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19007A2 -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 Google Patents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19007A2
WO2013019007A2 PCT/KR2012/005794 KR2012005794W WO2013019007A2 WO 2013019007 A2 WO2013019007 A2 WO 2013019007A2 KR 2012005794 W KR2012005794 W KR 2012005794W WO 2013019007 A2 WO2013019007 A2 WO 201301900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lveolar bone
membrane
bone regeneration
bent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579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3019007A3 (ko
Inventor
문종훈
정시영
엄태관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7617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18187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7820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128059B1/ko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235,623 priority Critical patent/US9339354B2/en
Priority to JP2014522741A priority patent/JP5782189B2/ja
Priority to CN201280038257.5A priority patent/CN103717173B/zh
Priority to EP12819865.2A priority patent/EP2737871B1/en
Publication of WO201301900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19007A2/ko
Publication of WO201301900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1900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03Bones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082Inorganic materials
    • A61L31/088Other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not covered by A61L31/084 or A61L31/08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772Apertures or holes, e.g. of circular cross section
    • A61F2002/30784Plurality of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389The prosthesis being coated or cover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395Coating or prosthesis-covering structure made of metals or of alloys
    • A61F2310/00419Other metals
    • A61F2310/00532Coating made of tin or Sn-based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 결손부위를 채우는 이식재를 덮어 골 재생을 유도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치조골 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과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구부려지되 전체적으로 곡면형상을 이루는 측면절곡부; 및 상기 측면절곡부의 양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치조골 결손부위를 향하여 절곡되어 구부러져 있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절곡부 및 측면커버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본 발명은 골 결손 부위에 배치되어 골 재생을 유도하도록 이식재를 덮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트리밍 및 벤딩이 필요없어 국부적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부위가 없어 시술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작이 편리하며, 노출로 인한 치조골 재생술의 실패를 방지하여 시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GBR(Guided Bone Regeneration) 즉, 골유도 재생술을 위해 비 흡수성 제품 중 사각 티타늄 판재에 구멍을 천공한 제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시술자는 골 결손(bone defect)이 발생된 위치의 형상을 인지하고 사각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적합하게 트리밍(Trimming) 한 후 다시 3차원으로 벤딩(bending)을 하여 결손 부위를 덮어(adaptation) 주었고, 최종적으로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골 결손의 형상을 인지한 후 필요한 형상으로 트리밍을 해야 되었고, 이를 다시 벤딩함으로서 보다 완벽하게 골 결손 부위를 덮기 힘들었을 뿐 아니라 시술 시간도 늘어나며, 벤딩과정에서 과도하게 우는 현상 즉, 벤딩 부위가 국부적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현상으로 골 재생 유도 기간 동안 돌출부가 치은을 뚫고 나와 외부로부터 감염이 되어 골 재생을 실패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해 체결한 스크류(screw)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치은 절개해야 하므로, 시술 시간도 증대될 뿐 아니라 출혈로 인한 부종이 발생되어 환자에게는 고통을 주게 되어 술자나 환자에게 모두 시술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서 골 결손 형상을 예측하여 3차원으로 트리밍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벤딩이 되어 국부적인 돌출현상이 없는 맞춤화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시술 시간이 단축되고, 제작이 편리하며, 시술 성공율을 높임과 동시에 환자에게는 부종과 고통을 줄일 수 있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조골 재생용 맴브레인은, 골 결손부위를 채우는 이식재를 덮어 골 재생을 유도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치조골 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과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구부려지되 전체적으로 곡면형상을 이루는 측면절곡부; 및
상기 측면절곡부의 양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치조골 결손부위를 향하여 절곡되어 구부러져 있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절곡부 및 측면커버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커버부는 상기 측면절곡부보다 절곡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에는 다수의 제1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부에는 다수의 제2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결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절곡부에만 상기 제1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절곡부의 최하단의 제1구멍은 오목한 접시형태로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상기 제2구멍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의 제1구멍의 단위면적당 총면적은 상기 측면커버부의 제2구멍의 단위면적당 총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9 ~ 2.0mm 이고, 상기 제2구멍의 직경은 0.1 ~ 0.5mm 일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의 하단에는 그 