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977A -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에 단턱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 Google Patents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에 단턱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977A
KR20200010977A KR1020180143725A KR20180143725A KR20200010977A KR 20200010977 A KR20200010977 A KR 20200010977A KR 1020180143725 A KR1020180143725 A KR 1020180143725A KR 20180143725 A KR20180143725 A KR 20180143725A KR 20200010977 A KR20200010977 A KR 20200010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hesis
attachment portion
prosthesis attachment
circumference
dental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플렉스
Publication of KR20200010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에 단턱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 원주를 따라 원주 전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 형성된 단턱,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보철물 부착부, 및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며 보철물 부착부의 수직적 동일 위치에 있는 상기 제1 보철물 부착부 보다는 더 큰 외경을 갖는 제2 보철물 부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턱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보철물 회전방지부가 구비되는 보철물 부착부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에 단턱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A dental implant abuttment having a stepped structure in a prosthesis attaching portion to which a prosthesis is attached}
본 발명은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에 단턱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 원주를 따라 원주 전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 형성된 단턱,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보철물 부착부, 및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보철물 부착부 보다는 더 큰 외경을 갖는 제2 보철물 부착부로 이루어진 보철물 부착부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Implant)는 상실된 자연치아의 대체물 자체를 말하거나, 고정체를 턱뼈에 심어 소정기간 동안 턱뼈와 융합되도록 한 다음, 그 위에 지대주와 인공치아 등의 보철물을 고정함으로써, 치아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적인 시술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상실된 치아의 주위 치아를 삭제해야 하지만, 치과용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치조골에 고정체가 식립(植立)되고,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 지대주가 결합되고, 상기 지대주 상부에는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를 가진다. 또한, 상기 고정체와 지대주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주(1)의 상부에 형성된 종래의 보철물 부착부(2)는 지대주의 상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외경이 증가하는 원뿔 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보철물 부착부(2)의 외측면이 하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이루어진 경사면을 형성한다. 또한, 보철물 부착부(2)의 외부 일측면에는 구조적으로 보철물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외측면이 평면으로 가공된 회전방지면(4)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외경 차이가 너무 크게 되면,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경사면들이 만나 이루는 경사도(T)가 너무 크게 되어서, 보철물 부착부에 부착되는 보철물의 유지력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b)의 경사면 경사도가 도 2(a)의 경사면 경사도(T)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동일한 측방압이 보철물에 가해질 경우, 경사면의 경사도가 더 큰 도 2(b)에 도시된 보철물이 화살표(P) 방향으로 가해지는 측방압에 의해 더 쉽게 탈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의 경사도가 클 경우, 보철물이 접착제에 의해 보철물 부착부에 부착되었다 하더라도 얼마 지나지 않아 보철물이 보철물 부착부로부터 탈락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임플란트에서는 지대주의 상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외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경사면이 작은 경사도를 갖도록 제조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치조골 상태가 좋지 않거나 또는 또 다른 원인으로 인해 임플란트가 경사진 각도로 식립되어야만 할 경우에는 언더컷 부위(5)를 없애기 위해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 중 언더컷 상부(6)를 삭제해야 하는 힘겨운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이들 임플란트들을 보철물을 이용하여 연결하고자 할 때, 복수개의 임플란트의 수직중심축들이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벗어나 식립된 경우, 각각의 보철물 부착부들에 부착되는 보철물이 간섭없이 안착되도록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 중 언더컷 상부(6)를 반드시 삭제해야만 한다. 