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47422A1 - 크산텐계 자색 염료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 Google Patents

크산텐계 자색 염료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47422A1
WO2013147422A1 PCT/KR2013/001565 KR2013001565W WO2013147422A1 WO 2013147422 A1 WO2013147422 A1 WO 2013147422A1 KR 2013001565 W KR2013001565 W KR 2013001565W WO 2013147422 A1 WO2013147422 A1 WO 20131474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rmula
anion
resin composition
compound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156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순현
김정기
김정록
이도경
박헌
Original Assignee
(주)경인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인양행 filed Critical (주)경인양행
Priority to JP2015503103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5519411A/ja
Priority to US14/388,843 priority patent/US20150322265A1/en
Publication of WO20131474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47422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11/00Diaryl- or thriarylmethane dyes
    • C09B11/04Diaryl- or thriarylmethane dyes derived from triarylmethanes, i.e. central C-atom is substituted by amino, cyano, alkyl
    • C09B11/10Amino derivatives of triarylmethanes
    • C09B11/24Phthaleins containing amino groups ; Phthalanes; Fluoranes; Phthalides; Rhodamine dyes; Phthaleins having heterocyclic aryl rings; Lactone or lactame forms of triarylmethan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14Benzoxanthene dyes; Benzothioxanthen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9/00Dyes not provided for by a single group of this subclass
    • C09B69/10Polymeric dyes; Reaction products of dyes with monomers or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B69/101Polymeric dyes; Reaction products of dyes with monomers or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n anthracene dy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05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substances, e.g. indicators, for forming visible im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 C08F220/365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further carboxylic moiet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rple dye compound for color filters and a colored resin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compri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novel xanthene-based purple dye having excellent solubility, high heat resistance, ligh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to an organic solvent. It relates to a compound or a polymer thereof, a color resin composition for a color filter comprising the same, and a color filter using the same.
  • Liquid crystal displays display images using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liquid crystal materials.
  •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advantages such as light weight, low power, low driving voltage, and the like compared to a CRT, a plasma display panel, and the like.
  •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layer positioned between glass substrates.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passes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controls light transmittanc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quid crystal passes through the color filter layer and implements a full color screen by additive mixing us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color filter layer.
  • dyeing, printing, electrodeposition, and pigment dispersing methods are known as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s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 methods of using dyes have been studied.
  • heat resistance, light resistance, It is difficult to apply because of low chemical resistance, etc., compared to pigments, and the pigment dispersion method is generally applied at present because there is no economical efficiency due to a complicated process in the dyeing method.
  • Pigments are less transparent than dyes but have been overcome by advances in pigment miniaturization and dispersion techniques. Since the color filter manufactured by the pigment dispersion method uses pigments, it is stable against light, heat, solvents, etc., and when patterned by photolithography, it is easy to manufacture color filters for large screens and high-precision color displays. have.
  • Pigments used in the pigment-disperse color resists include red, green, and blue pigments, respectively, when forming an RGB color filter, and in general, yellow pigments, purple pigments,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in order to express colors more effectively.
  • a color resist solution is first applied onto a substrate by a spin coater and dried to form a coating film. Subsequently, a color pixel is obtained by pattern exposure and development of a coating film, it heat-processes at high temperature, the pattern of a 1st color is obtained, and this operation is repe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lors, and a color filter is produced.
  •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the color resist are the properties of the pigment used as the colorant, its dispersibility, and the dispersion state. Recently, with the increase in size and high definition of LCDs,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color filters such as high transmittance of color layer, high contrast ratio, narrow black matrix width and high reliability are increasing every year. As a means for satisfying these requirements, color pigments such as brightness and contrast ratio have been satisfied by miniaturizing the pigment as far as possible.
  • the pigment in the case of the pigment dispersion, the pigment is present in the form of particles, which not only scatters the light, but also causes the pigment surface area to increase rapidly du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pigment, resulting in uneven pigment particles due to deterioration of dispersion stability. It is recognized that it has reached the limit that is difficult to meet high quality requirements such as high brightness, high contrast ratio, and high resolution required.
  • high quality requirements such as high brightness, high contrast ratio, and high resolution required.
  • a pigmentation process such as salt milling is required, and such a post-treatment process may be undesirable in term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 many additives such as dispersants and pigment derivatives are required to stabilize the dispersion state, and production is possible only after a very difficult and cumbersome manufacturing process.
  • pigment dispersions require difficult storage and transportation conditions in order to maintain optimal quality.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novel xanthene violet having excellent solubility in organic solvents, especially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having heat resistance, ligh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high brightness It is to provide a dye compound and a colored resin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compris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xanthene-based purple dy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which is a polymerizable monomer.
  • X - is selected from a halogenide anion, a perhalogenate anion, a fluorine anion, an alkyl sulfate anion, a sulfonate anion and a sulfonimide anion,
  • R 1 , R 2 , R 3 and R 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yl group having 2 to 48 carbon atoms, and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arbon atom 6
  • aromatic hydrocarbons of 10 to 10
  • R 5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aturated hydrocarbon having 1 to 10 carbon atoms
  • R 6 is hydrogen or a methyl group.
  • the purple dye polymer compound obtained by using the xanthene type compound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2] as a monomer is provided.
  • X - is selected from a halogenide anion, a perhalogenate anion, a fluorine anion, an alkyl sulfate anion, a sulfonate anion and a sulfonimide anion,
  • R 7 , R 8 , R 9 and R 10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yl group having 2 to 48 carbon atoms, and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arbon atom 6 To aromatic hydrocarbons of 10 to 10,
  • R 11 i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aturated hydrocarbon having 1 to 10 carbon atoms
  • R 12 is hydrogen or a methyl group
  • the polymer compound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2,000-150,000.
  • the purple dye compound is a purple dy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1] according to claim 1; Or a purple dye polymer compound obtained by us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2] according to claim 2 as a monomer; it provides a colored resin composition for a color filter.
  • the purple dye compound may be 0.01% by weight to 5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lored resin composition.
  • the blue pigment may be a copper phthalocyanine-based blue pigment.
  • the weight ratio of the blue pigment and the purple dye compound may be 99: 1-50: 50.
  • the reactive unsaturated compound is a thermosetting monomer or oligomer; Photocurable monomers and oligomers; And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bination thereof.
