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921B1 -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921B1
KR101087921B1 KR1020090056034A KR20090056034A KR101087921B1 KR 101087921 B1 KR101087921 B1 KR 101087921B1 KR 1020090056034 A KR1020090056034 A KR 1020090056034A KR 20090056034 A KR20090056034 A KR 20090056034A KR 101087921 B1 KR101087921 B1 KR 101087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butment
dental implant
gum
permanent pros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812A (ko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김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5113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8792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필 filed Critical 김종필
Priority to KR1020090056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92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having a cylindrical implant connec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결합되었을 때 상측 일부가 잇몸 외부로 돌출되며,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는 체결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픽스츄어; 및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저면에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및 끝단이 상기 어버트먼트의 가운데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고정 결합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를 이용하면, 영구보철물에 인가되는 측방 외력이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로 고루 분산되고, 어버트먼트의 흔들림이 감소되어 영구보철물의 결합 및 안정성이 향상되며, 픽스츄어의 두께 증가를 통해 픽스츄어의 강도가 증대되어 픽스츄어의 파절이 감소되고,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의 연결부가 잇몸의 외부에 있어 연결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치과, 임플란트, 픽스츄어, 어버트먼트, 잇몸, 돌출, 나사풀림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영구보철물이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에 걸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매식의치로서 상실된 치아의 뿌리(치근)가 있던 악골내에 치근과 유사한 구조의 치과용 임플란트(매식체; fixture)를 심어서 치아를 새로이 제작하는 방법으로 인접한 치아를 삭제하지 않아 인접치아의 손상이 없고, 이차적인 충치발생요인이 없어 고정성의치보다 더 안정적인 방법이다. 또한 다수의 치아가 빠져 가철성 의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치주조직(잇몸)에 힘이 가해져 잇몸에 불편함이 있고 틀니의 크기로 인해 구강내 이물감이 심하지만, 임프란트는 치아와 비슷한 구조이므로 잇몸의 통증 및 이물감이 전혀 없어 환자들의 삶의 질의 향상과 만족감을 줄 수 있다.
최근 이와 같은 이유로 상실된 치아를 반영구적으로 보충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도 1은 종래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치과용 임플란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1)에 매식되는 픽스츄어(10)와, 잇몸(2) 외부로 돌출되도록 픽스츄어(10)에 안착되는 어버트먼트(20)와,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를 체결시키는 스크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픽스츄어(10)의 상단에는 어버트먼트(20)의 내부에 인입되는 돌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어버트먼트(20)의 하단에는 상기 돌출부(12)가 인입될 수 있도록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2)와 체결홈은 각각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어버트먼트(20)가 픽스츄어(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크류(30)를 회전시켜 체결시킬 때 상기 어버트먼트(20)는 스크류(30)와 함께 회전되지 아니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의 체결이 완료되면 어버트먼트(20)에 영구보철물(3)이 고정 결합되는데, 상기 픽스츄어(10)는 치조골(1)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어버트먼트(20) 및 영구보철물(3) 역시 외력에 의해 흔들리지 아니하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영구보철물(3)이 어버트먼트(20)에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영구보철물(3)에 측방 외력이 반복적으로 인가되는 경우 영구보철물(3)과 어버트먼트(20)가 쉽게 측방으로 흔들리거나 회전되고, 어버트먼트(20)의 흔들림과 회전에 의해 스크류(30)가 풀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구보철물(3)이 어버트먼트(20)에만 접착되어 있어 스크류가 풀리는 경우 영구보철물(3)이 쉽게 탈락된다. 