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285A -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285A
KR20190122285A KR1020180045832A KR20180045832A KR20190122285A KR 20190122285 A KR20190122285 A KR 20190122285A KR 1020180045832 A KR1020180045832 A KR 1020180045832A KR 20180045832 A KR20180045832 A KR 20180045832A KR 20190122285 A KR20190122285 A KR 20190122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butment
screw
prosthesis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김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필 filed Critical 김종필
Priority to KR1020180045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2285A/ko
Priority to US16/388,108 priority patent/US20190321142A1/en
Publication of KR2019012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39Details of the shape in the form of hollow cylinder with an open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스츄어(10), 어버트먼트(20) 및 스크류(30)로 이루어지는 개선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픽스츄어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치조골에 삽입되는 하측부와, 잇몸과 접하는 부분인 중간부(잇몸결합부 또는 다이버전트부)와, 일부 또는 전부가 잇몸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보철물이 결합되는 상측부로 이루어진다. 특히, 픽스츄어 중 잇몸 밖으로 돌출되는 상측부의 상부에 다각형돌출부가 구비되고, 그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의 하부에는 다각형돌출부가 삽입되는 다각형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보철마진 보다 훨씬 높은 위치에서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픽스츄어의 크기 또는 부피를 줄이면서도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시술할 수 있고, 시술 후에는 잇몸과 임플란트 사이의 세균증식 및 악취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환자의 치조골에 보다 용이하게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고, 시술 후에는 임플란트와 치조골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시술 부위에서 양호한 위생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잇몸 및 치조골에 식립하여 자연치아의 역할을 대신하게 해주는 것이고, 상실된 치아를 대신하여 치조골에 삽입, 시술되는 것이며,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금속(티타늄 등)으로 만든 픽스츄어(fixture)를 치조골에 삽입한 후, 그 상부에 보철물(인공치아 또는 크라운)을 결합, 고정시켜서 치아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에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이 사용되는데, 티타늄은 치조골에 결합될 경우, 치조골 또는 잇몸(치은)을 상하지 않으면서 치조골과 견고하게 결합되는 특성이 있고, 시술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충치가 발생하지 않는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치아를 상실한 환자들에게 있어서 치과용 임플란트는 매우 유리한 시술방법이 되고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아와 비슷한 구조로 제작되므로 잇몸의 통증이나 이물감 이 거의 없어서 환자들에게 식사의 기쁨을 제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등의 이유로 상실된 치아를 반영구적으로 보충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임플란트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임플란트를 형성하는 부품의 수에 따라 1피스 임플란트, 2피스 임플란드 또는 3피스 임플란트로 분류될 수 있다.
1피스 임플란트는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진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식립한 후, 그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어버트먼트를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치조골에 식립되어 나사풀림 및 파절, 청결불량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임플란트가 길어서 식립시술이 어렵고, 특히 개구량이 적은 환자의 경우에는 시술작업이 더욱 어렵다. 또한, 식립 직후부터 교합력 등의 외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치조골과 픽스츄어간 골유착에 불리하다.
2피스 임플란트의 경우에는 어버트먼트 자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어버트먼트를 나사처럼 회전시켜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체결하여야 하며, 따라서 하나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경우는 어버트먼트의 역회전 즉, 풀림에 저항하는 구조물이 없어 쉽게 어버트먼트 나사가 풀려서 보철물도 함께 흔들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2피스 임플란트에 있어서 두 개의 임플란트에 두 개의 보철물을 일체로 하여 장착한 경우에는 어버트먼트의 풀림은 방지된다. 그러나 시멘트로 보철물을 임플란트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 수리를 위해 보철물을 일시 철거해야 하는 경우, 보철물의 손상 없이 철거가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3피스 임플란트는 픽스츄어, 어버트먼트 및 스크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임플란트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품의 대부분은 3피스로 이루어진 임플란트이다. 3피스 임플란트는 보통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삽입한 후,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견고하게 착상(골유착)될 때까지 기다린 후에, 나사 등을 이용하여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시술이 이루어진다.
임플란트의 시술방법으로 2피스 또는 3피스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대부분의 임플란트는 잇몸선(잇몸의 외부를 잇는 선)의 위치나 잇몸선의 하방에서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서로 결합된다(도8(a) 참조). 잇몸선 상방에서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결합된다면 보철마진 하방의 잇몸접촉부(12) 아래에 undercut(처마밑 공간)이 생기고, 그로인해 보철물 장착 후 잇몸과 보철물사이에 black triangle(삼각공간)이 생겨서, 잇몸접촉부(12)의 금속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심미적으로 좋지 않고, 그곳에 음식물이 끼는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임플란트 시술의 대상이 되는 환자에 있어서, 치조골의 폭이 좁거나 치조골의 높이가 낮은 환자의 경우 임플란트 시술이 어렵고, 시술 후에도 임플란트가 견고하게 유지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다.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국내 공개특허 제10-2007-0053503(2007. 5. 25. 공개, ‘종래기술1’이라 함.)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도1 및 또는 해당 공개특허의 도면4, 8, 11 등 참조), 고정체(200; fixture)가 잇몸선까지(잇몸(400)의 상단부가 이루는 선까지) 또는 그 하방에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고, 다른 종래기술에서는 픽스츄어가 치조골의 상단에 근접한 위치까지 형성되는 경우도 많이 있었다.