이 경우, 상기 삭제에 의해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이 형성하는 경사면의 경사도(T)가 삭제된 부분 만큼 커지게 되면서 보철물의 유지력을 급격히 저하시키고, 그 결과 보철물이 보철물 부착부로부터 쉽게 탈락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임플란트의 보철물 부착부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보철물의 회전방지를 위한 회전방지면(4) 구조가 원뿔 기둥 형태의 보철물 부착부의 일측면에만 형성되어 있는데, 만약 이러한 회전 방지 구조가 언더컷 부위를 없애기 위해 삭제할 수밖에 없는 부위에 위치한다면, 보철물의 회전 방지 기능이 현격히 저하되어 보철물이 보철물 부착부로부터 탈락할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지대주 상부에 크라운 또는 인조치아로 이루어진 보철물을 부착하는 시술이 반드시 뒤따르게 된다. 이러한 시술은 일반적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지대주의 보철물 부착부에 접착 고정하는 과정으로서, 접착제가 보철물과 보철물 부착부 사이의 간극을 메운 상태에서 경화되면서, 보철물이 보철물 부착부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 보철물이 보철물 부착부에 고정된 구조를 가지기에, 추후 저작시 발생하는 교합력에 의해 보철물과 보철물 부착부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있는 접착제가 밖으로 빠져나와 접착력을 저하시키고, 특히 저작시 교합력 중 측방압이 어느 한 곳에 집중될 경우 보철물이 쉽게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저작시 발생하는 측방압 등에 의해 보철물에 회전력이 가해지고, 이와 같은 회전력에 의해 보철물이 미세하게 회전하면서 보철물과 보철물 부착부 사이의 접착제가 탈루되고, 그 결과 보철물이 보철부 부착부로부터 탈락되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또한, 식립한 고정체와 대합치와의 간격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못하면 보철물 부착부 길이가 짧은 지대주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보철물과 지대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보철물의 유지력이 현격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강내 스캐너로 보철물 부착부 외측면을 스캐닝시, 종래기술의 지대주는 보철물 부착부의 원주면 일측에만 형성된 평면부가 어떤 사정에 의해 절삭되어 변형됐을 때는 기준점이 될 수 있는 부분이 손상됨에 따라 스캐너의 소프트웨어상에서 스캔한 형태의 정확한 수치보정을 할 수 있는 기준점이 없어짐으로써 스캐너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보철물 부착부 형태는 보철물 부착부에 장착되는 보철물(crown)의 어느 한 곳에 저작에 의한 교합력이 집중되어 가해졌을 때, 가해진 교합력을 넓게 분산시키는 효과가 없어 가해진 교합력으로 인해 한곳에 집중적으로 많은 응력이 발생되어 누적됨으로써, 응력이 누적된 고정체(fixture)나 보철물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대주(abutment) 또는 고정체와 지대주를 체결시키는 체결 스크루 등이 임플란트 시술후 빠른시간안에 종종 파절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외주면의 원주를 따라 단턱을 형성하여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과 하단을 잇는 외측면이 직선형태의 경사면을 이루지 않도록 하여 보철물과 접촉되는 보철물 부착부의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보철물의 유지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단턱이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보철물 부착부 외측면 원주를 따라 형성될 때 단턱의 수직적 위치가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여 단턱이 원주를 따라 직선이 아닌 비직선형을 형성함으로써, 보철물의 회전을 방지하며, 또한 단턱의 굴곡에 의해 넓어진 보철물과의 접촉 면적은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보철물과 보철물 부착부 사이의 견고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보철물 부착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작시 발생하는 한 곳에 집중되는 교합력을 넓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보철물 부착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철물 부착부 외측면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비직선형의 단턱에 의해 보철물이 보철물 부착부에 접착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보철물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교합력이 보다 더 넓은 접착면적에 걸쳐 분산되어 한곳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철물 부착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작시 발생하는 교합력 중 회전력이 보철물에 가해질 경우에도, 보철물이 보철물 부착부에 대해 미세한 회전 조차 발생하지 않는 보철물 부착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상된 보철물의 유지력으로 인해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과 