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41581A1 -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 Google Patents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41581A1
WO2013141581A1 PCT/KR2013/002257 KR2013002257W WO2013141581A1 WO 2013141581 A1 WO2013141581 A1 WO 2013141581A1 KR 2013002257 W KR2013002257 W KR 2013002257W WO 2013141581 A1 WO2013141581 A1 WO 20131415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ischemic cerebrovascular
cerebrovascular disease
present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22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성훈
김원기
이재철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CN201380025820.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302302B/zh
Priority to US14/386,221 priority patent/US10201578B2/en
Publication of WO20131415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415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9Menispermaceae (Moonseed family), e.g. hyperbaena or coralb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health foo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which contains the powder of the Taraxacum fruit.
  • vascular disease is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for people age 65 and older, and second place for cancer after cancer for people aged 45 to 64.
  • death due to vascular disease continues to increase with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Korea is cancer in the first place, cerebrovascular disease in the second place, and heart place in the third place.
  • Diseases of the blood circulation system occupy the second and third place of death. Compared to the situation, it is increasing by seven times.
  • Strokes are commonly known as strokes, and the blood vessels that supply blood to the brain are blocked or burst, causing damage to the brain, resulting in sudden loss of consciousness, paraplegia, or speech impairment.
  • Stroke is largely divided into ischemic stroke and hemorrhagic stroke.
  • Ischemic stroke is caused by the ischemic state of the brain tissue due to the reduction or blocking of blood supply to the brain tissue
  • hemorrhagic stroke is caused by bleeding into the brain tissue due to the bursting of blood vessels.
  • cerebral hemorrhage is caused by the bursting of the cerebral vessels, as opposed to cerebral infarction, which is caused by blockage of the cerebrovascular vessels.
  • Subarachnoid hemorrhage due to rupture of the cerebral aneurysm caused by deformation.
  • cerebral infarction is divided into cerebrothrombosis (blood clots are formed in the blood vessels to block blood vessels) and cerebral embolism (blood clots due to blood clots or blood clots caused by abnormal blood clots in the blood vessels of the head to block blood vessels).
  • Stroke can occur anywhere in the brain, and can impede almost every function of the body.
  • the brain injury that occurs is determined by the degree and location of the injury.In case of severe brain injury caused by stroke, it impairs high-level functions such as movement, sensory function and memory, learning, arithmetic and reasoning, and stroke, intelligence weakness.
  • Ischemic brain injury is dependent on blood circulation, which leads to complete stroke from transient cerebral ischemia when various pathological abnormalities occur in blood vessels that supply blood to the brain, resulting in impairment of normal cerebral blood flow (50 ml / gram / minute). It has been reported to develop and die rapidly due to complete stroke. Ischemic stroke occurs suddenly, is accompanied by neurological abnormalities, and progresses rapidly in a short time, so that complete cure cannot be achieved by embolization, which is an emergency treatment, and even if it does not lead to death, side effects and sequelae are caused. In addition, preven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causes economic losses.
  • Ischemic stroke can be divided into primary prevention focused on eliminating risk factors that cause changes in blood flow such as elevated serum cholesterol, high blood pressure, and heart disease, and secondary prevention, which prevents worsening after the onset of disease.
  • Preventive food-related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primarily on reducing risks caused by certain risk factors.
  • the brain ischemia caused by a decrease in blood supply to the brain excessive inflow of Ca ions due to the opening of calcium ion channels by glutamate causes excitotoxicity due to overexcitement, Enzyme groups in neurons are destroyed by oxygen radicals induced during reperfusion, and there is a lack of target-specific studies on the mechanism of damage of neurons (Hagberg H et. al., Neurosci Lett. 78: 311-317, 1987).
  • Inflammatory reactions occur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which has been reported to be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neurodegeneration. Inflammatory responses after cerebral ischemia are expected to be the target of new cerebral ischemia treatments. It is thought to consist of drugs that inhibit enzymes or inhibit the deposition of neutrophils (Dirnagl, U. et al; TINS., 22, pp391-397, 1999).
  • Heewette et al. Have found that activated glioblastoma cells can affect neuronal death (Hewett, SJ et al: Neuron, 13: 487-494 1994; Hewett, SJ et al, Stroke, 27: 1586-15911996).
  • Activated glial cells increase the production of cytokines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alpha, interleukin, etc., which can cause cytotoxicity, thereby increasing toxicity to neurons and glial cells.
  • cytokines inflammatory cytokines
  • Inflammatory substances secreted from macrophage (macrophage) and neuroglia (microglia), neuronal cell death caused by encephalopathy cells are important.
  • the regulation and activation of neuroglial cells is a key target for stroke prevention, control and treatment development to be.
  • the locust tree (Lonicera caerulea L. var.edulis) is a dicotyledonous plant of the locust tree, which is a deciduous shrub reaching 1.5m in height, with many branched branches, shield-shaped bracts on the branches of small branches, and the inner part of the tree trunk. Is white. Leaves are opposite, basal or oval, blunt or sharp at both ends, not sawtoothed, with short hairs on edges and surfaces, with villi on the back. Flowers usually have short peduncles, hang on the axils, and the bees are funnel-like, pale yellowish white, blooming in summer.
  • Calyx is divided into 5 like crabs, corolla is yellowish white, cylindrical bell-shaped, and 1.2 ⁇ 1.5cm long, with a little hair.
  • the stamen is shorter than the pistil and has no hairs.
  • the lobules are merged into two, the fruit is oval or almost circular, ripened in purple and covered with white powder in July-August. It is a cold plant found in Siberia, Sakhalin, northern China, Cambodia, and North Korea.
  • Korean Patent No. 10-0699790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isease, including an extract of Taraxacum radix extract, and for preventing diseases such as hepatitis, cirrhosis or fatty liver and The therapeutic effect is described, and Korean Patent No. 10-0454150 comprises one herb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unho color, acid habak, dang vine, etc., containing 0.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poallergenic cosmetic composition, which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fewer side effects such as skin rash and skin allergy, thereby preventing itching and the like.
  • an extract of Damascus fruit was used for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earching for a material that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schemic brain disease, the extract of Damascus fruit exhibits the effect of inhibiting neurobehavioral defects and reducing cerebral infarct volume, thereby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brain disease.
  •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be used as an effective ingredient o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lth food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containing a rice berry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tecting nerve cells from oxidative stress,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individual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powder of the oleander fruit.
