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270Y1 -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270Y1
KR200456270Y1 KR2020110005722U KR20110005722U KR200456270Y1 KR 200456270 Y1 KR200456270 Y1 KR 200456270Y1 KR 2020110005722 U KR2020110005722 U KR 2020110005722U KR 20110005722 U KR20110005722 U KR 20110005722U KR 200456270 Y1 KR200456270 Y1 KR 200456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bone
flange
coupled
low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우
Original Assignee
장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우 filed Critical 장재우
Priority to KR2020110005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8Immediate loaded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임플란트용 픽스츄어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 사이에 측부홈이 형성되며, 하면 중심에 상방으로 하부홈이 형성되어 발치와 내에 수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미니 스크류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발치와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가 골융합 시 제거되는 플랜지;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몸체에 측부홈과, 하부홈 등을 형성함으로써 식립 시 치조골과의 마찰력을 줄이면서 식립 후 골융합 시에는 치조골과의 접촉 표면적을 증대시켜 보다 강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발치 후 골질이 약하거나 골양이 부족하여 발치와에 몸체의 식립 시 몸체의 초기 고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발치와 상부에 몸체의 상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지를 결합시켜 몸체의 초기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발치 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픽스츄어{FIXTURE FOR IMPLANT}
본 고안은 환자의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는데 사용되는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치 후 즉시 식립 가능하고, 식립 시 치조골과의 마찰을 줄이며, 골융합 이후에는 치조골과 접촉되는 표면적을 증대시켜 강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란 상실된 인체 조직을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는데, 치과에서는 일반적으로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자연치근이 빠져나간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매식하여 유착시킨 후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대치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는 인공치아와 치근과의 결합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그 중에서 스크류의 결합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스크류 타입 임플란트가 있는데, 종래의 스크류 타입 임플란트 조립체는 픽스츄어, 지대주 및 보철물 등으로 구성된다.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매식되어 전체 임플란트 시스템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인체 골조직과의 융합을 위해서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티타늄으로 제조된다. 지대주는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보철물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철물은 인상채득, 작업모형 제작, 납형제작, 매몰 및 소환 공정 등의 공정을 통해 치아의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손상된 치아의 발치에서부터 발치된 치조골의 치유 및 임플란트의 이식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발치된 치조골의 치유기간은 대략 4개월에서 6개월 정도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발치된 치조골은 치유되면서 치조골 폭의 감소를 유발하여 임플란트 시술에 필요한 가용골이 부족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기간의 단축과, 발치로 인한 치조골 폭의 감소 방지를 위하여, 가능한 경우 손상된 치아를 발치함과 동시에 임플란트 시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발치 후 즉시 식립' 이라 한다.
발치 후 즉시 식립에 있어서, 치조골과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이른바 '골융합'이 충분히 일어나기 위해서는 발치된 치조골 내부의 골벽과 픽스츄어 사이의 간격이 일정 거리(대략 1~2mm 이내) 이내이어야 한다.
골벽과 픽스츄어 사이의 간격이 일정 거리보다 작은 경우 사이드를 커팅하여 식립하는데, 이때 골질이 약하거나 골양이 부족한 경우 픽스츄어의 초기 고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픽스츄어의 식립 시 치조골과의 마찰력에 의해 열이 발생되는데, 이 열은 치조골의 괴사를 유발시키기 때문에 식립 시 마찰력을 작게 해야 하고, 식립 후에는 마찰력을 크게 하여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골질이 약하거나 골양이 부족한 경우에도 픽스츄어의 초기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픽스츄어의 식립 시에는 치조골과 픽스츄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면서 식립 후에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강한 고정력을 가진 임플란트용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임플란트용 픽스츄어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 사이에 측부홈이 형성되며, 하면 중심에 상방으로 하부홈이 형성되어 발치와 내에 수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미니 스크류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발치와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가 골융합 시 제거되는 플랜지; 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홈을 형성하는 내벽에는 하나 이상의 서브 하부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돌기와 착탈 가능하게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부홈 및 상기 하부홈에는 생체활성 물질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부홈과, 