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849A -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849A
KR20110121849A KR1020100041333A KR20100041333A KR20110121849A KR 20110121849 A KR20110121849 A KR 20110121849A KR 1020100041333 A KR1020100041333 A KR 1020100041333A KR 20100041333 A KR20100041333 A KR 20100041333A KR 20110121849 A KR20110121849 A KR 20110121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composition
hyperlipidemia
cholest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판철호
노주원
김상민
구송이
차광현
송대근
이재권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4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1849A/ko
Publication of KR2011012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8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또는 참쑥(Artemisia dubi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지방 조직 축적 억제 효능이 있으며, 세포독성이 없는 인체에 안전한 천연 성분이므로 상기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or hyperlipedemia comprising the extracts of Gymnaster koraiensis or Artemisia dubia}
본 발명은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활성을 갖는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또는 참쑥(Artemisia dubi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중과다와 비만은 오래 전부터 발병 및 사망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비만은 심장질환과 폐질환, 탄수화물 대사장애를 증가시킬 위험이 크며, 고혈압, 당뇨, 관절염을 악화시키고, 수술이나 임신에 대한 위험을 가중시킨다. 이러한 비만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건강문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많은 연구들을 통해 기름진 음식의 섭취, 균형 잡히지 못한 식단, 잦은 간식 및 운동 부족 등이 그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국제보건기구 WHO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약 4억명 가량이 비만이고 이 중 약 2000명은 5세 이하 소아인 바 이로 인해 제 2형 당뇨병과 심장병 발병률 역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지혈증이란, 혈장 내의 콜레스테롤(chloresterol)이나 중성지방 (triglyceride) 같은 지질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고지혈증, 특히 고콜레스테롤 혈증은 동맥 혈전증을 유발하여 혈관벽을 따라 지질이 두껍게 싸이는 동맥경화증을 유발시키는데, 이는 혈류를 감소시켜 허혈성 심장질환과 협심증, 심근경색의 원인이 되므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된다. 혈중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리포단백은 크기에 따라 중형인 LDL과 소형인 HDL 두가지로 분류된다. LDL에 실려 운반되는 LDL 콜레스테롤의 증가는 동맥경화를 촉진시키며, HDL에 실려 운반되는 HDL 콜레스테롤은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기능이 있다. 비만도의 증가에 따라 혈중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증가하고, 반대로 HDL 콜레스테롤은 저하된다. 일반적으로, 리포단백대사에서 혈중 중성지방치와 HDL 콜레스테롤치 사이에는 역관계가 성립한다. 따라서 비만한 사람에서 고중성지방혈증의 2차적인 변화로써 HDL 콜레스테롤의 저하를 생각할 수 있다. HDL 콜레스테롤은 비만, 당뇨병, 운동부족, 흡연, 당질의 과잉 섭취 등에 의해서 저하된다. 따라서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절도 있는 식생활, 비만의 해소, 적절한 운동, 금연 등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고치혈증의 예방과 치료에는 식사요법, 생활요법 및 약물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식사요법의 원칙은 정상체중을 유지하는 열량섭취가 기본이 되며, 총 지방량을 총 열량의 15 ~ 20%로 하되, 포화, 다불포화, 단일불포화지방산의 구성을 각각 6% 이하, 6% 내외, 10% 이하로 구성하고, 당질과 단백질의 열량을 60 ~ 65%, 15 ~ 20%로 한다. 생활요법으로는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체내 열량 평형을 이뤄, LDL의 감소, HDL 콜레스테롤의 증가 등 혈청 지질 개선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나이, 신체적 적합성, 심장 상태, 기호 등을 잘 파악하여 적절한 운동 처방을 받도록 하고 있다.