  • Taraxacum berry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tural plant extract with fewer side effects and has a neuroprotective effect in the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experimental animal model to suppress neurobehavioral defects and reduce the volume of cerebral infarction, the composition containing it as an active ingredient Has excellent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scores of neurobehavioral tests performed 24 hours after ischemia by closing the bottom of the rat middle cerebral artery for 90 minutes.
  • saline is the control group and SH-1013 is the extract of the barberry fruit of the present invention.
  • 0 is normal without neurobehavioral defects
  • 1 is normal when the rat's entire body is lifted by the tail
  • 2 is the opposite of where the damage occurred.
  • Moderate, 3 points is a state in which the person does not fall or break spontaneously at res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jury.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n the infarct volume of the mulberry frui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 MCAO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 FIG. 3 is a representative TTC-stained tissue photograph showing the effect on the infarct volume of the Taraxacum berry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MCAO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6 sections (thickness of 2 mm) for each experimental group. The head of the brain was cut between 4 mm and 16 mm from the frontal pole.
  • MCAO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 FIG. 4 is a tissue photograph stained with a representative cresyl violet showing the effect on the neuronal cell damage of the Agarberry frui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 MCAO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containing a powder of daggers as an active ingredient.
  •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may include all the organs of natural, hybrid or varieties of daphnia, for example, roots, branches, stems, leaves, flowers and fruits. Preferably it is a fruit of a dagger.
  •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refers to a term that collectively refers to a disease that occurs because blood vessels of the brain are blocked for some reason and blood is not supplied to the brain, and is also referred to as cerebral ischemic disease.
  • the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refers to a disease caused by neuronal cell death of tissues known to be sensitive to cerebral ischemia among brain cells due to reduced blood flow in the brain and inadequate supply of oxygen and glucose.
  •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may include cerebral infarction, stroke, intracranial hemorrhage, subarachnoid hemorrhage, leukemia, vascular dementia, and the like.
  •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ferably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ascular dementia, cerebral infarction, stroke, intracranial hemorrhage, subarachnoid hemorrhage and white matter abnormality.
  • Taraxacum frui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neuroprotective effe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extraction' refers to a series of processes for obtaining an extract
  • extract means a preparation obtained by squeezing the herbal medicine with an appropriate leach solution and evaporating the leach solution, but not limited thereto. , Dilutions or concentrates of the extracts, and dried products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s, and these prepared or purified products.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extracting with an extraction solvent or by adding a fractional solvent to the extract prepared by extracting with an extraction solvent.
  • the extraction solvent is not limited thereto, but water, an organic solvent, or a mixed solvent thereof may be used.
  • the organic solvent may be an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 polar solvent such as ethyl acetate or acetone, hexane or dichloromethane. Nonpolar solvents or mixed solvents thereof. In addition, preferably wat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mixed solvents thereof may be used.
  • the Taraxacum berry extract may be prepared using common extraction methods, separation and purification methods known in the art. The extraction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but preferably, hot water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cold needle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or ultrasonic extraction may be used.
  • Taraxacum frui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epared by a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araxacum frui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adding alcohol or an aqueous alcohol solution to the tarmac fruit, followed by extraction under reflux for 3 to 5 hours at an extraction temperature maintaining 80 to 100 ° C; 2) The filtrate of the solution extracted at reflux in step 1),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40 to 70 °C, it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freeze drying.
  • the solvent selected from water, an alcohol or a mixture thereof, preferably a lower alcohol of C 1 to C 4 or a mixed solvent thereof, 1,3-but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as the extraction solvent in step 1) It is preferable to us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extract using 1,3-butylene glyc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st preferably the extractant is 1 to 100% ethyl alcohol or 1 to 100% methyl alcoh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mount of the extraction solvent in the step 1) is preferably 10% to 40% by weight of the dry weight of the powder of the wood, and more preferably 30%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temperature in step 1) is 10 ° C to 100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80 to 100 ° C is preferred, and more preferably 90 to 95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1 hour to 7 hours, more preferably 3 hours to 5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ost preferably 3 hour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number is preferably one to five tim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extract is a method using an extraction device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dipping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subcritical extraction, high temperature extraction, high pressure extraction or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or adsorption resin including XAD and HP-20
  • extraction devices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dipping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subcritical extraction, high temperature extraction, high pressure extraction or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or adsorption resin including XAD and HP-20
  •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in the art such as using a method may be used, preferably ultrasonic extraction at low tempera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erm 'prevention' means all actions of inhibiting or delaying the onset of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by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or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reatment' refers to the extract or the extract.
  •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means any action that improves or benefits the symptoms of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 the rat is anesthetized by ischemia cerebrovascular disease experimental animal model in which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reated in an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experimental animal model in which the cerebral ischemia was induced by closing the bottom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The use was evaluated.
  • the neurobehavioral deficiency of the experimental animals was evaluated by neurological scores, it was confirmed that the neurological scor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 the infarct volume i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xtract of the dagger fruit of 100 mg / kg.
  •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Daengberry fruit extract has a neuroprotective effect and significantly reduces neurobehavioral defects and infarct volume in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It provides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scular diseases.
  •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tural plant extract has no side effects and has a neuroprotective effect in the experimental animal model of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thereby inhibiting neurobehavioral defects and reducing cerebral infarct volume.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containing.
  •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ntaining 0.1 to 50% by weight of the extrac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the like, oral formulation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respectiv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have.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and such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sucrose), lactose (lactose), gelatin, etc. are mixed and prepared.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Oral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and syrups, and may includ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 the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y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 can be used, systemic or topical administration is possible, but systemic administration is more preferred, and intravenous administration is most preferred.
  • Preferred dosages of the therapeutic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y depending on condition and weight, extent of disease, drug form, route of administration, and duration,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 the therapeu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01 to 1000mg / kg per day, based on the amount of the powder of the oleander extract, it is preferable to administer in 0.01 to 100mg / kg to be more effective.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divided several times. The dosage and frequency of administr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aspec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gle dose by a bolus form or by infusion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It may be administered to the patient, and may be administered by a 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 in which multiple doses are administered for a long time. Since the effectiv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ge and health condition of the patient as well as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number of treatments of the drug, in view of the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determine the appropriate effective dosag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utrient extract, vitamin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neutralizing agent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regulato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the carbonation agent used for carbonated drinks, etc. can be further contained.
