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98516A1 -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98516A1
WO2014098516A1 PCT/KR2013/011946 KR2013011946W WO2014098516A1 WO 2014098516 A1 WO2014098516 A1 WO 2014098516A1 KR 2013011946 W KR2013011946 W KR 2013011946W WO 2014098516 A1 WO2014098516 A1 WO 20140985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iaper
pegylated
formula
betu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19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봉열
황재택
방성식
유민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메딕스
Publication of WO20140985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985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per dermatitis comprising a pegylated betulin derivative and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the same.
  • Diaper dermatitis also known as diaper rash and ammonia dermatitis, causes the skin of the infant's diaper to bleed with moisture and damage the skin barrier due to various irritants from urine. Inflammation easily occurs, even in adults using diapers such as incontinence. Diaper dermatitis is known to be caused by persistent irritation of feces and urine by ammonia, by infiltration by wet diapers and impervious diapers, and by infections such as candida albicans. Initially, the skin of the diaper wearing area becomes red, and when it becomes chronic, the skin becomes dry, peeled, rough, and, if it is severe, oozes, breaks out, and pus or blood comes out. If bacteria or fungi grow on these areas, they will not heal well and will last longer.
  • the currently used treatment for diaper rash has a skin stimulation and side effects have been required to develop a product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or treat diaper rash without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 Betulin represented by Formula 2 is a lupine-based natural 5-ring triterpene alcohol, which is betulinol and loop-20 (29) -ene-3 ⁇ , 28-diol (lup). -20 (29) -ene-3 ⁇ , 28-diol). Betulin is present in many bark of tree species, especially in the bark of Betula sp., And methods for separating betulin by extraction from birch bark are known.
  • betulinic aci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is isolated by extraction from the cork of the birch ( Betula sp.) Bark or Quercus suber L., or to the direct oxidation of the betulin or birch bark It is known that it can be prepared by the methods.
  • the betulin and betulinic acid derivatives are known to be used in medicine and cosmetics,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has been studied.
  • EP 0 717 983 discloses that betulinic acid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scorbic acid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r 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 care. It is reported that betulinic acid in the composition promotes collagen synthesis of the skin, is suitable for treating wrinkled and loosened skin and treating cellulite by light.
  • U.S. Patent No. 6,642,217 discloses that betulin and certain derivatives thereof can be used as fungicides and anti yeasts.
  •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61911 discloses that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 can be us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un protection by having a water-soluble, excellent sunscreen effect, anti-whitening effect and moisturizing effect.
  •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 of Formula 1 can effectively prevent or inhibit diaper dermatitis without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and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per dermatitis comprising a pegylated betulin derivative of the formula (1).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per dermatitis comprising a pegylated betulin derivative of the formula (1).
  • R 1 is hydrogen or R'CO
  • R ' is an alkyl group of C 1 -C 6 ,
  • L is CH 2 OCO (CH 2 ) m X or COX
  • X is O, NH or S
  • R 2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of C 1 -C 6 ,
  • n is an integer from 2 to 120
  • n is an integer of 1-6.
  • an alkyl group of C 1 -C 6 means a straight or branched hydrocarbon having 1 to 6 carbon atoms, for example methyl, ethyl, n-propyl, i-propyl, n-butyl, i- Butyl, s-butyl, t-butyl, n-pentyl, n-hexyl, and the like.
  •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 of Formula 1 is a compound of Formula 1-1.
  • R 2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of C 1 -C 6 , preferably a methyl group,
  • n is an integer of 2 to 120, preferably 10 to 50.
  •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 of Formula 1 is a compound of Formula 1-2.
  • R 1 is hydrogen or R'CO
  • R ' is a C 1 -C 6 alkyl group, preferably a methyl group
  • R 2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of C 1 -C 6 , preferably a methyl group,
  • n is an integer of 2 to 120, preferably 10 to 50.
  •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s can be easily prepared according to a known method [Reference: Korean Patent No. 10-1061911].
  •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per dermatitis comprising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 of the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directly to the affected area, applied to gauze or bandages, or applied to the inner or diaper of the patient This can be used.
  • Diaper rash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aper rash due to atopic dermatitis as well as general diaper rash.
