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741B1 - 미니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미니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741B1
KR101059741B1 KR1020110041660A KR20110041660A KR101059741B1 KR 101059741 B1 KR101059741 B1 KR 101059741B1 KR 1020110041660 A KR1020110041660 A KR 1020110041660A KR 20110041660 A KR20110041660 A KR 20110041660A KR 101059741 B1 KR101059741 B1 KR 101059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butment
fixing screw
screw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디 덴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디 덴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디 덴탈
Priority to KR1020110041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2008/0084Provisional implants or abu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1차로 락킹 테이퍼면에 의하여 락킹된 상태에서 2차로 고정나사에 의하여 다시 고정됨으로써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간의 확실한 결합력을 보장하면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어버트먼트를 픽스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는 형태의 미니 임플란트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미니 임플란트{Mini Implant}
본 발명은 미니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1차로 락킹 테이퍼에 의하여 고정되며, 락킹 테이퍼에 의한 고정을 보완하기 위하여 2차로 고정나사에 의하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결합되는 미니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적으로 만든 치근 즉, 치아뿌리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뼈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영구 임플란트는 대부분 치조골에 식립 후 2개월 내지 4개월 가량의 골유착(osseointegration)을 위한 치료 기간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영구 임플란트는 시술 후 치조골에 고정되는 고정력 등을 고려하여 보통 직경이 3.75mm 내지 4mm로 이루어지는 데, 이에 따라 영구 임플란트를 식립 후 곧 바로 인공치관을 보철하지 못하고 식립부위의 치조골이 아물면서 영구 임플란트의 표면에 골 유착이 완료되는 소정의 치료(healing)기간을 거친 후 보철을 하는 것이 거의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치료기간 동안 환자는 무치아 상태로 지내게 되는데 환자의 입장에서는 기능적인 문제, 심미적인 문제 그리고 발음상의 문제로 상당히 고통스러운 기간이 될 수 밖에 없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영구 임플란트 식립 후 영구 임플란트의 표면에 골 유착이 완료되는 소정의 치료기간 동안에도 임시보철물을 통해 환자가 고형의 음식물을 편하게 씹을 수 있도록, 자연치를 뽑아낸 후 식립된 복수의 서로 인접한 영구 임플란트 사이에 소정의 지름을 갖는 미니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그 외부에 임시보철물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미니 임플란트는 직경이 3.0mm 이하의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작은 직경으로 인하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시멘트(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를 시멘트(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시키기 때문에 시술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결합방법이 불편하고 복잡하며, 미니 임플란트의 제거 또한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 일체형 제품이 제안되었으나, 일체형을 이용할 경우, 두부의 형상에 따라 각각의 어버트먼트를 갖는 미니 임플란트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정형 보철물과 가철성 보철물을 호환성 있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417669호의 "임시 임플란트의 결합구조"에서는 임시 임플란트(픽스쳐)(100)의 두부를 테이퍼지게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진 두부가 억지끼움되도록 어버트먼트(200)에 끼움홈(201)을 형성하여 상기 임시 임플란트(100)와 어버트먼트(200)가 마찰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임시 임플란트의 구조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프릭션 락(friction lock) 공법을 사용하나, 프릭션 락을 위한 끼움부(12)가 포스트부(13)의 하부에 위치되는 관계로, 프릭션 락을 위한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어버트먼트(B)에 형성되는 끼움홈(20)이 매우 긴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간의 충분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어버트먼트의 길이가 길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국내 등록특허 제10-0938991호 "미니 임플란트"에서는 픽스쳐의 중간부에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테이퍼부의 상부에 나사골이 형성된 포스트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아울러 어버트먼트는 1차로 나사골에 나사 결합되며, 아울러 2차로 테이퍼부에 억지끼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 나사 결합이 된 상태에서 테이퍼부에서 억지끼움이 발생한다면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간의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는 있지만, 어버트먼트를 픽스쳐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나사 결합이 된 상태에서 다시 억지끼움이 발생한다면,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는 테이퍼부의 분리하려고 할 경우 나사 결합으로 인하여 분리할 수 없게 되며, 역으로 나사 결합된 부분을 분리하려고 할 경우 테이퍼부로 인하여 분리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임플란트의 시술이나 유지 관리 등을 위하여 어버트먼트를 분리하려고 할 경우 어버트먼트를 분리할 방법이 없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간의 확실한 결합력을 보장하면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어버트먼트를 픽스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는 형태의 미니 임플란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미니 임플란트에 있어서 : 상기 픽스쳐의 하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식립부를 이루며 ; 상기 픽스쳐의 상부는, 외주에 상부로 연장되면서 내부를 향하여 테이퍼진 제1락킹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한편 내주에 상부가 개방된 고정나사용 암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부를 이루며 ;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부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면서, 고정나사 헤드 안착공과, 상기 고정나사 헤드 안착공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진 고정나사 몸체 관통공과, 주면에 상기 제1락킹 테이퍼면과 락킹되는 제2락킹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결합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 상부에 상기 고정나사 헤드 안착공에 안착되는 헤드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고정나사용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한 몸체가 형성되는 고정나사가 마련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락킹 테이퍼면의 상하 길이는 상기 고정나사용 암나사부의 상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의 중간부에 공구가 결합되어 조작하기 위한 픽스쳐 조작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1차로 락킹 테이퍼면에 의하여 락킹된 상태에서 2차로 고정나사에 의하여 다시 고정됨으로써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간의 확실한 결합력을 보장하면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어버트먼트를 픽스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는 형태의 미니 임플란트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미니 임플란트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미니 임플란트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상태의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미니 임플란트의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는 앵글 타입이 적용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인 미니 임플란트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크게 픽스쳐(100), 어버트먼트(200), 고정나사(300)로 이루어진다.
