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73855A1 - 천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73855A1
WO2014073855A1 PCT/KR2013/010018 KR2013010018W WO2014073855A1 WO 2014073855 A1 WO2014073855 A1 WO 2014073855A1 KR 2013010018 W KR2013010018 W KR 2013010018W WO 2014073855 A1 WO2014073855 A1 WO 20140738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ction
renal failure
acute ren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00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현규
정주영
하혜경
서창섭
김영중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to US14/440,689 priority Critical patent/US9737583B2/en
Publication of WO20140738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738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4Amomum, e.g. round cardam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cute renal failure, or a nutr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baekdu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Acute renal failure is a clinical syndrome that causes a rapid decline in renal function caused by a number of causes, including decreased blood flow, glomerulonephritis, nephrotoxic antibiotics, and anticancer drugs.
  • the acute renal failure is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a decrease in urine volume, hypertension due to the accumulation of nitrogen waste, or an imbalance between body fluid and electrolyte.
  •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 Renal dysfunction in acute renal failure is a high-risk disease with a mortality rate of 50%, which is difficult to recover from when the initial cause is untreated.
  • hypernitemia also called uremia, which occurs in acute renal failure, manifests itself as a sudden loss of kidney function due to damage to the tubules or reduc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Healthy adults should excrete at least 400 ml of urine a day to excrete waste products in the body through the kidneys, and less than 400 ml of urine per day indicates loss of renal function.
  • Renal failure caused by obstructing blood flow to the kidneys nephropathy, which is a problem of the kidney itself
  • kidney failure caused by occlusion of any part of the urinary tract from the tubules to the urethra Can be classified as nephrotic.
  • Symptoms of acute renal failure include decreased blood flow to the kidneys, such as severe dehydration, excessive bleeding, burns, severe vomiting, diarrhea, long-term diuretics, pancreatitis or peritonitis, sepsis, burns, and increased salt excretion to the kidneys. Renal failure can occur, and this condition is called extensor kidney failure.
  • kidney failure disease or renal cytotoxicity may cause changes in the kidneys due to direct damage to the kidney itself, this condition is called renal failure.
  • Diseases of nephrotic kidney failure include glomerulonephritis, renal microangitis, prolonged systemic renal failure, or drug-induced acute renal tubule necrosis, thrombosis, trauma, atherosclerosis, and tumors in the kidneys.
  • acute renal failure may be caused by various causes, but is not necessarily caused by one thing, and renal failure may occur due to the combination of several causes or the interaction of other causes.
  • symptoms of acute renal failure are very diverse, and asymptomatic, the laboratory findings are abnormal, starting from lowered urine, but not necessarily present, but anorexia, nausea and vomiting, resinous tremor, and swelling and hypertension. It can be very serious, causing convulsions, coma, and death.
  • Acute renal failure caused by exogenous cisplatin which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acute renal failure, occurs when renal tubule cells absorb cisplatin.
  • ROS production level is known as a biochemical index deeply related to kidney damage in various pathological conditions, and ROS is known to cause DNA damage that increases the activity of p53. Because of this, elevated ROS generally means the presence of kidney disease.
  • the increase in the content of GSH means a cell protective effect, that is, a protective effect.
  • the contents of ROS and GSH also change in cisplatin-induced acute renal failure, and these changes have been used as basic indicators for determining cisplatin-induced acute renal failure.
  • p53 expression pattern is known to suppress the p53 when the expression increases in cisplatin-induced acute renal failure and there is a therapeutic effect.
  • Cis-diaminedichloroplatinum II which is used to induce acute renal failure, is one of the commonly used anticancer drugs and causes acute renal failure due to structural abnormalities of tubules.
  • Tubular damage caused by cisplatin is known to mainly play free radicals.
  • an increase in lipid peroxidation in the kidney is also involved in renal toxicity caused by cisplatin, and cisplatin itself is known to reduce the kidney content of GSH, which exhibits an antioxidant effect by inhibiting the antioxidant effect in the kidney.
  • Amomi Rotundus Fructus is a fruit of Amomum cadamomum Linne, belonging to the family Zingiberaceae, and is one of the herbs known in Korea.
  • Baekdugu removes moisture from the body and keeps the body warm so that it feels good and stops vomiting. In addition, it promotes fluid secretion, strengthens the movement of the stomach, suppresses intestinal abnormal fermentation, makes the gas go out, improves the taste, eliminates indigestion and food, and is good for symptoms such as stomach pain, burping, vomiting due to chronic gastritis. have. Baekdugu also has the effect of removing alcohol poison, the stomach to remove moisture, dry stomach, digestive action is to help.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37396 discloses a natural essential oi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through aromatherapy comprising Baekdugu,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10-2002-0089081 describes a composition for the control of Helicobacter pylori, which includes a nutmeg.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intensive studies to develop a therapeutic agent for acute renal failure disease, which has fewer side effects as a natural product and can exhibit more excellent effects.
  • a therapeutic agent for acute renal failure disease which has fewer side effects as a natural product and can exhibit more excellent effects.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cute renal failure, comprising a nutmeg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acute renal failure, comprising a baekdu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cute renal failure us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dietary supplement composition comprising a Baekdu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 of a baekdu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in the manufacture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nutr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acute renal failu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cute renal failure, comprising a baekdu (Amomi Rotundus Fructus)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baekdu Amomi Rotundus Fructus
  • the term “white nut” means the fruit of a plant belonging to the genus Ginger (Zingiberaceae), which is referred to by the Latin name “ Amiomi Rotundus Fructus” .
  • the Baekdugu is almost spherical in shape and has a length of 1 cm to 2 cm and a diameter of 5 mm to 10 mm.
  • the outer surface is light yellowish white to yellowish brown with 3 rows of dull ridges and several vertical lines.
  • the upper part is recessed and the lower part has traces of disease.