  •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known techniques in the formulation of lotions, creams, ointments, oils, gels, foams, sprays, powders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 various additives such as a moisturizer, a humectant, a gelling agent, a neutralizing agent, a fragrance, and a coloring agent may be further added as necessary.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preparation, but comprises from about 0.01 to 20% by weight, preferably 0.1 to 10% by weight of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 of the formula (I).
  • the dosage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administration target, administration method, symptoms, etc., but is generally preferably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0.01 to 10 g / kg per day.
  • the number of administration is preferably two or more times a day, but the number of administration may als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ymptoms.
  •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per dermatitis comprising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 of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ained in a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product that absorbs body fluids excreted by various physiological actions, that is, products that absorb urine and feces secretions, menstrual secretions and vaginal secretions. More specifically, it refers to a disposable diaper, a sanitary napkin, a panty liner, or the like used by an infant or an adult.
  • the absorbent article generally consists of a fluid permeable top sheet, an absorbent core and a fluid impermeable back sheet, and may optionally include additional structures such as containment or elastic portion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corporated in an absorbent article, preferably in a top sheet.
  •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orporated by a variety of methods known in the art, and may optionally be dispersed in an aqueous or volatile carrier, such as, for example, water, ethanol, or the like, followed by application, spraying, dipping, printing, infiltration to selected members of the absorbent product. Or by impregnation to the top sheet, absorbent core or back sheet.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absorbent article, but includ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s in an amount of 0.01 to 10% by weight, preferably 0.05 to 5%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absorbent product.
  • composition comprising a pegylated betulin deriva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or treat diaper rash without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as well as excellent stability and can be easily formulated.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diaper rash symptoms due to atopic dermatitis as well as general diaper rash.
  •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cell viability of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s of Examples 1, 2 and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betulin and betulinic acid.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s of Examples 1, 2 and 3 on the production of TNF- ⁇ from LPS treated RAW 264.7 cells compared to betulin and betulinic acid. .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s of Examples 1, 2 and 3 on the production of IL-6 from LPS treated RAW 264.7 cells compared to betulin and betulinic acid. .
  • composition of the cream formulation comprising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s obtained in Examples 1 to 3 was prepared in the composition and content (% by weight) described in Table 1 below.
  • composition of the gel formulation comprising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s obtained in Examples 1 to 3 was prepared in the composition and content (% by weight) described in Table 2 below.
  • the diaper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s obtained in Examples 1 to 3 was prepared in the composition and content (% by weight) described in Table 3 below.
  • Diapers were prepared by applying the compositions of Formulation Examples 7 to 9 and Control Example 1 to the diaper top sheet at a thickness of 100 mm each.
  • Rodent macrophage cell line (RA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Bank of Korea Cell Line) was prepared at 37 ° C using RPMI 1640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2 mM L-glutamine, 100 U / ml penicillin and 100 ⁇ g / ml streptomycin. Cultured in a 5% carbon dioxide incubator maintained at. Subcultured at 2-3 days intervals, cultured cells were dispensed into 12-well (1 ⁇ 10 6 ) plates and used for the experiment.
  • RPMI 1640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2 mM L-glutamine, 100 U / ml penicillin and 100 ⁇ g / ml streptomycin.
  •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hat there is no cytotoxicity.
  • RAW 264.7 cells were cultured using RPMI 1640 medium and aliquoted into 24-well (1 ⁇ 10 6 ) plates, and betulin, betulinic acid, the compound of Example 1, the compound of Example 2, and the compound of Example 3 were each 10 After treatment for 1 hour at concentrations of 50 and 100 ⁇ g / ml, cells were stimulated with LPS 10 ng / ml. After 24 hours, the cell suspension was centrifuged to collect the supernatant, and the amount of TNF- ⁇ and IL-6 in the supernatant was analyzed using an ELISA kit. The production of TNF- ⁇ and the production of IL-6 (%) relative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are shown in FIGS. 2 and 3, respectively (* P ⁇ 0.05, ** P ⁇ 0.01, *** P ⁇ 0.005). ).
  • the PEGylated betulin deriva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effectively inhibit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TNF- ⁇ and IL-6.
  • Diaper rash due to atopic dermatitis out of 80 infants with diapers less than 36 months old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diaper dermatitis, reddened skin, rashes or ulcers Forty infants with symptoms were included in the study.
  • Example 4 The diaper obtained in Example 4 was used for 10 weeks per group for 4 weeks using the composition of Formulation Examples 7 to 9 and the composition of Control Example 1, and then the surveyor subjectively determined the degree of improvement through a survey. It was made.