그리고 픽스츄어(10)의 내부는 어버트먼트(20)의 돌출부(12) 및 나사를 위한 빈 공간이 있어 픽스츄어(10)의 강도를 저하시켜 파절이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치과용 임프란트는 픽스츄어(10) 전체가 잇몸(2) 내부로 삽입되는바, 픽스츄어(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렌치드라이버는 픽스츄어(10)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12)에 체결되어 상기 돌출부(12)에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동작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2)는 픽스츄어(10)의 몸체보다 크기가 작아야하므로 상기 돌출부(12)의 크기를 증대시키는데 한계가 있는바, 렌치드라이버 회전 시 돌출부(12)의 파손 및 변형이 빈번히 발생되고, 이에 따라 픽스츄어(10)를 안정적으로 치조골(1)에 결합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의 연결부가 잇몸(2) 내부에 묻혀 있으므로, 시술자는 어버트먼트(20)를 픽스츄어(10)에 결합시킬 때 상기 돌출부(12)가 정상적으로 어버트먼트(20) 내부로 인입되는지를 육안으 로 확인할 수 없고 방사선 사진 촬영 등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즉, 시술자는 자신의 감(感)에 의존하여 돌출부(12)를 어버트먼트(20) 내에 인입시켜야하는바, 시술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외에도,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의 연결부위가 잇몸(2)과 직접 접촉되므로,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의 연결부에 세균이 증식할 경우 잇몸에 염증이 발생되거나 구취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구보철물(3)의 제작이 완성되기 이전까지는 픽스츄어(10)에 임시보철물을 장착해야 하는데,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픽스츄어(10)가 잇몸(2)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어 있으므로 픽스츄어(10)에 어버트먼트(20)를 결합시킨 이후 상기 어버트먼트(20)에 임시보철물을 장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임시보철물을 제거하고 영구보철물을 장착시킬 때에도 어버트먼트(20)의 해체 및 결합을 반복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영구보철물(3)에 인가되는 측방외력이 잇몸 외부로 돌출된 픽스츄어(10)의 외주면과 어버트먼트(20)로 분산되며, 잇몸 외부로 돌출된 픽스츄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입홈 또는 사면에 영구보철물(3)이 채워지게 함으로써 영구보철물(3)의 회전이 방지되어 결과적으로 스크류(30)의 풀림이 현저히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치조골(1)에 식립시 픽스츄어(10)의 외주면 에 형성된 요입홈 및 사면에 렌치드라이버를 체결하여 픽스츄어(10)에 강한 회전력을 가하기 때문에 픽스츄어(10)의 손상없이도 강하고, 안정되게 픽스츄어(10)를 치조골 내부 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픽스츄어(10) 내부의 빈 공간의 크기를 줄여 실질부가 두께워져 강도가 증대되어 픽스츄어(10)의 파절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의 결합부위가 잇몸의 외부에 있어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영구보철물을 임플란트에 장착한 후에는 연결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함으로써 잇몸 염증 및 구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임시보철물 장착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결합되었을 때 상측 일부가 잇몸 외부로 돌출되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끝단이 상기 어버트먼트의 가운데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고정 결합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츄어는 상면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어버트먼트가 수직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체결홈과 돌출부는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 중 하나 이상은, 잇몸 외부로 노출된 부위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요입홈 또는 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 중 하나 이상은 원뿔형상 또는 수직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영구보철물에 인가되는 측방 외력이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로 고루 분산됨으로써 어버트먼트의 흔들림이 감소되며, 픽스츄어나 어버트먼트의 요입홈과 사면에 영구보철물의 내면이 채워져 대응함으로써 픽스츄어, 어버트먼트, 영구보철물 상호간에 서로 잠금상태가 되어 영구보철물에 측방력이 인가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영구보철물과 어버트먼트의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어버트먼트가 흔들리지 않고, 회전되지 않으면 스크류의 풀림 현상이 감소되어 영구보철물의 안정성이 증가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영구보철물의 하단 일부가 픽스츄 어의 상부에 직접 접착되기 때문에, 영구보철물이 어버트먼트에만 접착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영구보철물의 결합력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렌치드라이버를 요입홈 또는 사면이 형성된 픽스츄어의 외주면에 장착시킨 후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픽스츄어의 체결 저항이 큰 경우에서도 픽스츄어나 렌치드라이버가 파손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를 고정하는 스크류 및 그 삽입홈의 크기를 기존의 임프란트에 비해 작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픽스츄어의 두께 증가를 통한 픽스츄어의 강도 증대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잇몸 외부로 돌출된 외주면에 어버트먼트의 연결없이 임시보철물를 설치할 수 있어 시술과정를 간략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하단부가 잇몸(2)을 관통하여 치조골(1)에 고정 결합되는 픽스츄어(100)와, 상기 픽 스츄어(1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영구보철물(3)이 