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03317A1 -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03317A1
WO2014003317A1 PCT/KR2013/004359 KR2013004359W WO2014003317A1 WO 2014003317 A1 WO2014003317 A1 WO 2014003317A1 KR 2013004359 W KR2013004359 W KR 2013004359W WO 2014003317 A1 WO2014003317 A1 WO 201400331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indoor air
humidifying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43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공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
Priority to JP201452276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4519595A/ja
Publication of WO201400331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033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기가 탁하거나 오염되었을 때 그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실외의 청정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교환시스템과, 실내가 건조할 때에 그 건조한 실내를 가습하는 가습장치를 구비한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를 제공하여 실내를 항상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함으로써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본 발명은 실내공기가 탁하거나 오염된 경우에는 그 탁하거나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또 실내가 건조할 경우에는 그 건조한 실내를 가습하여 실내 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를 난방하는 경우에는 그 난방에 따른 실내가 건조해지고 이러한 실내공기의 건조에 의해 사람의 기관지를 해치거나 또는 실내 생활의 불쾌지수가 높아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습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습기는 그 용도 및 작동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증기식, 분무식, 기화식)로 제공되고 있다.
상기 증기식은 물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목적하는 곳에 직접 분사하는 방식이며, 분무식은 분무시 발생하는 분무력, 초음파 진동, 원심력으로 물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목적하는 곳에 분무하는 방식이고, 기화식은 물에 젖은 충전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열 교환할 때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식이다.
이중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화식은 회전식, 모세관식, 직하식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직하식이 본 발명기술과 유사하다. 즉 직하식은 충전재에 물을 공급하여 그 물을 흡수시킨 후 공기를 통과시켜 증발에 의해 가습공기를 발생시키는 기술이다.
종래의 실내공기 순환기는 가습기능이 없는 순수 공기만을 순환시키는 방식으로서, 실내를 가습하고 그와 동시에 실내 탁한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가습기와 실내공기 순환기를 각각 설치하고 가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실내공기가 탁하거나 오염되었을 때 그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실외의 청정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교환시스템과, 실내가 건조할 때에 그 건조한 실내를 가습하는 가습장치를 함께 구비한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를 제공하여 실내를 항상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함으로써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 구성은, 공기배출수단(110)의 작동과 함께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내공기흡입관(P1)과 실내공기배출관(P2)이 각각 설치되며, 공기흡입수단(120)의 작동과 함께 실외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실외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실외공기흡입관(P3)과 실외공기공급관(P4)이 각각 설치된 본체(100);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의 작동과 함께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을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그 흡입된 실내공기가 물이 적셔지면서 흘러내리는 가습유도수단(220)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기화시켜 가습공기공급관(P5)을 통하여 실내에 공급하는 가습수단(200);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에서 흡입된 공기는 실내공기배출관(P2) 쪽으로 유도하고, 상기 실외공기흡입관(P3)에서 흡입된 공기는 실외공기공급관(P4) 쪽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부 중앙부에 그 본체의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설치된 6면체의 공기유도수단(300); 상기 공기배출수단(110), 공기흡입수단(120),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실내공기가 탁하거나 오염되었을 때 그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시키고 또는 실내가 건조할 때 가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0); 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는, 실내공기를 적절하게 가습하여 습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공기의 배기 및 실외공기의 흡입을 통해 실내공기를 환기시킴으로써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관리하며, 실내의 산소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실내를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고, 또 상기 배기 및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실내 공기 중이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커버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 장치에서 가습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 장치에서 가습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 장치에서 본체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 장치에서 본체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 장치에서 공기유도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8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 장치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에서 본체(100)는, 다용도실 등 실내의 어느 선택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배출수단(110)의 작동과 함께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내공기흡입관(P1)과 실내공기배출관(P2)이 각각 설치되며, 공기흡입수단(120)의 작동과 함께 실외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실외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실외공기흡입관(P3)과 실외공기공급관(P4)이 각각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습수단(200)은, 실내가 건조할 때에 그 건조한 실내를 가습해 주는 역활을 하는 것으로, 이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의 작동과 함께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을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그 흡입된 실내공기가 물이 적셔지면서 흘러내리는 가습유도수단(220)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기화시켜 가습공기공급관(P5)을 통하여 실내에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의 공기유도수단(300)은,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에서 흡입된 공기를 실내공기배출관(P2) 쪽으로 유도하고, 상기 실외공기흡입관(P3)에서 흡입된 공기를 실외공기공급관(P4) 쪽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부 중앙부에 그 본체의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설치된 6면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400)는, 실내공기가 탁하거나 오염되었을 때 그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시키거나, 또는 실내가 건조할 때 그 건조한 실내를 가습하도록 상기 공기배출수단(110), 공기흡입수단(120),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의 탁한 공기 또는 오염된 공기를 교환시키고자 할 때에는, 공기배출수단(110)인 블로워를 작동시켜 실내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면 그 흡입력은 공기유도수단(300)을 통하여 실내공기흡입관(P1)으로 흡입력이 전달되면서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이와 같이 실내공기흡입관(P1)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유도수단(300)을 통하여 흡입되어 공기배출수단(110)인 블로워를 통해 실내공기배출관(P2)으로 배출된다.
