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850B1 -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850B1
KR101040850B1 KR1020090057048A KR20090057048A KR101040850B1 KR 101040850 B1 KR101040850 B1 KR 101040850B1 KR 1020090057048 A KR1020090057048 A KR 1020090057048A KR 20090057048 A KR20090057048 A KR 20090057048A KR 101040850 B1 KR101040850 B1 KR 101040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dental implant
threaded portion
manufactur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491A (ko
Inventor
현영근
Original Assignee
현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영근 filed Critical 현영근
Priority to KR1020090057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850B1/ko
Priority to US12/821,280 priority patent/US8296951B2/en
Publication of KR20100138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07Production methods using sand bla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에 고정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fixture)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하측에 1열 나사로 된 하측 나사부를 형성하는 하측 나사 형성 단계와, 상기 고정체의 상측에 2열 나사로 된 상측 나사부를 형성하는 상측 나사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나사부 절삭 단계; 상기 나사부 절삭 단계가 완료된 고정체의 허리 부분의 연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비연마부에 표면 처리를 하여 표면조도를 높이는 표면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THE FIXTURE OF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기에 빠른 골형성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감염과 염증에 강한 임플란트 고정체를 쉽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는 고정체(fixture)와 지대주(abutment)와 치관(齒冠; crow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람의 치조골에 삽입되어 임플란트를 전체적으로 지지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지대주는 고정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잇몸의 위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치관은 자연치아를 대체하는 보철물(prosthesis)의 하나로서, 지대주와 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되어 그 지대주에 접착 고정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의 시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고정체와 치조골 사이에 골유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골유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골흡수 현상이 일어나거나 점진적인 골손실(progressive bone loss)이 일어나게 된 다.
이러한 골유착의 성공에는 고정체의 표면 거칠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정체의 표면조도를 높여서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는 경우 주위 골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세포의 흡착성을 향상시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고정체의 거친 표면은 임플란트 주위에 염증이 발생했을 때 감염의 진행을 촉진시키는 단점이 있다. 즉, 연마된 표면에 비해 표면이 거칠게 된 경우에 고정체의 표면을 타고 감염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체(1)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거칠게 형성하되 고정체(1)의 나사부(2) 허리 부분에 표면조도가 낮은 연마띠(3)가 형성되도록 하여, 골유착 성능은 향상시키면서 연마띠(3)에 의해 임플란트 주위 염증의 진행을 저지하는 '골유착 인공치'가 한국 특허 제283988호와 제718278호 등에 개시되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임플란트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치조골에 대한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조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골유착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염증의 전달을 완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치조골에 대한 결합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조골에 고정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fixture)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수나사부를 형성하는 절삭 단계; 고리(ring, 環)형태의 보호 지그를 상기 고정체의 수나사부에 끼워서 그 수나사부의 일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고정하는 지그 고정 단계; 상기 고정체의 수나사부에 표면 처리를 하여 표면조도를 높이는 표면 처리 단계; 및 상기 수나사부에 고정된 보호 지그를 상기 고정체의 수나사부로부터 제거하는 지그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 제조 방법은, 골유착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염증의 전달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치조골에 대한 결합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 고정체를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고정체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의 고정체(100, fixture)를 절삭하여 하측 나사부(120)와 상측 나사부(110)를 형성하는 나사부 절삭 단계를 수행한다. 나사부 절삭 단계는 하측 나사 형성 단계와 상측 나사 형성 단계로 나누어 수행한다. 하측 나사 형성 단계에서는, 고정체(100) 하측에 1열 나사를 절삭하여 형성한다. 상측 나사 형성 단계에서는, 고정체(100) 상측에 2열 나사를 절삭하여 형성한다. 하측 나사 형성 단계와 상측 나사 형성 단계는 그 순서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이때 상측 나사부(110)의 피치(P2)는 하측 나사부(120) 피치(P1)의 2배가 되도록 나사부 절삭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측 나사부(110)의 피치(P2)가 하측 나사부(120)의 피치(P1)의 2배가 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체(100)의 회전 각도에 따른 하측 나사부(120)의 리드와 상측 나사부(110)의 리드가 서로 동기되어 진행하게 된다.
