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84852A1 -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84852A1
WO2020184852A1 PCT/KR2020/002003 KR2020002003W WO2020184852A1 WO 2020184852 A1 WO2020184852 A1 WO 2020184852A1 KR 2020002003 W KR2020002003 W KR 2020002003W WO 2020184852 A1 WO2020184852 A1 WO 202018485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mist
main
main body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20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안병인
문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비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비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비코지
Publication of WO202018485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8485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Arrangement of curtai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8Floor hea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dential and rest space where companion animals can comfortably rest, while an air shower cleaning system, a mist or steam spray and shower system, and a drying system , And by removing hair, dust, odors, and various bacteria (bacteria, mold, etc.) through a plasma generator or ionizer, hygiene management of companion animals and various diseases such as skin diseases, respiratory diseases, etc. It relates to a device that can manage prevention and health.
  • Korean Utility Model No. 20-2016-0003287 (published on September 27, 2016) is a'companion animal house'. Is introduced.
  • the above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mpanion animal house in which a plurality of side plates having an entrance and at least one ventilating window are formed on all sides of the floor and a roof is dispos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ide plates.
  • the inside of the pet house is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ensor that senses the temperature
  • the inside of the pet house is equipped with a weight sensor that detects the change in weight, and when electricity flow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loor, the heat absorbing surface and the heating surface
  • a thermoelectric element is installed that absorbs or radiates heat while a temperature deviation occurs therebetween.
  • thermoelectric element adjacent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conduction member that conducts heat conduction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disposed,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according to a change in weigh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is moved or not. Control the thermoelectric element.
  • the conventional companion animal house has the advantage of only maintaining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companion animal to rest, but it does not have any function of removing odors or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from companion animals, so odors are generated in the companion animal house. There are no other measures to keep the back clean and hygienic.
  • Patent Document 1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6-0003287 (published on September 27, 2016)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dential and rest space where companion animals can comfortably rest, while an air shower cleaning system, a mist or steam spray and shower system, and a drying system , And by removing hair, dust, odors, and various bacteria (bacteria, mold, etc.) through a plasma generator or ionizer, hygiene management of companion animals and various diseases such as skin diseases, respiratory diseases, etc. Its purpose is to provide equipment and devices that can manage prevention and health.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wherein an entrance is formed in the front, a main air ven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pace, and a first auxiliary air vent is formed in the lower rear, and from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 the main body is extended to form a mist outlet through which disinfectant, cleaning solution, or water is sprayed in a mist form; and, as a plat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forming a concave surface, second auxiliary air vent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urfaces, and the concave A bottom plate having a fluid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rear bottom of the surface and a dust discharge port formed outside the concave surface; And, it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main air outlet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outlets.
  • An air blowing device that inhales and supplies, and includes a heater to heat the outside air; and a mist supply device for making the disinfectant, cleaning liquid, or water in a mist form and ejecting the disinfectant, cleaning liquid, or water into the inner space through the mist outlet; and, the It is disposed below the bottom plate and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body in a slide manner, and has a dust collect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dust discharge port, and a fluid collecting unit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from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fluid discharge port. And an air discharging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part of the collecting container and forcibly discharging air from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 a dust filter may be provided at the dust outlet of the bottom plate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collecting container, respectively, and a carbon fiber plate that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bottom plate may be provided.
  • the main body includes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an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the main air blower from the air blowing device And a duct through which air can flow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vents is formed.
  • the duct is formed such that a main duct supplying air to the main air outlet and an auxiliary duct supplying air 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outle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main air outlet may be formed in a pair spaced apart vert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n this case, the auxiliary duct is between a pair of main ducts each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pair of main air outlets. Is placed in
  • a slit for double circula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body is formed around the upper main duct among the pair of main ducts, and the slit for double circulation is formed below the main duct. In communication with the auxiliary duct.
  • an air curtain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djacent to the entrance and ejecting air downward.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ing device, the mist supply device, the air exhaust device, the carbon fiber plate, the control unit performs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ing device and the carbon fiber plate in the comfort mode. Control.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ing device, the mist supply device, and the air discharge device, and in particular, in the clean mode, the air blowing device and the air discharge device are operat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pet.
  • the air blowing device and the air discharge device are stopped, and the mist supply device is operated to eject the disinfectant, cleaning liquid or water in the form of mist on the body of the pet, and then the air blowing device and the air discharge device To gradually increase the flow of air and gradually stop the mist supply device in inverse proportion to this, and operate the air blowing device and the air discharge devi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mist supply device stops. It is controlled to dry.
  •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management devi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provide a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for the companion animal, as well as after the companion animal goes out,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sick, or a person directly bathes the companion animal. It can be very useful to take a shower when you cannot.
  •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device has a special dual air circulation structure and a forced discharge structur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mist shower system.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side.
  • FIG. 3 is a view showing various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s of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 FIG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 FIG. 6 is a view showing the duct structure and discharge structure of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rear internal structure of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 FIG. 8 is a view showing a dual air circulation structure and a forced discharge structure of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 FIG. 9 is a view showing a lower structure including a bottom plate, a collection container, and an air discharge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10, which can be used as a pet house in normal times, and a dryer capable of automatically taking a mist shower and drying when cleaning the companion animal Can also be used as. Therefore,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management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for the hygiene and health management of companion animals because it allows the indoor space to be utilized very efficiently and automatically takes a shower of the companion animal.