하단을 잇는 외측면들이 이루는 경사면 각도(T)를 기존 지대주의 보철물 부착부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고정체에 지대주를 체결시킨 후, 지대주를 삭제해야할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는 보철물 부착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 방지와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 원주를 따라 웨이브 형태의 단턱이 형성된 보철물 부착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 보철물 부착부의 일정구간에 평면부를 적어도 하나 형성함으로써, 보철물의 회전을 방지함과 더불어 보철물을 보철물 부착부에 장착시킬 때 방향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 부착부 구조는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 원주를 따라 원주 전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 걸쳐 형성된 단턱,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보철물 부착부, 및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보철물 부착부 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제2 보철물 부착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턱은 그 수직적 위치가 원주를 따라 변화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적 위치가 원주를 따라 변화하는 형태의 단턱에 의해 보철물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턱의 일정 부위에서 하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철물 회전방지부가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턱은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선으로 형성된 단턱들은 원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단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턱은 보철물 부착부 외측면의 원주를 따라 원주 전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 걸쳐 웨이브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보철물 부착부는 보철물 부착부 상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보철물 부착부에는 원주면 중 일정구간에 평면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 하방을 향해 적어도 하나의 보철물 유지홈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철물 부착부에 형성된 단턱 구조에 의해 접촉 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보철물과 보철물 부착부 사이의 견고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을 따라 단턱을 형성하게 되면, 보철물을 임플란트의 보철물 부착부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였을 때,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제1 보철물 부착부와 보철물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있는 접착제가 밖으로 빠져나올 가능성이 적어져 오랜 시간 견고한 접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교합력이 보철물에 가해질 경우, 보철물 부착부의 단턱 구조에 의해 교합력 중 임플란트에 바람직하지 않은 측방압이 수직압에 가까운 방향으로 전환되게 유도됨으로써, 종래의 측방압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보철물 탈락을 줄일 수 있어 임플란트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보철물 부착부 외측면의 원주를 따라 수직적 위치를 달리하는 비직선형의 단턱의 굴곡에 의해, 보철물과 보철물 부착부 사이의 접착면적이 더욱더 넓어져 보철물의 접착력이 향상됨은 물론, 교합력이 전체 접착면적에 걸쳐 분산되어 한곳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저작시 발생하는 교합력 중 회전력이 보철물에 가해질 경우에도, 상기 비직선형의 단턱에 의해 보철물의 미세한 회전 조차 방지하여 보철물의 부착력 및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고정체의 식립된 수직중심축이 바람직하지 않아서 보철물 부착부의 일부면을 삭제해야 하는 경우, 종래 기술의 보철물 부착부는 외측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방지면이 전부 또는 일부 삭제되면 보철물에 가해지는 교합력에 의한 보철물 회전방지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보철물 유지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비직선형의 단턱 및 보철물 회전방지부에 의한 회전방지 기능은 보철물 부착부 외측면의 일부면에 삭제가 일어나더라도 변함없는 보철물 회전방지기능을 수행하는 커다란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의 보철물 부착부의 경사면 경사도는 기존 보철물 부착부의 형태에서는 얻을 수 있는 보철물의 유지력을 위해 최대한 적게 제작되며, 보통 경사면 경사도는 편측으로 3°를 넘지 않도록 제작되는게 일반적이다. 그런데 만일 고정체들의 식립각도가 바람직하지 않아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 일부를 삭제하여 보철물 부착부 경사면 경사도가 커지게 되면 기존 보철물 부착부의 형태에서는 보철물의 유지력이 현저히 감소하게되어 보철물의 탈락이 자주 일어나게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부착부 형태를 갖는 지대주는 보철물 부착부 경사면 경사도가 편측으로 6°이상을 갖게 되더라도, 비직선형의 단턱 구조 등에 의해 보다 넓어진 보철물과의 접촉 면적과 충분한 보철물 회전방지 기능을 여전히 확보할 수 있어서 보철물의 유지력을 충분히 갖게 된다.
