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437A -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437A
KR20220117437A KR1020210020819A KR20210020819A KR20220117437A KR 20220117437 A KR20220117437 A KR 20220117437A KR 1020210020819 A KR1020210020819 A KR 1020210020819A KR 20210020819 A KR20210020819 A KR 20210020819A KR 20220117437 A KR20220117437 A KR 20220117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ood composition
intestinal flora
present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정
이유숙
박은정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7437A/ko
Publication of KR20220117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gut microbiome comprising extract from honeysuckle berry fruits}
본 발명은 댕댕이나무(honeysuckle berry)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평균 수명이 증가하면서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고, 육류 섭취의 증가, 불규 칙한 생활습관으로 인해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 및 각종 질병이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였다. 이와 동시에 생활 수준 또한 향상되어 건강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크게 증가하였다.
질병의 치료와 더불어 예방의 목적으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식품을 찾는 사람은 더욱 많아졌고, 다양한 식품들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들의 건강증진 기 능이 증명되면서 식품이 갖는 생체조절 기능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장내 균총(gut microbiome)은 생물의 장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을 총칭하는 것으로, 1,000가지 이상의 다른 종류의 미생물이 장내에 수 십억개 존재하며, 그 유전자는 인간의 유전자보다 150배 많은 3백만 개에 달한다.
장내 균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식생활의 개선뿐만 아니라, 장내 균총의 조절에 유용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한 식물자원의 활용이 필요하다. 또한 단일 화학 성분의 장내 균총 개선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로써, 국내 농산물에 대한 장내 균총 개선에 관한 효능 평가가 필요하다.
한편,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종래기술로는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가지는 약제학적 조성물(특허문헌 1),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특허문헌 2),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특허문헌 3),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특허문헌 4)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에는 댕댕이나무 추출물의 장내 균총 개선 효과에 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아니한 바, 이에 관한 연구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8089호(2007.01.17.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6075호(2013.09.2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1093호(2017.03.29.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3504호(2015.04.01. 공개)
본 발명자들은 단일 화학 성분의 장내 균총 개선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로써, 국내 농산물인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장내 균총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새로운 용도, 즉 장내 균총 개선으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구현예로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이 구연산을 더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연산의 함량이 0.1~5 %(w/w)인 장내 균총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장내 균총 중의 퍼미큐티스(Firmicutes) 균의 비율을 낮추고, 박테로이데테스(Bacteroidetes)균의 비율을 높이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구현예로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이 구연산을 더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연산의 함량이 0.1~5 %(w/w)인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장내 균총 중의 퍼미큐티스(Firmicutes) 균의 비율을 낮추고, 박테로이데테스(Bacteroidetes)균의 비율을 높이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장내 균총 중의 퍼미큐티스(Firmicutes) 균의 비율을 낮추고, 박테로이데테스(Bacteroidetes)균의 비율을 높임으로써, 장내 균총을 개선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 1은 댕댕이나무 열매 원물의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시아니딘 3-0-글루코사이드(Cyanidin 3-O-glucoside; C3G)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동물실험 디자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문 레벨(Phylum level)의 미생물 군집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과 레벨(Family level)의 미생물 군집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퍼미큐티스(Firmicutes)균의 미생물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박테로이데테스(Bacteroidetes)균의 미생물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장내 균총 개선"이라 함은 장내 유익균을 증가시키고, 장내 유해균은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장의 환경 내지 기능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도록 장내 균총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농ㆍ축ㆍ임ㆍ수산물을 그대로 유통하는 신선식품과, 이들의 원료를 제조 또는 가공 처리하여 저장성, 영양성 등을 높인 가공식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또는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고,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 var. edulis)"는 오래전부터 러시아, 중국 일본에서 재배하여 식용하고 있는 베리류로서, 그 열매, 꽃, 가지, 껍질 등이 민간약(folk medicine)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댕댕이나무는 인동과 식물로서 주로 추운 지역에서 자생하고, 1.5m 정도 자라며, 열매는 타원형 또는 원형이고, 5월~6월에 자흑색으로 백분으로 덮여 있는데, 현재 강원도 정선군을 비롯해 재배 생산지가 늘고 있는 실정이며, 새로운 농가 소득원으로 기대되는 식물자원이다.
