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436A -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436A
KR20220117436A KR1020210020818A KR20210020818A KR20220117436A KR 20220117436 A KR20220117436 A KR 20220117436A KR 1020210020818 A KR1020210020818 A KR 1020210020818A KR 20210020818 A KR20210020818 A KR 20210020818A KR 20220117436 A KR20220117436 A KR 20220117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roup
dandelion
obesity
foo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정
이유숙
박은정
이강민
Original Assignee
(주)사랑과 선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사랑과 선행 filed Critical (주)사랑과 선행
Priority to KR1020210020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7436A/ko
Publication of KR2022011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및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arcopenic obesity comprising extract from honeysuckle berry fruits}
본 발명은 댕댕이나무(honeysuckle berry)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및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서구화된 식생활 습관과 운동부족으로 인해 비만 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전체 비만 유병률이 35.5%(남자 42.4%, 여자 27.7%)로 증가 추세에 있다. 비만(obesity)은 당뇨, 고지혈증, 지방간, 심혈관계 질환 등 다양한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며, 비만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요구가 있는 실정이다.
근육(muscle)은 체중의 약 40%를 차지하는 가장 큰 기관으로 혈당 조절, 에너지 생산, 생체에너지 조절 등 우리 몸의 다양한 대사작용과 신체활동에 기여한다. 근감소증(sarcopenic obesity)은 근섬유의 크기와 수의 감소로 인한 근육량의 감소와 근력의 저하로 정의된다.
최근 비만 관련 질환 연구에 있어서 근육이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으며, 근감소증과 비만의 조합으로 정의되는 근감소성 비만(sarcopenic obesity)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제시되었다. 비만과 근감소증의 상호작용은 대사 기능장애의 위험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사망 위험률까지 증가시키기 때문에 근감소증이 비만 관련 질환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를 주제로 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종래기술로는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가지는 약제학적 조성물(특허문헌 1),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특허문헌 2),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특허문헌 3),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특허문헌 4)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에는 댕댕이나무 추출물의 근감소 억제 효과에 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아니한 바, 이에 관한 연구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8089호(2007.01.17.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6075호(2013.09.2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1093호(2017.03.29.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3504호(2015.04.01. 공개)
본 발명자들은 단일 화학 성분의 비만 개선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로써, 국내 농산물인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근감소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새로운 용도, 즉 근감소성 비만 개선으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구현예로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이 구연산을 더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연산의 함량이 0.1~5 %(w/w)인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비만으로 유도되는 근감소를 억제시키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구현예로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감소성 비만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이 구연산을 더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연산의 함량이 0.1~5 %(w/w)인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비만으로 유도되는 근감소를 억제시키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3 구현예로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근감소성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이 구연산을 더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연산의 함량이 0.1~5 %(w/w)인 근감소성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비만으로 유도되는 근감소를 억제시키는 근감소성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은 비만으로 유도된 근감소성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 1a는 댕댕이나무 열매 원물의 HPLC 분석 결과, 도 1b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HPLC 분석 결과, 도 1c는 시아니딘 3-0-글루코사이드(Cyanidin 3-O-glucoside; C3G)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동물실험 디자인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체중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지질대사 관련 혈중 지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조직병리학 검사 결과, 도 5b는 부고환 지방구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복부지방 부피, 도 6b는 피하지방 부피, 도 6c는 체내 지방분포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중성지방 축적에 관여하는 SREBP-1c의 mRNA 발현, 도 7b는 중성지방 축적에 관여하는 C/EBP의 mRNA 발현, 도 7c는 에너지 소비(열생성)과 연관성이 있는 UCP의 mRNA 발현, 도 7d는 에너지 소비(열생성)과 연관성이 있는 PGC-1α의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근육 부피 및 근력 측정과 근육의 조직 병리학적 검사 결과, 도 8d는 근육 부피 및 근력 측정과 근육의 미세단층 촬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근육 위축 및 성장 관련 mRNA 발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근감소증"이라 함은 근섬유의 크기와 수의 감소로 인하여 근육량이 감소하고 근력이 저하되는 경우를 의미하고, "근감소성 비만"이라 함은 단순히 근육만 줄어드는 게 아니라, 체내 지방이 증가하면서 근감소증에 비만 상태가 더해지는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농ㆍ축ㆍ임ㆍ수산물을 그대로 유통하는 신선식품과, 이들의 원료를 제조 또는 가공 처리하여 저장성, 영양성 등을 높인 가공식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또는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고,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 조성물"이라 함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질병의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 var. edulis)"는 오래전부터 러시아, 중국 일본에서 재배하여 식용하고 있는 베리류로서, 그 열매, 꽃, 가지, 껍질 등이 민간약(folk medicine)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댕댕이나무는 인동과 식물로서 주로 추운 지역에서 자생하고, 1.5m 정도 자라며, 열매는 타원형 또는 원형이고, 5월~6월에 자흑색으로 백분으로 덮여 있는데, 현재 강원도 정선군을 비롯해 재배 생산지가 늘고 있는 실정이며, 새로운 농가 소득원으로 기대되는 식물자원이다.