  • the improvement effect on general diaper dermatitis and the improvement effect on atopic diaper dermatitis are shown in Tables 4 and 5, respectively.
  • the diaper to which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as found to be effective against diaper dermatitis in clinical trials.
  • the diaper coated with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diaper rash symptoms caused by atopic dermati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부작용이 없으면서 기저귀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우수하여 용이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기저귀 피부염(diaper dermatitis)은 기저귀 발진, 암모니아 피부염이라고도 하며, 기저귀를 차는 영유아의 샅(회음) 부위가 수분에 의하여 피부가 짓무르고 대소변에서 나오는 여러 가지 자극물질에 의하여 피부 장벽이 손상되어 조그만 자극에도 쉽게 염증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 상태로, 요실금 등으로 기저귀를 사용하는 성인에서도 생긴다. 기저귀 피부염은 대변과 소변의 암모니아에 의한 지속적인 자극, 젖은 기저귀와 공기가 통하지 않는 기저귀보에 의한 침윤, 칸디다 알비칸스와 같은 곰팡이에 의한 감염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기저귀를 찬 부위의 피부가 붉어지는데, 만성화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껍질이 벗겨지며 거칠어지고 심하면 진물이 생기고 헐며 고름이나 피가 나오기도 한다. 이 부위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자라게 되면 잘 낫지 않고 오래가며 증세가 더 심해지게 된다.
그런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저귀 피부염의 치료제는 피부자극 및 부작용이 있어 피부자극 및 부작용이 없으면서 기저귀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베튤린(betulin)은 루판(lupine) 계의 천연 5환 트리테르펜(triterpene) 알코올로서, 베튤리놀(betulinol) 및 루프-20(29)-엔-3β,28-디올(lup-20(29)-ene-3β,28-diol)로도 알려져 있다. 베튤린은 몇몇 나무종의 나무껍질, 특히 자작나무(Betula sp.) 껍질에 많이 존재하며, 자작나무 껍질로부터 추출에 의해 베튤린을 분리하는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3011946-appb-I000001
한편,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는 베튤린산(betulinic acid)은 자작나무(Betula sp.) 껍질 또는 황병나무(Quercus suber L.)의 코르크로부터 추출에 의해 분리하거나, 베튤린 또는 자작나무 껍질의 직접 산화에 의한 방법들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3011946-appb-I000002
상기 베튤린 및 베튤린산 유도체는 의약 및 화장품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들의 항균활성 등이 연구되어 왔다.
예를 들어 유럽특허 제0 717 983호에는 베튤린산을 약학적 조성물 또는 피부 관리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단독으로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조성물에서 베튤린산은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광에 의해 주름이 형성되고 늘어진 피부를 관리하고 셀룰라이트를 치료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6,642,217호에는 베튤린 및 그의 특정 유도체를 살균제 및 항효모제로 사용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국제공개 WO 02/6792호에는 베튤린 및 그의 특정 유도체의 항균활성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10-1061911호에는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가 수용성이면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 백탁 방지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화학식 1의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가 피부자극 및 부작용이 없으면서 기저귀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의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3011946-appb-I000003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R'CO이고,
R'는 C1-C6의 알킬기이며,
L은 CH2OCO(CH2)mX 또는 COX이고,
X는 O, NH 또는 S이며,
R2는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이고,
n은 2 내지 120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1-C6의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s-부틸, t-부틸, n-펜틸, n-헥실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태양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1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1-1]
Figure PCTKR2013011946-appb-I000004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고,
n은 2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의 정수이다.
다른 태양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2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1-2]
Figure PCTKR2013011946-appb-I000005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R'CO이고,
R'는 C1-C6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며,
R2는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고,
n은 2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의 정수이다.
상기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참고문헌: 대한민국 특허 제10-1061911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환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거즈나 붕대에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환자의 내의 또는 기저귀 등에 살포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저귀 피부염은 일반적인 기저귀 피부염뿐만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기저귀 발진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투여방법에 따라, 로션, 크림, 연고, 오일, 겔, 포움, 스프레이, 파우더 등의 제형으로 공지된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보습제, 습윤제, 겔화제, 중화제, 향료, 착색제 등 다양한 첨가제가 더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제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화학식 1의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약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대상, 투여방법, 증상 등에 따라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 하루에 0.01 내지 10g/kg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회수는 1일 2회 이상이 바람직하나, 증상 정도에 따라 투여회수 또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일회용 흡수제품에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일회용 흡수제품(disposable absorbent article)은 여러가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되는 체액을 흡수하는 제품, 즉 뇨(urine) 및 변(feces) 분비물, 월경 분비액 및 질 분비액을 흡수하는 제품을 말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아 또는 성인이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생리대(sanitary napkin), 팬티 라이너(panty liner) 등을 말한다.