  •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combination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It provides a color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manufactured using the colored resin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 the dye compound or polymer compoun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solvent resistance and excellent mixing property with the pigment with respect to the organic solvent, and also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light resistance and brightness due to the polymer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olor filter having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light resistance and brightness.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mproving the solvent resistance by introducing an anion having a high solubility to xanthene dyes, and includes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polymerizing in the molecule, that is, polymerizable, can be polymerized, the color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color filter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less color change and excellent color characteristics.
  • the purple dy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xanthene-based purple dy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s a polymerizable monomer.
  • X - is selected from a halide anion, a perhalogenate anion, a fluorine anion, an alkyl sulfate anion, a sulfonate anion and a sulfonimide anion, preferably 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or bistrifluoromethanesulfonimide anion Can be.
  • R 1 , R 2 , R 3 and R 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preferably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10;
  • it may be selected from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omatic hydrocarbon having 6 to 10 carbon atoms.
  • R 5 may be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aturated hydrocarbon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R 6 may be hydrogen or a methyl group.
  • the purple dy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urple dye polymer compound obtained by using a xanthen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as a monomer.
  • X ⁇ is selected from a halogenide anion, a perhalogenate anion, a fluorine anion, an alkyl sulfate anion, a sulfonate anion and a sulfonimide anion, preferably 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or bistrifluoromethanesulfonimide anion Can be.
  • R 7 , R 8 , R 9 and R 10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preferably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10;
  • it may be selected from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omatic hydrocarbon having 6 to 10 carbon atoms.
  • R 11 may be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aturated hydrocarbon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R 12 may be hydrogen or a methyl group.
  • the polymer compound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2,000-150,000, preferably 2,000-30,000.
  • the colored resin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ue pigment, a binder resin, a reactive unsaturated compou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 organic solvent, and an additive together with the purple dye compound.
  • the purple dye compound may be a monomer compound according to [Formula 1] or a polymer compound according to [Formula 2], a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wt% to 5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lored resin composition.
  • the said purple dye compound is contained in the said range, it is excellent in solubility to a solvent, has high brightness, and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light resistance.
  • the monomer compound according to [Formula 1] or the polymer compound according to [Formula 2], which is the purple dye compound may be used together with one or more blue pigments, and the blue pigments are generally used in colored resin compositions for color filters.
  • One or more of the blue pigments used may be selected and used, and among them, a copper phthalocyanine-based blue pigment may be included.
  • blue pigments include compounds classified as pigments in the Color Index, published by The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 Specific examples include C.I. Color Index Pigment Blue 1, 15, 15: 1, 15: 2, 15: 3, 15: 4, 15: 6, 16, 60 and the like.
  • the weight ratio of the blue pigment and the purple dye compound may be 99: 1-50-50.
  • the binder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resin capable of exhibiting binding force, and a known film-forming resin is particularly useful.
  • cellulose resins in particular carboxymethylhydroxyethyl cellulose and hydroxyethyl cellulose, acrylic acid resins, alkyd resins, melamine resins, epoxy resins, polyvinyl alcohols, polyvinyl pyrrolidones, polyamides, polyamide-imines, Binders, such as polyimide, are useful.
  • Useful binder resins also include resins having photopolymerizable unsaturated bonds, which may be, for example, acrylic resins.
  • resins having photopolymerizable unsaturated bonds which may be, for example, acrylic resins.
  • 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polymerizable monomers such as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styrene and styrene derivatives,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male Copolymers between anhydrides, polymerizable monomers containing carboxyl groups such as monoalkyl maleates and polymerizable monomers such as methacrylic acid, styrene and styrene derivatives are useful.
  • Examples include compounds containing an oxirane ring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ompound, for example, glycidyl (meth) acrylate, acryloyl glycidyl ether and monoalkylglycidyl itaconate and the like carboxyl- Reaction products of the containing polymerized compounds, and compounds each containing a hydroxyl group and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compound (unsaturated alcohol), for example, allyl alcohol, 2-butene-4-ol, oleyl alcohol, 2-hydroxyethyl
  • reaction products of (meth) acrylate, N-methylolacrylamide and the like and a carboxyl-containing polymerized compound and such a binder may contain an unsaturated compound having no isocyanate group.
  • the equivalent of the degree of unsaturation of the binder is generally 200 to 3,000, preferably 230 to 1,000, in order to provide film hardness as well as suitable photopolymerization.
  • the acid value is generally 20 to 300, preferably 40 to 200.
  •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binder is preferably 1,500 to 200,000, particularly 10,000 to 50,000 g / mol.
  • the reactive unsaturated compound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hermosetting monomer or oligomer, a photocurable monomer or oligomer, and a combination thereof, preferably the photocurable monomer, at least one reactive double bond and further reactive in the molecule It may contain a group.
  • Useful photocurable monomers in this connection are in particular reactive solvents or reactive diluents, for example mono-, di-, tri- and polyfunctional acrylates and methacrylates, vinyl ethers, glycidyl ethers and the like. Additional reactive groups include aryl, hydroxyl, phosphate, urethanes, secondary amines, N-alkoxymethyl groups and the like.
  • Monomers of this kind are known in the art and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Roempp, Lexikon, Lacke und Druckmaschine, Dr. Ulrich Zorll, Thimem Verlag Stuttgart-New York, 1998, p 491/492.
  • the choice of monomer depends in particular on the type and intensity of irradiation used, the desired reaction by the photoinitiator and the film properties.
  • These photocurable monomers can also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monomers.
  •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 thermosetting initiator, a photocuring initiator or a combination thereof, preferably a photocuring initiator, such a photocuring initiator, the absorption of visible or left ultraviolet light, for example the monomer and And / or a compound that forms a reaction intermediate capable of induc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of the binder.
  • Photocuring initiators or are known in the art and described, for example, in Roempp, Lexikon, Lacke und Druckmaschine, Dr. Ulrich Zorll, Thimem Verlag Stuttgart-New York, 1998, p 445/446.
  • the organic solvents are, for example, ketones, alkylene glycol ethers, alcohols and aromatic compounds.
  • the ketone group include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cyclohexanone and the like
  • the alkylene glycol ether group includes methyl cellosolve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butyl cellosolve (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and methyl solosolve acetate , Ethyl cellosolve acetate, butyl cellosolve acetate, eth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ethylene glycol monohexyl ether, 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diethylene glycol eth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but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dieth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 the aromatic compound group includes benzene, toluene, xylene, N-methyl-2-pyrrolidone, ethyl N-hydroxymethylpyrrolidone-2 acetate and the like.
  • Further other solvents include 1,2-propanediol diacetate, 3-methyl-3-methyl-3methoxybutyl acetate, ethyl acetate, tetrahydrofuran and the like. The above organic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a mixture.
