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189Y1 -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189Y1
KR200392189Y1 KR20-2005-0013406U KR20050013406U KR200392189Y1 KR 200392189 Y1 KR200392189 Y1 KR 200392189Y1 KR 20050013406 U KR20050013406 U KR 20050013406U KR 200392189 Y1 KR200392189 Y1 KR 200392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butment
fixture
screw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김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필 filed Critical 김종필
Priority to KR20-2005-0013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1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1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치조골 속에 매식되는 픽스쳐와, 나사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픽스쳐와 연결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에 의해 구강 내에 고정되는 인공치관으로 구성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소정 형상의 홀폐쇄봉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공의 내주연에는 상기 홀폐쇄봉이 걸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환턱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 implant }
본 고안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홀폐쇄봉을 이용하여 어버트먼트의 내부를 폐쇄시키되, 상기 홀폐쇄봉과 픽스쳐의 나사가 이격되도록 하여 교합력이 나사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교합력이 홀폐쇄봉과 어버트먼트 및 픽스쳐를 통해 분산되도록 하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홀폐쇄봉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픽스쳐(Fixture)라는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뼈에 심은 뒤 인공치관(Crown)이라고 불리는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 시술이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A')는, 도 1a에 도시된 익스터널 타입(external type)과 도 1b에 도시된 인터널 타입(internal type)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상기 두가지 타입은 픽스쳐의 형상만 약간 다를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아래에서는 도 1a의 익스터널 타입을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자연치아의 치근과 같이 결손된 치아부위의 치조골(100') 속에 매식되어 인공치관(Crown)(130')을 지지하는 픽스쳐(Fixture)(110')와, 상기 픽스쳐(110')와 인공치관(130')을 연결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120')와, 상기 어버트먼트(120')를 픽스쳐(110')에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112')와, 상기 어버트먼트(120')에 의해 구강 내에 고정되어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재현하도록 되어 있는 인공치관(Crown)(1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픽스쳐(Fixture)(110')를 자연치아의 뿌리처럼 치조골(100')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골유착시키고, 골유착시킨 후 임플란트의 픽스쳐(Fixture)(110')에 어버트먼트(120')를 나사(112')로 연결시키고 그 위에 인공치관(Crown)(130)을 장착하면 임플란트(A')가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버트먼트(120')와 픽스쳐(110')의 결합관계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어버트먼트(120')의 중심에 체결공(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공(122')을 통해 나사(112')를 삽입하여 픽스쳐(110)와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어버트먼트(120')를 픽스쳐(110')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공치관(130')은 어버트먼트(120')의 외측에 씌워져 일체로 고정된다.
이후, 상기 어버트먼트(120')의 체결공(122') 내에 솜이나 실리콘 등의 충전재(140')를 넣고, 최상단의 개구부에 레진(150')을 주입하여 밀봉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치과용 임플란트(A')는 상기 충전재(140')와 픽스쳐(110')의 나사(112')가 접촉된 상태이므로 음식물을 씹는 과정에서 상기 인공치관(130')에 가해지는 교합력이 상기 충전재(140')에 전달되며, 이를 통해 직접 상기 나사(112')에 전달됨으로써, 교합력에 의해 나사(112')가 풀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헐거워진 나사(112')를 다시 조이기 위해서는, 상기 레진(150')을 제거하고 어버트먼트(120')의 체결공(122') 내의 충전재(140')를 모두 끄집어 낸 후 나사(112')를 조여야 하는데, 상기 충전재(140')인 솜이나 실리콘 등은 완전한 제거가 어려워 체결공(122') 내에 찌꺼기로 남게 되므로 나사(112')를 조작하는데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임플란트(A')를 계속 사용하게 되면, 상기 충전재(140')에 세균이 서식함으로써 냄새가 많이 나게 되고, 구강위생상 청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어버트먼트의 체결공에 적합한 형상의 홀폐쇄봉을 삽입함으로써 폐쇄작업이 간단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홀폐쇄봉과 픽스쳐의 나사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나사에 교합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어버트먼트를 통해 교합력이 분산될 수 있어 나사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으며,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홀폐쇄봉을 플라스틱 재질이나 금속재질 등으로 하되, 