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33372A1 - 리튬 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33372A1
WO2014133372A1 PCT/KR2014/001710 KR2014001710W WO2014133372A1 WO 2014133372 A1 WO2014133372 A1 WO 2014133372A1 KR 2014001710 W KR2014001710 W KR 2014001710W WO 2014133372 A1 WO2014133372 A1 WO 201413337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lfur battery
positive electrode
lithium
lithium sulfur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17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선양국
이동주
박주원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413337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333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sulfur battery positive electrode and a lithium sulfur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thium sulfur battery positive electrode including a carbon material having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a lithium sulfur battery including the same.
  • Lithium sulfur battery has a theoretical energy density of 2800 Wh / kg (1675 mAh / g), which is much higher than other batteries, and the sulfur-based material used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inexpensive resource and a cheap material. .
  • Lithium sulfur battery uses a sulfur-based compound having a sulfur-sulfur bond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n alkali metal such as lithium, or a carbon-based material in which insertion / deintercalation of metal ions such as lithium ions occurs It is a secondary battery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reduction reaction discharged
  • the SS bond is broken and the oxidation number of S decreases.
  •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of the SS bond is formed by increasing the oxidation number of S and the electrical energy is stored and stored.
  • elemental sulfur is generally an insulator with no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refore, an electroconductive material must be used to provide a smooth electrochemical reaction site in order for an electrochemical reaction to occur.
  • the positive electrode structure using elemental sulfur so far known has a structure in which sulfur and a conductive carbon powder are independently present in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ixture) and are simply mixed as described in US Pat. Nos. 5,523,179 and 5,582,623.
  • sulfur becomes polysulfide and is eluted in the liquid phase in the electrolyt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electrode structure collapses and adversely affects the capacity and life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sulfur batter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thium sulfur battery positive electrode and a lithium sulfur battery comprising the sam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Carbon material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of 100 m 2 / g or more;
  • It provides a lithium sulfur battery positive electrode comprising a hollow carbon material.
  • the carbon material having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100 m 2 / g or mo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sorption amount is 100 to 300 cc / g.
  • the carbon material having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100 m 2 / g or mo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oporous (mesoporous) structure.
  • the carbon material having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100 m 2 / g or more is characterized by a honeycomb structure.
  • the hollow carbon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supported.
  • the lithium sulfur battery posi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carbon material carry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mixed at a ratio of 10 to 3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arbon material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of 100 m 2 / g or more.
  • Elemental sulfur (S 8 ), a sulfur-based compound,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as the cathode active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thium sulfur battery including 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ulfur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thium sulfur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sulfolane in which LiTFSI and Li 2 S 8 are dissolved as an electrolyte.
  • 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ulfur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bon material having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apacity of the lithium sulfur battery including the same, thereby providing a lithium sulfur battery having excellent capacity characteristics.
  • Figure 1 shows a SEM photograph of the honeycomb type carbon conductive material prepar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BET of the honeycomb type carbon conductive material prepar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dsorption amount of the honeycomb type carbon conductive material prepar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shows a SEM photograph of the lithium sulfur battery positive electrode prepar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to 6 show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life characteristics and the charge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for the lithium sulfur battery prepar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charge and discharge efficiency while varying the discharge capacity for the lithium sulfur battery prepar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henolic resin was prepared, and 19.7135 ml (3.9325 g) of ethanol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stirring at 40 ° C. for 30 minutes. 10 ml of tetraethyl orthosilicate was added thereto, stirred for 15 minutes, 50 ml of aqueous ammonia solution was added thereto, 200 ml of ethanol was added thereto, and then stirred at 40 ° C. for 2 hours to prepare a slurry. The prepared slurry was dried at 50 ° C. for 8 hours and heat treated at 650 ° C. for 2 hours in an Ar atmosphere.
  • the adsorption amount of the honeycomb type carbon material prepared in Example 1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 silica carbon ball was stirred in an aqueous HF solution for 24 hours to remove silica by etching and dried at 100 ° C. for 12 hours to prepare a hollow carbon ball.
  • the hollow carbon balls and sulfur obtained in order to support sulfur in the hollow carbon balls were mixed in a mass ratio of 1: 5, placed in one side of the Y-shaped glass tube, and heat-treated at 600 ° C. for 4 hours to allow sulfur to enter the hollow carbon balls.
