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46741A1 -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 Google Patents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46741A1
WO2015046741A1 PCT/KR2014/007161 KR2014007161W WO2015046741A1 WO 2015046741 A1 WO2015046741 A1 WO 2015046741A1 KR 2014007161 W KR2014007161 W KR 2014007161W WO 2015046741 A1 WO2015046741 A1 WO 20150467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crylate
resin composition
photocurable resin
donor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71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태이
조명현
김장순
배효대
윤경준
고유리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ublication of WO20150467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467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Definitions

  • It relates to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donor films and a donor film.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the method of forming an organic film layer on an OLED includes a deposition method, an inkjet method, a laser thermal transfer method (LITI), and the like.
  • the organic film layer composition including an additive or a surfactant is coated on a substrate having a relatively low surface energy in order to form an organic film layer in the OL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ttability is poor and the coating property is low.
  • it may cause thermal damage to the organic film lay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hase difference of the organic film layer due to post-curing.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excellent in patterning reliability and transfer quality.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nor film including an intermediate layer formed from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having excellent patterning reliability and transfer quality.
  •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wherei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ured product of the composition is about 75 ° C to about 100 ° C, and the storage modulus is about 3.5 ° C to about 5.5 GPa at about 25 ° C. And from about 0.01 to about 0.1 GPa at about 200 ° C.
  • the composition is at least one acrylat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rethane acrylates, epoxy acrylates, ester acrylates, cardo-based acrylates, and combinations thereof, acrylate oligomers, It may include a photocurable compound, a crosslinkable acrylate monomer and a photoinitiator including an acrylate prepolymer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urethane acrylate is formed by polymerization of an isocyanate monomer and a polyol, and the isocyanate compound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selected from aliphatic isocyanate compounds, aromatic isocyanate compound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the polyol (meth) ) Acrylic acid hydroxyalkyl ester compound.
  • the epoxy acrylate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elected from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hydrogenated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meth) acrylic acid adducts of phenol novolac epoxy resins, and combinations thereof. .
  • the ester acrylate may include a polyfunctional polyester acrylate compound of a polyhydric alcohol.
  • the cardo-based acrylate may be a compound to which a photocurable acrylate is given by reacting a cardo-based compound of Formula 1 wi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anhydride compounds, diol compounds, diacrylic acid, and combinations thereof. .
  •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OH, —NH 2 , —O—CH 2 —CH 2 —OH, or —COOH.
  • the photocurable compound may include about 30 to about 70% by weight.
  • It may include about 20 to about 60% by weight of the crosslinkable acrylate monomer.
  • the crosslinkable acrylate monomer may be two to four acrylat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s.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photocurable compound may be about -50 °C to about 60 °C.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ured product is about 75 °C to about 100 °C.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may include a photocurable compound compris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 to about 20000 of an oligomer and a monomer in a ratio of about 1: 4 to about 4: 1.
  • the additive monomer may be an aliphatic group-containing monomer, and the oligomer may be an aromatic group-containing oligomer.
  • a substrate layer, a photothermal conversion layer and an intermediate layer provides a donor film which is a layer prepared by curing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 a transfer layer may be stacked on the intermediate layer.
  • the base film is glass; Or a transparent film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 polycarbonate, polyolefin, polyvinyl,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intermediate layer may have a surface energy of about 11 mN / m to about 21 mN / m.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donor film is excellent in patterning reliability and transfer quality.
  • the thermal expansion occurs well by adjusting the modulus of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adjusted to optimize the deformation and swelling of the intermediate layer at the thermal expansion temperature.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onor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y configuration is form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substrate or “top (or bottom)” of the substrate means that any configuration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substrate.
  • it is not limited to not including other configurations between the substrate and any configuration formed on (or under) the substrate.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bout 75 ° C to about 100 ° C of the cured product formed from the composition, and a storage modulus of the cured product of the composition is about 25 ° C. From about 3.5 GPa to about 5.5 GPa and from about 0.01 GPa to about 0.1 GPa at about 200 ° C.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is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intermediate layer interposed between a photothermal conversion layer and a transfer layer of a donor film, and the intermediate layer is formed to have the above-describ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storage modulus characteristics.
  • a donor film including an intermediate layer formed from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donor film By using a donor film including an intermediate layer formed from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donor film,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ransferring the organic material of the transfer layer during patterning using laser thermal transfer.
  • the organic material After depositing an organic material on the donor film to form a transfer layer, the organic material is transferred to a substrate to be transferred by laser patterning.
  • the intermediate layer formed from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the donor film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less than about 75 ° C.
  • a problem may occur that the stability and storage properties of the film are deteriorated at room temperature, and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exceeds about 100 ° C., the laser
  • the intermediate layer may be maintained in a glassy state, which may cause a problem in that transfer performance is degraded.
  • the intermediate layer cured from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has a storage modulus of less than about 3.5 GPa at about 25 ° C.