고지혈증의 종류에 따른 약물은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제인 스타틴계가 주류를 이루며 중성지방의 수준에 따라 피브린산계, 니코틴산을 복합 사용한다. 이들 약제 복용 시, 단기치료인 경우 2 ~ 3개월 간격으로, 장기 치료인 경우 4 ~ 6개월마다 혈중 지질을 측정해야 하며 타질환과 합볍증이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세부적인 지침이 제시되어 있다. 고지혈증 치료제는 고혈압약과 마찬가지로 평생 꾸준히 복용해야 하는 약물이라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대표적인 시장이다. 국내 시장에서는 최근 수년간 30 ~ 40%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약물 복용으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 수준으로 돌아왔다 해도 지속적인 관리차원에서 약물을 계속 복용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의들의 지적이다.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정상 수준으로 돌아왔다고 약물 복용을 중단하면 혈중 콜레스테롤치가 다시 원상 복귀되거나 오히려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콜레스테롤 강하제는 주로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 대표적인 약물은 스타틴제제이다. 1990년대 등장한 스타틴계 약물은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가장 효과적인 약물로 평가 받고 있다. 스타틴(HMG-CoA Reductase 억제제)계 약물은 콜레스테롤 합성의 주요 단계인 HMG-CoA에서 메발론산으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억제해 간세포내의 콜레스테롤 양을 줄이고, 그 결과 간세포 표면에 LDL수용체가 증가돼 혈중 LDL 콜레스테롤이 18 ~ 55%, 중성지방도 7 ~ 30% 감소하며 HDL(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5 ~ 15% 증가시킨다. 스타틴계 약물로는 아트로바스타틴(atorvastatin), 플루바스타틴(fluvastatin), 로바스타틴(lovastatin), 파라바스타틴(pravastatin), 심바스타틴(simvastatin),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등이 대표적이다. 중성지방 강하제로 VLDL 수치를 감소시키는 피브린산, 니코틴산 등이 있다. 피브린산 유도체(Fibrate)는 퍼옥시좀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 알파(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alpha)를 활성화해 지단백 리파제의 활성을 촉진, VLDL과 LDL의 분해를 증가시켜 혈중 중성지방 수치를 40% 정도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을 10 ~ 20% 정도 증가시키며 LDL 콜레스테롤을 5 ~ 20% 낮추는 효과가 있다. 피브리산 유도체로는 베자피브레이트(bezafibrate), 시프로피브레이트(ciprofibrate), 에토피브레이트(etofibrate), 페노피브레이트(fenofibrate), 젬피브로질(gemfibrozil), 마이크로니즈드(micronised), 페노피브레이트(fenofibrate) 등이 있다. 이 밖에도 니코틴산(Nicotinic acid)은 LDL의 전구물질인 VLDL의 합성을 감소시킨다. 간에서 VLDL의 분비를 억제,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며, VLDL의 분비가 감소하면 LDL로의 전환도 감소하여 LDL 콜레스테롤이 감소한다.
최근에는 천연의 재료로부터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는 물질의 탐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천연 물질 또는 생약을 사용할 경우 독성과 부작용이 없고, 예방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그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는 별개미취라고도 불리며, 습지에서 자란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한국 특산종으로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북도, 경기도 등지에 분포한다. 높이 50 ~ 90 cm 정도로 곧게 자라며 파진 홈이 있다. 뿌리잎은 모여서 달리고, 꽃이 필 때 없어진다. 어긋나게 달리는 줄기잎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잎의 질이 두꺼운 편이고 짙은 녹색이며 잎의 기부는 좁아져 잎자루로 흐르고 양면에 털이 없다. 습윤하고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생육하는 단년생 초본이다. 흔히 제주도와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대량번식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뛰어나며, 뿌리가 대단히 튼튼하여 모성장이 왕성하여 식재하면 토양을 고정시켜주는 능력이 뛰어나 장마에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등에 효과가 커 최근에는 도로 주변 화단 식재 꽃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어린 순은 나물로 무쳐 식용하며, 초본은 데친 뒤 두었다가 나물로 이용되기도 한다. 성직은 쓰고, 단맛이 나며, 약자라 따뜻하여, 한방에서는 이뇨, 천식, 혈담, 거담 등에 약용하고, 복수암, 폐암과 폐암에 의한 토혈 등에도 효과가 알려져 있다.