  • the additiv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meets each purpose, and in order to improve the surface texture, fatty acids, fatty amines, alcohols, bean oils, waxes, rosins, resins, benzotriazole derivatives, and the like may be used.
  • Stearic acid or Behenic acid may be used as the fatty acid, and more preferably Stearylamine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fatty amine.
  • PGMEA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 the dye compounds of Synthesis Examples 1 to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high solubility in various solvents.
  • the compounds of Synthesis Examples 1 and 2 exhibit very high solubility in all solvents.
  • Each of th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s was applied to a glass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1 mm at a thickness of 2 ⁇ m, and dried for 90 seconds on a hot plate at 80 ° C. to form a coating film. After the glass substrate was placed in a 230 ° C. hot air dryer, it was left for 30 minutes, 1 hour, and 2 hours, and then the absorbance change rate at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was measured using UV / VIS Spectrophotometer: Agilent 8453 (Agilent). I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2].
  • Examples 1 to 4 coated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hat the change rate with time changes at high temperature is small and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 the photosensitive blue resin composition was manufactured with the following composition.
  • a colored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4, except that the compound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added instead of the compounds of Synthesis Examples 1 to 4.
  • the dye compound or polymer compoun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solvent resistance and excellent mixing property with the pigment with respect to the organic solvent, and also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light resistance and brightness due to the polymer structure, Industrial applications are expected because color filters with excellent chemical properties, light resistance and brightness can be manufactu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tical Filter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필터용 자색염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착색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신규 크산텐 자색 염료 화합물과, 이를 단량체로 하여 얻어지는 폴리머 염료 화합물을 염료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화합물 또는 그 폴리머 화합물은 유기 용제에 대해서 우수한 내용제성 및 안료와의 우수한 혼합성을 가지며, 또한 호모폴리머 구조에 의해서 내열성, 내화학성, 내광성 및 휘도가 우수하여 이를 포함하는 착색 수지 조성물은 합성수지 및 합성섬유 소재용 염료, 고분자 소재용 착색제, LCD, PDP 등에 사용되는 컬러필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산텐계 자색 염료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본 발명은 컬러필터용 자색염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 용매에 대한 개선된 용해도, 높은 내열성, 내광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신규한 크산텐계 자색 염료 화합물 또는 이의 폴리머,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물질의 광학적, 전기적 성질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한다. 액정표시장치는 CR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비교하여, 경량, 저전력, 낮은 구동 전압 등의 장점을 갖는다. 액정표시장치는 유리 기판들 사이에 위치한 액정층을 포함한다.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고, 액정층은 광의 투과율을 조절한다. 액정을 통과한 광은 컬러필터층을 통과하고, 컬러필터층을 통과한 광을 이용하여 가법 혼색에 의하여 풀 컬러 화면을 구현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소자에 사용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으로서, 염색법, 인쇄법, 전착법, 및 안료 분산법이 알려져 있으며 과거부터 염료를 사용하는 방법들이 검토는 되어 왔으나 염료를 사용한 경우 내열성, 내광성, 내화학성 등이 안료에 비해 낮은 문제가 있어 적용이 어려울 뿐 아니라 염색법의 경우 복잡한 공정으로 경제성이 없어 현재는 안료분산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안료는 염료에 비해 투명성은 떨어지지만 안료의 미세화 및 분산기술의 진보에 의해 극복되어 왔다. 안료분산법으로 제작된 컬러필터는 안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빛, 열, 용제 등에 대해 안정하며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패터닝할 경우 대화면 및 고정밀 컬러 디스플레이용 컬러필터를 제작하기 용이하여 현재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안료분산형 컬러레지스트에 사용되는 안료는 RGB 컬러필터를 형성할 경우 적색, 녹색 및 청색 안료를 각각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색상을 더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황색 안료, 보라색 안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료 분산법에 의해 컬러필터를 제작하는 방법은 우선 스핀코터로 컬러레지스트 용액을 기판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도포막을 형성시킨다. 이어서, 도포막의 패턴 노광 및 현상에 의해 착색 화소를 얻고 고온에서 가열처리하여 첫 번째 색상의 패턴을 얻고, 색상수에 상응하여 이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컬러필터를 제작한다. 컬러레지스트의 성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착색제로 사용되는 안료의 특성 및 그 분산성, 분산 상태이다. 최근 LCD의 대형화, 고정세화에 동반하여 착색층의 고투과율화, 고명암비화, 블랙매트릭스 폭의 협소화, 고신뢰성화 등 컬러필터의 요구특성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현재까지는 안료를 최대한 미세화함으로써 휘도와 명암비 등의 색특성을 만족시켜 왔다.
