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25860A1 -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25860A1
WO2019225860A1 PCT/KR2019/004441 KR2019004441W WO2019225860A1 WO 2019225860 A1 WO2019225860 A1 WO 2019225860A1 KR 2019004441 W KR2019004441 W KR 2019004441W WO 2019225860 A1 WO2019225860 A1 WO 201922586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pet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444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소완일
이범석
신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페
Publication of WO201922586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258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3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moving along slide-ways so arranged that one guide-member of the wing move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of another guide member
    • E05D15/3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moving along slide-ways so arranged that one guide-member of the wing move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of another guide member for upwardly-moving wings, e.g. up-and-ove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d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structure of a pet dry device to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dry room that the pet enters and exits with a simple structure.
  • the types of pets vary greatly according to the tastes of people such as reptiles and amphibians as well as other mammals as well as traditional dogs and cats, and still dominate the mammals such as dogs and cats.
  • Pets should also take frequent baths for hygiene and health like humans. Since mammals usually have a lot of hair on their bodies, bathing is not only an easy task. It takes time and effort to dry it, so it takes a lot of trouble to manage pets.
  • a pet dryer for automatically drying the hair of the pet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such disadvantages, such a pet dryer is disclos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6897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As suggested in
  • the door disclosed in the pet dry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2 is provided with one side of the main body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main body.
  • the hinge bracket of the door is provided with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 the bearing wheel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respectively
  • the upper first protrusion is provided to protrude more than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lower
  • the rail groove It may include a vertical groov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ovided with a bearing wheel of the second projection, and a horizontal groov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the bearing wheel of the first projection.
  • the rail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longitudinal groove and the horizontal groove is connected, the vertical groove is formed to be inclined inward of the main body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horizontal groove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groove Can be formed.
  • an air vent for ventilating the dry room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door, thereby preventing asphyxiation of pets in the dry room.
  • the door structure of the pet d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liding the do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pet dry device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during rotation thereof by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while the door is rotated to a minimum radius, space utilization It is excellent in that the pet dry device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n a narrow sp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impl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door can be configured.
  •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et d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of the door is opened in the pet d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to 6 is a view showing a door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pet d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door is closed
  • Figure 5 is a door open state
  • Figure 6 is a fully open door It is a state.
  • formed on and “formed on the side”, etc. does not mean that the components are directly stack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cludes the meaning that other components are further formed between the components. do.
  • formed on means that the second component is form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component, as well as the third component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Include meanings that can be.
  • FIG. 1 to 6 are views illustrating a pet dry apparatus and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et d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x-shaped main body 100 and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dry room 160 in which the pet is accommodated and dried therein, as shown in Figs.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cludes a door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100.
  •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main module 110 on an upper surface, side chambers 120 on both sides, a rear chamber 130 on a rear surface, a base chamber 140 on a bottom surface, a front plate 150 on a front surface, and a front surface. It is formed in a box shape of a hexahedron including a door 200 provided in the plate 150.
  • the internal space partitioned by the main module 110, the base chamber 140, the rear chamber 130, both side chambers 120, the front plate 150 and the door 200 of the main body 100 is a pet It is provided to the dry room 160 to be accommodated and dried.
  • the main module 110 includes a housing 110a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housing 110a is provided with various control devices for operating the pet dry device.
  • the controller 114 mounted on the housing 110a of the main module 110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114, and the controller 114 is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110a (the part on the side where the door 200 is provided). It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pet dry device.
  • the blowing fan 115 is preferably provided as a sirocco fa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heater 116 for supplying hot air into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on the transfer path of air by the blower fan 115 as described above, the heater 116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of the blower fan 115 Most preferably, the heater 116 is also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14.
  • an air inlet 1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a of the main module 110 so that external air is sucked by the blower fan 115, and external air flows into the housing 110a under the air inlet 111.
  • the filter 113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outside air is provided.
