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419A -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419A
KR20180065419A KR1020160166198A KR20160166198A KR20180065419A KR 20180065419 A KR20180065419 A KR 20180065419A KR 1020160166198 A KR1020160166198 A KR 1020160166198A KR 20160166198 A KR20160166198 A KR 20160166198A KR 20180065419 A KR20180065419 A KR 20180065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hibiscus
inflammation
pa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685B1 (ko
Inventor
배대열
Original Assignee
배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대열 filed Critical 배대열
Priority to KR102016016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6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9Arecaceae, Palmae or Palmaceae (Palm family), e.g. date or coconut palm or palmetto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니파야자 꽃대를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은, 염증성 인자의 발현을 저해 또는 억제시켜 염증을 치료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WITH NIPA FRUTICANS WURMB}
본 발명은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니파야자 꽃대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염증 능력이 우수하고, 세포독성이 없는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염증(inflammation)은 물리적인 외상, 유해한 화학물질,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나 생체 내 대사산물 중의 자극성 물질에 의하여 야기되는 조직손상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정상적이고 보호적인 생체 내 방어기전의 발현이다. 이러한 염증은 손상조직과 이동하는 세포(migrating cells)로부터 생산되는 다양한 화학매개인자에 의하여 촉발되며, 이들 화학매개인자들은 염증과정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경우에 생체는 염증반응을 통하여 발병 요인을 중화시키거나 제거하고 상한 조직을 재생시켜서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회복시키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만성 염증과 같은 질병 상태로 진행되기도 한다. 또한, 꽃가루와 같이 무해한 물질이나 천식,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반응에 의해 부적절하게 염증이 촉발되는 경우에는 방어반응 자체가 오히려 조직을 손상시킴으로 항염증제가 필요하게 된다. 거의 모든 임상질환에서 염증 반응을 관찰할 수 있고, 이들 염증 질환 중에는 항생제 투여로 원인적 치료가 가능한 세균성 질환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 발병이 자가면역반응에 의한 조직손상에 기인하므로 특이적 치료법이 없는 난치병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항염증제는 크게 스테로이드성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로 구분되며, 이중 대부분의 합성 항염증제는 주작용 이외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효과가 탁월하며 부작용이 적은 항염증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적당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NSAIDs)을 사용하여 염증을 완화시키며, 염증이 심하거나 NSAIDs의 효능이 없으면 스테로이드 제제를 사용하며, 난치성인 경우 면역 억제제나 수술요법을 실시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되는 NSAIDs는 주로 사이클로옥시제나제(cyclooxygenase; COX)를 억제하여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나, 위장 장애, 간장애, 신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을 야기하여 장기간의 사용이 어렵다. 이러한 NSAIDs에 비해 스테로이드 제제는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으로, 항염증 효과가 빠르고 극적으로 나타나는 약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널리 알려진 것처럼 이 약물은 세균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약하게 하고, 당뇨병의 악화, 부신부전증, 정신 기능장애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독성이 매우 심각할 뿐만 아니라 치료를 시작하면 중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사용상 주의를 요하며, 가능하면 금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합성 항염증제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효력이 강하면서도 비교적 부작용이 적은 항염증제의 개발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효능 및 부작용 측면에서 볼 때, 예로부터 임상적 경험이 풍부하고 안전성 측면에서 탁월한 평가를 받고 있는 천연물 제제가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 있어 좋은 후보물질이 될 것이다.