그러나, 안료분산액의 경우 안료가 입자상태로 존재하여 빛을 산란시킬 뿐만 아니라 안료의 미세화로 인해 안료 표면적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한 분산안정성의 악화로 인한 불균일한 안료입자의 생성 등으로 인하여 최근 요구되고 있는 고휘도, 고명암비, 고정세화 등의 높은 품질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한계점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안료분산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안정한 분산상태 및 미세화를 용이하게 위해 합성에 의해 얻어진 안료 분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으며, 솔트밀링 등 안료화 공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후처리 공정은 환경보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을 뿐 아니라 분산 상태를 안정하게 하기 위해 분산제, 안료유도체 등 수많은 첨가제가 필요하며,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운 제조공정을 거쳐야만 생산이 가능하다. 그리고, 안료분산액은 최적의 품질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까다로운 보관, 운송조건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고휘도, 고명암비 및 고해상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최근 착색제로 안료 대신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어 왔다. 그 중 크산텐 염료의 경우 청색 컬러필터의 조색용으로 많이 검토가 되어져 왔다.(특허 공개 제 2002-0002317, 특허 공개 제2006-0095475) 크산텐 염료의 경우 몰 흡광계수가 높기 때문에 다량의 염료를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 인해 착색 경화성 조성물 중의 모노머나 바인더, 광중합 개시제들의 다른 성분들에 대한 투입량에 제약을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내용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에 제약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고자 이온성 물질, 설폰아미드로의 변환된 작용기를 도입한 염료의 경우에서도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이외에 다른 용매를 사용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어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특허 공개 제 2004-0038817, 특허 공개 제 2007-0024344) 특히, 염료 용해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클로핵사논의 경우 환경유해물질로 사용에 제약이 있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에 대한 용해도가 더욱더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기 용매, 특히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에 대해서 용해도가 뛰어나며, 내열성, 내광성, 내화학성 및 고휘도를 갖는 신규의 크산텐계 자색 염료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착색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합 가능한 단량체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크산텐계 자색 염료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X-는 할론겐 음이온, 과할로겐산 음이온, 플루오르 착음이온, 알킬설페이트 음이온, 설폰산염 음이온 및 설폰 이미드 음이온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8의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탄화수소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포화 탄화수소이고,
상기 R6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크산텐계 화합물을 단량체로 하여 얻어지는 자색 염료 폴리머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X-는 할론겐 음이온, 과할로겐산 음이온, 플루오르 착음이온, 알킬설페이트 음이온, 설폰산염 음이온 및 설폰 이미드 음이온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8의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탄화수소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R1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포화 탄화수소이고,
상기 R1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상기 폴리머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150,00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색 염료 화합물; 청색 안료; 바인더 수지;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 중합 개시제; 유기용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자색 염료 화합물은 제 1 항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색 염료 화합물; 또는 제 2 항에 따른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량체로 하여 얻어지는 자색 염료 폴리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자색 염료 화합물은 상기 착색 수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청색 안료는 구리프탈로시아닌계 청색 안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청색 안료와 상기 자색 염료 화합물의 중량비가 99 : 1 - 50 : 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은 열경화성 단량체나 올리고머; 광경화성 단량체나 올리고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합 개시제는 열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화합물 또는 그 폴리머 화합물은 유기 용제에 대해서 우수한 내용제성 및 안료와의 우수한 혼합성을 가지며, 또한 폴리머 구조에 의해서 내열성, 내화학성, 내광성 및 휘도가 우수하여 이를 이용하여 내열성, 내화학성, 내광성 및 휘도가 우수한 컬러필터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의 크산텐 염료의 경우 컬러필터에 적용하기에는 내용제성이 떨어져 투입량이 적거나, 적용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크산텐 염료에 고용해성을 갖는 음이온을 도입하여 내용제성을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분자 내 중합 가능한, 즉 고분자화가 가능한 작용기를 포함하고 있어폴리머화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은 내열성이 우수하며, 색변이 적고, 색특성이 우수한 컬러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자색 염료 화합물은 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크산텐계 자색 염료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X-는 할론겐 음이온, 과할로겐산 음이온, 플루오르 착음이온, 알킬설페이트 음이온, 설폰산염 음이온 및 설폰 이미드 음이온 중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르메탄설폰산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르메탄설폰이미드 음이온일 수 있다.
상기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 내지 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8의 알케닐기,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탄화수소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포화 탄화수소일 수 있으며, 상기 R6은 수소 또는 메틸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색 염료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크산텐계 화합물을 단량체로 하여 얻어지는 자색 염료 폴리머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X-는 할론겐 음이온, 과할로겐산 음이온, 플루오르 착음이온, 알킬설페이트 음이온, 설폰산염 음이온 및 설폰이미드 음이온 중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르메탄설폰산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르메탄설폰이미드 음이온일 수 있다.
상기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 내지 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8의 알케닐기,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탄화수소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R1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포화 탄화수소일 수 있으며, 상기 R1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150,000, 바람직하게는 2,000-30,0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자색 염료 화합물과 함께 청색 안료, 바인더 수지,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 중합 개시제, 유기용제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자색 염료 화합물은 [화학식 1]에 따른 단량체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2]에 따른 폴리머 화합물이며, 상기 착색 수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자색 염료 화합물이 상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고, 고휘도를 가지며, 내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하다.
상기 자색 염료 화합물인 [화학식 1]에 따른 단량체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학식 2]에 따른 폴리머 화합물은 1종 이상의 청색 안료와 함께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청색 안료는 종래의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청색 안료들 중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구리프탈로시아닌계 청색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청색 안료의 예로는 컬러 인덱스(The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 출판)에서 피그먼트로 분류되어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C.I. 청색 안료(Color Index Pigment Blue) 1, 15, 15:1, 15:2, 15:3, 15:4, 15:6, 16, 60 등을 들 수 있다. 청색 안료와 자색 염료 화합물의 중량비는 99 : 1 - 50 : 50일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결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공지되어 있는 필름형성 수지가 유용하다.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수지, 특히 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아크릴산 수지, 알키드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민, 폴리이미드 등의 바인더 등이 유용하다.
또한, 유용한 바인더 수지에는 광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수지가 포함되며, 예를 들어, 아크릴산 수지일 수 있다. 특히, 중합성 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예를 들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드,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스티렌 유도체,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말레 무수물, 모노알킬 말레에이트과 같은 카르복시기를 함유한 중합성 단량체 및 메타아크릴산, 스티렌 및 스티렌 유도체와 같은 중합성 단량체들 간의 공중합체가 유용하다.
그러한 예로는 옥시란 고리와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을 각각 함유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 글리시딜 에테르 및 모노알킬글리시딜 이타코네이트 등과 카르복실-함유 중합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 또한 히드록실기와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불포화 알코올)을 각각 함유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알릴 알코올, 2-부텐-4-올, 올레일 알코올,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등과 카르복실-함유 중합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이 있으며, 이러한 바인더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없는 불포화 화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바인더의 불포화도의 당량(불포화 화합물 당 바인더의 분자량)은 적당한 광중합성 뿐만 아니라 필름 경도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200 내지 3,000이고,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1,000 범위일 수 있다. 필름 노광 후 충분한 알칼리 현상성을 제공하기 위해 산가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300이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00일 수 있다. 바인더의 평균분자량은 1,500 내지 200,000, 특히 10,000 내지 50,000 g/mol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은 열경화성 단량체나 올리고머, 광경화성 단량체나 올리고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경화성 단량체일 수 있으며,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반응성 이중결합 및 추가 반응성기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용한 광경화성 단량체는 특히 반응성 용매 또는 반응성 희석제, 예를들어 모노-, 디-, 트리-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에테르, 그리시딜 에테르 등이다. 추가 반응성기에는 아릴, 히드록실, 포스페이트, 우레탄, 2차 아민, N-알콕시메틸기 등이 포함된다.