측면절곡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하단절곡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하단절곡부에는, 다수의 제3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에는 제1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3구멍의 직경은 상기 제1구멍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하단절곡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하단절곡부는 측면절곡부의 중앙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하단절곡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부에는, 다수개의 제4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부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되 이식재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는 결합측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측면부에는 다수개의 제5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되 이식재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는 결합상측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상측부에는 다수개의 제6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상측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상측부는 결합부의 중앙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상측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표면에 Tin 코팅층이 형성되거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표면이 아노다이징 처리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표면이 열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은, 치조골 결손부위의 열린 벽을 감싸서 치조골 결손부의 치조골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치조골 결손부위를 감쌀 수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되 내부로 패여진 오목홈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의 최대 돌출 높이를 h1 이라 하고 상기 오목홈의 최대 깊이를 h2 라고 하였을 때 상기 최대 돌출 높이(h1)는 상기 최대 깊이(h2)보다 커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벤딩하는 과정에서 돌출부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돌출되어 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오목홈은 상기 돌출부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패여질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돌출부에는 서로 이격된 벤딩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벤딩라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돌출부의 경계상에 형성되고, 상기 벤딩라인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오목홈의 단부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몸체부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체결될 수 있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치조골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측면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부에는 치조골 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에는 상기 중앙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1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제1절곡부와, 상기 결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제2절곡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절곡부의 최하단의 제1구멍은 "C"형태의 오목라인(lr)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상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결합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절곡부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커버부에는 상기 제1구멍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2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9 ~ 2.0mm 이고, 상기 제2구멍의 직경은 0.1 ~ 0.5mm 일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절곡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단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하단절곡부에는, 상기 제1구멍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3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9 ~ 2.0mm 이고, 상기 제3구멍의 직경은 0.6 ~ 0.8mm 일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표면에 Tin 코팅층이 형성되거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표면이 아노다이징 처리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표면이 열처리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치조골 방향으로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은, 골 재생 유도가 필요한 경우에서, 시술환경에 3차원적으로 맞춤화되어 미리 성형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을 제안함으로서, 술자는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시술하므로서 임상적으로도 성공율을 높일 수 있고, 환자는 시술 시간의 단축으로 부종을 줄일수 있을뿐만 아니라 시술에 대한 시간적 부담을 줄일수 있어 술자, 환자 모두에게 만족감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존의 제품대비 다양한 형태의 골 결손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맞춤화되어 3차원 성형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을 제안하므로서 트리밍과 벤딩 등 추가 작업을 최소화하고, 벤딩으로 인하여 국부적인 돌출현상을 최소화하여 노출로 인한 치조골 재생술의 실패를 방지하여 전체적인 시술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의 2차원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3차원 포밍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은 도 2 및 도 3의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이 시술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내지 도 1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의 2차원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은, 치조골 결손부위의 열린 벽을 감싸서 치조골 결손부에서 치조골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의 2차원 평면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형상은 골 결손 형태를 미리 분류하여 이에 맞게 트리밍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미리 트리밍되어 있는 2차원 형태의 골 재생용 맴브레임을 소정의 벤딩기구에 의하여 3차원적으로 벤딩한 모습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은, 시술직전에 시술자가 환자의 형상에 맞게 즉각적으로 트리밍 및 벤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3차원적으로 소정의 벤딩기를 이용하여 트리밍 및 벤딩을 수행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형상에 맞게 치조골 방향으로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은, 몸체부 및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는, 치조골 결손부위를 감쌀 수 있는 것으로서, 결합부(120) 및 측면절곡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추되되 내부로 패여진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결합측면부(130), 결합상측부(140), 측면커버부(160) 및 하단절곡부(170)를 포함한다. 