  • FIG. 1 and 2 show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rnally, the main body 100 is visible, and an entrance 110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 the door 112 is provided with a door 112 that is hinged and rotatable at the top of the entrance 110, and the door 112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0 in a slide manner after rotating upward as shown in FIG. 3. Since the slide-type storage door 112 does not occupy space even if the entrance 110 is opened, space utilization is excellent compared to a casement door or the like.
  • control panel 114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or various manipulations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may be covered with a rotating panel cover 116 so that an unexpected operation does not occur due to touching the companion animal. .
  • the door 112 has a degree of transparency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owner can see and confirm each other from inside and outside.
  •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10 is the main body 100 and the bottom plate 200, the air blowing device 300, the mist supply device 400, the collection bin 500, And it can be described by dividing into the air exhaust device 600.
  • the main body 100 forms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a companion animal, and serves as a frame for mounting accessory components such as the air blowing device 300 and the mist supply device 400.
  • the entrance 110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 the main air vents 120 are respectively at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pace
  • the first auxiliary air vents 122 are located below the rear, and from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 the mist outlet 124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 the bottom plate 200 is a kind of plate member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and as shown in FIG. 9,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late 200 forms a concave surface 210, and a second The auxiliary air outlet 220 is formed.
  • a fluid discharge port 230 is formed on the rear bottom of the concave surface 210, and a dust discharge port 240 is formed outside the front of the concave surface 210.
  • the concave surface 210 is intentionally made to be concave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various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vents 122 and 220 and to concentrate the fluid outlet 230.
  • the fluid outlet 230 in the bottom plate 200 is formed inside the concave surface 210, while the dust outlet 240 is formed at the farthest outside the concave surface 210
  • the purpose is to separate and collect fluid dirt such as water and urine from solid foreign matter such as dust.
  • the air blowing device 3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main fan 310 inhales external air and supplies it to the main air outlet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outlets 122, 220. do.
  • the heater 320 around the main fan 310, it is possible to supply external air by making warm ai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warm air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mode of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10.
  • the mist supply device 400 uses a mist generating device 420, for example, an ultrasonic vibrator, to form a liquid such as a disinfectant, cleaning liquid, or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water tank) 410 into a mist form, and then a mist fan 430 ) And ejected into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mist ejection port 124 of the main body 100.
  • a mist generating device 420 for example, an ultrasonic vibrator
  • two mist generating devices 420 and a mist fan 430 are provided to supply a sufficient amount of mist, and the mist outlet 124 is extended to the front i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By forming it, it is constructed so that a uniform mist action occurs throughout the interior space.
  • the mist such as disinfectant solution, cleaning solution, or water made by the mist supply device 400 may function to disinfect or wash the pet's hair.
  • the mist supply device 400 may be used for maintaining comfort as a living space by adjusting the humidity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10.
  • the reservoir cap 412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reservoir cap 412 at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liquid can be easily replenished.
  • a collection container 500 is provided below the bottom plate 200 in a slide manner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 the collection bin 500 is a kind of contaminant collection bin that collects liquids such as water or urine during a mist shower, soli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hair, and then collectively discards them later.
  • the collec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for the dust collecting unit 510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510 communicating with the dust outlet 240 of the floor plate 200 in connection with the bottom plate 200 It is divided into two areas, the fluid collection unit 520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outlet 230 of the bottom plate 200 while being connected.
  • the structure of the collection container 500 may be referred to in FIGS. 3 and 9, and the fluid collection unit 520 is sealed in all directions except for a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luid outlet 230 of the bottom plate 200 It may be desirable to reduce the likelihood of spilling out of this.
  • the air discharge device 600 is configured to forcibly discharge the 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to the outside by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unit 510 of the collecting container 500. That is, the discharge fan 610 connected to the discharge duct 620 sucks ai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dust collection unit 510 of the collection container 500 and forcibly discharges it to the discharge port 630 at the rear. .
  • the discharge duct 620 of the air discharge device 600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unit 510 of the collection container 500,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lows through the internal space. This is related to the efficient design of the external air flow,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FIG. 6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duct 140 for introducing and circulating external air into the internal space
  • FIG. 7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10 viewed from the rear. .
  • the body 100 includes an inner wall 130 and an outer wall 132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130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and between the inner wall 130 and the outer wall 132 A duct 140 through which air can flow from the air blowing device 300 to the main air outlet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outlets 122 and 220 is formed.
  • the outer wall 132 wraps it, thereby completing the structure of the duct 140.
  • the duct 140 is separated from a main duct 142 supplying air to the main air outlet 120 and an auxiliary duct 144 supplying air 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outlets 122 and 220 Is formed.
  • the main duct 142 and the auxiliary duct 144 are separated and independently formed to make the air flow in the internal space uniform by dividing the external air sucked by the main fan 310 evenly from the beginning of the flow. It is for sake.
  • the main air vents 120 may be formed in a pair spaced vert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respectively, in this case, each independently for the pair of main air vents 120 Arranging the auxiliary duct 144 between the connected pair of main ducts 142 is advantageous for equal distribution of the outside air.
  • the main role of the main air vent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vents 122 and 220 is different, but the main air vent 120 located in the center is mainly to create wind that acts directly on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primary purpose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vents 122 and 220 is to create a wind that pushes water or urine flowing through the bottom plate 200 toward the central fluid outlet 230.
  •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vents 122 and 220 also help to blow or dry the lower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but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vents ( 122, 220) is also important.
  • the reason that the first auxiliary air vent 122 is formed under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rather than the bottom plate 200 may cause an interference problem with the location of the outlet 630 of the air exhaust device 600 , In some cases, the first auxiliary air outlet 122 may be formed on the bottom plate 200.