이런 종류의 단량체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들어 문헌 [Roempp, Lexikon, Lacke und Druckfarben, Dr. Ulrich Zorll, Thimem Verlag Stuttgart-New York, 1998, p 491/492]에 언급되어 있다. 단량체의 선택은 특히 사용되는 조사의 종류 및 강도, 광개시제에 의한 목적 반응 및 필름 특성에 좌우된다. 이들 광경화성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단량체의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열경화 개시제, 광경화 개시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광경화 개시제일 수 있고, 이러한 광경화 개시제는, 가시광선 또는 좌외선의 흡수결과, 예를 들어 상기 단량체 및/또는 바인더의 중합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반응 중간체를 형성하는 화합물이다. 광경화 개시제 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들어 문헌 [Roempp, Lexikon, Lacke und Druckfarben, Dr. Ulrich Zorll, Thimem Verlag Stuttgart-New York, 1998, p 445/446]으로 부터 알 수 있다.
상기의 유기 용제는 예를 들어, 케톤,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알코올 및 방향족 화합물이다. 케톤 군에는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이 있고,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군에는 메틸셀로솔브(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부틸셀로솔브(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메틸솔로솔브 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베 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헥실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이소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t-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이소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t-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이 있고, 알코올 군에는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틸 알코올, 3-메틸-3-메톡시 부탄올 등이 있고, 방향족 화합물 군에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N-메틸-2-피롤리돈, 에틸 N-히드록시메틸피롤리돈-2 아세테이트 등이 있다. 추가의 다른 용제로는 1,2-프로판디올 디아세테이트, 3-메틸-3-메틸-3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이 있다. 상기의 유기 용제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각각의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바람직한 예로 표면질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방산, 지방아민, 알코올류, Bean oil, 왁스, 로진, 레진류,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방산으로는 Stearic acid 또는 Behenic acid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지방 아민으로는 Stearylami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합성예 1. [화학식 3]의 합성
(1) 반응기에 무수프탈산 15.7 g와 3-(N,N-디메틸아미노)페놀 15 g을 1,2-디클로로벤젠 56.7 g에 첨가한 후, 175 ℃로 승온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 시간 후 3-디메틸아미노페놀 10 g을 삼등분해서 투입하였고, 투입 완료 후 175 ℃에서 12 시간 반응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25 ℃ 이하로 냉각 후 3%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 g을 투입한 후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한 후 4.5% 황산 330 g을 투입한 후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층을 분리한 후 35% 염산 30 g과 염화나트륨 15 g를 투입한 후 6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결정체를 여과하였으며, 2% 염산 300 g 을 투입하여 수세한 후 80 ℃에서 건조하여 하기 [화학식 A]의 화합물 30 g을 얻었다.
[화학식 A]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05
(2) 상기 1-(1)에서 수득한 [화학식 A] 15.0 g을 디클로로메탄 210.0 g에 투입한 후 25 ℃ 이하에서 교반하였다. 염화티오닐 12.9 g를 25 ℃ 이하에서 30 분 동안 적가하였다. 투입 완료 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3 g를 25 ℃ 이하에서 30 분 동안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반응온도를 40 ℃로 승온하였다. 같은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교반 유지하고, 반응 완료 후 25 ℃ 이하로 냉각 한 후 반응액을 빙수 300 g에 투입하였다. 투입 완료 후 유기층을 분리 한 후 0 ℃ 이하로 냉각하였다.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트리에틸아민을 혼합한 후 5 ℃ 이하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완료 후 5 ℃ 이하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 200 g과 염산 10 g을 투입하였다. 층분리 후 유기층을 농축한 후 건조하여 하기 [화학식 B]의 화합물 10.0 g을 얻었다.
[화학식 B]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06
(3) 상기 1-(2)에서 수득한 [화학식 B] 10.0 g을 디클로로메탄 100 g에 투입하여 25 ℃에서 용해시켰다. 별도의 반응기에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르메탄술폰이미드 11.3 g를 물 200 g에 녹인 후 [화학식 B] 용해액에 30 분 동안 적가한 후에 약 1 시간 동안 교반하엿다. 반응 완료 후 유기층을 분리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제거한 후, 메탄올 50 g을 투입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물 200 g에 약 1 시간 동안 적가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결정을 여과한 후 물 200 g로 세정한 후 30 ℃에서 감압 건조하여 하기 [화학식 C] 화합물 9.0 g을 얻었다.
[화학식 C]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07
(4) 질소 대기 하에서 반응기에 메틸에틸케톤 22.8 g을 투입 후 70 ℃까지 승온하였다. 별도의 반응기에 얻어진 [화학식 C] 96.0 g, 메틸에틸케톤 91.1 g,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3 g을 투입 후 25 ℃에서 용해시켰다. 이렇게 준비된 용해액을 상기 준비된 메틸에틸케톤액에 3 시간 동안 70 ℃에서 투입하였다. 투입 완료 후 70 ℃에서 1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완료 후 메틸에틸케톤을 3/2 농축 후 핵산 150 g에 투입하여 결정화 후 여과를 진행하였다. 결정을 건조함으로써 [화학식 3]의 화합물 5.0 g을 얻었다.
수평균 분자량 Mn=4250, 중량 평균 분자량 6018, 분산도 PD=3.4
합성예 2. [화학식 4]의 합성
(1) 반응기에 무수프탈산 15.7 g와 3-(N,N-디에틸아미노)페놀 18.0 g을 1,2-디클로로벤젠 57.0 g에 첨가한 후, 175 ℃로 승온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시간 후 3-(N,N-디에틸아미노)페놀 12.1 g를 삼등분해서 투입하였다. 투입 완료 후 175 ℃에서 12 시간 반응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25 ℃ 이하로 냉각 후 3%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 g을 투입한 후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4.5% 황산 330 g을 투입한 후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층을 분리한 후 35% 염산 30 g과 염화나트륨 15 g를 투입한 후 6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 후 결정체를 여과하였다. 2% 염산 300 g을 투입하여 수세한 후 80 ℃에서 건조하여 하기 [화학식 D]의 화합물 35 g을 얻었다.
[화학식 D]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08
(2) 상기 2-(1)에서 수득한 [화학식 D] 17.0 g을 디클로로메탄 238.0 g에 투입한 후 25 ℃ 이하에서 교반시켰다. 염화티오닐 12.9 g를 25 ℃ 이하에서 30 분 동안 적가하였다. 투입 완료 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3 g를 25 ℃ 이하에서 30 분 동안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반응온도를 40 ℃로 승온하였다. 같은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을 유지하였다. 반응 완료 후 25 ℃ 이하로 냉각한 후 반응액을 빙수 300 g에 투입하였다. 투입 완료 후 유기층을 분리한 후 0 ℃ 이하로 냉각하였다.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와 트리에틸아민을 혼합한 후 5 ℃ 이하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완료 후 5 ℃ 이하에서 2 시간 교반 후 물 200.0 g와 염산 10.0 g을 투입하였다. 층분리 후 유기층을 농축 후 건조하여 [화학식 E] 11.0 g을 얻었다.