  • the filter 113 is provided to be fitted in the hollow triangular filter housing 112 provided in the housing 110a below the intake port 111, and the filter housing 112 has an upper surface portion, both sides, and a front portion thereof. It is open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 the filter 113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filter housing 112 provided below the inlet port 111.
  • the foreign air is filtered by the foreign matter, and the filtered and purified external air is discharged through both sides of the filter housing 112 and introduced into the blower fan 115.
  • the air inside the dry room 160 of the main body 100 in which the pet is accommodated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filter housing 112 facing the dry room 160 and filtered outside by the filter 113. It is mixed with and is introduced into the blowing fan 115 through both sides of the filter housing 112.
  • the mixed air of the inner and outer air introduced into the blowing fan 115 is heated while being heated through the heater 116 and is supplied as hot air into the dry room 160 of the main body 100.
  • such hot air is supplied into the rear chamber 130 forming the dry room 160, and some of the hot air supplied to the rear chamber 130 is directly supplied to the dry room 160, and the remaining hot air is supplied to the side chamber (130). After entering the 120 and the base chamber 140, it is supplied into the dry room 160 through the side and bottom, respectively.
  • the front plate 150 forming the dry room 16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ring through the center portion thereof, the door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plate 150 in the penetrated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late 150. Is provided.
  • the door 200 includes a door frame 210 coupled to the open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plate 150, and a glass 220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door frame 210.
  • the glass 220 may be formed to be transparent or opaque, but the glass 220 may be formed to be transparent so that the pet in the dry room 160 may be visually observed from the outside.
  • the door frame 210 is provided with hinge brackets 230 protruding inside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inside of the dry room 160,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inge brackets 230.
  •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231 and 232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respectively.
  • the first protrusion 231 of the upper end is formed to protrude further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an the second protrusion 232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rusion 231 protruding more than the second protrusion 232.
  • the protruding length is the width of the rail groove 250 in which the bearing wheel 233 of the first protrusion 2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door 200 is closed by locking the door frame 210 to the front plate 150. It is desirable to protrude to a length that can be located in the groove 252.
  • the bearing wheel 233 of the first protrusion 231 even when the door 200 is closed by protruding the first protrusion 231 of the upper en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more than the second protrusion 232 of the lower end. Since it is always located in the horizontal groove 252 of the rail groove 250 it is possible to induce a natural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200.
  • hinge shafts 231a and 232a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surfaces facing the side chamber 120)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231 and 232, and the hinge shafts 231a are respectively formed.
  • 232a is provided with bearing wheels 233 and 234 coupled to each other in a rotatable state.
  • the bearing wheels 233 and 234 include an inner ring coupled to each of the hinge shafts 231a and 232a, and an outer ring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ring to be freely rotated independently of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is a rail groove 250 to be described later. In each cloud.
  • the door frame 210 of the door 200 is hinged to the rail groove 250 of the side chamber 120 by using the hinge brackets 230 and the plurality of bearing wheels 233 and 234 on both sides thereof.
  • the door frame 210 may be firmly installed on the front plate 150 without directly coupling the door frame 210 to the front plate 150.
  • a vent 211 for preventing the asphyxiation of pets in the dry room 160, such a vent ( 211 is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med along the front edge of the door frame 210 and the front plate 150, but only on both sides of the door frame 210 and the front plate 150 is coupled Even if formed, the dry room 160 can be sufficiently ventilated.
  • the vent 211 may be form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lengths of the hinge shafts 231a and 232a exposed between the hinge bracket 230 and the bearing wheels 233 and 234.
  • the rail groove 250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a vertical groove 251 is provided with a bearing wheel 234 of the second protrusion 23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horizontal groove 252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provided with a bearing wheel 233 of the first protrusion 231.