  • organic material transfer occurs to a region that should not be patterned when performing laser thermal transfer, thereby lowering patterning reliability. This may occur, and having a storage modulus exceeding about 5.5 GPa at about 25 ° C. may cause a problem in that thermal expansion by the laser is difficult to occur in the intermediate layer during laser thermal transfer.
  • the intermediate layer cured from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has a storage modulus of less than about 0.01 GPa at about 200 ° C.
  •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intermediate layer is deformed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n which thermal expansion occurs, and at about 200 ° C. If the storage modulus exceeds 0.1 GPa, it may be difficult to cause thermal expansion by the laser in the intermediate layer during laser thermal transfer.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is specifical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rethane acrylates, epoxy acrylates, ester acrylates, cardo-based acrylates, and combinations thereof.
  • a photocurable compound including an acrylate monomer, an acrylate oligomer, an acrylate prepolymer,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such as a crosslinkable acrylate monomer and a photoinitiator.
  • the acrylate oligomer of the photocurable compound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 to about 20000.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may include about 20 to about 60 wt% of the aforementioned acrylate oligomer as the photocurable compound.
  • the urethane acrylate is to give a acrylate group to the urethane compound to be photocurable, it is a generic name of a compound having a urethane bond and an acrylate group.
  • the urethane bond may be formed by polymerizing an isocyanate monomer and a polyol.
  • the urethane acrylate photocurable oligomer may be a urethane bond formed by reacting an isocyanate compound with a (meth) acrylic acid hydroxyalkyl ester compound. It may include an oligomer formed by polymeriz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 to about 20000.
  • isocyanate compound examples include aliphatic isocyanate compounds such as hexamethylene diisocyanate (HMDI),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or toluene diisocyanate (TDI), and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 HMDI hexamethylene diisocyanate
  • IPDI isophorone diisocyanate
  • TDI toluene diisocyanate
  •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 Aromatic isocyanate compounds such as isocyanate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etc. are mention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meth) acrylic acid hydroxyalkyl ester compound examples includ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6- Hydroxyhexyl (meth) acrylate, 8-hydroxyoctyl (meth) acrylate, 2-hydrox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or 2-hydroxypropylene glycol (meth) acrylate, and the like, and combinations thereof This can be used.
  • the epoxy acrylate is a compound in which an acrylate group is given to an epoxy group-containing epoxy group compound as a photocurable compound,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hydrogenated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or a phenol novolak epoxy resin. Epoxy acrylate type compounds etc. which are the (meth) acrylic acid addition products of these are mentioned.
  • the ester acrylate is a compound in which an acrylate group is added to an ester compound as a photocurable compound,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hydric alcohols such as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or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It may be a polyfunctional polyester acrylate compound.
  • the cardo-based acrylate (or fluorene-based acrylate) is a photocurable compound, specifical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do-based compound of Formula 1, a dianhydride compound, a diol compound, diacrylic acid, and a combination thereof It may be a compound endowed with a photocurable acrylate by reacting one.
  •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OH, —NH 2 , —O—CH 2 —CH 2 —OH, or —COOH.
  •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may include about 30 to about 70% by weight of the photocurable compound.
  • crosslinkable acrylate monomer various photocurable monomers may be used, for example, 2 to 4 acrylat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s.
  • specific examples of the crosslinkable acrylate monomer include 1,2-ethylene glycol diacrylate, 1,12-dodecanediol acrylate, 1,4-butanediol di (meth) acrylate, and 1,6-hexanediol Di (meth) acrylate, neopentylglycol di (meth)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neopentylglycol adipate di (meth) acrylate, hydroxyl piivalic acid ) Neopentylglycol di (meth) acrylate, dicyclopentanyl di (meth) acrylate, caprolactone modified dicyclopentenyl di (meth) acrylate, ethylene oxide modified di (meth) acrylate, di (Meth) acryloxy eth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may include about 20 to about 60 wt% of the crosslinkable acrylate monomer.
  • the photoinitiator examples include benzoin methyl ether, 2,4,6-trimethylbenzoyl diphenylphosphine oxide, bis (2,4,6-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e oxide, ⁇ , ⁇ -methoxy- ⁇ -hydro Roxacytophenone, 2-benzoyl-2- (dimethylamino) -1- [4- (4-morphonyl) phenyl] -1-butanone,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oxime ester system And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may include about 0.1 to about 10% by weight of the photoinitiator.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is prepared so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photocurable compound is -50 ° C. to 60 ° C. in order to realiz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range in the above-described range, and then mixes the photoinitiator with other components.
  •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intermediate layer may be prepared to be 75 °C to 100 °C.
  •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oligomer raw material of the photocurable compound is- It limits the range from 50 ° C. to about 60 ° C. and allows the polymer network structure to be cured through the photoinitiator.
  • isocyanate and (meth) acrylic acid hydroxyalkyl ester include an aromatic group to give a hard repeating uni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raised.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is a kind of monomer constituting a repeating unit (repeat unit) of the photocurable compound, in order to implement the storage modulus of the above-described numerical range at about 25 °C and about 200 °C, respectively, It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molecular weight, content and the like.