[화학식 E]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09
(3) 상기 2-(2)에서 수득한 [화학식 E] 11.0 g를 디클로로메탄 100 g에 투입하여 실온에서 용해하였다.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르메탄술폰이미드 13.3 g을 물 200 g에 녹인 후 디클로로메탄 용해액에 30 분 동안 적가한 후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유기층을 분리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제거한 후, 메탄올 50 g을 투입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물 200 g에 약 1 시간 동안 적가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석출한 염료를 여과 한 후 물 200 g으로 세정한 후 30 ℃에서 감압 건조하여 [화학식 F]의 화합물 9.5 g을 얻었다.
[화학식 F]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10
(4) 질소 대기 하에서 반응기에 메틸에틸케톤 25.5 g을 투입 후 70 ℃까지 승온하였다. 별도의 반응기에 얻어진 [화학식 F] 6.4 g을 메틸에틸케톤 97.8 g,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3 g에 투입 후 25 ℃에서 용해시켰다. 이렇게 준비된 용해액을 상기 준비된 메틸에틸케톤액에 3 시간 동안 70 ℃에서 투입하였다. 투입 완료 후 70 ℃에서 12 시간 유지하였다. 반응 완료 후 메틸에틸케톤을 3/2 농축 후 핵산 150 g에 투입하여 결정화 후 여과를 진행하였다. 결정을 건조함으로써 [화학식 4]의 화합물 5.4 g을 얻었다.
수평균 분자량 Mn=4184, 중량 평균 분자량 5386, 분산도 PD=3.02
합성예 3. [화학식 5]의 합성
(1) 상기 합성예 1에서 합성된 [화학식 B] 10 g을 디클로로메탄 100 g에 투입하여 25 ℃에서 용해하였다. 별도의 반응기에 나트륨 트리플루오르메탄술폰산 6.8 g을 물 200 g에 녹인 후 [화학식 B] 용해액에 30 분 동안 적가한 후 약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유기층을 분리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제거한 후, 메탄올 50 g을 투입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물 200 g에 약 1 시간 동안 적가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물 200 g으로 세정한 후 30 ℃에서 감압 건조하여 [화학식 G]의 화합물 7.5 g을 얻었다.
[화학식 G]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11
(2) 질소 대기하에서 반응기에 메틸에틸케톤 19.1 g 투입 후 70 ℃까지 승온하였다. 별도의 반응기에 얻어진 [화학식 G] 135.0 g을 메틸에틸케톤 76.3g,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3 g에 투입 후 70 ℃에서 용해시켰다. 이렇게 준비된 용해액을 상기 준비된 메틸에틸케톤액에 3 시간 동안 70 ℃에서 투입하였다. 투입 완료 후 70 ℃에서 12 시간 유지하였다. 반응 완료 후 메틸에틸케톤을 3/2 농축 후 핵산 100 g에 투입하여 결정화 후 여과를 진행하였다. 결정을 건조함으로써 [화학식 5]의 화합물 4.1 g을 얻었다.
수평균 분자량 Mn=4832, 중량 평균 분자량 5703, 분산도 PD=3.10
합성예 4. [화학식 6]의 합성
(1) 상기 합성예 2에서 얻어진 [화학식 E] 11 g을 디클로로 메탄 100 g에 투입하여 실온에서 용해하였다. 나트륨 트리플루오르메탄술폰산 6.8 g을 물 200 g에 녹인 후 디클로로메탄 용해액에 30 분 동안 적가한 후 약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유기층을 분리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제거한 후, 메탄올 50 g을 투입하여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물 200 g에 약 1 시간 동안 적가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석출한 염료를 여과 한 후 물 200 g로 세정한 후 30 ℃에서 감압 건조하여 [화학식 H]의 화합물 8.0 g을 얻었다.
[화학식 H]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12
(2) 질소 대기 하에서 반응기에 메틸에틸케톤 20.8 g을 투입 후 70 ℃까지 승온하였다. 별도의 반응기에 얻어진 [화학식 H] 5.4 g을 메틸에틸케톤 83.0 g,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0.3 g에 투입 후 70 ℃에서 용해시켰다. 이렇게 준비된 용해액을 상기 준비된 메틸에틸케톤액에 3 시간 동안 70 ℃에서 투입하였다. 투입 완료 후 70 ℃에서 12 시간 유지하였다. 반응 완료 후 메틸에틸케톤을 3/2 농축 후 핵산 100 g에 투입하여 결정화 후 여과를 진행하였다. 결정을 건조함으로써 [화학식 6]의 화합물 4.6 g을 얻었다.
