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557B1 -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 Google Patents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557B1
KR102067557B1 KR1020190094383A KR20190094383A KR102067557B1 KR 102067557 B1 KR102067557 B1 KR 102067557B1 KR 1020190094383 A KR1020190094383 A KR 1020190094383A KR 20190094383 A KR20190094383 A KR 20190094383A KR 102067557 B1 KR102067557 B1 KR 102067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unlocking
support rod
hol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용
Original Assignee
권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필숙 filed Critical 권필숙
Priority to KR102019009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18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 A47C4/20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 A47C4/2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with cross legs
    • A47C4/26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with cross legs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2091/007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fixed by a tubular dowel sleeve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하부지지봉의 상부에 언록킹부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언록킹부를 관통하여 상부지지봉이 하부지지봉의 내부로 인입출되게 구비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언롱킹부는 중공형 언록킹 몸체의 상단 내주면에 걸림턱이 구비되어 하부지지봉의 상단이 걸려지게 결합되고, 상기 언록킹몸체는 외주연부에 암나사부가 구비된 언록킹몸체 고정부와 핀슬라이더홀이 구비된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가 돌출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는 상기 핀슬라이더홀의 양측으로 핀가이드홀이 축방향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핀가이드홀의 하부 외측으로 레버 힌지홈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레버 힌지홈이 구비된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의 하부에 스프링 삽입 공간부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핀슬라이더홀에 핀관통홀과 니들핀을 갖는 언록킹 고정핀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레버 힌지홈은 레버에 구비된 힌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HEIGHT ADJUSTER OF THE STOOL AND DESK}
이 건 발명은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언록킹부를 갖는 하부지지봉의 내부로 상부지지봉이 인,입출되어 높낮이가 가변되는 과정에서 레버에 결합된 언록킹 고정핀의 니들핀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지지봉에 구비된 니들핀 삽입홀에 삽입되어 높낮이가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실에는 파이프를 절곡하여 구비된 받침다리와 받침다리의 상단에 결합된 상판 및 상판의 하부에 책이나 노트 및 필기구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 그리고 보관함의 일측에 가방이나 신발 주머니를 걸어 놓을 수 있도록 구비된 걸이구로 구비된 책상과 받침다리의 상부로 결합된 프레임에 좌판과 등받이판이 결합된 걸상이 구비되어 걸상에 앉아 글을 읽거나 쓸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책상과 걸상은 각 학년의 평균 신장을 기준으로 3가지 형태의 크기로 상이하게 제조되어 평균 신장을 가진 학생들은 책상과 걸상을 사용하는데 큰 불편함이 없었으나, 신장이 크거나 작은 학생의 경우 책상과 걸상을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책상과 걸상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높이조절홀을 갖는 상부지주가 결합되어지고, 상부지주가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지주에 삽입되어지고, 고정핀이 관통홀과 높이조절홀에 끼워져 높낮이가 조절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높이조절홀에 관통홀을 일치시킨 후 고정핀을 삽입하여 책상과 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혼자서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삽입된 고정핀이 역방향으로 빠질 경우 책상과 걸상이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책상과 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삽입된 고정핀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옷이나 신체의 일부가 긁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사이의 결합부분이 노출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10-1400638호(2014.05.22)의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가 제안되었으나, 구성 부품수의 증가로 인하여 비용이 상승되는 가운데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1400638호(2014.05.22)
