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441B1 -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441B1
KR101655441B1 KR1020150121282A KR20150121282A KR101655441B1 KR 101655441 B1 KR101655441 B1 KR 101655441B1 KR 1020150121282 A KR1020150121282 A KR 1020150121282A KR 20150121282 A KR20150121282 A KR 20150121282A KR 101655441 B1 KR101655441 B1 KR 101655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sh
upper cover
side cover
alveolar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기봉
윤창호
김태일
박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to KR102015012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1Juxtaosseous implants, i.e. implants lying 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jaw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100)는, 커버 기능을 하는 시트 형상의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에 관통된 지지공(120)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110)는 상기 지지공(120)이 형성되어 치조골(B)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 상부커버(111)와, 상기 상부커버(111)에 연결되고 치조골(B)의 측방을 덮도록 형성된 측부커버(113)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111)와 측부커버(113)는 상호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 및 형상의 인조골 성형에 부합하도록 다양한 사이즈 및 형상의 상부커버(111) 및 측부커버(113)를 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Assembly mesh for implant surgery}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조합타입으로 구성하므로 다양한 사이즈 및 형상으로 가변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서 다양한 사이즈의 인조골 성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메시를 입체적으로 구부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메시로 인조골을 덮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임플란트 시술을 할 경우, 치조골(B)이 괴사되어 함몰되어 있다면 픽스처(F)를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임플란트 시술이 불가하다. 이렇게 치조골(B)이 함몰되는 현상은 고령 내지는 치주염과 같은 치질환이 원인이다.
따라서, 본인의 치조골(B)에서 얻은 뼈가루(P)나 인조 뼈가루(P) 내지는 동물 뼈가루(P)를 뭉쳐서 치조골(B)의 함몰부에 충전하여 본래의 치조골(B) 모양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면, 피고름과 상기 뼈가루(P)가 섞여 응고되면서 인조골이 형성되므로 임플란트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처럼, 뼈가루(P)를 치조골(B)의 함몰부에 충전할 때, 본래의 치조골(B) 모양이 복원되도록 임플란트 시술용 메시(1)로 뭉쳐진 뼈가루(P)를 덮게 된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메시(1)는 시트 형상의 바디(1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0)에 관통되어 픽스처(F)가 끼워지는 지지공(20)이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ㄱ 형으로 절곡되어 지지공(20)이 형성된 일측은 치조골(B)의 상부를 덮고, 상대측은 뭉쳐진 뼈가루(P)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0)에 관통되어, 잇몸에서 뼈가루(P)로 피를 공급하므로 인조골의 괴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피를 통과시키는 통공(30)이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비흡수성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티타늄으로 형성되든지, 흡수성으로서 콜라겐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메시(1)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잇몸을 절개한 후 치조골(10)에 임플란트의 부속인 픽스처(F)가 식립된 상태에서 치조골(B)의 함몰 부위에 뼈가루(P)를 충전하여 본래의 치조골 (B) 모양이 되도록 성형한다. 그리고, 상기 픽스처(F)가 상기 바디(10)의 지지공(20)을 통과하도록 하여 바디(10)가 충전된 뼈가루(P)를 커버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잇몸을 봉합하므로 인조골 성형 시술이 완료된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메시(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치조골(10)의 함몰 부위의 사이즈 및 모양이 피시술자마다 다양하므로 이에 부합하는 사이즈 및 형상의 임플란트 시술용 메시(1)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969889호 (2010년 07월 06일)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단일 크기의 임플란트 시술용 메시의 사이즈 및 형상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각 사이즈별로 임플란트 시술용 메시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는,
커버 기능을 하는 시트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110)에 관통된 지지공과, 상기 바디의 표면 및 이면에 선택적으로 절단라인을 따라 선형의 절개부가 표시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바디에 잉크가 인쇄되어 표시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바디에 노치 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바디에 관통된 홀이 절단 라인을 따라 배열되어 점선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는, 상기 상부커버와 측부커버로 분할된 상태에서 각각을 다양한 사이즈와 형상의 것으로 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치조골 내지는 인조골에 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시술 현장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서 다양한 모양과 사이즈의 메시를 모양과 크기에 따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메시를 입체적으로 구부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메시로 인조골을 덮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로서 도 4의 측부커버 보다 사이즈가 큰 것을 상부커버에 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로서 삽입돌기와 삽입홀의 위치가 도 3과 반대인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시술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로서 도 4의 측부커버 보다 사이즈가 큰 것을 상부커버에 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로서 삽입돌기와 삽입홀의 위치가 도 3과 반대인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임플란트 시술 시, 치조골(B)에 함몰된 부분이 있다면 상기 함몰된 부분에 뭉쳐진 뼈가루(P)를 충전하여 인조골을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뼈가루(P)를 덮어서 모양이 성형되도록 메시를 커버하게 된다.