수평균 분자량 Mn=4713, 중량 평균 분자량 5376, 분산도 PD=3.05
비교예 1. [Rhodamine B]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13
비교예 2. [Basic Violet 11]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14
비교예 3. [일본 공개특허 6-230210, 일본 공개특허 7-242651]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15
실험예 1. 용해도 평가
합성예 1 내지 4,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염료 화합물에 대하여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및 시클로헥사논에 각각 용해하여 용해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용매 합성예 1 합성예 2 합성예 3 합성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PGMEA >10% >10% 0.6% 0.8% < 0.1% < 0.1% 0.4%
PGME >10% >10% 6.5% 7.2% 1.2% 1.4% 4.5%
시클로헥사논 >10% >10% >10% >10% 0.4% 0.5% 6.3%
PGMEA :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PGME :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예 1 내지 4의 염료 화합물들은 다양한 용매들에서 높은 용해도를 나타낸다. 특히, 합성예 1, 2의 화합물은 모든 용매에서 매우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내열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염료 화합물 1 g, PGME 15 g, N,N-디메틸포름아미드 3 g 및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17 g으로 내열성 평가를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두께 1 mm의 유리기판 상에 2 μm의 두께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각각 도포하고, 80 ℃의 핫플레이트 상에서 90 초 동안 건조시켜 도포막을 형성하였다. 유리 기판을 230 ℃ 열풍 건조기에 투입한 후 30 분, 1 시간, 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UV/VIS Spectrophotometer:Agilent 8453(Agilent 사)를 이용하여 최대흡수파장에서의 흡광도 변화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온도 평가 합성예1 합성예2 합성예3 합성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80℃ 초기 0.7023 0.6322 0.6394 0.7610 0.7821 0.7314 0.6058
230℃ 30분 0.6789 0.6178 0.6049 0.5747 0.6212 0.6012 0.5498
변화율 96.7% 97.7% 94.6% 94.4% 79.4% 82.2% 90.8%
60분 0.6571 0.5947 0.5829 0.5642 0.4712 0.4481 0.5198
변화율 93.6% 94.1% 91.2% 92.7% 60.2% 61.3% 85.8%
120분 0.6210 0.5690 0.5392 0.5186 0.3461 0.3661 0.4598
변화율 88.4% 90.0% 84.3% 85.2% 44.3% 50.1% 75.9%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 코팅 필름은 고온에서 시간 변화에 따른 변화율이 작아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4.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의 제조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감광성 청색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 바인더수지 :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60 : 40 질량비)의 공중합체 Mw=20000) 13g
(b) 다광능 아크릴 모노머 :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7 g
(c) 안료 분산액 : 피그먼트 블루 15:6 10 g
(d) 합성예 1 내지 4의 염료 화합물 0.7 g
(e) 광중합개시제 : BASF사의 Irgaeure OXE-01 2 g
(f) 용제 :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5.3 g, 사이클로헥사논 62 g
비교예 1 내지 3.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과 동일하게 착색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다만 합성예 1 내지 4의 화합물 대신에 상기 비교예 1 내지 3의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3. 색특성 평가
색특성 평가를 위해 유리기판 위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착색 조성물을 스핀 코팅법으로 도포한 후, 90 ℃의 핫플레이트에서 3 분 동안 프리베이크를 수행한 후, 상온에서 1 분 동안 냉각하였다. 이를 노광기를 이용하여 100 mJ/의 노광량(365 기준)으로 노광하였다. 그런 다음, 230 ℃의 컨벡션 오븐에서 30 분 동안 포스트베이크를 수행한 후, 광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분광광도계인 Otsuka electronic사의 MCPD3000를 사용하여 색좌표 및 휘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표 3
구분 색좌표(x) 색좌표(y) 휘도(Y)
실시예1 0.1350 0.113 13.59
실시예2 0.1360 0.113 13.61
실시예3 0.1359 0.113 13.57
실시예4 0.1364 0.113 13.65
비교예3 0.1365 0.113 13.36
비교예 1, 2의 경우 용해도가 낮아 석출되어 평가를 하지 못했으며,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에 1 내지 4의 컬러필터용 착색 조색물이 비교예 3의 착색 조성물 보다 우수한 분광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 화합물 또는 그 폴리머 화합물은 유기 용제에 대해서 우수한 내용제성 및 안료와의 우수한 혼합성을 가지며, 또한 폴리머 구조에 의해서 내열성, 내화학성, 내광성 및 휘도가 우수하여 이를 이용하여 내열성, 내화학성, 내광성 및 휘도가 우수한 컬러필터의 제조가 가능하여 산업적 활용도가 기대된다.

Claims (12)

  1. 중합 가능한 단량체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크산텐계 자색 염료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16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X-는 할론겐 음이온, 과할로겐산 음이온, 플루오르 착음이온, 알킬설페이트 음이온, 설폰산염 음이온 및 설폰 이미드 음이온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8의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탄화수소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포화 탄화수소이고,
    상기 R6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다.
  2.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크산텐계 화합물을 단량체로 하여 얻어지는 자색 염료 폴리머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17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X-는 할론겐 음이온, 과할로겐산 음이온, 플루오르 착음이온, 알킬설페이트 음이온, 설폰산염 음이온 및 설폰 이미드 음이온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48의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탄화수소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R1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포화 탄화수소이고,
    상기 R1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1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색 염료 폴리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3] 내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산텐계 자색 염료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18
    [화학식 4]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19
    [화학식 5]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20
    [화학식 6]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21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는 하기 [화학식 3] 내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량체로 하여 얻어지는 자색 염료 폴리머 화합물:
    [화학식 3]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22
    [화학식 4]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23
    [화학식 5]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24
    [화학식 6]
    Figure PCTKR2013001565-appb-I000025
  6. 자색 염료 화합물; 청색 안료; 바인더 수지;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 중합 개시제; 유기용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자색 염료 화합물은 제1항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색 염료 화합물; 또는 제2항에 따른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량체로 하여 얻어지는 자색 염료 폴리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색 염료 화합물은 상기 착색 수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안료는 구리프탈로시아닌계 청색 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안료와 상기 자색 염료 화합물의 중량비가 99 : 1 - 50 :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은 열경화성 단량체나 올리고머; 광경화성 단량체나 올리고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개시제는 열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12. 제6항에 따른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PCT/KR2013/001565 2012-03-30 2013-02-27 크산텐계 자색 염료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WO2013147422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03103A JP2015519411A (ja) 2012-03-30 2013-02-27 キサンテン系紫色染料化合物、それを含む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利用したカラーフィルター
US14/388,843 US20150322265A1 (en) 2012-03-30 2013-02-27 Xanthene-based purple dye compound, coloring resin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containing same and color filter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469A KR101361679B1 (ko) 2012-03-30 2012-03-30 크산텐계 자색 염료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2012-0033469 2012-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7422A1 true WO2013147422A1 (ko) 2013-10-03

Family

ID=4926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1565 WO2013147422A1 (ko) 2012-03-30 2013-02-27 크산텐계 자색 염료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322265A1 (ko)
JP (1) JP2015519411A (ko)
KR (1) KR101361679B1 (ko)
WO (1) WO2013147422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4486A (zh) * 2013-12-31 2015-07-01 中国科学院上海生命科学研究院 新型温敏荧光化合物及其应用
WO2015115416A1 (ja) * 2014-01-31 2015-08-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組成物、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固体撮像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5163674A (ja) * 2014-01-31 2015-09-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組成物、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固体撮像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5178604A (ja) * 2014-02-27 2015-10-08 Jsr株式会社 着色組成物、着色硬化膜及び表示素子
KR20160103277A (ko) 2015-02-24 2016-09-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N106164180A (zh) * 2014-03-28 2016-11-23 和光纯药工业株式会社 若丹明系着色组合物