  • a supported carbon sulfur composite was prepared.
  • honeycomb-type carbon material prepared in Example 1 and the sulfur-containing hollow carbon ball prepared in Example 2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8: 2, and zirconia balls were added at a speed of 700 rpm for 12 hours. Agitated to synthesize th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 a slurry was prepared by mixing th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the carbon black conductive material, and the polyethylene oxide binder prepared in Example 3 in an acetonitrile solvent at a ratio of 60:20:20.
  • the slurry thus prepared was coated with an aluminum foil to a thickness of 40 ⁇ m, roll-pressed, and dried at 50 ° C.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plate.
  • a lithium sulfur battery was manufactured by using a lithium foil as a negative electrode and a sulfolane solution in which 1 M LiTFSI and 0.05 M Li 2 S 8 were added as an electrolyte.
  • the posi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ulfur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bon material having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apacity of the lithium sulfur battery including the same, thereby providing a lithium sulfur battery having excellent capacity characteristics.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표면적이 높은 탄소재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튬 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
본 발명은 리튬 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표면적이 높은 탄소재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제품, 전자 기기, 통신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및 고성능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이들 제품의 전원으로 사용될 이차 전지의 성능 개선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이차 전지로 황계 물질을 양극 활물질 로 사용하는 리튬 황 전지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리튬 황 전지는 이론 에너지 밀도가 2800Wh/kg(1675mAh/g)으로 다른 전지에 비하여 매우 높고, 또한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황계 물질은 자원이 풍부하여 값이 싸며, 환경친화적인 물질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리튬 황 전지는 황-황 결합(Sulfur-Sulfur bond)을 갖는 황 계열 화합물을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고, 리튬과 같은 알카리 금속, 또는 리튬 이온 등과 같은 금속 이온의 삽입/탈삽입이 일어나는 탄소계 물질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는 이차 전지이다. 환원 반응시(방전시) S-S 결합이 끊어지면서 S의 산화수가 감소하고, 산화 반응시(충전시) S의 산화수가 증가하면서 S-S 결합이 다시 형성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 및 생성한다.
또한 원소 황은 일반적으로 전기전도성이 없는 부도체이므로 전기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원활한 전기화학적 반응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적 도전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원소 황을 이용한 양극 구조는 미국 특허 제5,523,179호 및 제5,582,62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양극 활물질 층(합제)에 황과 도전재인 카본 분말이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단순 혼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경우 충방전시 황이 폴리설파이드로 되면서 전해질에 액상으로 용출되면 전극 구조가 붕괴되어 리튬-설퍼 전지의 용량과 수명 특성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또한 황을 흡착하는 성질을 지니는 첨가제를 양극 활물질 슬러리에 첨가하여 양극 활물질의 유출을 지연시키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한 흡착제로서 일본특개 평 9-147868호에서는 활성 탄소 섬유를 사용하였고, 미국 특허 제5,919,587호에서는 다공성이 높고, 섬유형 및 미세 스폰지형(highly porous, fibrous and ultra fine sponge like) 구조를 지니는 전이 금속 칼코게나이드 사이에 양극 활물질을 집어넣거나(embed), 이들로 양극 활물질을 코팅처리(encapsulate)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리튬-황 전지의 용량 특성과 수명 특성을 크게 개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조의 리튬 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극활물질;
비표면적이 100 m2/g 이상인 탄소재; 및
중공 탄소재;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용 양극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황 전지용 양극에 있어서, 상기 비표면적이 100m2/g 이상인 탄소재는 흡착량이 100 내지 300 cc/g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황 전지용 양극에 있어서, 상기 비표면적이 100 m2/g 이상인 탄소재는 메조포러스(mesoporous)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황 전지용 양극에 있어서, 상기 비표면적이 100 m2/g 이상인 탄소재는 허니콤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황 전지용 양극에 있어서, 상기 중공 탄소재는 양극활물질이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황 전지용 양극은 상기 비표면적이 100 m2/g 이상인 탄소재 100 중량부당 상기 양극활물질이 담지되어 있는 중공 탄소재가 10 내지 3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원소 황(elemental sulfur, S8), 황 계열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황 계열 화합물은 Li2Sn(n=1), 유기 황 화합물, 및 탄소-황 폴리머((C2Sx)n:x= 2.5 내지 50, n=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황 전지용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튬 황 전지는 전해질로서 LiTFSI 및 Li2S8 이 용해된 설포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황 전지용 양극은 비표면적이 높은 탄소 재료를 포함함으로써 이를 포함한 리튬 황 전지의 용량을 크게 개선하여 용량특성이 우수한 리튬 황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허니콤 타입 탄소 도전재의 SEM 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허니콤 타입 탄소 도전재의 BET 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허니콤 타입 탄소 도전재의 흡착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황 전지 양극의 SEM 사진을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황 전지에 대해 수명 특성과 충방전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리튬 황 전지에 대해 방전 용량을 변화시키면서 충방전 효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허니콤 타입 탄소 재료 합성
phenolic resin 을 준비하고 에탄올 19.7135 ml(3.9325g)를 첨가하여 40 ℃ 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테트라에틸 오르쏘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10 ml를 첨가하고 15 분간 교반한 후, 암모니아 수용액 50 ml를 첨가하고 다시 에탄올 200 ml를 첨가한 후 2 시간 동안 40 ℃ 에서 교반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슬러리를 50 ℃ 에서 8 시간 건조시키고, Ar 분위기에서 650 ℃ 에서 2 시간 동안 열처리 하였다.