본 발명의 제1 구현예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추출 방법에는 용매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마이크로 웨이브 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시, 추출 용매의 종류에 따라 추출 온도, 추출 시간, 용매의 양 및 잔류 성분 처리 방식 등이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 또한 다양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는데, 추출 가능한 용매로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일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주정, 메탄올, 지방유, 글리세린, 마유,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주정,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물은 구연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토시아닌은 산성 조건에서 플라빌리움 양이온(flavylium cation) 형태를 띠어 다른 조건보다 안정성이 높은데, 상기 산성 조건을 위해 구연산(citric acid)을 물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연산은 열에 의한 안토시아닌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수율(높은 추출 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물에 혼합되는 상기 구연산의 함량은 0.1~5 %(w/w), 바람직하게는 0.5~2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1 %(w/w)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농축물 형태로 냉동 보관하거나, 건조 또는 동결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비만으로 유도되는 근감소를 억제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0.01~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부형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식품으로는 정제, 캡슐제, 과립, 분말, 티백, 파우치, 환제, 조미료, 곡물제품, 스프, 소스, 오일, 액상 제제, 음료수, 껌, 아이스크림, 초콜렛,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유제품, 우유, 치즈, 육류제품, 유동식, 죽, 빵, 케이크, 캔디, 스낵류, 과자류, 영양바, 면류 또는 비타민 복합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 구현예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추출 방법에는 용매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마이크로 웨이브 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시, 추출 용매의 종류에 따라 추출 온도, 추출 시간, 용매의 양 및 잔류 성분 처리 방식 등이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 또한 다양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는데, 추출 가능한 용매로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일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주정, 메탄올, 지방유, 글리세린, 마유,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주정,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물은 구연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토시아닌은 산성 조건에서 플라빌리움 양이온(flavylium cation) 형태를 띠어 다른 조건보다 안정성이 높은데, 상기 산성 조건을 위해 구연산(citric acid)을 물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연산은 열에 의한 안토시아닌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수율(높은 추출 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물에 혼합되는 상기 구연산의 함량은 0.1~5 %(w/w), 바람직하게는 0.5~2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1 %(w/w)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농축물 형태로 냉동 보관하거나, 건조 또는 동결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비만으로 유도되는 근감소를 억제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0.01~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예컨대,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프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3 구현예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추출 방법에는 용매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법, 마이크로 웨이브 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시, 추출 용매의 종류에 따라 추출 온도, 추출 시간, 용매의 양 및 잔류 성분 처리 방식 등이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 또한 다양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는데, 추출 가능한 용매로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일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주정, 메탄올, 지방유, 글리세린, 마유,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탄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주정,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물은 구연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토시아닌은 산성 조건에서 플라빌리움 양이온(flavylium cation) 형태를 띠어 다른 조건보다 안정성이 높은데, 상기 산성 조건을 위해 구연산(citric acid)을 물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연산은 열에 의한 안토시아닌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수율(높은 추출 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물에 혼합되는 상기 구연산의 함량은 0.1~5 %(w/w), 바람직하게는 0.5~2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1 %(w/w)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농축물 형태로 냉동 보관하거나, 건조 또는 동결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비만으로 유도되는 근감소를 억제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0.01~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의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임의의 투여 방식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투여 방식으로는 경구, 직장, 국소, 비강, 피내 또는 비경구 경로가 있다. 용어 "비경구"는 피하, 정맥내, 근육내 또는 주입을 포함한다. 정맥내 또는 근육내 경로는 장기간의 요법 및 예방법에는 특히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이들은 응급 상황에서는 바람직할 수 있다. 경구 투여가 개체의 편리 및 투여 일정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약제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및 유제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상기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로스, 벤토나이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멸균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현탁액 및 유화액이 있다. 비수성 용매의 예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식물성 오일(예: 올리브유) 및 주사가능한 유기 에스테르(예: 에틸 올리에이트)이다.
