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273B1 -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273B1
KR102585273B1 KR1020220003753A KR20220003753A KR102585273B1 KR 102585273 B1 KR102585273 B1 KR 102585273B1 KR 1020220003753 A KR1020220003753 A KR 1020220003753A KR 20220003753 A KR20220003753 A KR 20220003753A KR 102585273 B1 KR102585273 B1 KR 102585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stalks
buds
flower buds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8401A (ko
Inventor
장훈
문민지
Original Assignee
장훈
문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훈, 문민지 filed Critical 장훈
Priority to KR102022000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27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08Oxidation; Fermentation
    • A23F3/10Fermentation with 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1Shea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니파야자 꽃대와 꽃봉오리를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꽃대와 꽃봉오리를 끓는 물에 10~40분간 데치는 단계와, 상기 데친 꽃대와 꽃봉오리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로스팅하는 단계와, 상기 로스팅된 혼합물을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60~80℃에서 1~50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차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이 우수하고, 해독작용이 우수하여 음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며, 풍미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FUNCTIONAL TEA WITH NIPA FRUTICANS WURMB}
본 발명은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를 활용하여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 및 해독작용이 우수하고, 관능성이 우수한 기능성 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영양 과잉, 운동부족 등으로 인한 비만, 당뇨, 고혈압 및 심장병 등과 같은 생활 습관병(성인병) 발병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한 노령화 사회로의 진입속도가 빨라지면서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홍삼, 글루코사민, 비타민 등을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 수요가 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즐겨 마시는 커피나 차(Tea)에서도 맛과 향이 좋을 뿐만 아니라 다이어트, 피부 미용, 노화억제, 해독작용, 면역력 증진, 특정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차들이 주목받고 있다.
한편, 염증반응(inflammation)은 생체 또는 조직에 물리적 작용, 화학적 물질, 세균감염 등의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는 기전이다. 일단 자극이 가해지면 국소적으로 히스타민(histamine), 세로토닌(serotonine), 브라디키닌(bradykinin),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dnins), 히드록실-에이코사테라에노이 산(hydorxyl-eicosatetraenoic acid, HETE) 및 류코트리엔(leukotriene)과 같은 혈관 활성물질이 유리되어 혈관 투과성이 증대되면서 단핵포식세포(mononuclear phagocytes), 대식세포(macrophage), 호중구(neutrophil), 자연살해세포(NK cell)가 손상부위로 침윤되어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감염이나 조직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적당한 염증은 손상부위가 빠르게 회복되기 위한 정상적인 반응이다. 그러나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손상부위에 대한 회복을 지연시키고 주위 세포에 대한 상해를 동반하므로, 주변조직에 대한 방어력을 떨어뜨려 증세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어, 정상적인 염증반응을 유지하기 위한 항염증제제가 필요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항염증제는 스테로이드계의 약물이나, 스테로이드계의 약물은 인체의 저항성을 약화시키거나 염증 부위의 조직재생을 지연시키는 부작용이 있어 대체약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2779호에서는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하여 기능성 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7307호에서는 니파야자 꽃봉오리를 이용하여 기능성 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들의 어디에서도 니파야자 꽃대, 꽃봉오리 및 아피오스를 이용하여 기능성 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찾아볼 수 없다.
