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199B1 -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199B1
KR102304199B1 KR1020200170965A KR20200170965A KR102304199B1 KR 102304199 B1 KR102304199 B1 KR 102304199B1 KR 1020200170965 A KR1020200170965 A KR 1020200170965A KR 20200170965 A KR20200170965 A KR 20200170965A KR 102304199 B1 KR102304199 B1 KR 10230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tack
abutment
adhesive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천석
Original Assignee
이노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199B1/ko
Priority to PCT/KR2021/017776 priority patent/WO20221246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6Tooth rep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둥부의 상부를 단면이 'T'자형 구조를 갖는 압정형으로 구성하여 후속 공정을 통해 부착 고정되는 인공치아(보철물/크라운)와 상하방향으로 걸림되는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인공치아의 부착시 별도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한 부착이 가능하고, 반복적인 저작작용에도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비접착식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NON-ADHESIVE THUMBTACK-SHAPED ABUTMENT AND IMPLA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과용 어버트먼트 및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둥부의 상부를 단면이 'T'자형 구조를 갖는 압정형으로 구성하여 후속 공정을 통해 부착 고정되는 인공치아(보철물/크라운)와 상하방향으로 걸림되는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인공치아의 부착시 별도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한 부착이 가능하고, 반복적인 저작작용에도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비접착식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결손이나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해 치과치료술식을 통해 형성되는 인공치아 구조물로서, 인체에 무해한 재질 또는 자연치아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충치나 잇몸병으로 없어진 치아나, 사고 또는 종양 등으로 인하여 뼈와 잇몸이 없는 부위에 삽입하여 자연치아의 기능을 대체하는 한편, 인공치아의 수복을 통해 미적 아름다움을 회복시켜 준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기본적으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fixture)와, 상기 픽스쳐에 고정되고 저작작용시 가해지는 교합력에 대응하여 측방 또는 수평의 압력을 지탱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지대주)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부를 수복하여 자연치아와 유사하게 미적 아름다움을 회복시켜주는 인공치아(보철물/크라운)를 포함한다.
임플란트의 시술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피시술자의 치조골에 픽스쳐를 식립한 후 어버트먼트를 고정한다. 그리고,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인공치아를 결합하여 수복한다. 이때, 저작작용시 인공치아가 어버트먼트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cement 또는 bond)를 사용하여 인공치아를 부착 고정한다.
그러나, 인공치아를 어버트먼트에 결합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술 후 잔류 접착제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는 경우 잇몸 주변과 임플란트 주변에 염증이 유발되어 픽스쳐의 나사산 주변의 뼈가 소실될 수 있고, 심한 경우 식립된 픽스쳐를 제거하여 다시 시술을 해야하는 등의 많은 부작용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52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8599호, 대한민국 10-2132353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4802호 등의 선행문헌들에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볼트)를 매개로 인공치아가 어버트먼트에 결합된 비접착식 임플란트 구조물이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5298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8599호에서는 각각 나사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어버트먼트에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하고는 있으나, 보철물과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력이 오직 나사에 의존하는 구조로서, 보철물에 지속적인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나사의 결합력이 느슨해져 보철물과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10-2132353호에서는 보철물과 어버트먼트 사이에 커플러를 개재시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5298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8599호에서 보철물이 어버트먼트를 축으로 회전하여 나사의 결합력이 느슨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으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5298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8599호에서와 같이 보철물과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력이 오직 나사에만 의존하는 구조로, 보철물과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4802호에서는 상기한 선행문헌들과 마찬가지로 스크류볼트를 매개로 보철물을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결합하는 임플란트 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5298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8599호에서와 같이 보철물과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력이 오직 볼트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보철물과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하는 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10-2132353호에서는 기존 임플란트 구조와 다르게 보철물과 어버트먼트 사이에 커플러를 추가로 설치하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4802호에서는 보철물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철물과 어버트먼트 사이에 추가로 완충용부재를 설치하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임플란트의 구조가 다소 복잡해지고, 이로 인해 임플란트 시술이 다소 복잡하여 시술시간 또한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R 10-1445298 B1, 2014. 09. 22. KR 10-1808599 B1, 2017. 