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888A - 임플란트용 차폐막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차폐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8888A KR20140128888A KR20140051767A KR20140051767A KR20140128888A KR 20140128888 A KR20140128888 A KR 20140128888A KR 20140051767 A KR20140051767 A KR 20140051767A KR 20140051767 A KR20140051767 A KR 20140051767A KR 20140128888 A KR20140128888 A KR 201401288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elding film
- absorbent
- implant
- bone
- absorb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75—Bone morphogenic factor; Osteogenins; Osteogenic factor; Bone-inducing fact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17—Bone stimulation by chemical reactions or by osteogenic or biological products for enhancing ossification, e.g. by bone morphogenetic or morphogenic proteins [BMP] or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s [TG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차폐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조골에 결합된 임플란트 포스트 및 골 이식재를 덮고, 골유도 재생술 후 골 조직에 흡수되는 흡수성 차폐막과,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비흡수성 차폐막으로 이루어져, 흡수성 차폐막의 형태 유지와 차폐막에 의한 공간 확보를 통해 골유도 재생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시 사용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유도 재생시 사용되는 골 이식재를 덮는 임플란트용 차폐막에 관한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은 대체적으로, 환자의 잇몸을 절개한 후 그 속에 있는 잇몸뼈(이를 '치조골'이라 한다)에 임플란트용 포스트를 삽입하고, 임플란트용 포스트에 인공치아(Crown)를 결합함으로써 완성된다.
임플란트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픽스쳐가 식립되는 치조골은 충분한 길이와 폭이 필요하다. 뼈는 다른 조직에 흡수되거나 소실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뼈유도 재생술(이를 '골유도 재생술'이라고도 한다)이 필요한데, 뼈는 다른 조직과 달리 신체의 구조로 완전히 회복되는 유일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뼈가 올바른 형태로 재생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상태가 필요한데, 기계적 안정성과 풍부한 혈액 공급이 그것이다.
골유도 재생술의 생물학적 필요조건은 혈류의 공급, 안정화, 골아세포, 제한된 공간, 공간 유지, 창상피개 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여러 외과적 술식이 시행된다. 골 이식재에 적절한 압력을 제공하는 경우, 밀착성이 높아지고 골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안정화 및 제한된 공간을 위해 차폐막을 사용한다. 차폐막은 혈병을 보호해주고, 연조직 세포가 골 결손부로 이주해 오는 것을 막고 골성 세포가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차폐막 적용을 위해서는, 골 결손부와 골 이식재의 범위에 따라 형태와 크기에 맞도록 재단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수술 시간이 지연되고 조작상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차폐막은 물리적으로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폐막이 적절히 고정되지 못하는 경우, 치유 과정 중 골 이식재의 변위나 움직임,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골치유가 저해됨은 물론 원하는 양의 골재생을 도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흡수성 차폐막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곤란하다. 이에 비하여, 티타늄(Ti)과 같은 금속 소재를 사용하는 비흡수성 차폐막은, 형태가 유지되어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세포가 증식되는데 필요한 기간 확보가 용이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그러나, 티타늄 소재의 비흡수성 차폐막은 조직에 흡수되지 않으므로 일정기간 경과 후 수술을 통해 제거해야 하는 부담 및 시술시 조작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골유도 재생술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조골에 결합되는 임플란트 포스트 및 골 이식재를 덮고, 골유도 재생술 후 골 조직에 흡수되는 흡수성 차폐막과,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비흡수성 차폐막을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는, 상기 치조골에 삽입 결합되는 골조직 결합부와, 상기 골조직 결합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되는 치관이 치관 고정용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도록 치관 결합용 암나사가 형성된 치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혈액 및 골 형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성 차폐막 및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 각각은 평면 형태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의 표면적은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표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내부 영역 포함되도록 상기 흡수성 차폐막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흡수성 차폐막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일부를 관통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차폐막 및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돌출부를 매개로 상기 흡수성 차폐막과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원형 형상의 원형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원형 형상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복수의 날개부 중 인접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날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원형 형상부에서 먼 쪽의 단부에 각각 체결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용 홀은 상기 치조골에 상기 날개부를 고정시키는 체결 기구가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성 차폐막은,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양면 중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이 부착되지 않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상기 돌출부 부분은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다른 부분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티타늄 금속막 또는 티타늄 재질보다 탄성이 높은 어느 일 금속 재질의 막에 티타늄을 도금한 금속막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플라스틱 