흡수제품은 일반적으로 유체 투과성 상면 시트, 흡수코어 및 유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봉쇄부 또는 탄성부와 같은 추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흡수제품에, 바람직하게는 상면 시트에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혼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물, 에탄올 등과 같은 수성 또는 휘발성 담체에 분산시킨 후에, 흡수제품의 선택된 부재에 도포, 분무, 침지, 프린팅, 침윤 또는 함침시킴으로써 상면 시트, 흡수코어 또는 배면 시트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흡수제품은 흡수제품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흡수제품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부작용이 없으면서 기저귀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우수하여 용이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일반적인 기저귀 피부염뿐만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기저귀 발진 증상에도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의 세포 활성도(cell viability)를 베튤린 및 베튤린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LPS로 처리된 RAW 264.7 세포로부터 TNF-α의 생성량에 대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의 효과를 베튤린 및 베튤린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LPS로 처리된 RAW 264.7 세포로부터 IL-6의 생성량에 대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의 효과를 베튤린 및 베튤린산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1: 3β-아세틸-28-베튤린산의 제조
베튤린산(3β-히드록시-28-베튤린산) 21 g (0.046 mol)을 피리딘 15.2 ml (0.189 mol)과 무수아세트산 186.6 ml (1.98 mol)에 넣고,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얼음물 300 ml에 붓고 30 분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얻은 고형물을 에틸아세테이트:헥산(1:1)으로 실리카겔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화합물 15.6 g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4.74(ds, 29-1H), 4.61(s, 29-1H), 4.47(dt, 3-1H), 2.99(m, 19-1H), 2.30-2.16(m, 2-2H), 2.04(s, CH 3 CO-3H), 2.01-1.93(m, 21-2H), 1.69(s, 30-3H), 0.97(s, 26-3H), 0.94(s, 23-3H), 0.85(s, 24-3H), 0.84(s, 25-3H), 0.83(s, 27-3H), 1.74-0.77(m, 20H)
실시예 1: 3β-히드록시-28-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프로피온 베튤린 (R 2 가 메틸기이고, n=42인 화학식 1-1의 화합물)의 제조
베튤린 1.7 g (3.8 mmol)과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프로피온산 19.2 g (3.8 mmol)을 건조 디클로로메탄 200 mL에 녹이고,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 0.47 g(0.38 mmol)을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 용액에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염산 (N-(3-dimethylaminopropyl)-N-ethylcarbodiimide hydrochloride) 0.95 g(4.6 mmol)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디클로로메탄 300 mL를 넣어 희석시키고 0.1 N 염산 수용액 300 mL로 세척한 다음, 분리된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300 mL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한 후 여과시키고, 감압 농축한 다음 디에틸 에테르 400 ml에 가하여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충분히 세척하면서 여과하여 백색 고형의 표제화합물 20.3 g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4.69(ds, 29-1H), 4.59(s, 29-1H), 4.29(d, 28-1Ha), 3.88(d, 28-1Hb), 3.82-3.46 (m, PEG back-bone), 3.38(s, CH 3 O-PEG, 3H), 3.19(t, 3-1H), 2.62(t, -CH 2 COO-, 2H), 2.44(m, 19-1H), 1.68(s, 30-3H), 1.03(s, 26-3H), 0.97(s, 23-3H), 0.96(s, 24-3H), 0.82(s, 25-3H), 0.76(s, 27-3H), 2.02-0.65(m, betulin-24H)
실시예 2: 3β-아세틸-28-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베튤린산 아미드(R 1 이 아세틸기이고, R 2 는 메틸기이며, n=43인 화학식 1-2의 화합물)의 제조