수성 담체로는 식염수 및 완충 매질을 포함하여 물, 알콜/수용액, 유화액 또는 현탁액이 있다. 비경구 부형제로는 염화나트륨 용액, 링거(Ringer) 덱스트로즈, 덱스트로즈 및 염화 나트륨, 락테이트화 링거 또는 고정 오일이 있다. 정맥내 부형제로는 유체 및 영양 보충액, 전해질 보충액(예: 링거 덱스트로즈를 기본으로 하는 것) 등이 있다. 방부제 및 다른 첨가제, 예를 들어 항균제, 산화방지제, 킬레이트제 및 불활성 기체 등도 또한 존재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서 모든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통계 분석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다음, Duncan의 다중 범위 테스트(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사후 검증을 실시하여 군 간의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PSS 25 (SPSS Inc., Chicago, USA)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p-값이 0.05 이하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1>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준비
댕댕이나무 열매는 강원도 정선에서 2020년 6월초에 수확한 열매이며, 시료 추출을 위해 분쇄기(Ninja blender DUO, USA)로 시료 90 g을 파쇄하여 1% 구연산(Citric acid, Sigma, USA)을 첨가한 물 (증류수)을 10배로 첨가하여 60
Figure pat00001
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용매 추출액은 여과지(Filter paper, Advantec, No.2)를 이용하여 걸러낸 뒤 60
Figure pat00002
에서 회전진공 농축기(EYELA, N-N series, Japan)로 감압 농축하여 시료를 얻었다.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수율은 25.6%로 나타났다.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추출 과정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실시예 2>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유효성분 분석
(1).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유효성분 분석 방법
댕댕이나무 열매의 C3G(Cyanidin 3-O-glucoside) 분석을 위해 댕댕이나무 열매(원물) 및 추출물, C3G 표준품을 각각 0.1% 포믹산(formic acid)을 함유하는 70% MeOH을 넣어 10분간 초음파 추출한 후, 0.2㎛ 시린지 필터로 여과 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댕댕이나무 열매 함유 C3G 분석에 사용된 HPLC는 Agilent 1100 DAD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컬럼은 Sunfire C18 (4.6*250 mm, 입자크기 5㎛)을 사용하였다. 컬럼 온도는 35
Figure pat00004
로 하여 유속 1.0ml/min으로 흘려주었으며, 시료 주입량은 10㎕이었다.
HPLC 분석에 이용된 이동상 조건은 2상(two phase) 농도구배 조건으로 수용매는 0.1% 포믹산을 함유하는 증류수와 유기용매로는 0.1% 포믹산을 함유하는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사용하여 516 nm에서 검출하였다.
(2). 댕댕이나무 열매 원물과 추출물의 Cyanidin 3-O-glucoside 함량
댕댕이나무 열매 원물과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농축액)의 C3G(Cyanidin 3-O-glucoside) 함량을 HPLC로 분석한 결과, C3G는 516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었으며, 체류시간(retention time) 11분에 메인 피크가 관찰되었다.
