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059B1 -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 Google Patents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059B1
KR101128059B1 KR1020110078208A KR20110078208A KR101128059B1 KR 101128059 B1 KR101128059 B1 KR 101128059B1 KR 1020110078208 A KR1020110078208 A KR 1020110078208A KR 20110078208 A KR20110078208 A KR 20110078208A KR 101128059 B1 KR101128059 B1 KR 101128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veolar bone
membrane
bone regeneration
h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훈
정시영
엄태관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1424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2805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8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059B1/ko
Priority to PCT/KR2012/005794 priority patent/WO2013019007A2/ko
Priority to US14/235,623 priority patent/US9339354B2/en
Priority to JP2014522741A priority patent/JP5782189B2/ja
Priority to CN201280038257.5A priority patent/CN103717173B/zh
Priority to EP12819865.2A priority patent/EP2737871B1/en
Priority to TW101127281A priority patent/TWI551271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0Inorganic materials
    • A61L27/306Other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not covered by A61L27/303 - A61L27/3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조골 결손부위의 열린 벽을 감싸서 치조골 결손부의 치조골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치조골 결손부위를 감쌀 수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되 내부로 패여진 오목홈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의 최대 돌출 높이를 h1 이라 하고 상기 오목홈의 최대 깊이를 h2 라고 하였을 때 상기 최대 돌출 높이(h1)는 상기 최대 깊이(h2)보다 커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벤딩하는 과정에서 돌출부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돌출되어 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Membrane for bone-repair}
본 발명은 골 결손 부위에 배치되어 골 재생을 유도하도록 이식재를 덮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벤딩과정에서 국부적으로 과도하게 일어나는 부위가 없어 제작이 편리하며 시술 성공율을 높일 수 있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GBR(Guided Bone Regeneration) 즉, 골유도 재생술을 위해 비 흡수성 제품 중 사각 티타늄 판재에 구멍을 천공한 제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시술자는 골 결손(bone defect)이 발생된 위치의 형상을 인지하고 사각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적합하게 트리밍(Trimming) 한 후 다시 3차원적으로 벤딩(bending)을 하여 결손 부위를 덮어(adaptation) 주었고, 최종적으로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트리밍을 한 후에 피술자의 결손부위의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벤딩과정에서 일부분이 과도하게 우는 현상 즉, 벤딩 부위가 국부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국부적으로 일부가 일어나는 현상은 돌출된 부위를 벤딩하는 과정에서 그 벤딩의 중심라인인 벤딩라인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부가 불룩하게 일어나면서 발생하게 된다. 일단 멤브레인에 우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골 재생 유도 기간 동안 일어서 있는 부위가 치은을 뚫고 나오게 되고 그 일어난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용이하게 침투됨과 동시에 해당부위가 감염이 되어 골 재생을 실패하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167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벤딩을 하는 과정에서 국부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 최소화되어 시술의 성공율을 높일 수 있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은, 치조골 결손부위의 열린 벽을 감싸서 치조골 결손부의 치조골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치조골 결손부위를 감쌀 수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되 내부로 패여진 오목홈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의 최대 돌출 높이를 h1 이라 하고 상기 오목홈의 최대 깊이를 h2 라고 하였을 때 상기 최대 돌출 높이(h1)는 상기 최대 깊이(h2)보다 커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벤딩하는 과정에서 돌출부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돌출되어 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오목홈은 상기 돌출부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패여질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돌출부에는 서로 이격된 벤딩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벤딩라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돌출부의 경계상에 형성되고,