EP2957578B1 (en) * 2013-02-15 2017-03-22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Colored com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9629B2 (ja) * 2013-06-12 2018-07-04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6054824B2 (ja) * 2013-08-01 2016-1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組成物、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固体撮像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525542B1 (ko) * 2013-11-14 2015-06-03 (주)경인양행 크산텐 염료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34191A (ko) * 2014-05-21 2015-12-01 제일모직주식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CN106125508A (zh) 2015-05-06 2016-11-16 奇美实业股份有限公司 彩色滤光片用感光性树脂组成物及其应用
KR101747077B1 (ko) * 2015-06-23 2017-06-15 (주)경인양행 크산텐계 고분자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2025478B1 (ko) * 2017-11-28 2019-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착색제 조성물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착색제 조성물, 착색제 분산액,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027036B1 (ko) * 2017-11-28 2019-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착색제 조성물, 착색제 분산액,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219053B1 (ko) * 2017-12-26 2021-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머,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성 수지막, 컬러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64122A1 (ko) * 2018-02-23 2019-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잔텐계 화합물, 색재 조성물,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재, 컬러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9200B1 (ko) * 2018-02-23 2021-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잔텐계 화합물, 색재 조성물,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재, 컬러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EP3774944B1 (en) * 2018-06-26 2022-04-13 Unilever Global IP Limited A novel polymer, a composition, a method and a kit for whitening teeth
CN109876742B (zh) * 2019-01-30 2021-01-19 西安交通大学 一种用于电子墨水显示的红色荧光微胶囊及其制备方法
WO2021112552A1 (ko) * 2019-12-02 2021-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착색제 조성물,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광재, 컬러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
GB2623090A (en) 2022-10-04 2024-04-10 Sublino Ltd Method of colou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490A (ko) * 2008-07-22 2010-02-01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컬러 필터용 청색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컬러 표시 장치
JP2011190187A (ja) * 2010-03-12 2011-09-29 Hodogaya Chem Co Ltd 染毛料組成物
WO2011158748A1 (ja) * 2010-06-15 2011-12-22 日本化薬株式会社 着色樹脂組成物、着色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ー、表示装置及び固体撮像素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6005A (en) * 1989-10-13 1992-08-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of solid state dye laser rods
US5772894A (en) * 1996-07-17 1998-06-30 Nalco Chemical Company Derivatized rhodamine dye and its copolymers
JP3736221B2 (ja) * 1998-08-28 2006-01-18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ATE531767T1 (de) * 2003-08-21 2011-11-15 Merck Patent Gmbh Cyanoborat-farbstoffe
TWI444441B (zh) * 2009-09-25 2014-07-11 Toyo Ink Mfg Co 著色組成物及彩色濾光片
KR20130048128A (ko) * 2010-06-15 2013-05-09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착색 수지 조성물, 착색 경화막, 컬러 필터, 표시 장치 및 고체 촬상 소자
WO2013011687A1 (ja) * 2011-07-19 2013-01-24 日本化薬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樹脂組成物
JP5482878B2 (ja) * 2012-01-30 2014-05-07 Jsr株式会社 着色剤、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素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490A (ko) * 2008-07-22 2010-02-01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컬러 필터용 청색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 및 컬러 표시 장치
JP2011190187A (ja) * 2010-03-12 2011-09-29 Hodogaya Chem Co Ltd 染毛料組成物
WO2011158748A1 (ja) * 2010-06-15 2011-12-22 日本化薬株式会社 着色樹脂組成物、着色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ー、表示装置及び固体撮像素子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57578B1 (en) * 2013-02-15 2017-03-22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Colored composition
CN104744486A (zh) * 2013-12-31 2015-07-01 中国科学院上海生命科学研究院 新型温敏荧光化合物及其应用
CN104744486B (zh) * 2013-12-31 2018-06-15 中国科学院上海生命科学研究院 温敏荧光化合物及其应用
US9671687B2 (en) 2014-01-31 2017-06-06 Fujifilm Corporation Coloring composition, cured film, color filter,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 filter,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5115416A1 (ja) * 2014-01-31 2015-08-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組成物、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固体撮像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5145442A (ja) * 2014-01-31 2015-08-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組成物、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固体撮像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5163674A (ja) * 2014-01-31 2015-09-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組成物、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固体撮像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899415B1 (ko) * 2014-01-31 2018-10-31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착색 조성물, 경화막,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컬러 필터, 고체 촬상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5178604A (ja) * 2014-02-27 2015-10-08 Jsr株式会社 着色組成物、着色硬化膜及び表示素子
CN106164180A (zh) * 2014-03-28 2016-11-23 和光纯药工业株式会社 若丹明系着色组合物
JPWO2015147285A1 (ja) * 2014-03-28 2017-04-13 和光純薬工業株式会社 ローダミン系着色組成物
EP3124551A4 (en) * 2014-03-28 2017-02-01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Rhodamine-based coloring composition
CN106164180B (zh) * 2014-03-28 2018-10-23 富士胶片和光纯药株式会社 若丹明系着色组合物
US10119030B2 (en) 2014-03-28 2018-11-06 Fujifilm Wako Pure Chemical Corporation Rhodamine-based coloring composition
KR20160103277A (ko) 2015-02-24 2016-09-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22265A1 (en) 2015-11-12
KR20130111023A (ko) 2013-10-10
JP2015519411A (ja) 2015-07-09
KR101361679B1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47422A1 (ko) 크산텐계 자색 염료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WO2013176383A1 (ko) 트리아릴메탄 청색 염료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청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WO2013147423A1 (ko) 트리아릴메탄 청색 염료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청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680752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컬러 필터
WO2014088159A1 (ko) 트리아릴메탄 염료 고분자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청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725262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WO2013018986A1 (ko) 염료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WO2016204570A1 (ko) 잔텐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2013210577A (ja) 着色硬化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WO2014196770A1 (ko) 청색 염료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청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WO2015002381A1 (ko) 청색 염료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청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WO2019182315A1 (ko)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컬러 필터 및 표시 장치
WO2016208866A1 (ko) 크산텐계 고분자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JP3880252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感光性着色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
WO2011074752A1 (en) Novel compound,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an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and color filter using the same
JP2017156397A (ja)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WO2019107687A1 (ko) 착색제 조성물, 착색제 분산액, 감광성 수지 조성물, 컬러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696182B1 (ko) 피리돈 아조 화합물을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수지 조성물
TW201339754A (zh) 著色感光性組成物及其製造方法、彩色濾光片及其製造方法、以及顯示裝置
JP2013199516A (ja) 顔料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
JP2013210578A (ja) 着色感光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WO2015108240A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20070106456A (ko) 티아진인디고 안료 분산제, 및 이것을 사용한 안료 조성물,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
JP6413872B2 (ja) 臭素化ジケトピロロピロール顔料
WO2011078502A2 (ko) 디스플레이의 컬러 필터용 피라졸 함유 안료 유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692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0310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88843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692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