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26433A1 -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26433A1
WO2014126433A1 PCT/KR2014/001269 KR2014001269W WO2014126433A1 WO 2014126433 A1 WO2014126433 A1 WO 2014126433A1 KR 2014001269 W KR2014001269 W KR 2014001269W WO 2014126433 A1 WO2014126433 A1 WO 20141264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unit
electrode
basic
electro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12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고명훈
박지원
나승호
반진호
정아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4/415,12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90553B2/en
Priority to CN201480002076.6A priority patent/CN104541399B/zh
Priority to JP2015534406A priority patent/JP6038329B2/ja
Priority to EP14751822.9A priority patent/EP2863466B1/en
Priority to PL14751822T priority patent/PL2863466T3/pl
Publication of WO20141264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26433A1/ko
Priority to US15/980,050 priority patent/US1075638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4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adhesively bond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for enclosing a basic unit with a lower side separator in an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a lamination method.
  • Secondary batteries may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assembly.
  •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classified into a stack type structure, a wound type (jelly roll type) structure, or a stack / fold type structure.
  • the electrode units (anode, separator, and cathode)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are stack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t is very difficult to precisely alig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re are many processes to produce the electrode assembly.
  • the disadvantage is that it is required.
  • the stack / foldable structure generally requires two lamination equipment and one folding equipmen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very complicated.
  • the stack / foldable structur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align the full cell or bicell precisely because the full cell or bicell is stacked by folding.
  • the membrane is wound several times by fold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tting performance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reduc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process while improving the wetting (wetting) properties to wrap the base unit with the lower side separator in the electrode assembly formed by the lamination method To reduce costs.
  •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a structure in which one basic uni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ame number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alternately arranged is repeatedly arranged, or (b) the same number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the unit stack part which has a structure arrange
  • the one basic unit of (a) has a four-layer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first separator,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econd separator are sequentially arranged, or a structure in which the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arranged, and (b) When two or more kinds of basic units of)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order, a four-layer structure or a structure in which the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arranged is formed.
  • the outer separator which is one of the separators of the base unit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unit stack part, is formed longer than the side surface of the unit stack part.
  •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base uni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ame number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alternately stacked, or two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ame number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alternately stacked.
  • the one basic unit has a four-layer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first separator,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econd separator are sequentially stacked, or the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stacked.
  • a four-layer structure or a structure in which the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stacked is formed.
  • a separate taping device by forming a second separation membrane in the electrode assembly to wrap and wrap the basic unit after cutting to improve the wetting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olding structure to improve the commercia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at the same time a separate taping device It is effective to simplify the work and reduce the cost by eliminating the process.
  •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first structure of a bas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structure of the bas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unit stack part formed by stacking the basic units of FIG. 1.
  •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third structure of the bas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fourth structure of the bas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unit stack part formed by stacking a base unit of FIG. 4 and a base unit of FIG. 5.
  • FIG. 7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bas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nit stack unit in which basic units having different sizes are stacked.
  • FIG. 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unit stack part of FIG. 8;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nit stack unit in which basic units having different geometric shapes are stacked.
  • FIG. 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irst structure of a unit stack part including a basic unit and a first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econd structure of a unit stack part including a basic unit and a first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third structure of a unit stack part including a basic unit and a second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ourth structure of a unit stack part including a basic unit and a second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ifth structure of a unit stack part including a basic unit and a first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ixth structure of a unit stack part including a basic unit and a first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eventh structure of a unit stack part including a basic unit and a second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ighth structure of a unit stack part including a basic unit and a second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ninth structure of a unit stack unit including a basic unit and a first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tenth structure of a unit stack unit including a basic unit, a first auxiliary unit, and a second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leventh structure of a unit stack part including a basic unit and a second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lurality of structures of the bas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ling treatment state of a single structure of a bas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ling treatment state of a plurality of structures of a basic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6 is a view illustrating an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nit stack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basic unit is repeatedly arranged, or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basic unit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predetermined order.
  • the basic unit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basic unit is formed by alternately disposing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arranged in the same number.
  • the basic unit 110a may be formed by stacking two electrodes 111 and 113 and two separators 112 and 114.
  •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can be seen to face each other through the separator.
  • an electrode see electrode 111 in FIGS. 1 and 2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basic unit, and a separator (refer to 114 in FIGS. 1 and 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asic unit. Separation membrane).
  •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feature in that the unit stack portion (ie, the electrode assembly) can be formed only by stacking the basic unit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feature in that a unit stack portion can be formed by repeatedly stacking one kind of basic units or stacking two or more kinds of basic units in a predetermined order.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feature, the basic unit may have a structure as follows.
  • the basic unit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first electrode, a first separator, a second electrode, and a second separator.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basic units 110a and 110b include the firs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or 112, the second electrode 113, and the second separator 114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r the firs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or 112, the second electrode 113, and the second separator 114 ar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s illustrated in FIG. 2. Can be formed.
  • the basic unit having such a structure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basic unit.
  •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are opposite electrodes. For example, when the first electrode 111 is an anode, the second electrode 113 is a cathode.
  • the unit stack part 100a may be formed.
  • the basic unit may have an eight-layer structure or a twelve-layer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four-layer structure. That is, the basic un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arranged.
  • the basic unit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first electrode, a first separator, a second electrode, a second separator, a first electrode, a first separator, a second electrode, and a second separator.
  • the basic unit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first electrode, a first separator, a second electrode, a second separator, a first electrode, and a first separator, or a second electrode, a second separator, a first electrode, and a first electrode.
  • the first separator,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econd separator may be sequentially stacked.
  • the basic unit having the former structure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basic unit
  • the basic unit having the latter structure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hird basic unit.
  • the second basic unit 110c includes the firs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or 112, the second electrode 113, the second separator 114, and the first electrode.
  • the 111 and the first separator 112 may be stacked in this ord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 the third basic unit 110d includes the second electrode 113, the second separator 114, the firs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or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 the second separator 114 may be formed by being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n the contrary, it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 the unit stack part 100b is formed only by stacking the second and third basic units. can do.
  • the unit stack may be formed by stacking the base units in a predetermined order.
  • one basic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ur-layer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first separator,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econd separator are sequentially arranged or the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arranged.
  • a four-layer structure or a structure in which the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arranged is formed.
  • the above-described first basic unit has a four-layer structure, and when the second basic unit and the third basic unit are stacked in total, one each, a 12-layer structure in which the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stacked is obtained. Is formed.
  • a unit stack part ie, an electrode assembly
  • a unit stack part may be formed by only stacking.
  • the unit stack part is formed by stacking the basic units in basic unit units. In other words, first, the basic unit is produced, and then the unit stack is manufactured by repeating or stacking the same in a predetermined order.
  •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the unit stack part only by stacking the base uni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ign the basic unit very precisely. If the basic unit is precisely aligned,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may also be precisely aligned in the unit stack.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unit stack portion (electrode assembly). This is because the process is very simple.
  • the first electrode material 121, the first separator material 122, the second electrode material 123, and the second separator material 124 are prepared.
  • the first separator material 122 and the second separator material 124 may be the same material.
  • the first electrode material 121 is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the cutter C 1
  • the second electrode material 123 is also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the cutter C 2 .
  • the first electrode material 121 is then laminated to the first separator material 122, and the second electrode material 123 is laminated to the second separator material 124.
  • the electrode material and the separator material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in the laminators L 1 and L 2 .
  • a basic unit in which an electrode and a separator are integrally combined may be manufactured.
  • the method of binding may vary.
  • the laminators L 1 and L 2 apply pressure or heat and heat to the material for adhesion.
  • This adhesion makes it easier to stack the base units when manufacturing the unit stack portion.
  • This adhesion is also advantageous for the alignment of the base units.