참쑥(Artemisia dubia)은 국화과의 다년초로서, 산지 풀밭에서 자라는데, 줄기는 곧고 거미출 같은 털로 덮여 희게 보이며, 1.5 ~ 2 m 정도로 자란다. 잎은 호생하고 중부의 잎은 2회 우산으로 깊이 갈라지고 표면에 거미줄 같은 털과 많은 흰점이 있고, 뒷면은 회백색으로 면모가 있으며 위로 갈수록 작아져 선형으로 된다. 꽃은 8 ~ 9월에 연한 갈색으로 피고, 좁은 원추화서로 잎과 같이 달리며 두화는 구상 종형이다. 참쑥은 어린잎을 식용하며, 성질이 따뜻하고, 열이 나며, 맛은 맵고 쓰며 독성이 없다. 한방에서는 참쑥 잎을 애호라 하여, 복부 냉증에 의한 통증, 설사전근, 만성 설사, 토혈, 코피, 용양 등에 약재로 사용한다. 또한 열매는 주로 눈을 밝게 하고, 양기를 성하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참쑥이라 불리는 식물은 학명이 Artemisia lavandulaefolia로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참쑥(Artemisia dubia)과는 다른 종의 식물이다. 실재로 참쑥(A. dubia)은 A. lavandulaefolia와 같은 쑥(Artemisia) 속에 속하는 식물과 서로 다른 FTIR(Fourier Transform Infra Red) 스펙트럼을 보인다는 결과가 보고되어 있어(Cheng et al ., Journal of Chinese Medicinal Materials, 2002, 25, p315-317), 참쑥(A. dubia)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화학적 성분이 다른 쑥 속 식물과 다르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제조하여 6주간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쥐에 투여하였을 때,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지방 조직의 축적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또는 참쑥(Artemisia dubi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내 지방 조직의 축적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내 콜레스테롤 저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또는 참쑥(Artemisia dubi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내 지방 조직의 축적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비만 또는 고지혈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또는 참쑥(Artemisia dubia)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식용이 가능한 성분으로서,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지방 조직의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6주간 실험용 쥐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체중은 일주일에 한번 측정되었다):
#11: 벌개미취 추출물 섭취 실험군;
#50: 참쑥 추출물 섭취 실험군; 및
Lova: 로바스타틴(lovastatin) 섭취 실험군.
도 2는 6주차 간 조직의 육안 관찰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왼쪽이 정상식이군, 오른쪽이 고지방식이군을 섭취한 쥐의 간이다).
도 3은 6주차 쥐로부터 얻은 혈장에서의 비만 수치 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6주차 쥐로부터 얻은 간 조직에서의 비만 수치 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6주차 쥐로부터 얻은 혈장에서의 간 독성 수치 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6주차 간 조직을 오일-레드 O 염색(Oil-red O staining) 검사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을 억제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 및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비만 또는 고지혈증에 걸린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비만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참쑥(Artemisia dubi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벌개미취 또는 참쑥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단계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건조한 벌개미취 또는 참쑥을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7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참쑥 건조 중량의 1 내지 10 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7배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방법은 열수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시 온도는 1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시간은 12 내지 48시간이 바람직하고, 24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횟수는 1 ~ 5회인 것이 바람직하고 3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농축은 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벌개미취 또는 참쑥 생시료를 각 50 kg씩 채취하여 음지에서 건조시킨 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한 다음, 추출용기에 넣고 70%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추출한 후 거름종이로 여과하고 진공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본 발명자들은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지방 조직 축적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고지방식이(high fat diet; HFD)와 함께 실험 동물(SD rat)에 매일 일정한 시간에 1g 추출물/kg 농도로 투여한 후, 6주 후 혈액 및 간 조직에서 각각 HDL, LDL, 총콜레스테롤 또는 중성지방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은 현재 가장 광범위하게 고지혈증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는 로바스타틴(lovastatin)과 비교하여 HDL 콜레스테롤은 큰 차이는 없었지만, LDL 콜레스테롤 및 총콜레스테롤은 비슷한 정도로 감소하였다. 