  • the components may be added to the composition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content of the additional component may be preferably added in the range of 0.1 to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Daengberry fruit extract.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unit dosage form by formulating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 / or excipient according to methods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r may be prepared by incorporation into a multi-dose container.
  • the formulation may be used in any form suitable for pharmaceutical preparations, including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oral formulations such a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ch as ointments, cream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able solutions.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ood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containing the Daengberry frui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araxacum fruit extract,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described above.
  •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europrotective effect in the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experimental animal model to suppress neurobehavioral defects and reduce cerebral infarct volume.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health food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 Examples of foods to which the above-mentioned substances may be added include dairy products including drinks, meat, sausages, breads, biscuits, rice cakes, chocolates,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and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alcoholic beverages, vitamin complexes, and the like, and include all healthy foods in the conventional sense.
  • Taraxacum frui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to food as it is, or used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can be suitably us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or improvement).
  • the amount of the extract in the health food can be added to 0.1 to 9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food weight.
  • the amount may be below the above range, and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above the above range becaus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 the health functional beverag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other ingredients except for containing the extract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indicated proportions, and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such as ordinary drinks.
  •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fructose and the lik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sucrose and the like; And conventional sugars such as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flavoring agents such as, tauumatin, stevia extract (for example, rebaudioside A, glycyrrhizin, etc.)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saccharin, aspartame, etc.) can be advantageously used.
  • the proportion of said natural carbohydrates is generally about 1-20 g, preferably about 5-12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s such a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ing and neutralizing agents (such as cheese and chocolate),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fruit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and fruit juice drinks and vegetable drinks.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so critical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1 to about 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composition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 extract of Damascus frui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term 'administration' means introducing a predetermined substance into a patient by any suitable method, an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ny general method by which the composition can reach an in vivo target. It may be administered via a route, and may be, for example,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tradermal administration, oral administration, topical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pulmonary administration, rectal administration, and the like. However, upon oral administration, since the peptide is digested, it is desirable to formulate the oral composition to coat or protect the active agent from degradation in the stomach.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tecting neurons from oxidative stress,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composition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scabberry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oxidative stress'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balance between the active oxygen production system and the scavenging system is broken by various factors such as drugs, radiation, and ischemia.
  • bacteria there is a group of enzymes induced by free radicals, and the transcription factor is directly activated by oxidation.
  • Oxidative stress may eventually lead to pathological conditions such as cytotoxicity (especially cell membrane lipids and oxidation), mutations caused by DNA base modifications, induction of apoposis or necrosis.
  • the above oxidative stress may result from reactive oxygen species or reactive nitrogen species.
  •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efers to superoxide (O 2 ⁇ ), hydrogen peroxide (H 2 O 2 ), hydroxy radical (OH), and singlet oxygen ( 1 ) generated from the stepwise reduction of triplet oxygen ( 3 O 2 ).
  • active nitrogen species include nitrogen monoxide radicals (NO), peroxy nitrite (ONOO), and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of a hemipteran extract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 Taraxacum fruit extract,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described above.
  • the wild daggers harvested directly from Yanbian and Mt. Baidu were dried and used for the preparation of daggers.
  • 100 g of ground pulverized tree fruit was added to 1 liter of distilled water, followed by stirring well.
  • the mixture was extracted under reflux for 3 hours at an extraction temperature of 90 to 95 ° C., the filtrate was separated, and the crude extract was decompressed to 55 to 65 ° C. After concentration, the extract was freeze-dried to obtain a herbal composition powder x 21.2g.
  • Sprague-Dawley (SD) rats 250-300 g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After fasting the SD rats for 24 hours, the aneurysm and the external carotid artery were ligated under anesthesia with 2.5% isoflurane in a gas mixed with nitrogen and oxygen 7: 3, and 17 mm from the branch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Ischemia was induced by closing the bottom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for 90 minutes by inserting a probe. During induction of ischemia, a rectal thermometer was inserted to measure body temperature and kept constant at a normal temperature of 37 ⁇ 0.3 ° C. After closing the middle cerebral arter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probe inserted into the internal carotid artery was pulled out and reperfusion was performed.
  • TTC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 TTC staining was performed to primarily observe brain tissue damage caused by transient cerebral ischemia.
  • the brain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xtracted, 2 mm thick sections were made using a brain matrix, and then reacted with 2%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solution at 37 ° C. for 60 minutes and stained with TTC solution.
  • Infarct volumes were measured by immobilizing the brain sections in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solution (Lee et al., Glia, 50: 168-181, 2005).
  • the normal group and each experimental group received general anesthesia by injecting chloral hydrate (400 mg /) into the intraperitoreum at a predetermined time after ischemia, and then opened the chest of the experimental animal and opened the cannula through the left ventricle.
  • chloral hydrate 400 mg /
  • the whole body is perfused and fixed with 4% paraformaldehyde [0.1 M phosphate buffer (PB), pH 7.4] solution, and the brain is removed by dissecting the head bone using a bone fracture machine.
  • PB phosphate buffer
  • the fixed brain tissue was paraffin embedded through a conventional tissue treatment process, and then paraffin serial sections having a thickness of 5 ⁇ m were prepared using a microtome (Reichert-Jung, Germany).
  • a microtome Reichert-Jung, Germany.
  • 95%, 90%, 80%, 70% and 50% ethanol cresyl violet and acid Acid fuchsin staining was performed, followed by normal dehydration and clearing, and then sealed in permount.
  • neurobehavioral defects were observed in SD rats. Neurobehavioral examination was confirmed by observing the rat's tail completely in the air, the degree of hemiparesis on the left and the tail up, or spontaneously circling to the left. A neurological score of 0 is normal with no neurobehavioral defects observed, 1 is the height of the left forefoot when the entire body of the rat is lifted by the tail, and 2 is the injury. Moder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ite where this occurred, 3 point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ite where the injury occurred, at the time of break or no spontaneous motor activity.
  • the Acaci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o significantly reduce neurobehavioral defects in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experimental animal model.
  • TTC staining was performed with TTC solution and total infacrt volume was measured.
  • Normal tissues are stained dark red by mitochondrial enzymes reducing TTC, but damaged tissues are distinguished from normal tissues by reducing their reducing power by mitochondrial damage.
  • TTC staining of 6 sections with a 2 mm thickness from the front showed clear infarcts in the 2nd, 3rd and 4th tissues.