표준품은 5개 농도(31.25, 62.5, 125, 250, 500 ppm)로 회귀 분석(R2=0.9967)하였다. C3G의 검량선을 토대로 댕댕이나무 열매 원물과 추출물(농축액)의 C3G 함량을 분석한 결과, 도 1a 및 도 1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댕댕이나무 열매 원물에 포함된 C3G의 함량은 3.198 mg/g,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농축액)에 포함된 C3G의 함량은 11.119 mg/g로서, 원물에 비해 추출물(농축액)의 C3G 함량이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3> 동물실험 디자인 및 체중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
(1). 실험 내용
6주령의 C57BL/6 마우스 입고 후 1주일간의 적응 기간을 두어 모든 개체가 이상반응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0~25℃, 습도 50~55%에서 명암은 12시간으로 유지하였으며, 고형 사료 및 물은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고, 순화기간 후 체중을 측정하고 무작위법을 이용하여 총 6개 군으로 분리하였다.
정상식이군의 사료는 총 칼로리의 10%가 지방인 식이(Normal diet Control group, NC, 10% calories from fat; D12450B; Research Diets Inc)를 사용하였고, 고지방식이군의 사료는 비만을 유도하기 위해 총 칼로리의 45%가 지방인 고지방식이(45% calories from fat; D12451; Research Diets Inc)를 급여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체중 감량을 위해 장기간 사용이 허가된 지방 분해효소로서 리파아제의 억제제인 Orlistat(TCI, Japan)를 0.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TCI, Japan)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정상 대조군(Normal diet Control group, NC)과 고지방식이군(High fat diet Control group, HC) 및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group, PC : 고지방식이+ Orlistat 20mg/kg. b.w), 댕댕이나무 열매 저농도군(고지방식이 + Honeysuckle Berry 100mg/kg. b.w, HB100), 댕댕이나무 열매 중간농도군(고지방식이 + Honeysuckle Berry 200mg/kg. b.w, HB200), 댕댕이나무 열매 고농도군(고지방식이 + Honeysuckle Berry 400mg/kg. b.w, HB400), 총 6개 군으로 나누어 매일 오전 10시경에 경구 투여를 진행하였다.
체중은 주 1회, 식이는 자율 급식으로 매 급여 시마다 제공한 양과 남긴 양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실험 디자인은 도 2에 나타내었다. 모든 실험동물 사육관리는 가천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고 관련 규정을 준수하여 수행되었다(승인번호: GIACUC-R2020009).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12시간 절식시킨 후 희생시켰다. 심장천자 (cardiac puncture)를 통해 채취한 혈액을 3,000 rpm에서 15분간 4℃에서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취한 뒤 분석 전까지 -80
Figure pat00005
에 보관하였다.
장기 조직은 채혈 후 즉시 적출하여 생리식염수로 씻은 다음 여과지로 물기를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이후 모든 시료는 -80℃의 딥프리저(deep freezer)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2). 체중 및 장기 무게 실험동물의 체중은 실험 시작시에는 비슷한 수치 (21.73±0.71g-21.80±0.60g)였으나, 8주간 고지방식이로 비만 유도와 동시에 시험물질인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저, 중, 고농도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실험 종료시 각 군에서 체중의 차이(29.99±2.00g~36.37±2.11g)가 나타났다.
8주 실험 종료시 측정한 고지방식이군, HC군의 체중이 36.37±2.11g로 가장 높았고, 정상대조군인 NC의 체중은 29.99±2.00g 으로 가장 낮았으며, 두 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었다 (p<0.05).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저(HB100), 중(HB200), 고(HB400)농도 투여군은 HC군보다 체중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HB400군에서 체중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Orlistat를 투여한 양성대조군(PC)은 HC군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은 체중을 보였으며(p<0.05), HB100, HB200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 3 및 하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체중 증가량은 HC군에서 14.56±1.60g으로 가장 높았으며, NC군은 8.23±1.61g으로 가장 낮았고, 두 군간의 체중증가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PC군은 12.83±1.46g, HB100군은 11.80±1.05g, HB200군은 11.23±1.49g, HB400군은 10.74±0.73g으로 HB400군의 체중 증가량이 가장 낮았다. 투여한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보였다.