KR 10-1662779 B1 KR 10-2257307 B1
따라서, 본 발명은 니파야자 꽃대, 꽃봉오리 및 아피오스를 이용하여 차를 제조함으로써, 항산화 효능, 항염증 효능 및 해독작용이 우수하고, 풍미가 우수한 기능성 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은, 니파야자 꽃대와 꽃봉오리를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꽃대와 꽃봉오리를 끓는 물에 10~40분간 데치는 단계와, 상기 데친 꽃대와 꽃봉오리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로스팅하는 단계와, 상기 로스팅된 혼합물을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60~80℃에서 1~50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원추리의 꽃봉오리를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곤달비 잎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된 꽃대와 꽃봉오리를 끓는 물에 10~40분간 데치는 단계 후, 상기 데친 꽃대와 꽃봉오리에 탱자 효소를 첨가하고 1~5일간 1~5℃에서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자 효소는 탱자의 열매에 설탕을 1:2~10 중량비로 첨가하여 10~25℃에서 10~100일 동안 숙성하고 여과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녹차 잎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차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이 우수하고, 해독작용이 우수하여 음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며, 풍미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차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시험예 2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차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갖는 것으로, 차를 마시는 것만으로 인체에 우수한 항산화, 항염증 활성 및 해독작용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능성 역시 우수하여 기호도가 좋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능성 차는 니파야자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니파야자(학명 : NIPA FRUTICANS WURMB)는 인도, 말레이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및 오스트레일리아가 원산지이며, 맹그로브 지대 등의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는 땅속에서 여러 개로 갈라지며, 잎은 지면에서 뭉쳐나고 광택이 있는 녹색을 띤다. 그리고 꽃은 암수한그루이며, 지면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데, 보통 10월에서 이듬해 6월 사이에 꽃대가 올라오고, 이에 꽃봉오리가 맺힌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니파야자의 꽃대와 꽃봉오리를 채취하고, 이를 가공하여 차로서 제조하는 것인데, 상기 꽃대와 꽃봉오리에는 폴리페놀 등의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고, 셀레늄 등의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할 뿐 아니라,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보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니파야자 꽃대와 꽃봉오리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상기 꽃대 및 꽃봉오리와 함께 아피오스(Apios)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차의 관능적 특성은 물론, 기능성을 고려할 때 현저히 상승된 작용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즉, 상기 니파야자의 꽃대와 꽃봉오리만을 사용할 경우 특유의 이취로 인하여 관능성이 좋지 못하나, 상기 아피오스는 이러한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이취를 제거해주며, 항산화 활성 역시 현저히 상승시켜준다. 특히, 아피오스는 니파야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레이스와 퀴논 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증가시켜 신체의 해독작용을 돕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의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 니파야자 꽃대와 꽃봉오리를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꽃대와 꽃봉오리를 끓는 물에 10~40분간 데치는 단계와, 상기 데친 꽃대와 꽃봉오리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로스팅하는 단계와, 상기 로스팅된 혼합물을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60~80℃에서 1~50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니파야자 꽃대와 꽃봉오리를 세척하는 단계
먼저, 니파야자의 꽃대와 꽃봉오리를 깨끗이 세척한다. 이때, 그 세척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바, 물, 알코올, 산 세척 등, 종래 게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정도면 족하다.
이때, 상기 꽃대는 3~10cm로 절단하여 세척한다.
상기 세척된 꽃대와 꽃봉오리를 끓는 물에 10~40분간 데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꽃대와 꽃봉오리를 끓는 물, 즉 100℃의 물에 10~40분간 데쳐내고, 상기 데친 꽃대와 꽃봉오리를 찬물에 담가 식힌다.
상기 데친 꽃대와 꽃봉오리를 건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데친 꽃대와 꽃봉오리를 건져내고, 열풍건조, 냉풍건조, 일광에 의한 자연건조법 등을 통해 함수율이 5~10%가 되도록 건조한다. 이때, 상기 꽃대는 건조의 용이성을 위하여 길이방향, 즉 결대로 길게 찢어 건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한다.