공작 기계의 절삭 공구에 의해 기계 가공면(machine surface) 수준으로 표면조도가 낮은 연마면이 상측 나사부(110)와 하측 나사부(120)에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측 나사부(110)와 하측 나사부(120)의 표면조도는 전체적으로 0.2~0.7㎛이내가 된다.
다음으로 나사부 절삭 단계가 완료된 고정체(100)의 허리 부분의 연마 부(1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비연마부(112, 121)에 표면 처리를 하여 표면조도를 높이는 표면 처리 단계를 수행한다.
표면 처리 단계는 지그 고정 단계와 표면 조도 향상 단계와 지그 제거 단계의 순서로 진행된다.
표면 처리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 지그(130)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보호 지그(130)는 고리(ring, 環) 형태로 되어 있으며, 탄성을 가진 폴리머 소재로 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보호 지그(130)를 고정체(100)에 끼워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체(100)의 상측 나사부(110) 일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고정하는 지그 고정 단계를 수행한다.
보호 지그(130)를 고정체(100)의 상측 나사부(110)에 대해 밀어 넣으면, 보호 지그(130)가 탄성 변형을 하면서 고정체(100) 상측 나사부(110)의 외경을 단단히 감싸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 나사부(110) 중 하측 나사부(120)와 인접하는 아래쪽에 보호 지그(130)가 위치하도록 보호 지그 고정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보호 지그(130)의 내경에 상측 나사부(110)에 맞물리도록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고정체(100)의 상측 나사부(110)와 나사 결합을 하는 방식으로 서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체(100)의 상측 나사부(110)와 하측 나사부(120)에 표면 처리를 하여 표면조도를 높이는 표면 조도 향상 단계를 수행한다. 즉, 고정 체(100)의 상측 나사부(110)와 하측 나사부(120) 중에서 보호 지그(130)에 둘러 싸인 부분(연마부(11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비연마부(112, 121))의 표면을 거칠게 하는 것이다. 표면 조도 향상 단계는 샌드블라스팅 방법에 의할 수도 있고 양극산화 방법에 의할 수도 있으며, 에칭(etching) 방법에 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 단계를 수행하여 표면조도가 1.2~2.0㎛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측 나사부(110)에 고정된 보호 지그(130)를 고정체(100)의 상측 나사부(110)로부터 제거하는 지그 제거 단계를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측 나사부(110)에 보호 지그(130)가 끼워져 있던 부분은 표면 처리가 되지 않고 표면조도가 낮은 상태로 유지되어 연마부(111)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측 나사부(120)와 인접하는 위치의 상측 나사부(110)에 보호 지그(130)가 위치하도록 보호 지그 고정 단계를 수행하였으므로, 상측 나사부(110) 중 하측 나사부(120)와 인접하는 아래쪽에 연마부(111)가 형성된다. 상측 나사부(110)와 하측 나사부(120) 중에서 연마부(1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표면 처리가 되어 연마부(111)보다 표면이 거친 비연마부(112, 121)가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작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100)는 표면조도가 높은 비연마부(112, 121)로 인해 골유착도가 향상되고, 표면조도가 낮은 연마부(111)로 인해 염증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100)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와 같은 효과를 가지는 임플란트 고정체(100)에 연마부(111)를 쉽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정체(100)를 생산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체(100)의 하측 나사부(120)는 1열 나사로 형성되고 상측 나사부(110)는 2열 나사로 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고정체(100)를 시술할 때 하측 나사부(120)가 치조골에 삽입될 때에는 위치와 각도를 쉽게 고정한 상태에서 삽입되고 어느 정도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2열 나사로 형성된 상측 나사부(110)가 삽입되면서 고정체(100)의 치조골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측 나사부(110)로 인해 고정체(100)의 시술이 완료된 후에 시간이 지나면서 인체의 조직이 고정체(100) 주위에 접촉하게 되는 면적이 많아 지므로 시간의 경과와 함께 고정체(100)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상측 나사 형성 단계에서 상측 나사부(110) 중 연마부(111)에 해당하게 될 부분은 다음과 같이 가공하는 것이 좋다. 즉, 연마부(111)의 2열의 나사 중 어느 하나를 제1열 나사라고 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2열 나사라고 칭하면, 제1열 나사산의 높이(h2)는 제2열 나사산의 높이(h1)의 30~80%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제1열 나사산의 높이(h2)가 제2열 나사산의 높이(h1)의 30%보다 작으면 치조골에 대한 결합력이나 접촉면적이 감소할 수 있고, 제1열 나사산의 높이(h2)가 제2열 나사산의 높이(h1)의 80%보다 크면 보호 지그(130)를 지그 고정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워 질 수 있다.