Figure pat00006
또한, 동물 사육 종료 후, 간 (liver), 복부지방 (abdominal adipose tissue) 및 부고환지방 (epididymal adipose tissue) 무게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절대적 장기무게를 비교한 결과, 간과 복부지방 및 부고환지방에서 NC군에 비해 HC군의 장기 무게가 유의하게 높았다 (p<0.05). 간 무게는 NC, HC, PC군에 비해 HB100, HB200, HB400군에서 무게가 낮았으며, 복부과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HC군에 비해 HB400군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상대적 장기무게를 비교한 결과, NC군에 비해 HC군의 장기 무게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HC군에 비해 HB400군의 복부지방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p<0.05), HC군에 비해 HB200군과 HB400의 부고환지방 무게는 유의적으로 (p<0.05) 낮게 나타났다.
Figure pat00007
(3). 식이 섭취량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효율의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식이 급여 8주 동안의 식이 섭취량이 가장 많았던 군은 NC군 이였으나, 모든 군간 차이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식이섭취량과 체중증가량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식이섭취효율 (FER, Food efficiency ratio)을 확인한 결과, HC군이 가장 높았으며 다른 모든 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식이 섭취효율의 경우, PC군은 2.01±0.05g, HB100군은 2.06±0.05g, HB200군은 1.97±0.13g, HB400군은 1.84±0.01g으로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군의 식이섭취효율이 HC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p<0.05).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 마우스의 식이 섭취효율 감소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비만 억제 및 체지방 감소 효과에 있어 긍정적인 결과라고 사료된다.
Figure pat00008
<실시예 4> 혈청 지표 측정
(1). 측정방법
트리글리세라이드(TG), 총 콜레스테롤(TC) 측정은 각각의 TG-S, T-CHO kit (Asanpharm, Hwaseong,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디포넥틴(adiponectin), 렙틴(leptin)은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kit(R&D system, Minneapolis, M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혈청 지표 측정 결과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지질 축적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혈청에서 중성지방 (TG), 총콜레스테롤 (TC) 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도 4a 및 도 4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에 HC군의 혈청 TG 함량이 모든 실험군들(NC, PC, HB100, HB200, HB400)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200mg/kg을 투여한 군(HB200)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HC군의 혈청 TC 함량이 정상식이군(NC)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0.05), HC에 비해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군인 HB100, HB200, HB400군의 TC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양성대조군인 PC군와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 세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PC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지방대사 관련 호르몬인 렙틴과 아디포넥틴을 측정한 결과, 도 4c 및 도 4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혈청의 렙틴 농도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낮으며, HC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 투여군(HB400)은 정상식이군 NC군의 렙틴 농도와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체지방 형성을 억제하여 체지방에서 생성되는 렙틴 호르몬이 생성량을 감소했을 것을 사료된다. 아디포넥틴은 고지방식이군인 HC군보다 다른 군들의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군은 댕댕이나무 열매 중간농도군(HB200)이었다.
<실시예 5> 조직 병리학 검사(H&E 염색)
(1). 실험 방법
지방 및 간 조직 시료를 10% 포르말린(Sigma-Aldrich, Co. USA)을 이용해 고정시킨 후 에틸알콜 탈수과정을 거쳐 3~4 μm 두께의 파라핀 조직 절편을 제작하여 헤마톡시린 및 에오신(H&E)으로 염색한 뒤 조직학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2). 조직 병리학적 검사 결과
8주간 고지방식이 비만 유도와 동시에 시험물질인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저, 중, 고농도로 경구 투여한 동물모델에서 부고환 조직의 지방구 크기와 간 조직의 지방 축적 정도를 H&E 염색으로 분석한 결과, 도 5a 및 도 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인 HC군의 부고환 지방구 크기가 다른 군들(NC, PC, HB100, HB200, HB400)에 비해 가장 컸으며, 간 조직내 지방 축적도 HC군이 다른 군들보다 높게 관찰되었다.