이때, 돌출부의 최대 돌출 높이를 h1 이라 하고 상기 오목홈의 최대 깊이를 h2 라고 하였을 때 상기 최대 돌출 높이(h1)는 상기 최대 깊이(h2)보다 커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벤딩하는 과정에서 돌출부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돌출되어 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120)는, 치조골(81) 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80)이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12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80)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부(120)는 골 결손부위로서 이식재(82)가 쌓여있는 부위의 상측을 덮는 것으로서 대략적으로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홀(121)은 상기 결합부(120)의 중앙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중앙홀(121)의 주변에는 상기 중앙홀(121)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의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제4구멍(12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4구멍(122)은 중앙홀(121)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구멍(122)은 골 결손부위를 채우는 이식재(82)와 주변 골 조직의 혈액 간의 생리반응이 활성화되어 이식재(82)가 주변 골조직과 견고하고 안정되게 골 융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크기도 골 융합에 적합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측면부(130)는, 상기 결합부(120)로부터 절곡되어 치조골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부(120)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측면부(130)은 이식재(82)를 감싸도록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결합측면부(130)는 상기 결합부(120)의 측면 가장자리 중 일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벤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측면부(130)는 치조골(81)의 상부 안쪽(medial) 또는 바깥쪽(distal)을 덮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측면부(130)는 인접한 치아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측면결합부(120)에는 다수개의 제5구멍(13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5구멍(131)은 원형 또는 비정형의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제4구멍(12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 보다 많은 구멍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많은 구멍이 형성됨에 따라서 전체적인 유연성이 증가되고 벤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결합상측부(140)는, 상기 결합부(120)의 상단에는 배치되는 것으로서 이식재(82)를 감싸도록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상측부(140)는 2개가 마련되며 결합부(120)의 중앙에 형성된 오목홈(143)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오목홈(143)은 결합상측부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패여진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오목홈은 상기 결합상측부(140)의 돌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패여질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상측부(140)는 상기 결합부(120)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홈(143)은 결합상측부(14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패여질 수 있다. 이때, 돌출부인 상기 결합상측부(140)의 최대 돌출 높이를 h1 이라 하고 상기 오목홈(143)의 최대 깊이를 h2 라고 하였을 때 상기 최대 돌출 높이(h1)는 상기 최대 깊이(h2)보다 크다. 한편, 상기 돌출부인 결합상측부(120)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벤딩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벤딩라인 중 어느 하나(l3)는 몸체부인 결합부(120)와 돌출부인 결합상측부(120)과의 경계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벤딩라인 중 다른 하나(l4)는 상기 오목홈의 단부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벤딩라인(l3)은 상기 결합부(120)과 상기 결합상측부(140)가 만나는 한 쌍의 제3벤딩지점(c3)을 연결할 수 있으며, 다른 벤딩 라인(l4)은, 상기 제3벤딩지점(c3)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오목홈의 단부(c4)를 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하나의 벤딩라인(l4)은 어느 하나의 벤딩라인(l3)으로부터 상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상측부(140)는 모든 결합상측부(140)를 함께 포함하고 있는 제1상측부(141)와, 상기 제1상측부(141)로부터 개별적으로 돌출되는 제2상측부(1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상측부(142)의 사이에는 상기 오목홈(143)이 형성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돌출부인 결합상측부(140)이 몸체부인 결합부(120)에 대하여 벤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상측부(141)의 하단인 제3벤딩라인(l3)을 중심으로 하여 1차적으로 벤딩되고 제2상측부(142)의 하단인 제4벤딩라인(l4)을 중심으로 하여 2차적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때, 1차적 벤딩과 2차적 벤딩은 별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동시에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적으로 벤딩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전체적인 벤딩곡선이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벤딩시작 부위에서 국부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벤딩만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전체적인 완만한 곡선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어느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돌출되어 우는 형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상측부(140)에는 다수개의 제6구멍(1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6구멍(144)을 통하여 혈액이 소통함으로서 골융합이 증진될 수 있다.