상기 벤딩라인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오목홈의 단부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몸체부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체결될 수 있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치조골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측면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결합부에는 치조골 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에는 상기 중앙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1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절곡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제1절곡부와, 상기 결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제2절곡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절곡부의 최하단의 제1구멍은 "C"형태의 오목라인(lr)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상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결합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절곡부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측면커버부에는 상기 제1구멍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2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9 ~ 2.0mm 이고, 상기 제2구멍의 직경은 0.1 ~ 0.5mm 일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절곡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단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하단절곡부에는, 상기 제1구멍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3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9 ~ 2.0mm 이고, 상기 제3구멍의 직경은 0.6 ~ 0.8mm 일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표면에 Tin 코팅층 또는 아노다이징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서,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치조골 방향으로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은, 골 재생 유도가 필요한 경우에서, 벤딩으로 인하여 국부적인 일어남 현상을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시술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의 2차원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3차원 성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은 도 2 및 도 3의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이 시술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의 2창원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은, 골 결손부위의 열린 벽을 감싸서 치조골 결손부의 치조골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의 2차원 평면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형상은 골 결손 형태를 미리 예상 및 분류하여 이에 맞게 트리밍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미리 트리밍되어 있는 2차원 형태의 골 재생용 맴브레임을 소정의 벤딩기구에 의하여 재생되어야 할 치조골의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벤딩한 모습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은, 몸체부 및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는, 치조골 결손부위를 감쌀 수 있는 것으로서, 결합부(20) 및 결합측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추되되 내부로 패여진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결합상측부(40), 측면절곡부(50), 측면커버부(60) 및 하단절곡부(70)를 포함한다. 이때, 돌출부의 최대 돌출 높이를 h1 이라 하고 상기 오목홈의 최대 깊이를 h2 라고 하였을 때 상기 최대 돌출 높이(h1)는 상기 최대 깊이(h2)보다 커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벤딩하는 과정에서 돌출부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돌출되어 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20)는, 치조골(81) 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80)이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2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80)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부(20)는 골 결손부위로서 이식재(82)가 쌓여있는 부위의 상측을 덮는 것으로서 대략적으로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홀(21)은 상기 결합부(20)의 중앙부위에 형성되되, 상기 중앙홀(21)의 주변에는 상기 중앙홀(21)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의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제4구멍(2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4구멍(22)은 중앙홀(21)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구멍(22)은 골 결손부위를 채우는 이식재(82)와 주변 골 조직의 혈액 간의 생리반응이 활성화되어 이식재(82)가 주변 골조직과 견고하고 안정되게 골 융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크기도 골 융합에 적합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측면부(30)는, 상기 결합부(20)로부터 절곡되어 치조골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부(20)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측면부(30)은 이식재(82)를 감싸도록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결합측면부(30)는 상기 결합부(20)의 측면 가장자리 중 일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벤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측면부(30)는 치조골(81)의 상부 안쪽(medial) 또는 바깥쪽(distal)을 덮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측면부(30)는 인접한 치아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측면결합부(20)에는 다수개의 제5구멍(3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5구멍(31)은 원형 또는 비정형의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제4구멍(2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 보다 많은 구멍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많은 구멍이 형성됨에 따라서 전체적인 유연성이 증가되고 벤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결합상측부(40)는, 상기 결합부(20)의 상단에는 배치되는 것으로서 이식재(82)를 감싸도록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상측부(40)는 2개가 마련되며 결합부(20)의 중앙에 형성된 오목홈(43)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오목홈(43)은 결합상측부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패여진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오목홈은 상기 결합상측부(40)의 돌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패여질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상측부(40)는 상기 결합부(20)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홈(43)은 결합상측부(4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패여질 수 있다. 