  • the rind is thin, light and fibrous.
  • the inner part is divided into three columns by thin membrane, each containing 7-10 seeds.
  • Seeds form an irregular polyhedron, the dorsal side of which rises like a bow, about 3 mm to 4 mm in diameter, pale gray to dark brown.
  • the magnolia is seen through a magnifying glass, and the epidermis is covered with a fine, slightly colored mesothelioma.
  • Baekdu-gu Since ancient times, Baekdu-gu has been developed for physiognomy, difficulty, body mass, consumption, droplets, repellent, haejudok, and development. It is known to have the effect of jungcho ( ⁇ ⁇ ⁇ ), dog food ( ⁇ ⁇ ), during the frost, hydration consumption ( ⁇ ⁇ ) and the site of action is known as rain, stomach, lungs, non-toxic and warm.
  • the said leucine is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cute renal failure.
  • Baekdug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or may be used or collected in na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extract refers to a material obtained by separating from a nutmeg, and specifically, conventional extraction solvent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water, C 1-4 alcohol (eg methanol, ethanol). , Butanol, etc.), or a substance obtained by separating using a mixed solvent of alcohol and water.
  • the nutmeg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 1 -C 4 alcohol extract, more preferably an ethanol extract.
  • the baekdugu extract after grinding baekdugu, add 7 L of 70% ethanol to 700 g of the crushed powder and ultrasonically extract three times for 1 hour using an ultrasonic extractor, and then remove the insoluble material by filtration to 60 °C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to prepare a baekdu extract.
  • fraction refers to an active fraction obtained by fractionating a substance having a desired activity in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aforementioned leucine extract using a specific solvent.
  • Solvents used to obtain the leucine fractions include conventional solvents known in the art, such as polar solvents such as water, C 1 -C 4 alcohols (e.g. methanol, ethanol, butanol, etc.), and hexane, ethyl acetate, Nonpolar solvents such as chloroform and dichloromethane or mixed solvents thereof can be used.
  • polar solvents such as water, C 1 -C 4 alcohols (e.g. methanol, ethanol, butanol, etc.), and hexane, ethyl acetate
  • Nonpolar solvents such as chloroform and dichloromethane or mixed solvents thereof can be used.
  • the Baekdudu f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ction obtained by fractionating Baekdugu extract with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or water.
  • Baekdu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ose obtained by further applying the purification process.
  • Fractions obtained through various purification methods additionally carried out by separation by) are also included in the Baekdu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 baekdu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powder form by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 drying or hot air drying.
  • the Baekdu hexane f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spended in distilled water baekdugu ethanol extract, and then hexane is added to the solvent fraction three times, the hexane fractions are obtained by concentrating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hexane fractions Obtained (Example 2-1).
  •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Baekdugu ethyl ace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to the remaining water fraction after fractionation of Baekdugu extract with hexane, ethyl acetate acetate and three times solvent fractionation, the ethyl acetate fractions ar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then frozen. Drying afforded an ethyl acetate fraction (Example 2-2).
  • the Baekdugubutanol f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fractionating Baekdugu extract with hexane and ethyl acetate, followed by three times solvent fractionation by adding butanol to the remaining water fraction, and then obtaining butanol fractio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ing. Drying yielded a butanol fraction (Example 2-3).
  • the Baekdugu water f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fractionated with hexane, ethyl acetate and butanol, and the remaining water fractions wer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to obtain a water fraction (Example 2-4). ).
  • acute renal failure refers to a clinical syndrome that is acute and causes a rapid decrease in renal function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a decrease in renal blood flow, glomerulonephritis, nephrotoxic antibiotics and anticancer agents.
  • Baekdu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uch diseases.
  • Cisplatin is the testicle, head and neck, ovary, cervix and non-small cells. It is a chemotherapeutic agent for malignant tumors including various types of cancer such as kidneys (Pala and Dong, 2008; Wang and Lippard, 2005).
  • kidneys Pala and Dong, 2008; Wang and Lippard, 2005.
  • 25-35% of cancer patients experience a rapid decrease in renal function after a single dose of cisplatin (Luke et al., 1992), and the biggest side effect of the renal function is a sharp decrease in renal function, ie acute renal failure. There is a problem appearing (Ries and Klastersky, 1986).
  •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inhibits or delays acute renal failure by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aforementioned leucine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 treatment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ll the actions that improve or cure the symptoms of acute renal failure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id baekdu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GSH glutathione
  • p53 changes are substances that induce and exacerbate symptoms.
  • the ROS is a biochemical index deeply related to kidney damage in various pathological conditions. Since the increase in ROS means a decrease in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it can be seen that the kidney-related disease exists by confirming the increase of ROS.
  • 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
  • expression of GSH and p53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as a basic indicator for determining acute renal failure caused by an anticancer agent such as cisplatin.
  • the present inventors induced acute renal failure with cisplatin and measured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ROS, GSH, and p53. .
  • the production of RO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ntent of GSH was decreased, and the expression of p53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reated with nothing.
  • the treatment of the baekdu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with cisplatin reduced the production of ROS, increased the content of GSH, and inhibited the expression of p53 to the same or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Baekdugu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cute renal failure.
  • the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when cisplatin was treated to kidney cells, but the cell viability wa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en a treatment with a cisplatin or a fraction thereof was treated with the cisplatin. From this,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Baekdu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fraction thereof effectively protects kidney cells from cytotoxicity caused by cisplatin (FIGS. 2A to 2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cute renal failure by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baekdu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o an individual including a human in need thereof.
  • the term "individual" means all animals, including humans, who have already developed or may develop acute renal failure, and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reated by administering to the individual. There i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in a medical treatment, the effective dose level being the type of subject and its severity, age , Sex, activity of the drug, sensitivity to the drug,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rate of release,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concurrently used 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arts.