위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픽스츄어가 잇몸선이나 그 하방 또는 치조골의 상단 부분까지 형성되고 그 위에 상부구조물(어버트먼트)을 결합한 후 보철물이 어버트먼트에만 부착되도록 시술하는 임플란트의 경우에는, 나사가 풀리거나, 나사, 어버트먼트 또는 픽스츄어가 파절되는 부작용이 빈번히 발생한다. 픽스츄어가 잇몸에 덮이거나 잇몸 속에 깊이 박히게 되어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연결시 연결부가 보이지 않아 연결작업이 어렵고, 또한 시술 후 장기간 사용하면 보철물과 어버트먼트 또는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 사이의 틈에 음식물이 끼거나 세균이 증식하여 악취가 발생하고, 시술부위에 치주염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다른 종래기술인 국내등록특허 제10-0997553호(2010. 6. 10. 출원, 2010. 11. 24. 등록, ‘종래기술2’라 함.)는 일체형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골삽입부(25)의 상측에 잇몸과 결합되는 부분인 잇몸결합부(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잇몸결합부(27) 위쪽에 보철(크라운)과 결합되는 보철결합부(29, 이 기술에서는 ‘보철결합부’라는 명칭이 사용되고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도2 참조). 따라서 종래기술2의 경우에는 잇몸선 위쪽에서 보철물이 결합되게 되어 있어서 앞의 종래기술1에서 살펴본 치아의 위생관련 문제들이 상당히 해결된 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2는 일체형 임플란트(1피스 임플란트에 가까운 형태)에 적용되는 기술이어서, 통상 널리 이용되는 3피스 임플란트에 바로 적용하기 어렵고, 시술이 어려우며, 시술직후 픽스츄어에 많은 교합력이 바로 가해져서 골유착에 불리한 일체형 임플란트(1피스 임플란트)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또한 보철결합부가 길어서 대부분의 경우에서 보철연장부 없이도 보철치료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등록된 국내특허 제10-1087921호(2009. 6. 23. 출원, 2011. 11. 22. 등록, ‘선행특허’라 함.)는 3피스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며(도3 참조), 픽스츄어(100)의 상측 일부가 잇몸(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픽스츄어(100)와 어버트먼트(200)가 잇몸선 보다 상부 위치에서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행특허는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픽스츄어의 상부와 어버트먼트가 잇몸선 보다 돌출되어 있어서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동시에 영구보철물(3)이 픽스츄어(100)의 상측 및 어버트먼트(200)와 함께 부착되도록 하여 구조물의 안정성과 보철물의 위생상의 문제를 개선하고, 임플란트 시술의 효율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8464호(2010.11.5. 공개) 국내 등록특허 제10-0997553호(2010.6.10. 출원, 2010.11.24. 등록) 국내 등록특허 제10-1087921호(2009.6.23. 출원, 2011.11.22. 등록)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의 효율 및 편의성을 크게 높이고, 시술된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시술대상자에 대한 위생상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픽스츄어의 구조 특히,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의 형상과 구조를 개선하고 픽스츄어와 치조골 결합부의 구성을 개선함으로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앞에서 살펴본 본 출원인의 선행특허가 갖고 있는 장점들을 살리면서 임플란트 시술작업을 보다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잇몸선 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위치에서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가 서로 결합하도록 하되, 픽스츄어 상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돌출부와 어버트먼트 하단에 형성된 다각형삽입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시술부위에 대한 시야확보가 매우 용이하여 임플란트 시술상의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게 하고, 임플란트 시술 후에는 세균 등이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의 연결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구강에서의 염증유발 및 구취발생을 크게 감소시키는 임플란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술대상 환자의 치아구조 및 사이즈에 따라 픽스츄어의 상측부 또는 어버트먼트의 길이를 적정한 크기로 조정하여 임플란트를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위에 더하여, 본 발명은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수단인 스크류가 삽입되는 나사구멍이 픽스츄어의 일부분(종래기술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만 형성되더라도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치아의 교합력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어서, 픽스츄어 하측부의 내부에 빈공간을 없앰으로써 픽스츄어의 하측부 치근몸체(11)의 직경을 작게 설계할 수 있고, 또한 치조골과 결합되는 나사부(11-1)의 나사산을 높게 형성할 수 있게 하여, 작은 사이즈의 픽스츄어를 가지고도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개선된 픽스츄어를 제공하고, 또한,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결합되는 부분의 구조를 개선하여 픽스츄어 상부에 어버트먼트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작은 사이즈의 임플란트를 사용하면서도 픽스츄어와 치조골간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잇몸선의 외부에 형성되는 픽스츄어(10) 상측부(10c)의 보철물결합부(13) 상단에 다각형돌출부(15)를 형성하고, 픽스츄어(10)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20)의 하단에는 다각형삽입부(21)를 형성하여, 다각형돌출부(15)가 다각형삽입부(21)에 정확히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위 구성으로 인해 치조골에 삽입되는 치근몸체(11)의 직경과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어서, 종래보다 작은 사이즈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도 종래기술과 동등 이상의 효과를 달성하는 구성을 제공하게 된다.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본 발명으로부터 기대되는 효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선행특허(국내 등록특허 제10-1087921호)의 구조를 보다 개선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픽스츄어의 보철물결합부와 어버트먼트의 연결부위가 잇몸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부에 위치하여 선행특허에서와 같이 보철물에 전달된 교합력이 어버트먼트와 보철물결합부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에 연결된 어버트먼트와 고정나사(스크류)로 전달되는 교합력이 전통적 임플란트 방식에 비해 월등히 적게 되어, 고정나사(스크류)의 풀림이나 나사파절 및 어버트먼트 파절의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고, 그로인해 작은 직경의 고정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선행특허 및 본 발명은 픽스츄어의 상부가 상측으로 연장됨으로써 픽스츄어의 상부에 형성되는 어버트먼트와의 연결을 위한 수단(다각형삽입부 또는 다각형돌출부) 및 어버트먼트 고정나사(스크류)를 위한 픽스츄어 내부의 나사구멍을 전통적 방식의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비해 직경이 보다 작게 그리고 훨씬 상방에 위치시켜 픽스츄어 내부에 비어있는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픽스츄어의 강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픽스츄어 외부에 형성하는 쓰레드(나사산)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픽스츄어와 치조골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픽스츄어의 골유착과 안정에 더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전통적으로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의 연결부위 즉 연결틈은 보철물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가 아니어서 외부의 이물질이나 세균이 침투할 수 있는 구조였고, 따라서 임플란트 보철의 청결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있었으나, 선행특허 및 본 발명은 연결부의 틈을 보철물이 장착되는 그 내부에 위치시켜서 외부의 이물질과 세균의 침투를 원천봉쇄하여 완벽한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전통적으로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의 연결부위가 잇몸 하방에 위치하여 어버트먼트와 연결시 체결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애로가 많았으나, 선행특허 및 본 발명은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의 연결부가 잇몸 상측에 위치하여 어버트먼트 연결시 그 체결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간편하고 완벽하게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체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행특허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더 갖는다.