장착되는 어버트먼트(200)와, 끝단이 상기 어버트먼트(200)의 가운데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220)을 관통하여 상기 픽스츄어(10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어버트먼트(200)를 픽스츄어(100)에 고정 결합시키는 스크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픽스츄어(100)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잇몸(2)에 완전히 묻히도록 치조골(1)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측 일부가 영구보철물을 지지하기 위해 잇몸(2) 외부로 돌출되어 치조골(1)에 결합된다는 점에서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영구보철물(3)은 하측 끝단이 잇몸(2)의 상면에 접촉되어 어버트먼트(200)를 감싸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에서는 잇몸(2) 외부로 돌출된 픽스츄어(100)의 상측 일부와 어버트먼트(200) 전체를 영구보철물(3)이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이 영구보철물(3)이 어버트먼트(200)와 픽스츄어(100)에 걸쳐 장착되면, 영구보철물(3)에 측방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측방 외력은 어버트먼트(200)와 픽스츄어(100)로 분산되어 전달되는바, 영구보철물이 어버트먼트만 감싸는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경우에 비해 어버트먼트(200)가 흔들리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크류(300)가 풀리거나 파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영구보철물(3)에 인가되는 측방 외력이 어버트먼트(200)로만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측방 외력이 상기 어버트먼트(200)와 픽스츄어(100) 간의 결합 부위로 집중되어 어버트먼트(200)와 픽스츄어(100) 간의 결합부위를 지지하는 스크류가 풀리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었으나, 상기의 측방 외력이 어버트먼트(200)와 픽스츄어(100) 모두에 인가되면 측방 외력이 픽스츄어(100)와 치조골(1) 간의 결합부위로 인가되는데 픽스츄어(100)와 치조골(1) 간의 결합력이 어버트먼트(200)와 픽스츄어(100) 간의 결합력보다 더 크기 때문에 어버트먼트(200) 및 픽스츄어(100)가 흔들려 스크류가 풀리거나 파손되는 현상은 거의 발생하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영구보철물에 가해지는 측방외력의 일부가 픽스츄어(100) 상부로 분산되면 상대적으로 어버트먼트(200)에 전달되는 측방외력은 감소되어지므로 작은 힘으로도 어버트먼트(200)와 픽스츄어(100)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의 다각형구조와 스크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스크류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면 픽스츄어(100)의 두께가 증가되어 픽스츄어(100)의 강도가 증가되므로, 픽스츄어(100)의 파절이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치조골(1)의 질이 좋아 픽스츄어(100)가 치조골(1)에 견고하게 삽입된 경우 픽스츄어(100)와 치조골(1) 사이에 완전히 고정 결합이 형성될 때까지의 기간 동안 환자의 편의를 위하여 임시보철물를 설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포함되는 픽스츄어(100)와 같이 상부 일부가 잇몸(2) 외부로 돌출되면, 잇몸(2) 외부로 돌출된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직접 임시보철물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어버트먼트(200)를 결합시키고 해체시키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를 이용하면, 임시보철물 설치를 위해 어버트먼트(200)를 픽스츄어(100)에 결합하는 작업이나, 임시보철물 해체를 위해 어버트먼트(200)를 픽스츄어(100)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임시보철물 설치 및 해체 시술이 매우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픽스츄어(100) 상부가 너무 작게 잇몸(2) 외부로 돌출되면 영구보철물(3)로 인가되는 측방 외력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적어지고, 어버트먼트(200) 없이는 임시보철물을 장착할 수가 없다. 반대로, 픽스츄어(100) 상부가 너무 많이 잇몸(2) 외부로 돌출되면 영구보철물 장착에 필요한 높이 이상의 상태가 되어 픽스츄어(100) 상부를 삭제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 치조골(1)의 질이 좋지 않아 수술 직후 임시보철물을 장착하지 않아야 하는 경우에 음식물 및 혀 등의 간섭 및 외력을 받아 치조골(1)과 픽스츄어(100)사이에 견고한 결합을 이루는데 실패할 수 있다. 따라서 잇몸(2) 외부로 돌출되는 픽스츄어(100) 상부의 높이는 환자의 구강 특성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100)는 상면에 체결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어버트먼트(200)는 상기 픽스츄어(1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체결홈(110)에 삽입되는 돌출부(21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체결홈(110)의 상측 입구는 잇몸(2)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되는바, 시술자는 돌출부(210)가 체결홈(110)에 정확하게 삽입되는지를 육안으로 보면서 어버트먼트(200)를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픽스츄어(100)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210)가 상기 체결홈(11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어버트먼 트(200)가 수직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체결홈(110)과 돌출부(210)는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210)와 체결홈(110)의 횡단면이 