또한, 중성지방은 로바스타틴에 비해 비슷하거나 약간 증가하였다. 따라서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은 로바스타틴과 비슷한 정도로 몸에 좋은 HDL 콜레스테롤은 감소시키지 않고, 몸에 좋지 않은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총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간 조직에서 조사한 결과, 상기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투여한 쥐에서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로바스타틴에 비해 더 감소하는 결과를 얻어 상기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이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지방 조직 축적 억제 효능이 있으며, 세포독성이 없는 인체에 안전한 천연 성분이므로 비만, 고지혈증, 체지방 감소, 혈중 지질개선 또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0.1 내지 9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상기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 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비만 또는 고지혈증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내 지방 조직의 축적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상기 추출물 또는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 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지방 조직 축적 억제 효능이 있으며, 세포독성이 없는 인체에 안전한 천연 성분이므로 비만, 고지혈증, 체지방 감소, 혈중 지질개선 또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는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이는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은 고지방식이를 이용한 비만 동물 모델에서 현저히 우수한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지방 조직 축적 억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비만, 고지혈증, 체지방 감소, 혈중 지질개선 또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추가적으로 가금류에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사료첨가제를 그대로 또는 공지의 담체, 안정제 등을 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비타민, 아미노산류, 미네랄 등의 각종 양분, 항산화제 및 기타의 첨가제 등을 가할 수도 있으며, 그 형상으로서는 분체, 과립, 펠릿, 현탁액 등의 적당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공급하는 경우는 가금류에 대하여 단독으로 또는 사료에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은 사료에 대해 0.01 내지 1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5 내지 5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분말사료, 고형사료, 모이스트 펠릿사료, 드라이 펠릿사료, EP(Extruder Pellet) 사료, 날먹이 등 어떠한 사료라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벌개미취 추출물의 제조
벌개미취(강릉, 강원도) 생시료 50 kg을 채취하여 상온에서 음건하였다. 마른 시료를 분쇄기로 분쇄한 후, 4 kg을 취하여 70% 에탄올 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은 상온에서 24시간씩 3회 실시하였다. 추출 용액은 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40에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그 결과, 약 970 g의 벌개미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벌개미취 추출물은 분쇄기를 사용하여 입자를 고르게 만들었다.
참쑥 추출물의 제조
참쑥(평창, 강원도) 생시료 50 kg을 채취하여 상온에서 음건하였다. 마른 시료를 분쇄기로 분쇄한 후, 4 kg을 취하여 70% 에탄올 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은 상온에서 24시간씩 3회 실시하였다. 추출 용액은 진공농축기를 사용하여 40에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그 결과, 1150 g의 참쑥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참쑥 추출물은 분쇄기를 사용하여 입자를 고르게 만들었다.
실험동물의 준비 및 사육
6주령의 SD rat을 (주) 샘타코에서 구입한 후, 동물입수시 모든 동물의 일반건강상태에 대한 수의학적 검역을 실시하였다. 시험을 실시하는데 적합하고 건강한 동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약 14일 간의 순화기간을 거쳐 시행하였다. 실험은 하기 [표 1]의 사육 환경에서 실시하였다.
설정온도 22 ± 2℃
습도 50 ± 20%
환기방식 및 회수 전배기, 10회/hr
조명시간 및 명암주기 12hr/day/night
조도 150 ~ 300 lux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확인
본 발명자들은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이 비만 및 고지혈증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동물에서 인위적인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자연적으로 비만을 유도하는 식이조절법을 이용하여 지방축적을 증가시켜 비만을 유도한 후, 혈액과 간 조직에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4-1> 실험동물의 비만유도
하기 표 2와 같이 구성된 식이를, 정상군에는 10% 지방식이(정상식이)를, 고지방식이 실험군은 35% 지방식이(고지방식이, High Fat Diet:HFD)를 Research Diets사로부터 구입하여 6주 동안 섭취시켜 비만을 유도하였다.