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은, 막의 일면에 돌출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치조골에 결합되되 상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임플란트 포스트의 상기 오목부에 상기 돌출부가 억지 끼움되는 동작으로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는, 상기 치조골에 삽입 결합되는 골조직 결합부와, 상기 골조직 결합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되는 치관이 치관 고정용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도록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된 치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는 상기 오목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는, 상기 치조골에 삽입 결합되는 골조직 결합부와, 상기 골조직 결합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결합되는 치관이 치관 고정용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도록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가 형성된 치관 연결부와, 상기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에 상기 치관을 결합시키기 전 상기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임시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볼트의 상부면에 상기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정다각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부에 억지 끼움되되, 수평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정다각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돌출부가 억지 끼움되되, 수평 단면이 원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원기둥, 원뿔, 반구형 및 구형 중 어느 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수평 단면의 지름은, 상기 오목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단의 최단 이격거리보다 작고, 상기 오목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단의 최장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수평 단면의 지름은, 상기 돌출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외측단의 최단 이격거리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해 대향되는 외측단의 최장 이격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용 차폐막은,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 및 골 이식재를 덮는 흡수성 차폐막과, 상기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비흡수성 차폐막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흡수성 차폐막을 관통하여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을 상기 흡수성 차폐막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원형 형상의 원형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원형 형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용 차폐막은, 상기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 및 골 이식재를 덮는 흡수성 차폐막과,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비흡수성 차폐막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양면 중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이 부착되지 않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혈액 및 골 형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콜라겐 소재의 흡수성 차폐막에 비흡수성 재료로 사용되는 티타늄을 이용하여, 흡수성 차폐막의 형태 유지와 차폐막에 의한 공간 확보를 통해 골유도 재생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체 감염에 대한 부작용이 없이 골유도 재생술을 할 수 있고, 골 이식재가 변형되지 않도록 충분한 유지력 및 안정적인 공간 확보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임플란트 포스트에 대한 결합 과정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을 쉽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가 식립된 것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임플란트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차폐막이 골 이식재를 덮고 있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과 임플란트 포스트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임플란트 포스트 시술이 적용된 경우의 치조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치열과 나란한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7은 임플란트 포스트 시술이 적용된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치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비흡수성 차폐막의 여러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이 시술된 치조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임플란트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차폐막이 골 이식재를 덮고 있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과 임플란트 포스트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임플란트 포스트 시술이 적용된 경우의 치조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치열과 나란한 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7은 임플란트 포스트 시술이 적용된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치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비흡수성 차폐막의 여러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이 시술된 치조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는 일반적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치근인 픽스쳐(fixture)를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인공치근에 치아 보철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 치아 구조를 의미한다. 임플란트라는 용어는 넓게 이러한 치과 시술 방법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고, 좁게는 픽스쳐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구조는 주로 일반적인 인공 치아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가 식립된 것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임플란트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는 골조직 결합부(10), 치관 연결부(20), 어버트먼트(30) 및 치관(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골조직 결합부(10) 및 치관 연결부(20)를 임플란트 포스트(1)라 칭하기로 한다.