<실험예> SEM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허니콤 타입 탄소 재료의 SEM 사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BET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허니콤 타입 탄소 재료의 BET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 흡착량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허니콤 타입 탄소 재료의 흡착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황이 담지된 중공 구조의 카본 볼 합성
250 ml 비이커에 물 100 g을 첨가하고, 여기에 실란전구체로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에 0.1 ml의 NH4OH를 천천히 첨가한 후 같은 온도에서 5 시간 교반하고, 얻어진 반응물을 물 50 ml에 분산시킨 후, 카본 전구체로서 수크로스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테플론 용기에 옮겨 담아 수열합성기에서 170 ℃에서 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물을 여과한 후, 물과 에탄올로 3차례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Ar 분위기에서 1000 ℃로 열처리하여 실리카 카본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실리카 카본볼을 HF 수용액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여 실리카를 에칭으로 제거하고 100 ℃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하여 중공 카본 볼을 제조하였다.
중공 카본 볼에 황을 담지시키기 위해 얻어진 중공 카본 볼과 황을 1:5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Y 자형 유리관의 한 측면에 넣은 후, 600 ℃에서 4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중공 카본 볼의 내부로 황이 담지된 카본 황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리튬 황 전지용 양극 재료 합성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허니콤 타입의 탄소 재료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황이 담지된 중공 구조의 카본 볼을 8:2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지르코니아 볼을 넣고 12 시간 동안 700 rpm 속도로 교반하여 양극 재료를 합성하였다.
<실험예> SEM 측정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리튬 황 전지용 양극 재료의 SEM 사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리튬 황 전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양극 재료, 카본 블랙 도전재,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바인더를 60:20:20의 비율로 아세토니트릴 용매에서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슬러리를 알루미늄 포일에 40 ㎛ 두께로 코팅하고, 롤 프레싱한 후, 50 ℃에서 건조시켜 양극판을 제조하였다.
리튬 호일을 음극으로 사용하고, 전해액으로는 1 M의 LiTFSI와 0.05 M의 Li2S8이 첨가된 설포란(sulfolane) 용액을 사용하여 리튬 황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충방전 특성 및 수명 특성 측정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리튬 황 전지를 1.0-3.0 V 전압 범위로 충방전하여 충방전 특성 및 수명 특성을 측정하여 이를 도 5에 나타내고, 양극 내 황의 질량 대비 800 mAh/g의 용량을 사용하도록 제한하여 충방전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예에서 제조된 리튬 황 전지에 대하여 방전 용량을 변화시키면서 충방전 효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황 전지용 양극은 비표면적이 높은 탄소 재료를 포함함으로써 이를 포함한 리튬 황 전지의 용량을 크게 개선하여 용량특성이 우수한 리튬 황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양극활물질;
    비표면적이 100 m2/g 이상인 탄소재; 및
    중공 탄소재;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용 양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면적이 100 m2/g 이상인 탄소재는 흡착량이 100 내지 300 cc/g 인 것인 리튬 황 전지용 양극.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면적이 100 m2/g 이상인 탄소재는 메조포러스(mesoporous) 구조인 것인 리튬 황 전지용 양극.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면적이 100 m2/g 이상인 탄소재는 허니콤 구조인 것인 리튬 황 전지용 양극.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탄소재는 양극활물질이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황 전지용 양극.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황 전지용 양극은 상기 비표면적이 100 m2/g 이상인 탄소재 100 중량부당 상기 양극활물질이 담지되어 있는 중공 탄소재가 10 내지 3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인 리튬 황 전지용 양극.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은 원소 황, 황 계열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황 전지용 양극.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리튬 황 전지용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황 전지는 전해질로서 LiTFSI 및 Li2S8 이 용해된 설포란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 황 전지.