  •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individual therapeutic agents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single or multiple administrations. Taking all of the above factors into consideration,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in a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Preferred dosage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0.1 mg / kg / day to 1,000 mg / kg / day.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etc., in addition to the baekdu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 th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gum,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the like, oral formulation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or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 it may be prepared by using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weighting agent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ting agents, and surfactants which are commonly used.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 Such solid preparations may be prepared by mixing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excipient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can also be used.
  • It may be prepared by adding various excipients such as humecta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liquid oral liquids or liquid paraffin for oral us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formul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base of the suppository uto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e.g., intravenously, subcutaneously, intraperitoneally or topically) according to the desired method, and the dosage is based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and the degree of disease. Depending on the drug form,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ime, i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utraceutical (Amomi Rotundus Fructus)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cute renal failure.
  • a nutraceutical (Amomi Rotundus Fructus)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acute renal failure.
  • the baekdu extract, fractions thereof, and acute renal failure are as described above.
  • improvement means any action that at least reduces the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condition being treated, such as the extent of symptom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s such a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ing and neutralizing agents (such as cheese and chocolate),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Others may contain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and fruit juice drinks and vegetable drinks.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any one of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gum, ice cream, soup, beverage, tea, functional water, drink, alcoholic beverage and vitamin complex Can b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further include food additives, and the suitability as a "food additive" is related to the relevant items according to the General Regulations and General Test Act of the Food Additives Code approv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Judging by the standards and standards.
  • Items listed in the "Food Additives Code” include, for example, chemical synthetic products such as ketones, glycine, potassium citrate, nicotinic acid, cinnamon acid, natural additives such as navy, licorice extract, crystalline cellulose, guar gum, L- Mixed preparations, such as a glutamate sodium preparation, a noodles addition alkali preparation, a preservative preparation, and a tar pigment preparation, are mentioned.
  • chemical synthetic products such as ketones, glycine, potassium citrate, nicotinic acid, cinnamon acid, natural additives such as navy, licorice extract, crystalline cellulose, guar gum, L- Mixed preparations, such as a glutamate sodium preparation, a noodles addition alkali preparation, a preservative preparation, and a tar pigment preparation, are mentioned.
  • Extra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ed to foods, including beverage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health functional food can be appropriately added or reduced its content as need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acute renal failure,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nutraceutical composition to a subje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the extract Amomi Rotundus Fructus, or a fraction thereof, in the manufacture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nutr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acute renal failur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cute renal failure and the nutr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acute renal failure are as described above.
  • Baekdugu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the effect of inhibiting ROS production, increasing the GSH content and decreasing the expression of p53 in acute renal failure cell model, can be usefully used as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cute renal failure.
  • Figure 1 is a graph showing the cytotoxicity test results of treatment of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a: Baekdu extract, Figure 1b: Baekdu hexane fraction, Figure 1c: Baekdu ethyl acetate fraction, Fig. 1d: Algae butanol fraction, Fig. 1e: Algae water fraction).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MTT assay of cells treated with cisplatin and / or Baekdu extract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Baekdu extract, Figure 2b: Baekdu hexane fraction, Figure 2c: Baekdugu ethyl acetate Fractions, FIG. 2D: Algae butanol fraction, FIG. 2E: Algae water fraction).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cell viability of the cells treated with the cedar extract and cisplatin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Baekdu extract, Figure 3b: Baekdu hexane fraction, Figure 3c: Leucine ethyl acetate fraction, FIG. 3d: leucine butanol fraction, FIG. 3e: leucine water fraction).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mount of ROS produced as a measure of antioxidant efficacy of the cells treated with cisplatin and / or Baekdu extract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Baekdu extract, FIG. 4b: Baekdu hexane fraction, Fig. 4c: ethyl acetate fraction, Fig. 4d: ethyl butanol fraction, and Fig. 4e: water fraction).
  • Figure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GSH content showing the cytoprotective effect on the cell damage of cells treated with cisplatin and / or Baekdu extract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a Baekdugu extract
  • Fig. 5b Baekdu hexane fraction
  • FIG. 5c Baekdu ethyl acetate fraction
  • FIG. 5d Baekdu butanol fraction
  • FIG. 5e Baekdu water fraction
  • FIG. 6 is an electrophoresis result (A) showing a result of measuring p53 expression, which is an indicator of cell death, of a cell treated with cisplatin and / or leucine extract according to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graph (B) showing the numerical value thereof.
  • 300 g of a crushed crushed powder was purchased and commercially extracted 300 g of 70% ethanol was extracted three times for 1 hour using an ultrasonic extractor.
  • the extract was filtered using Whatman (46 cm ⁇ 57 cm) filter paper to remove insoluble materials,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60 ° C. using a condenser equipped with a cooling condenser.
  • 100 mL of purified water was added and suspended to obtain 14.60 g of an extract using a lyophilizer (yield: 4.87%).
  •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 the renal tubular cells Porcine renal epithelial cells
  • the Baekdugu extract prepared by the method of Example 1 or fractions thereof were prepared in 10, 20, 50, 100, Treatment was performed at a concentration of 200 ⁇ g / ml (treatment concentration: 20, 40, 100, 200, 400 ⁇ g / ml).
  • the drug treatment volume was 50 ⁇ l, and the final PBS concentration: 1% (treatment concentration: 2%) and stock: 20 mg / mL (in PBS: 100 mg / mL dilution) after 24 hours of incubation at 450 nm
  • the measurement was calculated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wells was used.
  • the measur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experiments for 24 hours for each concentrat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kidney cells were dispensed into 96 well plates at 1 ⁇ 10 4 cells per well. After 24 hours, diluted to three final concentrations (50, 100, 200 ⁇ g / mL), each prepared at 50 ⁇ g. After 2 hours, cisplatin was treated to a final concentration of 25 ⁇ g / mL, followed by 24 hours.