즉, 어버트먼트(20)와의 연결을 위해 픽스츄어(10)의 보철물결합부(13)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수단을 다각형삽입부가 아닌 다각형돌출부로 형성함으로써, 어버트먼트를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30)의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구멍(16)을 선행특허에 비해 상당히 위쪽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로인해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의 치근몸체(11; 치조골에 삽입되는 부분 중 나사산을 제외한 부분)의 내부에 어버트먼트 고정나사(30; 스크류)를 위한 나사구멍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즉, 고정체 내부의 빈공간을 완벽히 제거함으로써 치근몸체(11)의 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어서, 작은 직경의 치근몸체(11)를 갖는 3피스 임플란트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여 큰 직경의 3피스 임플란트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상의 시술에 있어서는 잇몸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다각형돌출부(15)에 마운트를 연결하여 마운트를 회전시켜서 치조골에 픽스츄어(10)를 식립할 수 있으며, 픽스츄어의 체결저항이 특히 큰 환자의 경우에는 보철물결합부(13)의 사면(13-1) 또는 요입홈(13-2)에 렌치드라이버를 걸어서 회전력을 인가하여 픽스츄어나 렌치드라이버의 파손 없이 픽스츄어를 삽입할 수도 있다.
도 1 : 종래기술의 도면
도 2 : 다른 종래기술의 도면
도 3 : 본 출원인의 선행특허 도면
도 4 : 본 발명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도
도 5 : 본 발명 픽스츄어 실시예의 상면도 및 측면도
도 6 : 본 발명 임플란트 실시예의 분해 및 결합 사시도
도 7 : 본 발명의 임플란트가 적용된 시술사례
도 8 :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도
도 9 : 본 발명 어버트먼트의 실시예
도 10 : 본 발명 스크류 헤드의 상부면 형상의 예
도 11 : 본 발명이 적용된 임플란트의 실시예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이하에 기재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 및 관련 첨부도면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도4, 도6 및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픽스츄어(10), 어버트먼트(20) 및 스크류(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3피스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픽스츄어(1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픽스츄어(10)는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측부(10a), 중간부(10b) 및 상측부(10c)로 이루어진다. 하측부(10a)는 치조골(1)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중간부(10b)는 잇몸과 접촉하는 부분이며, 상측부(10c)는 잇몸의 외부로 일부 또는 전부가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나타낸다.
하측부(10a)는 치근몸체(11)와 나사부(11-1)로 구성되는데, 치근몸체(11)는 하측부(10a)의 중심부를 이루는 것이고, 나사부(11-1)는 치근몸체(11)의 외측에 구비되어 치조골(1)과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치근몸체(1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원뿔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나사부(11-1)는 치근몸체(11)의 형상에 맞추어 제작되거나 시술대상자의 치조골 형태 및 사이즈 또는 치조골의 치밀도 등에 따라 적의 선택하여 제작될 수 있다.
중간부(10b)는 임플란트와 잇몸(2)이 접촉하는 부분, 즉 치조골(1)을 덮고 있는 살(tissue)로 이루어진 잇몸(2)과 접촉하는 잇몸접촉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잇몸접촉부(12)는 도7(a)에서와 같이 상측 일부가 수직원통형이고, 하측 일부는 하방으로 테이퍼진 부드러운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의 접촉면이 될 수 있고, 도7(b)와 같이 보철마진(18)의 끝점에서 치근몸체(11)를 직선이나 곡선으로 연결한 형태의 접촉면이 될 수도 있다. 중간부(10b)의 중심 일부 또는 전부에는 스크류(30; 고정나사)를 삽입할 수 있는 나사구멍(16)에 형성된다.
상측부(10c)는 픽스츄어의 일부를 이루면서 잇몸선의 외측으로 일부 또는 전부가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며, 보철물결합부(13), 상부면(14), 다각형돌출부(15) 및 보철마진(18)이 구비되어 있고, 상측부(10c)의 중심부에는 나사(17)가 형성된 나사구멍(16)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측부의 전부가 잇몸선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우는 보철마진(18)의 외측 끝선이 잇몸선과 일치하는 경우를 말한다.