종래 이러한 천연물 제제의 염증치료제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1398호 등이 게시되어 있는바, 이 외 효과적인 천연물제제의 염증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099139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은, 니파야자 꽃대를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은 니파야자 꽃대의 건조분말에 건조중량의 3~20중량배의 용매를 가하고, 20~100℃의 추출온도에서 30분~5일 동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 또는 상기 추출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한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린의 꽃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히스비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린의 꽃의 건조분말에 건조중량의 3~20중량배의 용매를 가하고, 20~100℃의 추출온도에서 30분~5일 동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 또는 상기 추출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한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과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1:0.1~0.2중량비로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니파야자 꽃대를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은, 염증성 인자의 발현을 저해 또는 억제시켜 염증을 치료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세포독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의 세포독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Nitrite 생성 억제 활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의 Nitrite 생성 억제 활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IL-1β 발현 억제 활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의 IL-1β 발현 억제 활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IL-6 발현 억제 활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의 IL-6 발현 억제 활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TNF-α 발현 억제 활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의 TNF-α 발현 억제 활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항염증용 조성물은 니파야자 꽃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니파야자(학명 : NIPA FRUTICANS WURMB)는 인도, 말레이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및 오스트레일리아가 원산지이며, 맹그로브 지대 등의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는 땅속에서 여러 개로 갈라지며, 잎은 지면에서 뭉쳐나고 광택이 있는 녹색을 띤다. 그리고 꽃은 암수한그루이며, 지면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데, 보통 10월에서 이듬해 6월 사이에 꽃대가 올라온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니파야자의 꽃대를 채취하고, 이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것인데, 특히 니파야자의 꽃대를 사용하는 이유는 니파야자의 다른 어떤 부위보다 꽃대에 폴리페놀 등의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고, 셀레늄 등의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할 뿐 아니라,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보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니파야자 꽃대의 추출물은, 니파야자 꽃대의 건조분말로부터 추출된다.
이때, 상기 니파야자 꽃대의 건조분말은 니파야자의 꽃대뿐 아니라, 꽃대에 달린 꽃봉오리 또는 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니파야자 꽃대를 채취하여 건조 및 파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건조는 채취한 니파야자 꽃대의 유용한 성분들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지에서 자연건조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는 이후 추출과정에서 니파야자 꽃대의 유용한 성분들이 충분하게 추출될 수 있을 정도로 파쇄하면 족하다. 아울러, 상기 건조와 파쇄 공정은 필요에 따라서 순서를 뒤바꿔서 진행하거나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예를 들어, 열수 추출, 냉침 추출, 가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추출은 용매를 이용하여 진행되며, 상기 용매로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니파야자 꽃대의 건조분말에 건조중량의 3~20중량배의 용매를 가하고, 2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90℃의 추출온도에서 30분~5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1~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상의 추출물은 여과 등의 방법으로 니파야자 꽃대의 건조분말과 분리된 후 농축 또는 건조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의 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100℃, 바람직하게는 40~70℃에서 감압 농축한 농축액일 수 있고, 이를 다시 건조하여 분말화된 분말상의 추출물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분말화 또는 농축된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니파야자 꽃대의 추출물은 염증성 인자인 Nitrite, 인터루킨-1β, 인터루킨-6, TNF-α의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 관련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은, 염증성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약학적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추가의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을 가질 수 있는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으며, 비 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의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항염증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은 1일 0.01 내지 5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화합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은 식품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바,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염증 기능을 가지며, 건강기능식품, 영양보조제, 건강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의 형태로 식품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상기 추출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과 항염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과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이의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상기 니파야자의 꽃대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품조성물 중 상기 니퍄아자 꽃대 추출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01~50중량%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은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린의 꽃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히비스커스의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이를 상기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과 함께 항염증 조성물로 적용하면, 그 항염 효과, 즉 염증성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농도 대비 현저히 상승한다.
따라서, 소량의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과 히비스커스 추출물만으로 더욱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린(Hibiscus sabdariffa Linn, 영문명 Roselle)은 식용 가능한 히비스커스로서, 그 꽃 추출물은, 앞서 설명된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됨이 바람직하므로, 이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린의 꽃의 건조분말에 건조중량의 3~20중량배의 용매를 가하고, 20~100℃의 추출온도에서 30분~5일 동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 또는 상기 추출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한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용매로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린의 꽃의 건조분말 역시 채취한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린의 꽃을 건조 및 파쇄하여 제조한다. 이때, 상기 채취한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린의 꽃의 유용한 성분들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건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지에서 자연건조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쇄는 이후 추출과정에서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린의 꽃의 유용한 성분들이 충분하게 추출될 수 있을 정도로 파쇄하면 족하다. 아울러, 상기 건조와 파쇄 공정은 필요에 따라서 순서를 뒤바꿔서 진행하거나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과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1:0.1~0.2중량비로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바, 이러한 혼합비에서 가장 우수한 항염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의 제조.