상기 메시는 커버 기능을 하는 시트 형상의 바디(11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10)에 관통된 지지공(1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10)에 혈액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관통된 통공(130)이 구성된다.
상기 바디(110)는 비흡수성으로서 티타늄과 같은 인체에 무해한 금속재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흡수성으로서 콜라겐 내지는 컷구트, 폴리글리콜산 등 인체에 흡수되어 소멸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메시를 분할된 상태에서 상호 탈착되도록 구성하므로 다양한 사이즈로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바디(110)는 상기 지지공(120)이 형성되어 치조골(B)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 상부커버(111)가 분할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커버(111)에 연결되고 치조골(B)의 측방을 덮도록 형성된 측부커버(11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11)와 측부커버(113)는 상호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성되므로 상기 상부커버(111)나 측부커버(113)를 다양한 사이즈의 것으로 교체하므로 다양한 크기로 가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상부커버(111)와 측부커버(113)가 상호 탈착되는 일례로서, 도 3에서처럼, 상기 상부커버(111)에 있어서 측부커버(113)와 연결되는 쪽에 상하방으로 관통된 삽입홀(115)이 구성되고, 상기 삽입홀(115)에 끼워지도록 상기 측부커버(113)의 상단(V)에 돌출된 삽입돌기(117)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돌기(117)를 삽입홀(115)에 끼워서 도 5에서처럼 삽입돌기(117)를 접게 되면 상부커버(111)와 측부커버(113)의 연결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접혀진 삽입돌기(117)를 펴게 되면 분해가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서처럼, 상기 삽입돌기(117)와 삽입홀(115)의 위치가 반대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상부커버(111)에 있어서 측부커버(113)와 연결되는 쪽의 단부(M)에 돌출된 삽입돌기(117)가 구성되고, 상기 삽입돌기(117)가 끼워지도록, 상기 측부커버(113)에 있어서 상부커버(111)와 연결되는 쪽에 측방으로 관통된 삽입홀(115)이 구성될 수도 있다. 결합 방법은 상기 도 5를 통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100)에 의하면, 도 6에서처럼, 상기 상부커버(111)의 사이즈를 정해 놓은 상태에서 상기 측부커버(113)를 다양한 사이즈 및 형상의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역으로 측부커버(113)의 사이즈를 정해 놓은 상태에서 상부커버(111)를 상이한 사이즈 및 형상의 것으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 및 형상의 변경이 가능한 이점이 있기 때문에 피시술자의 치조골(B)의 크기와 모양에 최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시술 현장에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인조골의 모양이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다면 상부커버(111)는 작고 측부커버(113)는 상부커버(111)보다 큰 것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다면 상부커버(111)는 크고 측부커버(113)는 상부커버(111)보다 작은 것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모양과 사이즈에 본 발명은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해서 다양한 모양의 메시를 모양과 크기에 따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110: 바디
111: 상부커버
113: 측부커버
115: 삽입홀
117: 삽입돌기
120: 지지공
130: 통공

Claims (3)

  1. 커버 기능을 하는 시트 형상의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에 관통된 지지공(120)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110)는 상기 지지공(120)이 형성되어 치조골(B)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 상부커버(111)와,
    상기 상부커버(111)에 연결되고 치조골(B)의 측방을 덮도록 형성된 측부커버(113)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111)와 측부커버(113)는 상호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11)와 측부커버(113)가 상호 탈착되도록,
    상기 상부커버(111)에 있어서 측부커버(113)와 연결되는 쪽에 상하방으로 관통된 삽입홀(115)과,
    상기 삽입홀(115)에 끼워지도록 상기 측부커버(113)의 상단(V)에 돌출된 삽입돌기(11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11)와 측부커버(113)가 상호 탈착되도록,
    상기 상부커버(111)에 있어서 측부커버(113)와 연결되는 쪽의 단부(M)에 돌출된 삽입돌기(117)와,