또한 실외공기를 실내에 공급할 때에는, 공기흡입수단(120)인 블로워를 작동시켜 공기흡입력을 발생시키면 그 흡입력은 공기유도수단(300)을 통하여 실외공기흡입관(P3)으로 흡입력이 전달되면서 실외공기를 흡입하고, 이와 같이 실외공기흡입관(P3)으로 흡입된 실외공기는 상기 공기유도수단(300)을 통하여 흡입되어 공기흡입수단(120)인 블로워를 통해 실외공기공급관(P4)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고 실외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면 실내는 청정한 실외공기로 교환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교환된 실내공기를 산소농도가 풍부한 청정한 공기가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또 실내가 건조하여 가습이 필요할 때에는, 상기 공기배출수단(110)과 공기흡입수단(1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가습수단(200)의 구성인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인 블로워를 작동시키면 공기흡입력이 발생 되면서 그 흡입력이 가습유도수단(220)을 통하여 실내공기흡입관(P1)으로 전달됨으로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에서는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그 흡입된 실내공기는 가습유도수단(220)을 통과하면서 그 가습유도수단(220)의 수분을 빼앗아 가습공기로 전환되고, 그 가습공기로 전환된 가습공기는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인 블로워에 의해 가습공기공급관(P5)을 통하여 실내로 공급된다.
상기 가습공기공급관(P5)은, 가습공기 토출구에 습도측정센서(S1)가 설치되어 그 습도측정센서(S1)에서의 측정값에 따라 가습수단(200)을 계속 작동하여 실내를 가습할 것인지 아니면 가습수단(200)의 작동을 정지시켜 가습을 중단할 것인지를 제어부(400)를 통하여 제어한다.
한편 상기 실내의 룸이 복수 개 일 때에는 그 복수 개의 룸만큼 가습공기공급관(P5)을 분기하여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교환할 때에는, 제어부(400)에 형성된 실내공기교환스위치(410)를 온(ON)하여 공기배출수단(110)과 공기흡입수단(120)을 작동시켜 교환시킬 수도 있고, 실내에 산소농도측정센서(S2)를 설치하여 그 산소농도측정센서(S2)의 측정값에 따라 제어부(400)에서 제어하여 자동으로 교환시키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가습수단(200)의 구성인 가습유도수단(220)은, 물이 적셔지면서 상부에서 허부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가습유도수단(220)을 통과하는 공기는 가습유도수단(220)의 수분을 빼앗아 가습공기가 되는 것이다.