픽스쳐(100)는 하부에서 상부로 식립부(110), 픽스쳐 조작부(120), 결합부(13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식립부(110)는 픽스쳐(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픽스쳐 조작부(120)는 픽스쳐(100)의 중간부에 형성되며 공구가 결합되어 픽스쳐(100)을 조작(특히 회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픽스쳐 조작부(120)는 다수의 수직면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결합부(130)는 픽스쳐(100)의 상부에 형성된다.
결합부(130)는 제1락킹 테이퍼면(131)과 고정나사용 암나사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락킹 테이퍼면(131)은 외주에 형성되며 상부로 연장되면서 내부를 향하여 테이퍼진 형태이다. 제1락킹 테이퍼면(131)은 후술하는 제2락킹 테이퍼면(231)과 테이퍼 락킹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락킹 테이퍼면(131)은 중심선에 대하여 1.5°경사진 형태이며, 아울러 제1락킹 테이퍼면(131)은 반원추 형태의 주면에 해당한다.
결합부(130)에 형성된 고정나사용 암나사부(132)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태이다.
어버트먼트(200)는 앵글(angle) 타입으로 그 내부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면서 고정나사 헤드 안착공(210), 고정나사 몸체 관통공(220), 결합공(23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200)는 상악 전치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고정나사 헤드 안착공(210)은 후술하는 고정나사(300)의 헤드(310)가 안착되는 부위이다.
고정나사 몸체 관통공(220)은 고정나사(300)의 몸체(320)가 관통하는 부위로서, 아울러 고정나사 헤드 안착공(210)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일단 고정나사(300)가 고정되면 어버트먼트(200)는 고정나사(300)의 헤드(310)에 의하여 그 이탈이 방지된다.
결합공(230)의 주면에는 제1락킹 테이퍼면(131)과 락킹되는 제2락킹 테이퍼면(23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락킹 테이퍼면(231)은 제1락킹 테이퍼면(131)과 동일한 기울기로 테이퍼진 형태이며,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면서 외부를 향하여 테이퍼진 형태이다.
고정나사(300)는 상부에 형성되는 헤드(310)와 헤드(3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몸체(320)로 이루어진다.
헤드(310)의 상면에는 홈 형태의 나사 조작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320)에는 고정나사용 암나사부(132)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321)가 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픽스쳐(100)의 식립부(110)를 시술자의 악골에 식립시키면 이에 의하여 결합부(130)가 잇몸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후 어버트먼트(200)의 제2락킹 테이퍼면(231)이 결합부(130)의 제1락킹 테이퍼면(131)에 마찰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락킹시킨다.
이와 같은 락킹은, 프릭션 락(friction lock), 테이퍼 락킹(taper locking)이라고 불리우며, 양 부재의 마찰력에 의하여 결합되며 아울러 임플란트에서는 픽스쳐(100)와 어버트먼트(200)간의 콜드 웰딩(cold welding)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에 의하여 어버트먼트(200)와 픽스쳐(100)의 1차 결합이 완료된다.
이후 어버트먼트(200)의 확실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하여 고정나사(300)를 어버트먼트(200)의 상부에서 결합부(130)의 고정나사용 암나사부(132)에 나사결합시킨다.
이에 의하여 고정나사(300)의 헤드(310)는 고정나사 헤드 안착공(210)에 위치되며, 아울러 고정나사(300)의 수나사부(321)는 고정나사용 암나사부(132)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픽스쳐(100)에 나사 결합된 고정나사(300)는 그 헤드(310)에 의하여 어버트먼트(200)를 견고히 지지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어버트먼트(200)가 픽스쳐(100)에 1차로 테이퍼 락킹된 상태에서 수나사부(321)와 고정나사용 암나사부(132)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어버트먼트(200)가 픽스쳐(100)에 2차로 견고히 결합된다.