본 발명의 제1 구현예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추출 방법에는 용매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마이크로 웨이브 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시, 추출 용매의 종류에 따라 추출 온도, 추출 시간, 용매의 양 및 잔류 성분 처리 방식 등이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 또한 다양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는데, 추출 가능한 용매로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일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주정, 메탄올, 지방유, 글리세린, 마유,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주정,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물은 구연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토시아닌은 산성 조건에서 플라빌리움 양이온(flavylium cation) 형태를 띠어 다른 조건보다 안정성이 높은데, 상기 산성 조건을 위해 구연산(citric acid)을 물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연산은 열에 의한 안토시아닌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수율(높은 추출 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물에 혼합되는 상기 구연산의 함량은 0.1~5 %(w/w), 바람직하게는 0.5~2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1 %(w/w)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농축물 형태로 냉동 보관하거나, 건조 또는 동결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장내 균총 중에서, 퍼미큐티스(Firmicutes) 균의 비율을 낮추고, 박테로이데테스(Bacteroidetes) 균의 비율을 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내에 존재하는 세균 중에서, 유해균으로 분류된 퍼미큐티스는 비만을 유발하는 독소를 지닌 세균의 일종으로 비만 세균이라고도 불린다. 퍼미큐티스가 몸속에 많으면 식욕을 높이고 신진대사를 방해하여 기초 대사량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대로, 유익균인 박테로이데테스는 복부의 지방 세포에 작용하여 지방분해 효소를 활성화하고, 체내 지방의 연소를 도와 체중 감량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0.01~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부형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식품으로는 정제, 캡슐제, 과립, 분말, 티백, 파우치, 환제, 조미료, 곡물제품, 스프, 소스, 오일, 액상 제제, 음료수, 껌, 아이스크림, 초콜렛,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유제품, 우유, 치즈, 육류제품, 유동식, 죽, 빵, 케이크, 캔디, 스낵류, 과자류, 영양바, 면류 또는 비타민 복합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 구현예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추출 방법에는 용매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마이크로 웨이브 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시, 추출 용매의 종류에 따라 추출 온도, 추출 시간, 용매의 양 및 잔류 성분 처리 방식 등이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 또한 다양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는데, 추출 가능한 용매로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일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주정, 메탄올, 지방유, 글리세린, 마유,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주정,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물은 구연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토시아닌은 산성 조건에서 플라빌리움 양이온(flavylium cation) 형태를 띠어 다른 조건보다 안정성이 높은데, 상기 산성 조건을 위해 구연산(citric acid)을 물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연산은 열에 의한 안토시아닌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수율(높은 추출 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물에 혼합되는 상기 구연산의 함량은 0.1~5 %(w/w), 바람직하게는 0.5~2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1 %(w/w)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농축물 형태로 냉동 보관하거나, 건조 또는 동결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장내 균총 중에서, 퍼미큐티스(Firmicutes) 균의 비율을 낮추고, 박테로이데테스(Bacteroidetes) 균의 비율을 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내에 존재하는 세균 중에서, 유해균으로 분류된 퍼미큐티스는 비만을 유발하는 독소를 지닌 세균의 일종으로 비만 세균이라고도 불린다. 퍼미큐티스가 몸속에 많으면 식욕을 높이고 신진대사를 방해하여 기초 대사량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대로, 유익균인 박테로이데테스는 복부의 지방 세포에 작용하여 지방분해 효소를 활성화하고, 체내 지방의 연소를 도와 체중 감량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0.01~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예컨대,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프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서 모든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통계 분석은 Student's t-test 를 실시하여 군 간의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PSS 25 (SPSS Inc., Chicago, USA)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p-값이 0.05 이하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1>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준비
댕댕이나무 열매는 강원도 정선에서 2020년 6월초에 수확한 열매이며, 시료 추출을 위해 분쇄기(Ninja blender DUO, USA)로 시료 90g을 파쇄하여 1% 구연산(Citric acid, Sigma, USA)을 첨가한 물 (증류수)을 10배로 첨가하여 60℃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용매 추출액은 여과지(Filter paper, Advantec, No.2)를 이용하여 걸러낸 뒤 60℃에서 회전진공 농축기(EYELA, N-N series, Japan)로 감압 농축하여 시료를 얻었다.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수율은 25.6%로 나타났다.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추출 과정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2>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유효성분 분석
(1).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유효성분 분석 방법
댕댕이나무 열매의 C3G(Cyanidin 3-O-glucoside) 분석을 위해 댕댕이나무 열매(원물) 및 추출물, C3G 표준품을 각각 0.1% 포믹산(formic acid)을 함유하는 70% MeOH을 넣어 10분간 초음파 추출한 후, 0.2㎛ 시린지 필터로 여과 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댕댕이나무 열매 함유 C3G 분석에 사용된 HPLC는 Agilent 1100 DAD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컬럼은 Sunfire C18 (4.6*250 mm, 입자크기 5㎛)을 사용하였다. 컬럼 온도는 35℃로 하여 유속 1.0ml/min으로 흘려주었으며, 시료 주입량은 10㎕이었다.