골조직 결합부(10)는 치은(잇몸)(G)으로 덮혀 있는 치조골(B)에 결합하여 인공치근을 형성한다. 골조직 결합부(10)는 픽스쳐(fixture), 좁은 의미로서의 임플란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치관 연결부(20)는 하단부가 골조직 결합부(10)와 연결되고 상단부에 어버트먼트(30)가 결합될 수 있다. 치관 연결부(20)는 골조직 결합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플란트는 치관 연결부(20)가 어버트먼트(30)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과 분리 가능한 분리형이 있다. 분리형은 치관 연결부(20)와 어버트먼트(30)의 결합 구조에 따라 인터널(internal)형 및 익스터널(external)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익스터널 형에 대해 도시하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인터널 및 익스터널 형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치관 연결부(20)의 외주면은 어버트먼트(30)가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형태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관 연결부(20)는 다각 기둥 형태일 수 있다. 어버트먼트(30)의 내부에는 치관 연결부(20)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의 형태도 치관 연결부(20)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버트먼트(30) 내부의 홈은 치관 연결부(20)가 다각 기둥인 경우 다각 기둥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치관 연결부(20)는 어버트먼트(30)에 삽입되고, 치관 연결부(20)의 외면과 어버트먼트(30)의 내면이 서로 대응됨으로써 치관 연결부(20)에 어버트먼트(30)를 결합한 후 치관(40)이 회전하거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치관 연결부(20)의 상면에는 골조직 결합부(10)를 향하여 함몰되게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22)(이하, '암나사부'라 칭한다)가 형성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30)는 치관 결합용 볼트(50)가 삽입되는 삽입홀(30b)을 구비할 수 있다. 치관 고정용 볼트(50)는 어버트먼트(30) 및 치관 연결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결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치관(4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치관(40)은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한다. 치관(40)은 크라운(crown), 인공치아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때, 치관(40)은 어버트먼트(30)에 향후에 형성됨으로써 치관 연결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임플란트 시술 후, 암나사부(22)의 내부에 연조직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 스크류(임시볼트)(150)를 암나사부(22)에 임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임시볼트(150)는 렌치 등이 삽입될 수 있는 볼트 오목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헥사공(153)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트 오목부(153)는 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볼트 오목부(153)는 십자형태나 일자 형태의 홈일 수 있다. 볼트 오목부(153)은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원기둥, 원뿔, 반구형 및 구형 중 어느 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볼트 오목부(153)가 다각형 중 육각형 형태인 헥사공(153)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 포스트(1)는 몸체와 헤드로 나눠서 지칭될 수 있다. 임플란트 포스트(1)의 몸체는 치골에 삽입되는 부분을 지칭하며, 임플란트 포스트(1)의 헤드는 몸체의 상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치관이 결합되는 부분을 지칭한다. 대부분 임플란트 포스트(1)의 헤드는 치관 연결부(20)와 동일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치관 고정용 볼트(50)가 결합되는 암나사부(22)에 임시볼트(1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임플란트 포스트(1)의 오목부는 치관(40) 고정을 위하여 치관 연결부(20)에 형성된 암나사부(22) 및/또는 암나사부(22)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된 임시볼트(150)에 형성된 볼트 오목부(153)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암나사부(22)는 나사가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말을 지칭하는 것으로, 나사 결합부분 이외의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및 도 2는 치관(크라운(crown))을 임플란트 포스트(1)(또는 픽스쳐)나 어버트먼트(30)에 나사에 의해 고정하는 나사유지형 방식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픽스쳐에 어버트먼트(30)를 나사 고정하고, 별도로 제작된 크라운을 고정된 어버트먼트(30) 위에 배치하여, 그 사이에 치과용 시멘트를 개재하여 크라운과 어버트먼트(30)를 합착하는 시멘트 유지형 방식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임플란트용 차폐막(121)이 골 이식재(60)(이를 "뼈 이식재"라고도 한다)을 덮고 있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임플란트 시술시에는, 환자의 잇몸을 절개한 후 그 속에 임플란트 포스트(1)를 치조골(B)에 삽입한다. 치조골(B)이 부족한 경우 부족한 치조골(B)에 각형 인공뼈를 이식하거나 분말형 인공뼈(골 이식재(60))를 삽입하여 치조골(B)이 증대되도록 하는 골유도 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GBR)을 시술할 수 있다. 골 이식재(60)가 채워진 후에, 채워진 골 이식재(60)가 필요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연조직 개입을 막고 골조직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치조골(B)에 임플란트 포스트(1) 및 골 이식재(60)를 덮고, 골유도 재생술 후 골 조직에 흡수되는 흡수성 차폐막(121A) 및 흡수성 차폐막(121A)의 외측면에 노출되도록 결합되어 흡수성 차폐막(121A)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비흡수성 차폐막(121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흡수성 차폐막(121A) 및 비흡수성 차폐막(121B)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구분과는 상관없이 크게 흡수성과 비흡수성으로 구분된다. 흡수성 차폐막(121A)은 생체분해물질로 만들어져 일정기간 장벽(Barrier)의 기능을 수행한 뒤 분해되어 조직에 흡수되도록 만들어진 제품이다. 십자형 타입(Cross-linked Type)과 비 십자형 타입(Non-Cross-linked Type) 등으로 구분되며 최소 2주부터 최대 54주까지 흡수되어 추가적인 제거 술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흡수성 차폐막(121A)이 외부에 노출되거나 손상이 되더라도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서 감염의 위험도가 낮은 편이다.