또한, 부고환 조직의 지방구 크기를 측정한 결과, NC군은 5161.9±1795.5mm2, HC군은 11789.0±2156.3mm2, PC군은 8615.5±684.5mm2, HB100군은 8591.9±812.5mm2, HB200군은 8565.5±475.5mm2, HB400군 7977.6±1199.4 mm2로 나타났다.
정상식이군(NC)에 비해 고지방식이군(HC)의 부고환 조직의 지방구 크기가 유의적으로 컸으며, HC군에 비해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 군의 부고환 조직의 지방구 크기는 유의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p<0.05).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투여한 세군 모두에서 부고환 조직의 지방구 크기는 낮았고, 간조직의 지방 축적도 현저하게 낮았다. 또한 부고환 조직의 육안 관찰 결과 고지방식이군인 HC군의 부고환 조직의 크기가 가장 컸으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군은 HC군에 비해 작았다.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마우스 체내 지방구 크기, 수와 부고환 조직을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체지방 감소 기능성 물질로 잠재적인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실시예 6> 미세단층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지방 부피 측정
(1). 실험 방법
미세단층촬영장치(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 CT, Scanco Medical AG, Bruttisellen, Switzerland)로 촬영한 후, 마우스의 체내 지방 부피를 측정하였다
(2). 지방 부피 측정
미세단층 촬영을 통해 복부지방 부피를 측정한 결과, 도 6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C군은 2853.6±1298.9mm3, HC군 7877.5±914.6mm3, PC군은 6381.8±962.6mm3, HB100군은 5863.6±71.7mm3, HB200군은 5866.1±215.5mm3, HB400군은 4714.4±113.8mm3 로 측정되었다.
또한, 도 6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하지방 부피는 NC군은 4057.3±914.5mm3, HC군은 8328.3±523.9mm3, PC군은 7144.9±666.3 mm3, HB100군은 6859.3±61.9mm3, HB200군은 6467.4±272.3mm3, HB400군은 5907.4±156.8mm3으로 측정되었다.
복부지방과 피하지방 부피는 정상식이(NC)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고지방식이(HC)군이 가장 높았으며 정상식이(NC)군과 고지방식이(HC)군간 차이는 유의적이였다 (p<0.05). 고지방식이와 같이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투여한 세 개군 (HB100, HB200, HB400)의 복부지방과 피하지방 부피가 고지방식이만 투여한 H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 세개 군 중에서 고농도 투여(HB400)군에서 복부지방과 피하지방 부피가 가장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또한, 미세단층 촬영 사진으로 체내 지방 분포 분석하였는데, 도 6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붉은 계통의 색으로 나타났다. 정상식이(NC)군에 비해 고지방식이(HC)군의 체내 지방 분포가 높았으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군에서 체내 지방 분포가 낮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7> 지질 대사 관련 지표 mRNA 발현량
(1). 실험 방법
지방 조직에서 지방생성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물질인 SREBP-1c(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transcription factor 1), C/EBP-α(CCAAT/ 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UCP(Uncoupling protein)과 PGC-1(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coactivator (PGC1) mRNA 발현을 Real-time RT(reverse transcription)-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지방 조직을 호모게나이저(Polyton PT-MR 3100, Kinematica AG, Luzern, Switzerland)로 균질화 한 후, RNA 추출 키트(iNtRON Biotechnology, Gyeonggi-do, Korea)로 총 RNA를 분리한 뒤, iScript cDNA 합성 키트(BioRad, Hercules, CA, USA)로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로 Real-time RT-PCR을 수행하였으며, ABI QuantStudio 3(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USA) 장비로 SYBR Green Master Mix(TaKaRa Bio, Otsu,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지질대사 관련 지표 mRNA 발현량
비만 유도 동물모델에서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지질대사 및 에너지 생성 관련 지표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적출한 지방 조직에서 RNA를 분리한 뒤 Real-time RT-PCR 지표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도 7a 및 도 7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성지방 축적에 관여하는 SREBP-1c, C/EBP의 mRNA 발현은 고지방 식이군인 HC군이 정상식이군인 N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p<0.05).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SREBP-1c, C/EBP의 mRNA 발현이 H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p<0.05) 감소하였다.