  • main air outlet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outlets 122 and 220 form a concave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inner space, so that the ejected air is naturally and widely diffused to help uniform ventilation.
  •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double circulation slit 146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around the upper main duct 142 of the pair of main ducts 142, and the double circulation slit ( 146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auxiliary duct 144 under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double circulation slit 146 is a double that returns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outlets 122 and 22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130 and the outer wall 132 It is designed to create air circulation.
  • This double air circulation is well illustrated in FIG. 8.
  • the thin solid line indicates the flow of air entering the inner space by the main fan 310, and the broken line indicates the air in which the air in the inner space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air outlets 122 and 220 through the double circulation slit 146. Indicate the flow.
  • the air flow in the inner space is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device 600 is shown by a thick solid line.
  • the present invention takes a forced discharge method, which is not adequately discharged by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external air pressurized by the main fan 310 and the pressure rises excessively and the door 112 is forcibly opened or This is because there is a concern that companion animals may feel distressed.
  • a dust filter 150 is provided at the dust outlet 240 of the bottom plate 200 and the dust collection unit 510 of the collection container 500 to prevent dust or hair from scattering indoors.
  • the bottom plate 200 may be provided with a carbon fiber plate 250 that generates heat when supplied with power, and through this, a more pleasant environment can be created through an ondol effect that warms the floor of the body 100.
  • the pad 160 is displayed.
  • the pad 160 may be provided to give a sense of comfort and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bottom plate 200, but it is good that it is easy to wash and replace because it is freely detachable, and corresponds to the fluid outlet 230 of the bottom plate 200 There is also a hol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drainage.
  • an air curtain 70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adjacent to the entrance 110, and ejecting air downward. Air blown by the air curtain fan 710 is supplied to the air curtain 700 through the air curtain duct 720, and the air curtain 700 blows air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12, thereby creating mist in the inner space. Even if it is full, it is made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can see the outside through the door 112. Companion animals receiving wind and mist in the enclosed interior space may fall into considerable anxiety, so operating the air curtain 700 so that the owner can see the owner is very important for frequent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door environment. Improve the usability of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ing lamp and a plasma/ion generating device 800, and the lighting lamp is for lighting of an internal space, and considering the lifespan and power consumption, an LED lighting device may be preferable, and if the illuminance can be adjusted It would be even better.
  • the plasma/ion generator is for purifying odors in the internal space and causing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 the companion animal hygiene and health car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broadly divided and used as a pet house or a steam manager.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ing device 300, the mist supply device 400, the air exhaust device 600, and the carbon fiber plate 250 (operable through a control panel).
  •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ing device 300, the mist supply device 400, the air exhaust device 600, and the carbon fiber plate 250 (operable through a control panel).
  • the comfort mode refers to a mode for maintaining a comfortable living and rest environment, and since the door 112 is normally opened and used, it is not necessary to operate the air exhaust device 600.
  • the mist supply device 400 may be lightly driven to supply moisture for humidity control, if necessary.
  • the air curtain 700 may be operated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 the controller typically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air blower 300, the mist supply device 400, and the air exhaust device 600.
  • the carbon fiber plate 250 is not required to operate the carbon fiber plate 250 because there is a risk of electric leakage and there is little need to heat the bottom plate 200 during washing, and since the door 112 is closed, air The discharge device 600 must be operated.
  • the air blower 300 and the air exhaust device 600 are strongly operat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pet, and then the air blower 300 and the air are discharged. While the device 600 is temporarily stopped, the mist supply device 400 is actively operated to eject disinfectant, cleaning liquid, or water in the form of a mist on the body of the pet and sufficiently moisten it, and then the air blower 300
  • the shower process of gradually stopping the mist supply device 400 is perform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is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flow of air by operating the and air discharge device 600. The faster the air flow, the less the amount of mist is because it flexibly connects the process from showering to the drying process, and reducing the mist quickly helps the pet's psychological stability.
  • the air blower 300 and the air exhaust device 600 are oper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dry the body of the pet, whereby the pet's mist or steam The type of shower is completed.
  • the clean mode can be switched to a health management mode that reduces the amount of mist, and sprays mist by injecting and adding drugs or substances that help prevent and treat respiratory diseases and improve immunity of companion animals. By doing so, it can function to help prevent and treat respiratory diseases and strengthen immunity of companion animals.
  • a health management mode that reduces the amount of mist, and sprays mist by injecting and adding drugs or substances that help prevent and treat respiratory diseases and improve immunity of companion animals. By doing so, it can function to help prevent and treat respiratory diseases and strengthen immunity of companion animals.
  • the plasma/ion generating device 800 system alone, it can function to help health management, such as preventing skin diseases or respiratory diseases and strengthening immunity.