  • the storage modulus increases if the repeating unit consists of an aromatic of hard type.
  •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storage modulus through the molecular weight when the molecular weight is large, the interval between the curing sites (site) is long and the crosslinking density (crosslinking density) is lowered, which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storage modulus.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may include a content ratio of oligomer and mono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 to about 20000 to about 1: 4 to about 4: 1, specifically, the monomer It may be an aliphatic group-containing monomer, the oligomer may be an aromatic group-containing oligomer.
  • the aliphatic monomer and the aromatic monomer may not be included at the same time.
  • an exemplary method for setting the modulus to about 0.1 GPa or less at a high temperature of about 200 ° C. provide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oligomer raw material of the photocurable compound from about ⁇ 50 ° C. to about 60 ° C. After curing in a limited range,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ured product is about 75 ° C. to about 100 ° C.,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has a viscosity at about 200 ° C.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 storage modulus is sharply lowered to achieve a value of about 0.01 to about 0.1 GPa.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may include a content ratio of oligomer and mono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 to about 20000 to about 1: 4 to about 4: 1, specifically, the monomer It may be an aliphatic group-containing monomer, the oligomer may be an aromatic group-containing oligomer.
  • the aliphatic monomer and the aromatic monomer may not be included at the same time.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i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rosslinking agent, an ultraviolet stabilizer, an antioxidant, a colorant, a reinforcing agent, a filler, an antifoaming agent, a surfactant, a plasticizer, and combinations thereof in a range that does not affect the effect of the invention. It may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additives selected.
  • a donor film including a substrate layer, a photothermal conversion layer, an intermediate layer, and a transfer layer.
  • middle layer is manufactured by hardening
  • the donor film may improve the performance of transferring the organic material of the transfer layer during patterning using laser thermal transfer.
  • Patterning is one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transfer quality, so that thermal expansion occurs well by adjusting the storage modulus of the intermediate layer formed from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described above, and controll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o deform and swell the intermediate layer at the thermal expansion temperature.
  • the donor film may be usefully use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the donor film 10 includes a base layer 11, a photothermal conversion layer 12 formed on the base layer 11, and an intermediate layer 13 formed on the photothermal conversion layer 12. do.
  • a transfer layer 14 formed on the intermediate layer 13 may be formed.
  • the base film 11 is glass; Or a transparent film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 polycarbonate, polyolefin, polyvinyl,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base film 11 is specifically,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or a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film, and the base film of the material is most preferable in view of processability, thermal stability and transparency. Do.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11 is modified by a surface treatmen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a surface treatment such as corona, plasma, and the like to control adhesion, surface tension, etc. when the photothermal conversion layer 12 is laminated in a subsequent process. It is also possible.
  • the donor film 10 may further include a primer layer (not shown) formed on the base film 11.
  • a primer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base film 11 and the photothermal conversion layer 12.
  • the primer layer is to control the temperature transfer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adjacent lay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base film 11 and the adjacent layer, and to control the image forming radiation transfer to the photothermal conversion layer 12. If the primer layer is not formed, a phenomenon in which the base film 11 and the photothermal conversion layer 12 are separated in a transfer process using a laser may occur.
  •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resins, polyurethane resins, polyester resins,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be used.
  • the base film 11 and the photothermal conversion layer 12 may be separated in a transfer process using a laser.
  • the photothermal conversion layer 12 is a layer that absorbs light in the infrared-visible ray region and converts a part of the light into heat, and is made of a resin composition including a thermosetting resin and a photothermal conversion material.
  • the intermediate layer 13 may be formed by coating the above-mentioned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a donor film and thermosetting or photocuring, wherein the intermediate layer 13 is transferred by a heat generated in the photothermal conversion layer 12.
  • the intermediate layer 13 is excellent in patterning reliability as described above.
  • the intermediate layer 13 preferably has a low surface energy. Since the intermediate layer 13 has a low surface energ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rganic material is easily transferred even in a small thermal expansion.
  • the intermediate layer 13 may have a surface energy of about 11 mN / m to about 21 mN / m.
  • the intermediate layer 13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for example, about 1 ⁇ m to about 5 ⁇ m. When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layer 13 is less than 1 ⁇ m, the organic material of the transfer layer may be damaged due to the heat generated in the photothermal conversion layer. If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layer 13 is greater than 5 ⁇ m, the transfer performance may not be sufficiently expanded.
  • the transfer layer 14 typically includes one or more layers for transferring to the receptor.
  • it may be formed using organic, inorganic, organometallic and other materials, including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or electrically active materials.
  • poly (phenylenevinylene), poly-para-phenylene, polyfluorene, polydialkylfluorene, polythiophene, poly (9-vinylcarbazole), poly (N-vinylcarbazole-vinyl Alcohol) copolymers, triarylamine, polynorbornene, polyaniline, polyarylpolyamine, triphenylamine-polyetherketon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transfer layer 14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known light emitting materials, hole transporting organic materials, and electron transporting organic materials so as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o be manufactured. It may include a compoun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non-luminescent low molecular material, a non-luminescent charge transfer polymer material and a curable organic semi-inder material.