또한, 스캐너로 보철물 부착부 외측면을 스캐닝시 종래기술의 지대주의 보철물 부착부는 원주면 일측에 형성된 평면부가 어떤 이유에 의해 절삭되어 변형됐을 때 기준점이 되는 부분이 손상된 상태라 스캐너의 소프트웨어상에 손상되기전의 원형이 저장되어 있다 하더라도 스캐너의 소프트웨어상에서 정확한 수치보정을 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의한 보철물 부착부는 원주전체에 걸쳐 단턱이 형성됨으로 일부가 절삭되어 변형되었다 하더라도 기준점이 남아있어 스캐닝시 스캐너 소프트웨어상에 손상되기전의 원형이 저장되어 있다면 스캐너의 소프트웨어상에서 자체 수치 보정이 가능하여 보철물의 정밀도가 높아지는 장점을 갖게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대주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지대주에 있어서 측방압이 지대주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경사도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음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하나의 임플란트가 경사지게 식립되어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에 언더컷 부위가 발생하여 그러한 언더컷 부위를 없애기 위해 삭제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 부착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형성된 단턱(10)의 일정 부위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 보철물 회전방지부(32)와, 보철물 부착부 상단에 형성된 보철물 유지홈부(22)가 교번적으로 120도 마다 교차되게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 부착부 구조를 종래의 임플란트에 적용한 것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의 일정한 수직적 위치에서 원주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고 이 단턱의 일정부위에서 하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철물 회전방지부가 형성된 도면이다.
도 7은 보철물에 가해진 교합력이 보철물 부착부 중간부에 형성된 보철물 회전방지부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보철물 부착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1 보철물 부착부 부위의 횡단면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 부착부 외측면의 원주를 따라 원주 전구간에 웨이브 형태의 단턱 구조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 부착부 외측면의 원주를 따라 일부 구간에 웨이브 형태의 단턱 구조(10)가 형성되고, 나머지 구간에는 회전방지면(4)이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종래의 보철물 부착부 외측면의 일측면에 종래 방식의 회전방지면(4)을 형성하고, 나머지 원주 구간에 단턱(10)과 보철물 회전방지부(32)를 형성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직선형 또는 비직선형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사선형 단턱들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보철물 부착부가 형성될 수 있음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지대주의 상부에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보철물 부착부 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 원주를 따라 형성된 단턱(10), 상기 단턱(10)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보철물 부착부(20) 및 상기 단턱(10)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보철물 부착부(20) 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제2 보철물 부착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턱(10)은 원주 전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원주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턱(10)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면은 제1 보철물 부착부(20)의 수직중심축에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턱(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수직적 위치가 원주를 따라 변화하는 비직선형 형태로 형성되어, 단턱 그 자체가 보철물 회전 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비직선형의 단턱은 보철물 부착부 외측면의 원주를 따라 원주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또는 원주의 일정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비직선형 단턱이 형성되지 않은 구간은 종래의 회전방지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비직선형의 단턱 구조에 의해, 설령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약한 접착제를 사용해도 보철물과 보철물 부착부 사이의 접착력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 단턱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면에 의해 저작시 발생하는 교합력 중 임플란트에 바람직하지 않은 측방압이 수직압으로 전환되어, 임플란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보철물 부착부(20)와 제2 보철물 부착부(30) 사이에 형성된 단턱(10)에 의해 제1 보철물 부착부(20)와 보철물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있는 접착제가 밖으로 빠져나올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어, 오랜 기간 동안의 견고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턱 구조에 의해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과 하단을 잇는 외측면이 직선 형태의 경사면을 이루지 않게 됨은 물론, 단턱(10)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보철물 부착부(20) 및 제2 보철물 부착부(30)의 외측면이 각각 형성하는 경사면의 경사도가 크게 유지되어도, 보철물과 보철물 부착부 사이의 견고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턱(10)은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 원주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굴곡되는 웨이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브 형태의 단턱 일측면에는 회전방지면(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턱(10)은 보철물과 보철물 부착부(30) 사이의 접착면적을 증가시켜 보철물 부착부(30)에 대한 보철물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합력에 의해 전달되는 응력이 단턱 및 단턱의 일정 부위에 형성된 보철물 회전방지부를 따라 분산되어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상기 단턱(10)은 교합력 등에 기인하여 보철물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철물의 견고한 부착력 및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 저작시 발생하는 교합력 중 측방압이 보철물에 가해질 경우에도, 보철물의 미세한 회전 조차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턱(10)의 일정 부위에서 하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철물 회전방지부(32)가 