이때, 상기 아피오스 뿌리 역시 건조된 상태임이 바람직하나,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피오스(학명:Apios americana)는 특유의 풍미로 인해 기능성 차의 관능적 특성을 높여주는 것은 물론, 항산화 활성을 통해 니파야자 꽃대와 꽃봉오리의 항산화 활성을 더욱 높여준다. 아울러, 니파야자 꽃대, 꽃봉오리와의 상호작용으로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레이스와 퀴논 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증가시켜 신체의 해독작용을 돕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피오스로는 뿌리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의 혼합비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그 기능성 및 관능성을 고려할 때 상기 건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피오스 뿌리 10~50중량부임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건조물 중 니파야자 꽃대와 꽃봉오리 간의 혼합비 역시 제한하지 않는데, 예시적으로 1:0.1~1 중량비 일 수 있다.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로스팅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혼합된 혼합물에 열을 가해 볶아준다. 상기 열을 가해 볶는 로스팅(roasting)은 차 재료 내부 조직에 물리적, 화학적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차의 맛과 향을 좋게 하는 가공공정으로, 120~140℃에서 4~10분간 로스팅함으로써, 건조된 꽃대, 꽃봉오리, 아피오스의 향을 좋게 하여 차의 향미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혼합된 혼합물은 밀폐된 용기에 넣고 열을 가해 볶아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건조된 혼합물로부터 발생된 휘발성 성분들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로스팅된 혼합물을 분쇄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로스팅된 혼합물을 10~300mesh 정도로 분쇄한다. 이는 분쇄를 통해 차의 유용성분 용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분쇄된 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60~80℃에서 1~50시간 추출 후 여과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분쇄된 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60~80℃에서 1~50시간 가열하고, 이를 여과함으로써, 액상 차의 형태로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된 혼합물에는 물을 1:3~5부피비 정도로 가하여 가열함으로써, 유용성분이 농축 추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이 가열물을 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차는 그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이 우수함은 물론, 향미가 우수하고, 해독 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원추리의 꽃봉오리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원추리의 꽃봉오리 역시 차의 맛을 좋게 하고,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돕는다. 이때, 상기 원추리의 꽃봉오리는 건조 상태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건조물, 즉 건조된 니파야자 꽃대와 꽃봉오리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원추리(Hemerocallis fulva)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비타민A, 베타카로틴, 루테인 함량이 풍부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다.
아울러,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곤달비 잎을 추가로 혼합할 수도 있다. 상기 곤달비 잎 역시 차의 관능적 특성을 개선하고,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돕는 것은 물론, 해독작용을 돕는다. 이때, 상기 곤달비 잎, 더욱 바람직하게는 어린 잎은 건조 상태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건조물, 즉 건조된 니파야자 꽃대와 꽃봉오리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 잎은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여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이 우수하다.
아울러,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녹차 잎을 추가로 혼합할 수도 있다. 상기 녹차 잎 역시 차의 관능적 특성을 개선하고,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돕는 것이다. 이때, 상기 녹차 잎은 건조 상태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건조물, 즉 건조된 니파야자 꽃대와 꽃봉오리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녹차 잎은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여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세척된 꽃대와 꽃봉오리를 끓는 물에 10~40분간 데치는 단계 후, 상기 데친 꽃대와 꽃봉오리에 탱자 효소를 첨가하고 1~5일간 1~5℃에서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탱자 효소를 첨가하여 숙성하면, 그 기능성이 더욱 증대되며, 꽃대와 꽃봉오리 특유의 이취가 없어 차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그 혼합비는, 상기 데친 꽃대와 꽃봉오리 대 탱자 효소를 1:0.001~0.01 중량비로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탱자 효소는 탱자의 열매에 설탕을 1:2~10 중량비로 첨가하여 10~25℃에서 10~100일 동안 숙성하고, 이를 여과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설탕으로는 유기농 원당, 황설탕, 백설탕, 흑설탕 등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여과방법은 면포 등을 이용하면 족한 것으로, 그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 NFW(Nypa Fruticans Water) 1
먼저, 니파야자 꽃대와 꽃봉오리 채취하고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이를 100℃의 끓는 물에 20분간 데치고, 상기 데친 꽃대와 꽃봉오리를 찬물에 담가 식혔다. 다음으로, 상기 데친 꽃대를 길이방향으로 길게 찢어 데친 꽃봉오리와 함께 60℃의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이 7%가 되도록 건조하였다.
그리고 아피오스 뿌리를 0.5cm 정도의 두께로 슬라이스하고, 50℃의 열풍건조기에서 건조시켜 수분 함량이 5%가 되도록 한 후, 건조된 아피오스 뿌리 300g을 상기 건조된 니파야자 꽃대 700g 및 꽃봉오리 300g과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130℃에서 5분간 로스팅하였다. 로스팅 시에는 밀폐된 로스팅기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로스팅한 혼합물을 300mesh로 분쇄한 후, 이에 4부피배의 물을 가하고 60~80℃에서 10시간 가열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NFW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할 시, 건조된 원추리의 꽃봉오리 100g 및 건조된 곤달비 어린 잎 100g을 추가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3) : NFW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데친 꽃대와 꽃봉오리에 탱자 효소를 1:0.005 중량비로 첨가하고, 5℃에서 2일간 숙성하였다.