  •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60 wt% of a photocurable compoun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7000) of a cardo-based acrylate containing an aromatic group, 35 wt% of a bifunctional acrylate monomer, and 5 wt% of a photoinitiator.
  • UV lamp After forming a photothermal conversion layer containing a carbon black photothermal conversion material on the substrate layer of the polyester film to a thickness of 3 ⁇ m, and coating the urethane acrylate-based resin composition prepared above to a thickness of 3 ⁇ m, UV lamp The donor film was manufactured by preparing an intermediate layer by irradiating with UV and curing.
  • the cardo acrylate is a hard type oligomer (molecular weight 7000) having a hard structure in which an aromatic 5-membered ring and a 6-membered ring cross each other, and the ring is cured by lower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by increasing the molecular weight by reacting the aliphatic group with the ring.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made to be about 75 to 100 °C within the desired range.
  • the intermediate layer prepared from the composition blended in the above content ratio is prepared to have storage modulus at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to a desired level.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storage modulus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of the prepared intermediate layer were measured.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to include 20 wt% of urethane acrylat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13000) having an aromatic constituent, 70 wt% of bifunctional acrylate monomer, and 10 wt% of a photoinitiator.
  • the donor film was prepared by the following.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to contain 56 wt% of cardo-based acrylat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5000) having an aromatic constituent, 34 wt% of a trifunctional acrylate monomer, and 10 wt% of a photoinitiator.
  • a donor film was produced by the method.
  •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to contain 80 wt% of urethane acrylat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5000) having an aromatic constituent, 15 wt% of bifunctional acrylate monomer, and 5 wt% of a photoinitiator.
  • the donor film was prepared by the following.
  • Nanoindentation Hysitron TI750: Storage modulus values were obtained at room temperature (25 ° C) and high temperature (200 ° C) in nanoDMA mode.
  • the transfer quality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method.
  • Test pattern substrate preparation A test pattern substrate having a bank structure thickness of 0.5 ⁇ m or less and a Taper Angle of 15 ° or less is prepared.
  • Organic DNTPD N, N'-diphenyl-N, N'-bis- [4- (phenyl-m-tolyl-amino) -phenyl] -biphenyl-4 on a test pattern substrate having a pixel size of 11 ⁇ 78 ⁇ m , 4'-diamine was deposited to 100 mm thick.
  • TCTA (N-carbazolyl) -triphenylamine
  • a mask is mounted to allow imaging with alignment with the pixel area of the substrate.
  •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with an amount of energy of 1.5 J / cm 2 onto the substrate (PET surface) of the prepared sample and scanned.
  • Example 6 After the removal of the donor film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fter the scanning, the organic transfer traces to the substrate surface is evaluat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조성물의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가 약 75℃ 내지 약 100℃이고, 저장 모듈러스는 약 25℃에서 약 3.5 내지 약 5.5 GPa이고, 약 200℃에서 약 0.01 내지 약 0.1 GPa인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술의 발전 동향은 에너지를 적게 이용하면서도 동시에 시인성이 뛰어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발광방식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적다고 알려진 유기발광표시장치(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경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OLED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풀컬러(full color)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발광소자에 컬러를 패터닝(patterning)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며, 결과적으로는 발광소자의 색상을 결정하는 OLED의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따라 구현 효과의 차이가 발생한다. OLED에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증착법, 잉크젯 방식, 레이저 열전사 방식(LITI) 등이 있다.
OLED에 유기막층을 형성하기 위해 첨가제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기막층 조성물을 상대적으로 표면에너지가 낮은 기판에 코팅하는 경우, 젖음성이 좋지 않아 코팅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OLED에 유기막층을 형성하기 위해 기존의 열경화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유기막층의 열적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사후 경화에 의한 유기막층의 위상차가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패터닝 신뢰성 및 전사 품질이 우수한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패터닝 신뢰성 및 전사 품질이 우수한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중간층을 포함하는 도너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가 약 75℃ 내지 약 100℃이고, 저장 모듈러스는 약 25℃에서 약 3.5 내지 약 5.5 GPa이고, 약 200℃에서 약 0.01 내지 약 0.1 GPa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카도계(cardo-based) 아크릴레이트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가교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계 모노머와 폴리올이 중합반응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은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다가 알코올의 다관능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도계 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1의 카도계 화합물과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디올 화합물, 디아크릴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반응시켜 광경화 가능한 아크릴레이트가 부여된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7161-appb-I0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OH, -NH2, -O-CH2-CH2-OH 또는 -COOH이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약 30 내지 약 7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약 20 내지 약 6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2개 내지 4개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함유 모노머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형 화합물의 유리전이온도(Tg)는 약 -50℃ 내지 약 60℃일 수 있다.