옥살릴클로라이드 2.29 g (18.05 mmol)을 제조예 1에서 수득한 3β-아세틸-28-베튤린산 1.5 g (3.0 mmol)을 벤젠에 용해한 용액에 0 ℃에서 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고형물 1.3 g (2.5 mmol)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한 용액을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민 5.0 g (2.5 mmol)과 트리에틸아민 0.63 g (6.25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에 녹인 용액에 천천히 가하였다. 반응 용액에 디클로로메탄 50 mL를 넣어 희석시키고 0.1 N 염산 수용액 50 mL로 세척한 다음, 분리된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50 mL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한 후 여과시키고, 감압 농축한 다음 디에틸 에테르 100 ml를 가하여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충분히 세척하면서 여과하여 백색 고형의 표제화합물 5.8 g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6.08(t, -NHCO-, 1H), 4.69(ds, 29-1H), 4.59(s, 29-1H), 4.29(d, 3-1H), 3.79(t, -NHCH2 CH 2 O-), 3.70-3.41 (m, PEG back-bone), 3.38(s, CH 3 O-PEG, 3H), 3.08(dt, 19-1H), 2.39(m, 2-1H), 1.99(s, CH 3 COO-, 3H), 1.67(s, 30-3H), 0.91(s, 26-3H), 0.89(s, 23-3H), 0.79(s, 24,25-6H), 0.78(s, 27-3H), 1.99-0.70(m, Betulinic acid-22H)
실시예 3: 3β-히드록시-28-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베튤린산 아미드 (R 1 이 수소이고, R 2 는 메틸기이며, n=43인 화학식 1-2의 화합물)의 제조
수산화나트륨 0.5 g (11.5 mmol)을 물 2.5 ml에 용해한 용액을 실시예 2에서 수득한 3β-아세틸-28-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베튤린산 아미드 5.0 g (2.02 mmol)을 메탄올 7.5 ml와 테트라히드로퓨란 10 ml에 용해한 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1.0 N 염산 수용액을 pH 2가 될 때까지 천천히 가하고, 디클로로메탄 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건조한 후 여과시키고, 감압 농축한 다음 디에틸 에테르 100 ml에 가하여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충분히 세척하면서 여과하여 백색 고형의 표제화합물 4.3 g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6.07(t, -NHCO-, 1H), 4.70(ds, 29-1H), 4.56(s, 29-1H), 3.79(t, -NHCH2 CH 2 O-), 3.72-3.39(m, PEG back-bone), 3.38(s, CH 3 O-PEG, 3H), 3.20-3.05(m, 3, 19-2H), 2.41(dt, 2-1H), 1.67(s, 30-3H), 0.99(s, 26,23-6H), 0.93(s, 24-3H), 0.79(s, 25-3H), 0.72(s, 27-3H), 1.93-0.63(m, Betulinic acid-22H)
제형실시예 1-3: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조성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과 함량(중량%)으로 제조하였다.
표 1
성분명 제형실시예 1 제형실시예 2 제형실시예 3
실시예 1의 화합물 5.0 - -
실시예 2의 화합물 - 5.0 -
실시예 3의 화합물 - - 5.0
호호바오일 2.5 2.5 2.5
해바라기유 2.5 2.5 2.5
세틸아릴알코올 2.0 2.0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1.0 1.0
스쿠알란 5.0 5.0 5.0
프로필렌글리콜 4.0 4.0 4.0
폴리글리세릴-3 메틸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2.0 2.0 2.0
에틸헥실메톡시페닐프로페노에이트 5.0 5.0 5.0
글리세린 5.0 5.0 5.0
아세틸티로신 혼합물 1.0 1.0 1.0
트리에탄올 아민 0.3 0.3 0.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 0.3 0.3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 0.2 0.2
프로필파라벤 0.03 0.03 0.03
인공향료 0.03 0.03 0.03
황색 4호 0.04 0.04 0.04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제형실시예 4-6: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겔 제형의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겔 제형의 조성물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과 함량(중량%)으로 제조하였다.
표 2
성분명 제형실시예 4 제형실시예 5 제형실시예 6
실시예 1의 화합물 5.0 - -
실시예 2의 화합물 - 5.0 -
실시예 3의 화합물 - - 5.0
글리세린 5.0 5.0 5.0
카보머 0.6 0.6 0.6
EDTA 0.02 0.02 0.02
1,3-부틸렌글리콜 4.0 4.0 4.0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5 0.15 0.15
트리에탄올 아민 0.5 0.5 0.5
트리클로산 0.2 0.2 0.2
에탄올 5.0 5.0 5.0
PEG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5.0 5.0 5.0
프로필파라벤 0.03 0.03 0.03
인공향료 0.03 0.03 0.03
황색 4호 0.04 0.04 0.04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제형실시예 7-9: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도포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도포용 조성물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과 함량(중량%)으로 제조하였다.