상기 탱자 효소는 세척된 탱자에 열매에 설탕을 1:5 중량비로 첨가하여 22℃에서 20일 동안 숙성하고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NFW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할 시, 건조된 녹차 잎 100g을 추가로 혼합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아피오스 뿌리를 사용하지 않았다.
(시험예 1)
항산화 활성 측정
시료는 동결건조한 후, 냉동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1)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DDPH(1,1-diphenyl-2-picryhydrazyl, Sigma-Aldrich Co.)를 이용하여 시료의 라디칼 소거효과를 보는 Biois법을 활용하였다. 각 시료를 농도별로 제조한 시료 용액 1ml에 0.2mM DPPH 1ml를 넣고, vortex mixer를 사용하여 혼합하고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곡선을 작성한 후, IC50을 산출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Radical scavenging activity(%)={(control Absorbance - Sample Absorbance)/control Absorbance}×100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구분 IC50(ug/ml)
NFW 1 6.02±1.15
NFW 2 5.79±0.67
NFW 3 5.88±0.74
NFW 4 5.91±1.01
비교예 1 8.84±2.18
IC50 값은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값을 50% 감소시키는 추출물의 농도를 나타낸 것으로, IC50 값이 작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을 뜻한다. 따라서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NFW 1 내지 4의 항산화능은 비교예 1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은 Pellegrin 등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7mM ABTS(2,2'-azinobis(3-ethylenbenzothiazoline-6-sulfonate), Sigma-Aldrich Co.) 5ml와 140mM K2S2O8(Sigma-Aldrich Co.) 88㎕를 잘 섞어 16시간 이상 암소에 방치시켰다.
이를 absolute ethanol과 1:88 비율로 섞어 734nm에서 대조구의 흡광도 값이 0.7±0.002가 되도록 조절한 ABTS solution을 만들었다. 시료 용액 50㎕에 ABTS solution 1ml를 넣어 혼합하고, 2.5분간 암실에서 방치한 후,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IC50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구분 IC50(ug/ml)
NFW 1 11.24±3.14
NFW 2 10.34±2.72
NFW 3 10.21±1.82
NFW 4 10.64±2.35
비교예 1 14.86±3.47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NFW 1 내지 4의 항산화능은 비교예 1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ORAC(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value 측정
퍼옥시 라디칼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활성 측정은 peroxyl radical scavenging capacity(ORACROO·)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농도별 시료에 peroxyl radical 생성을 위한 AAPH를 최종 반응 농도가 20M이 되도록 처리하고, 형광표준 용액인 fluorescein를 최종 반응 농도가 40nM이 되도록 처리하고, 최종 반응 농도 1 μM의 Trolox를 control standard로 사용였다. Peroxyl radical의 감소를 나타내는 형광감소율은 GENiosfluorescence plate reader(Tecan Trading AG, Salzburg, Austria)를 이용하여 excitation wavelength 485nm, emission wavelength 535nm에서 매 1분마다 측정하였다. 최종결과는 시료의 형광값과 공시험값의 형광값 간의 넓이 차이로 계산하였다. 그 값은 ORAC value per 1ug으로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ORAC value 측정 결과
구분 ORAC value per 1ug
NFW 1 54.14±3.24
NFW 2 57.27±4.11
NFW 3 58.41±3.89
NFW 4 55.39±3.29
비교예 1 47.18±3.47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NFW 1 내지 4의 ORAC value는 비교예 1에 비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항염 활성 측정
항염증 효과의 염증성 인자로는 Nitrite(혹은 일산화 산소), IL-1β(인터루킨-1베타, interleukin-1beta)를 사용하였다. 시험방법은, 대식세포(macrophage)에 LPS(lipopolysaccharide)를 이용하여 염증을 유발하고, 여기에 시료를 처리하였을 때의 일반적인 염증 지표들이 억제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는 DEX(Dexamethasone)을 비교약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시료는 NFW 1을 동결건조하여 분말을 제조한 후, 농도에 맞게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LPS로 염증 유도시 Nitrite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시료의 처리로 인하여 증가했던 Nitrite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LPS로 인한 염증 유도시 cytokine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시료의 처리로 그 염증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차는 농도 의존적으로 염증성 인자들의 억제효과가 있으며, 항염증 성분으로 알려진 DEX와 유사한 수준의 억제 효과가 있을 것을 판단되었다.