  • the total infarct volume was measured to be 25.38 ⁇ 2.85% in the 24 hour ischemia group, but the total infarct volume (8.59 ⁇ 4.68%)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Dandelion fruit extract (SH-1013). It was confirmed that the cerebral infarct volume of more than 60% was reduced in the group of the Daeng fruit extract administration (Fig. 2, 3).
  • Rhododendro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decreases infarct volume and protects nerve cells in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experimental animal model.
  • the airtight cloth was filled to prepare a powder.
  • tablets we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tablets.
  • the capsule was prepared by filling in gelatin capsule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a capsule.
  • each component is added and dissolved in purified water, lemon flavor is added, the above components are mixed, purified water is added, the whole is adjusted to 100 ml by adding purified water, and then filled in a brown bottle.
  • the solution is prepared by sterilization.
  • the powder of the Taraxacum fruit was dissolved in a suitable volume of main sodium chloride BP, and the pH of the resulting solution was adjusted to pH 7.6 using dilute hydrochloric acid BP, and the volume was adjusted using a main volume of sodium chloride BP and mixed well.
  • the solution was filled into a 5 ml Type I ampoule made of clear glass, encapsulated under an upper grid of air by dissolving the glass, and autoclaved at 120 ° C. for at least 15 minutes to prepare an injection solution.
  • Foods containing the Taraxacum frui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prepared as follows.
  • Brown rice, barley, glutinous rice, and yulmu were alphad by a known method, and then dried and roasted to prepare a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60 mesh.
  • Black beans, black sesame seeds, and perilla were also steamed and dried in a known manner, and then roasted to prepare a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60 mesh.
  • the powder of the Taraxacum frui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in a vacuum concentrator, and the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with a spray and a hot air dryer was pulverized with a particle size of 60 mesh to obtain a dry powder.
  • Cereals (30 parts by weight brown rice, 15 parts by weight brittle, 20 parts by weight of barley),
  • Seeds (7 parts by weight perilla, 8 parts by weight black beans, 7 parts by weight black sesame seeds),
  • Vitamin B6 0.5 mg
  • composition ratio of the above-mentioned vitamin and mineral mixtures is mixed with a component suitable for a health foo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mpounding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nd the above ingredients are mix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health food manufacturing method.
  • the granules may be prepared and used for preparing a health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resulting solution is filtered and obtained in a sterilized 1 L container, sealed sterilized and stored in the refrigerator and then Used to prepare the healthy beverag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 composition ratio is a composition suitable for a preferred beverage in a preferred embodiment
  • the composition ratio may be arbitrarily modified according to regional and ethnic preferences such as demand hierarchy, demand country, and intended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은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가져 허혈성 뇌혈관 질환에 의한 신경행동학적 결손 및 경색 용적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고,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본 발명은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WHO의 통계에 의하면 매년 1,700만 명이 혈관질환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사망인구의 3분의 1에 해당하여 사망원인 1위이다. 혈관질환은 미국에서 65세 이상 인구에서는 사망원인 1위이며, 45 내지 64세 인구에서는 암에 이어 사망원인 2위이다. 또한, 노령인구의 증가와 함께 혈관질환에 의한 사망은 계속 증가 추세이다. 또한, 한국인의 사망원인은 1위 암, 2위 뇌혈관질환, 3위가 심장질환으로 혈액순환기 계통의 질환이 주요 사망원인의 2,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혈액순환관련 환자는 80년대 초와 비교할 때 7배 정도로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뇌졸중(stroke)은 흔히 '중풍'으로 알려져 있으며, 뇌에 혈액을 공급하고 있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짐으로써 그 부분의 뇌가 손상되어 급작스런 뇌혈류 장해에 의한 의식소실, 반신마비, 언어장애 등의 국소적 신경장애 증상을 일으킨 상태를 일컫는다. 뇌졸중은 크게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과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으로 구분된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조직으로 가는 혈액 공급의 감소 혹은 차단으로 뇌조직이 허혈상태가 되어 발생하며, 출혈성 뇌졸중은 혈관이 터져 뇌조직으로 출혈을 일으켜 발생한다. 즉, 원인에 따라 뇌혈관이 막혀서 생기는 뇌경색(cerebral infarction)과 반대로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출혈 (cerebral hemorrhage)로 구분되며, 뇌출혈은 다시 고혈압성 뇌내출혈 (intracerebral hemorrhage)과 뇌혈관이 꽈리모양의 변형을 일으켜 발생하는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 파열에 의한 뇌지주막하 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SAH)로 구분된다. 또한, 뇌경색은 뇌혈전증(뇌혈관에 혈전이 형성되어 혈관을 막는 것)과 뇌색전증(뇌혈관의 혈전 조각이나 심장이상으로 인한 피떡이 머리 혈관으로 흘러들어가 혈관을 막는 것)으로 구분된다. 뇌졸중은 뇌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체의 거의 모든 기능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발생하는 뇌손상은 손상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데, 뇌졸중에 의한 심각한 뇌손상의 경우 운동, 감각기능의 손상 및 기억, 학습, 연산, 추리 등 고차원적 기능을 저해하며, 중풍, 지능 박약, 학습 장애, 간질 등과 같은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시킨다. 또한, 뇌졸중에서 회복된다 하여도 대부분의 경우 후유장해를 남기기 때문에 이에 관계되는 사회적, 경제적 손실은 지대하여 연간 70억 달러에 이른다(Davenport et al. Journal of Neurology, 2000, vol.68, p.277).
허혈성 뇌손상은 혈액순환에 의존적인데 뇌로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여러 가지 병리학적 이상이 발생되어 정상적 뇌혈류(50 ml/gram/minute)의 장애가 초래되면 일과성 뇌허혈증(transient cerebral ischemia)으로부터 완전 뇌졸중(complete stroke)으로 급속히 발전,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허혈성 뇌졸증은 갑자기 발생하고, 신경학적 이상을 동반하며 단시간내 급격하게 질병의 경과가 진행되어 응급 치료법인 색전용해술에 의해서도 완전 치유가 불가능하며 사망에 이르지 않더라도 부작용 및 후유증이 초래되어 직접간접적으로 심각한 사회, 경제적인 손실까지 야기되고 있으므로 예방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허혈성 뇌졸중은 주로 혈청 콜레스테롤의 증가, 고혈압, 심장질환 등 혈류량의 변화를 야기시키는 위험인자들의 제거에 주력하는 일차적 예방과 질환의 발생 후 악화를 예방하는 이차적 예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바, 허혈성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 관련 선행연구들은 특정 위험인자들에 의한 위해를 저감시키는데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특히, 뇌로 혈액의 공급감소 등에 기인된 뇌허혈(brain ischemia)의 발생시 글루타메이트(glutamate)에 의한 칼슘이온 채널의 개방에 따른 과도한 Ca 이온의 유입으로 과흥분에 의한 흥분성세포독성(exitotoxicity)이 야기되거나, 재관류(reperfusion)시 유발되는 산소 라디칼에 의해 신경세포내 효소군들이 파괴되는데 이러한 신경세포의 손상기전과 관련한 타겟 특이적인(target-specific)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관련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Hagberg H et al., Neurosci Lett. 78:311-317, 1987).