이때, 돌출부인 상기 결합상측부(40)의 최대 돌출 높이를 h1 이라 하고 상기 오목홈(43)의 최대 깊이를 h2 라고 하였을 때 상기 최대 돌출 높이(h1)는 상기 최대 깊이(h2)보다 크다. 한편, 상기 돌출부인 결합상측부(20)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벤딩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벤딩라인 중 어느 하나(l3)는 몸체부인 결합부(20)와 돌출부인 결합상측부(20)과의 경계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벤딩라인 중 다른 하나(l4)는 상기 오목홈의 단부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벤딩라인(l3)은 상기 결합부(20)과 상기 결합상측부(40)가 만나는 한 쌍의 제3벤딩지점(c3)을 연결할 수 있으며, 다른 벤딩 라인(l4)은, 상기 제3벤딩지점(c3)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오목홈의 단부(c4)를 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하나의 벤딩라인(l4)은 어느 하나의 벤딩라인(l3)으로부터 상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상측부(40)는 모든 결합상측부(40)를 함께 포함하고 있는 제1상측부(41)와, 상기 제1상측부(41)로부터 개별적으로 돌출되는 제2상측부(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상측부(42)의 사이에는 상기 오목홈(43)이 형성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돌출부인 결합상측부(40)이 몸체부인 결합부(20)에 대하여 벤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상측부(41)의 하단인 제3벤딩라인(l3)을 중심으로 하여 1차적으로 벤딩되고 제2상측부(42)의 하단인 제4벤딩라인(l4)을 중심으로 하여 2차적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때, 1차적 벤딩과 2차적 벤딩은 별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동시에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적으로 벤딩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전체적인 벤딩곡선이 완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벤딩시작 부위에서 국부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어느 하나의 벤딩만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전체적인 완만한 곡선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어느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돌출되어 우는 형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상측부(40)에는 다수개의 제6구멍(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6구멍(44)을 통하여 혈액이 소통함으로서 골융합이 증진될 수 있다.
상기 측면절곡부(50)는, 상기 결합부(20)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구부려질 수 있으며, 치조골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절곡부(50)은 벤딩후에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면형상을 이루고 있게 된다. 이러한 측면절곡부(50)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제1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구멍(53)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혈액이 소통할 수 있는 통로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절곡부(50)는 상기 결합부(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제1절곡부(51)와 상기 결합부(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절곡부(51)에는 0.9 ~ 2.0 mm 의 직경을 가지는 제1구멍(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절곡부에는 제1절곡부보다 작은 직경의 제1구멍(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절곡부(51)의 최하단의 제1구멍(53)은 "C"형태의 오목라인(lr)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한 "C"형태로 제1구멍이 정렬되는 이유는 오목라인에 의하여 벤딩라인이 자연스럽게 형성됨으로서 벤딩시 일부 구간에서 국부적인 돌출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절곡부(52)의 구멍의 크기가 작은 이유는 벤딩과정에서 유연성을 극대화하여 곡률반경이 큰 경우에도 유연하게 벤딩되어 구부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측면커버부(60)는, 내부에 이식재(8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측면절곡부(50)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이식재(82)를 향하여 절곡되어 구부러질 수 있으며 다수의 제2구멍(6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커버부(60)는 골 결손부위의 구강(buccal) 측을 감싸는 것으로서, 벤딩후에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측면절곡부(50)로부터의 거리가 서서히 증가하다가 중간이후부터는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커버부(60)는 측면절곡부(50)의 측면전체에 걸쳐서 단일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게 되어 골 융합이후 골 결손부위로부터 빼내는 경우에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커버부(60)에는 다수의 제2구멍(61)이 형성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제2구멍(61)의 직경은 제1구멍(5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9 ~ 2.0mm 이고, 상기 제2구멍의 직경은 0.1 ~ 0.5mm 일 수 있다. 이때, 제2구멍(61)은 제1구멍(53)보다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어 동일면적 대비로 하여 많은 수의 구멍이 측면커버부(60)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구멍(61)이 작은 크기로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서 전체적인 측면커버부(60)의 유연성이 증대되어 치조골의 재생이 완료된 후에 멤브레인을 치조골(81)로부터 빼내는 과정에서 주변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멤브레인이 용이하게 빠질 수 있다. 