또한, 연마부(111)의 제2열 나사의 나사산은 사다리꼴 나사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고정체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임플란트 고정체(200)의 하측에 1열 나사로 된 하측 나사부(220)를 형성하는 하측 나사 형성 단계와, 고정체(200)의 상측에 2열 나사로 된 상측 나사부(210)를 형성하는 상측 나사 형성 단계를 수행하여 나사부 절삭 단계를 완료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체(200)의 상측 나사부(210)에 원주 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 홈(213)을 형성하는 고정 홈 형성 단계를 수행한다.
나사부 절삭 단계와 고정 홈 형성 단계에 의해 고정체(200)의 상측 나사부(210)와 하측 나사부(220)는 0.2~0.7㎛의 표면조도를 갖게 된다.
이와 별도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호 지그(230)를 마련한다. 보호 지그(230)는 몸체부(231)와 고정 돌기(233)를 구비한다. 몸체부(231)는 결합공(232)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공(232)의 내경은 상측 나사부(210)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작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 돌기(233)는 고정체(200)의 고정 홈(213)에 끼워져 고정 될 수 있도록 결합공(232)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고정 돌기(233)는 고리(ring, 環) 형태로 되어 있으며, 탄성을 가진 폴리머 소재로 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보호 지그(230)를 이용하여 비연마부(212, 221)의 표면 조도를 높이는 표면 처리 단계를 수행한다. 표면 처리 단계는 지그 고정 단계, 표면 조도 향상 단계, 지그 제거 단계의 순서로 이뤄진다.
지그 고정 단계에서는, 보호 지그(230)를 고정체(200)의 상측 나사부(210)에 끼워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나사부(210)의 일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고정하는 지그 고정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보호 지그(230)의 고정 돌기(233)가 고정체(200)의 고정 홈(213)에 끼워짐으로써, 보호 지그(230)가 고정체(200)에 대해 흔들리지 않고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체(200)의 상측 나사부(210)에 표면 처리를 하여 표면조도를 높이는 표면 조도 향상 단계를 수행한다. 즉, 고정체(200)의 연마부(2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표면을 거칠게 하는 것이다. 표면 조도 상향 단계는 샌드블라스팅 방법에 의할 수도 있고 양극산화 방법에 의할 수도 있으며, 에칭(etching) 방법에 의할 수도 있다.