  • the vertical groove 251 and the horizontal groove 252 of the rail groove 250 may be formed separately, but more preferably, the horizontal groove 252 of the main body 100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groove 251 It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inwar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애완동물을 수용하여 건조시키는 드라이 룸이 있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로서, 도어는 그 양측부에 힌지브라켓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힌지브라켓의 외측에는 베어링휠이 구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본체의 내측면에는 도어의 베어링휠이 각각 결합되어 구름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도어가 본체의 내측 상부로 회전되어 출입되면서 본체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
본 발명은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 출입하는 드라이 룸의 도어를 단순한 구조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핵가족화나 독신 가구의 증가에 따른 정서적 요구의 증대 등 다양한 이유로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다.
애완동물의 종류도 전통적인 개나 고양이 뿐 아니라, 기타 다른 포유류는 물론 파충류나 양서류 등 사람들의 취향에 따라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데, 아직까지도 가장 주종을 이루는 것은 역시 개나 고양이와 같은 포유류가 차지하고 있다.
애완동물들도 사람과 같이 위생과 건강을 위해 자주 목욕을 해주어야 하는데, 포유류의 경우 통상적으로 신체에 많은 털을 갖고 있기 때문에, 목욕 자체도 쉽지 않은 작업이 될 뿐 아니라 목욕 후에 젖은 털을 사람이 직접 시간과 노력을 들여 건조시켜 주어야 하므로, 애완동물의 관리에 있어 상당한 번거로움을 안기고 있다.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여러 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사람의 모발 건조를 위해 사용되는 또는 애완동물 전용의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하여 열풍 건조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애완동물의 경우 털이 젖으면 몸을 흔들어 털어내려고 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건조 중에 자주 몸을 흔들어 주변에 물과 털이 튀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안겨주고 건조 후 청소가 필요하여 번거로움을 가중시키게 된다.
또한, 목욕이 익숙해지기 전이나 애완동물의 습성으로 인해 건조시키는 동안 애완동물이 계속 몸을 움직이거나 다른 곳으로 도망가려 하는 경우가 많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애완동물을 손으로 잡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더욱 번거롭게 되고 건조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된다.
그리고, 헤어드라이어로 털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털이 빠져서 날리거나 바닥에 떨어지는 등의 비위생적인 단점도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도록 애완동물의 털을 자동으로 건조시키는 애완동물용 건조기가 개발되었으며, 이와 같은 애완동물용 건조기는 국내 공개특허 제10-2008-0068977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서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애완동물용 건조기는, 내부에 애완동물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적어도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순환 이송시키는 모터팬; 상기 모터팬에 의한 공기의 이송 경로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모터팬의 하부에 둘레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수평 설치되며, 적어도 일측에 모터팬의 공기 유입경로와 연통된 소통구가 형성되어 모터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수용공간의 내벽면을 따라 하향 이동된 후 동물의 주위를 통해 상기 소통구 측으로 상향 이동되도록 하는 송풍안내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애완동물용 건조기의 본체에는 애완동물이 구비되는 수용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62906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서 제안된 애완동물용 건조장치에 개시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2에 개시된 애완동물용 건조장치에 개시된 도어는 본체의 일측면에 그 일측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로부터 여닫이 식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는 본체에 그 일측부가 힌지 결합된 여닫이 식의 구조이므로 애완동물용 건조기를 설치함에 있어,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해야 하므로 설치시 넓은 공간이 요구되어 공간 활용면에서 매우 불리한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은 도어를 미닫이 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즉, 본체에서 도어를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밀어 여는 경우에는 이동된 도어가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인해 애완동물용 건조기의 설치시 도어의 열림공간을 감안해야 하므로 이 역시도 공간 활용면에서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를 본체의 내측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도어의 개폐시 최소 반경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는, 