에너지 소비(열생성)과 연관성이 있는 UCP, PGC-1α mRNA 발현을 측정한 결과, 도 7c 및 도 7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HC)군에 비해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군에서 UCP mRNA 발현이 증가하였고,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고농도(HB400)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PGC-1α mRNA 발현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차이가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가 중성지방 축적 억제와 에너지 소비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으로 항 비만 효과가 나타났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8> 근육 부피, 크기 및 근력 측정
(1). 측정 방법
미세단층촬영장치(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 CT, Scanco Medical AG, Bruttisellen, Switzerland)로 촬영한 후, 마우스의 뒷다리 근육 부피,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근육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또한 근력측정기를 이용하여 근력을 측정하였다.
(2). 측정 결과
마우스 뒷다리 근육 부피를 측정한 결과, 도 8a 내지 도 8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C군은 268.7±18.6mm3 HC군은 248.3±44.3mm3, PC군은 252.4±9.9mm3, HB100군은 266.9±26.5mm3, HB200군은 312.9±10.6mm3, HB400군은 295.1±21.2mm3로 나타났다.
근육부피가 가장 높은 군은 HB200군이였으며, 그 다음은 HB400군, NC군, HB100군, PC군, HC군 순이였다. 근육의 크기는 NC군은 1940.3±224.7mm2 HC군은 1242.0±459.9mm2, PC군은 1469.3±404.5mm2, HB100군은 1359.7±277.4mm2, HB200군은 1416.7±141.1mm2, HB400군은 1569.0±237.5mm2로 측정되었다.
정상식이군인 NC군의 근육의 크기가 가장 컸고, 고지방식이군인 HC군이 가장 작았고, 이 두 군간의 차이는 유의적이였다 (p<0.05). HC군에 비해 PC군, HB100군, HB200군, HB400군의 근육의 크기는 컸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근력 측정 결과. NC군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다른 실험군들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0.05), HC군과 PC군의 근력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HC군에 비해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군 (HB100, HB200, HB400)의 근력은 유의적으로 높았고 (p<0.05),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8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미세단층촬영으로 분석한 마우스 뒷다리 근육 분포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근육이 다소 높게 분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H&E 염색을 통해 장딴지 근육의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고지방식이군인 HC군보다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군의 근육의 크기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근육 부피, 크기 및 근력을 증가시켜, 비만으로 유도된 근감소증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9> 근육 조직(1). 측정 방법
근육 조직에서 근육 위축에 관여하는 MuRF1(muscle Ring-finger protein-1)과 Atrogin-1, 근육 성장에 관여하는 PGC-1α(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coactivator α(PGC1α)와 SIRT1(sirtulin1) mRNA 발현을 Real-time RT-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마우스 뒷다리 근육 조직을 호모게나이저(Polyton PT-MR 3100, Kinematica AG, Luzern, Switzerland)로 균질화 한 후, RNA 추출 키트(iNtRON Biotechnology, Gyeonggi-do, Korea)로 총 RNA를 분리한 뒤, iScript cDNA synthesis Kit (BioRad, Hercules, CA, USA)로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로 Real-time RT-PCR 시행하였으며, ABI QuantStudio 3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USA) 장비로 SYBR Green Master Mix(TaKaRa Bio, Otsu,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측정 결과
도 9a 및 도 9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근육 위축에 관여하는 MuRF1와 Atrogin-1은 고지방식이군인 HC군에서 mRNA 발현량이 증가되었고,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의 투여로 mRNA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반면에, 도 9c 및 도 9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근육 성장에 관여하는 PGC-1α와 SIRT1의 mRNA 발현량은 HC군에서 다른 실험군들에 비해 낮은 발현량을 보였고,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로 mRNA 발현량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근육 위축을 억제하고, 근육 성장에 개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고지방식이로 비만 유도 동물 모델에서 혈중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지방대사 호르몬 (렙틴, 아디포넥틴) 생성을 개선시켰다. 또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투여는 중성지방 축적(C/EBP, SREBP-1c)과 에너지 소비(UCP, PGC-1α)에 관여하는 지표를 조절하였다.