최근 carnosine, ellagic acid 유도체, 카로틴 유도체, S-cysteinyl 유도체 등의 식품 성분들이 허혈성 뇌손상의 일차적 예방뿐 아니라 이차적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국외에서 보고되기 시작했다. 뇌졸중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는 주로 1차(급성) 뇌손상을 막기 위한 시도로서 글루타민산수용체 차단제 개발과 항산화제를 이용한 치료제 개발이 시도되어 왔으나 임상시험 단계에서 효과가 없거나 독성 문제로 실패하였다. NMDA 수용체 길항제는 심각한 독성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 임상시험에서 불합격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식품성분들에 대해서는 신경세포의 손상기전과 관련한 타겟-특이적인(target-specific) 연구가 미흡할 뿐 아니라 식품소재의 효과를 동물의 뇌에서 최종적으로 검증하고 제품개발로 성공한 사례가 거의 없다. 또한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연구들이 실험실적 어세이 정도에서 그치고 있는 실정이며, 기능성 소재의 구명, 체내 생리활성 발현기작, 소재의 개질 기반기술이 취약하다.
현재 국내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기능성소재는 단순복합제 형태이며, 일부 기능성 식품들은 산소접촉에 의한 산화, 갈변 등에 의하여 유용성이 저해되고 식품소재로서의 외형적 가치도 저급한 수준이므로 코팅에 의한 차단막 형성으로 저장안정성을 확보하고 유용성분의 활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기본 기술뿐만 아니라 활성 소재를 적정 동반 식품(food vehicle)에 적용하여 활용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가공기술이 요구되나 이에 관한 시도는 미흡한 수준이다.
현재까지 연구된 약물들은 글루타민산 수용체 길항제, 항산화제, 칼슘 혹은 나트륨, 등의 이온채널 차단제 등을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며 효과적인 약물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획기적인 아이디어 전환과 새로운 신개념의 치료제 타겟발굴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중추신경계 내에서도 염증반응이 나타나며 이는 신경퇴행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중의 하나임이 보고되고 있어, 뇌허혈 후의 염증 반응은 새로운 뇌허혈 치료제의 목표가 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치료제는 세포 독성 물질들의 유리에 관여하는 효소들을 억제하거나, 호중구(neutrophil)의 침착을 억제하는 약물들로 구성될 것으로 사료된다(Dirnagl, U. et al; TINS., 22 , pp391-397, 1999).
휴에트(Hewette) 등은 활성화된 교세포가 신경세포의 사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Hewett, S.J. et al: Neuron, 13:487-494 1994; Hewett, S.J. et al, Stroke, 27:1586-15911996). 활성화된 교세포는 세포독성을 유발할 수 있는 TNF-알파, 인터루킨 등과 같은 염증 유발 인자인 사이토카인(cytokine)의 생성을 증가시켜 신경세포와 교세포에 대해 독성을 증가시킨다.
뇌염증세포인 대식세포(macrophage)와 뇌신경교세포(microglia)로부터 분비되는 염증물질, 이로 인한 신경세포사멸이 중요하며 특히 신경교세포의 활성조절과 신경세포보호는 뇌졸중의 예방, 조절 및 치료법 개발의 핵심표적이다.
식물을 이용한 새로운 특용 작물 발굴 노력에 힘입어 그 생산량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는 착유 공정 등 단순 가공처리만을 거쳐 일반 첨가 소재로 사용되고 있거나, 일부 한방 의약품에 추출물 형태로 첨가되고 있어 그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다. 그러나, 식물에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활성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되는 활성물질의 존재 가능성이 높고 한방에서는 예로부터 수종 식물을 뇌졸중 예방에 사용해 오고 있어, 이를 건강식품 소재로 개발할 경우 식물의 부가가치가 증가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국내산 식물로부터 허혈성 뇌졸증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선도소재를 탐색하고 동물실험에서 효과를 검증한 다음 기능성 식품으로 응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건강기능성식품 개발에 이르는 체계적인 연구의 수행이 필요하다.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는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쌍떡잎식물로 높이가 1.5m에 달하는 낙엽관목으로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작은 가지의 마디에 방패 모양의 포엽이 있고 나무줄기의 속부분은 흰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바소꼴이거나 타원형이고 양 끝이 뭉뚝하거나 날카로우며 톱니가 없고 가장자리 및 표면에 짧은 털이 나고 뒷면에 융모가 많다. 꽃은 대개 꽃자루가 짧고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으로 엷은 황백색이며 여름에 핀다. 꽃받침은 거치처럼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황백색이고 원통상 종형이며 길이 1.2~1.5cm로서 털이 약간 있다. 수술은 암술대보다 짧고 털이 없으며 자방은 2개가 합쳐지고, 열매는 타원형 또는 거의 원형이며, 7~8월에 자흑색으로 익고 백분으로 덮인다. 시베리아, 사할린, 중국 북부, 티베트, 북한 등지에 분포하고 있는 냉대성 식물이다.
현재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발명으로 한국등록특허 제 10-0699790호에는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간염, 간경화 또는 지방간 등의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기재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 10-0454150호에는 현호색, 산해박, 댕댕이덩굴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선택되는 1종의 약초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 발진, 피부 알러지 등의 부작용이 적어 가려움증등을 예방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허혈성 뇌혈관 질환에 사용한 발명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허혈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던 중,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이 신경행동학적 결손의 억제와 뇌경색 용적이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허혈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은 천연식물 추출물로 부작용이 적으며 허혈성 뇌혈관 질환 실험동물 모델에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가져 신경행동학적 결손의 억제와 뇌경색 용적을 감소시키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뛰어난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랫트 중간대뇌동맥의 바닥부위를 90분간 폐쇄하여 허혈을 유발하고 24시간 후에, 신경행동학적 검사를 실시한 점수 그래프이다. saline은 대조군이고 SH-1013은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이다. 0점은 신경행동학적 결손이 관찰되지 않는 정상 상태(normal), 1점은 랫트의 전체 몸을 꼬리로 들었을 때 왼쪽 앞발의 신장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mild), 2점은 손상이 일어난 부위의 반대 방향으로 도는 상태(moderate), 3점은 손상이 일어난 부위의 반대 방향으로 휴식시에 쓰러지거나 자발적인 운동 활동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severe)이다.