내부에 애완동물을 수용하여 건조시키는 드라이 룸이 있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로서, 도어는 그 양측부에 힌지브라켓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힌지브라켓의 외측에는 베어링휠이 구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본체의 내측면에는 도어의 베어링휠이 각각 결합되어 구름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도어가 본체의 내측 상부로 회전되어 출입되면서 본체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의 힌지브라켓은 그 상,하부에 베어링휠이 각각 결합되는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가 구비되되, 상부의 제 1 돌출부가 하부의 제 2 돌출부보다 더 돌출되게 구비되고, 레일홈은 본체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 2 돌출부의 베어링휠이 구비되는 세로홈과, 본체의 내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 1 돌출부의 베어링휠이 구비되는 가로홈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레일홈은 세로홈과 가로홈이 연결되게 형성되되, 세로홈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본체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가로홈은 세로홈의 상단부에서 본체의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와 도어 사이에는 드라이 룸을 환기시키기 위한 통기구가 형성되어, 드라이 룸에 있는 애완동물의 질식사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는 그 상단부에 돌출되어 도어를 닫았을 때 전면판에 걸림 고정되는 스톱퍼가 구비되고, 그 하단부에는 전면판에 걸림 고정되어 도어를 전면판에 록킹시키는 결합돌기를 갖는 록킹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에 따르면,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본체 일면에 구비되는 도어를 이의 회전시 본체의 내측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도어가 최소 반경으로 회전되면서 본체를 개폐시킴으로써, 공간 활용이 우수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도어의 개폐구조가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외형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전면판과 도어를 일부 절개 및 분리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개폐과정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4는 도어가 닫힌 상태이고, 도 5는 도어가 열리는 상태이며, 도 6은 도어가 완전히 열려 개방된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에 형성" 및 "측면에 형성" 등은, 당해 구성요소들이 직접 접하여 적층 형성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구성요소들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형성되어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에 형성된다" 라는 것은 제 1 구성요소에 제 2 구성요소가 직접 접하여 형성되는 의미는 물론,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의 사이에 제 3 구성요소가 더 형성될 수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및 도어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드라이 룸(160)이 제공되는 박스 형태의 본체(100)와, 본체(100)의 일면에 구비되어 본체(100)를 개폐시키는 도어(2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상면의 메인모듈(110)과, 양 측면의 사이드챔버(120)와, 후면의 리어챔버(130), 바닥면의 베이스챔버(140), 전면의 전면판(150) 및 전면판(150)에 구비되는 도어(200)를 포함하여 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0)의 메인모듈(110)과 베이스챔버(140), 리어챔버(130), 양 사이드챔버(120), 전면판(150) 및 도어(200)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은 애완동물이 수용되어 건조되는 드라이 룸(160)으로 제공된다.
특히, 메인모듈(110)은 본체(100)의 상면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110a)을 포함하고, 하우징(110a)에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 제어장치들이 탑재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메인모듈(110)의 하우징(110a)에 탑재되는 제어장치에는 컨트롤러(114)가 구비되고, 컨트롤러(114)는 하우징(110a)의 전면부(도어(200)가 구비되는 측의 부위)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메인모듈(110)의 하우징(110a) 내부에는 컨트롤러(114)에 의해 제어되는 송풍팬(115)이 구비되고, 이러한 송풍팬(115)에 의해 외부 공기는 메인모듈(110)의 하우징(110a) 내로 흡입되며 본체(100) 내부의 공기는 순환 이송되어 본체(100) 내부로 재공급된다. 이러한 송풍팬(115)은 시로코팬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거나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송풍팬(115)에 의한 공기의 이송 경로 상에는 본체(10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116)가 구비되고, 이러한 히터(116)는 송풍팬(115)의 토출구에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히터(116) 역시도 컨트롤러(114)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메인모듈(110)의 하우징(110a) 상면에는 송풍팬(115)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111)가 형성되고, 흡기구(111) 하부의 하우징(110a) 내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외부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113)가 구비된다.