  • panel cover 120 main air outlet
  • first auxiliary air outlet 124 mist outlet
  • auxiliary duct 146 slit for double circulation
  • mist generator 430 mist fan
  • air curtain fan 720 air curtain 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의 좌우면 중앙부에 각각 메인 송풍구가 형성되며, 후면 하방에 제1 보조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면 후방으로부터 연장되어 소독액, 세정액 또는 물이 미스트 형태로 분무되는 미스트 분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에 설치되고 중앙부가 오목면을 이루는 판으로서, 좌우면에는 제2 보조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면의 후방 바닥에는 유체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면 전방의 밖에는 먼지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송풍구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며, 상기 외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공기 송풍장치;와, 상기 소독액, 세정액 또는 물을 미스트 형태로 만들어 상기 미스트 분출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분출하는 미스트 공급장치;와, 상기 바닥판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되며, 상기 먼지 배출구와 연통하는 먼지 수집부와, 상기 먼지 수집부에 대해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유체 배출구와 연통하는 유체 수집부를 구비하는 수집통: 및 상기 수집통의 먼지 수집부와 연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공기 배출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편히 쉴 수 있는 주거 및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에어 샤워 클리닝(Air Shower Cleaning) 시스템, 미스트 또는 스팀 분사 및 샤워(Mist/Steam Spray and Shower) 시스템, 건조(Drying) 시스템, 그리고 플라즈마 발생장치(Plasma Generator) 또는 이온 발생장치(Ionizer) 등을 통해 털, 먼지, 냄새 및 각종 세균 (박테리아, 곰팡이 등)을 제거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위생관리 및 피부병, 호흡기 질병 등의 각종 질병 예방과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을 쉬게 하는 공간으로서 여러 형태의 펫 하우스(pet house)가 제공되고 있는데, 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3287호(2016.09.27. 공개)는 '반려동물 하우스'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닥부의 사방을 출입구 및 적어도 하나의 환풍용 창이 형성된 복수의 측판부가 둘러싸도록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측판부의 상부를 덮도록 지붕을 배치한 반려동물 하우스로 구성되어 있다. 반려동물 하우스의 내부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반려동물 하우스의 내부는 중량 변화를 감지하는 중량 감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부의 일면에 접하도록 전기가 흐르면 흡열면과 발열면 사이에 온도 편차가 발생하면서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열전 소자가 설치된다. 그리고, 열전 소자에 인접해서는 상기 열전 소자에 의한 열전도가 이루어지는 열전도 부재가 배치되며, 제어부는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 중량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반려동물의 이동 여부에 따른 중량 변화에 따라 열전 소자를 제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반려동물 하우스는 단지 반려동물이 쉬기 위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반려동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 또는 이물질의 제거 기능이 전혀 없기 때문에 반려동물 하우스 내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등 청결 및 위생 유지에는 별다른 대책이 없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3287호(2016.09.27. 공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편히 쉴 수 있는 주거 및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에어 샤워 클리닝(Air Shower Cleaning) 시스템, 미스트 또는 스팀 분사 및 샤워(Mist/Steam Spray and Shower) 시스템, 건조(Drying) 시스템, 그리고 플라즈마 발생장치(Plasma Generator) 또는 이온 발생장치(Ionizer) 등을 통해 털, 먼지, 냄새 및 각종 세균 (박테리아, 곰팡이 등)을 제거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위생관리 및 피부병, 호흡기 질병 등의 각종 질병 예방과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의 좌우면 중앙부에 각각 메인 송풍구가 형성되며, 후면 하방에 제1 보조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면 후방으로부터 연장되어 소독액, 세정액 또는 물이 미스트 형태로 분무되는 미스트 분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에 설치되고 중앙부가 오목면을 이루는 판으로서, 좌우면에는 제2 보조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면의 후방 바닥에는 유체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면 전방의 밖에는 먼지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송풍구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며, 상기 외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공기 송풍장치;와, 상기 소독액, 세정액 또는 물을 미스트 형태로 만들어 상기 미스트 분출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분출하는 미스트 공급장치;와, 상기 바닥판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되며, 상기 먼지 배출구와 연통하는 먼지 수집부와, 상기 먼지 수집부에 대해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유체 배출구와 연통하는 유체 수집부를 구비하는 수집통: 및 상기 수집통의 먼지 수집부와 연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공기 배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의 먼지 배출구와 상기 수집통의 먼지 수집부에 각각 먼지 필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에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발열을 하는 탄소섬유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는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에 대해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는 상기 공기 송풍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송풍구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덕트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덕트는, 상기 메인 송풍구로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 덕트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로 공기를 공급하는 보조 덕트가 서로 분리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송풍구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좌우면에 각각 상하로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보조 덕트는 상기 한 쌍의 메인 송풍구에 대해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메인 덕트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메인 덕트 중 위쪽의 메인 덕트 주변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이중순환용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이중순환용 슬릿은 상기 본체의 하방에서 상기 보조 덕트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상면 전방에는 상기 출입구에 인접하여 하방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에어커튼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공기 송풍장치, 미스트 공급장치, 공기 배출장치, 탄소섬유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안락 모드에서 상기 공기 송풍장치와 탄소섬유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청결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송풍장치, 미스트 공급장치, 공기 배출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며, 특히 청결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송풍장치와 공기 배출장치를 작동하여 애완동물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내고, 이후 상기 공기 송풍장치와 공기 배출장치를 정지시키고, 상기 미스트 공급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몸에 상기 소독액, 세정액 또는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출하며, 다음으로 상기 공기 송풍장치와 공기 배출장치를 작동하여 점차로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하면서 이와 반비례하여 상기 미스트 공급장치를 점차로 정지시키고, 상기 미스트 공급장치가 정지한 이후에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송풍장치와 공기 배출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몸을 말려주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는 반려동물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반려동물의 외출 후나 반려동물이 아플 때 또는 사람이 반려동물을 직접 목욕시킬 수 없을 때에 간편하게 샤워를 시키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는 특별한 이중 공기순환 구조와 강제 배출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미스트 샤워 시스템의 기능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를 전면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를 후면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의 각종 개폐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의 내부공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의 덕트 구조 및 배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의 후면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의 이중 공기순환 구조와 강제 배출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바닥판과 수집통, 공기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10)에 관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반려동물이 펫 하우스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을 청결하게 닦아줄 때에는 자동으로 미스트 샤워를 하고 물기를 말릴 수 있는 건조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10)는 실내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자동으로 반려동물의 샤워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반려동물의 위생과 건강 관리에 유용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10)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여준다. 외부적으로는 본체(100)가 보이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입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출입구(110)에는 상방이 힌지 고정되어 회동할 수 있는 도어(112)가 구비되며, 도어(112)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위로 회동한 후 본체(100) 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납된다. 슬라이드 방식의 수납형 도어(112)는 출입구(110)를 개방해 놓더라도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여닫이 문 등에 비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면 전방에는 각종 조작을 위한 컨트롤 패널(114)(제어부와 연결)이 배치되는데, 반려동물이 건드려 예기치 못한 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회동식 패널 커버(116)로 가려놓을 수 있다.