HPLC 분석에 이용된 이동상 조건은 2상(two phase) 농도구배 조건으로 수용매는 0.1% 포믹산을 함유하는 증류수와 유기용매로는 0.1% 포믹산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사용하여 516 nm에서 검출하였다.
(2). 댕댕이나무 열매 원물과 추출물의 Cyanidin 3-O-glucoside 함량
댕댕이나무 열매 원물과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농축액)의 C3G(Cyanidin 3-O-glucoside) 함량을 HPLC로 분석한 결과, C3G는 516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었으며, 체류시간(retention time) 11분에 메인 피크가 관찰되었다.
표준품은 5개 농도(31.25, 62.5, 125, 250, 500 ppm)로 회귀 분석(R2=0.9967)하였다. C3G의 검량선을 토대로 댕댕이나무 열매 원물과 추출물(농축액)의 C3G 함량을 분석한 결과,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댕댕이나무 열매 원물에 포함된 C3G의 함량은 3.198 mg/g,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농축액)에 포함된 C3G의 함량은 11.119 mg/g로서, 원물에 비해 추출물(농축액)의 C3G 함량이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3> 동물실험 디자인
6주령의 C57BL/6 마우스 입고 후 1주일간의 적응 기간을 두어 모든 개체가 이상반응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0~25℃, 습도 50~55%에서 명암은 12시간으로 유지하였으며, 고형 사료 및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고, 순화기간 후 체중을 측정하고 무작위법을 이용하여 총 6개 군으로 분리하였다.
정상식이군의 사료는 총 칼로리의 10%가 지방인 식이(Normal diet Control group, NC, 10% calories from fat; D12450B; Research Diets Inc)를 사용하였고, 고지방식이군의 사료는 총 칼로리의 45%가 지방인 고지방식이(45% calories from fat; D12451; Research Diets Inc)를 급여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체중 감량을 위해 장기간 사용이 허가된 지방 분해효소로서 리파아제의 억제제인 Orlistat(TCI, Japan)를 0.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TCI, Japan)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정상 대조군(Normal diet Control group, NC)과 고지방식이군(High fat diet Control group, HC) 및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group, PC: 고지방식이+ Orlistat 20mg/kg. b.w), 댕댕이나무 열매 저농도군(고지방식이 + Honeysuckle Berry 100mg/kg. b.w, HB100), 댕댕이나무 열매 중간농도군(고지방식이 + Honeysuckle Berry 200mg/kg. b.w, HB200) 및 댕댕이나무 열매 고농도군(고지방식이 + Honeysuckle Berry 400mg/kg. b.w, HB400)의 총 6개 군으로 나누어 매일 오전 10시경에 경구 투여를 진행하였다.
모든 실험동물 사육관리는 가천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고 관련 규정을 준수하여 수행되었다(승인번호: GIACUC-R2020009).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12시간 절식시킨 후 희생시켰는데, 상기와 같은 실험 디자인을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장내 미생물 군집 분석
(1). 분석 방법
장내 미생물 군집 분석을 위해 마우스 분변 샘플로부터 QIAamp PowerFecal Pro DNA kit(QIAGEN Co, Hilden, Germany)을 이용하여 metagenomic DNA를 추출하였으며, Nextera XT DNA Library Prep kit(Illumina Co, San Diego, USA)와 Nextera Index kit(Illumina Co, San Diego, USA)를 이용하여 16S rRNA 유전자의 아홉 가변 영역 중 V4 영역을 증폭 및 인덱싱을 진행하여 페어드 엔드 염기서열 결정 라이브러리(paired end sequencing library)를 제작하였다.
iSeq 100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작된 염기서열 결정 라이브러리(sequencing library)로부터 염기서열 데이터를 생산하였으며, 미생물 군집 분석을 위해 Quantitative Insights Into Microbial Ecology(QIIME) 소프트웨어와 97% 유사성을 가지는 v128의 SILVA 리보좀 RNA 데이타베이스(ribosomal RNA database)를 활용하였다.
분변 내 미생물 군집을 알아보기 위한 알파 다양성(alpha diversity)과 그룹 간 비교를 위한 베타 다양성(beta diversity)을 분석하였다.