니파야자의 꽃대를 채취하고, 환기가 잘되는 음지에서 자연 건조한 후, 20~100mesh의 크기로 파쇄하여 니파야자 꽃대 건조분말을 얻었다.
니파야자 꽃대 건조분말 100g에 물 1L를 넣고, 7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이후 용매를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7.15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과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
니파야자의 꽃대를 채취하고, 환기가 잘되는 음지에서 자연 건조한 후, 20~100mesh의 크기로 파쇄하여 니파야자 꽃대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 니파야자 꽃대 건조분말 100g에 물 1L를 넣고, 7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이후 용매를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7.15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린의 꽃을 채취하고, 환기가 잘되는 음지에서 자연 건조한 후, 20~100mesh의 크기로 파쇄하여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린의 꽃의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 히비스커스 건조분말 100g에 70% 에탄올 1L를 넣고, 40℃에서 20시간 동안 추출한 후, 거름종이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이후 용매를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6.04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수득한 상기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 5g과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 0.5g을 혼합하였다.
(시험예 1): 세포배양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세포를 KCLB(Korean Cell Line Bank)로부터 분양받아 100units/㎖ penicillin-streptomycin과 10% 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으며, 3~4일에 한 번씩 계대배양을 시행하였다. Lipopolysaccharide(LPS, E. coli serotype 0111:B4)를 Sigm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2): 세포독성의 평가 - MTT 어세이
RAW 264.7 세포를 24 well plate에 1.0×106 cells/㎖로 분주하고 37℃, 5% CO2 조건하에서 18시간 배양 후, 시료와 LPS(1㎍/㎖)를 동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500㎍/㎖ 농도로 MTT를 첨가하여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여기에 DMSO를 가하여 살아있는 세포와 반응하여 생긴 formazan 침전물을 용해시킨 다음, 이를 96 well plate에 옮긴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인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의 세포 독성 결과를 도 1에, 실시예 2인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과 히비스커스의 추출물을 혼합한 시료의 세포 독성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시료는 특별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3) : NO 생성 억제 활성 실험
24 Well plate에 RAW 264.7 cell을 1.5×106cells/mL로 분주하고 37℃, 5% CO2 incubator 조건하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1㎍/㎖ LPS와 시료를 동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세포배양 상등액 100㎕와 Griess(1% sulfanilamide, 0.1% naphtylethylenediamine in 2.5% phosphoric acid) 시약 100㎕를 혼합하여 96 welll plate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시키고,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일 배지에 녹인 여러 농도의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시료의 아질산염(nitrite) 양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실시예 1은 도 3에, 실시예 2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첨부된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된 모든 시료는 농도 의존적으로 nitrite의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2의 시료가 실시예 1에 비해 낮은 농도에서도 뚜렷하게 높은 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항염증 성분으로 알려진 DEX와 유사한 수준의 억제 효과가 있을 것을 판단되었다.
(실험예 4): IL-1β, IL-6 및 TNF-α의 발현 억제 활성 시험.