정상식이군과 고지방식이군의 조성
정상식이 고지방식이
원료 mg% Kcal% 원료 mg% Kcal%
Casein, 30 Mesh 75 300 Casein, 80 Mesh 200 800
Soy protein 130 520 L-Cystein 3 12
DL-methionine 2 8 Corn starch 315 1260
Corn Starch 275 1100 Maltodextrin 10 35 140
Maltodextrin 10 150 600 Sucrose 350 1400
Sucrose 30 120 Cellulose, BW200 50 0
Cellulose, BW200 90 0 Soybean oil 25 225
Soy bean oil 50 450 Lard 20 180
Cocoa butter 75 675 Mineral Mix S10026 10 0
Coconut Oil, 76 35 315 DiCalcium phosphate 13 0
Minieral MixS10001 35 0 Calcium carbonate 5.5 0
Calcium Carbonate 5.5 0 Potassium citrate 16.5 0
Sodium Chloride 8 0 Vitamin Mix V10001 10 40
Potassium Citrate 10 0 Choline birartrate 2 0
Vitamin Mix V10001 10 40 FD&C Yellow dye #5 0.05 0
Choline bitartrate 2 0
Cholesterol, USP 12.5 0
Sodium cholic acid 5 0
FD&C red dye #40 0.1 0
Total 1000.1 4128 Total 1055.05 4057
<4-2> 실험군의 분배
동물수는 각 실험군당 8마리씩 배분하였다. 각각의 실험군은 일반식이를 섭취하면서 생리식염수를 위내강제투여한 정상군(Normal),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생리식염수를 위내 강제투여한 음성대조군(Negative control),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로바스타틴(lovastatin)을 양성대조약물로서 위내 강제투여한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추출물을 위내 강제투여한 실험군 (2개 실시군, #11: 벌개미취 추출물, #50: 참쑥 추출물) 등 총 5개 군으로 나누어 6주 동안 실험하였다.
<4-3> 시험물질의 투여
시험 물질은 6주간 1일 1회 위내 강제투여하였다. 시험 물질의 지정농도는 1 g 추출물 / kg 체중을 사용하였다. 음성대조군은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양성 대조군은 로바스타틴(lovastatin) 3 mg/kg 체중을 사용하였다. 시험 물질은 식이공급과 동시에 이루어졌다. 물 및 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였으며, 위내 강제투여는 매일 일정한 시간에 한 번씩 6주 동안 실시되었다.
<4-4> 체중변화 확인
6주간 체중은 투여일부터 측정하여 일주일에 한번 측정하였고, 사료 및 음료는 일주일 간격으로 하루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6주간의 실험 동안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실험군은 일반식이를 공급한 정상 실험군에 비해서 체중이 늘었다. 6주간의 실험 기간 후 정상 실험군의 평균 체중과 비교하여 고지방식이만 섭취시킨 음성 대조군의 평균 체중은 약간 증가하였다. 양성대조군의 체중은 음성 대조군의 체중보단 약간 감소하였지만 정상 실험군의 체중까지는 감소하지 않았다. 시험 물질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벌개미취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체중의 많은 감소를 보였다. 참쑥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 역시 양성 대조군보다 낮은 체중이 측정되었다(도 1).
<4-5> 지방 조직의 축적 확인
상기 6주간의 실험 종료 후에 상기 쥐를 16시간 절식 후 부검을 수행하였다. 부검시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 마취한 후, 개복하고 혈액을 채취하고, 간 조직에서 쥐의 지방 조직 정도를 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를 투여한 쥐의 간 조직은 정상식이를 투여한 간 조직에 비해서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할 정도로 지방조직이 축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4-6> 혈장내의 생화학적 지표 분석
상기 부검시 복대동맥에서 채혈하고,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은 후, 혈장에 대한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함량을 혈액생화학적 검사 자동분석기(Fuji Dri-Chem 3500, Fujifilm,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HDL 콜레스테롤은 정상식이에 비해 고지방식이 실험군에서 감소하지만,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이나 로바스타틴을 섭취시킨 실험군에서 더 이상의 변화가 없어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이 HDL-콜레스테롤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섭취시켰을 경우 LDL-콜레스테롤은 음성대조군에 비해서 감소되었고, 총콜레스테롤은 로바스타틴과 비슷한 정도로 감소되었다. 한편, 중성지방은 각 실험군에서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별 변화는 없었다(도 3). 따라서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이 주로 몸에 좋지 않은 LDL-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킴으로써 총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7> 간 조직의 비만(지질) 수치 검사
상기 채혈이 종료된 쥐는 심장관류를 실시한 후 간을 적출한 후, 적출된 간 조직을 PBS에 균질화하여 총콜레스테롤 함량과 중성지방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Folch 방법(J Biol Chem 226: 497-509, 1957)에 의하여 간 조직에서 총 지질을 추출하였으며,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Zlatkis와 Zak 등(Anal Biochem 29: 143-148, 1967)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중성지방 함량은 Biggs 등(Clin Chem 21: 437-441, 1975)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콜레스테롤은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섭취시킨 실험군에서 로바스타틴을 섭취시킨 양성 대조군보다 많은 감소를 보여주었고, 중성지방은 음성대조군에 비해 큰 변화를 보여주지 않아 혈장에서의 비만 수치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도 4).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의 간 독성 수치 검사
상기 부검시 쥐로부터 얻은 혈청에서 간 독성을 대표하는 AST(aspartate amino transferase)와 ALT(amino alanine transferase) 수치를 혈액생화학적 검사 자동분석기(Fuji Dri-Chem 3500, Fujifilm,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섭취시킨 실험군에서 음성대조군과 비슷한 정도의 간 독성 수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따라서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은 특별한 간 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의 간 조직내 지방 축적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적출된 간 조직을 사용하여 오일-레드 O 염색(oil-red O statinig) 검사를 수행하여 지방 조직의 축적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에서는 붉은 색의 지방 조직이 잘 축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성 대조군에서는 음성 대조군과 비교해서 별다른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지만,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섭취시킨 실험군에서는 지방 조직이 음성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붉은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따라서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이 지방 조직의 축적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참쑥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참쑥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벌개미취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환의 제조
