유동로(313)와 제2유동로(314)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물은 갈지자형의 유동 흐름을 갖게 된다.
제1가이드부(310)는, 외주면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격벽(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10)는, 상기 외주면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격벽(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격벽(311) 및 제2격벽(312)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격벽(311) 및 제2격벽(312)의 구조를 통해, 제1격벽(311) 및 제2격벽(312)을 통과하는 물은 갈지자형으로 유동하게 된다.
제2가이드부(320)는, 제2하우징(120)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어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부(320)는, 제2하우징(120)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어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지그재그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320)는, 일례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321) 및 제2격벽(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격벽(322)은 제1격벽(321)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격벽(322)과 제1격벽(321) 사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320)는, 제1유동로(323) 및 제2유동로(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동로(323)는, 제1격벽(321)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격벽(321)을 따라 유동한 물은, 제1유동로(323)을 통해 제2격벽(322)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2유동로(324)는, 제2격벽(322)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격벽(322)의 일측을 따라 유동한 물은, 제2유동로(324)를 통해 제2격벽(322)의 타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단, 제1유동로(323)와 제2유동로(324)는, 제1격벽(321)과 제2격벽(322)이 배치된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유동로(323)와 제2유동로(324)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물은 갈지자형의 유동 흐름을 갖게 된다.
제2가이드부(320)는, 제3가이드부(330)의 유동홀(335)과 연통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320)는, 제2배출구(122)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제3가이드부(330)의 유동홀(335)을 통해 제2가이드부(320)로 유입된 물은, 제2가이드부(320)를 거쳐 제2배출구(122)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3가이드부(330)의 유동홀(335)은 제3가이드부(330)에 형성되는 유로의 말단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3가이드부(330)의 유동홀(335)은, 제2배출구(122)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가이드부(320)는, 유동홀(335)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제2유입구(121) 방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인 제1영역(A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가이드부(320)는, 제1영역(A1)을 통과한 물이 제2배출구(122) 방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인 제2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사이에는 분리벽(325)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부(320)는, 분리벽(325)을 기준으로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분리벽(325)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어 제1영역(A1)과 제2영역(A2)이 연통될 수 있다. 제1영역(A1)은 유동홀(335) 및 제2영역(A2)과 연통될 수 있다. 제2영역(A2)은 제1영역(A1) 및 제2배출구(122)와 연통될 수 있다. 제1영역(A1)과 제2영역(A2) 각각은 유동하는 물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320)는, 외주면의 일측으로부터 분리벽(325)측으로 연장되는 제1격벽(3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320)는, 분리벽(325)으로부터 외주면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격벽(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격벽(321) 및 제2격벽(322)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격벽(321) 및 제2격벽(322)의 구조를 통해, 제1격벽(321) 및 제2격벽(322)을 통과하는 물은 갈지자형으로 유동하게 된다.
제3가이드부(330)는, 제2가이드부(3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제3가이드부(330)는, 제2가이드부(320)와 전해유닛(200) 사이에 위치하며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지그재그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30)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331) 및 제2격벽(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격벽(332)은 제1격벽(331)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격벽(332)과 제1격벽(331) 사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30)는, 제1유동로(333) 및 제2유동로(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동로(333)는, 제1격벽(331)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격벽(331)을 따라 유동한 물은, 제1유동로(333)을 통해 제2격벽(332)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2유동로(334)는, 제2격벽(332)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격벽(332)의 일측을 따라 유동한 물은, 제2유동로(334)를 통해 제2격벽(332)의 타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단, 제1유동로(333)와 제2유동로(334)는, 제1격벽(331)과 제2격벽(332)이 배치된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유동로(333)와 제2유동로(334)를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물은 갈지자형의 유동 흐름을 갖게 된다.
제3가이드부(330)는, 제2가이드부(32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30)는, 제2가이드부(320)의 상단에 해당하는 안착단(123)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제3가이드부(330)는, 제2하우징(120)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하우징(120)의 안착단(123)은 적어도 일부에서 단턱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3가이드부(330)의 하부에는, 단턱부(124)에 대응하는 형상의 단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3가이부(330)는 제2유입구(121)와 연통되고, 제2가이드부(320)는 제2배출구(122)와 연통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30)는, 바닥면에 유동홀(335)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유동홀(335)은 제3가이드부(330)의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다. 유동홀(335)은, 제3가이드부(330)에 형성되는 유로의 말단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유동홀(335)은, 제2유입구(121)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3가이드부(330)의 유로는 지그재그형이므로 유동홀(335)과 제2유입구(121)의 직선거리는 가까울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3가이드부(330)는 유동홀(335)을 통해 제2가이드부(320)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제3가이드부(330)를 유동한 물은, 유동홀(335)을 통해 제2가이드부(320)로 유입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30)는, 외주면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격벽(3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가이드부(330)는, 상기 외주면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격벽(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격벽(331) 및 제2격벽(332)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격벽(331) 및 제2격벽(332)의 구조를 통해, 제1격벽(331) 및 제2격벽(332)을 통과하는 물은 갈지자형으로 유동하게 된다.