24 Well plate에 RAW 264.7 cell을 1.5×106cells/mL로 분주하고 37℃, 5% CO2 incubator 조건하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시료와 LPS(1㎍/㎖)와 동시처리 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양 배지를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IL-1β, IL-6 및 TNF-α를 ELISA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IL-1β의 발현 억제 활성 시험 결과를 도 5에, 실시예 2에 따른 IL-1β의 발현 억제 활성 시험 결과 도 6에, 실시예 1에 따른 IL-6의 발현 억제 활성 시험 결과를 도 7에, 실시예 2에 따른 IL-6의 발현 억제 활성 시험 결과를 도 8에, 실시예 1에 따른 TNF-α의 발현 억제 활성 시험 결과를 도 9에, 실시예 2에 따른 TNF-α의 발현 억제 활성 시험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첨부된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된 모든 시료는 농도 의존적으로 IL-1β, IL-6 및 TNF-α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2의 시료가 실시예 1에 비해 낮은 농도에서도 뚜렷하게 높은 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항염증 성분으로 알려진 DEX와 유사한 수준의 억제 효과가 있을 것을 판단되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니파야자 꽃대를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은 니파야자 꽃대의 건조분말에 건조중량의 3~20중량배의 용매를 가하고, 20~100℃의 추출온도에서 30분~5일 동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 또는 상기 추출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한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린의 꽃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은 히비스커스 사브다리파 린의 꽃의 건조분말에 건조중량의 3~20중량배의 용매를 가하고, 20~100℃의 추출온도에서 30분~5일 동안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 또는 상기 추출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한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과 상기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1:0.1~0.2중량비로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6. 니파야자 꽃대를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160166198A 2016-12-07 2016-12-07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79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198A KR101879685B1 (ko) 2016-12-07 2016-12-07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198A KR101879685B1 (ko) 2016-12-07 2016-12-07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419A true KR20180065419A (ko) 2018-06-18
KR101879685B1 KR101879685B1 (ko) 2018-08-17

Family

ID=6276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198A KR101879685B1 (ko) 2016-12-07 2016-12-07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273B1 (ko) * 2022-01-11 2023-10-06 장훈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102585259B1 (ko) * 2022-01-11 2023-10-10 장훈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알코올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743A (ko) * 2007-04-05 2007-05-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히비스커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용 약학조성물
KR101662779B1 (ko) * 2016-05-19 2016-10-06 (주)엔씨아이코리아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기능성 차
KR101667021B1 (ko) * 2016-04-27 2016-10-20 농업회사법인 자연 주식회사 니파야자를 이용한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및 그 기능성 환
KR101710507B1 (ko) * 2016-06-30 2017-02-27 주식회사 토디팜코리아 니파야자를 이용한 분말상의 식품조성물
KR101710193B1 (ko) * 2016-06-30 2017-02-27 주식회사 토디팜코리아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기능성 곡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기능성 곡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743A (ko) * 2007-04-05 2007-05-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히비스커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용 약학조성물
KR101667021B1 (ko) * 2016-04-27 2016-10-20 농업회사법인 자연 주식회사 니파야자를 이용한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및 그 기능성 환
KR101662779B1 (ko) * 2016-05-19 2016-10-06 (주)엔씨아이코리아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기능성 차
KR101710507B1 (ko) * 2016-06-30 2017-02-27 주식회사 토디팜코리아 니파야자를 이용한 분말상의 식품조성물
KR101710193B1 (ko) * 2016-06-30 2017-02-27 주식회사 토디팜코리아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기능성 곡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기능성 곡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rl-Shyh KAO 외 5명. Biosci. Biotechnol. Biochem. Vol. 73, No. 2, 2009년, pp. 385-390 *
배기상 외 2명. LPS로 유도한 염증반응에서 해죽순의 항염증 효과. Kor. J. Herbol. 제31권 제5호, 2016년 9월, pp. 79-8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685B1 (ko) 201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60334A (ja) リパーゼ阻害活性且つ抗酸化性を有する抗肥満剤
KR20190088740A (ko) 차전차피와 흑생강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비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214191A (ja) 肝中脂質蓄積抑制剤
JP5309292B2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1879685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Halaby et al. Protective and curative effect of garden cress seeds on acute renal failure in male albino rats
JP5064652B2 (ja) 糖尿病の予防・治療用組成物およびその有効成分を含む健康食品
JP2018080148A (ja) 更年期症状の予防及び/又は改善組成物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537024B2 (ja) 炎症疾患予防・治療剤
KR20160098571A (ko) 천일사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활성의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101453455B1 (ko)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823673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수면유도 조성물
KR101466308B1 (ko) 지모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463A (ko) 독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JP4371431B2 (ja) 抗アレルギー性組成物
KR101687770B1 (ko) 양주좀개수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항산화 활성의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102312675B1 (ko) 개똥쑥 추출물, 후박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비만 및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JP2019034920A (ja) Pde5活性阻害剤
KR20170003153A (ko)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45704B1 (ko) 키누레닉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50854B1 (ko) 프로폴리스 추출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소분획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KR101533910B1 (ko)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90054852A (ko) 금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