이러한 필터(113)는 흡기구(111) 하부의 하우징(110a) 내에 구비되는 내부가 빈 삼각형상의 필터하우징(112) 내에 끼워져 구비되고, 이러한 필터하우징(112)은 그 상면부와 양측부 및 전면부가 개구되어 바람이 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송풍팬(115)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메인모듈(110)의 흡기구(111)로 흡입되면, 흡기구(111) 하부에 구비된 필터하우징(112)의 상면부로 유입되면서 필터(113)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져 필터링되고, 필터링되어 정화된 외부 공기는 필터하우징(112)의 양측부를 통해 배출되어 송풍팬(115)으로 유입된다.
이런 과정 중에 애완동물이 수용된 본체(100)의 드라이 룸(160) 내부 공기는 드라이 룸(160)과 마주하는 필터하우징(112)의 전면부로 배출되어 필터(113)에 의해 필터링된 상태로 외부 공기와 혼합되어 필터하우징(112)의 양측부를 통해 송풍팬(115)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송풍팬(115)으로 유입된 내.외부 공기의 혼합 공기는 히터(116)를 통하면서 가열되어 본체(100)의 드라이 룸(160) 내부에 열풍으로 공급된다.
즉, 이와 같은 열풍은 드라이 룸(160)을 이루는 리어챔버(130) 내로 공급되고, 리어챔버(130)로 공급된 열풍 중 일부 열풍은 드라이 룸(160)으로 직접 공급되며 나머지 열풍은 사이드챔버(120)와 베이스챔버(140)로 유입된 후, 각각 측면과 바닥면을 통해 드라이 룸(160)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드라이 룸(160)을 이루는 전면판(150)은 그 중앙부가 관통된 사각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판(150)의 관통된 중앙부에는 전면판(150)을 개폐시키는 도어(200)가 구비된다.
도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50)의 개구된 내주면에 결합되는 도어프레임(210)과, 도어프레임(21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유리(220)를 포함하고, 유리(220)는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드라이 룸(160) 내의 애완동물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어프레임(210)은 그 양측부에 본체(100)의 내측 즉 드라이 룸(160)의 내측으로 돌출된 힌지브라켓(230)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힌지브라켓(230)의 상,하 단부에는 본체(100)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 1,2 돌출부(231)(232)가 형성된다.
이때, 상단부의 제 1 돌출부(231)는 하단부의 제 2 돌출부(232)보다 본체(100)의 내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 2 돌출부(232)보다 더 돌출된 제 1 돌출부(231)의 돌출 길이는 도어프레임(210)을 전면판(150)에 록킹시켜 도어(200)를 닫았을 때, 후술될 제 1 돌출부(231)의 베어링휠(233)이 후술될 레일홈(250)의 가로홈(252)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돌출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단부의 제 1 돌출부(231)를 하단부의 제 2 돌출부(232)보다 본체(100)의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 도어(200)가 닫혔을 때에도 제 1 돌출부(231)의 베어링휠(233)이 레일홈(250)의 가로홈(252)에 항상 위치되어 있으므로 도어(200)의 자연스런 개방 동작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 1,2 돌출부(231)(232)의 외측면(사이드챔버(120)와 마주하는 면)에는 힌지축(231a)(232a)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이 힌지축(231a)(232a)에는 각각 베어링휠(233)(234)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구비된다.
베어링휠(233)(234)은 각 힌지축(231a)(232a)에 결합되는 내륜과, 내륜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내륜과 무관하게 자유롭게 회전되는 외륜을 포함하고, 외륜은 후술될 레일홈(250)에서 각각 구름된다.