더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철물 회전방지부(32)는 원주를 따라 120도 마다 형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턱(10)이 보철물 부착부 외측면의 원주 전구간을 따라 웨이브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단턱(10)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회전방지면(4)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철물 부착부(20)의 상단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보철물 부착부(20)의 외측면 하부 쪽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철물 유지홈부(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철물 유지홈부(22)는 상기 제1 보철물 부착부(20) 상단면의 원주를 따라 120도 마다 형성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철물 유지홈부(22)와 상기 보철물 회전방지부(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1 보철물 부착부(20) 상단에 형성된 보철물 유지홈부(22)와, 단턱의 일정 부위에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 보철물 회전방지부(32)가 각각의 보철물 부착부의 원주를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보철물이 단턱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서 서로 보완적으로 보철물 부착부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단턱(10)은 웨이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웨이브 형태의 단턱은 원주를 따라 원주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또는 원주의 일정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웨이브 형태로 이루어진 단턱(10)은 보철물 부착부의 전체 부착 면적을 증대시켜 보철물의 지대주에 대한 부착력을 증대시키고, 나아가 보철물 부착부에 부착된 보철물 일측에 교합력이 집중되더라도 지대주에 대해 보철물이 쉽게 회전/이탈되지 않아 보철물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단턱들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방으로 경사진 단턱은 보철물 부착부의 전체 부착 면적을 더욱더 증대시켜 보철물의 보철물 부착부에 대한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바람직하게는 보철물 부착부의 수직 중심축에 대해 40°~ 70°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 부착부 구조를 종래의 임플란트에 적용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 부착부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 원주를 따라 단턱(10)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10)의 일정위치에서 하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철물 회전방지부(32)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보철물 회전방지부(32)는 보철물 회전방지 기능을 하는 요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 부착부 구조는 일반적으로 지대주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보철물 부착부 구조는 종래의 다양한 임플란트 구조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6(a)는 상부에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 부착부 구조가 구비됨과 동시에,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체형 지대주를 도시하는데,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치조골에 식립된 고정체의 축공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도 6(b)는 상부에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 부착부 구조가 구비됨과 동시에, 지대주의 수직 중심축을 따라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나사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끼워넣은 후 고정체에 나사 체결시켜 고정된다. 도 6(c)는 고정체와 지대주가 일체로 형성된 임플란트로서, 상부에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 부착부 구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보철물 부착부(20)를 그 횡단면이 다각형을 가지는 형태로 설계 변경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철물 부착부의 횡단면이 육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보철물 부착부(20) 또는 제2 보철물 부착부(30)의 외측면에는 보철물과의 체결을 위하여 보철물 부착부의 수직중심축을 향해 형성된 홀(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 부착부 상단과 하단 사이에 원주를 따라 일정 구간에 단턱(10)이 형성되고, 나머지 원주면에는 회전방지면(4)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보철물 부착부 외측면에는 보철물 부착부의 외경의 차이로 인해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단턱들이 구비되고, 상기 단턱들은 원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단절될 수 있다. 상기 사선형 단턱들이 원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될 경우에는 다양한 형상의 보철물 부착부 형상[도 12 내지 도 17 참조]을 이룰 수 있지만, 그러한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사선형 단턱들이 서로 단절되게 구성될 수 있음에 유념해야 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선형 단턱들은 적어도 6개 형성되는데, 사선형 단턱들의 상측 또는 하측 끝단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된 단턱들의 상측 또는 하측 끝단과 연결되거나 서로 단절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며 인접하게 형성된 사선형 단턱들 사이에는 지대주의 중심축으로부터 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1 보철물 부착부(20)와 지대주의 중심축으로부터 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 보철물 부착부(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보철물 부착부(30)는 반드시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보철물 부착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된 보철물이 상측으로부터 보철물 부착부에 씌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제2 보철물 부착부(30)가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구성된다면, 그에 대응되게 형성된 보철물을 상측으로부터 씌워 결합될 수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보철물 부착부(30)에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면 중 일정구간에 평면부(40)가 형성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평면부(40) 또한 보철물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보철물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보완적으로 한다.