표 3
성분 제형실시예 7 제형실시예 8 제형실시예 9 대조예 1
글리세린 5 5 5 5
실시예 1의 화합물 5 - - -
실시예 2의 화합물 5 - -
실시예 3의 화합물 - - 5 -
징크옥사이드 10 10 10 10
1,3-부틸렌글리콜 2 2 2 2
EDTA-Na 0.02 0.02 0.02 0.02
세틸아릴알코올 2 2 2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1 1 1
마이키로크리스탈린 0.5 0.5 0.5 0.5
스쿠알란 5 5 5 5
파라핀 3 3 3 3
트리옥타노인 5 5 5 5
폴리소르베이트60 1.3 1.3 1.3 1.3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7 0.7 0.7 0.7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2 0.2 0.2 0.2
실리콘 3 3 3 3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실시예 4: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기저귀의 제조
상기 제형실시예 7 내지 9와 대조예 1의 조성물을 각각 0.3 g씩 100 mm 두께로 기저귀 상부 시트에 도포하여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세포 생존율 시험
(1) 세포 배양
설치류 대식 세포주(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한국 세포주 은행)를 10% FBS와 2 mM L-글루타민,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하는 RPMI 1640 배양액을 사용하여 37 ℃로 유지되는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3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였으며, 배양된 세포를 12-웰 (1X106)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MTT 분석
96-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일정량(1X106) 분주한 후, 베튤린(Betulin), 베튤린산(Betulinic acid), 3,28-디아세틸-베튤린산(3,28-diAc-Betulinic acid), 실시예 1의 화합물, 실시예 2의 화합물 및 실시예 3의 화합물을 각각 1, 10, 25, 50 μg/ml의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MTT 시약 2 mg/ml를 배지와 섞은 후 분주하여 3~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세포배양 상층액을 제거하고 DMSO를 250 μl씩 분주하여 웰에 생성된 포르마진(formazin)이 모두 용해될 수 있도록 약간 흔든 후, ELISA 리더(reader, Bio-TEK Instruments, Inc., USA)로 550 nm에서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세포 활성도(cell viability)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는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ELISA 시험
RAW 264.7 세포를 RPMI 1640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여 24-웰 (1X106)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베튤린, 베튤린산, 실시예 1의 화합물, 실시예 2의 화합물 및 실시예 3의 화합물을 각각 10, 50, 100 μg/ml의 농도별로 1 시간 동안 처리한 후, LPS 10 ng/ml로 세포를 자극하였다. 24 시간 후에 세포 부유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집하고, 상층액 내 TNF-α 및 IL-6의 생성량을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양성 대조군 대비 TNF-α의 생성도(%) 및 IL-6의 생성도(%)를 각각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P<0.05, **P<0.01, ***P<0.005).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는 염증매개물질인 TNF-α 및 IL-6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기저귀 피부염에 대한 효능 시험
36 개월 미만의 기저귀를 사용하는 유아 중 기존에 기저귀 피부염으로 진단받았거나, 피부가 붉게 변하거나, 뾰루지가 생기거나, 궤양이 발생하여 진물이 흐르는 증상이 있는 80 명 중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기저귀 발진 증상을 보이는 유아 40명을 실험 대상자에 포함시켰다.
