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162A -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162A
KR20120053162A KR1020100114278A KR20100114278A KR20120053162A KR 20120053162 A KR20120053162 A KR 20120053162A KR 1020100114278 A KR1020100114278 A KR 1020100114278A KR 20100114278 A KR20100114278 A KR 20100114278A KR 20120053162 A KR20120053162 A KR 20120053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rown
abutment
housing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121B1 (ko
Inventor
김만용
Original Assignee
김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용 filed Critical 김만용
Priority to KR102010011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121B1/ko
Priority to US13/288,227 priority patent/US20120122056A1/en
Publication of KR2012005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1Magnetic dental implant retention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세라믹 재료 중 가장 강도가 높고 심미성이 뛰어난 지르코니아(zirconia) 재질의 크라운(crown)을 어버트먼트(abutment)에 고정 결합함에 있어,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에 각각 제1,2결합홀을 동심상에 형성하고 상기 제1,2결합홀에 결합핀을 삽입하여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상호 연결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상기 지르코니아 재질의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고정시킬수 있으며, 고정한 후에는 상기 크라운의 유격이나 이탈을 방지하고, 아울러 상기 크라운을 파손하지 않고도 상기 결합핀만 분리하면 크라운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크라운의 제1결합홀내에 하우징을 설치하여 상기 결합핀과 나사결합하거나 또는 자력으로 결합핀을 고정하여 결합핀의 이탈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세라믹 재료 중 가장 강도가 높고 심미성이 뛰어난 지르코니아(zirconia) 재질의 크라운(crown)을 어버트먼트(abutment)에 고정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에 각각 제1,2결합홀을 동심상에 형성하고 상기 제1,2결합홀에 결합핀을 삽입하여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상호 연결 결합하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픽스츄어)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크라운)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치조골에 드릴링(drilling) 및 탭핑(tapping) 과정을 거쳐 픽스츄어(Fixture)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픽스츄어 상부에 마운트(Mount)를 체결한다. 그리고 나서 수술용 핸드 피스를 이용하여 픽스츄어와 마운트를 치조골에 매식한 다음 마운트를 픽스츄어에서 제거함으로써,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매식하게 된다. 그리고 픽스츄어의 상부에 덮개 나사를 체결하여 픽스츄어를 봉합함으로써 1차 수술이 완료된다.
덮개 나사는 픽스츄어의 골융합을 기다리는 동안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및 이물질이 픽스츄어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골융합 기간은 환자의 골질과 매식 위치에 따라 다소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3개월 내지 6개월이 소요된다.
이어서, 2차 수술을 통해 잇몸을 열어 덮개 나사를 노출시킨 후 픽스츄어의 골융합 정도를 확인하고 덮개 나사를 제거한다. 그리고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해 치유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를 픽스츄어의 상부에 체결하고, 2주 내지 3주 동안 기다린다. 근래에는 이러한 2차 시술법의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해, 덮개 나사를 체결 및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치유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1차 시술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확인한 후 치유 어버트먼트를 제거하고, 보철물 제작을 위해 인상 코핑(coping)을 픽스츄어 상부에 체결한다. 이어서 인상재를 사용하여 구강 내에서 예비 인상을 채득하고 인상 코핑을 제거한다.
그런 다음에,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인공치아(크라운)를 기공한 후 픽스츄어 상부에 어버트먼트를 체결하고, 어버트먼트 위에 인공치아를 고정시킴으로써 인공치아를 완성한다.