주로 콜라겐(Collagen), 폴리유산수지(Polyactic acid), 폴리 그라틱 산(Polyglactic acid) 등으로 만들어지는 흡수성 차폐막(121A)은 2차 수술이 필요 없으며, 상피세포의 이동을 막고, 공간을 형성해 선택적 세포 증식 및 골 재생을 유도한다. 또한 흡수성 차폐막(121A)는 탄성이 있어 상처에 가해지는 기계적 스트레스를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흡수성 차폐막(121A)는 콜라겐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는데 보통 동물의 힘줄(Tendon) 등에서 얻어진 콜라겐을 처리해서 만든다. 이와 같은 흡수성 차폐막(121A)의 경우 비흡수성 차폐막보다 골재생에 있어 다소 지연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부작용이 비흡수성 차폐막(121B)보다 적고 안전성에서도 우수한 편이다.
하지만 흡수성 차폐막(121A)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비흡수성 차폐막(121B)에 비해 공간확보 능력이 다소 떨어지며 지지대로서의 효능이 작은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티타늄(Ti)과 같은 금속 소재를 사용하는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형태가 유지되어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세포가 증식되는 데 필요한 기간 확보가 용이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과 임플란트 포스트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임플란트 포스트 시술이 적용된 경우의 치조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치열과 나란한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임플란트 포스트 시술이 적용된 경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치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평면 형태의 막및 막의 중앙 하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평면 형태의 막은 흡수성 차폐막(121A) 및 비흡수성 차폐막(121B)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즉, 평면 형태의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과용 차폐막일 수 있다. 특히,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티타늄과 같은 비흡수성 재료로 형성되는 비흡수성 차폐막(121B)일 수 있다. 또한, 골 손실부에 맞추어 재단이 용이하도록,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콜라겐 같은 흡수성 재료로 형성되는 흡수성 차폐막(121A)일 수 있다.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비흡수성 차폐막(121B) 및 흡수성 차폐막(121A)의 이중 구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흡수성 차폐막(121A)과 비흡수성 차폐막(121B)의 이중 구조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한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에 형성되는 돌출부(122)는 흡수성 차폐막(121A) 또는 비흡수성 차폐막(121B)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2)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출부(122)는 비흡수성 차폐막(121B)에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임플란트 포스트(110)는 인공 치아(치관(40))와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임플란트 포스트(110)는 몸체 자체를 의미할 수 있고, 임플란트 포스트(110)의 암나사부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임시 볼트(커버 스크류)(150)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돌출부(122)는 임플란트 포스트(110)의 상단 부분인 치관 연결부(113)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결합되거나,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임플란트 포스트(110)의 암나사부 또는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출부(122)가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시, 임플란트 포스트(110)의 암나사부를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임시볼트(150)가 사용된다. 임플란트 포스트(110)의 몸체(111)는 치조골(B)에 삽입된다. 몸체(111)의 상단 부분인 치관 연결부(113)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임시볼트(150)의 숫나사부(152)가 결합할 수 있다.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돌출부(122)에 의해 임시볼트(150)에 고정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임시볼트(150)의 머리부(151)에 형성된 오목부(153)에 끼워질 수 있다. 돌출부(122)는, 대응되는 오목부(153)에 억지 끼워 맞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22)의 크기는 오목부(153)의 크기에 비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목부(153)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오목부(153)의 단면은 정육각형 등의 정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2)는 원기둥, 원뿔, 또는 반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돌출부(122)와 오목부(153)의 형상이 상이함으로써 향후 임시볼트(150)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돌출부(122)는 상기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육각형 등과 같은 정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2)와 오목부(153)의 형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오목부(153)가 정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돌출부(122)가 오목부(153)에 적절한 억지 끼움이 되도록, 돌출부(122) 중 어느 한 단면의 지름은 오목부(153)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단의 최단 