여기서, 도어(112)는 안과 밖에서 반려동물과 주인이 서로를 보고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도를 가지는 것이 반려동물의 심리적 안정감을 위해 좋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10)의 내부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10)는 그 기능을 중심으로 하여, 본체(100)와 바닥판(200), 공기 송풍장치(300), 미스트 공급장치(400), 수집통(500), 그리고 공기 배출장치(600)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본체(100)는 반려동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공기 송풍장치(300)와 미스트 공급장치(400) 등의 부속 구성품을 장착하는 프레임의 역할을 한다. 전술한 것처럼 본체(100)의 전면에 출입구(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공간의 좌우면 중앙부에는 각각 메인 송풍구(120)가, 후면 하방에 제1 보조 송풍구(122)가, 그리고 상면 후방으로부터는 홈의 형태로서 미스트 분출구(124)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200)은 본체(100)의 바닥에 설치되는 일종의 플레이트 부재인데,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판(200)의 중앙부는 오목면(210)을 이루고 있으며, 좌우면에는 제2 보조 송풍구(2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면(210) 안쪽의 후방 바닥에는 유체 배출구(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면(210) 전방의 바깥으로는 먼지 배출구(24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면(210)은 각종 이물질이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122, 220)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유체 배출구(230)로 집중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오목하게 만든 것이다.
또한,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바닥판(200)에서 유체 배출구(230)는 오목면(210) 안쪽에 형성한 반면, 먼지 배출구(240)를 오목면(210) 바깥으로 가장 멀리에 형성한 것은 물기나 오줌 등의 유체 오물을 먼지 등의 고형 이물질과 확실히 분리하여 수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공기 송풍장치(300)는 본체(100)의 후면에 설치되며, 메인 팬(310)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메인 송풍구(120)와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122, 220)로 공급한다. 그리고, 히터(320)를 메인 팬(310) 주변에 설치하여 외부공기를 적절한 온도의 온풍으로 만들어 공급할 수 있다. 온풍의 온도는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10)의 사용 모드에 맞춰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미스트 공급장치(400)는 리저버(물탱크)(410)에 저장된 소독액, 세정액 또는 물 등의 액체를 미스트 발생장치(420), 예를 들면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미스트 형태로 만든 후 미스트 팬(430)으로 압송하여 본체(100)의 미스트 분출구(124)를 통해 내부공간에 분출하는 구성이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미스트 발생장치(420) 및 미스트 팬(430)을 구비하여 충분한 양의 미스트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미스트 분출구(124)를 본체(100) 상면에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 형성함으로써 내부공간 전반에 걸쳐 균일한 미스트 작용이 일어나도록 구성하고 있다.
뒤에 더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미스트 공급장치(400)에서 만든 소독액, 세정액 또는 물 등의 미스트는 반려동물의 털을 소독하거나 세척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는 근래 보급되고 있는 의류용 스팀 관리기의 기능을 연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미스트 공급장치(400)는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10) 내부공간의 습도를 조절하여 거주공간으로서의 쾌적함을 유지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액체의 보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상면 후방에 리저버 캡(412)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바닥판(200)의 하방에는 본체(100)에 대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되는 수집통(500)이 구비된다. 수집통(500)은 미스트 샤워시의 물기나 오줌 등의 액체, 먼지나 털 등의 고형 이물질을 수집하였다가 나중에 일괄하여 버릴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오염물 수거통이다. 특히, 본 발명의 수거통은 바닥판(200)과 연계하여, 바닥판(200)의 먼지 배출구(240)와 연통하는 먼지 수집부(510)와, 먼지 수집부(510)에 대해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으면서 바닥판(200)의 유체 배출구(230)와 연통하는 유체 수집부(520)의 두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수집통(500)의 구조는 도 3 및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데, 유체 수집부(520)는 바닥판(200)의 유체 배출구(230)와 연통하는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사방을 밀폐하여 오물이 밖으로 유출될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배출장치(600)는 수집통(500)의 먼지 수집부(510)와 연통하여 본체(100) 내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구성이다. 즉, 배출 덕트(620)와 연결된 배출 팬(610)이 수집통(500)의 먼지 수집부(510)를 통해 본체(100)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후면의 배출구(630)로 강제 배출한다. 공기 배출장치(600)의 배출 덕트(620)가 수집통(500)의 먼지 수집부(510)와 연결되는 것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10)가 내부공간을 유동하는 외부 공기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설계한 것과 관계가 있는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외부 공기를 내부공간으로 도입하고 순환시키기 위한 덕트(140)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10)를 후면에서 바라본 내부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체(100)는 내측벽(130)과, 상기 내측벽(130)에 대해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측벽(132)을 포함하고 있으며, 내측벽(130)과 외측벽(132) 사이에 공기 송풍장치(300)로부터 메인 송풍구(120)와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122, 220)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덕트(140)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는 덕트(140)의 벽면이 내측벽(13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으면서 외측벽(132)이 이를 감쌈으로써 덕트(140) 구조가 완성되는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덕트(140)는 메인 송풍구(120)로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 덕트(142)와,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122, 220)로 공기를 공급하는 보조 덕트(144)가 서로 분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메인 덕트(142)와 보조 덕트(144)를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형성하는 것은 메인 팬(310)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유동 초기부터 균등하게 분할함으로써 내부공간에서의 공기 흐름을 균일하게 만들기 위함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송풍구(120)는 본체(100)의 내부공간 좌우면에 각각 상하로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한 쌍의 메인 송풍구(120)에 대해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메인 덕트(142) 사이에 보조 덕트(144)를 배치하는 것이 외부 공기의 균등 배분에 유리하다.