상기 가습수단(200)의 일실시 예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부에 설치된 물공급챔버(230)와, 그 물공급챔버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이 적셔지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물공급챔버(230)의 하부에 설치된 가습유도수단(220)과, 상기 가습유도수단을 흘러내리는 물을 받도록 상기 가습유도수단(220)의 하부에 설치된 물받이(240)와, 그 물받이의 물이 부족하면 물받이로 물을 보충하도록 상기 물받이(240)의 일 측에 설치된 물 보충수단(250)과, 상기 물받이(240)의 물 수위를 측정하도록 물받이에 설치된 물 수위측정기(260)와, 상기 물받이(240)의 물을 상기 물공급챔버(230)로 펌핑하여 공급하거나 또는 외부로 드레인 시키도록 설치된 펌프수단(270)과,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공기를 가습유도수단(220)을 통과시킨 후 그 가습유도수단을 통과한 가습에어를 가습공기공급관(P5)으로 배출시키는 가습공기배출수단(210)과, 상기 물 보충수단(250), 물 수위측정기(260), 펌프수단(270),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습유도수단(220)의 일실시 예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면에는 공기의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각각의 스크린 망체(222)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배수공(223)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기밀성 패널(224)을 설치하여 된 케이스(221)와, 상기 케이스(221)의 내부에 충입되어 상기 물공급챔버(230)의 물배수구(231)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적셔짐과 동시에 흘러내리도록 하는 가습필터(225)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습필터(225)는 물이 스며들거나 적셔짐과 동시에 원활하게 흘러내리면서 공기가 가습필터(225) 사이사이로 통과될 수 있는 구조의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물 보충수단(250)은, 수도시설 등으로부터 분기된 물 공급라인과 연결 설치하여 수돗물이 물받이(240)로 직접 공급되게 하는 장치인 것으로, 물받이(240)의 수위가 설정범위 이상일 때에는 물받이(240)로의 물 공급이 중단되고, 물받이(240)의 수위가 설정범위 이하일 때에는 물받이(240)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상기 물 보충수단(250)의 바람직한 예는 볼탑밸브이다.
한편 상기 볼탑밸브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이고, 그 외에도 물받이(240)의 수위가 설정범위 이상일 때에는 물받이(240)로의 물 공급이 중단되고, 물받이(240)의 수위가 설정범위 이하일 때에는 물받이(240)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밸브장치는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물 수위측정기(260)는, 물받이(240)의 물 보충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261)와, 물받이의 물 적정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262)와, 물받이의 물 넘침을 감지하는 제3센서(263)로 구성되며, 상기 펌프수단(270)은, 물받이의 물을 상기 물공급챔버(230)로 펌핑하여 공급하는 제1펌프(271)와, 물받이의 물을 외부로 드레인시키는 제2펌프(27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가습수단(200)은, 물받이(240)의 물을 제1펌프(271)가 펌프하여 물공급챔버(230)로 공급하고, 그 물을 공급받은 물공급챔버(230)의 물배수구(231)에서는 가습필터(225)로 물을 계속 골고루 공급하기 때문에 가습필터(225)는 물이 적셔짐과 동시에 흘러내려 배수공(223)을 통하여 물받이(240)로 배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습필터(225)를 통과하는 공기는 가습필터(225)의 수분을 빼앗으며 통과되기 때문에 가습공기가 되는 것이다.
상기 물받이(240)의 물 수위조절은, 제1센서(261), 제2센서(262), 제3센서(26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충분하나, 상기 제1센서(261), 제2센서(262), 제3센서(263) 즉 물 수위측정기(260)의 고장 또는 오동작으로 인하여 물받이(240)의 물이 부족하거나 넘침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볼탑밸브를 설치하였다.
또 상기 물받이(240)의 물 수위조절은 볼탑밸브에 의해서도 충분하나, 상기 볼탑밸브가 고장 또는 오동작으로 인하여 물받이(240)의 물이 부족해지거나 넘치게 될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1센서(261), 제2센서(262), 제3센서(263) 즉 물 수위측정기(260)를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물받이(240)에 설치된 볼탑밸브와 물 수위측정기(260)는 어느 하나가가 고장 또는 오동작할 때에 그를 보완해줌으로 물받이(240)의 물 수위를 항상 안정적인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실내의 가습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그에 따른 물받이의 물 넘침 또는 물 부족으로 인한 안전사고는 발생 되지 않는다.