다각형돌출부(15)는 픽스츄어(10)의 최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요소 중 하나에 해당되는 것이다. 다각형돌출부(15)는 상부면(14)의 상단에 형성되는 다각형의 부분이고, 그 중심부에는 스크류(30; 고정나사)의 나사(32)가 통과할 수 있는 나사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도4 내지 8 참조). 다각형돌출부(15)는 픽스츄어의 상면도 및 측면도인 도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6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4각형 또는 5각형, 8각형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그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서 마운트가 다각형돌출부(15)에 연결되어 그 마운트를 렌치 또는 렌치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서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게 된다. 다각형돌출부(15)는 픽스츄어(10)의 일부를 이루면서, 잇몸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보철물결합부(13)의 윗부분에 형성되어 있어서, 치과시술시 매우 용이하게 관찰될 수 있도록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을 이용하여 픽스츄어(10)를 치조골(1)에 삽입함에 있어서, 다각형돌출부(15)에 연결된 마운트에 렌치드라이버 등을 걸어 픽스츄어(10)를 회전시키면, 하측부(10a)가 치조골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픽스츄어(10)의 일부에는 스크류(30)의 나사(32)를 삽입하기 위한 나사구멍(16)이 형성되는데, 나사구멍(16)은 다각형돌출부(15)에서 시작하여 상측부(10c) 전체를 지나서 중간부(10b)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주로 치근몸체(11)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중간부(10b)의 일부 또는 전체 부분에 나사구멍(16)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치근몸체(11)의 상단 일부까지 나사구멍(16)이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나사구멍(16)에는 스크류(30)의 나사(32)가 회전, 삽입될 수 있는 나사(17)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측부(10c)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 구성요소 중 하나인 보철물결합부(13)가 구비되어 있다. 통상의 임플란트에 있어서 보철물결합부는 치아와 유사한 형태로 만들어지는 보철물이 임플란트의 구성요소와 결합되는 부분을 말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픽스츄어 상측부에 형성되어 보철물과 결합되는 부분이 된다.
본 발명의 보철물결합부(13)는 상측부(10c)에 있어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구성요소이며, 도4, 도5, 도11(c) 및 (d)에서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진 원통형으로 만들어지거나, 도11(a) 및 (b)에서와 같이 위, 아래가 동일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수직원통형의 보철물결합부(13)는 도11(a)에서와 같이 그 상부측에 경사면(13-3)이 형성되도록 제조하거나, 도11(b)에서와 같이 경사면 없이 제조할 수도 있다. 경사면(13-3)은 수직원통형 보철물결합부(13)의 외측면(원통의 외측에 해당되는 부분)과 상부면(14)을 연결하는 평면이며, 어버트먼트(20)와 보철물결합부(13)의 결합시 테이퍼진 어버트먼트(20)의 하부면(25)에 대응하는 보철물결합부(13)와의 경계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11(a) 및 도11(b)에서와 같이 수직원통형의 보철물결합부(13)를 사용할 경우에는, 픽스츄어를 시술대상자의 구강에 식립한 후, 잇몸선의 위치 및 픽스츄어의 식립방향을 고려하여 시술대상자의 치아에 맞게 보철물결합부(13)나 어버트먼트(20)를 선택적으로 가공하거나 또는 보철물결합부(13)와 어버트먼트(20)를 모두 가공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다.
보철물결합부(13)는 시술대상 환자의 치아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한 사이즈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보철물(3)이 보철물결합부(13)와 어버트먼트의 외주면(26)에 함께 부착되게 되는데, 임플란트를 시술한 후 장기간 사용하면, 나사가 풀리거나, 나사, 어버트먼트 또는 픽스츄어의 파절 또는 치주질환 등으로 임플란트를 수리해야 할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수리를 위해 보철물(3)과 보철물결합부(13)를 분리거나 보철물을 제거해야 해야 할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임플란트 시술시에는 보철물을 보철물결합부에 접착시키기 위해 보통 시멘트 접착방법을 이용하는데, 이때 보철물결합부(접착부)의 길이를 1 mm 이하로 할 경우 보철물을 제거하기는 쉬우나 보철물의 결합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져서 보철물을 장기간 사용하기 어려우며, 보철물결합부(접착부)의 길이를 3 mm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보철물과 보철물결합부 사이의 결합력이 너무 강해져서 시멘트로 결합된 보철물을 제거하기 곤란하여 임플란트 수리 자체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합한 보철물결합부(13)의 길이는 1 mm 이상 3 mm 미만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체형 임플란트의 경우에는 보철결합부의 길이가 3 mm 이상 되어야 보철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는데, 3피스 임플란트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기술은 위 범위에서 보철물결합부(13)의 길이를 설정하면 가장 효과적으로 임플란트를 시술 및 보수할 수 있게 된다.
보철물결합부(13)의 측면에는 도5(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사면(13-1) 또는 요입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사면(13-1) 또는 요입홈(13-2)에 보철물 형성재료를 충진하여 그 부분이 보철물과 보철물결합부(13)가 일체가 되도록 하여 보철물(3)의 회전을 방지하고, 보철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사면이나 요입홈은 렌치드라이버를 걸고 픽스츄어를 회전시켜서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용도로도 이용될 수 있다.