메인 송풍구(120)와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122, 220)의 주된 역할은 다른데, 중앙에 위치한 메인 송풍구(120)는 반려동물에게 직접 작용하는 바람을 만드는 것이 주목적이고, 하방에 위치한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122, 220)는 바닥판(200)에 흐르는 물기나 오줌 등을 중앙의 유체 배출구(230) 쪽으로 밀어주는 바람을 만드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물론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122, 220) 역시 반려동물의 하반신 쪽 송풍이나 건조에 도움을 주지만, 내부공간을 빠르게 건조하고 청소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의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122, 220)의 역할도 중요하다. 참고로, 제1 보조 송풍구(122)를 바닥판(200)이 아닌 본체(100)의 후면 하방에 형성한 것은 공기 배출장치(600)의 배출구(630) 위치와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인데,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판(200)에 제1 보조 송풍구(122)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메인 송풍구(120)와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122, 220)는 내부공간에서 봤을 때 오목한 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분출되는 공기가 자연스럽게 넓게 확산되도록 하는 것이 균일한 송풍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메인 덕트(142) 중 위쪽의 메인 덕트(142) 주변으로 본체(100)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이중순환용 슬릿(146)을 형성하고, 상기 이중순환용 슬릿(146)이 본체(100)의 하방에서 보조 덕트(144)와 연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이중순환용 슬릿(146)은 내부공간에 도입된 외부 공기를 내측벽(130)과 외측벽(13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122, 220)로 다시금 되돌리는 이중 공기순환을 만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내부공간의 상부에는 먼지나 털과 같은 가벼운 이물질이 많이 분산되어 있는데, 공중에 뜬 가벼운 이물질이 하부의 수집통(500)에 수거되기에는 메인 송풍구(120)의 바람이 방해를 하게 되고, 메인 팬(310)의 작동을 멈추고 공기 배출장치(600)만 가동하더라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전력 소비도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위쪽의 메인 덕트(142) 주변의 상부에 이중순환용 슬릿(146)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압력에 의한 자연스러운 흐름을 통해 가벼운 이물질을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122, 220)로 보내고, 이후 바닥판(200) 쪽으로 불어낸 바람을 통해 수집통(500)으로 바로 수거되도록 하는 이중 공기순환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공기순환은 도 8에 잘 도시되어 있다. 가는 실선은 메인 팬(310)에 의해 내부공간으로 들어가는 공기 흐름을, 파선은 내부공간의 공기가 이중순환용 슬릿(146)을 통해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122, 220)로 도입되는 공기 흐름을 나타낸다.
또한, 도 8을 보면, 내부공간의 공기가 공기 배출장치(600)를 통해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흐름이 굵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강제 배출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메인 팬(310)으로 가압된 외부 공기가 유로 저항에 의해 적절히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공간에 쌓일 경우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도어(112)가 강제로 개방되거나 반려동물이 괴로움을 느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물기나 오줌 등의 액체는 바닥판(200)에 약간의 경사를 주는 것만으로도 중력에 의해 쉽게 수집되지만, 먼지나 털 등의 가벼운 이물질은 상대적으로 수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먼지 배출구(240)와 먼지 수집부(510)에 집중하여 공기를 강제 배출함으로써 가벼운 이물질의 수거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바닥판(200)의 먼지 배출구(240)과 수집통(500)의 먼지 수집부(510)에는 각각 먼지 필터(150)가 구비되어 먼지나 털 등이 실내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바닥판(200)에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발열을 하는 탄소섬유판(25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체(100)의 바닥을 따뜻하게 난방하는 온돌 효과를 통해 더욱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52"는 탄소섬유판(25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표시한 것이며, 도면부호 "160"은 바닥판(200)의 오목면(210) 위에 올려지는 패브릭 재질과 같은 패드(160)를 표시한 것이다. 패드(160)는 안락감을 주고 바닥판(200)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는데, 탈착이 자유로워서 세탁과 교체가 용이한 것이 좋으며, 바닥판(200)의 유체 배출구(230)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배수에 방해가 되지 않을 필요도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0)의 내부공간 상면 전방에 출입구(110)에 인접하여 하방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에어커튼(700)이 구비될 수 있다. 에어커튼 팬(710)에 의해 불어낸 공기가 에어커튼 덕트(720)를 통해 에어커튼(700)에 공급되며, 에어커튼(700)은 도어(112) 내면쪽으로 공기를 불어냄으로써 내부공간에 미스트가 충만하더라도 도어(112)를 통해 반려동물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밀폐된 내부공간 안에서 바람과 미스트를 받는 반려동물은 상당한 불안감에 빠질 수 있으므로, 에어커튼(700)을 작동하여 주인을 볼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은 본 발명을 실내환경에서 빈번히 사용하는데 매우 긴요하고 본 발명의 활용성을 제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명등 및 플라즈마/이온 발생장치(800)를 구비하고 있는데, 조명등은 내부공간의 조명을 위한 것으로서 수명과 전력소모를 고려하면 LED 조명기구가 바람직할 수 있고,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또한, 플라즈마/이온 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의 냄새를 정화하고 살균, 소독 작용을 일으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10)는 크게 나누어 펫 하우스나 스팀 관리기로 사용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공기 송풍장치(300), 미스트 공급장치(400), 공기 배출장치(600), 탄소섬유판(2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컨트롤 패널을 통해 조작 가능)하는데, 펫 하우스로 사용하는 이른바 안락 모드에서는 공기 송풍장치(300)와 탄소섬유판(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안락 모드는 편안한 주거 및 휴식 환경을 유지하는 모드를 의미하며, 통상 도어(112)를 개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공기 배출장치(600)를 작동할 필요는 없다. 