실링부재(400)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 사이에 위치하여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 사이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의 결합부는 실링부재(40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실링부재(400)는, 일례로서 제1실링부재(410) 및 제2실링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부재(410)는, 제1하우징(110)과 전해유닛(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실링부재(420)는, 제2하우징(120)과 전해유닛(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유닛(200)의 전해질막(230)의 일면에는 제1실링부재(410)가 접촉하고, 전해질막(230)의 타면에는 제2실링부재(420)가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하우징(110) 내부를 유동하는 물과 제2하우징(12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독립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제1하우징(110) 내부의 물의 유로와 제2하우징(120) 내부의 물의 유로는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1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3가이드부가 결합된 상태의 제2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3가이드부가 제거된 상태의 제2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0)의 유로와 제2하우징(120)의 유로가 전해유닛(200)의 전해질막(230)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1하우징(110) 내부의 제1가이드부(310)를 통과하여 제1배출구(112)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2유입구(121)로 유입된 물은 제2하우징(120) 내부의 제3가이드부(330)를 통과하고 제2가이드부(320)를 통과하여 제2배출구(122)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양극전극(210)을 유동하는 물과 음극전극(220)을 유동하는 물이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오존수와 수소수를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각각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오존수의 생성 과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하우징(110) 내부에 양극전극(210)이 위치하고 제1하우징(110)의 구성을 통해 오존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양극전극(210)이 제2하우징(120)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제2하우징(120)의 구성을 통해 오존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먼저, 제1하우징(110)의 제1유입구(111)에 물이 공급된다(A). 공급된 물은 제1하우징(11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제1가이드부(310)로 유입된다. 제1가이드부(310)로 유입된 물은 제1격벽(311)을 만나 제1격벽(311)을 타고 유동하여 제1유동로(313)를 통과하게 된다(E). 이후, 제1유동로(313)를 통과한 물은 제1격벽(311)과 제2격벽(312)의 일면 사이를 유동하고 제2유동로(314)를 통과하게 된다(F). 이후, 제2격벽(312)의 타면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즉, 제1가이드부(310)에 유입된 물은 제1격벽(311), 제1유동로(313), 제2격벽(312), 제2유동로(314)를 거치며 갈지자(之)형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에도 제1가이드부(310) 내부에서는 물이 갈지자형으로 유동하여 제1배출구(112)로 배출된다.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310)에서는 5회의 갈지자형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제1가이드부(310)의 하측에는 전해유닛(200)의 양극전극(210)이 위치하므로 제1가이드부(310)를 유동하는 물은 양극전극(210)과 접촉하게 된다. 양극전극(210)의 양극단자(211)를 통해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양극전극(210)은 대향하도록 배치된 음극전극(220)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1가이드부(310)를 유동하는 물에 대한 전기분해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양극전극(210)에 의해 전기분해된 물에서는 오존(O3)이 발생된다. 한편, 발생된 오존은 물에 용존되어 오존수로서 제1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에서는, 제1가이드부(310)가 물의 유동을 방해하여 물과 양극전극(210)이 접촉되는 시간이 지연되므로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되는 오존의 양이 증가되는 특징을 갖는다. 나아가,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된 오존도 제1가이드부(310)를 유동하는 물과 마찬가지로 유동을 방해받게 되므로 발생된 오존이 물에 용존되는 양도 증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1배출구(112)를 통해서는 오존이 충분히 용존된 상태의 오존수를 취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수소수의 생성 과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2하우징(120) 내부에 음극전극(220)이 위치하고 제2하우징(120)의 구성을 통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음극전극(220)이 제1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제1하우징(110)의 구성을 통해 수소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120)의 제2유입구(121)에 물이 공급된다(C). 공급된 물은 제2하우징(12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는 제3가이드부(330)로 유입된다. 제3가이드부(330)로 유입된 물은 제1격벽(331)을 만나 제1격벽(331)을 타고 유동하여 제1유동로(333)를 통과하게 된다(G). 이후, 제1유동로(333)를 통과한 물은 제1격벽(331)과 제2격벽(332)의 일면 사이를 유동하고 제2유동로(334)를 통과하게 된다(H). 이후, 제2격벽(332)의 타면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즉, 제3가이드부(330)에 유입된 물은 제1격벽(331), 제1유동로(333), 제2격벽(332), 제2유동로(334)를 거치며 갈지자형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에도 제3가이드부(330) 내부에서는 물이 갈지자형으로 유동하여 유동홀(335)을 통해 제2가이드부(320)로 유입된다(I). 한편,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이드부(330)에서는 5회의 갈지자형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제3가이드부(330)의 상측에는 전해유닛(200)의 음극전극(220)이 위치하므로 제3가이드부(330)를 유동하는 물은 음극전극(220)과 접촉하게 된다. 음극전극(220)의 음극단자(221)를 통해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음극전극(220)은 대향하도록 배치된 양극전극(210)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3가이드부(330)를 유동하는 물에 대한 전기분해를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음극전극(220)에 의해 전기분해된 물에서는 수소(H2)가 발생된다. 한편, 발생된 수소는 물에 용존되어 수소수로서 제2가이드부(320)를 통과하여 제2배출구(122)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제3가이드부(330)의 유동홀(335)을 통해 제2가이드부(320)로 유입된 물의 유동을 자세히 설명한다. 