도 2는 MCAO(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의 경색 용적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MCAO(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의 경색 용적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대표적인 TTC-염색된 조직 사진이다: 각 실험군에 대하여 6개의 절편(2mm의 두께)으로 뇌의 두정부위를 전두극(frontal pole)으로부터 4mm 및 16mm 사이로 절단하였다.
도 4는 MCAO(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의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대표적인 크레실 바이올렛(cresyl violet)으로 염색된 조직 사진이다. 각 실험군에 대하여 대뇌피질(cerebral cortex)과 선조체(striatum)에서 크레실 바이올렛(cresyl violet)에 염색된 피라밋 모양의 세포를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는 천연, 잡종 또는 변종 댕댕이나무의 모든 기관, 예를 들어, 뿌리, 가지, 줄기, 잎, 꽃 및 열매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댕댕이나무의 열매이다.
본 발명에서 '허혈성 뇌혈관 질환'이란 뇌의 혈관이 어떠한 이유로 막혀 뇌에 필요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을 총칭하는 용어를 의미하며, 뇌허혈 질환이라고도 한다. 상기 허혈성 뇌혈관 질환이란 뇌의 혈류가 감소되어 산소와 포도당의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뇌세포 중 뇌허혈에 민감하다고 알려져 있는 조직의 신경세포사가 유발되어 발생 되는 질환을 말한다. 허혈성 뇌혈관 질환은 뇌경색, 뇌졸중, 뇌내출혈, 지주막하 출혈, 백질 이상증, 혈관성 치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혈성 뇌혈관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혈관성 치매, 뇌경색, 뇌졸중, 뇌내출혈, 지주막하 출혈 및 백질 이상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은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추출'이란 추출물을 얻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며, 추출액이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이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추출물은 1) 댕댕이나무열매에 알콜 또는 알콜수용액을 가해 교반한 후, 80 내지 100℃를 유지하는 추출온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환류 추출한 용액의 여액을 분리하고, 40 내지 7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계 1)에서 추출 용매로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1,3-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1,3-부틸렌 글리콜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는 1 내지 100%의 에틸 알콜 또는 1 내지 100%의 메틸 알콜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단계 1)에서 추출 용매의 양은 댕댕이나무열매 건조 중량의 10 중량% 내지 40 중량%로 함이 바람직하고, 30 중량%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시 온도는 10℃ 내지 100℃ 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80 내지 10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5℃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에서 추출 시간은 1시간 내지 7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3시간 내지 5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시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추출 회수는 1회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임계추출, 아임계추출, 고온추출, 고압추출 또는 초음파추출법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저온에서 초음파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상기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상기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랫트를 마취시켜 중간대뇌동맥의 바닥부위를 폐쇄하여 뇌허혈을 유발시킨 허혈성 뇌혈관 질환 실험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처치하여 허혈성 뇌혈관 질환 치료에의 용도를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실험동물의 신경행동학적 결손을 신경학적 점수를 매겨 평가한 결과 신경학적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낮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경색 용적에 대한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한 결과, 경색 용적은 100mg/kg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에서 현저히 줄어듬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신경세포를 염색하여 효능을 측정하는 실험에서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에서 현저하게 개선된 뇌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사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현저하게 우수한 신경세포 보호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은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가져 허혈성 뇌혈관 질환에 있어서 신경행동학적 결손 및 경색 용적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므로 본 발명은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천연식물 추출물로 부작용이 없으며 허혈성 뇌혈관 질환 실험동물 모델에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가져 신경행동학적 결손의 억제와 뇌경색 용적을 감소시키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법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고, 전신 투여 또는 국소 투여가 가능하나, 전신 투여가 더 바람직하며, 정맥 내 투여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은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1일 0.0001 내지 1000mg/kg으로,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과 투여횟수는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거환(bolus) 형태 혹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확산(infusion) 등에 의해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농도는 약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 뿐만 아니라 환자의 나이 및 건강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의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외에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들이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추가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사용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허혈성 뇌혈관 질환 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허혈성 뇌혈관 질환 실험동물 모델에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가져 신경행동학적 결손의 억제와 뇌경색 용적을 감소시키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비스켓, 떡,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조성물이 생체내 표적에 도달할 수 있는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강 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 내 투여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경구 투여 시, 펩타이드는 소화가 되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란 활성산소 생산계 및 소거계의 균형이 약제, 방사선, 허혈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이러한 균형이 무너진 상태를 말한다. 세균에서는 활성산소에 의해 유도되는 일군의 효소가 있으며, 전사인자가 직접 산화에 의해 활성화 되는 것이 원인이 된다. 고등생물에서도 많은 유전자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지만, 세포 내 신호전달계가 활성화한 결과로 야기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결과적으로 세포상해(특히 세포막 지질과 산화), DNA염기 수식에 의한 돌연변이, 이폽토시스(apotosis) 또는 괴사의 유도 등으로 병적상태를 유발하기도 한다.
상기의 산화적 스트레스는 활성산소종 또는 활성질소종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다. 상기에서 활성산소종이란 삼중항산소(3O2)의 단계적 환원으로부터 생성되는 슈퍼옥시드(O2-), 과산화수소(H2O2),히드록시라디칼(OH), 및 일중항산소(1O2)를 가리키며, 활성질소종에는 일산화질소 라디칼(NO), 및 퍼옥시 아질산염(ONOO) 등이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허혈성 뇌혈관 질환 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 내용이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의 제조
<1-1> 물 용매를 이용한 열수추출법
중국의 연변지역 및 백두산에서 직접 수확한 야생 댕댕이나무열매를 건조시켜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분쇄한 상태의 댕댕이나무열매 100 g을 1 리터의 증류수에 가하여 잘 교반한 다음, 90 내지 95℃를 유지하는 추출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여액을 분리하였고 55~65℃로 생약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 건조시켜 생약조성물 분말 엑스 21.2g을 얻었다.