제거도구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홀폐쇄봉에 인출용 구멍을 더 형성시켜서 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치조골 속에 매식되는 픽스쳐와, 나사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픽스쳐와 연결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에 의해 구강 내에 고정되는 인공치관으로 구성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소정 형상의 홀폐쇄봉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공의 내주연에는 상기 홀폐쇄봉이 걸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환턱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폐쇄봉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등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에 적합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폐쇄봉은 공구와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내측에 나사부를 갖는 인출용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익스터널 타입과 인터널 타입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예의 익스터널 타입과 인터널 타입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b의 제거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b의 제거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2a와 도 3a는 익스터널 타입(external type)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와 도 3b는 인터널 타입을 나타낸 것이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b와 도 3b에 도시된 인터널 타입(internal type)을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익스터널 타입과 인터널 타입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A)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100) 속에 매식되는 픽스쳐(110)와, 상기 픽스쳐(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어버트먼트(120)와, 상기 어버트먼트(120)를 통해서 픽스쳐(110)에 체결되는 나사(112)와, 상기 어버트먼트(120)의 외주에 부착되어 구강 내에 고정되는 인공치관(1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버트먼트(abutment)(120)는 원통형상이나 다각기둥형상의 체결공(122)이 내측에 수직되게 형성된 것이며, 상기 체결공(122)은 그 상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나사(112)가 관통되는 통공(230)을 갖는 결합부(20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00)는 통공(230)을 통과한 나사(112)의 머리부(115)가 매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일정깊이로 삽입공(210)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후술되는 홀폐쇄봉(140a,140b)의 하단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2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환턱부(220)가 상기 체결공(12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삽입공(210)은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이에 고정된 나사(112)의 머리부(115)와, 상기 환턱부(220)에 고정된 홀폐쇄봉(140a,140b)의 하단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250)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폐쇄봉(140a,140b)은, 도 2b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버트먼트(120)의 체결공(122)과 일치되도록 원통체 또는 다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홀폐쇄봉(140a)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급이 용이하도록 내주면에 나사부(143)를 갖는 인출용 구멍(142)이 내측에 수직되게 형성된 것이며, 소정의 공구(400)를 상기 인출용 구멍(142)에 나사결합시켜서 삽입이나 제거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인출용 구멍(142)이 형성된 홀폐쇄봉(140a)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면체 형상으로 형성시키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돌기(141b)가 형성된 원통체로 형성함으로써 공구(400)를 체결할 때 헛돌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실시예 외에도 상기 홀폐쇄봉(140a)이 헛돌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된 홀폐쇄봉(140b)은 추후에 임플란트(A)의 보정작업(예를들어 상기한 나사(112)를 조이거나 풀어야 할 경우)등의 이유에 의해 체결공(122)으로부터 제거시켜야 할 경우 후크(320)가 형성된 공구(300)를 가열한 후 상기 홀폐쇄봉(140b)의 상단에 꽂아서 들어올려 제거하게 되므로, 상기 인출용 구멍(142)이 있어도 좋고 없어도 좋으며, 돌기가 없는 일반적인 원통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상기 금속재로 된 홀폐쇄봉(140a)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상기한 인출용 구멍(142)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홀폐쇄봉(140a,140b)을 체결공(122)으로부터 제거하고자 할 경우 선단에 나사부(410)가 형성된 공구(400)를 상기 인출용 구멍(142)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취급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 및 작용을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픽스쳐(Fixture)(110)를 치조골(100)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골유착시키고, 골유착시킨 후 상기 픽스쳐(110)의 상부에 어버트먼트(120)를 얹고, 그 내측의 체결공(122)을 통해 상기 나사(112)를 삽입한 후 상기 결합부(200)의 통공(230)을 통해 픽스쳐(110)와 체결시킨다.
이때, 상기 나사(112)의 머리부(115)는 상기 삽입공(210)에 매입시켜 고정한다.