  • the basic unit 110a may be manufactured. During this process, the end of the separator may not be bonded to the end of the adjacent separator.
  • the electrode may be attached to the adjacent separator in the basic unit.
  • the separator may be considered to be attached to the electrode.
  • the electrode is preferably bonded to the separator as a whole to the side facing the separator. This is because the electrode can be stably fixed to the separator.
  • the electrode is smaller than the separator.
  • An adhesive can be applied to the separator for this purpose.
  • the electrode may be adhered to the separator as a whole through a separator having a coating layer having adhesive strength.
  • the separator may include a porous separator substrate such as a polyolefin-based separator substrate, and a porous coating layer coat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separator substrate.
  •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mixture of inorganic particles and a binder polymer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inorganic particles to each other.
  • the inorganic particles may improve thermal stability of the separator. That is, the inorganic particles can prevent the membrane from shrinking at a high temperature.
  • the binder polymer may improve the mechanical stability of the separator by fixing the inorganic particles.
  • the binder polymer may adhere the electrode to the separator. Since the binder polymer is distributed in the coating layer as a whole, unlike the above-described adhesive, adhesion may occur seamlessly in the entire adhesion surface. Therefore, the use of such a separator can be fixed to the separator more stably.
  • the laminator described above can be used to enhance such adhesion.
  • the inorganic particles may form a densely packed structure to form interstitial volumes between the inorganic particles as a whole in the coating layer.
  • the pore structure may be formed in the coating layer by the interstitial volume defined by the inorganic particles. Due to the pore structure, even if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eparator, lithium ions may pass through the separator well.
  • the interstitial volume defined by 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blocked by the binder polymer depending on the position.
  • the filling structure may be described as a structure in which gravel is contained in a glass bottle. Therefore, when the inorganic particles form a filling structure, the interstitial volume between the inorganic particles is not formed locally in the coating layer, but rather the interstitial volume between the inorganic particles is formed as a whole in the coating layer. Accordingly, as th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creases, the size of the pores due to the interstitial volume also increases. Due to the filling structure, lithium ions may smoothly pass through the separator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parator.
  • the base unit in the unit stack portion may also be bonded to each other base unit.
  • the base unit in the unit stack portion may also be bonded to each other base unit.
  •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or 114 or if the above-described coating layer is coated, another basic unit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eparator 114.
  •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in the base unit may be greater than the adhesion between the base unit in the unit stack.
  • the adhesive force may be expressed by the peel force.
  •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may be expressed as a force required to separate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from each other.
  • the base unit may not be coupled to the adjacent base unit in the unit stack unit, or the base unit may be coupled to the adjacent base unit with a bonding force different from that of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in the base unit.
  • the separator when the separator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ating layer, ultrasonic fusion to the separator is not preferable.
  • the separator is typically larger than the electrode. Accordingly, an attempt may be made to couple the end of the first separator 112 and the end of the second separator 114 to each other by ultrasonic welding. By the way, ultrasonic welding needs to press the object directly with a horn. However, when the end of the separator is directly pressed by the horn, the horn may stick to the separator due to the coating layer having the adhesive force. This can lead to device failure.
  • the basic units may have different sizes.
  • the unit stacks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 the size of the basic uni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ize of the separator. This is because the separator is usually larger than the electrode.
  • the plurality of basic units may be divided into at least two groups having different sizes (see reference numerals 1101a, 1102a, and 1103a of FIG. 9).
  • the unit stack part 100c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may be formed.
  • 8 and 9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basic units 1101a, 1102a, and 1103a, which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re stacked with each other to form three stages. Accordingly, the unit stack part 100c in FIGS. 8 and 9 has a structure in which three stages are formed.
  • the basic units belonging to one group may form two or more stages.
  • the basic un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forementioned four-layer structure or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stacked, that is, the first basic unit structure.
  • the basic units when they have the same laminated structure, they are regarded as belonging to one type of basic unit even if they are different in size.
  • the anode and the cathode are preferably stacked by the same number in one stage.
  • two kinds of basic units are required to form one stage as described above.
  • the basic unit in the case of the first basic unit, only one basic unit is necessary to form one stage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basic unit has a four-layer structure or a structure in which the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stacked, even if a plurality of stages are formed, the number of base units of the basic unit can be reduced.
  • the second and third basic units it is necessary to stack at least one of two basic units in order to form one stage as described above, so that one stage has a structure of at least 12 layers.
  • the first basic unit only one type of basic unit needs to be stacked to form one stage as described above, and thus, one stage has a structure of at least four layers. Therefore, when the basic unit has a four-layer structure or a structure in which the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stacked, the thickness of each stage can be very easily adjusted when forming a plurality of stages.
  • the basic unit may not only have different sizes, but may have different geometric shapes.
  • the basic units may have a difference in shape as well as a corner, and may have a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rforation.
  • the basic units divided into three groups may be stacked to form three stages by stacking the basic units having the same geometric shape.
  • the basic units can be divided into at least two groups, each group having a different geometric shape.
  • the basic un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forementioned four-layer structure or the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stacked,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first basic uni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basic units have the same laminated structure, they are regarded as belonging to one type of basic unit even if they have different geometrical shapes.)
  • the unit stack par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unit.
  • the first auxiliary unit will be described.
  • the basic unit has an electrode at one end and a separator at the other end. Therefore, when the basic units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electrodes (see the reference numeral 116 in FIG. 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end electrodes') are position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unit stack.
  • the first auxiliary unit is additionally laminated to this end electrode.
  • the first auxiliary unit 130a is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terminal electrode 116, ie, from the terminal electrode 116 to the outside as illustrated in FIG. 11.
  • the cathode 113, the separator 112, and the anode 111 may be sequentially stacked.
  • the terminal electrode 116 is a cathode
  • the first auxiliary unit 130b is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terminal electrode 116, that is, from the terminal electrode 116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12.
  • 113 may be sequentially stacked.
  • the unit stack parts 100d and 100e may position the anode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terminal electrode through the first auxiliary units 130a and 130b.
  • the active material layer is coated on only one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that is,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first auxiliary unit facing one side of the current collector (one side facing downward based on FIG. 11). In this way, when the active material layer is coated, the active material layer is not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terminal electrode side, thereby preventing waste of the active material layer.
  • the positive electrode is configured to emit lithium ions (for example), placing the positive electrode at the outermost side is advantageous in terms of battery capacity.
  • the second auxiliary unit basically plays the same role as the first auxiliary unit.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the basic unit has an electrode at one end and a separator at the other end. Therefore, when the basic units are sequentially stacked, a separator (see separator 117 in FIG. 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rminal separator) is position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unit stack.
  • the second auxiliary unit is further stacked on such a terminal separator.
  •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a is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terminal 111, the cathode 111, The separator 112 and the anode 113 may be stacked.
  •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b may be formed as the anode 111 as shown in FIG. 14.
  • the unit stack parts 100f and 100g may place an anode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terminal separator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units 140a and 140b.
  • the anode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that is, the anode of the second auxiliary unit, is the same as the anode of the first auxiliary unit, only on one side of the current collector facing both sides of the current collector (one side facing upward based on FIG. 13). It is preferable that the active material layer is coated.
  • the first auxiliary unit and the second auxiliary unit may have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above.
  • the first auxiliary unit will be described.
  • the first auxiliary unit 130c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separator 114 and the cathode 113 from the terminal electrode 116.
  • the first auxiliary unit 130d may have the separator 114, the anode 113, the separator 112, and the cathode 111 having the terminal electrode 116. It can be formed by stacking in order from).
  • the unit stack units 100h and 100i may locate the cathode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terminal electrode through the first auxiliary units 130c and 130d.
  •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c when the electrode 113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separation membrane 117 is a positive electrode in the basic unit,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c may be formed as the negative electrode 111.