  • the assay reagent of the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 was carefully added to 10 ⁇ l of each well to prevent foaming using Micro multi Pippet, and reacted for 4 hours under basic culture conditions,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 nm.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 ⁇ 0.005.
  • the cell activity of the control group was shown to be 100% or more when the treatment of the Albino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alone,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activate the cells.
  • cisplatin alone showed less than about 40% of cell activity, indicating that the cytotoxicity was remarkable, and when treated with the baekdu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the same and similar to the control group and baekdu extract alone, the same excellent cells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ivity was shown.
  • ROS produc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potency in kidney cells for the leucine extract and fractions thereof.
  • renal tubule cells were dispensed into 96 well black plates at 1 ⁇ 10 5 cells per well. After incubation for 24 hours, 100 ⁇ g of the baekdu extract was pretreated, and 2 hours after the treatment, cisplatin was treated to a final concentration of 25 ⁇ g / ml and then incubated for 24 hours.
  • the Baekdu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significantly lowered the amount of cisplatin-induced ROS when treated with an agent that induces kidney toxicity such as cisplatin, thereby effectively inhibiting kidney toxicity.
  • GSH levels are known as an indicator for evaluating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drugs against cell damage
  • GSH levels were measured to confirm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the leucine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against cisplatin.
  • GSH levels were measured by monochlorobimane employing a method, and GSH content measurement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reference to what was conventionally performed by Fernandez-Checa and Kaplowitz using renal tissue. Historical data and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us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GSH detectable cells and to divide them into 2 ⁇ 10 6 cells per well in a culture dish.
  • the target drug determined as an effective drug wa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lution ratio of the final concentration, diluted and pretreated, and the final concentration of cisplatin was 25 ⁇ g / ml after 2 hours of drug treatment. After the addition was incubated for 24 hours. After harvesting the cells using 0.25% Trypsin-EDTA, centrifuge at 1,200 rpm for 3 minutes, add cold buffer to the precipitated cells, sonicate for 30 seconds, centrifuge at 10,000 rpm for 15 minutes, and then The solution was collected and protein quantified using BCA.
  • the GSH content was decreased when cisplatin alone was treated, but when treated with the leucine extract or its fraction, the GSH content was restored to the same level as the normal control or increased to the higher GHS content. I could confirm i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Baekdugu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effectively recovered the cell damage caused by cisplatin and had an excellent cell protection effect.
  • Measurement result is Mean ⁇ S.E.M. (standard error of mean) is shown in FIG.
  •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data was carried out using a Microsoft Excel program, followed by a Bonferroni multiple comparison test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 ⁇ 0.001, compared with cisplatin *; p ⁇ 0.00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성신부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급성신부전(acute renal failure)은 신혈류량의 감소, 사구체신염, 신독성 항생제 및 항암제의 사용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급속한 신기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임상증후군을 말한다. 상기 급성신부전은 사구체여과율(GFR)의 저하, 소변량의 감소, 질소 노폐물의 축적에 의한 고질소혈증 또는 체액과 전해질의 불균형 등을 수반한다. 급성신부전에서의 신기능 장애는 초기 원인 제거에 의한 치료에 실패할 경우 회복이 어려워 사망률이 50%에 이르는 고위험군의 질병이다.
특히, 급성신부전에서 나타나는 요독증이라도 불리는, 고질소혈증은 세뇨관이 손상되거나 사구체 여과율(GFR)이 감소됨으로써 신장 기능이 갑작스럽게 상실되면서 나타나게 된다. 건강한 성인은 콩팥을 통해서 체내에 있는 노폐물을 배설시키기 위하여 하루에 최저 약 400 ㎖의 소변을 배설해야 하며, 하루 400 ㎖ 이하의 소변량은 신기능의 상실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급성신부전의 원인은 콩팥을 기준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콩팥으로 가는 혈류가 방해되어 생기는 신부전 신전성, 콩팥 자체의 문제인 신성, 그리고 세뇨관에서 요도까지의 요로의 어느 부위가 폐색되어 생기는 신부전 신후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급성신부전의 증상으로는 심한 탈수, 과다출혈, 화상, 심한 구토, 설사, 장기적인 이뇨제 복용, 췌장염이나 복막염, 패혈증, 화상, 콩팥으로 가는 염분배설이 증가되었을 때 등과 같이, 콩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되어 신부전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를 신전성 신부전이라고 일컫는다. 또한 질병이나 신세포 독성물질로 인해 신장 자체의 직접적인 손상으로 인한 콩팥 실질에 변화가 올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는 신성 신부전증이라고 한다. 신성 신부전증에 해당되는 질병은 사구체 신염, 신장 미세혈관염, 장기간 지속된 전신성 신부전, 또는 약물에 의한 급성 신세뇨관 괴사, 혈전증, 외상, 죽상경화증, 그리고 콩팥내의 종양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성신부전은 여러 원인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반드시 한 가지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원인들의 복합 작용 또는 다른 원인들의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신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급성신부전의 증상은 매우 다양한데 무증상으로써 검사실 소견만 비정상적인 경우에서, 요량 저하로부터 시작되어 반드시 존재하는 것은 아니나 식욕부진, 오심 및 구토, 수지진전, 그리고 부종과 고혈압으로 진행되고 더욱 심해지면 호흡곤란, 경련, 혼수 등을 일으키고 결국 사망을 초래하는 아주 심각한 경우에 이를 수도 있다.
시스플라틴에 의한 급성신부전의 정확한 병리 생리는 아직까지 완전히 이해되고 있지 않지만 환경적인 소인과 함께 항암치료에서의 기전이 관여한다고 보고 되고 있다. 급성신부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인성 시스플라틴에 의한 급성신부전은 신장 요세관 세포가 시스플라틴을 흡수하면서 발생된다.