12. 07. KR 10-2132353 B1, 2020. 07. 03. KR 10-1924802 B1, 2018. 11. 28.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인공치아(보철물/크라운)의 부착 고정시 별도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한 부착이 가능하고, 반복적인 저작작용에도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어버트먼트에서와 같이, 별도의 기타 구성품(커플러/완충부재 등)을 추가하지 않고서도 어버트먼트 가공만으로 인공치아와 어버트먼트 간의 결합력을 종래기술 대비 향상시켜 반복적인 저작작용에도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력을 유지하고, 종래에 비해 시술작업이 용이하여 시술시간을 줄일 수 있는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에 결합되는 베이스부분; 및 상기 베이스부분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단부가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후속 공정을 통해 결합되는 인공치아와 수직방향으로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기둥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둥부분은 상기 베이스부분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박스부; 및 상기 박스부의 상부에 나사결합되고, 단면이 'T'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압정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 둘레가 상기 박스부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와 상기 박스부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기 걸림턱을 형성하는 압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박스부의 외면에는 상기 박스부의 상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의 박스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박스부의 외면에는 상부가 상기 박스부의 상단부를 통해 개방된 복수 개의 박스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정부의 헤드는 상기 박스홈의 개방된 상부 중 일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박스부의 상단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박스부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정부의 헤드의 하부에는 상기 박스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압정부는 상기 박스부에 나사결합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에 따르면, 단면이 'T'자형 구조를 갖는 압정부와 그 하부의 박스부로 기둥부분을 구성하여 후속 공정을 통해 부착되는 인공치아(보철물/크라운)와 상하방향으로 걸림되는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인공치아의 부착시 별도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별도의 기타 구성품(커플러/완충부재 등)을 추가하지 않아도 인공치아를 견고하게 부착 고정하여 반복적인 저작작용에도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에 따르면, 기둥부분을 구성하는 압정부가 나사결합을 통해 박스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압정부의 헤드 모양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정부가 박스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접착식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의 조립 사시도.
도 7는 도 6에 도시된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압정부가 박스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비접착식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과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정부가 박스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접착식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10)는 베이스부분(11)과 기둥부분(12)을 구성된다.
베이스 부분(11)은 도 5와 같이, 픽스쳐(2)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11)와, 결합부(11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며 기둥부분(12)과 결합부(111)를 상호 수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12)를 포함한다.
결합부(111)는 도 4와 같이, 내부에 중공(111a)이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나사(3)를 통해 픽스쳐(2)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혹은 결합부(111)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나사(미도시)가 형성되어 픽스쳐(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112)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결합부(111)가 고정나사(3)에 의해 픽스쳐(2)에 체결 고정되는 경우 고정나사(3)가 내부로 관통 삽입되도록 결합부(111)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중공(112a)이 형성된 원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계가공(예컨대, CAM 가공)을 통해 결합부(111)의 상부로부터 일체로 확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5와 같이, 가령 어버트먼트가 2피스 구조(고정나사(3)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결합부(111)와 연결부(112)의 경계부에는 베이스부분(11)을 픽스쳐(2)에 고정하는 고정나사(3)의 헤드부가 하측방향(픽스쳐(2) 결합방향)으로 걸림되는 단턱부(113)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결합부(111)에 형성된 중공(111a)의 내경은 연결부(112)의 중공(112a)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분(12)은 베이스부분(11)의 연결부(11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박스부(121)와, 박스부(121)의 상부에 나사결합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면이 'T'자형 구조를 갖는 압정형으로 이루어지며 만들어질 크라운의 일부를 누를 수 있게 외측으로 확장된 압정부(122)를 포함한다. 압정부(122)의 헤드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림턱(12a)은 크라운의 일부를 박스부(121) 쪽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박스부(121)는 하단부 외경이 연결부(112)의 상단부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결부(112)와 박스부(121) 사이의 경계면, 즉 연결부(112)의 상면에는 일정 폭을 갖는 단턱부(112b)가 형성된다. 단턱부(112b)는 인공치아(4)가 결합될 때 그 크기(폭)만큼 인공치아의 벽 두께를 만들 수 있어 외부 힘에 의한 파절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박스부(121)는 외면을 따라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4개 정도의 박스홈(121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박스홈(121a)은 크라운의 탈착을 도울 수 있게 박스부(121)의 상단벽은 있어서는 안된다.