  •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d when the electrode 113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separation membrane 117 is a cathode in the basic unit,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d may be the anode 111, the separator 112, and the cathode 13.
  • the terminal separators 117 may be stacked in this order.
  • the unit stack units 100j and 100k may be configured to place the cathode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terminal separator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units 140c and 140d.
  • the negative electrode may cause a reaction with the aluminum layer of the battery case (eg, a pouch type case) due to the potential difference. Therefore, the negative electrode is preferably insulated from the battery case through the separator.
  •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units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or outside the cathode.
  • the first auxiliary unit 130e of FIG. 19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or 112 at the outermost side.
  • the auxiliary unit includes a separator, it is easier when the auxiliary unit is aligned with the basic unit.
  • the unit stack part 100m may be formed.
  • the basic unit 110b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firs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or 112, the second electrode 113, and the second separator 114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 the first electrode 111 may be an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may be a cathode.
  • the first auxiliary unit 130f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separator 114, the cathode 113, the separator 112, and the anode 111 from the terminal electrode 116.
  • the positive electrode 111 of the first auxiliary unit 130f may have an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only on one surface of the collector 110b facing the basic unit 110b.
  •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e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separating the anode 111, the first anode, the separator 112, the cathode 113, the separator 114, and the anode 118 from the terminal separator 117. It can be stacked and formed.
  • th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formed only on one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118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e facing the basic unit 110b on both sides of the current collector.
  • the unit stack part 100n may be formed.
  • the basic unit 110e may be formed by stacking the firs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or 112, the second electrode 113, and the second separator 114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 the first electrode 111 may be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may be an anode.
  • the second auxiliary unit 140f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cathode 111, the separator 112, the anode 113, the separator 114, and the cathode 119 from the terminal separator 117.
  •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which is one of the separation membranes 112 and 114 of the basic unit 110 position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unit stack part, is formed longer than the side surface of the unit stack part.
  •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may extend along the side of the unit stack portion to the outermost side of the unit stack portion to fix the unit stack portion.
  • the outermost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extends from the basic unit 110 on which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is positioned to the basic unit 110 on which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is located, passing through the outermost side opposite to the stack of the unit. Allow the stack to be secured.
  • the outermost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extends from side to side in the basic unit 110 in which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is located, and one end thereof extends to the outermost side opposite to the unit stack portion along one side of the unit stack portion. And the other end extends along the other side of the unit stack portion to the outermost side of the unit stack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to fix the unit stack portion.
  • the basic unit 110 is made of at least one, it may be made of one or more laminated according to the capacity.
  • the length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forming the base unit 110 is lon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se unit 110.
  • the two separators 114 may wi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unit 110.
  • the basic unit 110 is formed only by covering the stacked electrode and the separator with the second separator 114, the electrode damage phenomenon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folding process is eliminated, and the wetting characteristic of the electrode assembly is eliminated. This can be improved, and by covering the basic unit 110 with the second separator 114, the thickness of the cell can be reduced and the process cost can be reduced.
  •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be able to wind the basic unit 110 only once.
  • the basic unit 110 may form a stacked structure in which the cathode / first separator 112 / anode / second separator 114 or the anode / first separator 112 / cathode / second separator 114 are sequentially disposed downward.
  • the second separator 114 is provided below, the cathode is provided on the second separator 114, the first separator 112 is provided on the cathode,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eparator 112 is provided.
  • the anode is formed in a stacked structure, or the second separator 114 is provided at the bottom, the anode is provided on the second separator 114, the first separator 112 is provided on the anode, The cathode is laminated on the first separator 112.
  • the firs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ion layer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are sequentially stacked on one end A of the second separation layer 114, and formed in this state.
  • the other end B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surrounds the basic unit 110 and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 the other end B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may overlap one end A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or both ends may contact each other.
  • both ends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are heat-sealed or sealed with tape (sealing, S). Glue to finish.
  • the sealing (S) is to melt and adhere both ends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rane 114 by using a thermal elemen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taping adhesion process that was essential in the prior art to simplify the work and reduce the cost
  •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6 and 27, the first step (S10) in which the outermost membrane is formed longer than the other separator in the two or more basic units (110). And a second step S20 of manufacturing the unit stack part by stacking the base unit 110, and a third step S30 of wrapping and fixing the unit stack part with an outer separator.
  • the first step (S10) is one or more basic unit 11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ame number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alternately stacked, or two or more type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ame number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are alternately stacked While manufacturing the basic unit 110, the step of forming an outer separator, which is one of the separators of the outer base unit to be located on the outermost of the base unit than the other separator.
  • Each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supplied to the laminators L1 and L2, and may be stacked in the order of the first electrode 111, the first separator 112, the second electrode 113, and the second separator 114. Position the loading unit (loading roll) so that it can be supplied at the same time.
  • first electrode 111 and the second electrode 113 can be disposed as an anode and a cathode, or a cathode and an anode.
  • the first step (S10) is laminated on the electrode material cut to a predetermined size on one or more separator materials, respectively, and then cut the one or more separator materials together to a predetermined size to produce a basic unit 110,
  • the separator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outer separator of the separator material may be cut longer than other separator materials.
  • the first step (S10) is preferably to be the last to manufacture the outer basic unit (110).
  • one or more basic units are repeatedly stacked or two or more basic units 110 are alternately stacked in a predetermined order, for example, but the outer basic unit 110 is most Stacking on the outside to produce a unit stack portion.
  • the third step (S30) is a step of wrapping and fixing the unit stack part with the outer membrane 114 of the outer basic unit 110.
  • outer separator 114 may be a separator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unit stack unit among the separators of the base unit 110 to b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unit stack unit.
  • the one basic unit has a four-layer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first separator,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second separator are sequentially stacked or the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stacked.
  • a four-layer structure or a structure in which the four-layer structure is repeatedly stacked is formed.
  •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electrode damage caused in the conventional folding process by applying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base unit 110, and improves the wetting characteristics and at the same time eliminates unnecessary process equipment to reduce the process cost. To do i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ll Separator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a)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1종의 기본 단위체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나, 또는 (b)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단위체 스택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a)의 1종의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4층 구조나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또한 (b)의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각각 1개씩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배치하면, 4층 구조나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가 형성된다. 그리고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기본 단위체의 분리막 중의 어느 하나인 외측 분리막은 단위체 스택부의 측면보다 길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층공법으로 형성되는 전극조립체에서 하부측 분리막으로 기본단위체를 감싸도록 하기 위한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일례로 이차전지는 스택형 구조, 권취형(젤리롤형) 구조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런데 스택형 구조는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전극 단위(양극, 분리막 및 음극)가 서로 별개로 적층되기 때문에, 전극조립체를 정밀하게 정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극조립체를 생산하기 위해 매우 많은 공정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스택/폴딩형 구조는 일반적으로 2대의 라미네이션 장비와 1대의 폴딩 장비가 요구되기 때문에, 전극조립체의 제조 공정이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스택/폴딩형 구조는 폴딩을 통해 풀셀이나 바이셀을 적층하기 때문에 풀셀이나 바이셀을 정밀하게 정렬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폴딩에 의해 분리막이 여러 번 감겨지게 되어 전극조립체의 웨팅(wetting)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적층공법으로 형성되는 전극조립체에서 하부측 분리막으로 기본단위체를 감싸도록 하여 웨팅(wetting) 특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원가를 절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a)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1종의 기본 단위체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나, 또는 (b)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단위체 스택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a)의 1종의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4층 구조나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또한 (b)의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각각 1개씩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배치하면, 4층 구조나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가 형성된다. 그리고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기본 단위체의 분리막 중의 어느 하나인 외측 분리막은 단위체 스택부의 측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 제조방법은,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1종의 기본 단위체나, 또는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제조하되, 기본 단위체 중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할 외측 기본 단위체의 분리막 중의 어느 하나인 외측 분리막을 다른 분리막보다 길게 형성하는 제1 단계, 1종의 기본 단위체를 반복적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적층하되, 외측 기본 단위체를 가장 외측에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를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외측 기본 단위체의 외측 분리막으로 단위체 스택부를 감싸서 고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1종의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4층 구조나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또한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각각 1개씩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적층하면, 4층 구조나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조립체에서 제2 분리막을 길게 형성시켜 절단 후 기본단위체를 감싸면서 마감함으로써 종래의 폴딩 구조에 비해 웨팅(wetting) 특성을 향상시켜 이차전지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별도의 테이핑 장치를 통한 공정을 삭제하여 작업을 간소화하고 원가를 절감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제1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제2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기본 단위체의 적층으로 형성되는 단위체 스택부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제3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제4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6은 도 4의 기본 단위체와 도 5의 기본 단위체의 적층으로 형성되는 단위체 스택부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하고 있는 공정도
도 8은 다른 크기를 가지는 기본 단위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단위체 스택부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위체 스택부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0은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기본 단위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단위체 스택부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1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1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1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2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3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4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1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5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1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6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7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8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1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9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 제1 보조 단위체 및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10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11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단일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복수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단일 구조에 대한 실링 처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복수 구조에 대한 실링 처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 제조방법에서 전극조립체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위체 스택부
본 발명에서 단위체 스택부는 1종의 기본 단위체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예를 들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이하에서 우선 기본 단위체에 대해 살펴본다.