샌드블라스팅 방법에 의해 표면 조도 향상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고속으로 연마제를 상측 나사부(210)와 하측 나사부(220)에 대해 분사하는 방식으로 표면을 거칠게 만든다. 고속으로 분사된 연마제가 보호 지그(230)에 부딪히면 상측 나사부(210)에 대하여 보호 지그(230)가 흔들리게 되고 작업 진행중에 상측 나사부(210)로부터 보호 지그(230)가 이탈될 수도 있다. 최근에 사용되는 임플란트의 고정체는 대부분 수나사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 지그(230)가 이탈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그런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지그(230)의 고정 돌기(233)와 고정 체(200)의 고정 홈(213)이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면, 보호 지그(230)가 상측 나사부(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불량률이 감소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고정체(200)의 품질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상측 나사부(210)에 고정된 보호 지그(230)를 고정체(200)에서 제거하는 지그 제거 단계를 수행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측 나사부(210)에 보호 지그(230)가 끼워져 있던 부분은 표면 처리가 되지 않고 표면조도가 낮은 상태로 유지되어 연마부(211)가 되고, 연마부(211)를 제외한 상측 나사부(210)의 나머지 부분과 하측 나사부(220)는 표면이 거친 비연마부(212, 221)가 된다. 비연마부(212, 221)의 표면조도는 1.2~2.0㎛인 것이 좋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홈(213)의 폭(W)은 0.1㎜ 내지 0.5㎜인 것이 좋다. 고정 홈(213)의 폭(W)이 0.1㎜ 보다 작으면, 보호 지그(230)의 고정 돌기(233)가 잘 걸리지 않게 되고, 고정 홈(213)의 폭(W)이 0.5㎜ 보다 크면, 나사산이 없는 부분이 너무 커져서 치조골과의 결합력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홈(213)의 상측 나사부(210) 나사골에 대한 깊이(D)는 0.05㎜ 내지 0.15㎜인 것이 좋다. 고정 홈(213)의 깊이(D)가 0.05㎜보다 작으면, 보호 지그(230)의 고정 돌기(233)가 잘 걸리지 않을 수 있고, 고정 홈(213)의 깊이(D)가 0.15㎜보다 크면, 고정체(200)의 강성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연마부(211)는 상측 나사부(210)의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2㎜ 내지 8㎜ 범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연마부(211)가 상측 나사부(210)의 상단 으로부터 2㎜ 이내의 범위에 위치하면 염증의 전달을 차단하는 성능이 떨어질 수 있고, 연마부(211)가 상측 나사부(210)의 상단으르부터 8㎜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면 고정체(200)의 치조골에 대한 결합력이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작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200)는 표면조도가 높은 비연마부(212, 221)로 인해 골유착도가 향상되고, 표면조도가 낮은 연마부(211)로 인해 염증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와 같은 효과를 가지는 임플란트 고정체(200)에 연마부(211)를 쉽게 형성할 수 있으므르 고정체(200)를 생산하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고정체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3실시예의 임플란트 고정체 제조 방법은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임플란트 고정체 제조 방법과 매우 유사하다. 즉, 임플란트 고정체(300)의 하측에 하측 나사부(320)를 형성하는 하측 나사 형성 단계와, 고정체(300)의 상측 나사부(310)를 형성하는 상측 나사 형성 단계를 수행하여 나사부 절삭 단계를 완료한다. 이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마부(311)에 해당할 부분은 하측으로 갈수록 나사산이 높아지도록 나사부 절삭 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앞서 도 3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보호 지그(130)를 마련하여 비 연마부(312, 321)의 표면 조도를 높이는 표면 처리 단계를 수행한다. 표면 처리 단계는 지그 고정 단계, 표면 조도 향상 단계, 지그 제거 단계의 순서로 이뤄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부(321)의 나사산은 하측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되므로 표면 처리 단계를 수행할 때에도 지그가 잘 흔들리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보호 지그(230)는, 각각 돌기부(233)가 몸체부(231)의 상측면에 접하도록 위치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고정 돌기(233)가 몸체부(231)의 하측면에 접하도록 위치할 수도 있으며, 몸체부(231)의 중간부분 내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 고정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고정체 110, 210, 310 : 상측 나사부
120, 220, 320 : 하측 나사부 112, 121, 212, 221, 312, 321 : 비연마부
111, 211, 311 : 연마부 213 : 고정 홈
130, 230, 330 : 보호 지그 231 : 몸체부
232 : 결합공 233 : 고정 돌기

Claims (16)

  1. 치조골에 고정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fixture)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하측에 1열 나사로 된 하측 나사부를 형성하는 하측 나사 형성 단계와, 상기 고정체의 상측에 2열 나사로 된 상측 나사부를 형성하는 상측 나사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나사부 절삭 단계;
    상기 나사부 절삭 단계가 완료된 고정체의 허리 부분의 연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비연마부에 표면 처리를 하여 표면조도를 높이는 표면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나사부의 피치는 상기 하측 나사부 피치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상측 나사부 중 상기 하측 나사부와 인접하는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의 2열의 나사산 중 제1열 나사의 나사산의 높이는 제2열 나사의 나사산의 높이의 30~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의 제2열 나사는 사다리꼴 나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단계는,
    고리(ring, 環)형태의 보호 지그를 상기 고정체에 끼워서 그 상측 나사부의 일부분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고정하는 지그 고정 단계와,
    상기 고정체에 표면 처리를 하여 표면조도를 높이는 표면 조도 향상 단계; 및