이에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체지방 감소 효과가 있는 건강 기능성 물질로서 잠재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과 근육의 조직 병리학적 검사와 미세단층 촬영 결과에서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에 의해 지방 축적 및 지방구 크기 감소를 확인하였고, 근육의 부피, 크기와 근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근육 위축(Atrogin-1, MuRF1)과 근육 성장(SIRT1, PGC-1)에 관여하는 지표를 조절하였다. 이에 비만으로 유도된 근감소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근감소성 비만 예방 효과가 있는 기능성 물질이라고 사료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구연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연산의 함량은 0.1~5 %(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비만으로 유도되는 근감소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구연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연산의 함량은 0.1~5 %(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비만으로 유도되는 근감소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성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구연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성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연산의 함량은 0.1~5 %(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성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비만으로 유도되는 근감소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성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10020818A 2021-02-17 2021-02-17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조성물 KR20220117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18A KR20220117436A (ko) 2021-02-17 2021-02-17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18A KR20220117436A (ko) 2021-02-17 2021-02-17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436A true KR20220117436A (ko) 2022-08-24

Family

ID=83111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818A KR20220117436A (ko) 2021-02-17 2021-02-17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743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089A (ko) 2005-07-13 2007-01-17 주식회사 에이치앤케이바이오사이언스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가지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130106075A (ko) 2012-03-19 2013-09-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KR20150033504A (ko) 2013-09-24 2015-04-01 주식회사 에이치앤케이바이오사이언스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21093B1 (ko) 2016-09-06 2017-03-29 재단법인 통합의료진흥원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089A (ko) 2005-07-13 2007-01-17 주식회사 에이치앤케이바이오사이언스 댕댕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가지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130106075A (ko) 2012-03-19 2013-09-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댕댕이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KR20150033504A (ko) 2013-09-24 2015-04-01 주식회사 에이치앤케이바이오사이언스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21093B1 (ko) 2016-09-06 2017-03-29 재단법인 통합의료진흥원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fer et al. Caloric restriction mimetics in nutrition and clinical trials
JP2014177497A (ja) マルチプル・リスク・ファクター症候群を予防又は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
JP2007077139A (ja) スダチ由来の組成物、並びに当該組成物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健康飲食品及びサプリメント
CN106456693A (zh) 糖尿病预防或改善剂
JP5940347B2 (ja) 過活動膀胱の予防又は改善剤
KR20190003304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9298769A (ja) 脂肪蓄積抑制用組成物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797926B1 (ko) 포름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0090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03657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JP6366279B2 (ja) 過活動膀胱の予防又は改善剤
KR1022390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21849A (ko)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26595A (ko) 율무, 표고버섯, 탱자 및 옥수수수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비만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117436A (ko)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성 비만 개선용 조성물
JP6772064B2 (ja) ポリフェノール含有機能性経口組成物
KR20150136668A (ko)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또는 항비만 활성 조성물
JP7296611B2 (ja) 一酸化窒素産生促進剤
KR101552282B1 (ko) 디하이드로진저론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JPWO2008123417A1 (ja) 抗疲労剤
JP2019180412A (ja) 経口組成物
TWI294284B (ko)
KR101533910B1 (ko)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