[기본 단위체의 구조]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에서 기본 단위체는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이때 전극과 분리막은 같은 수만큼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기본 단위체(110a)는 2개의 전극(111, 113)과 2개의 분리막(112, 114)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양극과 음극은 당연히 분리막을 통해 서로 마주 볼 수 있다. 기본 단위체가 이와 같이 형성되면, 기본 단위체의 일측 말단에 전극(도 1과 2에서 도면부호 111의 전극 참조)이 위치하게 되고, 기본 단위체의 타측 말단에 분리막(도 1과 2에서 도면부호 114의 분리막 참조)이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기본 단위체의 적층만으로 단위체 스택부(즉, 전극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1종의 기본 단위체를 반복적으로 적층하여, 또는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구현하기 위해 기본 단위체는 이하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첫째로,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본 단위체(110a, 110b)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기본 단위체를 이하에서 제1 기본 단위체라 한다. 이때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3)은 서로 반대되는 전극이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11)이 양극이면 제2 전극(113)은 음극이다.
이와 같이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차례로 적층되어 기본 단위체가 형성되면,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1종의 기본 단위체(110a)를 반복적으로 적층하는 것만으로도 단위체 스택부(100a)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단위체는 이와 같은 4층 구조 이외에도 8층 구조나 1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기본 단위체는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제2 분리막,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둘째로,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제2 분리막, 제1 전극 및 제1 분리막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되거나, 제2 전극, 제2 분리막,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자의 구조를 가지는 기본 단위체를 이하에서 제2 기본 단위체라 하고, 후자의 구조를 가지는 기본 단위체를 이하에서 제3 기본 단위체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기본 단위체(110c)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제2 분리막(114), 제1 전극(111) 및 제1 분리막(112)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기본 단위체(110d)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2 전극(113), 제2 분리막(114),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기본 단위체(110c)와 제3 기본 단위체(110d)를 하나씩만 적층하면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기본 단위체(110c)와 제3 기본 단위체(110d)를 하나씩 교대로 계속 적층하면,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2 및 제3 기본 단위체의 적층만으로도 단위체 스택부(100b)를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3종의 기본 단위체가 준비된다면, 예를 들어 1번 기본 단위체, 2번 기본 단위체, 3번 기본 단위체, 다시 1번 기본 단위체, 2번 기본 단위체, 3번 기본 단위체의 순으로, 즉 정해진 순서에 따라 기본 단위체를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1종의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4층 구조나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각각 1개씩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배치하면, 4층 구조나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제1 기본 단위체는 4층 구조를 가지고, 전술한 제2 기본 단위체와 제3 기본 단위체를 각각 1개씩 총 2개를 적층하면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12층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1종의 기본 단위체를 반복적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적층하면, 단지 적층만으로도 단위체 스택부(즉, 전극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위체 스택부는 기본 단위체가 기본 단위체 단위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즉, 먼저 기본 단위체를 제작한 다음에 이를 반복적으로 또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를 제작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 단위체의 적층만으로 단위체 스택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본 단위체를 매우 정밀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기본 단위체가 정밀하게 정렬되면 전극과 분리막도 단위체 스택부에서 정밀하게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체 스택부(전극조립체)의 생산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공정이 매우 단순해지기 때문이다.
[기본 단위체의 제조]
도 7을 참조하여 대표적으로 제1 기본 단위체를 제조하는 공정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제1 전극 재료(121), 제1 분리막 재료(122), 제2 전극 재료(123) 및 제2 분리막 재료(124)를 준비한다. 여기서 제1 분리막 재료(122)와 제2 분리막 재료(124)는 서로 동일한 재료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제1 전극 재료(121)를 커터(C1)를 통해 소정 크기로 절단하고, 제2 전극 재료(123)도 커터(C2)를 통해 소정 크기로 절단한다. 그런 다음 제1 전극 재료(121)를 제1 분리막 재료(122)에 적층하고, 제2 전극 재료(123)를 제2 분리막 재료(124)에 적층한다.
그런 다음 라미네이터(L1,L2)에서 전극 재료와 분리막 재료를 서로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접착으로 전극과 분리막이 일체로 결합된 기본 단위체가 제조될 수 있다. 결합의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라미네이터(L1,L2)는 접착을 위해 재료에 압력을 가하거나 압력과 열을 가한다. 이와 같은 접착은 단위체 스택부를 제조할 때 기본 단위체의 적층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접착은 기본 단위체의 정렬에도 유리하다. 이와 같은 접착 후에 제1 분리막 재료(122)와 제2 분리막 재료(124)를 커터(C3)를 통해 소정 크기로 절단하면, 기본 단위체(110a)가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 중에 분리막의 말단은 인접한 분리막의 말단과 접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 단위체에서 전극은 인접한 분리막에 접착될 수 있다. 또는 분리막이 전극에 접착된다고 볼 수도 있다. 이때 전극은 분리막을 바라보는 면에서 전체적으로 분리막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으면 전극이 안정적으로 분리막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전극은 분리막보다 작다.
이를 위해 접착제를 분리막에 도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하려면 접착제를 접착면에 걸쳐 매시(mesh) 형태나 도트(dot) 형태로 도포할 필요가 있다. 접착제를 접착면의 전체에 빈틈없이 도포한다면, 리튬 이온과 같은 반응 이온이 분리막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면, 전극을 전체적으로 (즉, 접착면의 전체에 걸쳐서) 분리막에 접착시킬 수는 있다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빈틈없이 접착시키기는 어렵다.
또는 접착력을 가지는 코팅층을 구비하는 분리막을 통해 전체적으로 전극을 분리막에 접착시킬 수 있다. 보다 상술한다.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분리막 기재와 같은 다공성의 분리막 기재, 및 분리막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체적으로 코팅되는 다공성의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팅층은 무기물 입자들과 무기물 입자들을 서로 연결 및 고정하는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기물 입자는 분리막의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무기물 입자는 고온에서 분리막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인더 고분자는 무기물 입자를 고정시켜 분리막의 기계적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인더 고분자는 전극을 분리막에 접착시킬 수 있다. 바인더 고분자는 코팅층에 전체적으로 분포하므로, 전술한 접착제와 다르게 접착면의 전체에서 빈틈없이 접착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분리막을 이용하면 전극을 보다 안정적으로 분리막에 고정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을 강화하기 위해 전술한 라미네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무기물 입자들은 충전 구조(densely packed structure)를 이루어 코팅층에서 전체적으로 무기물 입자들간의 인터스티셜 볼륨(interstitial volumes)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무기물 입자들이 한정하는 인터스티셜 볼륨에 의해 코팅층에는 기공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공 구조로 인해 분리막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리튬 이온이 분리막을 양호하게 통과할 수 있다. 참고로 무기물 입자들이 한정하는 인터스티셜 볼륨은 위치에 따라 바인더 고분자에 의해 막혀 있을 수도 있다.