이격거리 보다 크고, 오목부(153)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단의 최장 이격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돌출부(122)가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억지끼운 상태에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을 회전시키는 경우,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임시볼트(150)에 대하여 상대적인 원형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시술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의 위치 및 방향을 정한 후, 임플란트 포스트(110)에 수직으로 장착 가능하며, 방향에 오차가 있는 경우 간단하게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쉽게 그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임플란트 포스트(110)가 치조골(B)에 삽입되고, 임시볼트(150)가 임플란트 포스트(110)에 고정되며, 치조골(B)의 주위에 골 이식재(130)가 놓여지고,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이 골 이식재(130)와 임시볼트(150)를 덮도록 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흡수성 재료로써 평면 형태의 흡수성 차폐막(121A) 및 그 흡수성 차폐막(121A)의 일면에 결합되는 금속성 재료와 같은 비흡수성 재료로써 비흡수성 차폐막(121B)을 포함할 수 있다.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흡수성 차폐막(121A)에 프레임 구조로 부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성 차폐막(121A) 및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평면 형태의 막으로 형성되고,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흡수성 차폐막(121A) 보다 표면적이 작으며, 흡수성 차폐막(121A)의 내부 영역에 고정되어 부착된다. 여기서, 흡수성 차폐막(121A)의 내부 영역이라 함은, 임플란트 포스트(110)가 구비된 방향으로 향하는 흡수성 차폐막(121A)의 일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돌출부(122)가 비흡수성 차폐막(121b)에 형성되고, 돌출부(122)가 흡수성 차폐막(121A)을 관통하여 흡수성 차폐막(121A)의 내부 영역에 비흡수성 차폐막(121B)을 고정시키는 매개 역할을 한다.
이때, 돌출부(122)는 흡수성 차폐막(121A)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122)가 흡수성 차폐막(121A)에 형성되는 경우 돌출부(122)는 흡수성 차폐막(121A)과 상이한 티타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돌출부(122)가 흡수성 차폐막(121A)에 형성되는 경우, 돌출부(122)는 비흡수성 차폐막(121B)이 부착되지 않는 흡수성 차폐막(121A)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출부(122)가 비흡수성 차폐막(121B)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에서,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원형 형상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 형상부(123)는 도 4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돌출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도 8에서 보이는 면을 표면이라 할 때 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은 도 4와 이면도라 할 수 있다.
돌출부(122)는 원형 형상부(123)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22)는 원형 형상부(123)와 결합되거나, 원형 형상부(123)와 동시에 형성되거나, 원형 형상부(123)를 드로잉(drawing) 또는 엠보싱(embossing)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22)는 원형 형상부(123)와 일체로 형성되며, 흡수성 차폐막(121A)을 통과하여 흡수성 차폐막(121A)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단면이 원형 형태가 되도록 하여, 돌출부(122)가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억지 끼워진 상태에서도 흡수성 차폐막(121A) 및 비흡수성 차폐막(121B)을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 회전시키는 경우 임시볼트(150)에 대하여 상대적인 원형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이 임플란트 포스트(110)에 틀어져서 결합된 경우, 쉽게 그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122)가 원형 단면을 구비하도록, 돌출부(122)는 실린더 형상, 원뿔, 반구형 또는 구형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돌출부(122)가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억지끼워 맞춤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며, 별도의 체결수단을 가지지 않으면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이 임플란트 포스트(110) 주위를 효과적으로 덮을 수 있다.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원형 형상부(123)로부터 4개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날개부(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이웃하는 날개부(124)들을 연결하며 지지하는 지지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형 형상부(123)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비흡수성 차폐막(121B)의 날개부(124)는 흡수성 차폐막(121A)을 지지하며, 지지부(125)는 날개부(124)들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성 차폐막(121A)은 가공(재단 등)이 용이하고, 비흡수성 차폐막(121B)의 날개부(124) 및 지지부(125)에 의하여 탄성과 경성이 균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티타늄 소재이거나, 티타늄 보다 높은 탄성을 가진 탄성 소재의 막에 티타늄을 도금한 것일 수 있다. 