광개시제를 통해 경화된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한 후 경화물의 유리전이 온도가 약 75℃ 내지 약 100℃가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 약 500 내지 약 20000인 올리고머와 모노머의 함량비가 약 1:4 내지 약 4:1이 되도록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가 모노머는 지방족기 함유 모노머이고, 상기 올리고머는 방향족기 함유 올리고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기재층, 광열변환층 및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된 층인 도너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중간층 상부에 전사층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은 유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은 약 11 mN/m 내지 약 21 mN/m의 표면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패터닝 신뢰성 및 전사 품질이 우수하다. 패터닝의 전사품질을 결정하는 요소 중의 하나로 중간층의 모듈러스를 조절하여 열팽창이 잘 일어나도록 하며, 유리전이온도를 조절하여 열팽창 온도에서 중간층의 변형 및 부풀어오름을 최적화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너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가 약 75℃ 내지 약 100℃이고,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의 저장 모듈러스 (storage modulus)은 약 25℃에서 약 3.5 내지 약 5.5 GPa 이고, 약 200℃에서 약 0.01 GPa 내지 약 0.1 GPa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도너 필름의 광열변환층과 전사층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층 형성용 조성물로서, 상기 중간층은 전술한 유리전이온도와 저장 모듈러스 특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중간층을 포함하는 도너 필름을 사용하여 레이저 열전사를 이용한 패터닝시 전사층의 유기물이 전사되는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너 필름에서 유기물을 증착시켜 전사층을 형성한 후,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증착된 유기물을 전사시키고자 하는 기재로 전사하게 된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중간층이 약 75℃ 미만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면, 상온에서 필름의 안정성 및 저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약 100℃ 초과하는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면, 레이저 열전사 수행시 중간층이 유리 상태 (glassy state)로 유지되어 전사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경화된 중간층이 약 25℃에서 약 3.5 GPa 미만의 저장 모듈러스를 가지면, 레이저 열전사 수행시 패터닝되지 않아야 되는 영역까지 유기물 전사가 일어나 패터닝 신뢰성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약 25℃에서 약 5.5 GPa초과하는 저장 모듈러스를 가지면, 레이저 열전사 수행시 중간층에서 레이저에 의한 열팽창이 일어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경화된 중간층이 약 200℃에서 약 0.01 GPa 미만의 저장 모듈러스를 가지면, 열팽창이 일어나는 고온 조건에서 중간층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약 200℃에서 약 0.1 GPa초과하는 저장 모듈러스를 가지면, 레이저 열전사 수행시 중간층에서 레이저에 의한 열팽창이 일어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카도계(cardo-based) 아크릴레이트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과, 여기에 가교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광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상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 약 500 내지 약 2000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로서 전술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약 20 내지 약 6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우레탄 화합물에 아크릴레이트기를 부여하여 광경화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우레탄 결합과 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총칭이다. 우레탄 결합은 이소시아네이트계 모노머와 폴리올이 중합반응하여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광경화성 올리고머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계 화합물과 반응하여 형성된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고, 중량평균분자량 약 500 내지 약 20000 정도로 중합되어 형성된 올리고머일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examethylene diisocyanate, HM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sophorone diisocyanate, IPDI)와 같은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계화합물 또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Toluene diisocyanate, TDI), 메틸렌 다이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와 같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고,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광경화형 화합물로서 에폭시기 함유 에폭시기 화합물에 아크릴레이트기가 부여된 화합물로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또는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인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광경화형 화합물로서 에스테르 화합물에 아크릴레이트기가 부여된 화합물로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다관능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카도계 아크릴레이트 (또는 플루오렌계 아크릴레이트)는 광경화형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의 카도계 화합물과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디올 화합물, 디아크릴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반응시켜 광경화 가능한 아크릴레이트가 부여된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7161-appb-I00000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OH, -NH2, -O-CH2-CH2-OH 또는 -COOH이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조성물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약 30 내지 약 7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광경화 가능한 다양한 모노머가 사용가능하고, 예를 들어, 2~4개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함유 모노머일 있다. 상기 가교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1,2-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12-도데탄디올 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neopentylglycol adipat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hydroxyl puivalic acid)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dicyclopentanyl)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타)아크릴록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allyl)화 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fluorine) 등의 2관능형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ex.