여기서 충전 구조는 유리병에 자갈이 담겨 있는 것과 같은 구조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무기물 입자들이 충전 구조를 이루면, 코팅층에서 국부적으로 무기물 입자들간의 인터스티셜 볼륨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코팅층에서 전체적으로 무기물 입자들간의 인터스티셜 볼륨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무기물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면 인터스티셜 볼륨에 의한 기공의 크기도 함께 증가한다. 이와 같은 충전 구조로 인해 분리막의 전체면에서 리튬 이온이 원활하게 분리막을 통과할 수 있다.
한편, 단위체 스택부에서 기본 단위체도 기본 단위체끼리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제2 분리막(114)의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거나 전술한 코팅층이 코팅된다면, 제2 분리막(114)의 하면에 다른 기본 단위체가 접착될 수 있다.
이때 기본 단위체에서 전극과 분리막간의 접착력은 단위체 스택부에서 기본 단위체간의 접착력보다 클 수 있다. 물론 기본 단위체간의 접착력은 없을 수도 있다. 이와 같으면 전극조립체(단위체 스택부)를 분리할 때 접착력의 차이로 인해 기본 단위체 단위로 분리될 가능성이 높다. 참고로, 접착력은 박리력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극과 분리막간의 접착력은 전극과 분리막을 서로 떼어낼 때 필요한 힘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위체 스택부 내에서 기본 단위체는 인접한 기본 단위체와 결합되지 않거나, 또는 기본 단위체 내에서 전극과 분리막이 서로 결합된 결합력과 다른 결합력으로 인접한 기본 단위체와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분리막이 전술한 코팅층을 포함할 경우 분리막에 대한 초음파 융착은 바람직하지 않다. 분리막은 통상적으로 전극보다 크다. 이에 따라 제1 분리막(112)의 말단과 제2 분리막(114)의 말단을 초음파 융착으로 서로 결합시키려는 시도가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초음파 융착은 혼으로 대상을 직접 가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혼으로 분리막의 말단을 직접 가압하면, 접착력을 가지는 코팅층으로 인해 분리막에 혼이 들러붙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장치의 고장이 초래될 수 있다.
[기본 단위체의 변형]
지금까지 서로 같은 크기를 가지는 기본 단위체만을 설명했다. 그러나 기본 단위체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기본 단위체를 적층하면 단위체 스택부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단위체의 크기는 분리막의 크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분리막이 전극보다 크기 때문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술하면, 기본 단위체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그룹으로 나뉠 수 있다(도 9의 도면부호 1101a, 1102a, 1103a 참조). 이와 같은 기본 단위체들을 크기에 따라 적층하면, 복수 단의 구조를 가지는 단위체 스택부(100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3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기본 단위체들(1101a, 1102a, 1103a)이 서로 같은 크기의 기본 단위체끼리 적층되어 3개의 단을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8 및 도 9에서 단위체 스택부(100c)는 3개의 단을 형성한 구조를 가진다. 참고로, 한 개의 그룹에 속하는 기본 단위체들이 2개 이상의 단을 형성해도 무방하다.
그런데 이처럼 복수 단을 형성하는 경우, 기본 단위체는 전술한 4층 구조나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 즉 제1 기본 단위체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본 단위체들이 서로 적층 구조가 동일하면 서로 크기가 다르더라도 1종의 기본 단위체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이에 대해 상술하면, 1개의 단에서 양극과 음극은 서로 같은 수만큼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과 단의 사이에서 서로 반대되는 전극이 분리막을 통해 서로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예를 들어 제2 및 제3 기본 단위체의 경우 위와 같이 1개의 단을 형성하기 위해 2종의 기본 단위체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기본 단위체의 경우 위와 같이 1개의 단을 형성하기 위해 1종의 기본 단위체만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기본 단위체가 전술한 4층 구조나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면, 복수 단을 형성하더라도 기본 단위체의 가짓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및 제3 기본 단위체의 경우 위와 같이 1개의 단을 형성하기 위해 2종의 기본 단위체를 적어도 1개씩 적층할 필요가 있으므로, 1개의 단은 최소 12층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제1 기본 단위체의 경우 위와 같이 1개의 단을 형성하기 위해 1종의 기본 단위체만 적층하면 되므로, 1개의 단은 최소 4층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기본 단위체가 전술한 4층 구조나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면, 복수 단을 형성할 때 각 단의 두께를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기본 단위체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기본 단위체들은 크기뿐만 아니라, 모서리 형상에 있어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천공 유무에 있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3개의 그룹으로 나뉘는 기본 단위체들이 서로 같은 기하학적 형상의 기본 단위체끼리 적층되어 3개의 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기본 단위체는 적어도 2개의 그룹(각 그룹은 서로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짐)으로 나뉠 수 있다. 이때도 동일하게 기본 단위체는 전술한 4층 구조나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 즉 제1 기본 단위체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본 단위체들이 서로 적층 구조가 동일하면 서로 기하학적 형상이 다르더라도 1종의 기본 단위체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보조 단위체]
단위체 스택부는 제1 보조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보조 단위체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기본 단위체는 일측 말단에 전극이 위치하고 타측 말단에 분리막이 위치한다. 따라서 기본 단위체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면,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위쪽이나 가장 아래쪽에 전극(도 11에서 도면부호 116의 전극 참조, 이하 '말단 전극'이라 한다)이 위치하게 된다. 제1 보조 단위체는 이와 같은 말단 전극에 추가적으로 적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단 전극(116)이 양극이면, 제1 보조 단위체(130a)는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말단 전극(116)으로부터 차례로, 즉 말단 전극(116)으로부터 외측으로 분리막(114), 음극(113), 분리막(112) 및 양극(111)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말단 전극(116)이 음극이면, 제1 보조 단위체(130b)는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말단 전극(116)으로부터 차례로, 즉 말단 전극(116)으로부터 외측으로 분리막(114) 및 양극(113)이 순차적으로 적층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위체 스택부(100d, 100e)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보조 단위체(130a, 130b)를 통해 말단 전극 측의 가장 외측에 양극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양극, 즉 제1 보조 단위체의 양극은 집전체의 양면 중에 기본 단위체를 바라보는 일면(도 11을 기준으로 아래쪽을 바라보는 일면)에만 활물질층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활물질층이 코팅되면, 말단 전극 측의 가장 외측에 활물질층이 위치하지 않게 되므로, 활물질층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양극은 (예를 들어) 리튬 이온을 방출하는 구성이므로 가장 외측에 양극을 위치시키면 전지 용량에 있어 유리하다.