또한, 측면커버부(60)가 유연함에 따라서 벤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단절곡부(70)는 상기 측면절곡부(5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단절곡부(70)에는 다수의 제3구멍(73)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3구멍(73)의 직경은 제1구멍(53)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9 ~ 2.0mm 이고, 상기 제3구멍의 직경은 0.6 ~ 0.8mm 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하고 추후 골융합 이후에 치조골(81)로부터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단절곡부(70)에는 내측으로 패여지는 오목홈(7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인 상기 하단절곡부(70)의 최대 돌출 높이를 h1 이라 하고 상기 오목홈(43)의 최대 깊이를 h2 라고 하였을 때 상기 최대 돌출 높이(h1)는 상기 최대 깊이(h2)보다 크다. 한편, 상기 돌출부인 하단절곡부(70)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벤딩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벤딩라인 중 어느 하나(l1)는 몸체부인 측면절곡부(50)와 돌출부인 하단절곡부(70)과의 경계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벤딩라인 중 다른 하나(l2)는 상기 오목홈(74)의 단부를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벤딩라인(l1)은 상기 측면절곡부(50)과 상기 하단절곡부(70)이 만나는 한 쌍의 제1벤딩지점(c1)을 연결할 수 있으며, 다른 벤딩 라인(l2)은, 상기 제2벤딩지점(c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오목홈의 단부(c4)를 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하나의 벤딩라인(l4)은 어느 하나의 벤딩라인(l3)으로부터 상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행하지 않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단절곡부(70)은, 제1하단절곡부(71) 및 제2하단절곡부(7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하단절곡부(71)는 모든 하단절곡부(7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제2하단절곡부(72)는 상기 제1하단절곡부(71)로부터 돌출되어 개별적으로 벤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이격된 벤딩라인이 마련됨에 따라서 벤딩라인이 전체적으로 완만해지고 국부적인 돌출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단일의 벤딩라인이 발생하게 되면 급격한 각도로 구부려지게 되어 벤딩라인을 중심으로 하여 주변에 우는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하게 되나, 본 실시예와 같이 2개 또는 그 이상의 벤딩라인이 생성되면 되면 다소 완만한 각도로 구부려질 수 있게 되어 국부적인 응력집중이 발생할 염려가 적고 이에 따라서 일부구간에서 급격하게 우는 현상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의 표면에는 tin 코팅층 또는 아노다이징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코팅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멤브레인이 검게 보임에 따라서 심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치조골 방향으로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부착하기 전에, 임플란트 삽입물(80)을 치조골(81) 내에 삽입하고, 골 결손 부위에 이식재(82)를 채워넣는다. 이후에, 임플란트 삽입물(80)에 대하여 미리 3차원 형상으로 포밍되어 형성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80)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부(20)의 중앙홀(21)에 상기 임플란트 삽입물(80)이 끼워지게 하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이 고정결합된 후에, 치은을 덮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의 내부에서 이식재(82)가 골융합되어 치조골이 재생된 후에는 상기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상기 골 결손부위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은, 하단절곡부(70)에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벤딩라인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전체적으로 벤딩라인이 완만해져서 우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데,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절곡부(70)에서 우는 현상(일어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생 유도 기간 중 이식재(82)에 완전히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적인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치은 밖으로 멤브레인(10)이 노출될 위험성도 극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부분별 구멍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서 많이 구부려야 하는 부분에서는 유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벤딩 용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서, 시술현장에서 국부적인 벤딩이 필요한 경우에도 현장 작업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측면커버부(60)가 유연성이 높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벤딩의 용이성 이외에 추후 이식재로부터 제거할 때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제작과정에서 소정의 벤딩기를 이용하여 재생되어야 할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치조골 방향으로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음에 따라서 시술공간에서 즉석에서 멤브레인을 포밍하는 경우보다 우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은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에서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제거할 때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으면 혈액이 통과할 곳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혈액의 소통으로 인한 연결조직이 마련되지 않게 되고 이는 추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이식재로부터 제거할 때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구성에서 별도의 결합상측부(40)가 마련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별도의 결합상측부(40)가 마련되지 않는 구조는 혀가 있는 쪽으로의 결손이 없고 입술쪽과 주변 치아방면으로 결손부위가 마련되는 경우에 채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구성에서,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멍이 