이와 같은 어버트먼트(200)와 픽스쳐(100)의 결합은 주로 테이퍼 락킹에 의하여 그 결합이 유지되며, 나사 결합은 테이퍼 락킹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테이퍼 락킹을 위한 보다 많은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를 위하여 제1락킹 테이퍼면(131)의 상하 길이는 고정나사용 암나사부(132)의 상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어버트먼트(200)가 픽스쳐(100)에 결합된 후 어버트먼트(200)를 분리할 필요가 있을 경우 고정나사(300)를 제거한 후 어버트먼트(200)를 픽스쳐(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는 스트레이트 타입이 적용되었다.
스트레이트 타입의 어버트먼트는 하악전치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인 미니 임플란트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조립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분해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어버트먼트(200)가 스트레이트 타입이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본 미니 임플란트는 기본적으로 임시용 임플란트로 이용될 수 있지만, 영구형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없는 환자의 경우에는 본 미니 임플란트의 매우 강한 결합력으로 인하여 영구형 임플란트 대신에 식립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픽스쳐 110 : 식립부
120 : 픽스쳐 조작부 130 : 결합부
131 : 제1락킹 테이퍼면 132 : 고정나사용 암나사부
200 : 어버트먼트 210 : 고정나사 헤드 안착공
220 : 고정나사 몸체 관통공 230 : 결합공
231 : 제2락킹 테이퍼면
300 : 고정나사 310 : 헤드
311 : 나사 조작부 320 : 몸체
321 : 수나사부

Claims (3)

  1.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미니 임플란트에 있어서 :
    상기 픽스쳐의 하부는 나사산이 형성된 식립부를 이루며 ;
    상기 픽스쳐의 상부는, 외주에 상부로 연장되면서 내부를 향하여 테이퍼진 제1락킹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한편 내주에 상부가 개방된 고정나사용 암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부를 이루며 ;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부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면서, 고정나사 헤드 안착공과, 상기 고정나사 헤드 안착공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진 고정나사 몸체 관통공과, 주면에 상기 제1락킹 테이퍼면과 락킹되는 제2락킹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결합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
    상부에 상기 고정나사 헤드 안착공에 안착되는 헤드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고정나사용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한 몸체가 형성되는 고정나사가 마련되며 ;
    상기 픽스쳐의 중간부에 공구가 결합되어 조작되기 위한 픽스쳐 조작부가 형성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임플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킹 테이퍼면의 상하 길이는 상기 고정나사용 암나사부의 상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임플란트.
  3. 삭제
KR1020110041660A 2011-05-02 2011-05-02 미니 임플란트 KR101059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660A KR101059741B1 (ko) 2011-05-02 2011-05-02 미니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660A KR101059741B1 (ko) 2011-05-02 2011-05-02 미니 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741B1 true KR101059741B1 (ko) 2011-08-26

Family

ID=4493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660A KR101059741B1 (ko) 2011-05-02 2011-05-02 미니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7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363A1 (ko) * 2017-03-30 2018-10-04 이광훈 임플란트 시스템
KR101997044B1 (ko) * 2018-11-21 2019-07-05 주식회사 원더풀필 일체형 임플란트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241Y1 (ko) 2005-05-20 2005-08-19 주식회사 메가젠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US20060216672A1 (en) 2003-04-17 2006-09-28 Wolfgang Dinkelacker Jaw impla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6672A1 (en) 2003-04-17 2006-09-28 Wolfgang Dinkelacker Jaw implant
KR200392241Y1 (ko) 2005-05-20 2005-08-19 주식회사 메가젠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363A1 (ko) * 2017-03-30 2018-10-04 이광훈 임플란트 시스템
KR101997044B1 (ko) * 2018-11-21 2019-07-05 주식회사 원더풀필 일체형 임플란트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7240B2 (ja) 骨に使用するための固定要素
KR100938991B1 (ko) 미니 임플란트.
JP4740139B2 (ja) 容易に挿入可能な骨圧縮インプラント
KR100841218B1 (ko) 임플란트 장치
CA2123666C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various shaped healing cap assembly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KR10079936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
US20080227057A1 (en) Narrow Dental Implant and Associated Parts
US20150044635A1 (en) Abutment capable of accommodating core crowns manufactured at various angles and functioning as a healing abutment having a cap attached thereto,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implant prostheses using the abutment, and method for implant surgery using the abutment
JP2009527339A (ja) セラミック/金属製の歯科用アバットメント
KR101140620B1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KR20120053162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56270Y1 (ko)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KR100842318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KR10130741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KR20090016560A (ko) 성장기 개인에서 단일 치아 대치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059741B1 (ko) 미니 임플란트
US20160302892A1 (en) Supraosseous dental implant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KR20190087244A (ko) 볼트형 임플란트
KR20140118136A (ko) 치과 임플란트용 티타늄금속계 다용도 지대주
KR200392276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