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의 6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상기 가교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약 20 내지 약 6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의 예로는 벤조인메틸에테르,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핀옥사이드, α,α-메톡시-α-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2-벤조일-2-(디메틸아미노)-1-[4-(4-몰포닐) 페닐]-1-부타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옥심에스터계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상기 광개시제를 약 0.1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범위의 유리전이온도 범위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광경화형 화합물의 유리전이온도(Tg)가 -50℃ 내지 60℃가 되도록 준비하여 다른 성분과 광개시제 배합 후 경화하였을 때 중간층의 유리전이 온도가 75℃ 내지 100℃가 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 전술한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구현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면, 상기 광경화형 화합물의 올리고머 원재료의 유리전이온도를 약 -50℃ 에서 약 60℃ 범위로 제한하고, 광개시제를 통해 경화된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를 갖게 한다. 상기 올리고머 원재료의 유리전이온도를 제한하기 위해, 예를 들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경우 이소시아네이트와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가 방향족기를 포함하도록 하여 경질(hard)의 반복단위를 갖게 함으로써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를 올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약 25℃ 및 약 200℃에서 각각 전술한 수치 범위의 저장 모듈러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의 반복 단위(repeat unit)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종류, 분자량, 함량 등을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복 단위가 경질(hard) 유형인 방향족으로 구성되면 상기 저장 모듈러스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분자량을 통해서도 저장 모듈러스를 조절할 수 있는데, 분자량이 큰 경우 경화 지점(site) 간의 간격이 길어져 가교 밀도(crosslinking density)가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저장 모듈러스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지방족기 함유 모노머와 방향족기 함유 모노머의 함량을 조절하고, 분자량이 큰 구성요소와 작은 구성 요소의 함량을 조절하여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 전술한 범위 내의 저장 모듈러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 약 500 내지 약 20000인 올리고머와 모노머의 함량비가 약 1:4 내지 약 4:1이 되도록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모노머는 지방족기 함유 모노머일 수 있고, 상기 올리고머는 방향족기 함유 올리고머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지방족기 모노머와 방향족기 모노머를 동시에 포함되게 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약 200℃의 고온에서 모듈러스를 약 0.1 GPa 이하로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으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면, 상기 광경화형 화합물의 올리고머 원재료의 유리전이온도를 약 -50℃ 에서 약 60℃ 범위로 제한하여 경화시킨 후,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가 약 75℃ 내지 약 100℃가 되게 하면, 유리전이온도 보다 높은 약 200℃에서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점성을 갖는 (viscous) 상태가 되어 저장 모듈러스가 급격히 저하하게 되어 약 0.01 내지 약 0.1 GPa의 값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고온에서 상기 범위의 고온 모듈러스를 구현하게 되면, 레이저 조사 후 열팽창이 일어날 때 중간층이 충분히 부풀어 올라 우수한 전사 성능을 보이게 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 약 500 내지 약 20000인 올리고머와 모노머의 함량비가 약 1:4 내지 약 4:1이 되도록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모노머는 지방족기 함유 모노머일 수 있고, 상기 올리고머는 방향족기 함유 올리고머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지방족기 모노머와 방향족기 모노머를 동시에 포함되게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가교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가소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기재층, 광열변환층, 중간층 및 전사층을 포함하는 도너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중간층은 전술한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된다.
상기 도너 필름은 레이저 열전사를 이용한 패터닝시 전사층의 유기물이 전사되는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패터닝은 전사품질을 결정하는 요소 중의 하나로 전술한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중간층의 저장 모듈러스를 조절하여 열팽창이 잘 일어나도록 하며, 유리전이온도를 조절하여 열팽창 온도에서 중간층의 변형 및 부풀어오름을 최적화 하고자 한다.
상기 도너 필름은 유기발광표시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도너 필름(10)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상기 도너 필름(10)은 기재층(11), 상기 기재층(11)의 상부에 형성된 광열변환층(12) 및 상기 광열변환층(12) 상부에 형성된 중간층(13)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나타나듯이, 상기 중간층(13) 상부에 형성된 전사층(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1)은 유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1)은,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필름이고, 상기 재질의 기재필름은 가공성, 열안정성 및 투명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필름(11)의 표면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표면처리, 예를 들어 코로나, 플라즈마 등의 표면처리로 개질하여 후속 공정으로 광열변환층(12) 적층시 부착성, 표면장력 등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너 필름(10)은 상기 기재필름(11)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미도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필름(11) 및 광열변환층(12)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기재필름과 인접한 층 사이의 온도 전달을 제어하고, 기재필름(11)과 인접한 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광열변환층(12)으로의 이미지 형성 방사선 전달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레이저를 이용한 전사공정에서 기재필름(11)과 광열변환층(12)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프라이머층에 적합한 소재로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과 기재필름(11) 간 또는 프라이머층과 광열변환층(12) 간 내열밀착력이 불량하면 레이저를 이용한 전사공정에서 기재필름(11)과 광열변환층(12)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광열변환층(12)은 적외선-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상기 빛의 일부를 열로 변환시키는 층으로, 열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과 광열 변환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층(13)은 전술한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여 열경화 또는 광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간층(13)은 광열변환층(12)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사층이 전사될 때, 광열 변환층(12) 내부에 존재하는 광열 변환물질이 함께 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광열변환층(12)에서 발생한 열이 전사층에 전달되어 열에 의해 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중간층(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패터닝 신뢰성이 우수하다.
상기 중간층(13)은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층(13)이 낮은 표면에너지를 가짐으로써 작은 열팽창에도 유기물 전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층(13)은 표면에너지가 약 11 mN/m 내지 약 21 mN/m 일 수 있다.
상기 중간층(13)은 예를 들어 약 1 ㎛ 내지 약 5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13)의 두께가 1㎛ 미만일 때는 광열변환층에서 발생한 열로 인해 전사층의 유기물이 손상을 입을 수 있고, 5㎛ 초과하면 충분히 부풀어 오르지 않아 전사 성능이 안 좋아질 수 있다.