상기 하부홈 및 상기 서브 하부홈에는 생체활성 물질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는 SLA, RBM 또는 SLA와 RBM 조합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표면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임플란트용 픽스츄어에 의하면, 몸체에 측부홈과, 하부홈 등을 형성함으로써 식립 시 치조골과의 마찰력을 줄이면서 식립 후 골융합 시에는 치조골과의 접촉 표면적을 증대시켜 보다 강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발치 후 골질이 약하거나 골양이 부족하여 발치와에 몸체의 식립 시 몸체의 초기 고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발치와 상부에 몸체의 상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지를 결합시켜 몸체의 초기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발치 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용 픽스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중 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임플란트용 픽스츄어가 발치와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임플란트용 픽스츄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용 픽스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중 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임플란트용 픽스츄어가 발치와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임플란트용 픽스츄어는 몸체(110) 및 플랜지(1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외주면에 나사산(112)이 형성된 형태로, 상부 중심에 육각 형태의 돌출부(111)가 돌출되고, 나사산(112) 사이에는 측부홈(113)이 형성되며, 하면 중심에는 상방으로 하부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측부홈(113)은 나사산(112)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정한 크기의 홈들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홈(114)을 형성하는 내벽에는 하나 이상의 서브 하부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홈(114)을 형성하는 내벽의 경우 암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브 하부홈(115)은 암나사산들 사이에 형성되거나 암나사산과 중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홈(113)과, 하부홈(114)과, 서브 하부홈(115) 및 하부홈(114)을 형성하는 내벽에 암나사산의 형성은 몸체(110)가 식립 시 치조골(200)과의 마찰력을 줄이면서 식립 후 치조골(200)의 성장에 의한 몸체(110)와의 골융합 시 치조골(200)에 접촉되는 표면적을 증대시켜 강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골융합 시 치조골(200)의 뼈세포들이 표면에 잘 달라붙도록 SLA, RBM, 또는 SLA과 RBM 조합형에 의하여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측부홈(113)과, 상기 하부홈(114)과, 상기 서브 하부홈(115) 및 암나사산 사이에는 생체활성 물질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생체활성 물질은 BMP-2, BMP-7, TGF-β1, βFGF, VEGF, IGF-1, PDGF, PTH, MEPE, OGP 등이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생체활성 물질의 결합은 골융합 기능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20)는 원판 형태로 중공이 형성되고, 외측에 복수개의 결합홀(12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플랜지(120)는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부(111)에 억지끼움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발치 후 발기와(200)에 몸체(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플랜지(120)가 발기와(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즉 결합홀(121)을 통해 삽입된 미니 스크류(130)가 발기와(200) 상부에 결합되어 골질이 약하거나 골양이 부족하여 몸체(110)의 초기 고정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플랜지(120) 외측의 결합홀(121)을 통해 미니 스크류(130)로 플랜지(120)를 발기와(200) 상부에 결합시켜 초기 고정력이 약하거나 불가능할 때 초기 고정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플랜지(120)의 하면, 즉 발치와(200) 상부에 접촉되는 면에는 고정돌기(미도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돌기는 플랜지(120)가 발치와(200) 상부에 안착 시 발치와(200) 상부에 소정 깊이 박혀 플랜지(1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미니 스크류(130)에 의한 결합 시 미니 스크류(130)의 체결이 수월해지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몸체(110) 상에 플랜지(120)가 결합된 형태는 단면이 대략 "T"자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110)가 발치와(200) 내부에 배치되더라도 플랜지(120)는 발치와(200) 상부에 안착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플랜지(120)는 몸체(110)와 치조골(200)이 골융합되어 몸체(110)의 고정력이 어느정도 유지된 상태에서 발기와(200) 상부 및 몸체(110)로부터 분리 제거된다.
따라서, 몸체(110)의 초기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플랜지(120)의 추가로 인하여 발치 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임플란트용 픽스츄어에 의하면, 몸체(110)에 측부홈(113)과, 하부홈(114) 등을 형성함으로써 식립 시 치조골(200)과의 마찰력을 줄이면서 식립 후 골융합 시에는 치조골(200)과의 접촉 표면적을 증대시켜 보다 강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발치 후 골질이 약하거나 골양이 부족하여 발치와(200)에 몸체(110)의 식립 시 몸체(110)의 초기 고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발치와(200) 상부에 몸체(110)의 상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지(120)를 결합시켜 몸체(110)의 초기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발치 후 즉시 식립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여기서, 플랜지의 제거는 어버트먼트와 잇몸 사이의 연조직의 형태를 잡아주는 2차 수술 시에 이루어져, 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부가적인 수술이 필요없고 기존에 존재하는 2차 수술 과정에서 제거가 되므로 환자에게도 불편감이 없게 된다.