티타늄은 일반 흡수성 차폐막(121A)보다는 탄성이 높으며 견고하나, 외부 압력에 쉽게 형상이 변하고 원상태로 되돌아 오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탄성 소재의 금속에 티타늄 도금을 하여, 외부 압력에 따른 항상성을 유지하면서 인체에 무해한 차폐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을 이용하여 골 이식재(60)를 덮을 때 지지대로서 역할을 하여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흡수성 차폐막(121A)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외부 압력에 취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비흡수성 차폐막(121B)에 의해 외부 압력에 대응할 수 있어 골 손실부에 채워진 분말형 골 이식재(60)의 변형이나 이동을 방지하는 등 골 이식재(60)의 물리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골 재형성에 향상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8의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흡수성 차폐막(121A) 상부에 비흡수성 차폐막(121B)이 부착되어 형태 유지가 가능하게 하고,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의 하부에 비흡수성 금속 재질의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 등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의 일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비흡수성 차폐막의 여러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흡수성 차폐막(121A) 및 비흡수성 차폐막(121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돌출부(122)를 구비하는 원형 형상부(123)를 포함할 수 있고, 날개부(124) 및 지지부(125)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원형 형상부(123)에 바 타입의 날개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부(123)에 날개부(124) 및 날개부(124)를 지지하는 지지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수성 차폐막(121A), 원형 형상부(123), 날개부(124) 및 지지부(125)에 대한 상세 설명은, 도 8에 대한 상기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9 및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부(123), 날개부(124) 및 지지부(125)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복수의 통공(180)이 형성될 수 있다.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혈액이나 골 형성 성분 등을 통과시키지 못하나, 복수의 통공(180)을 통해, 치은(G)으로부터 혈액이나 골 형성 성분 등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 안쪽의 골 이식재(60)에 공급되어 골 이식재(60)가 치조골(B)에 원활하게 재생되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이 시술된 치조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흡수성 차폐막(121A), 비흡수성 차폐막(12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흡수성 차폐막(121B)는 금속성 원형 형상부(123) 및 바 타입의 금속성 날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3을 참조하면, 날개부(124)에는 원형 형상부(123)에서 먼 쪽의 단부에 체결용 홀(126)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용 홀(126)을 통과하는 체결 기구(127)에 의하여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이 보다 안정적으로 치조골(B)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흡수성 평면 형태의 흡수성 차폐막(121A)에 금속 프레임인 비흡수성 차폐막(121B)을 결합하여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 전체의 형태 유지와 골 이식재(60)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치조골(B)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고 고정됨으로써 골 이식재(60)의 형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원형 형상부(123), 날개부(124), 날개 지지부(125) 및 돌출부(122)의 재질을 비흡수성 차폐막(121B)으로써 금속성 재료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원형 형상부(123), 날개부(124), 날개 지지부(125) 및 돌출부(122)는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 소재(예컨대, 확장된 폴리테크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등)의 막일 수 있다.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골 손실부에 따라 적당히 구부리거나 재단 등의 성형을 통해, 골 손실부를 잘 덮어야 한다. 플라스틱은 구부린 상태로 유지가 잘 되지 않는다. 비흡수성 소재가 플라스틱인 경우, 도 1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날개부(124)는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깝게 구부려진 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비흡수성 차폐막(121B)는 치조골의 원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은 비흡수성 차폐막(121B)을 통하여 흡수성 차폐막(121A)의 형태 유지를 유지시킴으로써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121)에 의한 공간 확보를 통해 골유도 재생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B: 치조골 G: 치은
10: 골조직 결합부 20: 치관 연결부
22: 암나사부 30: 치관
35: 치관 고정용 볼트 60: 골 이식재
121: 차폐막 121A: 흡수성 차폐막
121B: 비흡수성 차폐막 122: 돌출부
123: 원형 형상부 124: 날개부
125: 날개 지지부 126: 체결용 홀
180: 통공
10: 골조직 결합부 20: 치관 연결부
22: 암나사부 30: 치관
35: 치관 고정용 볼트 60: 골 이식재
121: 차폐막 121A: 흡수성 차폐막
121B: 비흡수성 차폐막 122: 돌출부
123: 원형 형상부 124: 날개부
125: 날개 지지부 126: 체결용 홀
180: 통공
Claims (24)