특정부위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조직이 해당부위에 형성되지 않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을 제거할 때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구성에서 결합측면부(30) 및 결합상측부(40)가 제거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결합측면부(30) 및 결합상측부(40)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구조는, 혀가 있는 쪽 및 주변 치아방면으로 결손부위가 마련되지 않고 입술방면으로만 결손부위가 형성되는 경우에 채용가능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의 구성에서 제2절곡부(52) 및 하단절곡부(70)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멍이 특정부위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조직이 해당부위에 형성되지 않아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10)을 제거할 때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오목홈을, 하단절곡부(70) 및 결합상측부(40)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오목홈은 결합측면부(30) 또는 측면커버부(60)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결합측면부 또는 측면커버부에는 이격되어 있는 벤딩라인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범위라면 청구범위가 확대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0...결합부
21...중앙홀 22...제4구멍
30...결합측면부 31...제5구멍
40...결합상측부 41...제1상측부
42...제2상측부 43...오목홈
44...제6구멍 50...측면절곡부
51...제1절곡부 52...제2절곡부
53...제1구멍 60...측면커버부
61...제2구멍 70...하단절곡부
71...제1하단절곡부 72...제2하단절곡부
73...제3구멍 80...임플란트용 삽입물
81...치조골 82...이식재

Claims (18)

  1. 치조골 결손부위의 열린 벽을 감싸서 치조골 결손부의 치조골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에 있어서,
    치조골 결손부위를 감쌀 수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되 내부로 패여진 오목홈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의 최대 돌출 높이를 h1 이라 하고 상기 오목홈의 최대 깊이를 h2 라고 하였을 때 상기 최대 돌출 높이(h1)는 상기 최대 깊이(h2)보다 커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벤딩하는 과정에서 돌출부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돌출되어 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상기 돌출부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패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서로 이격된 벤딩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벤딩라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돌출부의 경계상에 형성되고,
    상기 벤딩라인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오목홈의 단부를 지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체결될 수 있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치조골의 측면을 감쌀 수 있는 측면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치조골 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이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절곡부에는 상기 중앙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1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절곡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제1절곡부와, 상기 결합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제2절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의 최하단의 제1구멍은 "C"형태의 오목라인(lr)을 따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상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결합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절곡부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부에는 상기 제1구멍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2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9 ~ 2.0mm 이고, 상기 제2구멍의 직경은 0.1 ~ 0.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측면절곡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단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절곡부에는, 상기 제1구멍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3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의 직경은 0.9 ~ 2.0mm 이고, 상기 제3구멍의 직경은 0.6 ~ 0.8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7. 제1항에 있어서,
    표면에 Tin 코팅층 또는 아노다이징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18. 제1항에 있어서,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치조골 방향으로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1020110078208A 2011-07-29 2011-08-05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101128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208A KR101128059B1 (ko) 2011-08-05 2011-08-05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PCT/KR2012/005794 WO2013019007A2 (ko) 2011-07-29 2012-07-20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US14/235,623 US9339354B2 (en) 2011-07-29 2012-07-20 Membrane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JP2014522741A JP5782189B2 (ja) 2011-07-29 2012-07-20 歯槽骨再生用メンブレン
CN201280038257.5A CN103717173B (zh) 2011-07-29 2012-07-20 用于牙槽骨再生的膜