<1-2> 물-알콜 혼합용매를 이용한 열수추출법
상기 실시예 1-1과 같이 분쇄된 댕댕이나무열매 100 g에 1 리터의 25% 에틸 알콜을 가해 잘 교반한 다음, 열을 가해 80 내지 90℃를 유지하는 추출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여액을 분리하였고 55~65℃에서 생약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 건조시켜 생약조성물 분말 엑스 19.5g을 얻었다.
<실시예 2> 뇌허혈 모델 제작 (Focal ischemic model)
실험동물로는 Sprague-Dawley(SD) 랫트(250-300 g)를 사용하였다. SD랫트를 24 시간 절식시킨 후, 질소와 산소가 7:3으로 혼합된 가스에 2.5% 이소플루란(isoflurane)으로 마취 상태에서 온목동맥과 바깥목동맥은 결찰하고, 속목동맥의 분지점으로부터 17 mm의 프루브(probe)를 삽입하여 90 분간 중간대뇌동맥의 바닥부위를 폐쇄하여 허혈을 유발하였다. 허혈을 유발시키는 동안 직장 내 체온계를 삽입하여 체온을 측정하고 정상체온인 37±0.3℃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일정시간 동안 중간대뇌동맥을 폐쇄한 후, 속목동맥에 삽입된 프루브를 밖으로 뽑아내어 재관류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3> 허혈성 뇌손상 정도 평가
<3-1>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staining
일시적 뇌허혈에 의해 유발되는 뇌조직 손상을 일차적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TTC 염색을 시행하였다. 실험군의 뇌를 적출하여 뇌 매트릭스(brain matrix)를 이용하여 2mm 두께의 절편을 만들고, 2%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용액으로 37℃에서 60 분간 반응시킨 후, TTC 용액으로 염색된 뇌 절편을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neutral buffered formalin)용액에 고정하여 경색용적(infarct volume)을 측정하였다(Lee et al., Glia, 50:168-181, 2005)
<3-2>조직학적 염색
정상군과 각 실험군은 허혈 후 정해진 시간에 클로랄 히드레이트(chloral hydrate) (400 mg/)를 복강 (intraperitoreum)내 주사하여 전신마취 시킨 후 실험동물의 흉곽을 열고 좌심실을 통해 카눌라(cannula)를 오름대동맥(ascending aorta)에 삽입한 다음, 우심방을 통하여 방혈시킴과 동시에 주입기(Cole Parmer, USA)를 이용하여 생리식염수(pH 7.4)로 분당 10 ml의 속도로 관류 세척하였다. 이어서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0.1 M phosphate buffer (PB), pH 7.4] 용액으로 전신을 관류 고정한 후 골절단기를 이용하여 머리뼈를 절개하여 뇌를 적출한다. 고정된 뇌 조직을 통상적인 조직처리 과정을 거쳐서 파라핀 포매를 한 다음 박절기(microtome, Reichert-Jung, Germany)를 이용하여 5㎛ 두께의 파라핀 연속절편을 제조하였다. 자일렌(Xylene)으로 파라핀을 제거하고 100%, 95%, 90%, 80%, 70% 및 50% 에탄올을 거쳐 정상 세포의 분포 및 변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크레실 바이올렛(cresyl violet)과 산성 푸신(acid fuchsin) 염색을 시행한 다음 통상적인 탈수 및 투명과정을 거쳐 퍼마운트(permount)로 봉입하였다.
<실험예 1> 신경행동학적 관찰 점수 분석
뇌허혈 유발 후 3 시간이 경과 했을 때 수술한 SD 랫트의 신경행동학적 결손을 관찰하였다. 신경행동학적 검사는 공중에서 랫트의 꼬리를 완전히 들었을 때, 왼쪽의 국부마비(hemiparesis)가 일어나는 정도와 꼬리를 위로 들었을 때, 또는 자발적으로 왼쪽으로의 선회(circling)가 일어나는 지를 관찰하여 확인하였다. 신경학적 점수에서 0점은 신경행동학적 결손이 관찰되지 않는 정상 상태(normal), 1점은 랫트의 전체 몸을 꼬리로 들었을 때, 왼쪽 앞발의 신장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mild), 2점은 손상이 일어난 부위의 반대 방향으로 도는 상태(moderate), 3점은 손상이 일어난 부위의 반대 방향으로 휴식시에 쓰러지거나 자발적인 운동 활동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severe)이다.
뇌허혈 유발 후 약 30분 및 3시간 경과 했을 때, 랫트의 꼬리를 완전히 들었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의 선회가 일어나는지를 확인하였다. 95% 이상의 랫트에서 반시계 방향의 선회가 관찰되었고, 신경학적 점수(neurological score)는 2.8±0.28로 나타났으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투여군에서 자발적인 선회가 감소하였으며, 신경학적 점수는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SH-1013)(100 mg/kg) 투여군에서는 1.48±0.23으로 유의성 있는 신경행동학적 결손이 억제되었다(도 1).
이상의 결과로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은 허혈성 뇌혈관 질환 실험동물 모델에서 신경행동학적 결손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허혈성 뇌손상에 대한 보호약물의 효과
일시적인 (transient) MCAO(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에 의한 뇌손상을 일차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TTC 용액으로 염색하고, 경색용적(total infacrt volume)을 측정하였다. 정상조직은 미토콘드리아 효소들이 TTC를 환원시킴으로써 진한 적색으로 염색되나, 손상된 조직은 미토콘드리아 손상에 의해 환원력을 소실함으로써 정상조직과 구분되어 진다. 각 실험군 뇌의 후각망울을 제외하고, 앞쪽으로부터 2 mm 두께로 연속 절단한 6개 절편을 TTC 염색한 결과 2, 3 및 4번째 조직에서 뚜렷한 경색부위가 관찰되었다. 전체 경색용적은 허혈 24시간 군에서 25.38±2.85% 으로 측정되었으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SH-1013) 투여군에서 전체 경색용적(8.59±4.68%)이 유의성 있게 줄어들었다. 이는 60%이상 뇌경색 용적이 댕댕이나무 열매추출물 투여군에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2, 3).