최근에 천연물의 급성신부전에 대한 효능을 확인하는 것은 ROS (Reactive Oxygen Species), GSH (Glutathione) 및 p53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El-Sayed el-SM et al. 2008, Takako Yokozawa, et al 2000). 특히 급성신부전의 중증도 평가에서는 증상의 유도 및 증상을 악화시키는 물질인 ROS, GSH 및 p53의 수치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중 ROS 생성 수치는 다양한 병리학 상태에서의 신장손상과 관련이 깊은 생화학적 지표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ROS는 p53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DNA 손상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ROS의 상승은 일반적으로 신장질환의 존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GSH의 함량 증가는 세포 보호 효과, 즉 방어효과를 의미한다. 시스플라틴 유발 급성신부전 시에도 상기 ROS, GSH의 함량이 변화하며, 이들의 변화가 시스플라틴 유발 급성신부전을 판단하는 기본적인 지표로 이용되어 왔다.
한편, p53 발현 양상을 보면 시스플라틴으로 유발된 급성신부전에서는 발현이 증가하고 급성신부전에 치료 효과가 있을 경우 상기 p53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신부전의 유도에 사용되는 시스플라틴(cis-diaminedichloroplatinum Ⅱ)은 흔히 사용되는 항암제 중 하나로, 세뇨관의 구조적 이상에 의한 급성신부전을 유발한다. 시스플라틴에 의한 세뇨관 손상은 주로 자유 라디칼이 주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신장 내 지질 과산화의 증가 역시 시스플라틴에 의한 신장 독성에 관여하며, 시스플라틴 자체가 신장 내 항산화효과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GSH의 신장 내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백두구(Amomi Rotundus Fructus)는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Amomum cadamomum Linne의 열매로 한방에서 알려진 약재 중 하나로서, 소화기계 질환에 자주 쓰는 약재이다. 백두구는 몸안의 습을 없애고 몸을 따뜻하게 하여 기를 잘 통하게 하고 구토를 멈추게 한다. 또한, 액분비를 촉진하고 위장의 운동을 강화하여 장내 이상발효를 억제하고 가스를 잘 나가게 하여 입맛을 돋구고 소화불량, 식적을 없애며, 만성위염으로 인한 위통이나 트림, 구토 등의 증상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백두구에는 술독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으며, 비위에 습기를 제거하고 건위, 소화 작용을 돕는 작용이 있다. 또한, 복부창만과 음식 생각이 없을 때에도 효력을 보이고, 위장이 차서 일어나는 구토, 복통, 임신 구토, 딸꾹질 등에도 효력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종래에 백두구의 효능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37396호는 백두구를 포함하는 향기요법을 통한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천연 정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89081호는 백두구를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구제용 조성물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 어디에도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신장 독성, 특히 급성신부전에 대한 효과를 기재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서 부작용이 적고,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급성신부전 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급성신부전 세포 모델에서 ROS 생성 억제 효과, GSH 함량 증가 효과 및 p53의 발현 감소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급성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급성신부전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급성신부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두구(Amomi Rotundus Fructu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백두구"는 라틴명 "Amomi Rotundus Fructus"로 지칭되는 생강과(生薑科:Zingiberaceae)에 속한 식물의 열매를 의미한다. 상기 백두구는 거의 원구형을 이루고 있으며, 길이는 1 cm 내지 2 cm, 지름은 5 mm 내지 10 mm이다. 바깥면은 엷은 황백색~황갈색이고 3줄의 둔한 능과 여러 개의 세로줄이 있으며 위쪽은 움푹 들어갔고 아래쪽은 과병이 붙었던 흔적이 있다. 과피는 얇고 가벼우며 섬유성이다. 안쪽은 얇은 막에 의해 세로로 3실로 나누어졌고 각 실 중에는 7-10개의 씨가 들어 있다. 씨는 불규칙한 다면체를 이루고 있으며 그 등쪽은 활과 같은 모양으로 솟아 나왔고 지름 약 3 mm 내지 4mm이며 엷은 회갈색 내지 어두운 갈색이다. 백두구를 확대경으로 보면 종피에는 잔주름이 있고 색이 약간 있는 막상의 가종피로 덮혀 있다. 예로부터 백두구는 관격(寬膈), 난위(暖胃), 산체(散滯), 소비(消), 소적(消積), 보폐기(補肺氣), 해주독(解酒毒), 개발중초(開發中焦), 개위소식(開胃消食), 행기온중, 화습소비(化濕消)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었으며 작용부위는 비, 위, 폐로서, 성미가 무독하며 온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백두구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백두구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추출물"이란 백두구로부터 분리하여 얻은 물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용매, 예를 들어 물, C1-4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 또는 상기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등을 사용하여 분리하여 얻은 물질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백두구 추출물은 C1-C4 알코올 추출물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백두구 추출물은 백두구를 분쇄한 후, 분쇄물 700 g에 70% 에탄올 7 L를 가하고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3회 초음파 추출한 후,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백두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분획물"이란 특정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백두구 추출물로부터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분획하여 얻은 활성 분획물(fraction)을 의미한다.
백두구 분획물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매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분획 용매, 예를 들어 물, C1-C4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 등의 극성용매 및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백두구 분획물은 백두구 추출물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또는 물로 분획한 분획물이다.
본 발명의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으로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열풍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백두구 헥산 분획물은 백두구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다음, 헥산을 가하고 3회 용매 분획한 후, 헥산 분획물을 수득하여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헥산 분획물을 수득하였다(실시예 2-1).
구체적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백두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백두구 추출물을 헥산으로 분획한 후 남은 물 분획물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고 3회 용매 분획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여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였다(실시예 2-2).
구체적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백두구 부탄올 분획물은 백두구 추출물을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한 후 남은 물 분획물에 부탄올을 가하여 3회 용매 분획한 후, 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여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였다(실시예 2-3).
