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545B1 - 앞니용 인공치근 - Google Patents

앞니용 인공치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545B1
KR100622545B1 KR1020040053809A KR20040053809A KR100622545B1 KR 100622545 B1 KR100622545 B1 KR 100622545B1 KR 1020040053809 A KR1020040053809 A KR 1020040053809A KR 20040053809 A KR20040053809 A KR 20040053809A KR 100622545 B1 KR100622545 B1 KR 100622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veolar bone
artificial tooth
gum
tooth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097A (ko
Inventor
한종현
허성주
류인철
최용창
김용식
김신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랜텍
한종현
류인철
최용창
허성주
김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랜텍, 한종현, 류인철, 최용창, 허성주, 김용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랜텍
Publication of KR20050101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면의 형상이 앞니에 사용하기 적합하게 앞니 쪽 치조골이나 잇몸의 형태와 일치되게 말안장 모양으로 되어 있는 앞니용 인공치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에 가공치아를 연결하기 위한 지대주가 결합되며, 치조골(9)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부(13)가 가공되어 있는 인공치근(3)에 있어서, 상단면 모서리 부분이 전후 부분은 오목하고, 좌우 부분은 볼록한 말안장 모양의 곡선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인공치근의 상단면 모서리 부분의 형상이 앞니 쪽 치조골 및 그 위의 잇몸 형상과 일치되도록 제작되어 있으므로 인공치근 상단 외주면 주위의 치조골 및 잇몸이 빠짐없이 인공치근 둘레에 유착될 수 있게 되어 치조골 상단의 골흡수, 잇몸의 퇴축 및 세균 침투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 앞니용 인공치근을 제공한다.
인공치아, 인공치근

Description

앞니용 인공치근{Implant fixture used for a front teeth}
도 1은 종래의 일반형 인공치아의 구조 및 이식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인공치근이 앞니 부위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치근이 앞니 부위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형태의 인공치근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형태의 인공치근이 앞니 부위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 형태의 인공치근이 앞니 부위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 형태의 인공치근이 앞니 부위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3 : 인공치근 9 : 치조골
11 : 잇몸 13 : 나사부
15 : 플랜지 17 : 나사
19 : 조밀 나사부 21 : 미세 홈
본 발명은 인공치아(dental implan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부의 형상이 앞니에 사용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는 앞니용 인공치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갈아서 소화가 잘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만일 이러한 치아가 소실되면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 없고 소화가 잘 안되므로 음식을 마음껏 먹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영양분의 원활한 섭취도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치아는 예로부터 신체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간의 치아는 아동기에 1회에 걸쳐 영구치로 교환된 이후에는 치아를 상실하게 될 경우 더 이상 새로운 치아가 생겨나지 않으므로 치과에서 보철치료를 통해 상실된 치아나 그 주위조직을 수복하여 저작기능 등을 회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일반적 치과치료방법은 인접해 있는 치아나 주위 잇몸 및 뼈조 직에 어느 정도의 손상을 가져오므로 이를 감수하지 않을 수 없고, 틀니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자연치아에 비해 저작 능력의 감소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불편감이나 이물감 등을 초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보편적인 보철치료방법의 단점을 보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인공치아 이식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치아 결손시 주위의 치아나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거의 자연치아와 동일한 모든 기능과 외모를 회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최근 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인공치아는 자연치아의 인공 대체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치근(103), 지대주(105), 가공치아(107)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인공치근(103)은 자연치아의 치근과 같이 결손된 치아부위의 치조골(109) 속에 심어져 가공치아(107)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체이다. 또한 지대주(105)는 지대치라고 하며 잇몸(111)에 심어져 인공치근(103)과 가공치아(107)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공치아(107)는 지대주(105)에 의해 구강내에 고정되어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재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인공치아(101)를 이용하여 상실된 치아를 회복하고자 할 때의 이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식과정은 크게 외과적 술식 즉, 수술방식과 보철적 수복으로 구분되며, 수술에 앞서 적합성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혈액검사 등의 기본적인 검사를 시행하고, 이식할 부위를 선정하여 그 부위의 골조직 질과 양을 평가하기 위해 구강검사 및 방사선 사진검사 등을 선행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검사가 완료되면 외과적 술식에 들어가는데, 먼저 국소마취 하에 치근에 해당하는 인공치근(103)을 치조골(109) 내에 이식하기 위한 1차 수술 시 잇몸(111)을 절개하고 치조골(109) 조직을 노출시킨 다음 인공치근(103)을 삽입한 후 잇몸(111)을 일단 봉합한다.