    상기 고정체에 고정된 보호 지그를 상기 고정체로부터 제거하는 지그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지그는, 탄성을 가진 폴리머 소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지그의 내경에는 상기 상측 나사부에 맞물리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향상 단계는, 샌드블라스팅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향상 단계는, 양극산화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고정체의 상측 나사부에 원주 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 홈을 형성하는 고정 홈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 지그는, 상기 고정체의 상측 나사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고정체의 고정 홈에 끼워져 고정 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의 표면조도는 0.2~0.7㎛이고, 상기 비연마부의 표면조도는 1.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홈은 상기 상측 나사부의 나사골에 대해 0.05㎜ 내지 0.15㎜ 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홈의 폭은 0.1㎜ 내지 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는, 상기 상측 나사부의 상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2㎜ 내지 8㎜ 범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의 나사산은 하측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KR1020090057048A 2009-06-25 2009-06-25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KR101040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048A KR101040850B1 (ko) 2009-06-25 2009-06-25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US12/821,280 US8296951B2 (en) 2009-06-25 2010-06-23 Method of manufacturing a fixture of a dental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048A KR101040850B1 (ko) 2009-06-25 2009-06-25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491A KR20100138491A (ko) 2010-12-31
KR101040850B1 true KR101040850B1 (ko) 2011-06-14

Family

ID=4351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048A KR101040850B1 (ko) 2009-06-25 2009-06-25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8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505B1 (ko) 2013-03-27 2013-06-21 권병철 맞춤형 어버트먼트 지그 및 그 제조방법
WO2016006730A1 (ko) * 2014-07-09 2016-01-14 (주)예스바이오테크 임플란트용 스크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57Y1 (ko) * 2009-06-29 2011-06-14 현영근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745A (ko) * 2001-06-15 2002-12-28 김수홍 인공치아 고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73146A (ko) * 2007-02-05 2008-08-08 장현석 임플랜트시스템
KR20090016827A (ko) * 2007-08-13 2009-02-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918963B1 (ko) 2008-11-25 2009-09-25 현영근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745A (ko) * 2001-06-15 2002-12-28 김수홍 인공치아 고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73146A (ko) * 2007-02-05 2008-08-08 장현석 임플랜트시스템
KR20090016827A (ko) * 2007-08-13 2009-02-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918963B1 (ko) 2008-11-25 2009-09-25 현영근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505B1 (ko) 2013-03-27 2013-06-21 권병철 맞춤형 어버트먼트 지그 및 그 제조방법
WO2016006730A1 (ko) * 2014-07-09 2016-01-14 (주)예스바이오테크 임플란트용 스크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491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695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ixture of a dental implant
JP7289877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歯科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埋入ツール、ならびに歯科インプラントと埋入ツールの組み合わせ
KR10189562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093199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0594753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EP1862142B1 (en) Healing abutment
KR100918963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0467684Y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스크루 및 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US20100248187A1 (en) Dental abutment
KR101040850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JP2007135751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100997553B1 (ko) 일체형 임플란트
KR10109061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KR200383246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KR100963432B1 (ko)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KR101707596B1 (ko)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KR20045405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KR101309700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의 제조방법 및 임플란트용 픽스쳐
US20100216094A1 (en) Dental implant fixture
KR20150115057A (ko) 임플란트용 인공치근
KR20130084387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308945B1 (ko) 치과용 픽스쳐
KR100598937B1 (ko) 컷팅 에지를 갖는 치근형 인공치아 시술용 픽쳐
KR100807289B1 (ko) 임플란트 조립체
KR200362463Y1 (ko) 픽스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