참쑥 추출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5> 과립의 제조
벌개미취 추출물 150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2> 식품의 제조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실시예 <1-1>의 벌개미취 추출물 0.5 ~ 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2-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실시예 <1-1>의 벌개미취 추출물 0.1 ~ 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실시예 <1-1>의 벌개미취 추출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실시예 <1-1>의 참쑥 추출물 5 ~ 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참쑥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참쑥 추출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참쑥 추출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및
지황(0.5 중량부).
<제조예 3> 음료의 제조
<3-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참쑥 추출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3-2> 야채 주스의 제조
참쑥 추출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3-3> 과일 주스의 제조
참쑥 추출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사료첨가제의 제조
본 발명자들을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하기와 같은 조성으로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사료첨가제의 조성>
참쑥 추출물: 0.1 ~ 10% 중량부,
유기유황: 0.1 ~ 10% 중량부,
지방분해효소(Lipase): 0.001 ~ 0.01% 중량부,
제 3 인산칼슘: 1 ~ 20% 중량부,
비타민 E: 0.01 ~ 0.1% 중량부,
효소 분말: 1 ~ 10% 중량부,
유산균: 0.1 ~ 10% 중량부,
바실러스(Bacillus) 배양액: 0.01 ~ 10% 중량부, 및
포도당: 20 ~ 90% 중량부.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제, 건강식품 또는 사료첨가제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1.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또는 참쑥(Artemisia dubi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제 1항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내 지방 조직의 축적 억제 방법.
  5.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제 1항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해 방법.
  6.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또는 참쑥(Artemisia dubi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7. 벌개미취(Gymnaster koraiensis) 또는 참쑥(Artemisia dubi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KR1020100041333A 2010-05-03 2010-05-03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21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333A KR20110121849A (ko) 2010-05-03 2010-05-03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333A KR20110121849A (ko) 2010-05-03 2010-05-03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849A true KR20110121849A (ko) 2011-11-09

Family

ID=4539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333A KR20110121849A (ko) 2010-05-03 2010-05-03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18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938A (ko) 2015-06-04 2016-12-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열수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20210021333A (ko) * 2019-06-14 2021-02-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벌개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082096A (ko) * 2019-12-24 2021-07-02 (주)메이준생활건강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938A (ko) 2015-06-04 2016-12-1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열수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20210021333A (ko) * 2019-06-14 2021-02-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벌개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082096A (ko) * 2019-12-24 2021-07-02 (주)메이준생활건강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332B1 (ko) 천마와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20003693A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JP7007663B2 (ja) クロモジ抽出物
KR20140017932A (ko)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10121849A (ko) 벌개미취 또는 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0155B1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102436692B1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11846A (ko) 여주 혼합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7494938A (zh) 一种提高肉牛免疫力的中草药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018404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20140032961A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JP2009137913A (ja) 脂質代謝改善剤
KR101811210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20063216A (ja) 経口組成物
KR101293032B1 (ko) 다시마 및 부티르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7452874B2 (ja) 経口組成物
KR102142562B1 (ko) 제비집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조절 및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18319B1 (ko) 애완동물용 스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