또한, 두 시간 중간대뇌동맥의 결찰 후 24 시간동안 재관류 후 크레실 바이올렛(cresyl violet) 염색 결과 허혈 손상부위의 대뇌피질 및 선조체에서 크레실 바이올렛(cresyl violet)에 염색된 세포들의 수가 감소하였으며, 특히, 피라밋 모양의 신경세포들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많은 수의 피라밋 모양의 신경세포들이 허혈 손상부위의 대뇌피질 및 선조체에서 관찰되었다(도 4).
이상의 결과로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은 허혈성 뇌혈관 질환 실험동물 모델에서 경색 용적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현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20 ㎎
유당 2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1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10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락토오스 14.8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액제의 제조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2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1-5> 주사제의 제조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10 ㎍/㎖
묽은 염산 BP pH 7.6로 될 때까지
주이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
적당한 용적의 주이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이용하여 pH 7.6로 조절하고, 주이용 염화나트륨 BP를 이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에서 15 분 이상 오토클래이브(autoclave)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0.5 ~ 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2>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5 ~ 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3>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및
지황(0.5 중량부).
<2-4>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1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3> 건강음료의 제조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 100 ㎎
구연산 100 ㎎
올리고당 100 ㎎
매실농축액 2 ㎎
타우린 100 ㎎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5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1 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8)

  1.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뇌혈관 질환은 혈관성 치매, 뇌경색, 뇌졸중, 뇌내출혈, 지주막하 출혈 및 백질 이상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뇌혈관 질환은 혈관성 치매, 뇌경색, 뇌졸중, 뇌내출혈, 지주막하 출혈 및 백질 이상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5.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치료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뇌혈관 질환은 혈관성 치매, 뇌경색, 뇌졸중, 뇌내출혈, 지주막하 출혈 및 백질 이상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치료 방법.
  7.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적 스트레스는 활성산소종 또는 활성질소종으로부터 야기되는 것인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방법.
PCT/KR2013/002257 2012-03-19 2013-03-19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WO201314158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80025820.XA CN104302302B (zh) 2012-03-19 2013-03-19 包含作为活性成分的蓝靛果忍冬的果实提取物用于预防或改善缺血性脑血管病的药物组合物或保健食品
US14/386,221 US10201578B2 (en) 2012-03-19 2013-03-19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health food comprising Lonicera caerulea var. edulis fruit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697 2012-03-19
KR20120027697A KR101438879B1 (ko) 2012-03-19 2012-03-19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1581A1 true WO2013141581A1 (ko) 2013-09-26

Family

ID=49222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2257 WO2013141581A1 (ko) 2012-03-19 2013-03-19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01578B2 (ko)
KR (1) KR101438879B1 (ko)
CN (1) CN104302302B (ko)
WO (1) WO20131415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7352A (zh) * 2017-11-07 2018-03-27 樟树市鑫瑞特保健品有限公司 中药养生液的培育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400A2 (ko) * 2014-12-31 2016-07-07 주식회사 에이치앤케이바이오사이언스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용 조성물
CN106511327B (zh) * 2016-09-29 2019-03-26 滨州医学院 蓝靛果忍冬中acei活性成分在制备抗高血压药物中的应用
KR20220117436A (ko) 2021-02-17 2022-08-24 (주)사랑과 선행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조성물
KR20220117437A (ko) 2021-02-17 2022-08-2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6284A (ko) * 2006-12-12 2007-03-08 한국화학연구원 안토시아닌을 포함하는 뇌경색 또는 뇌졸중 예방 및 개선용건강식품
US20110123639A1 (en) * 2009-11-26 2011-05-26 Chan Agnes Sui-Yin Compound for improving brain functioning and/or treatment of brain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6001A (ja) * 2008-10-31 2010-05-13 Theravalues Corp Ppar活性化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6284A (ko) * 2006-12-12 2007-03-08 한국화학연구원 안토시아닌을 포함하는 뇌경색 또는 뇌졸중 예방 및 개선용건강식품
US20110123639A1 (en) * 2009-11-26 2011-05-26 Chan Agnes Sui-Yin Compound for improving brain functioning and/or treatment of brain disorders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AOVANALIKIT, A. ET AL.: "Characterization and quantification of anthocyanins and polyphenolics in blue honeysuckle (Lonicera caerulea L.)",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 52, 2004, pages 848 - 852, XP003006241, DOI: doi:10.1021/jf030509o *
JURIKOVA, T. ET AL.: "Phenolic profile of edible honeysuckle berries (genus Lonicera) and their biological effects", MOLECULES, vol. 17, 22 December 2011 (2011-12-22), pages 61 - 79 *
KANG, T. H. ET AL.: "Neuroprotective effects of the cyanidin-3-O-b- D-glucopyranoside isolated from mulberry fruit against cerebral ischemia", NEUROSCIENCE LETTERS, vol. 391, 2006, pages 168 - 172 *
SVARCOVA, 1. ET AL.: "Berry fruits as a source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the case of Lonicera caerulea", BIOMED PAP MED FAC UNIV PALACKY OLOMOUC CZECH REPUB, vol. 151, no. 2, 2007, pages 163 - 17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7352A (zh) * 2017-11-07 2018-03-27 樟树市鑫瑞特保健品有限公司 中药养生液的培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075A (ko) 2013-09-27
CN104302302A (zh) 2015-01-21
CN104302302B (zh) 2018-10-16
US20150125561A1 (en) 2015-05-07
US10201578B2 (en) 2019-02-12
KR101438879B1 (ko) 201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35929A1 (ko) 흑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의 생체이용율 증대 및 흡수 촉진용 조성물
WO2015002391A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WO2018174589A1 (ko) 모링가잎 추출물 및 두충추출 복합물의 항균, 항산화, 항염, 치주골 소실 억제 및 재생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방법
WO2013141581A1 (ko)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WO2018174448A1 (ko) 백출, 상심자, 구기자, 용안육, 우슬, 두충 및 천문동의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6032249A1 (ko) 모새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3100340A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426356B1 (ko) 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80297A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74636A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8080156A1 (ko) 양지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012117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phytosterol compound
WO2023022540A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516724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07605B1 (ko) 천선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06009A1 (ko) 단풍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안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05373A1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111429A1 (ko) 들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조성물
WO2015152653A1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03792B1 (ko) 들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WO2018190638A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04989A1 (ko) 김치를 포함하는 악액질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7607B1 (ko) 좁은잎보리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82757A1 (ko)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113434A (ko) 인삼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우울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646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86221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646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