공기 송풍장치(300)로 가벼운 바람을 불어내고 탄소섬유판(250)으로 바닥판(200)을 따뜻하게 함으로써 반려동물은 충분한 안락감을 느끼게 된다. 미스트 공급장치(400)는 필요하다면 습도 조절을 위해 수분을 공급하는 용도로 가볍게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에어커튼(700)을 가동하여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에 비해 미스트 및 샤워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드, 예컨대 청결 모드에서는 제어부는 공기 송풍장치(300), 미스트 공급장치(400), 공기 배출장치(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탄소섬유판(250)은 전기 누전의 위험도 있고 세척 시에 바닥판(200)을 가열할 필요는 적기 때문에 굳이 탄소섬유판(250)을 작동할 필요는 없으며, 도어(112)를 폐쇄한 상태이기 때문에 공기 배출장치(600)는 가동해야 한다.
청결 모드에서의 일련의 동작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공기 송풍장치(300)와 공기 배출장치(600)를 강하게 작동하여 애완동물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내고, 이후 공기 송풍장치(300)와 공기 배출장치(600)를 일시 정지시킨 상태에서 미스트 공급장치(400)를 활발히 작동하여 애완동물의 몸에 소독액, 세정액 또는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출하며 충분히 적시게 되며, 그 다음으로 공기 송풍장치(300)와 공기 배출장치(600)를 작동하여 점차로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하면서 이와는 반비례하여 미스트 공급장치(400)를 점차로 정지시키는 샤워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공기의 흐름이 빨라질수록 미스트의 양을 줄이는 것은 샤워 과정에서 건조 과정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유연하게 연결하고, 또한 미스트를 빨리 줄여주는 것이 반려동물의 심리 안정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미스트 공급장치(400)가 정지한 이후에는 일정 시간 동안 공기 송풍장치(300)와 공기 배출장치(600)를 작동하여 애완동물의 몸을 말려주는 건조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로써 반려동물의 미스트 또는 스팀 방식의 샤워가 완료된다.
또한, 청결 모드는 미스트의 양을 줄이는 건강관리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호흡기 질병 예방 및 치료, 면역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약품 또는 물질을 리저버(410) 속에 투입, 첨가하여 미스트를 분사함으로써 반려동물의 호흡기 질병 예방 및 치료,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이온 발생장치(800) 시스템을 단독 기동함으로써 피부병 또는 호흡기 질병 예방, 면역력 강화 등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100: 본체 110: 출입구
112: 도어 114: 컨트롤 패널
116: 패널 커버 120: 메인 송풍구
122: 제1 보조 송풍구 124: 미스트 분출구
130: 내측벽 132: 외측벽
140: 덕트 142: 메인 덕트
144: 보조 덕트 146: 이중순환용 슬릿
150: 먼지 필터 160: 패드
200: 바닥판 210: 오목면
220: 제2 보조 송풍구 230: 유체 배출구
240: 먼지 배출구 250: 탄소섬유판
300: 공기 송풍장치 310: 메인 팬
320: 히터 400: 미스트 공급장치
410: 리저버 412: 리저버 캡
420: 미스트 발생장치 430: 미스트 팬
500: 수집통 510: 먼지 수집부
520: 유체 수집부 600: 공기 배출장치
610: 배출 팬 620: 배출 덕트
630: 배출구 700: 에어커튼
710: 에어커튼 팬 720: 에어커튼 덕트
800: 조명등 및 플라즈마/이온 발생장치

Claims (11)

  1. 전면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의 좌우면 중앙부에 각각 메인 송풍구가 형성되며, 후면 하방에 제1 보조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면 후방으로부터 연장되어 소독액, 세정액 또는 물이 미스트 형태로 분무되는 미스트 분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바닥에 설치되고 중앙부가 오목면을 이루는 판으로서, 좌우면에는 제2 보조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면의 후방 바닥에는 유체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면 전방의 밖에는 먼지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판;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송풍구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며, 상기 외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공기 송풍장치;
    상기 소독액, 세정액 또는 물을 미스트 형태로 만들어 상기 미스트 분출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분출하는 미스트 공급장치;
    상기 바닥판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되며, 상기 먼지 배출구와 연통하는 먼지 수집부와, 상기 먼지 수집부에 대해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유체 배출구와 연통하는 유체 수집부를 구비하는 수집통: 및
    상기 수집통의 먼지 수집부와 연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공기 배출장치;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먼지 배출구와 상기 수집통의 먼지 수집부에 각각 먼지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발열을 하는 탄소섬유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에 대해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는 상기 공기 송풍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송풍구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덕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메인 송풍구로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 덕트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송풍구로 공기를 공급하는 보조 덕트가 서로 분리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송풍구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좌우면에 각각 상하로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덕트는 상기 한 쌍의 메인 송풍구에 대해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메인 덕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덕트 중 위쪽의 메인 덕트 주변으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이중순환용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이중순환용 슬릿은 상기 본체의 하방에서 상기 보조 덕트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 상면 전방에는 상기 출입구에 인접하여 하방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에어커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송풍장치, 미스트 공급장치, 공기 배출장치, 탄소섬유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안락 모드에서 상기 공기 송풍장치와 탄소섬유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청결 모드에서 상기 공기 송풍장치, 미스트 공급장치, 공기 배출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청결 모드에서,