다음으로 제2 보조 단위체에 대해 살펴본다. 제2 보조 단위체는 기본적으로 제1 보조 단위체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 기본 단위체는 일측 말단에 전극이 위치하고 타측 말단에 분리막이 위치한다. 따라서 기본 단위체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면,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위쪽이나 가장 아래쪽에 분리막(도 13에서 도면부호 117의 분리막 참조, 이하 '말단 분리막'이라 한다)이 위치하게 된다. 제2 보조 단위체는 이와 같은 말단 분리막에 추가적으로 적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본 단위체에서 말단 분리막(117)에 접한 전극(113)이 양극이면, 제2 보조 단위체(140a)는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말단 분리막(117)으로부터 차례로 음극(111), 분리막(112) 및 양극(113)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본 단위체에서 말단 분리막(117)에 접한 전극(113)이 음극이면, 제2 보조 단위체(140b)는 도 1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양극(1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위체 스택부(100f, 100g)는 도 13과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2 보조 단위체(140a, 140b)를 통해 말단 분리막 측의 가장 외측에 양극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양극, 즉 제2 보조 단위체의 양극도 제1 보조 단위체의 양극과 동일하게, 집전체의 양면 중에 기본 단위체를 바라보는 일면(도 13을 기준으로 위쪽을 바라보는 일면)에만 활물질층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제1 보조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는 전술한 구조와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먼저 제1 보조 단위체에 대해 살펴본다. 도 1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말단 전극(116)이 양극이면, 제1 보조 단위체(130c)는 분리막(114) 및 음극(113)이 말단 전극(116)으로부터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말단 전극(116)이 음극이면, 제1 보조 단위체(130d)는 분리막(114), 양극(113), 분리막(112) 및 음극(111)이 말단 전극(116)으로부터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위체 스택부(100h, 100i)는 도 15와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보조 단위체(130c, 130d)를 통해 말단 전극 측의 가장 외측에 음극을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보조 단위체에 대해 살펴본다. 도 17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기본 단위체에서 말단 분리막(117)에 접한 전극(113)이 양극이면, 제2 보조 단위체(140c)는 음극(1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8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기본 단위체에서 말단 분리막(117)에 접한 전극(113)이 음극이면, 제2 보조 단위체(140d)는 양극(111), 분리막(112) 및 음극(13)이 말단 분리막(117)으로부터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위체 스택부(100j, 100k)는 도 17과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2 보조 단위체(140c, 140d)를 통해 말단 분리막 측의 가장 외측에 음극을 위치시킬 수 있다.
참고로, 음극은 전위차로 인해 전지 케이스(예를 들어, 파우치형 케이스)의 알루미늄층과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음극은 분리막을 통해 전지 케이스로부터 절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15 내지 도 18에서 제1 및 제2 보조 단위체는 음극의 외측에 분리막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제1 보조 단위체(130c)와 대비하여 도 19의 제1 보조 단위체(130e)는 가장 외측에 분리막(11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참고로, 보조 단위체가 분리막을 포함하면 보조 단위체를 기본 단위체에 정렬할 때 보다 용이하다.
한편, 도 20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단위체 스택부(100m)를 형성할 수도 있다. 기본 단위체(110b)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11)은 양극일 수 있고 제2 전극(113)은 음극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조 단위체(130f)는 분리막(114), 음극(113), 분리막(112) 및 양극(111)이 말단 전극(116)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조 단위체(130f)의 양극(111)은 집전체의 양면 중에 기본 단위체(110b)를 바라보는 일면에만 활물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 단위체(140e)는 말단 분리막(117)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양극(111, 제1 양극), 분리막(112), 음극(113), 분리막(114) 및 양극(118, 제2 양극)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보조 단위체(140e)의 양극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양극(118, 제2 양극)은 집전체의 양면 중에 기본 단위체(110b)를 바라보는 일면에만 활물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2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단위체 스택부(100n)를 형성할 수도 있다. 기본 단위체(110e)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제1 전극(111), 제1 분리막(112), 제2 전극(113) 및 제2 분리막(114)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11)은 음극일 수 있고 제2 전극(113)은 양극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조 단위체(140f)는 음극(111), 분리막(112), 양극(113), 분리막(114) 및 음극(119)이 말단 분리막(117)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기본 단위체의 실시예]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기본 단위체(110)의 분리막(112,114) 중 어느 하나인 외측 분리막인 제2분리막(114)은 단위체 스택부의 측면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2분리막(114)은 단위체 스택부의 측면을 따라 단위체 스택부의 반대쪽 가장 외측까지 연장되어 단위체 스택부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외측의 제2분리막(114)은 제2분리막(114)이 위치한 기본 단위체(110)에서 단위체 스택부의 반대쪽 가장 외측을 거쳐 다시 제2분리막(114)이 위치한 기본 단위체(110)까지 연장되어 단위체 스택부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최외측의 제2분리막(114)은 제2분리막(114)이 위치한 기본 단위체(110)에서 좌우로 연장되며, 또한 일측 말단이 단위체 스택부의 일측 측면을 따라 단위체 스택부의 반대쪽 가장 외측까지 연장되고, 타측 말단이 단위체 스택부의 타측 측면을 따라 단위체 스택부의 반대쪽 가장 외측까지 연장되어 단위체 스택부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때, 기본단위체(110)는 최소 1개로 이루어지며, 용량에 따라 1개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단위체(110)를 형성하는 제2분리막(114)의 길이가 기본단위체(110)의 외측면 둘레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게 하여 제2분리막(114)이 기본단위체(110)의 외측면을 감싸는(winding)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적층된 전극과 분리막을 제2분리막(114)으로 감싸는 구조만으로 기본단위체(110)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폴딩 공정 시 발생하는 전극 손상 현상이 없어지게 되며, 전극조립체의 웨팅(wetting) 특성이 향상될 수 있게 하고, 제2분리막(114)으로 기본단위체(110)를 커버링하여 셀의 두께가 감소함과 동시에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제2분리막(114)은 기본단위체(110)를 1회만 감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단위체(110)는 음극/제1분리막(112)/양극/제2분리막(114) 또는 양극/제1분리막(112)/음극/제2분리막(114)이 하방으로 순차 적층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제2분리막(114)이 하부에 구비되며, 제2분리막(114) 상부에 음극이 구비되고, 음극 상부에 제1분리막(112)이 구비되고, 제1분리막(112) 상부에 양극이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부에 제2분리막(114)이 구비되며, 제2분리막(114) 상부에 양극이 구비되고, 양극 상부에 제1분리막(112)이 구비되고, 제1분리막(112) 상부에 음극이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분리막(114)의 일단(A) 상면에는 제1전극(111), 제1분리막(112), 제2전극(11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이 상태에서 길게 형성된 제2분리막(114)의 타단(B)이 기본단위체(110)를 감싼 다음 제2분리막(114)의 일단에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2분리막(114)의 타단(B)이 제2분리막(114)의 일단(A)을 넘겨 오버랩(overlap)되게 해도 되며, 양단이 접촉하게 되어도 무방하다.
이처럼, 제2분리막(114)이 기본단위체(110)를 감싼 다음에는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리막(114)의 양단을 열융착이나 테이프로 실링(sealing, S)을 통해 접착시켜 마감 처리하도록 한다.
이때, 실링(S)은 열소자를 이용하여 제2분리막(114)의 양단을 녹여 접착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기술에서 필수적이었던 테이핑 접착 공정을 삭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을 간소화하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한편,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 제조방법은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110)에서 가장 외측의 분리막이 다른 분리막 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1단계(S10)와, 기본 단위체(110)를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를 제조하는 제2단계(S20)와, 외측 분리막으로 단위체 스택부를 감싸서 고정하는 제3단계(S30)를 포함한다.
제1단계(S10)는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1종의 기본 단위체(110), 또는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110)를 제조하되, 기본 단위체 중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할 외측 기본 단위체의 분리막 중의 어느 하나인 외측 분리막을 다른 분리막보다 길게 형성하는 단계이다.