그리고 나서, 골질에 따라 3 내지 6 개월이 경과한 뒤 2차 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봉합했던 잇몸(111)을 재차 절개하고 이미 치조골(109)내에 이식된 인공치근(103)의 상면에 지대주(105)를 얹어놓는다. 그런 다음 지대주(105)의 중심에 형성된 삽입공(113)을 통해 연결나사(115)를 삽입하여, 인공치근(103)의 중심부에 삽입공(113)과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17)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잇몸(111) 내에서 지대주(105)를 인공치근(103) 상단에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잇몸(111)을 통해 구강내로 지대주(105)를 돌출시킨 다음 2차 수술이 치유되면 보철치료를 시행하게 되는데, 먼저 지대주(105)의 상면에 골드 실린더(gold cylinder; 121)를 동축상으로 얹어놓는다. 이때 연결나사(115)의 상단 돌출부(119)는 골드 실린더(121)의 원뿔대 모양의 하부 관통공(123)에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골드 실린더(121) 상단에서 가공치아(107)를 제작한 후 가공치아(107)의 중심선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는 치아공(127)을 통해 골드 스크류(129)를 삽입하여, 연결나사(115)의 돌출부(119) 상면에 관통된 체결공(125)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인공치아(101)의 이식이 완결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인공치아(101)는 특히 앞니에 적용되는 것인 경우, 앞니의 치조골(109) 및 잇몸(111)의 외형이 다소 과장되나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치아 (110)를 중심으로 좌우 부분이 위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인공치근(103)의 상단 모서리 부분과 치조골(109)의 외형선 부분이 일치하지 않고, 치조골(109)의 외형선이 인공치근(103) 위로 들뜨게 된다.
따라서 인공치근(103) 위의 치조골(109) 부분(A,B) 중 치조골(109)을 뚫고 인공치근(103)을 박았을 때 절제되는 부분(A)을 제외한 부분(B)은 인공치근(103)과 인접한 부분(C)과 달리 유착될 지지물을 갖지 못하게 됨에 따라 치유기간이 경과되면서 차츰 골흡수를 일으키며, 더 나아가 위쪽의 잇몸(111)에 퇴축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퇴축된 잇몸(111) 및 치조골(109) 사이로 세균이 침투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인공치근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인공치근의 상단 모서리 부분의 형상을 앞니 쪽 치조골의 외형과 일치되도록 완만한 곡선의 말안장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인공치근 주위의 치조골이 특히 상단부분에서 인공치근의 상단 측면 부분과 빠짐없이 유착될 수 있도록 하여 이 부분에서의 골 흡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인공치근의 상단에 다수의 미세 홈을 일정 폭 이상으로 배열하여 가공하여 주위의 치조골 상부의 피질골 및 잇몸에 대한 부착력을 더욱 증대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단에 가공치아를 연결하며 치조골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인공치근에 있어서, 상부의 상단면 모서리 부분이 전후 부분은 오목하고, 좌우 부분은 볼록한 말안장 모양의 곡선으로 형성된 플랜지가 상기 치조골 상부와 접하는 치조골 접촉부와 상기 잇몸과 접하는 잇몸 접촉부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치조골 접촉부의 외주면과 상기 잇몸 접촉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미세 홈, 바람직하게는 나사부의 나사 보다 피치 및/또는 산 높이가 작은 조밀 나사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치조골 접촉부의 외주면에만 다수의 미세 홈, 바람직하게는 나사부의 나사 보다 피치 및/또는 산 높이가 작은 조밀 나사부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치조골 접촉부와 상기 잇몸 접촉부 사이의 외주면으로 내측으로 파인 홈이 원환형으로 형성된 앞니용 인공치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플랜지가 상기 치조골 상부와 접하는 치조골 접촉부로 구비되어, 이때 상기 치조골 접촉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미세 홈, 바람직하게는 나사부의 나사 보다 피치 및/또는 산 높이가 작은 조밀 나사부가 형성된 앞니용 인공치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앞니용 인공치근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앞니용 인공치근은 도 4 및 도 5에 도면부호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9) 