또 상기 펌프수단(270)에서 제1펌프(271)와 제2펌프(272)를 각각 설치한 이유는, 제1펌프(271)는 물받이(240)의 물을 물공급챔버(230)로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함이고, 제2펌프(272)는 가습수단(200)의 작동이 필요 없을 때 즉 실내 가습이 필요 없을 때 물받이(240)의 물을 실외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가습수단(200)을 이용한 실내 가습을 중단하고자 제어부(400)의 전원스위치(420)를 오프하면 카운터부(430)가 카운팅하여 제2펌프(272)과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을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켜 물받이(240)에 잔류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가습필터(225)의 수분을 건조함으로 가습필터(225)에서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이 서식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습필터(225)을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제어부(400)에 형성된 세척스위치(440)를 온(ON)하여 물 보충수단(250)을 통하여 물을 물받이(240)로 설정된 시간만큼 계속 공급하고, 펌프수단(270)인 제1펌프(271) 및 제2펌프(272)를 통하여 물받이(240)의 물을 상기 물공급챔버로 공급함과 동시에 외부로 드레인시키는 작동을 일정시간 동안 실시함으로써, 상기 가습유도수단(220)의 가습필터(225)를 세척함과 동시에 물받이(240)의 물을 새로운 물로 교환함으로 가습필터(225)를 적시면서 흘러내리는 물은 항상 청정한 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물받이(240)의 일 측 제1센서(261), 제2센서(262), 제3센서(263)가 설치된 쪽에는 가습유도수단(220)의 하부로 물과 함께 배출되는 공기의 영향을 상기 제1센서(261), 제2센서(262), 제3센서(263)가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차단벽(280)을 설치하였고, 또 상기 공기차단벽(280)의 일 측에는 물받이의 물이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홀(281)을 형성시킴으로써, 물받이(240)의 물 수위는 공기차단벽(280)을 중심으로 양측이 동일한 수위를 유지한다.
상기 공기차단벽(280)을 설치하지 않게 되면, 가습유도수단(220)의 하부로 물과 함께 배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물받이의 물이 출렁이게 되고, 그 물의 출렁임으로 인하여 상기 제1센서(261), 제2센서(262), 제3센서(263) 의 오동작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각 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차단벽(280)을 설치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실외공기공급관(P4) 출측 단부는 가습공기공급관(P5)과 연결 설치되어 실외공기가 가습공기공급관(P5)을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실내의 각 룸에 실외공기공급관(P4)을 분기 배열하지 않고 가습공기공급관(P5) 하나로 실외공기공급 및 가습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인 블로워는 지지패널(170)에 설치되고, 그 지지패널(170)에는 상기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인 블로워와 연통되는 연통 홀(17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패널(170)의 양측 단부는 상부공간(R1)의 양측 각 벽에 밀착 설치되고, 상기 지지패널(170)의 상단은 뚜껑(180)의 내면과 밀착되며, 지지패널(170)의 하단은 선반(130)과 밀착됨으로 상기 상부공간(R1)은 지지패널(170)을 중심으로 양분된다.
본 발명의 본체(100) 내부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유도수단(30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의 선반(130)을 설치하여 본체(100) 내부를 상부영역(A'.A")과 하부영역(B'.B")으로 나누고, 상기 각 상부영역에는 칸막이(140)를 설치하여 독립된 각각의 제1 내지 제4 상부공간(R1.R2.R3.R4)을 마련하되, 제1상부공간(R1)에는 실내공기흡입관(P1)과 가습공기공급관(P5)의 일 측단 및 가습수단(200)이 설치되고, 제2상부공간(R2)에는 실외공기공급관(P4)의 일 측단 및 공기흡입수단(120)이 설치되며, 제3상부공간(R3)에는 실외공기흡입관(P3)의 일 측단이 설치되고, 제4상부공간(R4)에는 실내공기배출관(P2)의 일 측단 및 공기배출수단(11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상부공간(R2)은 상기 하부영역(B')과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상부공간(R4)은 