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514Y1 -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514Y1
KR200333514Y1 KR20-2003-0027732U KR20030027732U KR200333514Y1 KR 200333514 Y1 KR200333514 Y1 KR 200333514Y1 KR 20030027732 U KR20030027732 U KR 20030027732U KR 200333514 Y1 KR200333514 Y1 KR 200333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crew
artificial tooth
abutment
screw part
alveolar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홍
김정환
정병엄
Original Assignee
(주) 코웰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웰메디 filed Critical (주) 코웰메디
Priority to KR20-2003-0027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5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19Blade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인공치아고정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단에 인공치아를 설치하기 위한 어버트먼트가 장착되는 어버트먼트설치부가 구비되며 외주연에 칩포켓이 형성된 절삭날부와 체결나사부가 구비된 인공치아고정체의 어버트먼트설치부와 체결나사부사이에 체결나사부와 동일한 리드를 가지는 다줄나사로 된 미세체결나사부가 상광하협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므로써,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시 인공치아고정체가 치조골에 천공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될 경우 치조골의 상부에 단단하게 형성된 부위에 다줄나사로 된 미세체결나사부의 다수의 나사산이 집중적으로 체결되어 더욱 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인공치아고정체의 초기고정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Fixture for dental implant}
본 고안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인공치아고정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단에 인공치아를 설치하기 위한 어버트먼트가 장착되는 어버트먼트설치부가 구비되며 외주연에 칩포켓이 형성된 절삭날부와 체결나사부가 구비된 인공치아고정체의 어버트먼트설치부와 체결나사부사이에 체결나사부와 동일한 리드를 가지는 다줄나사로 된 미세체결나사부가 상광하협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므로써,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시 인공치아고정체가 치조골에 천공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될 경우 치조골의 상부에 단단하게 형성된 부위에 다줄나사로 된 미세체결나사부의 다수의 나사산이 집중적으로 체결되어 더욱 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인공치아고정체의 초기고정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implant)란 치아가 상실된 부분에 티타늄재질로 된 나사형상의 인공치아고정체(fixture)를 매식하여 일정기간동안 뼈와 융합되도록 한 후 그 위에 연결부재인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한 다음 인공치아(crown) 등의 보철물을 고정시키므로써 치아기능을 회복시키게 되는 치과시술을 말한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종래의 인공치아고정체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에 인공치아를 설치하기 위한 어버트먼트가 장착되는 어버트먼트설치부(2)가 구비되며 외주연에 칩포켓(3a)이 형성된 절삭날부(3)와 체결나사부(4)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인공치아고정체는 상부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의 종류와 결합방식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설치부(2)의 형상과 구조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인터널(internal)방식과 익스터널(external)방식 등으로 나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인공치아고정체는 인공치아를 시술하고자 하는 치조골(턱뼈)(11)에 천공형성된 삽입공에 나사식으로 삽입되어 하단부에 형성된 칩포켓(3a)을 구비한 절삭날부(3)에 의해 치조골(11)에 천공형성된 삽입공의 내주면에 암나사부(12)를 형성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절삭날부(3)에 의해 형성된 암나사부(12)에 절삭날부(3)의 상부에 연속형성된 체결나사부(4)가 순차적으로 체결되므로써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치조골(11)에 나사식으로 삽입설치된 인공치아고정체(10)가 뼈조직과 완전히 융합되어 견고한 고정상태가 되기 전까지 인공치아고정체(10)와 치조골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초기고정력은 인공치아고정체(10)의 체결나사부(4)와 치조골(11)의 하부에 연약하게 형성된 저밀도의 연조직(11b)과의 체결상태보다는 치조골(11)의 상부에 단단하게 형성된 고밀도의 경조직(11a)과의 체결상태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그러나, 종래의 인공치아고정체(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치조골(11)의 경조직(11a)과 체결되고 있는 체결나사부(4)의 나사산수가 2 ~ 3개정도밖에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이 또한 경조직(11a)의 상부에 걸쳐진 상태로 불완전하게 체결되거나 경조직(11a)과 연조직(11b)의 경계부위에 걸쳐진 상태로 불완전하게 체결되어 온전한 체결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경조직(11a)과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체결나사부(4)의 나사산은 1 ~ 2개에 불과하므로, 