내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나사부(13)와, 나사부(13) 상단에서 잇몸(11)과 접하고 있는 플랜지(15)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나사부(13)는 치조골(9)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면 어떤 형태로 제작되어도 무관한데, 일반적으로는 삼각나사가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사각나사를 채용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앞니용 인공치근(3)은 플랜지(15)의 상단면 모서리 부분이 전체적으로 말안장 모양으로 전후 부분은 오목하고, 좌우 부분은 볼록하게 완만한 곡선을 그리고 있어 이 인공치근(3)이 심어지는 앞니의 치조골(9) 외형선과 일치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인공치근(3)은 잇몸(11)과 접하는 상단의 플랜지(15) 외주면에 위에서 아래로 400㎛의 피치 간격을 갖는 다수의 미세 홈(21)이 촘촘하게 가공되어 인접한 잇몸(11) 조직에 대한 부착력을 높이도록 구비하였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5) 외주면에 조밀 나사부(19)가 추가로 가공되어 있는 바, 이 조밀 나사부(19)는 나사부(13)의 나사(17) 보다 피치 및/또는 산 높이가 작아 나사산이 상대적으로 촘촘하게 가공되어 있으며, 인접한 잇몸(11)이나 치조골(9)에 대한 반력을 상대적으로 줄이기 위해 삼각나사(20)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5) 의 상측 끝단이 치조골(9) 상부인 피질골(9')과 접하도록 형성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미세 홈(21), 바람직하게는 나사부(13)의 나사 보다 피치 및/또는 산 높이가 작은 조밀 나사부(19)를 형성하여, 치조골(9) 상부인 피질골(9')과 접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5) 하측 외주면은 치조골(9) 상부인 피질골(9')과 접촉하는 치조골 접촉부(15a)를, 그리고 상기 플랜지(15) 상측 외주면은 잇몸(11)과 접촉하는 잇몸 접촉부(15b)를 각각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치조골 접촉부(15a)는 미세 홈(21), 바람직하게는 나사부(13)의 나사 보다 피치 및/또는 산 높이가 작은 조밀 나사부(19)를 형성하여, 치조골(9) 상부인 피질골(9')과의 유착이 양호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잇몸 접촉부(15b)는 미세 홈(21) 또는 조밀 나사부(19) 보다 덜 거칠고 매끄러운 면으로 구비하여 잇몸(11)과 접하도록 하여 잇몸(11)의 끝부분(D)과의 유착이 양호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치조골 접촉부(15a)와 상기 잇몸 접촉부(15b) 사이의 외주면으로는 내측으로 파인 홈(25)을 원환형으로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앞니용 인공치근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인공치근(3)은 일반적인 인공치아의 인공치근과 마찬가지로 외주면에 가공된 나사부(13)에 의해 치조골(9) 안으로 나사 결합되어 들어가며, 하단에 치조골(9)을 파내는 절삭날(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체결력을 강 화하기 위해 나사부(13)의 나사(17)가 사각나사로 되어 있으나, 삼각나사 등 다른 종류의 나사가 적용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인공치근(3)은 상단면 부분이 인접한 치조골(9)이나 그 위의 잇몸(11) 형태에 맞게 말안장 모양으로 좌우 부분이 위로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으며, 전후 부분이 아래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기 때문에 치조골(9)의 상부인 피질골(9')의 끝부분(B)까지 플랜지(15)를 통해 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끝부분(B)의 골 흡수, 더 나아가 그 윗 부분에 위치하는 잇몸(11)의 퇴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부(13)를 사각나사로 제작하여 체결력을 증대시킴에 따라, 나사부(13)로부터 인접 치조골에 가해지는 반력이 증대됨에도 불구하고 피질골(9')이 위치하는 치조골(9) 표층과 맞닿는 플랜지(15)의 외주면에 미세 홈(21), 바람직하게는 삼각나사(20)로 된 조밀 나사부(19)가 위치하므로 미세 홈(21) 또는 조밀 나사부(19)가 보다 좀 더 치밀하게 치조골(9) 상부의 피질골(9')에 유착되면서도 상대적으로 미세 홈 또는 조밀 나사부(19)로부터 받는 반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플랜지(15) 인접 부분의 치조골(9)의 골흡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전후 부분은 오목하게, 좌우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된 플랜지(15)의 상부에 잇몸 접촉부(15b)를 형성하여, 치조골(9) 상 부인 피질골(9') 끝부분(B)은 미세 홈(21) 및 조밀 나사부(19)가 가공된 플랜지(15)의 치조골 접촉부(15a)와 