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661B1 -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661B1
KR100925661B1 KR1020090056748A KR20090056748A KR100925661B1 KR 100925661 B1 KR100925661 B1 KR 100925661B1 KR 1020090056748 A KR1020090056748 A KR 1020090056748A KR 20090056748 A KR20090056748 A KR 20090056748A KR 100925661 B1 KR100925661 B1 KR 100925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fixture
hole
upper body
abu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태
Original Assignee
김두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태 filed Critical 김두태
Priority to KR1020090056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pandable or compressi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39Details of the shape in the form of hollow cylinder with an open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Details of the shape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것으로 금속 재질의 상부몸체(100)와, 상기 상부몸체(100)가 올려져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100)에 비하여 가요성이 높은 금속 재질의 하부몸체(10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몸체(100)와 상기 하부몸체(102)의 외측에는 치조골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나사산(10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00)는 그 내측에 관통공(106)이 입구측 일정 길이(L)만큼은 일정한 직경으로 그 아래는 수직방향으로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면의 관통공 외주연에는 다각 단턱부(108)를 구비하고 관통공 입구측 일정 길이(L) 만큼과 그 아래 일측에는 제1 나사산(110)과 제2 나사산(1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10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1020)이 길이 방향 일정 위치에서 하단부까지 걸쳐 형성되는 픽스츄어(10)와, 머리부(120)에는 드라이버를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부(122)를 구비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굵어지게 이루어지고 상부 외측에는 상기 상부몸체(100)의 관통공 입구측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나사산(110)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3 나사산(124)을 구비하고 그 아래 일측에는 상승하면 상기 상부몸체(100)의 아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나사산(112)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4 나사산(126)을 구비하는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 및 내부에는 체결도구가 인입되도록 비어있는 공간인 캐비티(140)를 구비하고 저면에는 상기 픽스츄어 상면의 관통홀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다각 단턱부에 형합되는 다각 함몰부(142)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몸체(100) 상면의 다각 단턱부(108)에 올려 놓아지고 상기 함몰부(142) 중심부에는 관통공(144)을 구비하며 체결도구(145)를 사용하여 상기 관통공(144)을 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의 머리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나사산(110)에 너트(146)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픽스츄어(10)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형 임플란트는 팽창하는 과정에서 픽스쳐가 부러질 수 있는 위험성을 낮추면서, 치조골 상부는 많이 벌어지게 되면 손상의 가능성이 큰데 반하여 치조골 하부는 치조골 상부에 비하여 견고하여 벌어짐이 많이 있어도 견딜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치조골 하부에서의 팽창을 극대화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픽스츄어(10)를 식립한 후 하부몸체(102)를 팽창시켜 즉시 고정시키되 상기 픽스츄어(10)의 하부 몸체(102)는 상부 몸체(100)에 비하여 가요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부러질 수 있는 가능성이 현저히 낮으며 팽창 정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치조골 삽입 고정이 견고하며 실패의 가능성이 낮다. 또한, 초기 상태에는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이 상기 픽스츄어(10) 내부의 관통공에 여유 공간을 둔 상태에서 픽스츄어(10)를 식립하고 이후에 상기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을 상승시키면 제3 나사산(124)의 아래 일측에 구비된 제4 나사산(126)이 상기 상부몸체(100)의 아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나사산(112)에 맞물리게 되어 그 상부 외측에 구비된 제3 나사산(124)이 제1 나사산(110)에 맞물리는 것에 부가되어 매우 견고하게 고정이 될 뿐만 아니라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과 픽스츄어(10)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06)의 구조상 상승시 상기 여유 공간이 없어지게 되어 세균 감염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임플란트, 팽창식, 픽스츄어, 이층 구조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Implant for dental surgery}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나사식을 기본으로 하며 즉시 고정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본래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며 치과에서는 인공치아 이식을 일컫는다.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으로 만든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한다.
20세기 초반에는 금이나 은·납·이리듐·철·코발트 합금 등으로 제작한 금속 임플란트가 개발되었고 1940년대 이후 골막하 임플란트와 티타늄 블레이드 임플란트가 개발되며 대중화되었으나 수명이 짧고 성공률이 낮았다. 이후 1982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스웨덴의 브레네마르크(Branemark)가 15년 동안 연구한 골유착 임플란트를 발표한 뒤 성공률이 90%를 넘어 세계적으로 널리 대중화되었다.