하부영역(B")과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내공기흡입관(P1)으로 흡입되는 실내공기는 제1상부공간(R1)→공기유도수단(300)→하부영역(B")→제4상부공간(R4)→공기배출수단(110)→실내공기배출관(P2)으로 진행되에 실외로 배출되고, 상기 실외공기흡입관(P3)으로 흡입되는 실외공기는 제3상부공간(R3)→ 공기유도수단(300)→하부영역(B')→제2상부공간(R2)→공기흡입수단(120)→실외공기공급관(P4)→가습공기공급관(P5)으로 진행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유도수단(300) 구조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측단면은 손잡이(312)가 형성된 격벽(311)으로 밀폐되고, 그 외 나머지 상·하·좌·우 면이 개방된 6면체의 공기유도박스(310)가 마련되고, 그 공기유도박스의 내부에는 골과 산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된 공기유도패널(321)을 골과 산의 방향이 상호 엇갈리게 연속 중첩 배열시켜 된 6면체의 공기유도체(320)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기배출수단(110)인 블로워의 작동과 함께 실내공기흡입관(P1)으로 흡입되는 실내공기는 공기유도패널(321)의 골을 따라 하부영역(B")을 통하여 공기배출수단(110)을 거쳐 실내공기배출관(P2)로 진행되고, 상기 공기흡입수단(120)의 작동과 함께 실외공기흡입관(P3)으로 흡입되는 실외공기는 공기유도패널(321)을 골을 따라 하부영역(B')을 통하여 공기흡입수단(120)을 거쳐 실외공기공급관(P4)→가습공기공급관(P5)으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공기유도수단(300)은, 2개로 양분되어 공기유도수단(300)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상기 2개로 양분된 공기유도수단(300)의 상부를 향하는 면에는 실외공기흡입관(P3)을 통하여 흡입돼 들어오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필터(F)를 설치하여 실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본 발명은 본체(100)의 중앙부 양측 및 바닥면에 본체(100)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각각의 레일(160)이 설치되고, 그 각 레일(160)이 끝나는 본체(100)의 양 측면에는 개폐문(150)이 설치되며, 상기 각 레일(160)에는 공기유도수단(300)을 정면에서 볼 때 마름모형태가 되도록 끼워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유도수단(300)을 정면에서 볼 때 마름모형태가 되도록 끼워 설치하게 되면 공기유도수단(300)의 하부 모서리는 본체(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레일에 끼워 결합되는 것이고, 양측모서리는 본체(100)의 중앙부 양측 선반(130)에 형성된 레일에 끼워 결합되므로 본체(100)의 내부가 양분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가 양분되게 설치된 공기유도수단(300)의 상부 양측은 상부영역(A'.A")에 위치하고 공기유도수단(300)의 하부 양측은 하부영역(B'.B")에 위치하여 상부영역(A')의 제1상부공간(R1)에 설치된 실내공기흡입관(P1)으로 흡입되는 실내공기는 공기유도수단(300)의 일 측 상부 면을 통하여 하부영역(B")→제4상부공간(R4)→공기배출수단(110)→실내공기배출관(P2)으로 배출되고, 상기 실외공기흡입관(P3)으로 흡입되는 실외공기는 제3상부공간(R3)→ 공기유도수단(300)의 타 측 상부 면을 통하여 하부영역(B')→제2상부공간(R2)→공기흡입수단(120)→실외공기공급관(P4)→가습공기공급관(P5)으로 진행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공기흡입관(P1), 실내공기배출관(P2), 실외공기흡입관(P3), 실외공기공급관(P4), 가습공기공급관(P5)에는 각각의 밸브(B)가 설치되어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 실내공기배출관(P2), 실외공기흡입관(P3), 가습공기공급관(P5)에는 각각의 필터(F)를 각 관으로부터 분해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각 관으로 진행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 해준다.
또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 및 실내공기배출관(P2)의 입구에는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는 냉각장치와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본체(100) 상단에는 뚜껑(18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와 같은 뚜껑(180)이 본체(100)에 결합되면 그 결합된 뚜껑(180)의 내면은 본체(100)의 상단, 칸막이(140)의 상단, 공기유도수단(3000의 상단과 긴밀히 면 접촉된다.