PCT/KR2014/001710 2013-02-28 2014-02-28 리튬 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 WO201413337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513A KR101559124B1 (ko) 2013-02-28 2013-02-28 리튬황전지용 양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3-0022513 2013-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3372A1 true WO2014133372A1 (ko) 2014-09-04

Family

ID=5142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710 WO2014133372A1 (ko) 2013-02-28 2014-02-28 리튬 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9124B1 (ko)
WO (1) WO20141333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2275A (zh) * 2018-06-20 2018-11-23 厦门理工学院 一种锂硫电池正极材料的载体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9565B2 (en) 2013-06-21 2017-03-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vironmentally aware dialog policies and response generation
US9311298B2 (en) 2013-06-21 2016-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uilding conversational understanding systems using a toolset
US9529794B2 (en) 2014-03-27 2016-1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schema for language model customization
KR101989498B1 (ko) 2015-05-13 2019-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황 전지용 전극
KR101904360B1 (ko) 2016-12-08 2018-10-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부도체를 이용한 황 담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868A (ja) * 1995-11-17 1997-06-06 Yazaki Corp スルフィド系二次電池及び電極材用活性炭素繊維
US5919587A (en) * 1996-05-22 1999-07-06 Moltech Corporation Composite cathodes, electrochemical cells comprising novel composite cathodes, and processes for fabricating same
KR20010111831A (ko) * 2000-06-13 2001-12-20 김순택 리튬-황 전지
KR20020039823A (ko) * 2000-11-22 2002-05-30 김순택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030006746A (ko) * 2001-07-14 2003-01-23 주식회사 뉴턴에너지 양극용 도전재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868A (ja) * 1995-11-17 1997-06-06 Yazaki Corp スルフィド系二次電池及び電極材用活性炭素繊維
US5919587A (en) * 1996-05-22 1999-07-06 Moltech Corporation Composite cathodes, electrochemical cells comprising novel composite cathodes, and processes for fabricating same
KR20010111831A (ko) * 2000-06-13 2001-12-20 김순택 리튬-황 전지
KR20020039823A (ko) * 2000-11-22 2002-05-30 김순택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030006746A (ko) * 2001-07-14 2003-01-23 주식회사 뉴턴에너지 양극용 도전재 및 이를 이용한 리튬-황 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2275A (zh) * 2018-06-20 2018-11-23 厦门理工学院 一种锂硫电池正极材料的载体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609A (ko) 2014-09-12
KR101559124B1 (ko) 201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33372A1 (ko) 리튬 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황 전지
WO2012044133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17131377A1 (ko) 폴리도파민을 포함하는 복합 코팅층이 형성된 리튬-황 전지용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WO2013133572A1 (ko) 무기입자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용 기재의 코팅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코팅된 기재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4088270A1 (ko) 리튬 이차전지용 고용량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리튬 이차전지
WO2014119960A1 (ko) 구형 천연 흑연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4084502A1 (ko) 규소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141494A1 (ko) 유황을 포함하는 그래핀 복합체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유황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2165884A2 (ko) 카본-황 복합체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카본-황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WO2014204141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WO2014109523A1 (ko)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182036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3062313A1 (ko)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그 음극활물질 및 이를 구비한 리튬이차전지
WO2012138152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180411A1 (ko) 규소계 물질과 탄소재를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0117219A2 (en) Lithium-sulfur battery
WO2015099243A1 (ko) 붕소 화합물 함유 전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전기화학소자
CN1574427A (zh) 锂二次电池的正极及包含它的锂二次电池
WO2014168327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3085319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098419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09134047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음극으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20013667A1 (ko) 무기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9093709A1 (ko)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3515613B (zh) 一种锂硫电池添加剂、含有该添加剂的正极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571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571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