(시험예 3)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레이스와 퀴논 리덕타아제의 활성 측정
시료는 동결건조한 후, 냉동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시료의 해독작용을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레이스와 퀴논 리덕타아제의 활성 증가로 측정하였다. 상기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레이스(GST)와 퀴논 리덕타아제(QR)는 무독화 효소 중 대표적인 효소라 할 수 있다.
10%의 소태아혈청 및 1% 페니실린-스트랩토마이신이 함유된 둘베코개량 이글배지에 Hepa1c1c7 세포(ATCC CRL-2026)를 4×105개/㎖가 되도록 현탁하고, 상기 세포 현탁액을 96-well 플레이트의 각 웰에 0.2㎖씩 첨가한 뒤, 5% CO2 인큐베이터에서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새 둘베코개량 이글배지로 교환한 뒤, 한 세트의 대조군에는 증류수를, 다른 세트들에는 각각의 시료를 50㎍/㎖ 양으로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염 용액으로 세포를 세정하며, 0.1㎖의 세포 용해액을 첨가한 뒤 37℃에서 10분간 인큐베이션했다.
GST 활성의 측정을 위하여, 각군의 세포액 25㎕에 155㎕의 반응용액(인산칼륨완충액의 13mM 글루타티온)을 첨가하였으며, 측정 전에 20㎕의 반응기질 10mM CDNB(2,4-디니트로클로로벤젠)을 첨가하고, 340nm 파장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각 활성 분석은 3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단백량은 샘플용액을 인산완충염 용액으로 50배 희석하고, MicroBCA 단백질 분석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GST의 활성은 대조군의 GST 값에 대한 상대 값으로 아래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GST 활성 = (시험 물질 첨가 섹션의 최대 레이트 계수/시험 물질 첨가 섹션의 단백량) / (물 첨가 섹션의 최대레이트 계수/물 첨가 섹션의 단백량)
QR 활성의 측정을 위하여, 각군의 세포액 25㎕에 100㎕의 반응용액을 첨가하였다. 이때 기질 존재 및 부재를 설정하고, 기질 존재에는 반응용액에 또한 최종 농도 50μM이 되도록 메나디온을 첨가하였다. 활성분석은 각각 3회 반복 실시하였다. 또한, QR 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QR 상대 활성으로서 아래식에 의해 산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QR 활성= {[(시험 물질 첨가 섹션의 기질 존재의 흡광도) - (시험 물질 첨가 섹션의 기질 부재의 흡광도)] ÷ (시험 물질 첨가 센션의 단백량)} ÷ {[물 첨가 섹션의 기질 존재의 흡광도] - (물 첨가 섹션의 기질 없음의 흡광도)} ÷ (물 첨가 섹션의 단백량)}
시험예 3의 결과.
구분 NFW 1 NFW 2 NFW 3 NFW 4 비교예 1
GST 활성 1.52 1.58 1.53 1.52 1.27
QR 활성 1.70 1.78 1.70 1.71 1.40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NFW 1 내지 4는 GST 효소 및 QR 효소의 활성 증가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훈련된 30명의 관능요원에게 시료를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항목은 외관,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였고, 평가는 9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9에 가까울수록 극도로 좋고, 1에 가까울수록 극도로 싫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NFW 1 내지 4, 비교예 1의 액상 차 10g에 80℃의 물 150ml를 가하여 10초간 혼합한 후 시료로 이용하였다.
상기 관능평가의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시험예 4의 결과.