접촉되어 치조골(9)과 플랜지(15)와의 유착이 증대되도록 하였으며, 아울러 잇몸(11)의 끝부분(D)인 연조직이 잇몸 접촉부(15b)와 접촉되어 잇몸(11)의 연조직과 잇몸 접촉부(15b)와의 유착이 증대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인공치근(3) 시술 후 인공치근(3)과 치조골(9) 및 잇몸(11) 사이로 침투되는 세균의 침입을 막고, 골흡수 현상을 방지하며, 또한 잇몸(11) 및 치조골(9)과의 유착이 증대되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플랜지(15)의 치조골 접촉부(15a)와 잇몸 접촉부(15b) 사이의 외주면으로 내측으로 파인 홈(25)을 원환형으로 형성하여, 잇몸(11)의 섬유 아세포인 결체조직이 홈(25)에 응집되도록 하여, 상측 잇몸(11)의 연조직과 인공치근(3)과의 유착이 증대되도록 하였다.
이로서 상기 치조골 접촉부(15a)에 의해서 치조골(9) 상부인 피질골(9')의 형성이 양호하도록 하고, 상기 홈(25)에 의해 잇몸(11)의 결체조직이 올바르게 응집된 후, 상기 잇몸 접촉부(15b)와 잇몸(11)의 연조직과의 유착이 양호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인공치근(3)과 잇몸(11) 및 치조골(9)과의 유착이 양호하며, 세균의 침투를 방지하여 인공치근(3) 시술이 원활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앞니용 인공치근에 의하면, 인공치근의 상단면 모서리 부분의 형상이 앞니 쪽 치조골 및 그 위의 잇몸 형상과 일치되도 록 말안장 모양으로 제작함으로써 인공치근 상단 외주면 주위의 치조골이 빠짐없이 인공치근 둘레에 유착될 수 있도록 하여 이 부분에서의 치조골 흡수나 그 윗부분에서의 잇몸 퇴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치조골 상부 피질골과 접촉하는 외주면 부분에 다수의 미세 홈 또는 조밀 나사부를 형성하고 잇몸과 접촉하는 외주면 부분에 보다 매끄러운 면으로 형성하여, 치조골 상부 피질골 및 잇몸이 플랜지와 유착이 잘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주위의 치조골 또는 잇몸에 대한 부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상단에 가공치아를 연결하며 치조골(9)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부(13)가 형성된 인공치근(3)에 있어서,
    상부의 상단면 모서리 부분이 전후 부분은 오목하고, 좌우 부분은 볼록한 말안장 모양의 곡선으로 형성된 플랜지(1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니용 인공치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5)는
    상기 치조골(9) 상부와 접하는 치조골 접촉부(15a)와
    상기 잇몸(11)과 접하는 잇몸 접촉부(15b)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니용 인공치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 접촉부(15a)의 외주면과 상기 잇몸 접촉부(15b)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미세 홈(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니용 인공치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홈(21)은
    피치와 나사산 높이가 나사부(13)의 나사보다 작고 조밀하게 형성된 조밀 나사부(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니용 인공치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 접촉부(15a)의 외주면에만
    다수의 미세 홈(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니용 인공치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홈(21)은
    피치와 나사산 높이가 나사부(13)의 나사보다 작고 조밀하게 형성된 조밀 나사부(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니용 인공치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 접촉부(15a)와 상기 잇몸 접촉부(15b) 사이의 외주면으로
    내측으로 파인 홈(25)이 원환형으로 형성된 것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니용 인공치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5)는
    상기 치조골(9) 상부와 접하는 치조골 접촉부(15a)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니용 인공치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치조골 접촉부(15a)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미세 홈(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니용 인공치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홈(21)은
    피치와 나사산 높이가 나사부(13)의 나사보다 작고 조밀하게 형성된 조밀 나사부(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니용 인공치근.