이 건 발명은 혼자서 책상과 걸상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언록킹 고정핀이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언록킹 고정핀을 지지하는 언록킹 몸체와 레버의 내마모성, 인장강도 및 휨강도 등을 높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하부지지봉(10)의 상부에 언록킹부(2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언록킹부(20)를 관통하여 상부지지봉(30)이 하부지지봉(10)의 내부로 인입출되게 구비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A)에 있어서, 상기 언롱킹부(20)는 중공형 언록킹 몸체(210)의 상단 내주면에 걸림턱(211)이 구비되어 하부지지봉(10)의 상단이 걸려지게 결합되고, 상기 언록킹몸체(210)는 외주연부에 암나사부(221)가 구비된 언록킹몸체 고정부(220)와 핀슬라이더홀(231)이 구비된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가 돌출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는 상기 핀슬라이더홀(231)의 양측으로 핀가이드홀(232)이 축방향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핀가이드홀(232)의 하부 외측으로 레버 힌지홈(233)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레버 힌지홈(233)이 구비된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의 하부에 스프링 삽입 공간부(234)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핀슬라이더홀(231)에 핀관통홀(241)과 니들핀(242)을 갖는 언록킹 고정핀(240)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레버 힌지홈(233)은 레버(250)에 구비된 힌지(25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레버(250)는 찬넬형태를 갖는 레버아암(251)의 중간 부분의 내측에 상기 힌지(252)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레버아암(251)의 상단부에 핀홀(253)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언록킹 고정핀(240)의 핀관통홀(241)과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의 핀가이드홀(232) 및 레버아암(251)의 핀홀(253)에 고정핀(260)이 끼워져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프링 삽입 공간부(234)에 스프링(270)이 삽입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 하부의 스프링 삽입 공간부(234)에
Figure 112019117476426-pat00008
형태를 갖는 판스프링(270)이 삽입되어지되, 상기 판스프링(270)의 수평인 일측 단부에 피스관통홀(271)이 구비되어 피스(P)로 상기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 하부에 고정되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봉(10)은 상단부측의 외주연부에 관통홀(110)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지지봉(30)의 외주연부에도 니들핀 삽입홀(310)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게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하부지지봉(10)의 상단부에 상기 상부지지봉(30)의 하단부가 인입되어 상기 언록킹 고정핀(240)의 니들핀(242)이 상기 하부지지봉(10)의 관통홀(11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지지봉(30)의 니들핀 삽입홀(310)에 삽입되어 높이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언록킹 몸체 고정부(220)의 암나사부(221)에 나사(S)가 결합되어 하부지지봉(10)에 언록킹 몸체(210)가 끼워져 고정되어지고, 상기 레버(250)는 레버아암(251)의 하부 외측에 미끄럼방지돌기(25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언록킹부(20) 및 레버(250)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9.7 중량부의 첨가제가 더 포함되는 ABS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되, 상기 ABS 수지는 부타디엔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시안 단량체가 1 : 3~5 : 2~4의 중량비로 반응하여 얻어진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첨가제는 활제, 내구성향상제,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안정제를 포함하며, 상기 내구성향상제로는 폴리(N-바이닐-6-메틸카프로락탐)이 사용되고, 상기 폴리(N-바이닐-6-메틸카프로락탐)은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2.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레버에 결합된 언록킹 고정핀의 니들핀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지지봉에 구비된 니들핀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책상과 걸상의 높낮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니들핀에 스프링의 탄성력이 레버를 통해 작용하게 됨에 따라 니들핀이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책상, 걸상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니들핀이 구비된 언록킹 고정핀을 지지하는 언록킹 몸체와 레버의 내마모성, 인장강도 및 휨강도 등을 높임으로써,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책상의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가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가 언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걸상의 사시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가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가 언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걸상의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A)는 책상과 걸상의 높낮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 즉, 고정된 상태가 풀려 책·걸상이 주저앉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내마모성, 인장강도 및 휨강도를 높여 마모와 변형 및 파손을 막아 장기간 사용하여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봉(10)의 상부에 언록킹부(2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언록킹부(20)를 관통하여 상부지지봉(30)이 하부지지봉(10)의 내부로 인입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지지봉(10)은 속이 비어 있는 중공의 형태를 가지며, 하단에는 수평형태를 갖는 하부받침봉(120)이 구비되어 바닥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지지봉(30)은 속이 비어 있는 중공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부에는 상부받침봉(320)이 