근대 치과용 임플란트는 1960년대 스웨덴의 브로네마르크 등이 골치유과정을 연구하기위하여 가토에서 생체현미경 실험을 통하여 골과 골수의 반응을 관찰하였 는데 치유된 골체에서 티타늄 광학 챔버(titanium optical chamber)를 쉽게 제거할 수 없었기에 골유착의가능성을 보고하였고 알브렉슨(Albrektsson)과 브랜마크(Branemark)등은 골유착이란 광학현미경하에서 임플란트표면과 골조직간의 계면상태가 구조적, 기능적으로 직접 연결된 상태라 정의하면서 발전하게 되었다.
근대 치과용 임플란트는 티타늄(titanium)을 주 성분으로 하는 임플란트가 뼈와 결합하면 100kg이상의 장력에도 견딘다는 생각으로 설계되고 있다. 또한 골막하 임플란트, 블레이드(blade)형 임플란트, 원통형 임플란트등 다양한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타입(fixture type)이 사용되었으나 종래에는 나사형 임플란트가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의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위의 치아 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똑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관리를 잘못하면 플러그나 치석 등이 생겨 주위 조직에 염증을 일으켜 치주질환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임플란트는 재료의 가격이 비싸고, 수술 뒤 완치까지 정도에 따라 3∼6개월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37967(2004년 5월 8일 공개)에는 치우뿌리 모양에 맞게 팽창하는 치과용 임플란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팽창형 임플란트는 팽창하는 형태로 되어 있으나 사실상 벌어짐을 견디지 못하고 부러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고 부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요성만을 고려하여 픽스츄어의 재질을 선택하면 어버트먼트를 받쳐주는 유지력에 문제가 생긴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픽스츄어를 팽창시키는 과정에서 픽스쳐가 부러질 수 있는 위험성을 낮추면서, 치조골 상부는 많이 벌어지게 되면 손상의 가능성이 큰데 반하여 치조골 하부는 치조골 상부에 비하여 견고하여 벌어짐이 많이 있어도 견딜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치조골 하부에서의 팽창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치조골 하부 삽입 고정이 견고하며 픽스츄어 내부에 여유 공간이 거의 없게 되어 세균 감염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것으로 금속 재질의 상부몸체(100)와, 상기 상부몸체(100)가 올려져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100)에 비하여 가요성이 높은 금속 재질의 하부몸체(10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몸체(100)와 상기 하부몸체(102)의 외측에는 치조골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나사산(10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00)는 그 내측에 관통공(106)이 입구측 일정 길이(L)만큼은 일정한 직경으로 그 아래는 수직방향으로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면의 관통공 외주연에는 다각 단턱부(108)를 구비하고 관통공 입구측 일정 길이(L) 만큼과 그 아래 일측에는 제1 나사산(110)과 제2 나사산(1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10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1020)이 길이 방향 일정 위치에서 하단부까지 걸쳐 형성되는 픽스츄어(10)와;
머리부(120)에는 체결 도구를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부(122)를 구비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굵어지게 이루어지고 상부 외측에는 상기 상부몸체(100)의 관통공 입구측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나사산(110)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3 나사산(124)을 구비하고 그 아래 일측에는 상승하면 상기 상부몸체(100)의 아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나사산(112)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4 나사산(126)을 구비하는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 및
내부에는 체결도구(145)가 인입되도록 비어있는 공간인 캐비티(140)를 구비하고 저면에는 상기 픽스츄어 상면의 관통공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다각 단턱부에 형합되는 다각 함몰부(142)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몸체(100) 상면의 다각 단턱부(108)에 올려 놓아지고 상기 함몰부(142) 중심부에는 관통공(144)을 구비하며 체결도구(145)를 사용하여 상기 관통공(144)을 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의 머리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나사산(110)에 너트(146)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픽스츄어(10)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 내부에는 인공뼈 주사제 투여를 위하여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1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픽스츄어(10)를 식립한 후 하부몸체(102)를 팽창시켜 즉시 고정시키되 상기 픽스츄어(10)의 하부 몸체(102)는 상 부 몸체(100)에 비하여 가요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부러질 수 있는 가능성이 현저히 낮으며 팽창 정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치조골 삽입 고정이 견고하며 실패의 가능성이 낮다. 