인공치아고정체(10)의 초기고정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치조골(11)과의 골융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단에 인공치아를 설치하기 위한 어버트먼트가 장착되는 어버트먼트설치부가 구비되며 외주연에 칩포켓이 형성된 절삭날부와 체결나사부가 구비된 인공치아고정체의 어버트먼트설치부와 체결나사부사이에 체결나사부와 동일한 리드를 가지는 다줄나사로 된 미세체결나사부가 상광하협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므로써,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시 인공치아고정체가 치조골에 천공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될 경우 치조골의 상부에 단단하게 형성된 부위에 다줄나사로 된 미세체결나사부의 다수의 나사산이 집중적으로 체결되어 더욱 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인공치아고정체의 초기고정력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단에 인공치아를 설치하기 위한 어버트먼트가 장착되는 어버트먼트설치부가 구비되며 외주연에 칩포켓이 형성된 절삭날부와 체결나사부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설치부와 체결나사부사이에는 체결나사부의 리드와 동일한 리드를 가지는 다줄나사로 된 미세체결나사부가 상광하협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인공치아고정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치아고정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의 (가)(나)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치아고정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치아고정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공치아고정체 2 : 어버트먼트설치부
3 : 절삭날부 3a : 칩포켓
4 : 체결나사부 5 : 미세체결나사부
11 : 치조골 11a : 경조직
11b : 연조직 12 : 암나사부
13 : 잇몸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치아고정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의 (가)(나)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치아고정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치아고정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인공치아고정체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에 인공치아를 설치하기 위한 어버트먼트가 장착되는 어버트먼트설치부(2)가 구비되며 외주연에 칩포켓(3a)이 형성된 절삭날부(3)와 체결나사부(4)가 구비된 공지의 인공치아고정체의 어버트먼트설치부(2)와 체결나사부(4)사이에 체결나사부(4)의 리드 (lead : 나사를 1회전시켰을 때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거리)와 동일한 리드를 가지는 다줄나사(1리드내에 여러개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로 된 미세체결나사부(5)가 상광하협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미세체결나사부(5)는 체결나사부(4)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1리드내에 가능한 한 많은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체결속도와 체결력의 증대에 유리하게 되는데, 한정된 1리드내에 너무 많은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면 제조시 가공이 어려워지게 될 뿐 아니라 나사산자체의 강도가 떨어져 온전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체결나사부(4)의 리드치수에 따라 적정한 수의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나사부(4)의 리드치수가 0.8mm일 경우 미세체결나사부 (5)는 이 리드내에 피치가 0.2mm인 나사산이 2개 형성되는 2줄나사나 피치가 0.4mm인 나사산이 4개 형성되는 4줄나사나 피치가 0.1mm인 나사산이 8개 형성되는 8줄나사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때 미세체결나사부(5)는 2줄나사보다체결속도와 체결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8줄나사보다 가공이 용이하며 나사산자체의 강도가 우수한 4줄나사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인공치아고정체의 특징부인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미세체결나사부(5)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어버트먼트설치부(2)가 구비된 인터널(internal)방식의 인공치아고정체뿐 아니라, 도 3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어버트먼트설치부(2)가 구비된 익스터널(external)방식의 인공치아고정체와 도 3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어버트먼트설치부(2)가 구비된 픽싱(fixing)방식의 인공치아고정체에도 형성시킬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에 의한 인공치아고정체의 설치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인공치아고정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공치아를 시술하고자 하는 치조골(11)에 천공형성된 삽입공에 나사식으로 삽입설치되어 하단부에 형성된 칩포켓(3a)을 구비한 절삭날부(3)에 의해 치조골에 천공형성된 삽입공의 내주면에 암나사부(12)를 형성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절삭날부(3)에 의해 형성된 암나사부(12)에 절삭날부(3)의 상부에 연속형성된 체결나사부(4)가 순차적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나사부(4)가 암나사부(12)에 체결되어 들어감에 따라 체결나사부(4)의 상부에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미세체결나사부(5)가 체결나사부(4)와 동일한 리드로 진행되면서 치조골(11)의 경조직(11a)부위에 형성된 암나사부(12)에 체결된다.