보철마진(18)은 임플란트를 시술함에 있어서 보철물(3; 크라운)이 형성되는 한계부분을 말하는 것이며, 보통 잇몸선과 일치하거나 또는 잇몸선보다 약간 아래(치조골 쪽으로)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보철마진(18)은 도5(a) 또는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탄하게 잇몸선과 일치하는 형태 또는 잇몸선 부근에서 상방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보통 0.5~1 mm 정도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11(a) 및 (b)와 같이 보철물결합부(13)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설치한 후, 구강 내에서 보철물결합부(13)나 어버트먼트(20)를 선택적으로 가공하거나 또는 보철물결합부(13)와 어버트먼트(20)를 모두 가공하여 보철마진(18)을 형성한 후 그 상부에 보철물(3)을 부착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를 고정, 결합시켜주는 스크류(30)를 포함하고 있다. 스크류(30)는 어버트먼트(2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구멍(22)을 관통한 후 픽스츄어(10)에 구비되어 있는 나사구멍(16)에 회전 삽입되어,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를 견고하게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나사구멍(16)은 픽스츄어(10)의 상측부(10c)와 중간부(10b)에 걸쳐 형성되는 것인데, 보철물결합부(13)가 상당히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서, 픽스츄어의 치근몸체(11; 픽스츄어의 뿌리의 중심부에 해당) 부분까지 나사(17)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 사이에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치근몸체(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상측부(10c)와 중간부(10b)의 전체 또는 일부에만 나사구멍(16)을 형성하면서도 종래기술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7 참조).
한편, 본 발명은 나사구멍(16)이 상측부(10c) 전체와 중간부(10b)의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기본적 구성으로 하는 것이나, 필요에 따라 중간부(10b)에 인접한 하측부(10a)의 치근몸체(11) 일부에까지 나사구멍(16)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즉, 치조골(1)의 결합력이 약하거나 상측부(10c)와 중간부(10b)를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치아구조를 갖는 환자의 경우에는 치근몸체(11)의 위쪽 일부까지 나사구멍(16)을 형성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위에서 살펴본 이유로 픽스츄어의 치근몸체(11) 부분까지 나사구멍(16)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치근몸체(11)의 크기 특히, 치근몸체(11)의 직경을 작게 설계할 수 있게 되며, 그로인해 생긴 여유공간을 나사부(11-1)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8(c)와 같이 종래의 기술들에 비해 치근몸체(11)의 직경을 가늘게(날씬하게) 하고, 나사부(11-1)의 나사산을 더 높게 또는 더 깊게 형성할 수 있어서, 픽스츄어(10)가 치조골(1)에 보다 더 견고하게 유착될 수 있게 된다.
도8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있어서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경우 종래기술에 비해 스크류가 삽입되는 구멍(나사구멍)의 상,하 위치에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 도면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서 모두 동일 길이의 스크류를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각각 동일 길이의 나사구멍(16)이 형성되도록 도시하였다.
도8(a)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픽스츄어의 치근몸체(11)에 나사구멍의 대부분이 형성되어 있어서, 나사구멍으로 인해 치근몸체(11)의 직경을 작게 만들 수 없다. 도8(b)에 나타나 있는 다른 종래기술(선행특허)의 경우에는 앞의 종래기술(도8(a))에 비해 d1의 길이만큼 나사구멍의 깊이에 차이가 있으나, 여전히 치근몸체(11)의 상당 부분까지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경우에도 치근몸체(11)의 직경, 특히 상부의 직경을 줄이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도8(c)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의 경우에는, 나사구멍(16)이 중간부(10b; 잇몸접촉부 부분)까지만 형성되어 있고, 도8(b)에 비해 또다시 d2의 길이만큼 나사구멍의 깊이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나사구멍(16)은 도8(a)에 비해 d1+d2 만큼, 도8(b)에 비해서는 d2 만큼 픽스츄어의 상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위의 종래기술들과는 달리 치근몸체(11)에 미치지 않는 부분까지만 나사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나사구멍(16)과 관계 없이 치근몸체(11)의 직경을 설계할 수 있고, 치아의 교합력을 견딜 수 있는 범위에서 직경과 길이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차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비해 나사구멍의 깊이에 있어서 d1+d2 만큼 또는 d2 만큼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그 차이로 인해 픽스츄어(10)의 치근몸체(11) 및 나사부(11-1)를 여유있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즉, 도8(b) 또는 도8(c)에서는 도8(a)에 비해 작은 직경의 스크류(30; 고정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앞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중간부(10b)에 인접한 픽스츄어 치근몸체(11)의 일부까지 나사구멍(16)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2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20)는, 도4, 6 및 7에서와 같이 픽스츄어(10)의 위에서 픽스츄어와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다각형삽입부(21), 원형구멍(22), 걸림턱(23), 원형상부홈(24) 및 하부면(25)이 구비되어 있다. 어버트먼트(20)의 하단에는 다각형삽입부(21)가 형성되어 있는데, 다각형삽입부(24)는 픽스츄어(10) 상측부(10c)의 다각형돌출부(15)가 정확히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각형삽입부(21)의 위에는 스크류(30)의 나사(32)가 관통할 수 있는 원형구멍(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구멍(22)의 직경은 원형상부홈(24)의 직경 보다는 작고, 이 구멍으로 인해 어버트먼트(20)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3)이 형성되게 된다. 걸림턱(23)은 스크류(30)가 원형상부홈(24)을 지나서 픽스츄어(10)의 나사구멍(16)으로 삽입될 때, 스크류의 헤드(31)가 진입할 수 없도록 걸리는 부분이다. 