따라서, 도어(200)의 도어프레임(210)을 그 양측부의 힌지브라켓(230)과 복수의 베어링휠(233)(234)을 이용하여 사이드챔버(120)의 레일홈(250)에 각각 힌지 결합함으로써 도어프레임(210)을 전면판(150)에 직접 결합하지 않아도 도어프레임(210)을 전면판(150)에 견고히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200)의 도어프레임(210)과 전면판(150) 사이에는 드라이 룸(160)에 들어가 있는 애완동물의 질식사를 예방하기 위한 통기구(211)가 형성되고, 이러한 통기구(211)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프레임(210)과 전면판(150)의 전 테두리를 따라 형성한 것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도어프레임(210)과 전면판(150)이 결합되는 양측부에만 형성되어도 드라이 룸(160)을 충분히 환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통기구(211)는 힌지브라켓(230)과 베어링휠(233)(234) 사이에서 노출되는 힌지축(231a)(232a)의 길이에 대응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양 사이드챔버(120) 내측면에는 도어프레임(210)의 베어링휠(233)(234)이 구름되면서 가이드되는 레일홈(250)이 형성된다.
레일홈(25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 2 돌출부(232)의 베어링휠(234)이 구비되는 세로홈(251)과, 본체(100)의 내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 1 돌출부(231)의 베어링휠(233)이 구비되는 가로홈(252)을 포함한다.
이러한 레일홈(250)의 세로홈(251)과 가로홈(252)은 별개로 각각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로홈(252)은 세로홈(251)의 상단부에서 본체(100)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레일홈(250) 중 세로홈(251)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본체(100)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가로홈(252)은 세로홈(251)의 상단부에서 본체(100)의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도어프레임(210)이 본체(100)의 내측 상부로 원활히 출입되면서 본체(100)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된다.
특히, 가로홈(252)을 세로홈(251)의 상단부에서 본체(100)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면, 도어프레임(210)을 상부로 들어올리면서 회전시킬 때 가로홈(252)에서 구름되는 제 1 돌출부(231)의 베어링휠(233)이 가로홈(252)의 선단부(외측부)에서 하향 경사진 후단부(내측부)로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도어프레임(210)이 부드럽게 개방된다.
이와 더불어, 제 2 돌출부(232)의 베어링휠(234)이 구름되는 세로홈(251)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본체(100) 내측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개방시 도어프레임(210)의 회전을 더욱 부드럽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200)의 개방 후에는 제 1,2 돌출부(231)(232)의 베어링휠(233)(234)이 가로홈(252)의 후단부(내측부)와 선단부(외측부)에 각각 위치되어 도어(200)의 자중에 의해 도어프레임(210)의 개방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개방된 도어프레임(210)이 본체(100) 내에 삽입되어 구비되므로 슬림한 부피로 인해 주변 구조물이나 물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어(200)의 개방 과정에서도 도어프레임(210)이 본체(100) 내로 삽입되면서 회전되므로 도어(200)의 회전시 도어(200)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공간활용이 우수하므로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를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여도 도어(200)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210)의 상단부에는 도어프레임(210)의 전방(본체(100)의 외측 방향)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212)가 구비되고, 도어프레임(210)의 하단부에는 도어(200)를 전면판(150)에 록킹 및 해제시키는 록킹장치가 구비된다.