전술한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 있어서, 어버트먼트에 인공치아를 부착시키는 방법으로는 치과용 시멘트(Cement)를 이용하여 인공치아를 어버트먼트에 본딩(bonding) 결합시키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치과용 시멘트를 이용하여 인공치아를 어버트먼트에 본딩 결합시키는 치과 임플란트에 있어서는, 인공치아나 픽스츄어 또는 어버트먼트 등을 수리해야 하거나 또는 치료 등을 위해 인공치아를 분리해야 하는 경우, 인공치아를 파손해야만 분리가 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즉 어버트먼트로부터 인공치아를 원만하게 분리하고자 약한 접착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경우 갑자기 식사 도중에 인공치아가 이탈하여 환자를 당황하게 만들기도 하고 심하게는 음식과 함께 삼키는 사고도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라믹 재료 중 가장 강도가 높고 심미성이 뛰어난 지르코니아(zirconia) 재질의 크라운(crown)을 어버트먼트(abutment)에 고정 결합함에 있어,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에 각각 제1,2결합홀을 동심상에 형성하고 상기 제1,2결합홀에 결합핀을 삽입하여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상호 연결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상기 지르코니아 재질의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고정시킬수 있으며, 고정한 후에는 상기 크라운의 유격이나 이탈을 방지하고, 아울러 상기 크라운을 파손하지 않고도 상기 결합핀만 분리하면 크라운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크라운의 제1결합홀내에 하우징을 설치하여 상기 결합핀과 나사결합하거나 또는 자력으로 결합핀을 고정하여 결합핀의 이탈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치조골에 일정깊이 삽입 결합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픽스츄어(fixture)와,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내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결합홈이 형성된 크라운(crown)과, 일단부는 상기 크라운의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픽스츄어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크라운의 결합홈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제1결합홀과, 상기 어버트먼트의 외주면에 상기 제1결합홀과 동심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홀과, 상기 제1결합홀 및 제2결합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상호 연결 결합하는 결합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라믹 재료 중 가장 강도가 높고 심미성이 뛰어난 지르코니아(zirconia) 재질의 크라운(crown)을 어버트먼트(abutment)에 고정 결합함에 있어,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에 각각 제1,2결합홀을 동심상에 형성하고 상기 제1,2결합홀에 결합핀을 삽입하여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상호 연결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상기 지르코니아 재질의 크라운을 어버트먼트에 고정시킬수 있으며, 고정한 후에는 상기 크라운의 유격이나 이탈을 방지하고, 아울러 상기 크라운을 파손하지 않고도 상기 결합핀만 분리하면 크라운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라운의 제1결합홀내에 하우징을 설치하여 상기 결합핀과 나사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결합핀의 일단부에 자석을 설치하여 자력으로 결합핀을 고정함으로써, 결합핀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정밀가공이 어려운 지르코니아 재질 크라운의 제1결합홀내에 정밀가공된 상기 하우징을 삽입 결합하여 상기 결합핀의 외주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크라운과 결합핀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로인해 상기 결합핀을 통해 상호 연결 결합되는 상기 크라운과 어버트먼트간에도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임플란트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 지르코니아 재질의 크라운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크라운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결합수단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결합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결합수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결합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과용 임플란트(10)는, 픽스츄어(fixture)(20)와, 어버트먼트(abutment)(30)와, 스크류(screw)(40)와, 크라운(crown)(60)과, 결합수단(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픽스츄어(20)는, 잇몸(2)을 관통하여 치조골(1)에 일정깊이 삽입 결합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픽스츄어(20)의 외주면에는 나사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1)과 나사결합되며, 픽스츄어(20)의 상단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40)가 나사결합되도록 스크류체결구(2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픽스츄어(20)의 상단에는 다각형(육각형) 형태의 결합부(2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어버트먼트(30)와 결합시 어버트먼트(3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버트먼트(30)는, 상기 픽스츄어(20)와 크라운(60)을 연결 결합하는 것으로, 일단부는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에 삽입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픽스츄어(20)와 스크류(40)를 통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외주면 중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에 삽입 결합되는 부분은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데, 즉, 상부 직경이 하부 직경 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을 상기 어버트먼트(30)에 쉽게 끼울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30)의 하단면에는 상기 픽스츄어(2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다각형 형태의 결합부(23)가 삽입되도록 요입홈(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입홈(33)은 상기 픽스츄어(20)의 다각형 형태의 결합부(23)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어버트먼트(30)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40)가 삽입되도록 삽입공(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40)는 상기 어버트먼트(30)를 상기 픽스츄어(2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어버트먼트(30)내의 삽입공(31)에 삽입되는 머리부(41)와, 상기 머리부(41)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어버트먼트(30)의 하단을 관통함과 아울러 상기 픽스츄어(20)의 스크류체결구(2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42)로 구성된다.