유동홀(335)은 일례로서 제2배출구(122)와 가깝게 위치한다. 이때, 유동홀(335)을 통해 제2가이드부(320)로 유입된 물(J)은 제1격벽(321)을 만나 제1격벽(321)을 타고 유동하여 제1유동로(323)를 통과하게 된다(K). 이후, 제1유동로(323)를 통과한 물은 제1격벽(321)과 제2격벽(322)의 일면 사이를 유동하고 제2유동로(324)를 통과하게 된다(L). 이후, 제2격벽(322)의 타면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즉, 제2가이드부(320)에 유입된 물은 제1격벽(321), 제1유동로(323), 제2격벽(322), 제2유동로(324)를 거치며 갈지자형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후에도 제2가이드부(320) 내부에서는 물이 갈지자형으로 유동하여 제2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된다(D). 한편, 일례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이드부(320)에서는 9회의 갈지자형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제1영역(A1)에서 4회의 갈지자형 유동이 가이드되고, 제2영역(A2)에서 5회의 갈지자형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유동홀(335)을 통해 유입된 물은 제1영역(A1)을 통해 제2유입구(121) 방향으로 유동하고, 제2영역(A2)을 통해 제2배출구(122) 방향으로 유동하여 제2배출구(122)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에서는, 제3가이드부(330) 및 제2가이드부(320)가 물의 유동을 방해하여 물과 음극전극(220)이 접촉되는 시간이 지연되므로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되는 수소의 양이 증가되는 특징을 갖는다. 나아가, 전기분해를 통해 발생된 수소도 제3가이드부(330) 및 제2가이드부(320)를 유동하는 물과 마찬가지로 유동을 방해받게 되므로 발생된 수소가 물에 용존되는 양도 증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수 생성모듈의 제2배출구(122)를 통해서는 수소가 충분히 용존된 상태의 수소수를 취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해유닛;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전해유닛에 의해 전기분해되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는 유동 방향 변경부를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향 변경부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 방향을 2회 이상 변경시키는 기능수 생성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향 변경부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이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유동하도록 형성되는 기능수 생성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전해유닛의 양극전극이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내측에 상기 전해유닛의 음극전극이 위치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 배출구 및 유동 방향 변경부는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각각에 위치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상기 전해유닛의 양극전극이 위치하는 제1하우징과, 내측에 상기 전해유닛의 음극전극이 위치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는 제1유입구와, 상기 제2하우징에 위치하는 제2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제2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를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전해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제1실링부; 및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전해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제2실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해유닛은,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수행하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질막의 일면은 상기 제1실링부와 접촉하고, 상기 전해질막의 타면은 상기 제2실링부와 접촉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 상면에는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기능수 생성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는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는 기능수 생성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전해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적어도 일부에서 갈지자형으로 가이드하고, 상기 제2유입구와 연통되는 제3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2배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제2가이드부와 연통되는 유동홀을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은 상기 제3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말단 부근에 위치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유동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상기 제2유입구 방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인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한 물이 상기 제2배출구 방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인 제2영역을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유닛은,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수행하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음극전극과 상기 전해질막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양극전극에서 발생되는 수소이온을 상기 음극전극으로 통과시켜 상기 음극전극 표면에서의 스케일 생성을 감소시키는 보조전극을 더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유닛은,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양극전극과 상기 전해질막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양극전극과 전해질막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방향 변경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격벽; 및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격벽과 평행하게 이격되는 제2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격벽 및 상기 제2격벽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에서 오버랩되는 기능수 생성모듈.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내부를 유동하는 물과 상기 제2하우징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각각 독립적으로 유동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전해유닛과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전해유닛과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기능수 생성모듈.