(2). 분석 결과
도 5 및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과 레벨(Family level)에서는 고지방식이군(HC)이 Streptococcaceae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양성대조군(PC)의 경우는 Ruminococcaceae와 Bacteroidales S24-7 그룹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마우스의 장내 미생물 군집 분석을 통하여,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비만과 연관성이 있는 퍼미큐티스균와 박테로이데테스균의 비율을 변화시키고, 항 비만 효과를 나타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마우스 분변 샘플에서 추출된 총 DNA로부터 16S rRNA 유전자의 V4 영역을 증폭하여 미생물 군집 분석을 수행한 결과,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문 레벨(Phylum level)에서 고지방식이군(HC)의 퍼미큐티스(Firmicutes)균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박테로이데테스(Bacteroidetes)균 비율이 낮았고, 정상식이군(NC), 양성대조군(PC),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군(HB100, HB200, HB400)은 HC군보다 퍼미큐티스균 비율은 낮았으며, 박테로이데테스균 비율은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장내 미생물의 균총 중 비만과 연관성이 있는 퍼미큐티스와 박테로이데테스의 비율을 변화시켰다.
따라서,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장내 균총 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물질이라고 사료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구연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연산의 함량은 0.1~5 %(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장내 균총 중의 퍼미큐티스(Firmicutes) 균의 비율을 낮추고, 박테로이데테스(Bacteroidetes)균의 비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구연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연산의 함량은 0.1~5 %(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장내 균총 중의 퍼미큐티스(Firmicutes) 균의 비율을 낮추고, 박테로이데테스(Bacteroidetes)균의 비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10020819A 2021-02-17 2021-02-17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220117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19A KR20220117437A (ko) 2021-02-17 2021-02-17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19A KR20220117437A (ko) 2021-02-17 2021-02-17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437A true KR20220117437A (ko) 2022-08-24

Family

ID=8311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819A KR20220117437A (ko) 2021-02-17 2021-02-17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743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089A (ko) 2005-07-13 2007-01-17 주식회사 에이치앤케이바이오사이언스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가지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130106075A (ko) 2012-03-19 2013-09-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KR20150033504A (ko) 2013-09-24 2015-04-01 주식회사 에이치앤케이바이오사이언스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21093B1 (ko) 2016-09-06 2017-03-29 재단법인 통합의료진흥원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089A (ko) 2005-07-13 2007-01-17 주식회사 에이치앤케이바이오사이언스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가지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130106075A (ko) 2012-03-19 2013-09-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KR20150033504A (ko) 2013-09-24 2015-04-01 주식회사 에이치앤케이바이오사이언스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21093B1 (ko) 2016-09-06 2017-03-29 재단법인 통합의료진흥원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las-Franquesa et al. Potential of sea buckthorn-based ingredients for the food and feed industry–a review
Šic Žlabur et al. Stevia rebaudiana Bertoni-A review of nutrition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natural sweetener
Zang et al. Only plant-based food additives: An overview on application, safety, and key challenges in the food industry
Cardoso et al. An update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Euterpe edulis (juçara)
Ali et al. Crocin: Functional characteristics, extraction, food applications and efficacy against brain related disorders
Lagos et al. Recent patents on the application of bioactive compounds in food: a short review
Korkmaz Antioxidants in maca (Lepidium meyenii) as a supplement in nutrition
Daniloski et al. Recent developments on Opuntia spp., their bioactive composition, nutritional values, and health effects
KR101919839B1 (ko)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Yang et al. Moringa oleifera Lam. leaves as new raw food material: A review of its nutritional composition, functional properties, and comprehensive application
JP2010265251A (ja) 血流促進改善剤
JPWO2004100969A1 (ja) 治療剤
Alsarayrah et al. The health values of Phoenix dactylifera (dates): a review.
Dufoo-Hurtado et al. Nuts by-products: the Latin American contribution
Boublenza et al. Carob as source for sustainable ingredients and products
KR20220117437A (ko)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Guldas et al. Antioxidant and bioaccessibility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fruit and vegetable honeys produced by innovative method
Akiode et al. Nutrients,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nalysis of selected agricultural wastes as potential livestock feed ingredients
JP7296611B2 (ja) 一酸化窒素産生促進剤
KR20180065419A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JP2017165686A (ja) 肝機能改善剤
JP6044944B2 (ja) 新規梅加工品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機能性組成物、食品組成物、医薬組成物
JPWO2008123417A1 (ja) 抗疲労剤
Mohammed et al. Nigella sativa: Properties, processing and food applications
TWI294284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