록킹장치는 도어프레임(210)의 하단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패널(240)을 포함하고, 록킹패널(240)은 그 하면 중앙부에 하향 돌출된 레버부(241)와, 하면 양측부에 하향 돌출되는 결합돌기(24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록킹패널(240)의 레버부(241)와 양 결합돌기(242)는 도어프레임(210)의 하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양 결합돌기(242)는 이에 대응한 전면판(150)의 결합홈(151)에 결합되어 도어(200)를 전면판(15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록킹패널(240)과 전면판(150) 사이에는 레버부(241)의 눌림에 따라 상승된 록킹패널(24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243)이 구비되고, 복귀스프링(243)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레버부(241)를 누른 외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복귀스프링(243)의 인장력에 의해 록킹패널(240)을 하강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또한, 스톱퍼(212)는 도어프레임(210)의 외주면 상단부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스톱퍼(212)에 대응한 전면판(150)의 내주면 상단부에는 도어(200)를 닫았을 때 도어프레임(210)의 스톱퍼(212)가 걸림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이탈방지홈(1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어(200)를 닫았을 때 도어프레임(210)의 스톱퍼(212)가 전면판(150)의 이탈방지홈(152)에 걸림되어 고정됨으로써 도어프레임(210)의 제 1 베어링휠(233)이 레일홈(250)의 가로홈(252) 선단부(본체(100)의 외측 방향) 측으로 더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프레임(210)의 상단부가 전면판(150)의 외측으로 밀려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를 닫았을 때는 도어프레임(210)의 스톱퍼(212)와 록킹패널(240)의 결합돌기(242)가 각각 전면판(150)의 이탈방지홈(152)과 결합홈(151)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므로 닫힌 상태의 도어프레임(210)은 전면판(150)과 그 외측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때, 전면판(150)의 결합홈(151)과 이탈방지홈(152)은 전면판(15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 측으로 단차진 홈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동작을 설명한다.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본체(100)에 닫힌 도어(200)를 열고자 할 시는, 도어(200)의 도어프레임(210) 하부와 전면판(150) 사이로 손을 밀어넣어 도어프레임(210) 하부로 돌출된 록킹패널(240)의 레버부(241)를 상방향으로 밀어 누른다.
그러면, 록킹패널(240)의 양측 하단부에서 돌출된 결합돌기(242)가 레버부(241)와 같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복귀스프링(243)을 압축시키며 도어프레임(210)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전면판(150)의 결합홈(151)으로부터 록킹패널(240)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록킹패널(240)의 록킹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도어프레임(210)의 하부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도어프레임(210)의 하부가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도어프레임(210)이 도 5와 같이 회전된다.
이때, 회전되는 도어프레임(210)의 힌지브라켓(230) 중 제 1 돌출부(231)의 베어링휠(233)은 사이드챔버(120)의 레일홈(250) 중 본체(100)의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가로홈(252)을 따라 이동되고, 제 2 돌출부(232)의 베어링휠(234)은 레일홈(250) 중 사이드챔버(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본체(100) 내측으로 기울어진 세로홈(251)을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회전되는 도어프레임(210)은 그 상단부부터 본체(100)의 내측 상부로 삽입되면서 자연스럽게 회전되고, 도어(200)의 완전 개방시는 도 6에서와 같이 세로홈(251)에서 구름되던 제 2 돌출부(232)의 베어링휠(234)이 가로홈(252)으로 진입되어 위치됨으로써 개방된 도어프레임(210)은 록킹패널(240)이 있는 도어프레임(210)의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 완전히 삽입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개방된 도어프레임(210)은 힌지브라켓(230)의 제 1,2 돌출부(231)(232)의 베어링휠(233)(234)이 가로홈(252)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도어(200)의 개방 상태를 도어(200)의 자중을 이용하여 견고히 유지할 수 있고, 개방된 도어프레임(210)이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구비되므로 슬림한 부피로 인해 주변 구조물이나 물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게다가, 도어(200)의 개방 과정에서는 도어프레임(210)이 그 상단부부터 본체(100)의 내측 상부로 점차 삽입되면서 개방되므로 도어(200)의 회전시 본체(100) 외측으로 인출되는 도어프레임(210)의 인출량이 최소화되어 공간활용이 우수하고, 이에 의해 좁은 공간에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를 설치하여도 간편하게 도어(2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5)

  1. 내부에 애완동물을 수용하여 건조시키는 드라이 룸이 있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를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로서,
    도어는 그 양측부에 힌지브라켓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힌지브라켓의 외측에는 베어링휠이 구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본체의 내측면에는 도어의 베어링휠이 각각 구름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가 본체의 내측 상부로 회전됨과 동시에 삽입되면서 개방되도록 한 레일홈이 구비되는 구비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의 힌지브라켓은 그 상,하부에 베어링휠이 각각 결합되는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가 구비되되, 상부의 제 1 돌출부가 하부의 제 2 돌출부보다 더 돌출되게 구비되고,