상기 사선형 단턱들 각각은 직선형 또는 비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선형 단턱들 각각은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비직선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17은 직선형 또는 비직선형으로 이루어진 사선형 단턱들이 다양한 형상의 보철물 부착부를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면서 단순히 설계 변경된 구조 또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 지대주 2: 종래의 보착물 부착부
3: 보철물 4: 회전방지면
5: 언더컷 부위 6: 삭제되어할 부분
7: 삭제후 형성되는 경사면 9: 홀
10: 단턱 20: 제1 보철물 부착부
22: 보철물 유지홈부 30: 제2 보철물 부착부
32: 보철물 회전방지부 40: 평면부

Claims (10)

  1.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 부착부 구조는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 원주를 따라 원주 전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 걸쳐 형성된 단턱,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보철물 부착부, 및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보철물 부착부 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제2 보철물 부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은 그 수직적 위치가 원주를 따라 변화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적 위치가 원주를 따라 변화하는 형태의 단턱에 의해 보철물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의 일정 부위에서 하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철물 회전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은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6. 제5항에 있어서, 사선으로 형성된 단턱들은 원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단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은 보철물 부착부 외측면의 원주를 따라 원주 전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 걸쳐 웨이브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철물 부착부는 보철물 부착부 상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철물 부착부에는 원주면 중 일정구간에 평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철물 부착부의 상단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 보철물 부착부의 외측면 하방을 향해 적어도 하나의 보철물 유지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KR1020180143725A 2018-07-23 2018-11-20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에 단턱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KR202000109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85370 2018-07-23
KR1020180085370 2018-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977A true KR20200010977A (ko) 2020-01-31

Family

ID=6936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725A KR20200010977A (ko) 2018-07-23 2018-11-20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에 단턱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09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199B1 (ko) * 2020-12-09 2021-09-24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2304798B1 (ko) * 2020-12-10 2021-09-27 이노덴 주식회사 모래시계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크라운 제작방법
KR102304797B1 (ko) * 2020-12-10 2021-09-27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사선 쐐기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2480664B1 (ko) * 2022-01-18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픽스쳐 일체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199B1 (ko) * 2020-12-09 2021-09-24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WO2022124667A1 (ko) * 2020-12-09 2022-06-16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2304798B1 (ko) * 2020-12-10 2021-09-27 이노덴 주식회사 모래시계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크라운 제작방법
KR102304797B1 (ko) * 2020-12-10 2021-09-27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사선 쐐기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WO2022124666A1 (ko) * 2020-12-10 2022-06-16 이노덴 주식회사 모래시계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크라운 제작방법
KR102480664B1 (ko) * 2022-01-18 2022-12-27 이노덴 주식회사 비접착식 픽스쳐 일체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0977A (ko) 보철물이 부착되는 보철물 부착부에 단턱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KR102132353B1 (ko) 치아 임플란트
US4416629A (en) Osseointerfaced implanted artificial tooth
KR101965332B1 (ko) 투피스 힐링어버트먼트용 하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힐링어버트먼트
EP0139052A1 (en) Osseointerfaced implanted artificial tooth
KR101660183B1 (ko) 임플란트 유닛
KR20220052264A (ko) 교합력 완충기능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
WO2008095332A1 (fr) Support de prothèse dentaire fixé à la surface de la mâchoire
KR100997553B1 (ko) 일체형 임플란트
KR100807150B1 (ko)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KR100632384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유니트
KR101067668B1 (ko) 침하방지 단차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KR100970746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5564928A (en) Retrievable cemented prosthodontic apparatus
KR10108792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353580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구조체
US20230233294A1 (en) Tie-base with conical screw for dental implants
KR100542043B1 (ko) 치과용 응급 임플란트
KR20140026132A (ko) 치과용 임플란트
US9700388B2 (en) One-part or multi-part implant system comprising a mounting element having one or more outer rings
KR20110064402A (ko)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TW202002912A (zh) 牙科植入物
KR101608169B1 (ko) 임플란트 유닛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KR102600291B1 (ko) 인공치아 시술용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