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삽입공(31) 하단에는 상기 스크류(40)의 머리부(41)가 걸리도록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별도의 작업공구를 통해 상기 스크류(4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40)의 머리부(41)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슬리브홈(43)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슬리브홈(43)은 상기 머리부(41)의 외주면에 180도 방향으로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4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크류(40)의 슬리브홈(43)과 대응하는 위치에 록킹홈(3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40)의 슬리브홈(43)과 상기 어버트먼트(30)의 록킹홈(34)은 연통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40)의 슬리브홈(43)과 상기 어버트먼트(30)의 록킹홈(34) 위치가 일치되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홈(43)과 록킹홈(34)내에는 록킹슬리브(50)를 삽입하거나 또는 상기 슬리브홈(43)과 록킹홈(34)내에 치과용 시멘트(미도시)를 주입하여 채움으로써, 상기 스크류(4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라운(60)은,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30)를 향한측이 개방된 결합홈(6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61)은 상기 어버트먼트(30)의 테이퍼진 상단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크라운(60)은 세라믹 재료 중 가장 강도가 높고 심미성이 뛰어난 지르코니아(zirconia)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르코니아 재질은 열처리 후 금속에 버금가는 강도를 가지게 되지만, 열처리 후 가공이 어렵고, 열처리 전에는 가공은 쉬우나 열처리시 20~30% 수축 현상이 있어 정밀 가공이 어려워 치과용 크라운(60) 제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 지르코니아 재질의 크라운(60)을 상기 어버트먼트(30)에 간단한 방법으로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100)을 개발하였다.
상기 결합수단(100)은,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제1결합홀(101)과,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외주면에 상기 제1결합홀(101)과 동심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홀(102)과, 상기 제1결합홀(101) 및 제2결합홀(10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크라운(60)과 어버트먼트(30)를 상호 연결 결합하는 결합핀(1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크라운(60)에 형성되는 제1결합홀(101)은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의 일측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며, 즉, 상기 스크류(40)의 축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홀(101)은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 내주면에서 크라운(60)의 외측면까지 완전히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어버트먼트(30)에 형성되는 제2결합홀(102)은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삽입공(31) 내주면에서 어버트먼트(30)의 외주면까지 완전히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을 상기 어버트먼트(30)에 상단에 끼워 조립하게 되면,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과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2결합홀(102)이 일치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1결합홀(101)과 제2결합홀(102)의 내측으로 단일의 결합핀(110)을 삽입하여 상기 크라운(60)과 어버트먼트(30)를 상호 연결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에는, 상기 결합핀(11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하우징(12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핀(110)이 관통하도록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지르코니아 재질의 크라운(6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밀가공이 어려우므로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내에 정밀가공된 상기 하우징(120)을 삽입 결합하여 상기 결합핀(110)의 외주면을 지지하게 되면, 상기 크라운(60)과 결합핀(110)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으며, 결국 상기 결합핀(110)을 통해 상호 연결 결합되는 상기 크라운(60)과 어버트먼트(30)간에도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임플란트(10)의 내구성을 향상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에 치과용 시멘트를 통해 영구 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핀(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아래의 두가지 실시예가 있다.
제1실시예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결합핀(110)을 상기 하우징(120)의 관통공(121) 내주면에 나사결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핀(110)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120)의 관통공(121)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부(111)(121a)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핀(110)에는 외주면 전체에 나사부(111)가 형성되지만, 상기 하우징(120)의 관통공(121) 내주면에는 일부구간에만 나사부(121a)가 형성된다. 물론 하우징(120)의 관통공(121) 내주면 전체에 나사부(121a)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르코니아 재질의 크라운(60)에는 나사선 가공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결합핀(110)을 나사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에 상기 나사부(121a)가 가공된 하우징(120)을 삽입해야 한다.