압정부(122)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압정부의 헤드가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정부의 헤드 하부 중앙에는 숫나사(122a)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박스부(121)의 중앙에는 숫나사(122a)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암나사(12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정부(122)의 헤드 상부 중앙에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압정부(122)를 박스부(121)에 나사결합하기 위해 공구홈(122b)이 형성되어 있고, 이때, 공구홈(122b)은 일자형, 십자형 또는 다각형(육각형 등)으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임플란트(1)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2)와, 고정나사(3)를 매개로 픽스쳐(2)에 결합 고정되는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10)와, 기둥부분(12)을 덮도록 결합 고정된 인공치아(4)를 포함한다.
이러한 임플란트(1)의 시술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2)에 고정나사(3)을 이용하여 베이스부분(11)을 고정한다.
2. 인상작업을 통해 기공용 아날로그를 이용해 임플란트 위치와 베이스부분(11)을 제현하고, 압정부(122)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왁스작업을 통하거나, 캐드캠 작업을 통해 인공치아를 제작한다.
3. 제작한 인공치아에 압정부(122)의 헤드부분이 누를 수 있게 둔턱을 만든다.
4. 압정부(122)를 결합시켜 크라운을 잘 고정시키는지 확인하고, 압정부(122)를 제거한다.
5. 구강 내에서 압정부(122)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기둥부분(12)에 인공치아(4)를 시적한 다음 압정부(122)의 숫나사(122a)를 박스부(121)의 암나사(121b)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시켜 크라운을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10)에서는 박스부(121)와, 박스부(121)의 상부에 헤드 외경이 박스부(121)의 상단보다 큰 압정형 구조로 이루어진 압정부(122)를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하여 기둥부분(12)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박스부(121)와 압정부(122) 사이에 'L' 길이만큼 확장된 걸림턱(12a)이 형성되어 후속 공정을 통해 부착되는 인공치아(4)와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압정부(122)와 박스부(121)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12a)은 저작운동시 인공치아(4)에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가압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박스부(121)의 상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반복적인 저작작용시에도 인공치아(4)가 걸림턱(12a)에 의해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걸림 지지되어 인공치아(4)가 기둥부분(12)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이탈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6에 도시된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압정부가 박스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비접착식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20)는 실시예1에 따른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1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부분(21)과 기둥부분(22)을 포함하되, 박스부(221)의 구조에 있어서 일부 차이가 있다.
베이스부분(21)은 실시예1과 동일하게 결합부(211)와 연결부(212)를 포함하고, 기둥부분(22)은 단면이 'T'자형 구조를 갖는 압정형 구조로 이루어져 후속 공정을 통해 부착되는 인공치아(4)와 상하방향으로 걸림되는 걸림턱(22a)이 형성된다.
기둥부분(22)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홈(121a)이 형성된 박스부(221)와, 박스부(221)의 상부에 나사결합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면이 'T'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압정형으로 이루어지며 박스홈(221a)의 개방된 상부와 일부 중첩되도록(상부를 덮도록) 박스부(221)의 상단부 외측으로 확장된 압정부(222)를 포함한다.