육각을 이루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돌출부(210)와 체결홈(110)의 횡단면은 사각이나 팔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200)와 픽스츄어(100)의 연결부가 영구보철물(3)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세균이 어버트먼트(200)와 픽스츄어(100) 연결부에 침투하지 못하게 되므로, 잇몸 염증 및 구취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영구보철물(3)이 접착되는 픽스츄어(100)의 외주면과 어버트먼트(200) 부위가 완만한 곡면을 이루는 경우 영구보철물(3)에 측방외력이 오는 경우 영구보철물(3)이 수직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잇몸(2) 외부로 노출되는 픽스츄어(100)의 외주면과 어버트먼트(200)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요입홈(120)이 형성된다. 이때, 영구보철물(3)은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입홈(120)을 채우도록 픽스츄어(100) 및 어버트먼트(20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영구보철물(3)이 상기 요입홈(120)을 채우게 되면, 수직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력이 상기 영구보철물(3)에 인가되더라도 상기 요입홈(120)을 채운 부위가 요입홈(120)의 측벽에 간섭되므로, 상기 영구보철물(3)은 회전되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픽스츄어(100)를 치조골(1)에 삽입시키기 위해 렌치드라이버(미도시)를 결합시킬 때에는 렌치드라이버를 체결홈(110)에 삽입시켜 회전시켰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픽스츄어(100)의 외주면에 요입홈(120)이 형성되면 렌치드라이버를 상기 요입홈(120)에 걸어 장착시킨 후 상기 픽스츄어(100)에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요입홈(120)에 걸어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렌치드라이버는 픽스츄어(100)의 크기 및 요입홈(120)의 깊이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맞춰 별도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렌치드라이버를 통해 전달되는 힘이 픽스츄어(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입홈(120)에 인가되면, 렌치드라이버를 통해 전달되는 힘이 요입홈(120)에 인가되는 경우에 비해 회전중심과 작용점 간의 거리가 커지므로 보다 큰 토크가 발생되는바, 상기 픽스츄어(1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렌치드라이버를 체결홈(110)에 삽입시켜 회전시킬 때에는 체결홈(110)의 외측 모서리가 뭉개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지만, 요입홈(120)의 깊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면 렌치드라이버를 요입홈(120)에 걸어 회전시킬 때 요입홈(120)이 손상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픽스츄어(100)나 렌치드라이버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요입홈(12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고, 픽스츄어(100)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요입홈(120)이 픽스츄어(100)에만 형성되면, 영구보철물(3)에 인가되 는 외력에 의해 어버트먼트(200)로 진동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어버트먼트(200)는 수직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300)가 회전됨으로써 어버트먼트(200)와 픽스츄어(100)의 체결력이 해제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요입홈(120)은 영구보철물(3)의 회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픽스츄어(100)의 외주면과 어버트먼트(20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입홈(120)이 픽스츄어(100)의 외주면과 어버트먼트(20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면, 상기 영구보철물(3)과 어버트먼트(200) 모두 수직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는바, 상기 스크류(300)가 회전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2 실시예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영구보철물(3)이 수직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잇몸(2) 외부로 돌출된 픽스츄어(100)의 외주면에 요입홈(120)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12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요입홈(120) 대신 사면(122)이 형성되는 경우, 픽스츄어(100) 및 어버트먼트(200)의 곡면 외주면과 사면(122)이 만나는 모서리가 걸림턱 역할을 하게 되므로, 영구보철물(3)은 수직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픽스츄어(100)의 외측면에 사면(122)이 형성되는 경우는, 픽스츄 어(100)의 외측면에 요입홈(120)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픽스츄어(100)의 제작이 용이해지며 픽스츄어(100) 회전을 위한 렌치드라이버의 장착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픽스츄어(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사면(122)과 어버트먼트(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사면(122)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픽스츄어(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사면(122)과 어버트먼트(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사면(122)은 반드시 하나의 평면을 이루어야 할 필요는 없다.