구분 외관 기호도
NFW 1 6.7 6.8 6.9 6.9
NFW 2 6.5 7.2 7.4 7.2
NFW 3 6.7 7.4 7.5 7.4
NFW 4 6.7 7.0 7.0 7.0
비교예 1 6.5 5.2 5.0 5.3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NFW 1 내지 4는 비교예 1과 비교할 때, 맛, 향, 기호도에 있어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는바, 관능성 역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니파야자 꽃대와 꽃봉오리를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꽃대와 꽃봉오리를 끓는 물에 10~40분간 데치는 단계와,
    상기 데친 꽃대와 꽃봉오리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로스팅하는 단계와,
    상기 로스팅된 혼합물을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60~80℃에서 1~50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된 꽃대와 꽃봉오리를 끓는 물에 10~40분간 데치는 단계 후,
    상기 데친 꽃대와 꽃봉오리에 탱자 효소를 첨가하고 1~5일간 1~5℃에서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친 꽃대와 꽃봉오리 대비 탱자 효소가 1:0.001~0.01 중량비로 첨가되고, 탱자 열매에 설탕을 1:2~10 중량비로 첨가하여 10~25℃에서 10~100일 동안 숙성하고 여과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원추리의 꽃봉오리를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곤달비 잎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건조물과 아피오스 뿌리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녹차 잎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1020220003753A 2022-01-11 2022-01-11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102585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753A KR102585273B1 (ko) 2022-01-11 2022-01-11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753A KR102585273B1 (ko) 2022-01-11 2022-01-11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401A KR20230108401A (ko) 2023-07-18
KR102585273B1 true KR102585273B1 (ko) 2023-10-06

Family

ID=8742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753A KR102585273B1 (ko) 2022-01-11 2022-01-11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2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685B1 (ko) * 2016-12-07 2018-08-17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니파바이오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718B1 (ko) * 2012-03-13 2014-09-30 재단법인 고창복분자연구소 복분자 미숙과를 포함하는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2779B1 (ko) 2016-05-19 2016-10-06 (주)엔씨아이코리아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기능성 차
KR102257307B1 (ko) * 2019-10-22 2021-05-31 케이에스푸드글로벌(주) 니파야자 꽃봉오리를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기능성 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685B1 (ko) * 2016-12-07 2018-08-17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니파바이오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401A (ko)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307B1 (ko) 니파야자 꽃봉오리를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기능성 차
KR101871247B1 (ko) 매실 추출물 함유 기능성 조청 및 그 제조방법
KR101001361B1 (ko) 오디즙을 이용한 천연탄산차음료 및 그 제조방법
Bhise et al. Antioxidant property and health benefits of grape byproducts
KR102585273B1 (ko)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102585259B1 (ko)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알코올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Dangal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study of physical, nutritional, and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rapeutic activities of Choerospondias axillaris (lapsi)
KR100849638B1 (ko) 곰취를 이용한 곰취차 및 곰취환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585303B1 (ko)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식품첨가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053064B1 (ko) 식용 달팽이와 장어뼈와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조식품
KR102585296B1 (ko) 니파야자 꽃대 및 꽃봉오리의 알코올추출물을 이용한 식품첨가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83307B1 (ko)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20230080923A (ko) 병풀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20170116722A (ko) 항산화 기능이 강화된 유자청의 제조방법
Nanthachai Effect of kneading and fermentation time on chemical quality of herbal tea from mango peel
KR20110012070A (ko)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가지는 양파초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Rapunga Flory et al. Study on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blood fruit [Haematocarpus validus (Miers.) Bakh. f. ex Forman]
Ravindra et al. Value addi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Shatavari, aloe and mango ginger blended nectar beverage
KR101032818B1 (ko)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김치
KR20160101578A (ko) 컬러푸드를 이용한 항산화 및 항염증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Hernández-García et al. Quinces
Aly Maher Arfa Utilization of Egyptian Mulberry in Manufacture of some High Nutritional ValueProducts
Ijeoma et al. The Effect of Process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urple Onions (Allium Cepa L.), Bulb.
Srithongkerd et al. Physical Appearance Antioxidant Effect Alpha-amylase Inhibition and Alpha-glucosidase of Carissa Carandas Products
Rasheed et al. The Blackberry: A Review on its Composition and Chemistry, Uses and Bioavailability and Potential Health Benef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