제2실시예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결합핀(110)의 일단부에, 상기 어버트먼트(30)측 또는 상기 어버트먼트(30)내에 삽입 설치된 스크류(40)측에 자력으로 고정되도록 자석(115)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결합핀(110)의 일단부에 자석(115)이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결합핀(110)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120)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결합핀(110)을 상기 크라운(60)측의 하우징(120) 및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2결합홀(102)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하게 되면, 상기 결합핀(110)의 일단부에 결합된 자석(115)이 상기 어버트먼트(30)내에 위치한 스크류(40)측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고정되므로 결합핀(110)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결합핀(110)의 일단부에 결합된 자석(115)이 상기 스크류(40)가 아닌 어버트먼트(30)측에 자력으로 고정되도록 할 경우에는 상기 어버트먼트(30)의 형성된 제2결합홀(102)을 완전히 관통시키지 말고 일정깊이로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핀(110)을 상기 하우징(120)에 나사결합하는 제1실시예에서도, 상기 결합핀(110)의 일단부에 자석(115)을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핀(110)의 이탈방지를 위해 나사결합과 자석(115)을 동시에 이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결합핀(110)은 상기 하우징(120)에 나사결합되고 결합핀(110)의 일단부에 결합된 자석(115)은 상기 어버트먼트(30)내에 위치한 스크류(40)측에 자력으로 고정되므로, 결합핀(110)의 풀림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에 결합된 하우징(120)이 크라운(60)의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제1결합홀(101)과 하우징(120)의 결합면에는 각각 단차부(101a)(1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차부(101a)(122)를 기준으로 크라운(60) 내측방향에 위치한 제1결합홀(101) 및 하우징(120) 부분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20)을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 내측에서 상기 제1결합홀(101)에 삽입하게 되며, 삽입한 후에는 크라운(60)의 외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내에서 상기 하우징(1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홀(101)과 하우징(120)의 결합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101b)(123)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하우징(120)의 외주면에 180도 방향으로 2개의 평면부(123)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하우징(120)에 형성된 평면부(123)와 대응하는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 내주면에도 2개의 평면부(101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크라운(60)과 어버트먼트(30)는 상기 결합수단(100)을 통해 상호 연결 고정되므로 상기 크라운(60)과 어버트먼트(30)의 사이를 치과용 시멘트로 접착하지 않아도 상기 크라운(60)이 어버트먼트(3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크라운(60)을 어버트먼트(30)에 고정하는데 있어서, 치과용 시멘트와 상기 결합수단(100)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치과용 시멘트의 접착력이 약하더라도 상기 결합수단(100)에 의해 크라운(60)이 이탈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처럼, 상기 치과용 시멘트와 결합수단(100)을 동시에 사용하여 상기 크라운(60)을 어버트먼트(30)에 고정한 경우에는, 환자가 임플란트(10)를 오랜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치과용 시멘트의 접착력이 해제될 경우에도 상기 결합수단(100)에 의해 크라운(60)이 이탈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부는 상기 결합수단(100)이므로, 상기 픽스츄어(20)와 어버트먼트(30) 및 스크류(40) 등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단지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임플란트(10)를 치조골(1)에 시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에 기재한 방법 뿐만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발명의 특징부인 상기 결합수단(100)을 이용하여 크라운(60)을 어버트먼트(30)에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지르코니아 재질로 크라운(6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홈(61) 및 제1결합홀(101)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에 상기 하우징(120)을 임시로 조립하고, 상기 어버트먼트(30)를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에 삽입한 상태에서 리밍 지그(미도시)에 고정한다.
이후,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외주면에 제2결합홀(102)을 가공할 드릴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데, 즉,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하우징(120))과 동심 위치에 드릴 위치를 결정하면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2결합홀(102)을 가공할 드릴의 위치결정이 완료되면, 상기 어버트먼트(30)로부터 크라운(60)을 제거한 후, 드릴로 상기 어버트먼트(30)에 제2결합홀(102)을 형성한다.