상기 측면절곡부(150)는, 상기 결합부(120)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구부려질 수 있으며, 치조골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절곡부(150)은 벤딩후에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면형상을 이루고 있게 된다. 이러한 측면절곡부(150)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제1구멍(1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구멍(153)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혈액이 소통할 수 있는 통로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절곡부(150)는 상기 결합부(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제1절곡부(151)와 상기 결합부(1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1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절곡부(151)에는 0.9 ~ 2.0 mm 의 직경을 가지는 제1구멍(1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절곡부에는 제1절곡부보다 작은 직경의 제1구멍(1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절곡부(151)의 최하단의 제1구멍(153)은 "C"형태의 오목라인(lr)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한 "C"형태로 제1구멍이 정렬되는 이유는 오목라인에 의하여 벤딩라인이 자연스럽게 형성됨으로서 벤딩시 일부 구간에서 국부적인 돌출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절곡부(152)의 구멍의 크기가 작은 이유는 벤딩과정에서 유연성을 극대화하여 곡률반경이 큰 경우에도 유연하게 벤딩되어 구부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측면커버부(160)는, 내부에 이식재(8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측면절곡부(150)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이식재(82)를 향하여 절곡되어 구부러질 수 있으며 다수의 제2구멍(1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커버부(160)는 골 결손부위의 구강(buccal) 측을 감싸는 것으로서, 벤딩후에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측면절곡부(150)로부터의 거리가 서서히 증가하다가 중간이후부터는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커버부(160)는 측면절곡부(150)의 측면전체에 걸쳐서 단일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게 되어 골 융합이후 골 결손부위로부터 빼내는 경우에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커버부(160)에는 다수의 제2구멍(161)이 형성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제2구멍(161)의 직경은 제1구멍(15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9 ~ 2.0mm 이고, 상기 제2구멍의 직경은 0.1 ~ 0.5mm 일 수 있다. 이때, 제2구멍(161)은 제1구멍(153)보다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어 동일면적 대비로 하여 많은 수의 구멍이 측면커버부(160)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구멍(161)은 제1구멍(153)보다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어 동일면적 대비로 하여 많은 수의 구멍이 측면커버부(160)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측면커버부(160)의 단위면적당 제2구멍(161)의 총면적(구멍 총면적)은 측면절곡부(150)의 제1구멍(153)의 단위면적당 총면적(구멍 총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구멍(161)이 작은 크기로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서 전체적인 측면커버부(160)의 유연성이 증대되어 치조골의 재생이 완료된 후에 멤브레인을 치조골(81)로부터 빼내는 과정에서 주변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멤브레인이 용이하게 빠질 수 있다. 또한, 측면커버부(160)가 유연함에 따라서 벤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단절곡부(170)는 상기 측면절곡부(15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단절곡부(170)에는 다수의 제3구멍(73)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3구멍(73)의 직경은 제1구멍(153)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9 ~ 2.0mm 이고, 상기 제3구멍의 직경은 0.6 ~ 0.8mm 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하고 추후 골융합 이후에 치조골(81)로부터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단절곡부(170)에는 내측으로 패여지는 오목홈(7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인 상기 하단절곡부(170)의 최대 돌출 높이를 h1 이라 하고 상기 오목홈(143)의 최대 깊이를 h2 라고 하였을 때 상기 최대 돌출 높이(h1)는 상기 최대 깊이(h2)보다 크다. 한편, 상기 돌출부인 하단절곡부(170)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벤딩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벤딩라인 중 어느 하나(l1)는 몸체부인 측면절곡부(150)와 돌출부인 하단절곡부(170)과의 경계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벤딩라인 중 다른 하나(l2)는 상기 오목홈(74)의 단부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벤딩라인(l1)은 상기 측면절곡부(150)과 상기 하단절곡부(170)이 만나는 한 쌍의 제1벤딩지점(c1)을 연결할 수 있으며, 다른 벤딩 라인(l2)은, 상기 제2벤딩지점(c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오목홈의 단부(c4)를 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하나의 벤딩라인(l4)은 어느 하나의 벤딩라인(l3)으로부터 상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행하지 않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단절곡부(170)은, 제1하단절곡부(171) 및 제2하단절곡부(17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하단절곡부(171)는 모든 하단절곡부(17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제2하단절곡부(172)는 상기 제1하단절곡부(171)로부터 돌출되어 개별적으로 벤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이격된 벤딩라인이 마련됨에 따라서 벤딩라인이 전체적으로 완만해지고 국부적인 돌출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단일의 벤딩라인이 발생하게 되면 급격한 각도로 구부려지게 되어 벤딩라인을 중심으로 하여 주변에 우는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하게 되나, 본 실시예와 같이 2개 또는 그 이상의 벤딩라인이 생성되면 되면 다소 완만한 각도로 구부려질 수 있게 되어 국부적인 응력집중이 발생할 염려가 적고 이에 따라서 일부구간에서 급격하게 우는 현상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의 표면에 Tin 코팅층이 형성되거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표면이 아노다이징 처리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표면이 열처리될 수 있다. 이때, 아노다이징 처리되는 경우에는 가해지는 전압에 따라서 다양한 표면색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열처리되는 경우에는 열처리 온도에 따라서 금색 내지 기타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코팅층이 형성되거나, 아노다이징 처리 내지 열처리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색상을 가진 멤브레인을 구현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심미감이 좋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치조골 방향으로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을 부착하기 전에, 임플란트 삽입물(80)을 치조골(81) 내에 삽입하고, 골 결손 부위에 이식재(82)를 채워넣는다. 