상기 전사층(14)은 전형적으로 리셉터로 전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계발광재료 또는 전기적으로 활성인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무기, 유기금속성 및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페닐렌비닐렌), 폴리-파라-페닐렌, 폴리플루오렌, 폴리디알킬플루오렌, 폴리티오펜, 폴리(9-비닐카바졸), 폴리(N-비닐카바졸-비닐알콜) 공중합체, 트리아릴아민, 폴리노르보넨, 폴리아닐린, 폴리아릴폴리아민, 트리페닐아민-폴리에테르케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층(14)은 제조하고자 하는 유기발광소자의 특성에 합치되도록 공지의 발광물질, 홀 전달성 유기물질, 전자 전달성 유기물질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비발광 저분자 물질, 비발광 전하전달 고분자 물질 및 경화 가능 유기반인더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한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방향족기를 포함하는 카도계 아크릴레이트의 광경화성 화합물 (중량평균분자량 7000) 60 wt%,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5 wt%, 광개시제 5 wt%를 혼합하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재층 상에 카본블랙의 광열변환물질을 포함하는 광열변환층을 3㎛ 두께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상기 준비한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3㎛ 두께로 코팅한 후, UV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중간층을 제조하여 도너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카도계 아크릴레이트는 방향족의 5원환과 6원환이 교차된 경질 구조를 갖는 경질 타입 올리고머 (분자량 7000)이고, 그 고리와 상기 지방족기를 반응시켜 분자량을 높임으로써 유리전이온도를 낮추어 경화시켜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를 원하는 범위 내인 약 75 내지 10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함량비로 배합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중간층은 원하는 수준으로 유리전이온도, 상온 및 고온에서의 저장 모듈러스를 갖도록 제조된다. 상기 제조된 중간층에 대하여 유리전이온도 및 상온 및 고온에서의 저장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방향족 구성물을 갖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중량평균분자량 13000) 20 wt%,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70 wt% 광개시제 10 wt%를 포함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너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방향족 구성물을 갖는 카도계 아크릴레이트 (중량평균분자량 5000) 56 wt%, 3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4 wt% 광개시제 10 wt%를 포함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너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방향족 구성물을 갖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중량평균분자량 5000) 80 wt%, 2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 wt% 광개시제 5 wt%를 포함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너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도너 필름의 중간층에 대하여 유리전이온도와 저장 모듈러스와 유리전이온도의 평가는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도너 필름에 대하여 하기 방법에 따라 전사 특성을 평가하여 표 1에 평가 결과를 기재하였다.
<유리전이온도 평가>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Perkin Elmer社 DSC8000): 20℃에서 200℃까지 10 ℃/min의 속도로 승온하여 측정한다.
<저장 모듈러스 평가>
Nanoindentation: Hysitron TI750: nanoDMA mode로 상온(25℃) 및 고온 (200℃)에서 측정하여 저장 모듈러스 값을 얻었다.
<전사 품질 평가>
하기 방법에 의해 전사 품질을 평가하였다.
1) 테스트 패턴 기판 준비: Bank 구조 두께 0.5㎛ 이하, Taper Angle 15° 이하 구조를 갖는 테스트 패턴 기판을 준비한다. Pixel 크기 11×78㎛을 갖는 테스트 패턴 기판에 유기물 DNTPD(N,N'-디페닐-N,N'-비스-[4-(페닐-m-톨일-아미노)-페닐]-비페닐-4,4'-디아민)를 100Å 두께로 증착하였다.
2)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필름 면에는 TCTA((N-카바졸일)-트리페닐아민)를 500Å 두께로 증착한다.
3) 테스트 패턴 기판의 DNTPD면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필름의 TCTA면을 Laser 장비 Stage에서 흡착에 의해 고정한다.
4) 레이저 장비의 말단부에는 기판의 픽셀 영역과 정렬하여 이미지화할 수 있도록 마스크가 장착된다.
5) 준비된 시료의 기재(PET면)으로 레이저 빔을 1.5J/㎠ 의 에너지 량으로 조사하여 스캐닝한다.