박스부(221)에 형성된 박스홈(221a)은 실시예1과 다르게 상부가 박스부(221)의 상단부에 의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고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박스홈(221a)의 상부 중 일부를 압정형 구조로 이루어진 압정부(222)의 헤드로 덮어 도 8과 같이, 기둥부분(22)의 상단 둘레에 인공치아(4)가 상하방향으로 걸림되는 걸림턱(22a)을 형성한다. 그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임플란트(1')의 시술과정을 설명하면,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2)에 고정나사(3)를 이용하여 베이스부분(21)을 고정한 후, 제작된 크라운을 압정부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기둥부분(12)에 안착시키고, 크라운의 교합면측 동공을 통해 압정부(222)의 숫나사(222a)를 박스부(221)의 암나사(221b)에 나사결합하여 기둥부분(22)을 완성한다. 이때, 압정부(222)의 헤드부 둘레는 개방된 박스홈(221a)의 상부 일부와 중첩되고 제작된 크라운 일부를 하방으로 눌러주면서 결합한다. 이후, 크라운 교합면측 동공을 레진과 같은 충전재로 채워 임플란트(1')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임플란트(1')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압정부(222)의 헤드부가 박스부(221)에 형성된 박스홈(221a)의 개방된 상부와 일부 중첩되도록 박스부(221)에 결합되어 압정부(222)와 박스부(221) 사이에 후속 공정을 통해 부착 고정되는 인공치아(4)와 상하방향으로 걸림되는 걸림턱(22a)을 형성함으로써 인공치아(4)의 부착시 별도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한 부착이 가능하고, 반복적인 저작작용에도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 : 임플란트
2 : 픽스쳐
3 : 고정나사
4 : 인공치아(보철물/크라운)
10, 20 : 어버트먼트
11, 21 : 베이스부분
12, 22 : 기둥부분
12a, 22a : 걸림턱
111, 211 : 결합부
112, 212 : 연결부
121, 221 : 박스부
122, 222 : 압정부
113, 112b : 단턱부
121a, 221a : 박스홈
122a, 222a : 숫나사
122b : 공구홈
121b, 221b : 암나사

Claims (6)

  1.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에 결합되는 베이스부분; 및
    상기 베이스부분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단부가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후속 공정을 통해 결합되는 인공치아와 수직방향으로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기둥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기둥부분은,
    상기 베이스부분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박스부; 및
    상기 박스부의 상부에 나사결합되고, 단면이 'T'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압정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 둘레가 상기 박스부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와 상기 박스부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기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인공치아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압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의 외면에는 상기 박스부의 상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의 박스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의 외면에는 상부가 상기 박스부의 상단부를 통해 개방된 복수 개의 박스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정부의 헤드는 상기 박스홈의 개방된 상부 중 일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박스부의 상단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정부의 헤드의 하부에는 상기 박스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압정부는 상기 박스부에 나사결합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6.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에 결합되는 제 1 항, 제3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상기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인공치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KR1020200170965A 2020-12-09 2020-12-09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230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965A KR102304199B1 (ko) 2020-12-09 2020-12-09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PCT/KR2021/017776 WO2022124667A1 (ko) 2020-12-09 2021-11-29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965A KR102304199B1 (ko) 2020-12-09 2020-12-09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199B1 true KR102304199B1 (ko) 2021-09-24

Family

ID=7791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965A KR102304199B1 (ko) 2020-12-09 2020-12-09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4199B1 (ko)
WO (1) WO202212466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667A1 (ko) * 2020-12-09 2022-06-16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2418272B1 (ko) 2022-03-08 2022-07-07 이노덴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스크루 홀 가이더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방법
KR102480663B1 (ko) 2022-03-22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교합력에 반응하여 유동하는 크라운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방법 및 임플란트 구조물
KR102480664B1 (ko) * 2022-01-18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픽스쳐 일체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2480666B1 (ko) 2022-04-22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18261A (ko) 2022-02-04 2023-08-11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임플란트용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비접착식 임플란트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98B1 (ko) 2014-01-15 2014-09-29 (주)이마스타덴탈허브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160029875A (ko) * 2014-09-05 2016-03-16 장은수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치과용 풀림방지부재