상기 어버트먼트(30)에 제2결합홀(102)을 형성한 후에는 다시 상기 크라운(60)을 어버트먼트(30)에 끼우고, 시험용 결합핀을 상기 크라운(60)의 하우징(120)과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2결합홀(102)에 삽입하여 제2결합홀(102)이 정위치에 가공되었는지 확인한다.
이후, 리밍 지그로부터 어버트먼트(30)와 크라운(60)을 모두 제거한 후,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에 상기 하우징(120)을 치과용 시멘트를 이용하여 영구 접착한다.
이후, 실제 사용할 결합핀(110)을 상기 크라운(60)의 하우징(120) 및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2결합홀(102)에 삽입하여 보고 적당길이로 조정한다.
상기의 방법을 통해 상기 크라운(60)을 상기 어버트먼트(30)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100)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후, 환자의 치조골(1)에 미리 심어져 있는 픽스츄어(20)에 상기 어버트먼트(30)를 스크류(40)를 통해 결합한 후, 상기 어버트먼트(30)에 상기 크라운(60)을 안착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결합핀(110)을 상기 크라운(60)의 하우징(120) 및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제2결합홀(102)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핀(110)을 상기 하우징(120)과 나사결합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자석(115)이 구비된 결합핀(110)을 상기 하우징(120) 및 제2결합홀(102)내에 슬라이딩 삽입하여 상기 자석(115)이 상기 스크류(40)측에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10: 임플란트 20: 픽스츄어
30: 어버트먼트 40: 스크류
50: 록킹슬리브 60: 크라운
61: 결합홈 100: 결합수단
101: 제1결합홀 101a,122: 단차부
101b,123: 평면부 102: 제2결합홀
110: 결합핀 111: 나사부
115: 자석
120: 하우징 121: 관통공
121a: 나사부

Claims (7)

  1. 치조골(1)에 일정깊이 삽입 결합되어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픽스츄어(fixture)(20)와,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내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결합홈(61)이 형성된 크라운(crown)(60)과, 일단부는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에 삽입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픽스츄어(20)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30)와, 상기 크라운(60)과 어버트먼트(3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100)은,
    상기 크라운(60)의 결합홈(61)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제1결합홀(101)과,
    상기 어버트먼트(30)의 외주면에 상기 제1결합홀(101)과 동심으로 형성되는 제2결합홀(102)과,
    상기 제1결합홀(101) 및 제2결합홀(10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크라운(60)과 어버트먼트(30)를 상호 연결 결합하는 결합핀(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에는, 상기 결합핀(11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하우징(120)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110)이 상기 하우징(120)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핀(110)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120)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부(111)(12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에 결합된 하우징(120)이 크라운(60)의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제1결합홀(101)과 하우징(120)의 결합면에는 각각 단차부(101a)(1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60)의 제1결합홀(101)내에서 상기 하우징(1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홀(101)과 하우징(120)의 결합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평면부(101b)(1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110)의 일단부에는, 결합핀(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어버트먼트(30)측 또는 상기 어버트먼트(30)를 픽스츄어(20)에 결합하도록 어버트먼트(30)내에 삽입 설치된 스크류(40)측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자석(11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60)은 지르코니아(zirconia)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100114278A 2010-11-17 2010-11-17 치과용 임플란트 KR101160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78A KR101160121B1 (ko) 2010-11-17 2010-11-17 치과용 임플란트
US13/288,227 US20120122056A1 (en) 2010-11-17 2011-11-03 Dental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278A KR101160121B1 (ko) 2010-11-17 2010-11-17 치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162A true KR20120053162A (ko) 2012-05-25
KR101160121B1 KR101160121B1 (ko) 2012-06-26

Family

ID=4604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278A KR101160121B1 (ko) 2010-11-17 2010-11-17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22056A1 (ko)
KR (1) KR10116012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1172A1 (ko) * 2012-09-27 2014-04-03 Kim Hyeong Wo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43772B1 (ko) * 2019-09-03 2019-11-12 장민재 임플란트 크라운