상기 냉각장치가 작동될 때에는 실내온도가 높을 때 그 온도를 낮추기 위함이고, 가열장치가 작동될 때에는 실내온도가 낮을 때 그 온도를 높이고자 할 때이다. 상기와 같이하면 실내에 별도의 냉/난방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냉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적절하게 가습하여 습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공기의 배기 및 실외공기의 흡입을 통해 실내공기를 환기시킴으로써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관리하며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공기배출수단(110)의 작동과 함께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실내공기흡입관(P1)과 실내공기배출관(P2)이 각각 설치되며, 공기흡입수단(120)의 작동과 함께 실외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실외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실외공기흡입관(P3)과 실외공기공급관(P4)이 각각 설치된 본체(100);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의 작동과 함께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을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그 흡입된 실내공기가 물이 적셔지면서 흘러내리는 가습유도수단(220)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기화시켜 가습공기공급관(P5)을 통하여 실내에 공급하는 가습수단(200);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에서 흡입된 공기는 실내공기배출관(P2) 쪽으로 유도하고, 상기 실외공기흡입관(P3)에서 흡입된 공기는 실외공기공급관(P4) 쪽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부 중앙부에 그 본체의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설치된 6면체의 공기유도수단(300);
    상기 공기배출수단(110), 공기흡입수단(120),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실내공기가 탁하거나 오염되었을 때 그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시키고 또는 실내가 건조할 때 가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공급관(P4)의 출측 단부는, 가습공기공급관(P5)과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공기유도수단(30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의 선반(130)을 설치하여 각각의 상부영역(A'.A")과 하부영역(B'.B")으로 구분시키고, 상기 각 상부영역에는 칸막이(140)를 설치하여 독립된 각각의 제1 내지 제4 상부공간(R1.R2.R3.R4)을 마련하되, 제1상부공간(R1)에는 실내공기흡입관(P1)과 가습공기공급관(P5)의 일 측단 및 가습공기배출수단(210)과 가습유도수단(220)이 설치되고, 제2상부공간(R2)에는 실외공기공급관(P4)의 일 측단 및 공기흡입수단(120)이 설치되며, 제3상부공간(R3)에는 실외공기흡입관(P3)의 일 측단이 설치되고, 제4상부공간(R4)에는 실내공기배출관(P2)의 일 측단 및 공기배출수단(110)이 설치되며, 상기 제2상부공간(R2)은 상기 하부영역(B')과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상부공간(R4)은 하부영역(B")과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수단(300)은, 양측 단면은 손잡이(312)가 형성된 격벽(311)으로 밀폐되고, 그외 나머지 상·하·좌·우 면이 개방된 6면체의 공기유도박스(310)가 마련되고, 그 공기유도박스의 내부에는 골과 산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형성된 공기유도패널(321)을 골과 산의 방향이 상호 엇갈리게 연속 중첩 배열시켜 된 6면체의 공기유도체(32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수단(300)는,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되고, 그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된 상기 공기유도수단의 일 측에는 실외공기흡입관(P3)을 통하여 흡입돼 들어오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필터(F)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중앙부 양측 및 바닥면에는 본체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각각의 레일(160)이 설치되고, 그 각 레일이 끝나는 본체의 양 측면에는 개폐문(150)이 설치되며, 상기 각 레일에는 공기유도수단(300)을 정면에서 볼 때 마름모형태가 되도록 끼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수단(200)은, 최상부에 설치된 물공급챔버(230)와, 그 물공급챔버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이 적셔지면서 흘러내리도록 상기 물공급챔버의 하부에 설치된 가습유도수단(220)과, 그 가습유도수단을 흘러내리는 물을 받도록 상기 가습유도수단의 하부에 설치된 물받이(240)와, 그 물받이의 물이 부족하면 물받이로 물을 보충하도록 상기 물받이의 일 측에 설치된 물 보충수단(250)과, 상기 물받이의 물 수위를 측정하도록 물받이에 설치된 물 수위측정기(260)와, 상기 물받이의 물을 상기 물공급챔버로 펌프하여 공급하거나 또는 외부로 드레인시키도록 설치된 펌프수단(270)과,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공기를 가습유도수단(220)을 통과시킨 후 그 가습유도수단을 통과한 가습에어를 가습공기공급관(P5)으로 배출시키는 가습공기배출수단(210)과, 상기 물보충수단, 물 수위측정기, 펌프수단, 가습공기배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유도수단(220)은, 상부가 개방되고 전/후면에는 공기의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각각의 스크린 망체(222)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배수공(223)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기밀성 패널(224)을 설치하여 된 케이스(221)와, 상기 케이스(221)의 내부에 충입되어 상기 물공급챔버(23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적셔짐과 