KR1020040053809A 2004-04-16 2004-07-10 앞니용 인공치근 KR100622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544 2004-04-16
KR20040010544 2004-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097A KR20050101097A (ko) 2005-10-20
KR100622545B1 true KR100622545B1 (ko) 2006-09-19

Family

ID=3727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809A KR100622545B1 (ko) 2004-04-16 2004-07-10 앞니용 인공치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592B1 (ko) * 2004-11-29 2007-01-09 장상건 인공치아용 인공치근
US8657602B2 (en) 2005-03-28 2014-02-25 Warantec Waved implant integrating soft tissue area and osseous tissue area
US20080153064A1 (en) 2005-03-28 2008-06-26 Chong Hyun Han Waved Implant Integrating Soft Tissue Area and Osseous Tissue Area
KR100743929B1 (ko) * 2006-06-21 2007-08-01 주식회사 워랜텍 임플란트용 인공 치근과 마운트의 결합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4268A (en) 1992-03-03 1994-11-15 Implant Innovations, Inc. Method for installing a dental implant fixture in cortical bone
KR200308260Y1 (ko) 2002-12-17 2003-03-26 주식회사 오스템 상악구치부용 치과 임플란트 픽스츄어
JP2003235872A (ja) 2002-02-15 2003-08-26 Takeshi Hoshiyama 歯科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に結合する無段階角度調整キーパーとアバットメント並びに歯科用工具
KR200333514Y1 (ko) 2003-08-28 2003-11-15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
US20030235801A1 (en) 2002-06-24 2003-12-25 Jae-Bong Lee Screw for dental impla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4268A (en) 1992-03-03 1994-11-15 Implant Innovations, Inc. Method for installing a dental implant fixture in cortical bone
JP2003235872A (ja) 2002-02-15 2003-08-26 Takeshi Hoshiyama 歯科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に結合する無段階角度調整キーパーとアバットメント並びに歯科用工具
US20030235801A1 (en) 2002-06-24 2003-12-25 Jae-Bong Lee Screw for dental implants
KR200308260Y1 (ko) 2002-12-17 2003-03-26 주식회사 오스템 상악구치부용 치과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0333514Y1 (ko) 2003-08-28 2003-11-15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097A (ko)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218B1 (ko) 임플란트 장치
JP4747240B2 (ja) 骨に使用するための固定要素
US20040219488A1 (en) Dental implant and head for a compacttion drill
KR100938991B1 (ko) 미니 임플란트.
JP2000083970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カバースクリュー
KR200456270Y1 (ko)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KR100712703B1 (ko)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KR101388185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20210076401A (ko) 임플란트 크라운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대주
US79550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ingle tooth replacement in a growing individual
KR100332383B1 (ko) 만곡 인공치아 지대주
KR100622545B1 (ko) 앞니용 인공치근
KR200357422Y1 (ko) 플랜지에 이단 홈이 가공된 인공치아의 지대주
KR100280119B1 (ko) 치과용 인공치아의 인공치근
KR100743929B1 (ko) 임플란트용 인공 치근과 마운트의 결합구조
KR100332384B1 (ko) 인공치아
KR101059741B1 (ko) 미니 임플란트
KR101214748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080033221A (ko) 보조나사를 이용한 즉시 장착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0357421Y1 (ko)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
KR100746739B1 (ko) 어버트먼트 일체형 임플란트
KR100630441B1 (ko) 날개형 인공치근을 구비한 인공치아
KR100935299B1 (ko) 즉시 고정이 가능한 환자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US20230372067A1 (en) Dental implant for preserving bone and improving osseointegration
CN2278446Y (zh) 两段非埋置式种植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