이후, 상기 어버트먼트(120)에 인공치관(Crown)(130)을 장착하고, 상기 체결공(122) 내에 홀폐쇄봉(140a,140b)을 삽입한 후 레진(resin)(150)을 주입하여 밀봉시킴으로써 임플란트(A)가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112)의 머리부(115)는 상기 홀폐쇄봉(140a,140b)의 하단부가 걸려진 환턱부(220)와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부(250)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을 씹을 때 발생되는 교합력이 상기 홀폐쇄봉(140a,140b)을 통해 어버트먼트(120)와 픽스쳐(110)를 통해 분산될 수 있고, 상기 나사(112)에는 교합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나사(112)의 풀림현상을 예방할 수 있어 임플란트(A)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나사(112)를 풀거나 조이는 작업을 실행하고자 할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레진(150)을 제거한 후 소정의 공구(300,400)를 이용하여 상기 홀폐쇄봉(140a,140b)을 들어내어 제거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이미 위에서 설명하였다.
이후, 개방된 체결공(122)을 통해 드라이버(미도시)를 넣고 나사(112)를 조이거나 풀 수 있으므로, 상기 체결공(122)의 개방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종래 솜과 같은 충전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세균서식을 미연에 방지하여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어버트먼트의 체결공에 적합한 사이즈의 홀폐쇄봉을 삽입함으로써 폐쇄작업이 간단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홀폐쇄봉과 픽스쳐의 나사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나사에 교합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어 나사의 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교합력이 홀폐쇄봉을 통해 어버트먼트와 픽스쳐에 분산될 수 있도록 하며, 세균서식을 방지하여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익스터널 타입과 인터널 타입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예의 익스터널 타입과 인터널 타입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b의 제거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b의 제거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치조골 110 : 픽스쳐
120 : 어버트먼트 130 : 인공치관
140a,140b : 홀폐쇄봉 200 : 결합부
210 : 체결공 220 : 환턱부

Claims (3)

  1. 치조골 속에 매식되는 픽스쳐와, 나사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픽스쳐와 연결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에 의해 구강 내에 고정되는 인공치관으로 구성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는 소정 형상의 홀폐쇄봉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공의 내주연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체결공에 체결된 나사의 머리부와 이격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홀폐쇄봉이 걸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환턱부를 형성하여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폐쇄봉은 외주에 돌기가 형성된 원통체 또는 다각기둥 또는 원통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폐쇄봉은 내주면에 나사부를 갖는 인출용 구멍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5-0013406U 2005-05-12 2005-05-12 치과용 임플란트 KR200392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406U KR200392189Y1 (ko) 2005-05-12 2005-05-12 치과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406U KR200392189Y1 (ko) 2005-05-12 2005-05-12 치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189Y1 true KR200392189Y1 (ko) 2005-08-19

Family

ID=4369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406U KR200392189Y1 (ko) 2005-05-12 2005-05-12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1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921B1 (ko) 2009-06-23 2011-11-28 김종필 치과용 임플란트
JP2019217180A (ja) * 2018-06-22 2019-12-26 昌義 古谷 人工歯構造体、及び人工歯構造体用の充填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921B1 (ko) 2009-06-23 2011-11-28 김종필 치과용 임플란트
JP2019217180A (ja) * 2018-06-22 2019-12-26 昌義 古谷 人工歯構造体、及び人工歯構造体用の充填体
JP7128396B2 (ja) 2018-06-22 2022-08-31 昌義 古谷 人工歯構造体、及び人工歯構造体用の充填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7963A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elliptical healing cap assembly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US5431567A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various shaped healing cap assembly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US6416324B1 (en) One step dental implant delivery system
US10441387B2 (en) Abutment system and dental methods
US5759034A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for posterior and anterior teeth
US6206696B1 (en) Driver tool for one step implant delivery system
US5362235A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interlockable angled abutment assembly
KR101633259B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US20090111072A1 (en) Dental implant and abutment mating system
KR200467684Y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스크루 및 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JP2000083970A5 (ko)
US20100196852A1 (en) Dental abutment with indentation for inhibition of crestal bone remodeling
US5549475A (en) Enossal single-tooth implant
KR101298246B1 (ko) 임플란트용 체결부재
KR100613756B1 (ko) 임플란트의 힐링캡 분리장치
KR101155702B1 (ko) 일체형 임플란트
KR10196602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20090117521A1 (en) Dental Implant Assembly With Internal Connection
KR200392189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0740591B1 (ko) 치과용 어버트먼트 분리용 유니트
CN107847301B (zh) 修复牙科植入体系统和方法
KR10184995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09061306A1 (en) Dental implant screw system
KR101571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10121067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