구체적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백두구 물 분획물은 백두구 추출물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분획한 후 남은 물 분획물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물 분획물을 수득하였다(실시예 2-4).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급성신부전"은 급성이고 신 혈류량의 감소, 사구체신염, 신독성 항생제 및 항암제의 사용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급속한 신기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임상증후군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이러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시스플라틴은 고환, 두경부, 난소, 자궁경부, 비소세포. 신장 등의 다양한 유형의 암을 포함한 악성 종양의 화학요법 제제이다(Pala and Dong, 2008; Wang and Lippard, 2005). 그러나, 암 환자의 25~35%는 시스플라틴의 1회 투여 후 급격한 신장 기능의 저하를 경험하며(Luke et al., 1992), 상기 신장기능의 가장 큰 부작용으로 신장 기능의 급격한 저하, 즉 급성신부전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Ries and Klastersky, 1986).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상기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급성신부전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상기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급성신부전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급성신부전의 중증도 평가에는 증상의 유도 및 증상을 악화시키는 물질인 "ROS (Reactive Oxygen Species), GSH (Glutathione) 및 p53 변화"의 수치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ROS는 다양한 병리학 상태에서의 신장 손상과 관련이 깊은 생화학적 지표로서, ROS의 상승이 사구체 여과율(GFR)의 감소를 의미하기 때문에 ROS의 증가 확인으로 신장 관련 질환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GSH, p53의 발현은 종래에 시스플라틴과 같은 항암제로 유발된 급성신부전을 판단하는 기본적인 지표로 이용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구체적인 일 실험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급성신부전에 대한 예방 치료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시스플라틴으로 급성신부전을 유도하고 상기 ROS, GSH 및 p53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신장 손상을 유발하는 시스플라틴을 처리한 경우, ROS의 생성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GSH의 함량은 감소하였고, p53의 발현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때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시스플라틴과 함께 처리하면 대조군과 동일하거나 또는 보다 우수한 정도로 ROS의 생성은 감소시키고, GSH의 함량은 증가시켰으며, p53의 발현은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체적인 다른 실험예에서, 시스플라틴을 신장 세포에 처리시, 세포 생존율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상기 시스플라틴과 함께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시스플라틴에 의한 세포 독성으로부터 신장 세포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a 내지 도 2e).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인간을 포함하는 개체에게 투여하여 급성신부전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급성신부전이 이미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0.1 mg/kg/day 내지 1,000 mg/kg/day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백두구(Amomi Rotundus Fructu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백두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급성신부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은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롤로오스,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음료를 포함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급성신부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백두구(Amomi Rotundus Fructu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급성신부전 세포 모델에서 ROS 생성 억제 효과, GSH 함량 증가 효과 및 p53의 발현 감소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급성신부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처리한 세포 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도 1a: 백두구 추출물, 도 1b: 백두구 헥산 분획물, 도 1c: 백두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도 1d: 백두구 부탄올 분획물, 도 1e: 백두구 물 분획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시스플라틴 및/또는 백두구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MTT assay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도 2: 백두구 추출물, 도 2b: 백두구 헥산 분획물, 도 2c: 백두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도 2d: 백두구 부탄올 분획물, 도 2e: 백두구 물 분획물).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백두구 추출물과 시스플라틴을 처리한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도 3a: 백두구 추출물, 도 3b: 백두구 헥산 분획물, 도 3c: 백두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도 3d: 백두구 부탄올 분획물, 도 3e: 백두구 물 분획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시스플라틴 및/또는 백두구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항산화 효능 측정 지표인 ROS 생성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도 4a: 백두구 추출물, 도 4b: 백두구 헥산 분획물, 도 4c: 백두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도 4d: 백두구 부탄올 분획물, 도 4e: 백두구 물 분획물).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시스플라틴 및/또는 백두구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세포손상에 대한 세포 보호 효능을 나타내는 GSH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도 5a: 백두구 추출물, 도 5b: 백두구 헥산 분획물, 도 5c: 백두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도 5d: 백두구 부탄올 분획물, 도 5e: 백두구 물 분획물).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시스플라틴 및/또는 백두구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세포사 측정 지표인 p53 발현 양상 측정 결과를 나타낸 전기영동 결과(A) 및 이를 수치화한 그래프(B)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백두구 추출물의 제조
시판되는 백두구를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70% 에탄올 3 L를 넣어 초음파추출기를 이용하여 1시간동안 3회 초음파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와트만(Whatman, 46 cm × 57 cm)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불용성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장착된 농축 장치로 6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 농축된 추출물의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정제수 100 mL을 넣어 현탁시킨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14.60 g의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4.87%).
실시 예 2: 백두구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
2-1. 백두구 헥산 분획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백두구 추출물 중 14 g을 0.4 L의 증류수에 현탁시킨 다음, 헥산 0.4 L를 넣어 용매분획을 3회 실시하였다. 헥산 분획물을 수득하여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헥산 분획물 1.54 g을 수득하였다(수율: 10.97%).
2-2. 백두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제조
상기 실시예 2-1의 헥산 분획 후 남은 물 분획물에 에틸아세테이트 0.4 L를 넣어 용매분획을 3회 실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여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0.99 g을 수득하였다(수율: 7.08%).
2-3. 백두구 부탄올 분획물 제조
상기 실시예 2-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후 남은 물 분획물에 부탄올 0.4 L를 넣어 용매분획을 3회 실시하였다. 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여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부탄올 분획물 0.93 g을 수득하였다(수율: 6.65%).
2-4. 백두구 물 분획물 제조
상기 실시예 2-3의 부탄올 분획 후 남은 물 분획물을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물 분획물 7.3 g을 수득하였다(수율: 52.14%).