구비되어 책상의 상판 또는 걸상의 좌판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지지봉(30)은 하부지지봉(10)의 단면적 또는 직경보다 적은 직경을 갖도록 하여 상부지지봉(30)이 하부지지봉(10)의 내부로 인입출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부(20)는 하부지지봉(10)이 관통되도록 하는 가운데 상부지지봉(3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부지지봉(30)이 하부지지봉(10)의 내부로 인입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언록킹되도록 하여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언록킹부(20)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 것으로, 중공형 언록킹 몸체(210)의 상단 내주면에 걸림턱(211)이 구비되어 하부지지봉(10)의 상단이 걸려지게 결합되고, 외주연부에 암나사부(221)가 구비된 언록킹몸체 고정부(220)와 핀슬라이더홀(231)이 구비된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가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 몸체 고정부(220)의 암나사부(221)에 나사(S)가 결합되어 하부지지봉(10)에 언록킹 몸체(210)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언록킹 몸체(210)가 하부지지봉(10)의 상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는 상기 핀슬라이더홀(231)의 양측으로 핀가이드홀(232)이 축방향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핀가이드홀(232)의 하부 외측으로 레버 힌지홈(233)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레버 힌지홈(233)이 구비된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의 하부에 스프링 삽입 공간부(23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핀슬라이더홀(231)에는 핀관통홀(241)과 니들핀(242)을 갖는 언록킹 고정핀(240)이 슬라이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지고, 상기 레버 힌지홈(233)은 레버(250)에 구비된 힌지(25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버(250)는 언록킹부(20)와 동일한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 것으로, 찬넬형태를 갖는 레버아암(251)의 중간 부분의 내측에 상기 힌지(252)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레버아암(251)의 상단부에 핀홀(253)이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레버(250)는 레버아암(251)의 하부 외측에 미끄럼방지돌기(254)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과정에서 미끄러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언록킹 고정핀(240)의 핀관통홀(241)과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의 핀가이드홀(232) 및 레버아암(251)의 핀홀(253)에는 고정핀(260)이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고정핀(260)이 핀가이드홀(232)를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 삽입 공간부(234)에 스프링(270)이 삽입됨에 따라 레버(250)가 언록킹 고정핀(260)을 항상 가압시키는 상태 즉, 언록킹 고정핀(260)의 단부에 구비된 니들핀(242)이 상부지지봉(30)에 구비된 니들핀 삽입홀(310)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270은
Figure 112019079572420-pat00001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 것으로 수평인 일측 단부에 피스관통홀(271)이 구비되어 피스(P)로 고정됨에 따라 스프링 삽입 공간부(234)로부터 빠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지지봉(10)은 상단부측의 외주연부에 관통홀(110)이 구비되어 언록킹 고정핀(240)의 니들핀(242)이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지지봉(30)의 외주연부에는 니들핀 삽입홀(310)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니들핀(242)이 니들핀 삽입홀(310)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하부지지봉(10)의 상부로부터 상부지지봉(30)이 인출되는 정도에 따라 책상 또는 걸상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를 이용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스프링(270)의 탄성력이 미끄럼방지돌기(254)가 구비된 레버(250)의 단부에 작용하게 되면, 레버(250)는 레버아암(251)의 내측으로 힌지(252)가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의 레버 힌지홈(233)에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고정핀(260)을 누르게 되어 니들핀(242)이 하부지지봉(10)을 관통하여 내부로 위치된 상부지지봉(30)의 니들핀 삽입홀(310)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봉(10)의 상부로 상부지지봉(30)이 인출되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지지봉(30)의 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레버(250)의 미끄럼방지돌기(254)를 누르면 힌지(252)를 중심으로 레버아암(251)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스프링(270)이 압축된다.
다음, 레버아암(251)에 결합된 고정핀(260)이 같이 회동함에 따라 고정핀(260)은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에 구비된 핀가이드홀(232)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핀(260)에 결합된 언록킹 고정핀(260)이 핀슬라이더홀(231)에 안내되어지면서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다음, 언롤킹 고정핀(260)이 핀슬라이더홀(231)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부지지봉(30)의 니들핀 삽입홀(310)에 삽입된 니들핀(242)이 빠지게 됨과 동시에 상부지지봉(30)이 언록킹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상부지지봉(30)이 하부지지봉(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할 경우, 높낮이가 낮아지게 되고, 인출되도록 할 경우, 높낮이가 높아지게 된다.