이후에, 임플란트 삽입물(80)에 대하여 미리 3차원 형상으로 포밍되어 형성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을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80)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부(120)의 중앙홀(121)에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80)이 끼워지게 하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이 고정결합된 후에, 치은을 덮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의 내부에서 이식재(82)가 골융합되어 치조골이 재생된 후에는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을 상기 골 결손부위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은, 하단절곡부(170)에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벤딩라인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전체적으로 벤딩라인이 완만해져서 우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데,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절곡부(170)에서 우는 현상(일어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생 유도 기간 중 이식재(82)에 완전히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적인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치은 밖으로 멤브레인(100)이 노출될 위험성도 극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부분별 구멍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서 많이 구부려야 하는 부분에서는 유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벤딩 용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서, 시술현장에서 국부적인 벤딩이 필요한 경우에도 현장 작업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측면커버부(160)가 유연성이 높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벤딩의 용이성 이외에 추후 이식재로부터 제거할 때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제작과정에서 소정의 벤딩기를 이용하여 재생되어야 할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치조골 방향으로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음에 따라서 시술공간에서 즉석에서 멤브레인을 포밍하는 경우보다 우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은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200)에는 결합상측부(240) 및 하단절곡부(270)에 별도의 오목홈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 주요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4에 개시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곡부(352) 및 하단절곡부(3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절곡부(352) 및 하단절곡부(3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300)을 제거할 때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2절곡부(352) 및 하단절곡부(3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으면 혈액이 통과할 곳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절곡부(352) 및 하단절곡부(370)에 혈액의 소통으로 인한 연결조직이 마련되지 않게 되고 이는 추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300)을 이식재로부터 제거할 때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400)에는 제2절곡부(452) 및 하단절곡부(4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전체적으로는 도 5에 개시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200)과 유사하지만 제2절곡부(452) 및 하단절곡부(4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제거할 때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상측부가 마련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1 내지 4에 개시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과 달리 별도의 결합상측부(140)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도 8의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500)은 혀가 있는 쪽으로의 결손이 없고 입술쪽과 주변 치아방면으로 결손부위가 마련되는 경우에 채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곡부(652) 및 하단절곡부(6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전체적으로는 도 8에 개시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500)과 유사하지만, 제2절곡부(652) 및 하단절곡부(6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600)을 제거할 때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상측부가 마련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전체적으로는 도 5에 개시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200)과 유사하지만, 결합상측부가 마련되지 않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700)은 혀가 있는 쪽으로의 결손이 없고 입술쪽과 주변 치아방면으로 결손부위가 마련되는 경우에 채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곡부(852) 및 하단절곡부(8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전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700)과 유사하지만, 제2절곡부(852) 및 하단절곡부(8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연결조직이 해당부위에 형성되지 않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800)을 제거할 때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결합측면부 및 결합상측부가 제거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결합측면부 및 결합상측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900)은 혀가 있는 쪽 및 주변 치아방면으로 결손부위가 마련되지 않고 입술방면으로만 결손부위가 형성되는 경우에 채용가능하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곡부(1052) 및 하단절곡부(11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멍이 특정부위에 형성되지 않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0)은 별도의 연결조직이 해당부위에 형성되지 않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0)을 제거할 때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절곡부(1170)가 단일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체적으로는 도 13의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00)과 유사하지만, 하단절곡부(1170)가 단일의 형태로 구성되면 커버링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곡부(1252) 및 하단절곡부(12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전체적으로는 도 14에 대시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110)과 유사하지만, 이와 같이 제2절곡부(1252) 및 하단절곡부(12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조직이 해당부위에 형성되지 않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제거할 때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범위라면 청구범위가 확대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2)