또한, 초기 상태에는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이 상기 픽스츄어(10) 내부의 관통공에 여유 공간을 둔 상태에서 픽스츄어(10)를 식립하고 이후에 상기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을 상승시키면 제3 나사산(124)의 아래 일측에 구비된 제4 나사산(126)이 상기 상부몸체(100)의 아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나사산(112)에 맞물리게 되어 그 상부 외측에 구비된 제3 나사산(124)이 제1 나사산(110)에 맞물리는 것에 부가되어 매우 견고하게 고정이 될 뿐만 아니라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과 픽스츄어(10)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06)의 구조상 상승시 상기 여유 공간이 없어지게 되어 세균 감염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성 요소인 픽스츄어의 구조를 단면도로써 나타내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성 요소인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성 요소인 픽스츄어에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었고, 도 4a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팽창시키고 어버트먼트를 올려 고정시킨 상태를 단면도로써 나타내었으며, 도 4b에는 어버트먼트(14)의 구조를 단면도로써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픽스츄어(10)와, 상기 픽스츄어(10)에 끼워지는 것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픽스츄어(10)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14)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형 임플란트는 팽창하는 과정에서 픽스쳐가 부러질 수 있는 위험성을 낮추면서, 치조골 상부는 많이 벌어지게 되면 손상의 가능성이 큰데 반하여 치조골 하부는 치조골 상부에 비하여 견고하여 벌어짐이 많이 있어도 견딜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치조골 하부에서의 팽창을 극대화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구비되는 픽스츄어(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재질의 상부몸체(100)와, 상기 상부몸체(100)가 올려져 결합되는 하부몸체(102)로 이루어진다.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102)가 결합되는 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은 고리형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나사식이나 기타 다양한 형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부몸체(102)는 상기 상부몸체(100)에 비하여 가요성이 높은 금속 재질의 하부몸체(102)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부몸체(100)를 티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부몸체(102)에는 상기 티탄에 비하여 가요성이 높은 티탄 백금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몸체(100)를 티탄 합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부몸체(102)에는 상기 티탄 합금에 비하여 가요성이 높은 금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00)와 상기 하부몸체(102)의 외측에는 치조골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나사산(104)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 관통공(106)이 입구측 일정 길이(L)만큼은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그 아래는 수직방향으로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되며, 관통공 입구측 일정 길이(L) 만큼과 그 아래 일측에는 제1 나사산(110)과 제2 나사산(11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부 몸체(10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1020)이 길이 방향 일정 위치에서 하단부까지 걸쳐 형성된다. 상부몸체(100) 상면의 관통공 외주연에는 다각 단턱부(108)를 구비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의 머리부(120)에는 드라이버를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부(122)를 구비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굵어지게 이루어진다. 체결부(122)는 나사홈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머리 부분을 육각 볼트 머리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의 상부 외측에는 상기 상부몸체(100)의 관통공 입구측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나사산(110)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3 나사산(124)을 구비하고 그 아래 일측에는 상승하면 상기 상부몸체(100)의 아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나사산(112)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4 나사산(126)을 구비한다.