즉, 스크류(30)를 이용하여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를 결합시킬 때, 스크류 헤드(31)가 먼저 걸림턱(23)에 걸리게 되고, 그 상태에서 스크류를 회전시켜서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를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어버트먼트(20)의 하부를 이루는 평면인 하부면(25)은 픽스츄어(10)의 상부면(15)과 동일한 형상으로 만들어져서 두면이 서로 긴밀히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부면(25)은 매끈한 평탄면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탄성물질을 도포한 형태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버트먼트(20)의 측면을 이루는 외주면(26)은 도9(a), 도11(b)에서와 같이 수직원통형(어버트먼트의 직경이 상하 동일한 구조)으로 이루어지거나, 도4, 도9(b), 도11(c) 및 (d)에서와 같이 테이퍼형(아래로 향하면서 어버트먼트의 직경이 커지는 구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버트먼트(20)의 경우에도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외주면(26)에 사면(26-1) 또는 요입홈(26-2)이 형성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20)에 형성되는 사면(26-1) 또는 요입홈(26-2)은 픽스츄어(10)의 보철물결합부(13)에 형성되는 사면(13-1) 또는 요입홈(13-2)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에 형성되는 사면 또는 요입홈은 상하 정렬된 상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정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픽스츄어의 보철물결합부(13)에 형성되는 사면(13-1) 또는 요입홈(13-2)은 보철물(3)이 보철물결합부(13)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철물(3)이 보철물결합부(13)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동시에, 렌치드라이버 등을 걸어서 픽스츄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어버트먼트(20)의 외주면(26)에 형성되는 사면(26-1) 또는 요입홈(26-2)은 주로 보철물(3)이 어버트먼트(20) 주위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보철물결합부(13)에 형성되는 사면(13-1) 또는 요입홈(13-2)과 어버트먼트(20)의 외주면(26)에 형성되는 사면(26-1) 또는 요입홈(26-2)을 상하 정렬시키고 그 부분에 보철물 성형재료를 충진하여 임플란트를 제작하면, 보철물결합부(13)와 외주면(26)에 충진된 보철물 성형재료가 상하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이들이 서로 일체로서 성형되면 보철물(3), 어버트먼트(20) 그리고 픽스츄어(1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어버트먼트가 회전되거나 흔들리지 않고, 나사풀림이 방지되며, 나사 및 어버트먼트의 파절이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사면 또는 요입홈은 보철물결합부(13)와 어버트먼트의 외주면(26)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둘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스크류(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크류(30)는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를 서로 결합하는 수단(렌치볼트)이며, 도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드(31)와 나사(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류(30)의 헤드(31)는 상부면이 원형 또는 원에 가까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어버트먼트(20)의 원형상부홈(24)에 진입할 수 있는 형태이며, 어버트먼트(20)와 픽스츄어(10)를 견고하게 결합시켜서 이들이 서로 요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헤드(31)의 상부면에는 일자형, 십자형, 다각형 또는 그 중 하나와 유사한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같은 형상의 렌치드라이버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스크류(30)에 적용되는 헤드(3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의 형상에 관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스크류(3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맞는 사이즈의 렌치드라이버를 그 홈에 삽입하고 회전시키면 어버트먼트(20)와 픽스츄어(10)를 서로 결합할 수 있고, 반대로 이들간의 결합을 풀 수도 있다.
스크류(30)의 나사(32)는 원형구멍(22)과 다각형돌출부(15)를 지나서 나사구멍(16)의 하단에 이르는 길이만큼 형성되며,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적정한 길이로 이루어지면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나사(32)는 도4 내지 7 및 도8(c)에서와 같이 시술대상 환자의 치아 구조 및 사이즈에 맞추어 적정한 형태 및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도4 및 도6(a)는 위에서 설명한 픽스츄어(10), 어버트먼트(20) 및 스크류(30)를 포함하는 본 발명 임플란트의 한 실시예에 대한 분해도와 그 사시도이고, 도6(b)는 위 3가지 요소를 결합한 본 발명 임플란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따라서 이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구조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적용한 임플란트의 시술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7(a)는 본 출원인의 선행특허와 유사한 형태의 임플란트에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한 것인데, 도3의 선행특허에 비해 나사구멍의 깊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7(b)는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임플란트의 시술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보철물결합부(13)가 도7(a)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나사구멍(16)도 중간부(잇몸접촉부)까지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7(b)의 경우에는 치아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큰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형태가 된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두 도면의 경우, 그 형상에 일부 차이가 있으나, 두 가지 모두 보철물(3)이 보철물결합부(13) 및 어버트먼트(20)에 함께 부착되도록 되어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시술의 편리성과 시술 후의 견고성 및 위생상의 잇점 등의 효과들을 모두 기대할 수 있는 임플란트의 예가 된다.