각각의 전극 및 분리막이 라미네이터(L1, L2)로 공급되며, 제1전극(111)/제1분리막(112)/제2전극(113)/제2분리막(114)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도록 로딩 유닛(로딩롤)의 위치를 배치하여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술한 제1전극(111) 및 제2전극(113)은 양극 및 음극, 또는 음극 및 양극으로 배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단계(S10)는 1개 이상의 분리막 재료 위에 소정 크기로 절단한 전극 재료를 각각 적층한 다음에 상기 1개 이상의 분리막 재료를 함께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기본 단위체(110)를 제조하되, 상기 분리막 재료 중에 외측 분리막에 대응된 분리막 재료는 다른 분리막 재료보다 길게 절단하도록 한다.
이때, 제1 단계(S10)는 외측 기본 단위체(110)를 가장 마지막에 제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계(S20)는 1종의 기본 단위체를 반복적으로 적층하거나,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110)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예를 들어 교호적으로 적층하되, 외측의 기본 단위체(110)를 가장 외측에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제3단계(S30)는 외측 기본 단위체(110)의 외측 분리막(114)으로 단위체 스택부를 감싸서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한편, 외측 분리막(114)으로 단위체 스택부를 감싼 다음에는 외측 분리막(114)의 외측 말단을 열융착이나 테이프로 단위체 스택부에 고정되는 제4 단계(S4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분리막(114)은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외측에 위치할 기본 단위체(110)의 분리막 중에서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분리막이 되도록 한다.
이때, 1종의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4층 구조나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각각 1개씩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적층하면, 4층 구조나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은 기본단위체(110)의 적층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종래에 폴딩 공정 시 발생하는 전극 손상이 감소되며, 웨팅(wetting) 특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불필요한 공정 설비를 제거하여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Claims (36)

  1. (a)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1종의 기본 단위체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나, 또는 (b)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단위체 스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a)의 1종의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4층 구조나 상기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b)의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각각 1개씩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배치하면, 상기 4층 구조나 상기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기본 단위체의 분리막 중의 어느 하나인 외측 분리막은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측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분리막은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측면을 따라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반대쪽 가장 외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단위체 스택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분리막은 상기 외측 분리막이 위치한 기본 단위체에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반대쪽 가장 외측을 거쳐 다시 상기 외측 분리막이 위치한 기본 단위체까지 연장되어 상기 단위체 스택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분리막은 상기 외측 분리막이 위치한 기본 단위체에서 좌우로 연장되며, 또한 일측 말단이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일측 측면을 따라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반대쪽 가장 외측까지 연장되고, 타측 말단이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타측 측면을 따라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반대쪽 가장 외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단위체 스택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5. 청구항 2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분리막은 외측 말단이 열융착이나 테이프로 상기 단위체 스택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분리막은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기본 단위체의 분리막 중에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분리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 단위체는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본 단위체 내에서 상기 분리막의 말단은 인접한 분리막의 말단과 접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 내에서 상기 기본 단위체는 인접한 기본 단위체와 결합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기본 단위체 내에서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이 서로 결합된 결합력과 다른 결합력으로 인접한 기본 단위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의 1종의 기본 단위체는 상기 4층 구조나 상기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제1 기본 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상기 제1 기본 단위체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의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제2 분리막, 제1 전극 및 제1 분리막이 차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제2 기본 단위체와,
    제2 전극, 제2 분리막,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차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제3 기본 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상기 제2 기본 단위체와 상기 제3 기본 단위체가 교호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의 1종의 기본 단위체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그룹으로 나뉘며,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상기 (a)의 1종의 기본 단위체들이 크기에 따라 적층되어 복수 단을 형성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의 1종의 기본 단위체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2개의 그룹으로 나뉘며,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상기 (a)의 1종의 기본 단위체들이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적층되어 복수 단을 형성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각각의 기본 단위체 내에서 인접한 분리막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인접한 분리막을 바라보는 면에서 전체적으로 상기 인접한 분리막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간의 접착은, 상기 전극과 상기 인접한 분리막에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한 접착, 또는 상기 전극과 상기 인접한 분리막에 압력과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한 접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기본 단위체 내에서 상기 전극과 상기 인접한 분리막간의 접착력은 상기 단위체 스택부 내에서 상기 기본 단위체간의 접착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의 분리막 기재, 및 상기 분리막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체적으로 코팅되는 다공성의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무기물 입자들과 상기 무기물 입자들을 서로 연결 및 고정하는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로 형성되며,
    상기 전극은 상기 코팅층에 의해 상기 인접한 분리막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들은 충전 구조(densely packed structure)를 이루어 상기 코팅층에서 전체적으로 무기물 입자들간의 인터스티셜 볼륨(interstitial volumes)을 형성하고, 상기 무기물 입자들이 한정하는 인터스티셜 볼륨에 의해 상기 코팅층에 기공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전극인 말단 전극에 적층되는 제1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말단 전극이 양극일 때 상기 제1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전극으로부터 차례로 분리막, 음극, 분리막 및 양극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말단 전극이 음극일 때 상기 제1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전극으로부터 차례로 분리막 및 양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단위체의 양극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양면 중에 상기 기본 단위체를 바라보는 일면에만 코팅되는 활물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인 말단 분리막에 적층되는 제2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본 단위체에서 상기 말단 분리막에 접한 전극이 양극일 때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분리막으로부터 차례로 음극, 분리막 및 양극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기본 단위체에서 상기 말단 분리막에 접한 전극이 음극일 때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양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단위체의 양극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양면 중에 상기 기본 단위체를 바라보는 일면에만 코팅되는 활물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전극인 말단 전극에 적층되는 제1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말단 전극이 양극일 때 상기 제1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전극으로부터 차례로 분리막 및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말단 전극이 음극일 때 상기 제1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전극으로부터 차례로 분리막,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단위체는 상기 음극의 외측에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인 말단 분리막에 적층되는 제2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본 단위체에서 상기 말단 분리막에 접한 전극이 양극일 때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음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본 단위체에서 상기 말단 분리막에 접한 전극이 음극일 때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분리막으로부터 차례로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상기 음극의 외측에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인 말단 분리막에 적층되는 제2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본 단위체에서 상기 말단 분리막에 접한 전극이 음극일 때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분리막으로부터 차례로 제1 양극, 분리막, 음극, 분리막 및 제2 양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단위체의 제2 양극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양면 중에 상기 기본 단위체를 바라보는 일면에만 코팅되는 활물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인 말단 분리막에 적층되는 제2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본 단위체에서 상기 말단 분리막에 접한 전극이 양극일 때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분리막으로부터 차례로 제1 음극, 분리막, 양극, 분리막 및 제2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31.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1종의 기본 단위체나, 또는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제조하되, 상기 기본 단위체 중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할 외측 기본 단위체의 분리막 중의 어느 하나인 외측 분리막을 다른 분리막보다 길게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1종의 기본 단위체를 반복적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상기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적층하되, 상기 외측 기본 단위체를 가장 외측에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를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외측 기본 단위체의 상기 외측 분리막으로 상기 단위체 스택부를 감싸서 고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종의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4층 구조나 상기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각각 1개씩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적층하면, 상기 4층 구조나 상기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1개 이상의 분리막 재료 위에 소정 크기로 절단한 전극 재료를 각각 적층한 다음에 상기 1개 이상의 분리막 재료를 함께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기본 단위체를 제조하되, 상기 분리막 재료 중에 상기 외측 분리막에 대응된 분리막 재료는 다른 분리막 재료보다 길게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외측 기본 단위체를 가장 마지막에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34.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분리막으로 상기 단위체 스택부를 감싼 다음에 상기 외측 분리막의 외측 말단을 열융착이나 테이프로 상기 단위체 스택부에 고정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35.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분리막은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외측에 위치할 기본 단위체의 분리막 중에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가장 외측에 위치할 분리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36.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기본 단위체 내에서 상기 분리막의 말단은 인접한 분리막의 말단과 접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PCT/KR2014/001269 2013-02-15 2014-02-17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WO2014126433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15,121 US10090553B2 (en) 2013-02-15 2014-02-17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480002076.6A CN104541399B (zh) 2013-02-15 2014-02-17 电极组件及电极组件的制造方法