다음, 하부지지봉(10)의 상부로부터 상부지지봉(30)의 인입출되는 적절한 길이 또는 높이를 갖도록 한 후 레버(250)를 누르고 있던 손가락을 레버(250)에서 뗌과 동시에 스프링(270)의 탄성력에 의하여 레버아암(25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니들핀(242)이 다시 상부지지봉(30)의 니들핀 삽입홀(310)에 삽입됨으로써, 현재의 높낮이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를 구성하는 언록킹부(20) 및 레버(250)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를 주 성분으로 포함하며, 활제, 내구성향상제,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ABS 수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ABS 수지는 내열성,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성형성이나 광택도가 양호하여 전기 부품, 전자 부품, 사무용 기기 또는 자동차 부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성분이다.
이 건 발명에서 사용되는 ABS 수지는, 부타디엔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시안 단량체가 1:3~5:2~4의 중량비로 반응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중량비로 반응하여 얻어진 ABS 수지는, 본 발명의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가 책상 혹은 걸상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 및 내구성을 갖고, 높낮이 조절시 서로 마찰되는 부분에 의한 마모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부타디엔계 단량체는, 부타디엔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일 수 있으며, ABS 수지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브로모스티렌,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및 o-브로모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부타디엔계 단량체 중량비의 3~5배의 중량비 범위로 사용될 수 있는데, 3 중량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성형성이 떨어져 ABS 수지의 성형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고, 5 중량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ABS 수지의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 비닐시안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부타디엔계 단량체에 대한 비닐시안 단량체의 중량비가 2 미만인 경우에는 ABS 수지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곤란하고, 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휨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ABS 수지 조성물에 ABS 수지와 함께 사용되는 첨가제로는, 활제, 내구성향상제,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9.7 중량부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ABS 수지를 이용하여 언록킹부(20) 및 레버(250)를 제조할 때, ABS 수지 조성물이 금형이나 카렌다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2.0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으며, 활제로는 스테아린산 금속염, 지방산 금속염, 에스테르계 왁스, 아미드계 왁스, 파라핀계 왁스, 실리콘계 오일 또는 광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구성향상제는, ABS 수지 조성물의 경도 및 강도를 향상시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의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내구성 향상제로는 폴리(N-바이닐-6-메틸카프로락탐)이 사용될 수 있으며,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2.5 중량부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내구성향상제의 함량이 ABS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내구성 향상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휨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ABS 수지 조성물의 산화로 인한 강도 저하, 내구성 저하, 외관 불량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2.5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페놀계, 아민계, 인계, 티오에스테르계 산화방지제 등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안정제는, 빛에 의해 ABS 수지 조성물의 물성이 불량해지거나 변색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3.0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으며, 벤조트리아졸계, HALS계, 벤조페논계 자외선안정제 등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이 건 발명의 언록킹부(20) 및 레버(250)는 상술한 ABS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짐으로써, 책상이나 걸상에 가해지는 하중을 강하게 지지할 수 있고, 높낮이를 조절하는 동작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록킹부(20) 및 레버(250)를 구성하는 ABS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이 1:4.2:3.1의 중량비로 반응하여 얻어진 ABS 수지 100 중량부와 활제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내구성향상제인 폴리(N-바이닐-6-메틸카프로락탐) 1.3 중량부, 산화방지제인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파이트 0.3 중량부 및 자외선안정제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을 0.7 중량부를 240℃에서 혼합하여 실시예 1의 고분자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되, 첨가제로써 포함되는 내구성향상제의 함량을 표 1과 같이 변화시켜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조성을 갖는 고분자 시편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ABS 수지 100 100 100 100 100 100