어버트먼트(14)의 내부에는 체결도구가 인입되도록 비어있는 공간인 캐비티(140)를 구비하고 저면에는 상기 픽스츄어(10) 상면의 관통홀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다각 단턱부에 형합되는 다각 함몰부(142)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120)에 구비되는 체결부(122)에 드라이버나 소켓 렌치를 끼워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굵어지게 이루어짐에 따라 하부몸체(102)의 하단부로부터 벌어지게 된다. 이때, 하부몸체(102)는 상부 몸체(100)에 비하여 가요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벌어짐 정도를 크게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과정에 의하여 치조골에 픽스츄어(10)가 식립 고정된 이후에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14)를 상기 상부몸체(100) 상면의 다각 단턱부(108)에 올려 놓게 되고 체결도구(145)를 사용하여 도 4b에 나타낸 어버트먼트(14)의 관통공(144)을 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의 머리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나사산(110)에 너트(146)를 체결함으로써 어버트먼트(14)가 픽스츄어(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구성하는 하부몸체의 벌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픽스츄어(10)의 하부 몸체(10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1020)이 길이 방향 일정 위치에서 하단부까지 걸쳐 형성되어 있어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을 회전시켜 하부 몸체(102)를 팽창시키면 벌어지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를 올리고 너트를 체결한 상태를 사시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픽스츄어(10)가 상부 몸체(100)와 하부 몸체(102)의 이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하부 몸체(102)는 상부 몸체보다 가요성이 높은 금속 재질 로 이루어진다. 픽스츄어(10)를 치조골에 식립 고정한 후에 어버트먼트(14)를 픽스츄어(10)에 올려 놓고 어버트먼트(14)의 관통홀(144)을 통하여 돌출되는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의 머리부에 너트(146)을 체결함으로써 어버트먼트(14)가 픽스츄어(10)에 고정된다.
또한, 임플란트할 부위에 뼈가 조금 부족한 경에는 인공뼈를 이식하기도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경우에는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 내부에 인공뼈 주사제 투여를 위하여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13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관통홀(130)을 통하여 주사제 형태의 인공뼈를 주사할 수 있다. 주사 과정에서 공기는 여유 공간을 따라 빠져나가고 이후에 조임 과정을 통해 여유 공간이 없어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는 인공뼈 이식을 하는 경우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픽스츄어(10)를 식립한 후 하부몸체(102)를 팽창시켜 즉시 고정시키되 상기 픽스츄어(10)의 하부 몸체(102)는 상부 몸체(100)에 비하여 가요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부러질 수 있는 가능성이 현저히 낮으며 팽창 정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치조골 삽입 고정이 견고하며 실패의 가능성이 낮다.
또한, 초기 상태에는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이 상기 픽스츄어(10) 내부의 관통공에 여유 공간을 둔 상태에서 픽스츄어(10)를 식립하고 이후에 상기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을 상승시키면 제3 나사산(124)의 아래 일측에 구비된 제4 나사산(126)이 상기 상부몸체(100)의 아래 일측에 형성되어 있 는 제2 나사산(112)에 맞물리게 되어 그 상부 외측에 구비된 제3 나사산(124)이 제1 나사산(110)에 맞물리는 것에 부가되어 매우 견고하게 고정이 될 뿐만 아니라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과 픽스츄어(10)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06)의 구조상 상승시 상기 여유 공간이 없어지게 되어 세균 감염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성 요소인 픽스츄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성 요소인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성 요소인 픽스츄어에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팽창시키고 어버트먼트를 올려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어버트먼트(14)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구성하는 하부몸체의 벌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구성하는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를 올리고 너트를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Claims (2)

  1. 치조골에 식립되는 것으로 금속 재질의 상부몸체(100)와, 상기 상부몸체(100)가 올려져 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100)에 비하여 가요성이 높은 금속 재질의 하부몸체(10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몸체(100)와 상기 하부몸체(102)의 외측에는 치조골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나사산(104)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00)는 그 내측에 관통공(106)이 입구측 일정 길이(L)만큼은 일정한 직경으로 그 아래는 수직방향으로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면의 관통공 외주연에는 다각 단턱부(108)를 구비하고 관통공 입구측 일정 길이(L) 만큼과 그 아래 일측에는 제1 나사산(110)과 제2 나사산(1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10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1020)이 길이 방향 일정 위치에서 하단부까지 걸쳐 형성되는 픽스츄어(10);
    머리부(120)에는 체결 도구를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부(122)를 구비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굵어지게 이루어지고 상부 외측에는 상기 상부몸체(100)의 관통공 입구측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나사산(110)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3 나사산(124)을 구비하고 그 아래 일측에는 상승하면 상기 상부몸체(100)의 아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나사산(112)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4 나사산(126)을 구비하는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 및