또한, 도7에는 보철마진(18)이 잇몸선과 일치되는 평탄한 형태의 경우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도 임플란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도5(b) 또는 도8(c)와 같이 경사진 형태의 보철마진(18)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보철마진(18)은 잇몸선의 위치와 일치하거나 잇몸선의 하방에 위치하여야 픽스츄어의 잇몸접촉부(12)가 잇몸 밖으로 노출되지 않아 심미적이고, 보철물 하방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는다. 보철마진(18)이 잇몸선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픽스츄어의 잇몸접촉부(12)가 잇몸 밖으로 노출되어 잇몸접촉부(12)의 금속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심미적으로 좋지 않고, 또한, 보철마진(18) 하방의 잇몸접촉부(12) 아래에 undercut(처마밑 공간)이 생기고, 그로인해 보철물 장착 후 잇몸과 보철물 사이에 black triangle(삼각공간)이 생겨서 심미적이지 않고, 그 공간에 음식물이 끼는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도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여러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도11(a)와 같이 수직원통형 보철물결합부(13)와 테이퍼진 어버트먼트(20)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11(b)와 같이 보철물결합부(13)와 어버트먼트(20) 모두가 수직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11(c) 및 (d)와 같이 보철물결합부(13)와 어버트먼트(20)가 모두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11에는 잇몸접촉부(12)가 테이퍼진 형태만 도시되어 있으나, 잇몸접촉부(12)는 도7(a)와 같이 상측 일부가 수직원통형이고 하측 일부는 테이퍼진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보철마진(18)의 경우에도 도11(c)와 같이 잇몸선과 일치한 평탄한 형태로 시술하거나, 도11(d)에서와 같이 경사진 형태로 시술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구강 중 아래턱(하악)의 잇몸 및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기술된 것이며, 시술대상 치조골이 구강의 윗턱(상악)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위 설명내용과 방향이 바뀐 것을 감안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던 임플란트의 경우에는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의 연결부위 즉 연결틈이 보철물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가 아니어서 외부의 이물질이나 세균이 침투할 수 있는 구조였고, 따라서 임플란트 보철의 청결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과 본 출원인의 선행특허는 연결부의 틈을 보철물(3)이 장착되는 내부에 위치시켜 외부의 이물질 및 세균의 침투를 원천봉쇄하여 구강에서의 염증유발 및 구취발생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픽스츄어의 보철물결합부(13)와 어버트먼트(20)의 연결부위가 잇몸 상부에 위치하여 선행특허에서와 같이 보철물에 전달된 교합력이 픽스츄어의 보철물결합부로 상당부분 분산됨으로써 상부에 연결된 어버트먼트와 스크류(고정나사)로 전달되는 교합력이 전통적 임플란트 방식에 비해 월등히 적게 되어, 스크류(고정나사)의 풀림이나 나사파절 및 어버트먼트 파절의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즉, 보철물(3; 크라운)에 인가되는 측방 외력이 어버트먼트(20)와 픽스츄어(10)로 고루 분산됨으로써 어버트먼트의 흔들림이 감소되며, 픽스츄어나 어버트먼트의 요입홈 또는 사면에 보철물 형성물질을 충진할 경우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 상호간에 서로 잠금상태가 되어 보철물에 측방력이 인가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보철물과 어버트먼트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로인해 스크류(30)의 풀림현상이 감소되어 보철물의 안정성이 증가된다.
본 발명을 이용한 통상의 시술에는 다각형돌출부(15)에 마운트를 연결하여 마운트를 회전시켜서 치조골에 픽스츄어(10)를 식립할 수 있으며, 픽스츄어의 체결저항이 특히 큰 환자의 경우에는 보철물결합부(13)에 사면(13-1) 또는 요입홈(13-2)을 형성한 후 렌치드라이버를 걸어서 픽기스츄어를 회전시켜서 픽스츄어나 렌치드라이버의 파손 없이 픽스츄어를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된 구조를 이용할 경우, 위에서 살펴본 장점에 더하여 선행특허와 구별되는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추가로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시술할 경우, 잇몸 밖으로 돌출되어 확실하게 시야가 확보되어 있는 다각형돌출부(15)를 이용하여 픽스츄어(10)를 치조골에 삽입할 수 있어서, 전통적 시술방법은 물론, 선행특허에 비해서도 임플란트 시술의 효율성 및 편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8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어버트먼트(20)와 픽스츄어(10)를 연결하기 위해 보철물결합부(13)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수단을 다각형삽입부가 아닌 다각형돌출부(15)로 형성함으로써, 어버트먼트(20)를 고정하는 스크류(30; 고정나사)를 위한 나사구멍(16)을 종래기술은 물론 및 선행특허에 비해서도 상당히 위쪽에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그로인해 상측부(10c)와 중간부(10b)까지만 나사구멍(16)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환자의 치조골 상태에 따라 나사구멍(16)의 깊이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나사구멍(16)의 형성위치가 치근몸체(11) 부분까지 이르지 않더라도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 사이에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픽스츄어 치근몸체(11)의 직경을 작게 설계할 수 있으며, 그로인해 치조골(1)과 결합되는 나사부(11-1; 쓰레드)를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나사부(11-1)의 나사산(쓰레드)을 종래기술에 비해 더 높게 또는 깊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치근몸체(11) 내부의 빈공간을 제거하여 치근몸체(11)의 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켰고, 그 결과, 종래기술에 비해 보다 작은 직경의 치근몸체(11)를 가지고도 종래기술 이상의 결합력을 갖는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있어서 좁은 폭경의 치조골을 갖는 환자에게도 안정되고, 견고한 임플란트 시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은 위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그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수정 또는 변형 사항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치조골, 2 : 잇몸, 3 : 보철물(크라운),
10 : 픽스츄어, 10a : 하측부, 10b : 중간부, 10c : 상측부,
11 : 치근몸체, 11-1 : 나사부, 12 : 잇몸접촉부, 13 : 보철물결합부,
13-1 : 사면, 13-2 : 요입홈, 13-3 : 경사면, 14 : 상부면,
15 : 다각형돌출부, 16 : 나사구멍, 17 : 나사, 18 : 보철마진,
20 : 어버트먼트, 21 : 다각형삽입부, 22 : 원형구멍, 23 : 걸림턱,
24 : 원형상부홈, 25 : 하부면, 26 : 외주면,
26-1 : 사면, 26-2 : 요입홈
30 : 스크류(고정나사), 31 : 헤드, 32 : 나사, 100 : 임플란트

Claims (13)

  1.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픽스츄어(10)는 하측부(10a)와, 중간부(10b)와, 상측부(10c)로 구성되며,
    하측부(10a)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치근몸체(11)와 나사부(11-1)를 포함하며,