첨가제 활제 0.5 0.5 0.5 0.5 0.5 0.5
내구성향상제 1.3 0.2 2.4 - 0.05 2.7
산화방지제 0.3 0.3 0.3 0.3 0.3 0.3
자외선안정제 0.7 0.7 0.7 0.7 0.7 0.7
이후, 각 고분자 시편에 대하여 내마모성, 인장강도 및 휨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내마모성 실험은 각 고분자 시편을 원판형으로 성형하고, pin-on-dist 방식으로 1,000회 회전시켜 마모 실험을 수행하고, 감소된 중량을 측정하여 수행되었다. 인장강도는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휨강도는 ASTM D790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내마모성(mg/1,000회) 7.3 7.8 7.1 15.6 10.2 7.0
인장강도(MPa) 49.5 46.2 52.3 37.2 38.8 53.6
휨강도(MPa) 62.7 62.5 60.7 57.7 59.3 51.2
표 2의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내마모성, 인장강도 및 휨강도 모두 우수한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휨강도는 우수하나 인장강도 및 내마모성 특성이 실시예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반대로 내마모성 및 인장강도는 우수하나 휨강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내구성향상제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비교예 1이나 비교예 2와 같이 내구성향상제를 포함하지 거나 미량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내구성향상제에 의한 강도향상 및 내마모성 향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비교예 3과 같이 내구성향상제를 과량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과도항 경도 향상에 의해 휨강도가 저하되는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언록킹부(20) 및 레버(250)의 강도를 높여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면서, 높낮이 조절 동작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ABS 수지에 첨가제로써 내구성향상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효과를 얻는 동시에 외부환경 변화나 외부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휨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내구성향상제의 함량을 0.1~2.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건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하부지지봉 20:언록킹부
30:상부지지봉 210:중공형 언록킹 몸체
211:걸림턱 221:암나사부
220:언록킹몸체 고정부 230: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
231:핀슬라이더홀 232:핀가이드홀
233:레버 힌지홈 234:스프링 삽입 공간부
240:언록킹 고정핀 241:핀관통홀
242:니들핀 250:레버
251:레버아암 252:힌지
253:핀홀 260:고정핀
270:스프링

Claims (5)

  1. 하부지지봉(10)의 상부에 언록킹부(2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언록킹부(20)를 관통하여 상부지지봉(30)이 하부지지봉(10)의 내부로 인입출되게 구비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A)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부(20)는 중공형 언록킹 몸체(210)의 상단 내주면에 걸림턱(211)이 구비되어 하부지지봉(10)의 상단이 걸려지게 결합되고, 상기 언록킹몸체(210)는 외주연부에 암나사부(221)가 구비된 언록킹몸체 고정부(220)와 핀슬라이더홀(231)이 구비된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가 돌출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는 상기 핀슬라이더홀(231)의 양측으로 핀가이드홀(232)이 축방향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핀가이드홀(232)의 하부 외측으로 레버 힌지홈(233)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레버 힌지홈(233)이 구비된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의 하부에 스프링 삽입 공간부(234)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핀슬라이더홀(231)에 핀관통홀(241)과 니들핀(242)을 갖는 언록킹 고정핀(240)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레버 힌지홈(233)은 레버(250)에 구비된 힌지(25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레버(250)는 찬넬형태를 갖는 레버아암(251)의 중간 부분의 내측에 상기 힌지(252)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레버아암(251)의 상단부에 핀홀(253)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언록킹 고정핀(240)의 핀관통홀(241)과 언록킹 고정핀 가이더부(230)의 핀가이드홀(232) 및 레버아암(251)의 핀홀(253)에 고정핀(260)이 끼워져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프링 삽입 공간부(234)에
    Figure 112019117476426-pat00009