JP2015534406A JP6038329B2 (ja) 2013-02-15 2014-02-17 電極組立体及び電極組立体の製造方法
EP14751822.9A EP2863466B1 (en) 2013-02-15 2014-02-17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assembly
PL14751822T PL2863466T3 (pl) 2013-02-15 2014-02-17 Zespół elektrody i sposób wytwarzania zespołu elektrody
US15/980,050 US10756380B2 (en) 2013-02-15 2018-05-15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6513 2013-02-15
KR10-2013-0016513 2013-02-15
KR1020140017702A KR101598682B1 (ko) 2013-02-15 2014-02-17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KR10-2014-0017702 2014-02-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415,121 A-371-Of-International US10090553B2 (en) 2013-02-15 2014-02-17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5/980,050 Continuation US10756380B2 (en) 2013-02-15 2018-05-15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6433A1 true WO2014126433A1 (ko) 2014-08-21

Family

ID=51747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269 WO2014126433A1 (ko) 2013-02-15 2014-02-17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090553B2 (ko)
EP (1) EP2863466B1 (ko)
JP (1) JP6038329B2 (ko)
KR (1) KR101598682B1 (ko)
CN (1) CN104541399B (ko)
PL (1) PL2863466T3 (ko)
TW (1) TWI520406B (ko)
WO (1) WO2014126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882027T3 (pl) 2013-05-23 2020-09-07 Lg Chem, Ltd. Zespół elektrodowy i jednostka rodnikowa dla niego
KR101980308B1 (ko) * 2015-05-27 2019-05-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KR101774253B1 (ko) * 2016-02-25 2017-09-04 한국기계연구원 적층형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US10505232B2 (en) 2016-12-30 2019-12-10 Microsoft Licensing Technology, LLC Stacked, rolled-electrode battery cell with y-axis bending
US10593945B2 (en) * 2017-03-20 2020-03-17 Bing R. Hsieh Printed planar lithium-ion batteries
JP6943699B2 (ja) * 2017-09-14 2021-10-06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積層型電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KR102316340B1 (ko) 2019-01-22 2021-10-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조립체,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전지팩
KR20210061112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방법
JP7412373B2 (ja) * 2021-02-22 2024-01-12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7412374B2 (ja) * 2021-02-22 2024-01-12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874A (ko) * 2003-03-20 2004-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최외곽 전극이 분리막에 의해 포켓팅된 적층형 전지
WO2006025662A1 (en) * 2004-09-02 2006-03-09 Lg Chem, Ltd. Organic/inorganic composite porous film and electrochemical device prepared thereby
KR20080005629A (ko) * 2006-07-10 2008-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전기화학 셀
KR20110037781A (ko) * 2009-10-07 2011-04-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2241A (ko) * 2010-04-06 2011-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택 타입 셀, 개선된 바이-셀, 이들을 이용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572B1 (ko) 2000-02-08 2005-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97147B1 (ko) 2000-02-08 2005-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중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방법
JP4644899B2 (ja) 2000-02-23 2011-03-09 ソニー株式会社 電極及び電池、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440934B1 (ko) * 2002-02-06 2004-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0895196B1 (ko) * 2004-09-02 2009-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무기 복합 다공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소자
TWI318018B (en) 2004-09-02 2009-12-01 Lg Chemical Ltd Organic/inorganic composite porous film and electrochemical device prepared thereby
US20060115718A1 (en) * 2004-11-30 2006-06-01 Delphi Technologies, Inc. Lithium ion polymer multi-cell and method of making
KR100758482B1 (ko) 2004-12-07 2007-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처리된 다공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소자
KR100686813B1 (ko) * 2005-04-26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853619B1 (ko) 2006-01-04 2008-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 상단이 밀봉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이차전지
TW200743245A (en) 2006-05-01 2007-11-16 Antig Tech Co Ltd Assembly method used in the assembly of flat-plate type membrane electrode assembled layer and its structure
KR100874387B1 (ko) * 2006-06-13 2008-1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둘 이상의 작동 전압을 제공하는 중첩식 이차전지
JP5112429B2 (ja) 2006-06-26 2013-01-0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セル用電極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200812138A (en) 2006-08-18 2008-03-01 Antig Technology Corp Flat type membrane electrode layer structure
KR100833739B1 (ko) * 2006-10-27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각형 리튬 이온 전지
KR100966024B1 (ko) * 2007-04-24 2010-06-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종의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014817B1 (ko) * 2007-12-14 2011-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그것의 제조방법
KR101040482B1 (ko) * 2008-03-04 2011-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코팅층이 코팅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JP2011210524A (ja) * 2010-03-30 2011-10-20 Sanyo Electric Co Ltd 積層式電池
KR101310734B1 (ko) 2011-12-27 2013-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JP2013182819A (ja) 2012-03-02 2013-09-12 Toyota Industries Corp 蓄電装置、及び車両
KR101528027B1 (ko) 2012-06-28 2015-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의 제조공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874A (ko) * 2003-03-20 2004-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최외곽 전극이 분리막에 의해 포켓팅된 적층형 전지
WO2006025662A1 (en) * 2004-09-02 2006-03-09 Lg Chem, Ltd. Organic/inorganic composite porous film and electrochemical device prepared thereby
KR20080005629A (ko) * 2006-07-10 2008-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전기화학 셀
KR20110037781A (ko) * 2009-10-07 2011-04-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2241A (ko) * 2010-04-06 2011-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택 타입 셀, 개선된 바이-셀, 이들을 이용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63466A4 (en) 2015-10-21
KR101598682B1 (ko) 2016-03-02
EP2863466B1 (en) 2020-04-01
US20180261874A1 (en) 2018-09-13
JP6038329B2 (ja) 2016-12-07
CN104541399A (zh) 2015-04-22
TW201505229A (zh) 2015-02-01
CN104541399B (zh) 2017-11-24
US10090553B2 (en) 2018-10-02
KR20140103087A (ko) 2014-08-25
TWI520406B (zh) 2016-02-01
PL2863466T3 (pl) 2020-09-07
US20150340729A1 (en) 2015-11-26
JP2015536024A (ja) 2015-12-17
US10756380B2 (en) 2020-08-25
EP2863466A1 (en)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26433A1 (ko)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WO2014126430A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머 이차전지 셀
WO2014126434A1 (ko) 전극 조립체
WO2015046792A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WO2014126431A1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머 이차전지 셀
WO2014126432A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4189316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위한 기본 단위체
WO2015046803A1 (ko)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WO2015046894A1 (ko)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WO2015046893A1 (ko)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WO2014189319A1 (ko)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WO2011126310A2 (ko) 스택 타입 셀, 개선된 바이-셀, 이들을 이용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WO2015046703A1 (ko) 테이프를 이용한 전극조립체의 고정방법
WO2015030333A1 (ko) 폴리머 2차전지 셀용 전극조립체
WO2015046793A1 (ko)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WO2014073751A1 (ko) 단차가 형성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전지팩 및 디바이스, 상기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WO2011043587A2 (ko) 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4168397A1 (ko) 라운드 코너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20159306A1 (ko)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 및 이차전지
WO2013168980A1 (ko) 비정형 구조의 전지팩
WO2018097606A1 (ko)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및 그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WO2013180449A1 (ko) 전극 조립체, 전지셀,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전지셀의 제조 방법
WO2014104795A1 (ko) 두께 방향의 형상 자유도가 우수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전지팩 및 디바이스
WO2016024699A1 (ko)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5005652A1 (ko)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 및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518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15121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3440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