동시에 흘러내리도록 하는 가습필터(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보충수단(250)은, 볼탑밸브이고, 물 수위측정기(260)는, 물받이의 물보충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261)와 물받이의 물 적정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262)와 물받이의 물 넘침을 감지하는 제3센서(263)로 구성되며, 상기 펌프수단(270)은, 물받이의 물을 상기 물공급챔버로 펌프하는 제1펌프(271)와 물받이의 물을 외부로 드레인시키는 제2펌프(27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240)의 일 측 제1센서(261), 제2센서(262), 제3센서(263)가 설치된 쪽에는 가습유도수단(220)의 하부로 물과 함께 배출되는 공기의 영향을 상기 제1센서(261), 제2센서(262), 제3센서(263)가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공기차단벽(280)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차단벽(280)의 일 측에는 물받이의 물이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홀(281)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11.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수단(200)을 이용한 실내 가습을 중단하고자 제어부(400)의 전원스위치(420)를 오프하면 카운터부(430)가 카운팅하여 펌프수단(270)과 가습공기배출수단(210)을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켜 물받이(240)에 잔류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가습유도수단(220)의 수분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12.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유도수단(220)을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제어부에 형성된 세척스위치(CS)를 온(ON)하여 물 보충수단(250)을 통하여 물을 물받이(240)로 공급하고, 펌프수단(270)을 통하여 물받이의 물을 상기 물공급챔버로 공급함과 동시에 외부로 드레인시키는 작동을 일정시간 동안 실시하여 상기 가습유도수단을 세척함과 동시에 물받이의 물을 새로운 물로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 실내공기배출관(P2), 실외공기흡입관(P3), 실외공기공급관(P4), 가습공기공급관(P5)에는 그 각 관으로 진행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B1.B2.B3.B4.B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 실내공기배출관(P2), 실외공기흡입관(P3), 가습공기공급관(P5)에는 그 각 관으로 진행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F1.F2.F3.F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흡입관(P1) 및 실내공기배출관(P2)의 입구에는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는 냉각장치와 가열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PCT/KR2013/004359 2012-06-25 2013-05-16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WO201400331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22769A JP2014519595A (ja) 2012-06-25 2013-05-16 加湿機能を有する室内空気管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8140 2012-06-25
KR10-2012-0068140 2012-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03317A1 true WO2014003317A1 (ko) 2014-01-03

Family

ID=4978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4359 WO2014003317A1 (ko) 2012-06-25 2013-05-16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4519595A (ko)
KR (1) KR101433288B1 (ko)
CN (1) CN103512143B (ko)
WO (1) WO20140033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6012745A (es) * 2014-03-28 2017-04-27 Symphony Ltd Enfriador de aire.
KR20160144768A (ko) 2015-06-09 2016-12-19 주식회사 에스티 공기순환기
KR20180070373A (ko)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에스티 공기정화 및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 환기장치
CN107120752B (zh) * 2017-05-31 2019-10-11 西安交通大学 一种集中式与分布式分级加湿的新风系统
KR102037505B1 (ko) * 2017-07-07 2019-11-29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누수 방지가 가능한 공기청정기용 무전원 가습 모듈
CN111379318A (zh) * 2018-12-27 2020-07-07 海南华金钢构有限公司 一种装配式轻钢建筑通风系统
KR101998337B1 (ko) 2018-12-28 2019-10-01 공현우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
JP2020120790A (ja) * 2019-01-29 2020-08-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浄化装置
KR101999794B1 (ko) * 2019-05-17 2019-07-15 주식회사 창성엔지니어링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102026933B1 (ko) * 2019-06-03 2019-11-06 주식회사 창성엔지니어링 교실 환기시스템
KR20220006263A (ko) 2020-07-08 202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CN111780312A (zh) * 2020-07-10 2020-10-16 珠海市荣成科技有限公司 一种多点加湿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3281A (ja) * 1992-02-14 1993-08-31 Mitsubishi Electric Corp 床置形外気処理加湿清浄装置