- 임플란트 포스트 및 골 이식재를 덮고, 골유도 재생술 후 골 조직에 흡수되는 흡수성 차폐막; 및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비흡수성 차폐막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혈액 및 골 형성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의 표면적은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표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내부 영역에 포함되도록 상기 흡수성 차폐막에 부착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흡수성 차폐막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일부를 관통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의 치관 결합용 암나사 및 상기 치관 결합용 암나사에 결합되는 임시볼트의 상부면의 오목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원형 형상의 원형 형상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원형 형상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상기 복수의 날개부 중 인접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날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원형 형상부에서 먼 쪽의 단부에 각각 체결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용 홀은 상기 치조골에 상기 날개부를 고정시키는 체결 기구가 관통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차폐막은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양면 중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이 부착되지 않은 면에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상기 돌출부 부분은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다른 부분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티타늄 금속막 또는 티타늄 재질보다 탄성이 높은 어느 일 금속 재질의 막에 티타늄을 도금한 금속막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은, 플라스틱 막인 임플란트용 이중 차폐막. - 차폐막의 일면에 돌출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치조골에 결합되되 상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임플란트 포스트의 상기 오목부에 상기 돌출부가 억지 끼움되어 상기 임플란트에 결합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의 상기 치조골에 삽입 결합되는 골조직 결합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치관 연결부에 구비된 치관 및 어버트먼트 중 적어도 하나가 치관 고정용 볼트를 매개로 결합되도록 하는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 및
상기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임시볼트의 상부면에 형성된 헥사공 중 어느 하나인 임플란트용 차폐막.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돌출부 중 어느 하나는 수평 단면이 정다각형이고, 나머지 하나는 수평 단면이 원형인 임플란트용 차폐막.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기둥, 원뿔, 반구형 및 구형 중 어느 한 형상인 임플란트용 차폐막.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수평 단면이 원형인 경우, 상기 돌출부의 수평 단면의 지름은, 상기 오목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단의 최단 이격거리보다 작고, 상기 오목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단의 최장 이격거리보다 큰 임플란트 차폐막.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수평 단면이 원형인 경우, 상기 오목부의 수평 단면의 지름은, 상기 돌출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외측단의 최단 이격거리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의 수평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해 대향되는 외측단의 최장 이격거리보다 큰 임플란트 차폐막.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용 차폐막은,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 및 골 이식재를 덮는 흡수성 차폐막; 및
상기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비흡수성 차폐막을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흡수성 차폐막을 관통하여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을 상기 흡수성 차폐막에 결합시키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용 차폐막은,
상기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 및 골 이식재를 덮는 흡수성 차폐막; 및,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수성 차폐막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비흡수성 차폐막을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7118 | 2013-04-29 | ||
KR20130047118 | 2013-04-29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2374A Division KR20150133671A (ko) | 2015-10-30 | 2015-10-30 | 임플란트용 차폐막 |
KR1020160081023A Division KR20160098105A (ko) | 2013-04-29 | 2016-06-28 | 임플란트용 차폐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8888A true KR20140128888A (ko) | 2014-11-06 |
Family
ID=5245464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51767A KR20140128888A (ko) | 2013-04-29 | 2014-04-29 | 임플란트용 차폐막 |
KR20140052006A KR20140128896A (ko) | 2013-04-29 | 2014-04-29 | 임플란트 어셈블리 |
KR1020140051790A KR20140128889A (ko) | 2013-04-29 | 2014-04-29 | 임플란트용 차폐막 |