EP12819865.2A EP2737871B1 (en) 2011-07-29 2012-07-20 Membrane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TW101127281A TWI551271B (zh) 2011-07-29 2012-07-27 齒槽骨再生用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208A KR101128059B1 (ko) 2011-08-05 2011-08-05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059B1 true KR101128059B1 (ko) 2012-03-29

Family

ID=4614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208A KR101128059B1 (ko) 2011-07-29 2011-08-05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05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683Y1 (ko) * 2012-05-09 2014-03-1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WO2015167049A1 (ko) * 2014-04-30 2015-11-05 주식회사 이덴테크 임플란트용 차폐막
KR101655441B1 (ko) * 2015-08-27 2016-09-08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KR20170025213A (ko) * 2015-08-27 2017-03-08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시술용 절단 메시
KR20180004418A (ko) 2016-07-04 2018-01-12 한국전기연구원 임플란트용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2471U (ko)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차폐막 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971A (ja) 1998-09-10 2000-03-28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板状タイプ人工歯根
US20050192675A1 (en) 2004-03-01 2005-09-01 Robinson Dane Q. Device for use in stimulating bone growth
US20070269769A1 (en) 2006-05-18 2007-11-22 Marcello Marchesi Method for the guided regeneration of bone and/or periodontal tissues in the medical surgical and dental field and device thus obtainable
JP2010284248A (ja) 2009-06-10 2010-12-24 Platon Japan:Kk インプラント用骨誘導再生補助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971A (ja) 1998-09-10 2000-03-28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板状タイプ人工歯根
US20050192675A1 (en) 2004-03-01 2005-09-01 Robinson Dane Q. Device for use in stimulating bone growth
US20070269769A1 (en) 2006-05-18 2007-11-22 Marcello Marchesi Method for the guided regeneration of bone and/or periodontal tissues in the medical surgical and dental field and device thus obtainable
JP2010284248A (ja) 2009-06-10 2010-12-24 Platon Japan:Kk インプラント用骨誘導再生補助具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683Y1 (ko) * 2012-05-09 2014-03-1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WO2015167049A1 (ko) * 2014-04-30 2015-11-05 주식회사 이덴테크 임플란트용 차폐막
KR101655441B1 (ko) * 2015-08-27 2016-09-08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KR20170025213A (ko) * 2015-08-27 2017-03-08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시술용 절단 메시
KR101721096B1 (ko) * 2015-08-27 2017-03-29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시술용 절단 메시
KR20180004418A (ko) 2016-07-04 2018-01-12 한국전기연구원 임플란트용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2471U (ko)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차폐막 세트
KR200495602Y1 (ko) 2020-04-29 2022-07-0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차폐막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059B1 (ko)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EP2737871B1 (en) Membrane for alveolar bone regeneration
KR101182806B1 (ko)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JP5891312B2 (ja) 歯科用メンブレン
KR101298249B1 (ko) 치과용 멤브레인
EP2814417B1 (en) Shell aligner that accommodates tooth movement with brackets, system and method
CN102526880B (zh) 脑部电极导线固定装置
KR101717681B1 (ko)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 장치
KR101296741B1 (ko) 힐링 어버트먼트
KR101019290B1 (ko) 치열 교정용 버칼 튜브
KR101181877B1 (ko)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20130125132A (ko) 치아 교정기
CN101342094A (zh) 牙齿矫治器
CN105193464A (zh) 医用缝合线包
EP3573567A1 (en) Orthodontic brackets, systems, and methods
KR101405771B1 (ko) 교정 브라켓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US9510920B2 (en) Method for producing at least one patient-specific modularly composed bracket body and corresponding bracket
US20050221248A1 (en)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JP2016522031A (ja) 改善された歯科用ウェッジ
KR101144322B1 (ko) 치과용 멤브레인
KR20200031561A (ko) 잉여 치과용 시멘트에 의한 염증 방지 시트의 사용 방법 및 염증 방지 시트
KR102175693B1 (ko) 치열 교정 브래킷
KR101356942B1 (ko) 치과교정용 브라켓
CN205181492U (zh) 一种改进的假牙种植构件
KR10106727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1107

Effective date: 201304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531

Effective date: 20131004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1231

Effective date: 2014100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324

Effective date: 2014100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1105

Effective date: 201507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