    상기 삽입돌기(117)가 끼워지도록, 상기 측부커버(113)에 있어서 상부커버(111)와 연결되는 쪽에 측방으로 관통된 삽입홀(11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KR1020150121282A 2015-08-27 2015-08-27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KR101655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82A KR101655441B1 (ko) 2015-08-27 2015-08-27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282A KR101655441B1 (ko) 2015-08-27 2015-08-27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441B1 true KR101655441B1 (ko) 2016-09-08

Family

ID=5695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282A KR101655441B1 (ko) 2015-08-27 2015-08-27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4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6511A (ja) * 1996-08-19 2000-12-12 マクロポ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骨格修復及び再生用の再吸収性の巨孔の潰れない可撓性膜バリア
WO2001091663A1 (de) * 2000-05-29 2001-12-06 Domonkos Horvath Vorrichtungen und medizinische membranen zur knochenregeneration
KR100969889B1 (ko) 2008-04-22 2010-07-13 (주) 코웰메디 골확장 술식용 임시 어버트먼트
KR101128059B1 (ko) * 2011-08-05 2012-03-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20140128888A (ko) * 2013-04-29 2014-11-06 주식회사 이덴테크 임플란트용 차폐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6511A (ja) * 1996-08-19 2000-12-12 マクロポ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骨格修復及び再生用の再吸収性の巨孔の潰れない可撓性膜バリア
WO2001091663A1 (de) * 2000-05-29 2001-12-06 Domonkos Horvath Vorrichtungen und medizinische membranen zur knochenregeneration
KR100969889B1 (ko) 2008-04-22 2010-07-13 (주) 코웰메디 골확장 술식용 임시 어버트먼트
KR101128059B1 (ko) * 2011-08-05 2012-03-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20140128888A (ko) * 2013-04-29 2014-11-06 주식회사 이덴테크 임플란트용 차폐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2186B2 (en) Prosthetic implants
US9750600B2 (en) Breast implant
WO2005039454A3 (en) Flexible implant
EP2258309A3 (en) Minimally invasive medical implant and insertion device
US20060287654A1 (en) Implant securing device and method
EP2298225A3 (en) Arrangement and device for using a template to form holes for implants in bone, preferably jaw bone
WO2007020449A3 (en) Implantable cartilaginous tissue repair device
WO2006047310A3 (en) Hollow and porous orthopaedic or dental implant that delivers a biological agent
WO2006007230A3 (en) C-shaped disc prosthesis
EP1613252A4 (en) PERCUTANEOUSLY IMPLANTABLE MEDICAL DEVICE FOR PROMOTING INTERNAL TISSUE GROWTH
CA3007220A1 (en) Wound treatment device
CN204890257U (zh) 一种3d打印的下颌骨修复体
Rashid et al. Surgical and prosthetic management of maxillary odontogenic myxoma
KR101655441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KR101721096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절단 메시
ES2894755T3 (es) Pieza de aumento óseo y kit de pieza de aumento óseo con implante (dental) insertado
JP6663477B2 (ja) 親指の大菱形骨と中手骨間の関節用のプロテーゼ
KR20100008951U (ko) 턱 성형용 보형물
CN202235723U (zh) 骨表面种植牙的固定装置
Kim et al. A standardized formula for aesthetic mandibular reconstruction using an osteocutaneous fibular free flap
RU93022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аллотрансплантат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ушной раковины
US20220008192A1 (en) Device for support and shape of soft tissue
Mounesh Kumar et al. An unusual case of odontogenic fibromyxoma of anterior maxilla
RU52699U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пластиночный имплантат
KR20170025212A (ko) 임플란트 시술용 와이어 메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