KR1020160081023A KR20160098105A (ko) | 2013-04-29 | 2016-06-28 | 임플란트용 차폐막 |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52006A KR20140128896A (ko) | 2013-04-29 | 2014-04-29 | 임플란트 어셈블리 |
KR1020140051790A KR20140128889A (ko) | 2013-04-29 | 2014-04-29 | 임플란트용 차폐막 |
KR1020160081023A KR20160098105A (ko) | 2013-04-29 | 2016-06-28 | 임플란트용 차폐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 | KR20140128888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5441B1 (ko) * | 2015-08-27 | 2016-09-08 | 주식회사 덴티스 |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
KR20200025055A (ko) * | 2018-08-29 | 2020-03-1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결합돌기가 구비된 치조골 골유도재생용 차폐막 |
CN112472334A (zh) * | 2020-11-25 | 2021-03-12 | 广州市弘健生物医用制品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牙槽骨重建的支架结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3802B1 (ko) * | 2015-10-15 | 2017-02-08 |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 3d 치과용 차폐막 성형기구 |
KR101686221B1 (ko) * | 2016-03-10 | 2016-12-13 | 안필호 | 임플란트 시술용 날개형 멤브레인 |
KR200489588Y1 (ko) * | 2017-09-20 | 2019-07-09 |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 경접형동 접근법 수술용 임플란트 |
KR101930797B1 (ko) * | 2018-02-20 | 2019-03-11 | 주식회사 아이두바이오텍 | 발치와 보존 기능을 갖는 임플란트 장치 |
JP2023525586A (ja) * | 2020-05-14 | 2023-06-16 | イノベディス ゲーエムベーハー | 腱固定プレート |
KR102283471B1 (ko) * | 2020-11-30 | 2021-07-30 |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츄어 가이드 커버 |
WO2023121061A1 (ko) * | 2021-12-20 | 2023-06-29 | 문천호 | 치과 임플란트용 스크류 |
KR20230122756A (ko) * | 2022-02-15 | 2023-08-22 | 주식회사 바이오템 | 3d 골유도 재생술용 본 스크류 |
-
2014
- 2014-04-29 KR KR20140051767A patent/KR2014012888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04-29 KR KR20140052006A patent/KR20140128896A/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4-29 KR KR1020140051790A patent/KR20140128889A/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6-28 KR KR1020160081023A patent/KR2016009810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5441B1 (ko) * | 2015-08-27 | 2016-09-08 | 주식회사 덴티스 |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
KR20200025055A (ko) * | 2018-08-29 | 2020-03-1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결합돌기가 구비된 치조골 골유도재생용 차폐막 |
CN112472334A (zh) * | 2020-11-25 | 2021-03-12 | 广州市弘健生物医用制品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牙槽骨重建的支架结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8889A (ko) | 2014-11-06 |
KR20160098105A (ko) | 2016-08-18 |
KR20140128896A (ko) | 2014-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98105A (ko) | 임플란트용 차폐막 | |
US8523568B2 (en) | Dental implant | |
KR100938991B1 (ko) | 미니 임플란트. | |
KR101065924B1 (ko) | 지대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런트 | |
KR101140620B1 (ko) |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 |
KR200456270Y1 (ko) |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 |
KR101984691B1 (ko) | 발치 위치 재건을 위한 치과용 장치 | |
KR20160026885A (ko) | 치과 보철물을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 |
KR101537233B1 (ko) | 두 줄 나사산 방식의 고정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 |
CN203226912U (zh) | 一种人工植牙结构 | |
KR101540559B1 (ko) |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지지플레이트 | |
KR101446072B1 (ko) |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 |
US10806548B2 (en) | Methods and devices for countering gingival effects in dental restoration | |
KR101090203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46168B1 (ko) |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 |
KR101388185B1 (ko) |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 |
JP2011104222A (ja) | 歯科インプラント | |
KR20190040590A (ko) |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 |
KR20150040777A (ko) | 임플란트 | |
KR20150133671A (ko) | 임플란트용 차폐막 | |
KR20180065091A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1608170B1 (ko) | 임플란트 유닛 | |
KR101820489B1 (ko) |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 |
KR101037892B1 (ko) | 임플란트 디텍터 커버스크류 | |
KR20140105098A (ko) | 경사형 임플란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