    레일홈은 본체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 2 돌출부의 베어링휠이 구비되는 세로홈과, 본체의 내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 1 돌출부의 베어링휠이 구비되는 가로홈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레일홈은 세로홈과 가로홈이 연결되게 형성되되, 세로홈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본체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가로홈은 세로홈의 상단부에서 본체의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와 도어 사이에는 드라이 룸을 환기시키기 위한 통기구가 형성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는 그 상단부에 돌출되어 도어를 닫았을 때 전면판에 걸림 고정되는 스톱퍼가 구비되고, 그 하단부에는 전면판에 걸림 고정되어 도어를 전면판에 록킹시키는 결합돌기를 갖는 록킹패널이 구비되는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
PCT/KR2019/004441 2018-05-21 2019-04-12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 WO201922586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846A KR102041948B1 (ko) 2018-05-21 2018-05-21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용 도어의 구조
KR10-2018-0057846 2018-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5860A1 true WO2019225860A1 (ko) 2019-11-28

Family

ID=6857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4441 WO2019225860A1 (ko) 2018-05-21 2019-04-12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1948B1 (ko)
WO (1) WO20192258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572B1 (ko) * 2019-12-10 2020-07-28 주식회사 펫쿤 반려동물용 토탈케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359U (ja) * 2000-06-26 2001-01-1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小動物用ケース
KR200472302Y1 (ko) * 2012-08-02 2014-04-18 이기영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579033B1 (ko) * 2013-09-14 2015-12-18 가부시키가이샤 도리무산교 박스형 애완 동물용 건조기
KR101672185B1 (ko) * 2015-10-28 2016-11-03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애완동물용 건조기의 분사 노즐 배치 구조
KR101840655B1 (ko) * 2017-07-17 2018-03-21 임형규 펫 드라이 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977A (ko) 2007-01-22 2008-07-25 김창환 애완동물용 건조기
KR200462906Y1 (ko) 2010-06-07 2012-10-09 우장근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359U (ja) * 2000-06-26 2001-01-1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小動物用ケース
KR200472302Y1 (ko) * 2012-08-02 2014-04-18 이기영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579033B1 (ko) * 2013-09-14 2015-12-18 가부시키가이샤 도리무산교 박스형 애완 동물용 건조기
KR101672185B1 (ko) * 2015-10-28 2016-11-03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애완동물용 건조기의 분사 노즐 배치 구조
KR101840655B1 (ko) * 2017-07-17 2018-03-21 임형규 펫 드라이 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948B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82099A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WO2019004652A1 (ko) 애완동물용 건조 장치
WO2017030364A1 (ko) 건조기
WO2021172924A2 (ko) 엘이디 광원을 이용한 의류건조기
WO2019135464A1 (ko) 의류 관리기
WO2017014500A1 (ko) 의류 건조기
WO2020105887A1 (ko) 양돈시설 환기시스템
WO2019225858A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
WO2020040451A1 (ko) 의류관리장치
WO2019216547A1 (ko) 재순환 모듈을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WO2017023122A1 (ko) 세탁물 처리장치
WO2015008919A1 (ko) 화장실 환풍 시스템
KR200462906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WO2012077858A1 (ko) 애완동물집 겸용 테이블형 가구
WO2019225860A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도어 구조
WO2021010658A1 (ko) 의류 관리기
WO2020080622A1 (ko) 반려동물용 멀티하우스
WO2015069037A1 (ko) 반려동물용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WO2018169346A1 (ko) 의류 건조기
KR200390032Y1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WO2019225862A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의 어셈블리
WO2014123377A1 (ko) 공기 처리 장치
WO2015072634A1 (ko) 신발 살균 및 건조장치
WO201705209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2019579A1 (ko) 방역을 위한 스피드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064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064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N DATED 20/04/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064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