110... 몸체
111... 돌출부
112... 나사산
113... 측부홈
114... 하부홈
115... 서브 하부홈
120... 플랜지
121... 결합홀
130... 미니 스크류
200... 치조골 또는 발치와

Claims (6)

  1.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에 있어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 사이에 측부홈이 형성되며, 하면 중심에 상방으로 하부홈이 형성되어 발치와 내에 수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미니 스크류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발치와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가 골융합 시 제거되는 플랜지;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홈을 형성하는 내벽에는 하나 이상의 서브 하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돌기와 착탈 가능하게 암수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부홈 및 상기 하부홈에는 생체활성 물질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부홈과, 상기 하부홈 및 상기 서브 하부홈에는 생체활성 물질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SLA, RBM 또는 SLA와 RBM 조합형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표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KR2020110005722U 2011-06-23 2011-06-23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KR200456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722U KR200456270Y1 (ko) 2011-06-23 2011-06-23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722U KR200456270Y1 (ko) 2011-06-23 2011-06-23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270Y1 true KR200456270Y1 (ko) 2011-10-20

Family

ID=5367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722U KR200456270Y1 (ko) 2011-06-23 2011-06-23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7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170B1 (ko) * 2015-01-21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KR101930797B1 (ko) * 2018-02-20 2019-03-11 주식회사 아이두바이오텍 발치와 보존 기능을 갖는 임플란트 장치
KR101997693B1 (ko) * 2019-03-11 2019-07-08 주식회사 대건테크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CN110584812A (zh) * 2019-10-09 2019-12-20 河南拉瓦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种植牙骨增量多功能基台
KR102059964B1 (ko) 2018-07-19 2019-12-30 장희지 생분해성 물질을 구비한 임플란트
KR102059960B1 (ko) 2018-06-11 2019-12-30 장희지 생분해성 물질을 구비한 임플란트
US10743966B2 (en) 2015-01-21 2020-08-18 Kwang Seob Kim Implant unit
WO2023158067A1 (ko) * 2022-02-15 2023-08-24 주식회사 바이오템 3d 골유도 재생술용 본 스크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126B1 (ko) 2008-01-30 2010-04-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티타늄 임플란트 표면의 수산화아파타이트 코팅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126B1 (ko) 2008-01-30 2010-04-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티타늄 임플란트 표면의 수산화아파타이트 코팅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170B1 (ko) * 2015-01-21 2016-03-31 김광섭 임플란트 유닛
US10743966B2 (en) 2015-01-21 2020-08-18 Kwang Seob Kim Implant unit
KR101930797B1 (ko) * 2018-02-20 2019-03-11 주식회사 아이두바이오텍 발치와 보존 기능을 갖는 임플란트 장치
KR102059960B1 (ko) 2018-06-11 2019-12-30 장희지 생분해성 물질을 구비한 임플란트
KR102059964B1 (ko) 2018-07-19 2019-12-30 장희지 생분해성 물질을 구비한 임플란트
KR101997693B1 (ko) * 2019-03-11 2019-07-08 주식회사 대건테크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CN110584812A (zh) * 2019-10-09 2019-12-20 河南拉瓦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种植牙骨增量多功能基台
WO2023158067A1 (ko) * 2022-02-15 2023-08-24 주식회사 바이오템 3d 골유도 재생술용 본 스크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270Y1 (ko)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KR101140620B1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KR101139962B1 (ko) 플레이트를 가진 치과용 임플란트
KR100938991B1 (ko) 미니 임플란트.
KR200443018Y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2384530B1 (ko) 치과 임플란트
CA2941483C (en) Dental implant
JP2007519490A (ja) 骨に使用するための固定要素
KR200464681Y1 (ko) 치과용 임플란트 매식체
KR20100096327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60098105A (ko) 임플란트용 차폐막
KR10109020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및 그 제조방법
KR200383246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KR200424914Y1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1571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100542043B1 (ko) 치과용 응급 임플란트
KR101037892B1 (ko) 임플란트 디텍터 커버스크류
KR200481296Y1 (ko) 임플란트 픽스쳐
KR20140105098A (ko) 경사형 임플란트
KR101059741B1 (ko) 미니 임플란트
WO2009075459A1 (en) Dental implant fixture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0622545B1 (ko) 앞니용 인공치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