이때, 상기 사면(1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의 외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픽스츄어(100)의 외측면에만 형성되거나 어버트먼트(200)의 외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사면(122)의 형성에 따른 각각의 효과는, 요입홈(120)의 형성에 따른 각각의 효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3 실시예 단면도이다.
상기 어버트먼트(200)와 스크류(3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2피스(two-piece)로 구성될 수도 있고, 3피스(three-piece)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2피스로 구성되거나 3피스로 구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는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어버트먼트(200)와 스크류(300)가 일체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스크류(300)가 완전히 체결될 때까지 어버트먼트(200)를 회전시키는데 간섭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어버트먼트(200)의 돌출부(210)는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는 부분 없이 전체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에 적용되는 영구보철물(3)은 하측 끝단이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형성된 원통형 외주면의 아랫쪽 끝단에 일치되도록 설계되고,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형성된 원통형 외주면의 아랫쪽 끝단은 잇몸의 상면과 일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잇몸의 두께는 치아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형성된 원통형 외주면의 아랫쪽 끝단 위치 또한 다양한 위치에서 설정되어져야 한다. 상기 원통형 외주면의 아래쪽 끝단의 위치가 미리 결정되어져 가공되어진 픽스츄어의 경우는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잇몸에서 잇몸의 상면에 영구보철물(3)의 끝단을 일치되게 맞출 수 없다. 그러나 원통형 외주면의 아래쪽 끝단이 미리 가공되지 않은 경우는 환자 구강내에서 픽스츄어(100)의 상부의 외주면을 직접 가공함으로써 원통형 외주면의 아랫쪽 끝단과 잇몸의 상면을 쉽게 일치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5 실시예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에 적용되는 어버트먼트(200)는 영구보철물 내부 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환자의 구강 조건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100)를 경사지게 치조골(1)에 결합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치조골(1) 내부로 삽입되는 픽스츄어(100) 하단측이 경사지게 배치되더라도 잇몸(2) 외부로 돌출되는 픽스츄어(100)의 상단측 및 어버트먼트(200)는 수직 상향을 이루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므로, 시술자는 어버트먼트(200) 및 픽스츄어(100)의 일측(더 정확하게는 기울어진 측)을 깎아내는 가공을 한다.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200)와 픽스츄어(100)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 시술자가 어버트먼트(200) 및 픽스츄어(100)의 일측을 깎아내는 경우 어버트먼트(200) 및 픽스츄어(100) 상부의 외주면의 테이퍼가 너무 심해져 저항이 약해져 쉽게 영구보철물이 탈락될 수 있다.