6) 스캐닝 이후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도너 필름을 제거 후 기판 면으로 유기물 전사 흔적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표 1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유리 전이 온도 [℃] 120 100 50 65
저온 모듈러스 [25℃, GPa] 4.3 3.6 1.1 5.2
고온 모듈러스 [200℃, GPa] 0.061 0.012 0.13 0.10
전사 품질 평가 우수 우수 불량 불량
<부호의 설명>
10: 도너 필름
11: 기재층
12: 광열변환층
13: 중간층
14: 전사층

Claims (18)

  1. 조성물의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가 75℃ 내지 100℃이고, 저장 모듈러스는 25℃에서 3.5 내지 5.5 GPa이고, 200℃에서 0.01 내지 0.1 GPa인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카도계(cardo-based) 아크릴레이트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 가교성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아크릴레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계 모노머와 폴리올이 중합반응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은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계 화합물인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다가 알코올의 다관능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도계 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1의 카도계 화합물과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디올 화합물, 디아크릴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반응시켜 광경화 가능한 아크릴레이트가 부여된 화합물인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7161-appb-I000003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OH, -NH2, -O-CH2-CH2-OH 또는 -COOH이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 30 내지 70 중량% 포함하는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20 내지 60 중량% 포함하는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2개 내지 4개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함유 모노머인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형 화합물의 유리전이온도(Tg)는 -50℃ 내지 60℃인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를 통해 경화된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한 후 경화물의 유리전이 온도가 75℃ 내지 100℃가 되도록 제조된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중량평균분자량 500 내지 20000인 올리고머와 모노머의 함량비가 1:4 내지 4:1이 되도록 포함하는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가 모노머는 지방족기 함유 모노머이고, 상기 올리고머는 방향족기 함유 올리고머인
    도너 필름용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14. 기재층, 광열변환층 및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된 층인
    도너 필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상부에 전사층이 적층되는
    도너 필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유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 필름인
    도너 필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도너 필름.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11 mN/m 내지 21 mN/m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도너 필름.
PCT/KR2014/007161 2013-09-27 2014-08-04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WO201504674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418A KR101847229B1 (ko) 2013-09-27 2013-09-27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KR10-2013-0115418 2013-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6741A1 true WO2015046741A1 (ko) 2015-04-02

Family

ID=5274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7161 WO2015046741A1 (ko) 2013-09-27 2014-08-04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47229B1 (ko)
TW (1) TWI634129B (ko)
WO (1) WO20150467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0018B2 (en) 2015-08-31 2019-01-29 Kateeva, Inc. Di- and mono(meth)acrylate based organic thin film ink compositions
WO2018195066A3 (en) * 2017-04-21 2020-03-26 Kateeva, Inc. Compositions and techniques for forming organic thin film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638A (ko) * 2010-12-31 2012-07-10 이터널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KR20120078101A (ko) * 2010-12-31 2012-07-10 조광페인트주식회사 Uv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KR20130072573A (ko) * 2011-12-22 2013-07-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JP2013130679A (ja) * 2011-12-21 2013-07-04 Nissan Chem Ind Ltd ディスプレイ基板用耐熱性コーティング剤
KR20130078600A (ko) * 2011-12-30 2013-07-10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전사 필름
KR20130089443A (ko) * 2012-02-02 2013-08-1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대전방지 특성을 갖는 도너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871B1 (ko) 2006-11-17 2007-06-14 김재형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의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638A (ko) * 2010-12-31 2012-07-10 이터널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KR20120078101A (ko) * 2010-12-31 2012-07-10 조광페인트주식회사 Uv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JP2013130679A (ja) * 2011-12-21 2013-07-04 Nissan Chem Ind Ltd ディスプレイ基板用耐熱性コーティング剤
KR20130072573A (ko) * 2011-12-22 2013-07-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KR20130078600A (ko) * 2011-12-30 2013-07-10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전사 필름
KR20130089443A (ko) * 2012-02-02 2013-08-1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대전방지 특성을 갖는 도너 필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0018B2 (en) 2015-08-31 2019-01-29 Kateeva, Inc. Di- and mono(meth)acrylate based organic thin film ink compositions
WO2018195066A3 (en) * 2017-04-21 2020-03-26 Kateeva, Inc. Compositions and techniques for forming organic thin films
US11844234B2 (en) 2017-04-21 2023-12-12 Kateeva, Inc. Compositions and techniques for forming organic thin fil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229B1 (ko) 2018-05-29
TWI634129B (zh) 2018-09-01
KR20150035648A (ko) 2015-04-07
TW201512230A (zh)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35866A1 (ko) Oled 패널 하부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WO2015020412A1 (ko) 점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제조방법
WO2014104522A1 (ko) 봉지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장벽층 및 이를 포함하는 봉지화된 장치
WO2014123308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6039521A1 (ko) 광학용 점착 시트
WO2016060476A1 (ko) 광학 필름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WO2018135865A1 (ko) Oled 패널 하부 보호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40139785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WO2020027375A1 (ko) 색변환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WO2010147356A2 (ko) 웨이퍼 가공용 기재
WO2015142077A1 (ko) 투명 도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2111964A2 (ko) 무용제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7175971A1 (ko)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WO2010147363A2 (ko) 웨이퍼 가공용 시트
WO2015046741A1 (ko)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WO2021125695A1 (ko) 잉크젯용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WO2017078488A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용 점착 필름
WO2015046740A1 (ko) 도너 필름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너 필름
WO2017183833A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층
WO2015046884A1 (ko)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너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경화형 도너필름
WO2021060961A1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12322A1 (ko) 점착 필름
KR101908740B1 (ko) 도너 필름용 이중 경화성 수지 조성물, 도너 필름 및 도너 필름의 제조 방법
WO2019112175A1 (ko) 접착제 키트, 이를 포함하는 접착필름 및 봉지재, 및 유기전자장치의 봉지방법
WO2014104542A1 (ko) 열전사필름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유기전계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498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498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