실험예 1: 세포독성 실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백두구 추출물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분획물들의 세포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신장 요세관세포(Porcine renal epithelial cell)를 96 웰 플레이트에 웰당 1×104 cells로 분주한 후,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들을 10, 20, 50, 100, 200 ㎍/㎖(처리농도: 20, 40, 100, 200, 400 ㎍/㎖) 농도로 처리하였다. 약물 처리용량은 50 ㎕으로 하였으며 24시간 배양 후 최종 PBS농도: 1%(처리농도: 2%), Stock: 20 ㎎/㎖(in PBS : 100 ㎎/㎖ dilution)으로 최종 처리 후 흡광도 450 nm에서 측정하여 계산하였고 웰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측정한 결과의 값은 농도별 24시간 실험결과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a 내지 1e에 나타나듯이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약물 자체에 대한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in vitro 급성신부전 효능 실험
<1> MTT assay
백두구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에 대한 신장 세포에서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MTT assay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신장 요세관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웰당 1×104 cells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24시간 후 세 가지 최종농도(50, 100, 200 ㎍/㎖)에 맞추어 희석하여 준비한 것을 각각 50 ㎍의 용량으로 처리하고 처리 2시간 후 시스플라틴을 최종농도 25 ㎍/㎖가 되게 처리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의 분석 시약을 Micro multi Pippet을 이용해 거품이 생기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각 웰당 10 ㎕씩 첨가하고 기본 배양조건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통계학적인 유의수준은 p<0.005로 하였다.
그 결과, 도 2a 내지 2e에 나타나듯이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 100%에 대하여 시스플라틴 처리로 현저하게 감소한 세포생존율을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께 처리함으로써 다시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e에 나타나듯이, 대조군의 세포 활성도 100%에 대하여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단독 처리시 100% 이상으로 나타나,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시스플라틴 단독 처리시 약 40% 미만의 세포 활성도를 나타내어 세포 독성이 현저함을 알 수 있었고 이때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과 함께 처리한 경우 대조군 및 백두구 추출물 단독 처리군과 동일, 유사한 정도의 우수한 세포 활성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ROS 생성량 측정
백두구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에 대한 신장 세포에서의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ROS 생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신장 요세관세포를 96 웰 블랙 플레이트에 웰당 1×105 cells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 후 백두구 추출물 100㎍을 전 처리하고 처리 2시간 후 시스플라틴을 최종농도 25 ㎍/㎖가 되게 처리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istorical Data와 예비실험을 통해 결정된 DCF-DA의 처리 농도와 반응시간에 따라 암실에서 PBS에 용해시킨 DCF-DA를 처리하고 기본 배양조건에서 5시간동안 반응시킨 시점부터 0, 4, 8, 12, 16, 20, 24 시간별 Ex: 485 nm, Em: 528 nm에서 S=50에서의 end point 형광파장을 읽었다.
그 결과, 도 4a 내지 4e에 나타나듯이 대조군의 ROS 생성율 100%에 대하여 시스플라틴은 단독 처리시 24시간 후 약 170% 이상의 ROS 발생율을 나타내어 신장세포 독성이 현저함을 알 수 있었고, 이때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과 시스플라틴을 함께 처리하면, 백두구 추출물 단독 처리군과 동일하거나 더 우수한 정도로 ROS 생성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시스플라틴과 같이 신장 독성을 유발하는 제제와 함께 처리시 시스플라틴으로 유발된 ROS 발생량을 현저하게 낮추어 신장 독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GSH 함량 측정
GSH 수치는 세포손상에 대한 약물의 세포 보호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시스플라틴에 대한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세포 보호 효능을 확인하고자 GSH 수치를 측정하였다. GSH 수치는 monochlorobimane employing a method로 측정하였으며 종래에 신장 조직을 사용하여 Fernandez-Checa and Kaplowitz에 의해 실행되어 오던 것을 참조로 GSH 함량 측정실험을 수행하였다. Historical Data와 예비실험을 통해 GSH 탐지가 가능한 수준의 세포 수를 결정하여 배양접시에 웰당 2×106 cells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 후 MTT Assay와 크리스탈 바이올렛 Assay 결과를 바탕으로 유효약물로 판단한 대상 약물을 최종농도의 희석배율을 고려하여 계산한 뒤 희석하여 전처리하고 약물 처리 2시간 후 시스플라틴을 최종농도 25 ㎍/㎖가 되게 추가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0.25% Trypsin-EDTA를 이용하여 세포를 수확 한 후 1,200 rpm에서 3분 동안 원심분리 침전시킨 세포에 차가운 완충액을 넣고 30초 동안 음파처리(sonication)하고 10,0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모아 BCA를 이용한 단백질 정량을 실시하였다. 상층액에 D.W에 희석한 MPA 1 g/㎖를 용량대비 4:1의 비율로 첨가하여 즉시 Vortexing하고 10,000 rpm에서 15분 동안 재원심분리하여 탈단백(deprotenized)된 상층액을 모아 GSH assay용 샘플로 준비하고 나머지는 -20℃에서 보관하였다. 측정하는 방법으로 먼저 신장 요세관세포를 96 웰 블랙 플레이트에 GSH Standard (L-Glutathione reduced, Sigma-Aldrich)를 D.W에 0, 0.2, 0.4, 0.8, 1.2, 1.6, 2.0 ㎍/㎖이 되도록 희석하여 2번 이상 반복하여 20 ㎕씩 분주하고, 동량의 샘플도 2번 이상 반복 분주한 뒤 각 웰에 180 ㎕의 완충액을 넣어주었다. 무수 메탄올에 1 ㎎/㎖ 비율로 희석한 OPA (Phthaldialdehyde, Sigma-Aldrich)를 각 웰에 10 ㎕씩 첨가하여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Ex: 360 nm, Em: 460 nm에서 end point로 S=70에서 형광파장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자료의 통계처리는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ata Analysis 실시하고 각 군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Bonferroni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하여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인 유의수준은 p<0.001로 하였다.