PCT/KR2016/002155 2015-04-16 2016-03-03 기능수 생성모듈 WO201616747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819 2015-04-16
KR1020150053819A KR101695675B1 (ko) 2015-04-16 2015-04-16 기능수 생성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7473A1 true WO2016167473A1 (ko) 2016-10-20

Family

ID=57127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2155 WO2016167473A1 (ko) 2015-04-16 2016-03-03 기능수 생성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5675B1 (ko)
WO (1) WO20161674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8418B (zh) * 2018-03-29 2023-11-07 北极星医疗放射性同位素有限责任公司 臭氧水生成系统
KR102228562B1 (ko) * 2018-05-21 2021-03-15 다온기전 주식회사 수소 발생 장치
KR102207611B1 (ko) * 2018-05-21 2021-01-26 다온기전 주식회사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KR102188770B1 (ko) * 2018-05-28 2020-12-08 이춘미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KR102146236B1 (ko) * 2018-05-28 2020-08-20 이춘미 수소 발생 장치
KR102146603B1 (ko) * 2018-05-28 2020-08-20 이춘미 수소 발생 장치
KR102146234B1 (ko) * 2018-05-28 2020-08-20 이춘미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KR102228567B1 (ko) * 2018-06-14 2021-03-15 다온기전 주식회사 수소 발생 장치
KR102228564B1 (ko) * 2018-06-14 2021-03-15 다온기전 주식회사 수소 발생 장치
KR20220100130A (ko) 2021-01-07 2022-07-15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기능수를 생성하는 정수기
KR102504255B1 (ko) * 2021-08-12 2023-02-27 주식회사 케어사이드 초전해 살균수 전기분해장치
KR102534771B1 (ko) * 2021-12-13 2023-05-26 주식회사 그린온 제균 및 살충 분사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959A (ko) * 2003-06-25 2005-01-06 (주)에코에이드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KR20070115568A (ko) * 2006-05-30 2007-12-06 전치중 전기화학적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00046961A (ko) * 2008-10-28 2010-05-07 욱성화학주식회사 튜브형 전해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20110064086A (ko)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정수 처리 장치
KR101427989B1 (ko) * 2013-09-26 2014-08-07 주식회사 파이노 전기분해 장치를 구비한 수소수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44B1 (ko) * 2002-12-20 2005-03-31 권호용 전기분해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기분해수 생성장치,이온수기 및 용존산소 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959A (ko) * 2003-06-25 2005-01-06 (주)에코에이드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KR20070115568A (ko) * 2006-05-30 2007-12-06 전치중 전기화학적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00046961A (ko) * 2008-10-28 2010-05-07 욱성화학주식회사 튜브형 전해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20110064086A (ko)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정수 처리 장치
KR101427989B1 (ko) * 2013-09-26 2014-08-07 주식회사 파이노 전기분해 장치를 구비한 수소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675B1 (ko) 2017-01-12
KR20160123594A (ko)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67473A1 (ko) 기능수 생성모듈
WO2016133262A1 (ko) 기능수 생성장치
KR20160123954A (ko) 기능수 생성모듈
EE9600047A (et) Elektrolüüsi süsteemi täiustused
RU2001108582A (ru) Разделенный мембранами биполярный многокамерный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й реактор
WO2019107898A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WO2019225796A1 (ko) 수소 발생 장치
CN103996862A (zh) 燃料电池堆
WO2012015113A1 (ko) 평관형 고체산화물 셀 스택
WO2016104935A1 (ko) 파이프형 전해셀
WO2011074892A2 (ko) 생물 전기화 장치
WO2019240313A1 (ko) 수소 발생 장치
WO2019225797A1 (ko)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WO2013005885A1 (ko)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
WO2019231005A1 (ko) 수소 발생 장치
WO2016052831A1 (ko) 전기 화학 단위 셀
WO2019240311A1 (ko) 수소 발생 장치
WO2019231008A1 (ko)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WO2019231007A1 (ko) 수소 발생 장치
KR20170123429A (ko) 용해필터 모듈 및 기능수 생성장치
WO2019240314A1 (ko)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WO2018038430A1 (ko) 수직형 전해장치
WO2014092357A1 (ko) 연료 전지용 스택 구조물
WO2017200168A1 (ko) 산성수 전해조
WO2013147446A1 (ko) 원심형 수로를 다중 구비한 전기분해 귀금속 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801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801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