    상기 공기 송풍장치와 공기 배출장치를 작동하여 애완동물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내고,
    이후 상기 공기 송풍장치와 공기 배출장치를 정지시키고, 상기 미스트 공급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몸에 상기 소독액, 세정액 또는 물을 미스트 형태로 분출하며,
    다음으로 상기 공기 송풍장치와 공기 배출장치를 작동하여 점차로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하면서 이와 반비례하여 상기 미스트 공급장치를 점차로 정지시키고,
    상기 미스트 공급장치가 정지한 이후에 일정 시간 동안 상기 공기 송풍장치와 공기 배출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몸을 말려주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PCT/KR2020/002003 2019-03-11 2020-02-13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WO202018485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79 2019-03-11
KR1020190027779A KR102017129B1 (ko) 2019-03-11 2019-03-11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4852A1 true WO2020184852A1 (ko) 2020-09-17

Family

ID=6795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2003 WO2020184852A1 (ko) 2019-03-11 2020-02-13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7129B1 (ko)
WO (1) WO20201848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3970A (zh) * 2021-12-27 2022-04-12 刘佳易 一种适用于核磁共振环境下的模块化动物转运装置
CN114949319A (zh) * 2022-07-28 2022-08-30 天津海关动植物与食品检测中心 一种空气净化机构及伴侣动物保定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129B1 (ko) * 2019-03-11 2019-09-03 주식회사 사비코지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KR102137572B1 (ko) * 2019-12-10 2020-07-28 주식회사 펫쿤 반려동물용 토탈케어 시스템
KR102409442B1 (ko) * 2020-06-18 2022-06-15 유니레즈(주) 펫 드라이 룸
KR102349761B1 (ko) * 2021-10-18 2022-01-11 (주)엠케이비즈 반려견샤워부스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096B2 (ko) * 1985-06-26 1988-02-02 Yachoda Kogyo Kk
KR200372902Y1 (ko) * 2004-10-21 2005-01-21 임재상 애완동물 목욕장치
KR200472302Y1 (ko) * 2012-08-02 2014-04-18 이기영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420436B1 (ko) * 2007-12-26 2014-07-17 아이원필름 주식회사 애완동물용 발열매트
KR20160111128A (ko) * 2015-03-16 2016-09-26 강의수 반려동물 드라이 룸
KR102017129B1 (ko) * 2019-03-11 2019-09-03 주식회사 사비코지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5096B2 (ja) * 1991-12-18 2000-01-31 株式会社大氣社 動物ケージ収容ラック
KR200481790Y1 (ko) 2015-03-16 2016-11-10 주식회사 페트롬 반려동물 하우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096B2 (ko) * 1985-06-26 1988-02-02 Yachoda Kogyo Kk
KR200372902Y1 (ko) * 2004-10-21 2005-01-21 임재상 애완동물 목욕장치
KR101420436B1 (ko) * 2007-12-26 2014-07-17 아이원필름 주식회사 애완동물용 발열매트
KR200472302Y1 (ko) * 2012-08-02 2014-04-18 이기영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20160111128A (ko) * 2015-03-16 2016-09-26 강의수 반려동물 드라이 룸
KR102017129B1 (ko) * 2019-03-11 2019-09-03 주식회사 사비코지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3970A (zh) * 2021-12-27 2022-04-12 刘佳易 一种适用于核磁共振环境下的模块化动物转运装置
CN114303970B (zh) * 2021-12-27 2022-10-28 刘佳易 一种适用于核磁共振环境下的模块化动物转运装置
CN114949319A (zh) * 2022-07-28 2022-08-30 天津海关动植物与食品检测中心 一种空气净化机构及伴侣动物保定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129B1 (ko)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84852A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WO2019017591A1 (ko) 펫 드라이 룸 및 이에 사용되는 트레이
WO2019004652A1 (ko)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KR200462906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CN205612382U (zh) 一种带有除臭功能的暖房用烘干装置
KR20160011469A (ko)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WO2021172924A2 (ko) 엘이디 광원을 이용한 의류건조기
WO2019225858A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JP3148435B2 (ja) 手乾燥装置
JP6166850B2 (ja) 介護機器の動作ヘッドにおけるインナーボウル及び介護機器
KR20180102963A (ko) 세면대 하부장
CN208175742U (zh) 一种宠物烘干装置
KR20140026050A (ko) 연속식 에어샤워부스
CN205975119U (zh) 智能内衣消毒宝
KR20110091930A (ko)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WO2021145531A1 (en) Shoe management device
CN210077477U (zh) 一种浴室柜
KR101961748B1 (ko) 반려동물용 스타일러 하우스
WO2019225862A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어셈블리
WO2021145532A1 (en) Shoe management device
WO2019225860A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
CN207369875U (zh) 宠物全自动清洗机
KR200365892Y1 (ko) 애완동물용 인큐베이터
JPH0347635Y2 (ko)
KR101063459B1 (ko) 공동주택의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690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690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