상기 제형실시예 7 내지 9의 조성물 및 대조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4에서 수득한 기저귀를 그룹당 10명에게 4주 동안 사용하도록 한 다음, 설문조사를 통해 개선 정도를 보호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하게 하였다. 일반 기저귀 피부염에 대한 개선 효과와 아토피성 기저귀 피부염에 대한 개선 효과를 각각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4
개선 정도 제형실시예 7 제형실시예 8 제형실시예 9 대조예 1
응답자 수(명) 매우 양호 6 4 4 -
양호 3 4 3 1
보통 1 1 1 4
미흡 - 1 2 5
표 5
개선 정도 제형실시예 7 제형실시예 8 제형실시예 9 대조예 1
응답자 수 (명) 매우 양호 5 4 4 -
양호 3 3 4 -
보통 2 3 1 3
미흡 - - 1 7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도포된 기저귀가 임상시험에서 기저귀 피부염에 대하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도포된 기저귀가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기저귀 발진 증상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의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3011946-appb-I000006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R'CO이고,
    R'는 C1-C6의 알킬기이며,
    L은 CH2OCO(CH2)mX 또는 COX이고,
    X는 O, NH 또는 S이며,
    R2는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이고,
    n은 2 내지 120의 정수이며,
    m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2.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1-1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1]
    Figure PCTKR2013011946-appb-I000007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이고,
    n은 2 내지 120의 정수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R2는 메틸기이고,
    n은 10 내지 50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1-2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2]
    Figure PCTKR2013011946-appb-I000008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R'CO이고,
    R'는 C1-C6의 알킬기이며,
    R2는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이고,
    n은 2 내지 120의 정수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R1은 수소 또는 R'CO이고,
    R'는 메틸기이며,
    R2는 메틸기이고,
    n은 10 내지 50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기저귀 피부염이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기저귀 발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가 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9. 제8항에 있어서, 일회용 흡수제품이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또는 팬티 라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PCT/KR2013/011946 2012-12-21 2013-12-20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9851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688 2012-12-21
KR1020120150688A KR101400638B1 (ko) 2012-12-21 2012-12-21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8516A1 true WO2014098516A1 (ko) 2014-06-26

Family

ID=5089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1946 WO2014098516A1 (ko) 2012-12-21 2013-12-20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00638B1 (ko)
WO (1) WO2014098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382B1 (ko) 2016-02-01 2016-12-30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1666857B1 (ko) 2016-06-01 2016-10-17 이현용 조절구멍 없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및 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67557B1 (ko) 2019-08-02 2020-01-17 권필숙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2378960B1 (ko) 2021-10-07 2022-03-24 이현용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KR20230138801A (ko) 2022-03-24 2023-10-05 서울대학교병원 실금 관련성 피부염 위험도 도출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8210A1 (en) * 2000-09-29 2002-09-12 Krasutsky Pavel A. Triterpenes having human antifungal and antiyeast activity
WO2004089357A2 (en) * 2003-04-02 2004-10-2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Anti-fungal formulation of triterpene and essential oil
KR20090052088A (ko) * 2007-11-20 2009-05-25 이형석 화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치료용 조성물
KR101061911B1 (ko) * 2009-04-01 2011-09-02 주식회사 페라온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0373A (ko) * 2011-03-29 2012-10-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8210A1 (en) * 2000-09-29 2002-09-12 Krasutsky Pavel A. Triterpenes having human antifungal and antiyeast activity
WO2004089357A2 (en) * 2003-04-02 2004-10-2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Anti-fungal formulation of triterpene and essential oil
KR20090052088A (ko) * 2007-11-20 2009-05-25 이형석 화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치료용 조성물
KR101061911B1 (ko) * 2009-04-01 2011-09-02 주식회사 페라온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0373A (ko) * 2011-03-29 2012-10-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638B1 (ko)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98516A1 (ko)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2668B1 (ko) 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창상 치유용 약학 조성물
WO2016167527A1 (ko) 백미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시나프산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백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처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01005400A1 (fr) Preparations de nitroimidazole a usage externe pour traiter la dermatose
KR101878450B1 (ko) 미생물 감염의 치료에서의 사용을 위한 타마린드 씨 다당류
KR20160043551A (ko) 에델바이스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8169169A1 (en)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uritus
KR101790618B1 (ko) 염증 질환의 치료에서의 사용을 위한 타마린드 씨 다당류
WO2011096688A2 (ko) 디벤조-р-디옥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건강 개선용 조성물
WO2018111042A2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1053007A2 (ko) 위릉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WO2020111621A1 (ko) 탈모 또는 피부 염증 억제용 조성물
WO2019245332A1 (ko) 베타글루칸, 글리시틴 및 4&#39;,6,7-트리메톡시이소플라본을 포함하는 창상 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
WO2014119826A1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031655A1 (ko) 티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40041912A (ko)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WO2021221384A1 (ko) 이타콘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WO2022191551A1 (ko) 칸나비게롤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2070888A2 (ko) 미세 버블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21075929A1 (ko) 애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 개선용 조성물
WO2009116838A2 (ko)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151563A1 (ko)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15030422A9 (ko)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90060291A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3090781A1 (ko)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655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655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