    형태를 갖는 판스프링(270)이 삽입되어지되, 상기 판스프링(270)의 수평인 일측 단부에 피스관통홀(271)이 구비되어 피스(P)로 고정되어지며, 상기 하부지지봉(10)은 상단부측의 외주연부에 관통홀(110)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지지봉(30)의 외주연부에도 니들핀 삽입홀(310)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게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하부지지봉(10)의 상단부에 상기 상부지지봉(30)의 하단부가 인입되어 상기 언록킹 고정핀(240)의 니들핀(242)이 상기 하부지지봉(10)의 관통홀(11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지지봉(30)의 니들핀 삽입홀(310)에 삽입되어 높이가 고정되고, 상기 언록킹 몸체 고정부(220)의 암나사부(221)에 나사(S)가 결합되어 하부지지봉(10)에 언록킹 몸체(210)가 끼워지며, 상기 언록킹부(20) 및 레버(250)는 ABS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9.7 중량부의 첨가제가 더 포함되는 ABS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되, 상기 ABS 수지는 부타디엔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비닐시안 단량체가 1 : 3~5 : 2~4의 중량비로 반응하여 얻어진 것으로 하고, 상기 첨가제는 활제, 내구성향상제,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안정제를 포함하며, 상기 내구성향상제로는 폴리(N-바이닐-6-메틸카프로락탐)이 사용되고, 상기 폴리(N-바이닐-6-메틸카프로락탐)은 ABS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2.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50)는 레버아암(251)의 하부 외측에 미끄럼방지돌기(25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4. 삭제
  5. 삭제
KR1020190094383A 2019-08-02 2019-08-02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2067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383A KR102067557B1 (ko) 2019-08-02 2019-08-02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383A KR102067557B1 (ko) 2019-08-02 2019-08-02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557B1 true KR102067557B1 (ko) 2020-01-17

Family

ID=6937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383A KR102067557B1 (ko) 2019-08-02 2019-08-02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667A (ko) * 2020-03-25 2021-10-06 김두철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1952A (ja) * 1995-10-31 1997-05-13 Paramount Bed Co Ltd 可動組み付け部材における位置決め構造
KR100666507B1 (ko) * 2006-05-19 2007-01-09 주식회사 한성교구 높이 조절장치
KR101400638B1 (ko) 2012-12-21 2014-05-29 주식회사 휴메딕스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4325A (ko) * 2013-11-12 2015-05-20 (주)케이앤에이 낚시용 발판 받침틀의 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1952A (ja) * 1995-10-31 1997-05-13 Paramount Bed Co Ltd 可動組み付け部材における位置決め構造
KR100666507B1 (ko) * 2006-05-19 2007-01-09 주식회사 한성교구 높이 조절장치
KR101400638B1 (ko) 2012-12-21 2014-05-29 주식회사 휴메딕스 페길레이션된 베튤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4325A (ko) * 2013-11-12 2015-05-20 (주)케이앤에이 낚시용 발판 받침틀의 다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667A (ko) * 2020-03-25 2021-10-06 김두철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2330492B1 (ko) * 2020-03-25 2021-11-26 김두철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557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US7458651B1 (en) Drawer slide with adjustable strike
US7398738B2 (en) Workstation with adjustable height work surface
US9095213B2 (en) Sliding device
US6974041B2 (en) Article stowage system
US20180338605A1 (en) Folding table
WO2008143214A1 (ja) エジェクター装置
CN106388419B (zh) 一种桌边椅
CN2927825Y (zh) 家具支撑腿的升降装置
US2534350A (en) Guide for drawers or shelves
CN213578340U (zh) 一种嵌入式冰箱门板的安装装置
CN200944981Y (zh) 一种滑轨自动关闭装置
CN210643257U (zh) 一种三节美式滑轨组件
KR101405834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TWM312930U (en) Guideway top-pressure opening structure
US7152746B2 (en) Media holding device
CA3077056C (en) Height adjustable table
US6364265B1 (en) Extendable swivel mounting bracket
CN200983975Y (zh) 书桌
KR102378960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KR102511436B1 (ko) 수납기능을 갖는 컴퓨터 모니터용 받침대
KR10169138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CN220754998U (zh) 一种发言话筒
JP3155932B2 (ja) キヤビネットにおける抽斗のロック装置
KR101666857B1 (ko) 조절구멍 없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및 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