  1. 골 결손부위를 채우는 이식재를 덮어 골 재생을 유도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치조골 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과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구부려지되 전체적으로 곡면형상을 이루는 측면절곡부; 및
    상기 측면절곡부의 양측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치조골 결손부위를 향하여 절곡되어 구부러져 있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절곡부 및 측면커버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부는 상기 측면절곡부보다 절곡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절곡부에는 다수의 제1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부에는 다수의 제2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절곡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결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에만 상기 제1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의 최하단의 제1구멍은 오목한 접시형태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상기 제2구멍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절곡부의 제1구멍의 단위면적당 총면적은 상기 측면커버부의 제2구멍의 단위면적당 총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9 ~ 2.0mm 이고, 상기 제2구멍의 직경은 0.1 ~ 0.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절곡부의 하단에는 그 측면절곡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하단절곡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절곡부에는, 다수의 제3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절곡부에는 제1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3구멍의 직경은 상기 제1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절곡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절곡부는 측면절곡부의 중앙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절곡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다수개의 제4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되 이식재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는 결합측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측면부에는 다수개의 제5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되 이식재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있는 결합상측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측부에는 다수개의 제6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측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측부는 결합부의 중앙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측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4. 제1항에 있어서,
    표면에 Tin 코팅층이 형성되거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표면이 아노다이징 처리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표면이 열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5. 치조골 결손부위의 열린 벽을 감싸서 치조골 결손부위의 치조골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치조골 결손부위를 감쌀 수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되 내부로 패여진 오목홈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의 최대 돌출 높이를 h1 이라 하고 상기 오목홈의 최대 깊이를 h2 라고 하였을 때 상기 최대 돌출 높이(h1)는 상기 최대 깊이(h2)보다 커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벤딩하는 과정에서 돌출부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돌출되어 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상기 돌출부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패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서로 이격된 벤딩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벤딩라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돌출부의 경계상에 형성되고,
    상기 벤딩라인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오목홈의 단부를 지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체결될 수 있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치조골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측면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치조골 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절곡부에는 상기 중앙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1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절곡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제1절곡부와, 상기 결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제2절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의 최하단의 제1구멍은 "C"형태의 오목라인(lr)을 따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상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결합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절곡부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부에는 상기 제1구멍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2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9 ~ 2.0mm 이고, 상기 제2구멍의 직경은 0.1 ~ 0.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절곡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단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절곡부에는, 상기 제1구멍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3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9 ~ 2.0mm 이고, 상기 제3구멍의 직경은 0.6 ~ 0.8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41. 제25항에 있어서,
    표면에 Tin 코팅층이 형성되거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표면이 아노다이징 처리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표면이 열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42. 제25항에 있어서,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치조골 방향으로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PCT/KR2012/005794 2011-07-29 2012-07-20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WO2013019007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35,623 US9339354B2 (en) 2011-07-29 2012-07-20 Membrane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JP2014522741A JP5782189B2 (ja) 2011-07-29 2012-07-20 歯槽骨再生用メンブレン
CN201280038257.5A CN103717173B (zh) 2011-07-29 2012-07-20 用于牙槽骨再生的膜
EP12819865.2A EP2737871B1 (en) 2011-07-29 2012-07-20 Membrane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72 2011-07-29