상기 픽스츄어(100)와 상기 어버트먼트(200)가 가공 여유분을 가질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스츄어(100) 및 어버트먼트(200)가 모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 픽스츄어(100)의 하단부가 비스듬하게 치조골(1)에 결합되더라도 시술자가 적절하게 픽스츄어(100) 및 어버트먼트(200)를 가공함으로써, 잇몸(2)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 전체가 수직 상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를 가공하더라도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 의 테이퍼 정도가 크지 않아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 상의 영구보철물(3)이 탈락되려는 힘에 대한 저항이 커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아니하지만, 상기 픽스츄어(100)의 상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어버트먼트(200)만이 가공 여유분을 가질 수 있도록 수직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치과용 임플란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2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3 실시예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4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제5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치조골 2 : 잇몸
3 : 영구보철물 100 : 픽스츄어
110 : 체결홈 120 : 요입홈
130 : 단턱 200 : 어버트먼트
210 : 돌출부 220 : 관통공
300 : 스크류

Claims (7)

  1. 치조골(1)에 결합되었을 때 상측 일부가 잇몸(2) 외부로 돌출되는 픽스츄어(100); 및
    상기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200);
    를 포함하며,
    상기 픽스츄어(100)는 상면에 체결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어버트먼트(200)는 상기 픽스츄어(1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체결홈(110)에 삽입되는 돌출부(2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0)가 상기 체결홈(11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어버트먼트(200)가 수직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체결홈(110)과 돌출부(210)는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4. 제1항에 있어서,
    끝단이 상기 어버트먼트(200)의 가운데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220)을 관통하여 상기 픽스츄어(10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어버트먼트(200)를 픽스츄어(100)에 고정 결합시키는 스크류(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5. 제1항,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100)와 상기 어버트먼트(200) 중 하나 이상은, 잇몸(2) 외부로 노출된 부위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요입홈(1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6. 제1항,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100)와 상기 어버트먼트(200) 중 하나 이상은, 잇몸(2) 외부로 노출된 부위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사면(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7. 제1항,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 중 하나 이상은 수직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090056034A 2009-06-23 2009-06-23 치과용 임플란트 KR101087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034A KR101087921B1 (ko) 2009-06-23 2009-06-23 치과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034A KR101087921B1 (ko) 2009-06-23 2009-06-23 치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812A KR20100137812A (ko) 2010-12-31
KR101087921B1 true KR101087921B1 (ko) 2011-11-28

Family

ID=4351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034A KR101087921B1 (ko) 2009-06-23 2009-06-23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285A (ko) 2018-04-19 2019-10-30 김종필 치과용 임플란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25B1 (ko) * 2013-12-31 2015-01-16 김용협 임플란트용 에어 크라운
JP7436966B2 (ja) * 2019-07-30 2024-02-22 Aqb・Abiインプラント株式会社 2ピースタイプの歯科用インプラント
CN113440276B (zh) * 2021-06-12 2023-04-18 杭州口腔医院集团有限公司 一种口腔内种植体及其数字化加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7402A (ja) 1996-08-26 1998-03-03 Bureen Beesu:Kk 歯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に用いる鋳造模型パターン
KR200357420Y1 (ko) 2004-04-16 2004-07-30 주식회사 워랜텍 틀니용 인공치근
KR200392189Y1 (ko) 2005-05-12 2005-08-19 김종필 치과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7402A (ja) 1996-08-26 1998-03-03 Bureen Beesu:Kk 歯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に用いる鋳造模型パターン
KR200357420Y1 (ko) 2004-04-16 2004-07-30 주식회사 워랜텍 틀니용 인공치근
KR200392189Y1 (ko) 2005-05-12 2005-08-19 김종필 치과용 임플란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285A (ko) 2018-04-19 2019-10-30 김종필 치과용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812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9822B2 (ja) アバットメントシステム及び歯科方法
KR101633259B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CA1311948C (en) Submergible screw-type dental implant
US8936468B2 (en) Transfer copings and related methods for taking implant impressions
RU2612487C2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KR101173758B1 (ko)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CA2991406C (en) Dental implant
KR101417980B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0467684Y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스크루 및 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33258B1 (ko)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EP1459700A1 (en) Anti-rotation dental implant and abutment system
KR101042372B1 (ko) 일체형 임플란트
JP4727333B2 (ja) 磁性アタッチメント用歯科インプラント
KR20130097036A (ko)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KR101172838B1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CA3050089C (en) Dental implant
KR10108792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0807150B1 (ko) 오버덴쳐 시술용 임플란트
EP3185812B1 (en) Restoration dental implant fixture
CN107847301B (zh) 修复牙科植入体系统和方法
JP6432911B2 (ja) 1つまたは複数の外側環状体を備えたマウントエレメントを有する単一部分または複数部分から成る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EP2291139B1 (en) Dental implant
KR10121067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879550B1 (ko) 구조개선을 통한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20190122285A (ko) 치과용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5000035;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80315

Effective date: 20180423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406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1206

Effective date: 201907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