그 결과, 도 5a 내지 5e에 나타나듯이 시스플라틴 단독 처리시 GSH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과 함께 처리할 경우, 정상 대조군과 동등한 수준으로 회복되거나 또는 보다 높은 수준의 GHS 함량으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백두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시스플라틴에 의한 세포 손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며 우수한 세포 보호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4> p53 발현양상 확인
백두구 추출물 및/또는 시스플라틴을 처치한 세포들을 수확하여 RIPA 버퍼를 첨가하여 음파처리로 용해 후 15,0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BCA assay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웰 당 단백질 양이 20 ㎍/10 ㎕이 되도록 로딩하여 12% SDS-PAGE 폴리아릴아마이드겔로 전기영동 시행한 뒤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으로 옮겼다. 멤브레인을 5% Skim milk-TBST로 고정 후 1차 항체(anti-p53 /dilution - 1:300) 처리, HRP conjugated anti-mouse IgG (dilution - 1:5000)로 p53을 탐지하고 ECL을 이용해 면역반응성을 시각화하였다. 측정 결과를 Mean±S.E.M. (standard error of mean)로 도 6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자료의 통계처리는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ata Analysis 실시하고 각 군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Bonferroni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하여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인 유의수준은 p<0.001로 하였으며, 시스플라틴과 비교하여 *; p<0.001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플라틴 단독 처리시 현저하게 증가한 p53의 발현량이, 백두구 추출물과 함께 처리할 경우, 정상 대조군 보다 낮은 p53 발현량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백두구(Amomi Rotundus Fructu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성신부전은 항암제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시스플라틴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두구 추출물은 백두구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두구 추출물은 백두구를 에탄올로 추출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두구 추출물의 분획물은 상기 백두구 추출물을 헥산, 에틸아테테이트, 부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분획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백두구(Amomi Rotundus Fructu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성신부전은 항암제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시스플라틴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두구 추출물은 백두구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두구 추출물은 백두구를 에탄올로 추출한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두구 추출물의 분획물은 상기 백두구 추출물을 헥산, 에틸아테테이트, 부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분획한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4.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개선 방법.
  15. 급성신부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백두구(Amomi Rotundus Fructu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용도.
PCT/KR2013/010018 2012-11-08 2013-11-06 천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7385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40,689 US9737583B2 (en) 2012-11-08 2013-11-06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cute renal failure including herbal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355A KR101326870B1 (ko) 2012-11-08 2012-11-08 천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2-0126355 2012-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73855A1 true WO2014073855A1 (ko) 2014-05-15

Family

ID=4985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0018 WO2014073855A1 (ko) 2012-11-08 2013-11-06 천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37583B2 (ko)
KR (1) KR101326870B1 (ko)
WO (1) WO201407385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3208A (zh) * 2015-10-20 2016-01-13 司庆琳 一种治疗心力衰竭的中药制剂
CN107582960A (zh) * 2017-11-09 2018-01-16 兰志英 一种治疗肾功能衰竭的药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056B1 (ko) 2016-05-20 2018-04-0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항 콕사키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백두구 추출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7190A (ja) * 1995-09-22 1997-03-31 Kanebo Ltd 腎機能障害改善剤
KR20020015906A (ko) * 2000-08-23 2002-03-02 신민규 잎새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학요법 항암제시스플라틴의 부작용 억제제
KR100646574B1 (ko) * 2005-11-30 2006-11-23 황재관 항암제로 유발되는 독성의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제조성물
KR20120111765A (ko) * 2011-03-28 2012-10-11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081A (ko) 2001-05-23 2002-11-29 한영채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구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7396A (ko) 2002-10-28 2004-05-07 동국제향주식회사 향기요법을 통한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천연 정유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053641B (zh) * 2007-05-18 2011-04-13 宋兆普 保元健肾贴脐膏
KR100994250B1 (ko) * 2008-07-08 2010-11-12 송완식 양파 음료 조성물
KR20100092570A (ko) * 2009-02-13 2010-08-2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제니스테인을 포함하는 염증성 신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7190A (ja) * 1995-09-22 1997-03-31 Kanebo Ltd 腎機能障害改善剤
KR20020015906A (ko) * 2000-08-23 2002-03-02 신민규 잎새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학요법 항암제시스플라틴의 부작용 억제제
KR100646574B1 (ko) * 2005-11-30 2006-11-23 황재관 항암제로 유발되는 독성의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제조성물
KR20120111765A (ko) * 2011-03-28 2012-10-11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WANG, J.-T.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compounds from Amomum cardamomum LINNE", INTERNATIONAL SYMPOSIUM AND KIPS, FALL CONFERENCE, CONFERENCE PRESENTATION, vol. PB-14, 2010, pages 15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3208A (zh) * 2015-10-20 2016-01-13 司庆琳 一种治疗心力衰竭的中药制剂
CN107582960A (zh) * 2017-11-09 2018-01-16 兰志英 一种治疗肾功能衰竭的药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35699A1 (en) 2015-11-26
KR101326870B1 (ko) 2013-11-13
US9737583B2 (en)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50516A1 (ko) 담팔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WO2020013582A1 (ko) 우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17659A1 (ko) 청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190105365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colitis, containing complex extracts
WO2016153211A2 (ko) 감귤류 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간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73855A1 (ko) 천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86349A2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27101B1 (ko) 산겨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살리드로사이드를포함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141581A1 (ko)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WO2015174636A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0091265A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7082479A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40037316A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론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WO2023003204A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445966B1 (ko)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WO2022124803A1 (ko)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80157A1 (ko) 천선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111429A1 (ko) 들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조성물
WO2018190638A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2921A (ko) 위염 또는 소화성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0122373A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73854A1 (ko)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70872A (ko) 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048504A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또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531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40689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531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