이 때, 상기 미세체결나사부(5)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나사산이 치조골(11)의 경조직(11a)부위에 형성된 암나사부(12)의 나사골에 체결되는 동시에 암나사부(12)의 나사산자체에 상광하협의 나사부를 형성시키며 집중적으로 체결되므로써, 치조골(11)의 경조직(11a)부위에 더욱 더 넓은 표면적으로 접촉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인공치아고정체(1)의 초기고정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는 상단에 인공치아를 설치하기 위한 어버트먼트가 장착되는 어버트먼트설치부가 구비되며 외주연에 칩포켓이 형성된 절삭날부와 체결나사부가 구비된 인공치아고정체의 어버트먼트설치부와 체결나사부사이에 체결나사부와 동일한 리드를 가지는 다줄나사로 된 미세체결나사부가 상광하협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므로써,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시 인공치아고정체가 치조골에 천공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될 경우 치조골의 상부에 단단하게 형성된 부위에 다줄나사로 된 미세체결나사부의 다수의 나사산이 집중적으로 체결되어 더욱 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인공치아고정체의 초기고정력이 대폭 증대되어 치조골과의 골융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단에는 인공치아를 설치하기 위한 어버트먼트가 장착되는 어버트먼트설치부(2)가 구비되며 외주연에는 칩포켓(3a)이 형성된 절삭날부(3)와 체결나사부(4)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설치부(2)와 체결나사부(4)사이에는 체결나사부(4)의 리드와 동일한 리드를 가지는 다줄나사로 된 미세체결나사부(5)가 상광하협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
KR20-2003-0027732U 2003-08-28 2003-08-28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 KR200333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732U KR200333514Y1 (ko) 2003-08-28 2003-08-28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732U KR200333514Y1 (ko) 2003-08-28 2003-08-28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972A Division KR20050022976A (ko) 2003-08-28 2003-08-28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514Y1 true KR200333514Y1 (ko) 2003-11-15

Family

ID=4941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732U KR200333514Y1 (ko) 2003-08-28 2003-08-28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5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545B1 (ko) 2004-04-16 2006-09-19 주식회사 워랜텍 앞니용 인공치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545B1 (ko) 2004-04-16 2006-09-19 주식회사 워랜텍 앞니용 인공치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34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EP1862142B1 (en) Healing abutment
KR200386621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30018569A (ko) 치과용 임플란트
SE512050C2 (sv) Rotationssymmetriskt benförankringselement
US20070111164A1 (en) Dental implant
KR101965332B1 (ko) 투피스 힐링어버트먼트용 하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힐링어버트먼트
KR20070009060A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CN103476357A (zh) 固定器、制螺纹器和固定器组
JPH08510400A (ja) 固着素子
KR102039010B1 (ko) 경사 어버트먼트
KR102332598B1 (ko) 내부의 하중 흡수성이 좋은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KR200395580Y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09231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KR10092566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0333514Y1 (ko)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
AU701795B2 (en) Dental root implant
KR20050022976A (ko)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
KR20070119802A (ko) 임플란트
KR200362463Y1 (ko) 픽스츄어
JP2024505648A (ja) 歯科用ソリッドアバットメント
KR100523114B1 (ko) 원뿔형 이식물
US20030194680A1 (en) Dental implant fixture
KR200308260Y1 (ko) 상악구치부용 치과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280119B1 (ko) 치과용 인공치아의 인공치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