    내부에는 체결도구(145)가 인입되도록 비어있는 공간인 캐비티(140)를 구비하고 저면에는 상기 픽스츄어 상면의 관통공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는 다각 단턱부에 형합되는 다각 함몰부(142)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몸체(100) 상면의 다각 단턱부(108)에 올려 놓아지고 상기 함몰부(142) 중심부에는 관통공(144)을 구비하며 체결도구(145)를 사용하여 상기 관통공(144)을 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의 머리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나사산(110)에 너트(146)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픽스츄어(10)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조절 및 어버트먼트 고정봉(12) 내부에는,
    인공뼈 주사제 투여를 위하여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090056748A 2009-06-25 2009-06-25 치과용 임플란트 KR100925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748A KR100925661B1 (ko) 2009-06-25 2009-06-25 치과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748A KR100925661B1 (ko) 2009-06-25 2009-06-25 치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661B1 true KR100925661B1 (ko) 2009-11-09

Family

ID=4156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748A KR100925661B1 (ko) 2009-06-25 2009-06-25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6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2386A1 (en) * 2013-03-12 2016-01-28 Azenium Ip Limited A dental implant
CN107693141A (zh) * 2017-10-20 2018-02-16 广州市健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膨胀固定的组合式种植体
KR101847872B1 (ko) 2017-11-13 2018-04-12 박덕희 앵글 크라운용 고정체 및 고정체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방법
CN110025389A (zh) * 2019-04-15 2019-07-19 五邑大学 一种基于差动螺纹传动的膨胀式牙种植装置
WO2020013475A1 (ko) * 2018-07-13 2020-01-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근 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시술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128A (ko) * 1999-02-12 2000-09-15 정필훈 즉시 고정가능한 형태조절 팽창형 임플란트
US6227860B1 (en) 1998-11-25 2001-05-08 Twenty One Inc. Dental implant
KR20040063528A (ko) * 2003-01-08 2004-07-14 정필훈 팽창형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7860B1 (en) 1998-11-25 2001-05-08 Twenty One Inc. Dental implant
KR20000056128A (ko) * 1999-02-12 2000-09-15 정필훈 즉시 고정가능한 형태조절 팽창형 임플란트
US6332778B1 (en) 1999-02-12 2001-12-25 Pill-Hoon Jung Immediately loadable expanding implant
KR20040063528A (ko) * 2003-01-08 2004-07-14 정필훈 팽창형 임플란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2386A1 (en) * 2013-03-12 2016-01-28 Azenium Ip Limited A dental implant
CN107693141A (zh) * 2017-10-20 2018-02-16 广州市健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膨胀固定的组合式种植体
CN107693141B (zh) * 2017-10-20 2023-09-19 广东健齿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膨胀固定的组合式种植体
KR101847872B1 (ko) 2017-11-13 2018-04-12 박덕희 앵글 크라운용 고정체 및 고정체 드라이버와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방법
WO2020013475A1 (ko) * 2018-07-13 2020-01-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근 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및 이를 이용한 시술 방법
CN110025389A (zh) * 2019-04-15 2019-07-19 五邑大学 一种基于差动螺纹传动的膨胀式牙种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16673A1 (en) Dental implant
EP1862142B1 (en) Healing abutment
KR200386621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0884614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304199B1 (ko)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092566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RU2459594C2 (ru) Постэкстракционный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EP1021996A1 (en) Device for an endosteal dental implant
EP2008612A1 (en) Improved dental implant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0408568B1 (ko) 즉시 고정 가능한 팽창형 치과용 임플란트
KR100860356B1 (ko) 인공치아
KR200386077Y1 (ko) 풀림이 방지되는 임플란트
KR101136695B1 (ko) 개량된 매식구성을 갖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929987B1 (ko) 임플란트
KR101015193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0378599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WO2009075459A1 (en) Dental implant fixture
KR101033171B1 (ko)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장치
KR101214748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0444952Y1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540447B1 (ko) 크라운 타입 임플란트
KR101067752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KR102480664B1 (ko) 비접착식 픽스쳐 일체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0935299B1 (ko) 즉시 고정이 가능한 환자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