KR1020110076172A KR101181877B1 (ko) 2011-07-29 2011-07-29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10-2011-0078208 2011-08-05
KR1020110078208A KR101128059B1 (ko) 2011-08-05 2011-08-05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9007A2 true WO2013019007A2 (ko) 2013-02-07
WO2013019007A3 WO2013019007A3 (ko) 2013-03-14

Family

ID=4762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5794 WO2013019007A2 (ko) 2011-07-29 2012-07-20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39354B2 (ko)
EP (1) EP2737871B1 (ko)
JP (1) JP5782189B2 (ko)
CN (1) CN103717173B (ko)
TW (1) TWI551271B (ko)
WO (1) WO201301900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7319A (ja) * 2013-07-30 2015-02-12 京セラメディカル株式会社 歯科用骨造成部材
JP2015066104A (ja) * 2013-09-27 2015-04-13 京セラメディカル株式会社 歯槽骨再生誘導用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2469B (zh) * 2011-12-23 2016-05-11 奧齒泰有限責任公司 牙槽膜
EA022319B1 (ru) 2012-07-12 2015-12-3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лтимед"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AT515117B1 (de) * 2014-04-15 2015-06-15 Dietmar Dr Sonnleitner Zahnimplantatsystem
WO2015167050A1 (ko) * 2014-04-30 2015-11-05 주식회사 이덴테크 임플란트용 차폐막
WO2016112894A1 (de) * 2015-01-13 2016-07-21 Reos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ufsatzes einer abdeckvorrichtung für eine knochendefektstelle; vorrichtung zur abdeckung und/oder rekonstruktion einer knochendefektstelle
ES2610823B1 (es) * 2015-04-23 2018-03-01 Mauricio Alberto LIZARAZO ROZO Método de fabricación de una barrera oclusiva para regeneración ósea y la barrera oclusiva obtenida mediante dicho método
DE102015006154A1 (de) * 2015-05-08 2016-11-10 Reoss Gmbh Vorrichtung zur Abdeckung und/oder Rekonstruktion einer Knochendefektstell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ufsatzes einer Abdeckvorrichtung für eine Knochendefektstelle
ES2853735T3 (es) * 2015-05-08 2021-09-17 Reoss Gmbh Dispositivo para cubrir y/o reconstruir un sitio de defecto óseo; método para producir un aditamento para un dispositivo de cobertura para un sitio de defecto óseo
ITUB20152693A1 (it) * 2015-07-31 2015-10-31 Fiore Giovanni Ioannoni Protesi osteointegrata alveoloimplantare.
CN107303203A (zh) * 2016-04-22 2017-10-31 合镒技研股份有限公司 齿槽膜
TWI607740B (zh) * 2016-04-22 2017-12-11 合鎰技研股份有限公司 齒槽膜
DE102016211201A1 (de) 2016-06-22 2017-12-28 Aesculap Ag Medizinisches Produkt, vorzugsweise zur Anwendung bei der Behandlung einer Knochenkavität,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medizinischen Produkts sowie medizinisches Kit
CN106937896A (zh) * 2016-07-22 2017-07-11 吉东 一种用于牙槽骨植骨用的h形钛网
BR112019001393B1 (pt) 2016-07-25 2023-04-25 Ovala, Inc Dispositivo de incontinência
CN106859817B (zh) * 2017-02-13 2018-04-13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一种3d打印个性化笼状牙科植骨导板
WO2018157156A1 (en) 2017-02-27 2018-08-30 Vertical Spine LLC Engineered bone graft impla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TWI633872B (zh) * 2017-03-22 2018-09-01 昱擎科技股份有限公司 Single-winged dental implant
US10321979B2 (en) * 2017-10-04 2019-06-18 Dietmar SONNLEITNER Dental implant system
DE102017123801B4 (de) 2017-10-12 2022-05-12 Montjade Engineering Co., Ltd. Membranen für Alveolarkämme
US10517699B2 (en) * 2017-10-16 2019-12-31 Montjade Engineering Co., Ltd. Alveolar membrane
CN108078655B (zh) * 2017-12-13 2019-10-25 重庆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一种颌骨仿生植入体及其制备方法
FR3083439B1 (fr) * 2018-07-03 2021-05-28 Gary Finelle Pilier et dispositif de cicatrisation pour implant dentaire
CN109602508A (zh) * 2018-08-29 2019-04-12 上海瑞博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种植前骨增量的个性化钛网膜的制备方法
DE102019118134B4 (de) 2019-07-04 2023-11-30 Reos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bdeckvorrichtung für eine Knochendefektstelle; Abdeckvorrichtung für eine Knochendefektstelle;
RU200193U1 (ru) * 2020-02-12 2020-10-12 Анастасия Викторовна Филиппова Сетчатый имплантат альвеолярного гребня
CN113813063B (zh) * 2020-11-25 2023-05-09 广州市弘健生物医用制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萎缩牙槽骨修复的支架结构
CN113876452B (zh) * 2020-11-25 2023-03-14 广州市弘健生物医用制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牙槽骨重建的超声波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970A (ja) 1998-09-14 2000-03-28 Gc Corp 歯科インプラント用カバースクリュー
JPH0639684B2 (ja) * 1986-02-05 1994-05-25 忠信 大久保 金属表面加工方法
JP2939548B1 (ja) 1998-09-10 1999-08-25 工業技術院長 板状タイプ人工歯根
DK1265550T3 (da) * 2000-03-10 2005-07-25 Macropore Biosurgery Inc Resorberbar mikromembran til formindskelse af arvæv
TWI281389B (en) 2003-12-29 2007-05-21 Univ Tsinghua Metallic archwires of various colors and their preparation methods
US20050192675A1 (en) 2004-03-01 2005-09-01 Robinson Dane Q. Device for use in stimulating bone growth
GB0406741D0 (en) 2004-03-25 2004-04-28 Downes Powell David T Biomechanical implant
US20070231364A1 (en) 2004-04-30 2007-10-04 Kunio Nishimoto Biocompatible Membran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ITUD20040213A1 (it) 2004-11-12 2005-02-12 Oralplant Srl Dispositivo medico per la rigenerazione e
ITMO20060159A1 (it) 2006-05-18 2007-11-19 Marcello Marchesi "metodo per la rigenerazione guidata di tessuti ossei e/o parodontali in ambito medico chirurgico ed odontoiatrico e dispositivo cosi' ottenibile."