KR20060037584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0834384B1 (ko) * 2007-10-10 2008-06-04 주식회사 다안 복합 공기조화장치
JP2009287861A (ja) * 2008-05-30 2009-12-10 Panasonic Corp 加湿換気装置
KR20110115265A (ko) * 2010-04-15 2011-10-21 정연학 습도 조절가능한 환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566B2 (ja) * 1990-06-04 1995-03-01 株式会社瀬田電機工業 循環水の浄化装置
JPH0423943U (ko) * 1990-06-15 1992-02-26
JPH04366335A (ja) * 1991-06-12 1992-12-18 Taikisha Ltd 加湿器
JP2570038B2 (ja) * 1991-12-26 1997-01-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全熱交換装置
JP3092308B2 (ja) * 1992-04-22 2000-09-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
JPH0868553A (ja) * 1994-08-29 1996-03-12 Sanyo Electric Co Ltd 換気空調装置
JP3310118B2 (ja) * 1994-09-12 2002-07-29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加湿方法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3439617B2 (ja) * 1997-03-11 2003-08-25 株式会社西建設 加湿形全熱交換装置
JP3642022B2 (ja) * 2000-11-15 2005-04-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換気装置
JP3757976B2 (ja) * 2004-04-15 2006-03-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ユニット
CN2809480Y (zh) * 2005-07-06 2006-08-23 宜兴市涂装设备厂 空调机组加湿装置
JP4816253B2 (ja) * 2006-05-26 2011-11-16 マックス株式会社 空調装置及び建物
JP2008045856A (ja) * 2006-08-21 2008-02-2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除菌装置
JP2008145047A (ja) * 2006-12-11 2008-06-26 Sharp Corp 加湿機
CN101324359A (zh) * 2007-06-11 2008-12-17 冯金国 一种节能环保空调
CN101235988A (zh) * 2008-01-07 2008-08-06 陈国宝 全新风能量回收型无尘空调器
CN201218579Y (zh) * 2008-04-03 2009-04-08 蒋国良 流体自动清洗式环保空调
CN201203223Y (zh) * 2008-05-06 2009-03-04 严国忠 一种窗式水冷环保空调
JP2010233670A (ja) * 2009-03-30 2010-10-21 Sanyo Electric Co Ltd 空気除菌装置
KR101199918B1 (ko) * 2010-04-05 2012-11-09 조현성 폐열회수 환기장치에 부착되는 에너지절약형 가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3281A (ja) * 1992-02-14 1993-08-31 Mitsubishi Electric Corp 床置形外気処理加湿清浄装置
KR20060037584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0834384B1 (ko) * 2007-10-10 2008-06-04 주식회사 다안 복합 공기조화장치
JP2009287861A (ja) * 2008-05-30 2009-12-10 Panasonic Corp 加湿換気装置
KR20110115265A (ko) * 2010-04-15 2011-10-21 정연학 습도 조절가능한 환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12143B (zh) 2016-08-03
KR101433288B1 (ko) 2014-08-25
KR20140000629A (ko) 2014-01-03
JP2014519595A (ja) 2014-08-14
CN103512143A (zh)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03317A1 (ko)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KR100838870B1 (ko) 환기장치
WO2014185613A1 (ko) 세척기능을 갖는 천장 매립 형 기화식가습기
WO2020184852A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KR20140001621A (ko)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순환기
KR102026933B1 (ko) 교실 환기시스템
CN106152319A (zh) 一种热回收降温空调器
WO2014185614A1 (ko) 벽걸이형 기화식가습기
KR20110118342A (ko) 트랜섬 및 뮬리언 매립형 창호용 환기장치
KR101565068B1 (ko) 환기 제어 기능을 갖는 가습 공기순환장치
JP2016023889A (ja) 熱交換換気装置
KR101565067B1 (ko) 가습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식 공기순환장치
KR102147161B1 (ko) 헤파필터를 내장한 전열교환기
JP2000274765A (ja) 調湿換気装置
KR101999794B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20180070373A (ko) 공기정화 및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 환기장치
KR102129080B1 (ko) 실내공기 청정 환기장치
KR100753975B1 (ko) 중간부 흡입 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열교환 환기 장치
KR100748138B1 (ko) 모듈형 공기조화시스템
KR100753976B1 (ko) 하부 흡입 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열교환 환기 장치
JP4816252B2 (ja) 空調装置及び建物
KR101330447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KR20160144768A (ko) 공기순환기
KR101710166B1 (ko) 벽걸이형 가습기
KR20160058604A (ko)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2276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098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098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