KR20210071682A (ko) * 2019-12-06 2021-06-16 신순철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2485569B1 (ko) * 2021-12-22 2023-01-06 윤장훈 결합이 용이한 임플란트
WO2023121038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덴티플 치아 임플란트
WO2023204599A1 (ko) * 2022-04-22 2023-10-26 주식회사 덴플렉스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411B1 (ko) 2012-04-06 2013-09-12 김만용 치과용 임플란트
DE102012014527A1 (de) * 2012-07-23 2014-01-23 Enrico Pasin Skelettale Verankerungsvorrichtung
KR101554422B1 (ko) 2014-04-25 2015-09-18 장완영 치과 보철물의 암나사 형성방법
DE102015118285A1 (de) * 2015-10-27 2017-04-27 Heraeus Kulzer Gmbh Scanabutment mit vergrößerter Scanfläche zur genaueren Höhenbestimmung der Implantatauflagefläche
CN106963505A (zh) * 2017-03-18 2017-07-21 杭州华粹义齿制作有限公司 一种种植体上部侧向螺丝固位修复体制作方法
CN110464495B (zh) * 2019-08-20 2024-03-19 胡波 植牙床模拟器、微型即刻组合植牙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198233B1 (ko) * 2019-12-16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PL435776A1 (pl) * 2020-10-26 2022-05-02 Sebastian Stępniewski Zestaw elementów protetycznych oraz sposób wytwarzania zestawu elementów protetycznych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3721A (en) * 1993-12-23 1999-02-23 Adt Advanced Dental Technologies, Ltd. Implant abutment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IL113726A (en) * 1994-06-03 1998-04-05 Straumann Inst Ag A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dentures and a method for its production
US5620323A (en) * 1994-08-22 1997-04-15 Bressman; Robert A. Dental restoration structure
EP1396237A1 (en) * 2002-09-05 2004-03-10 Elephant Dental B.V. Strengthened ceramic restoration
US20050053894A1 (en) 2003-09-05 2005-03-10 Wen-Yuen Wu Method of preventing inner crown of removable restoration tooth from becoming disengaged with natural or artificial abutment tooth and the structure of the inner crown
US7704271B2 (en) * 2005-12-19 2010-04-27 Abdou M Samy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vertebral orthopedic device placement
KR100662583B1 (ko) 2006-01-25 2006-12-28 장경삼 크라운 임시고정용 임플란트 유니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1172A1 (ko) * 2012-09-27 2014-04-03 Kim Hyeong Wo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43772B1 (ko) * 2019-09-03 2019-11-12 장민재 임플란트 크라운
KR20210071682A (ko) * 2019-12-06 2021-06-16 신순철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2485569B1 (ko) * 2021-12-22 2023-01-06 윤장훈 결합이 용이한 임플란트
WO2023121038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덴티플 치아 임플란트
WO2023204599A1 (ko) * 2022-04-22 2023-10-26 주식회사 덴플렉스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121B1 (ko) 2012-06-26
US20120122056A1 (en)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12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079936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
KR100537218B1 (ko)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JP5017285B2 (ja) セラミック/金属製の歯科用アバットメント
AU2015293884B2 (en) Provisional prostheti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08697492B (zh) 可拆卸的种植体结合假体
KR100677870B1 (ko)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US20080227057A1 (en) Narrow Dental Implant and Associated Parts
KR20030089602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KR100938991B1 (ko) 미니 임플란트.
KR10130741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140620B1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KR100842318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KR20100128433A (ko)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EP3357451A1 (en) Coupling assembly, particularly for dental implants
KR101965332B1 (ko) 투피스 힐링어버트먼트용 하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힐링어버트먼트
EP2436337B1 (en) Dental implants
KR101729247B1 (ko) 코핑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KR20100090006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1059741B1 (ko) 미니 임플란트
KR20210038168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60095260A (ko)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KR20028684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KR102426218B1 (ko) 인공치아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