KR100875069B1 (ko) * 2007-04-17 2008-12-18 권오달 치과 임플란트용 메쉬 플레이트
WO2009137947A1 (de) * 2008-05-13 2009-11-19 Andreas Grimm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orrichtung zur gerichteten regeneration von knochengewebe
KR100970341B1 (ko) 2008-12-19 2010-07-15 이준호 다목적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JP5525189B2 (ja) * 2009-06-10 2014-06-18 株式会社プラトンジャパン インプラント用骨誘導再生補助具
KR101061758B1 (ko) * 2010-03-02 2011-09-02 (주) 시원 치과용 차폐막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references of EP2737871A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7319A (ja) * 2013-07-30 2015-02-12 京セラメディカル株式会社 歯科用骨造成部材
JP2015066104A (ja) * 2013-09-27 2015-04-13 京セラメディカル株式会社 歯槽骨再生誘導用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1218A (zh) 2013-03-16
TWI551271B (zh) 2016-10-01
CN103717173B (zh) 2016-06-08
EP2737871A2 (en) 2014-06-04
JP2014521434A (ja) 2014-08-28
EP2737871A4 (en) 2015-05-20
EP2737871B1 (en) 2016-07-20
CN103717173A (zh) 2014-04-09
US20140199657A1 (en) 2014-07-17
US9339354B2 (en) 2016-05-17
JP5782189B2 (ja) 2015-09-24
WO2013019007A3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19007A2 (ko)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WO2018012735A1 (ko)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 장치
WO2010021478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4664628A (en) Screening tool and process using the tool for a mouth cavity in dental operations
WO2013095077A1 (ko) 치과용 멤브레인
WO2012011762A2 (ko) 포리카테타 삽입을 위한 조립체
WO2013077672A1 (ko) 힐링 어버트먼트
WO2015133698A1 (ko) 혈액 수용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1182806B1 (ko)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DE69943107D1 (de) Behandlung von autoimmunerkrankungen
KR101128059B1 (ko)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WO2015194725A1 (ko) 파샬 덴쳐 및 이의 제조방법
ITRM20060433A1 (it) Protesi acustica perfezionata ad azione diretta sull'orecchio medio e relativo procedimento di installazione
KR101181877B1 (ko)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WO2023229109A1 (ko) 치과용 스텐트
WO2010110629A2 (ko) 상악동 거상용 어뎁터
CN214596075U (zh) 一种保护颏神经的拔牙导板
CN111616812B (zh) 消化科胃镜管固定结构
CN210520967U (zh) 脑电图监测防护装置
WO2022250212A1 (ko)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치아 교정기
US6155831A (en) Non-surgically retrievable guided tissue regeneration membrane
WO2021125400A1 (ko) 다중 슬롯을 구비한 치열 교정 브라켓 어셈블리
WO2019117412A1 (ko) 맞춤형 수술용 뼈 절단 퍼즐타입 가이드 장치 및 맞춤형 수술용 뼈 절단 가이드-견인-흡입 장치
JP2005168800A (ja) 透析装置用チューブ
CN205924645U (zh) 可双向操作的气管插管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198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2274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235623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198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819865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