    중간부(10b)는 잇몸과 접촉되는 잇몸접촉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측부(10c)는 보철물결합부(13), 상부면(14) 및 다각형돌출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철물결합부(13)는 일부 또는 전부가 잇몸 밖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다각형돌출부(15)는 상기 픽스츄어(10)의 상기 상부면(14) 위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다각형돌출부(15)와 상기 보철물결합부(13)의 중심부에는 어버트먼트(20)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구멍(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구멍(16)은 상기 다각형돌출부(15)와 상기 보철물결합부(13)의 중심부 및 상기 잇몸접촉부(12)의 중심부 일부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구멍(16)은 상기 상측부(10c)와 상기 잇몸접촉부(12)의 중심부를 지나 상기 잇몸접촉부(12)에 인접한 상기 치근몸체(11)의 일부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돌출부(15)는 4각형, 5각형, 6각형, 8각형 또는 그와 유사하거나 이들이 변형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10)에 결합되는 상기 어버트먼트(20)는 다각형삽입부(21), 원형구멍(22), 원형상부홈(24) 및 하부면(2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각형돌출부(15)가 상기 다각형삽입부(21)에 삽입되어 픽스츄어(10)와 어버트먼트(20)가 결합되도록 상기 다각형돌출부(15)와 상기 다각형삽입부(21)가 동일 형태의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면(25)은 상기 상부면(14)과 맞물려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20)의 외주면(26)과 상기 보철물결합부(13) 중 하나 이상에는, 사면 또는 요입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20)에 형성되는 외주면(26)은 테이퍼형 또는 수직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10)와 상기 어버트먼트(20)를 결합하는 스크류(30)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는 헤드(31)와 나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31)의 상부면에는 일자형, 십자형, 다이아몬드형의 다각형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의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접촉부(12)는 보철마진(18)의 끝단과 치근몸체(11)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평면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접촉부(12)는 상측 일부가 수직원통형이고 하측 일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결합부(13)는 1 mm 이상 3 mm 미만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결합부(13)는 그 외측면이 테이퍼진 원통형 또는 수직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수직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보철물결합부(13)에는 상기 외측면과 상기 상부면(14)을 연결하는 경사면(13-3)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상부면(14)과 상기 외측면이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180045832A 2018-04-19 2018-04-19 치과용 임플란트 KR20190122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832A KR20190122285A (ko) 2018-04-19 2018-04-19 치과용 임플란트
US16/388,108 US20190321142A1 (en) 2018-04-19 2019-04-18 Dental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832A KR20190122285A (ko) 2018-04-19 2018-04-19 치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285A true KR20190122285A (ko) 2019-10-30

Family

ID=6823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832A KR20190122285A (ko) 2018-04-19 2018-04-19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321142A1 (ko)
KR (1) KR201901222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820B1 (ko) * 2023-03-29 2023-08-22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003024B4 (de) 2021-06-12 2024-10-17 Champions Dental International GmbH Einteiliges Zahnimplanta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464A (ko) 2009-04-28 2010-1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997553B1 (ko) 2010-05-14 2010-11-30 김노국 일체형 임플란트
KR101087921B1 (ko) 2009-06-23 2011-11-28 김종필 치과용 임플란트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2110A1 (en) * 1996-07-12 1998-01-22 Callan Donald P Dental prosthesis
US6012923A (en) * 1998-07-30 2000-01-11 Sulzer Calcitek Inc. Two-piece dental abutment with removable cuff
DE19961813C2 (de) * 1999-12-21 2002-01-24 Peter Hofmann Bausatz für einen Kunstzahn und Implantat
US8277218B2 (en) * 2005-10-20 2012-10-02 D Alise David D Screw-type dental implant
US20070254265A1 (en) * 2006-04-28 2007-11-01 Perioseal, Inc. Dental implant
EP1982672A1 (en) * 2007-04-18 2008-10-22 Micerium SPA Dental implant device
FR2922752B1 (fr) * 2007-10-31 2010-11-19 Tekka Implant dentaire a connecteur tronconique male.
US9629696B2 (en) * 2013-06-07 2017-04-25 Paul Ouellette Hybrid temporary anchorage device impla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EP3520730A1 (de) * 2018-02-02 2019-08-07 VITA-ZAHNFABRIK H. Rauter GmbH & Co. KG Halteeinrichtung für zahnersatzelemen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464A (ko) 2009-04-28 2010-11-05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087921B1 (ko) 2009-06-23 2011-11-28 김종필 치과용 임플란트
KR100997553B1 (ko) 2010-05-14 2010-11-30 김노국 일체형 임플란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820B1 (ko) * 2023-03-29 2023-08-22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21142A1 (en)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353B1 (ko) 치아 임플란트
CA1304968C (en) Submergible screw-type dental implant
JP4747240B2 (ja) 骨に使用するための固定要素
US5195891A (en) Adjustable dental implant system
EP0967931B1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for posterior and anterior teeth
RU2612487C2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JP5017285B2 (ja) セラミック/金属製の歯科用アバットメント
US6273720B1 (en) Dental implant system
CA2123666C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various shaped healing cap assembly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KR101173758B1 (ko)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KR200386621Y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20030068599A1 (en) Esthetic profile endosseous root-formed dental implant
JP2015527114A (ja) アバットメントシステム及び歯科方法
JPH02193660A (ja) 首状部なしブレードインプラント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172838B1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KR20190122285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0392276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08792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JP6432911B2 (ja) 1つまたは複数の外側環状体を備えたマウントエレメントを有する単一部分または複数部分から成る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US20110275030A1 (en) Dental implant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KR101059741B1 (ko) 미니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39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25

Effective date: 2020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