KR20160099955A (ko)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워랜텍 임플란트의 2중 구조 어버트먼트
KR101714974B1 (ko) * 2016-05-27 2017-03-09 황현석 나사풀림방지 구조를 갖춘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808599B1 (ko) 2017-05-11 2017-12-13 조용문 치과용 임플란트
KR101924802B1 (ko)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KR20200010977A (ko) *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덴플렉스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에 단턱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KR102132353B1 (ko) 2019-10-29 2020-07-09 정충현 치아 임플란트
JP2020530329A (ja) * 2017-08-14 2020-10-22 ノベル バイオケア サーヴィシィズ アーゲー 界面を備えた歯科コンポーネン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758B1 (ko) * 2010-12-22 2014-09-26 제일모직주식회사 실리카층 형성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실리카층 및 실리카층 제조방법
KR20200129837A (ko) *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304199B1 (ko) * 2020-12-09 2021-09-24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98B1 (ko) 2014-01-15 2014-09-29 (주)이마스타덴탈허브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160029875A (ko) * 2014-09-05 2016-03-16 장은수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치과용 풀림방지부재
KR20160099955A (ko)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워랜텍 임플란트의 2중 구조 어버트먼트
KR101714974B1 (ko) * 2016-05-27 2017-03-09 황현석 나사풀림방지 구조를 갖춘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808599B1 (ko) 2017-05-11 2017-12-13 조용문 치과용 임플란트
JP2020530329A (ja) * 2017-08-14 2020-10-22 ノベル バイオケア サーヴィシィズ アーゲー 界面を備えた歯科コンポーネント
KR20200010977A (ko) * 2018-07-23 2020-01-31 주식회사 덴플렉스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에 단턱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KR101924802B1 (ko)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KR102132353B1 (ko) 2019-10-29 2020-07-09 정충현 치아 임플란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667A1 (ko) * 2020-12-09 2022-06-16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2480664B1 (ko) * 2022-01-18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픽스쳐 일체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20230118261A (ko) 2022-02-04 2023-08-11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임플란트용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비접착식 임플란트
KR102418272B1 (ko) 2022-03-08 2022-07-07 이노덴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스크루 홀 가이더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방법
KR102480663B1 (ko) 2022-03-22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교합력에 반응하여 유동하는 크라운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방법 및 임플란트 구조물
WO2023182683A1 (ko) * 2022-03-22 2023-09-28 이노덴 주식회사 교합력에 반응하여 유동하는 크라운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물 제조방법 및 임플란트 구조물
KR102480666B1 (ko) 2022-04-22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WO2023204424A1 (ko) * 2022-04-22 2023-10-26 이노덴 주식회사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24667A1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199B1 (ko)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1924802B1 (ko)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0537218B1 (ko)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079936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
KR10109158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US201003233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xing removable dentures
KR102304797B1 (ko) 비접착식 사선 쐐기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JPH0457344B2 (ko)
KR101140620B1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KR102304798B1 (ko) 모래시계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크라운 제작방법
KR101869348B1 (ko)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임플란트 고정체
KR101298246B1 (ko)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KR101965332B1 (ko) 투피스 힐링어버트먼트용 하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힐링어버트먼트
KR101537233B1 (ko) 두 줄 나사산 방식의 고정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KR20010044362A (ko) 핀유지 인레이 브리지로 되는 의치용 보철물 및 이를이용한 시술공정
KR10130741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10041703A (ko) 어버트먼트와 지르코니아 캡의 견고한 체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장치
KR20200014558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JP2006520248A (ja) ネジ/セメント維持型補綴の施術方法、およびネジ/セメント維持型補綴用アバットメント
KR101136695B1 (ko) 개량된 매식구성을 갖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10064402A (ko)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KR200456293Y1 (ko) 원바디형 솔리드 어버트먼트
KR1014296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및 이를 가지는 임플란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