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432B1 -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432B1
KR100963432B1 KR1020090042530A KR20090042530A KR100963432B1 KR 100963432 B1 KR100963432 B1 KR 100963432B1 KR 1020090042530 A KR1020090042530 A KR 1020090042530A KR 20090042530 A KR20090042530 A KR 20090042530A KR 100963432 B1 KR100963432 B1 KR 100963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p
hole
implant
upper prosthesis
ca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우
Original Assignee
노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우 filed Critical 노영우
Priority to KR102009004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임플란트에서 어버트먼트(abutment)와 인공치관(人工齒冠)으로 구성되는 상부보철물(super structure)과 치조골(齒槽骨)에 매식된 픽스쳐(fixture)를 결합하는 연결나사가 통과하는 관통홀, 즉 상부보철물 중앙의 관통홀을 매우기 위한 홀캡 (hole cap)이다. 상기 홀캡은, 외주면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원추형상으로, 단면의 형상이 등변 사다리꼴을 가지는 홀캡몸체와, 상기 홀캡몸체의 일면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핸들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형화된 홀캡에 의해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의 관통홀을 매우는 것으로, 시술의 편의성 및 임플란트의 보철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 저작시 가해지는 교합력에서 비롯되는, 픽스쳐와 상부보철물을 결합하는 연결나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형화된 홀캡의 사용으로 임플란트의 보철시술 및 추후,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고형화된 홀캡은 높은 파절강도를 갖는 세라믹 즉,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산화지르코니움(ZrO2) 또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으로 제작되므로 음식물 저작시 교합력으로 인하여 홀캡이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기물에 대한 내식성이 강하므로 음식물에 의한 변색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홀캡은 외견상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의 세라믹 소재와 거의 유사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어 자연스러운 보철 심미성이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그리고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산화지르코니움(ZrO2)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으로 제작된 홀캡은 산이나 알칼리에 대한 저항성이 좋고, 열팽창계수가 상부보철물의 세라믹과 유사하여 열팽창 차이로 발생할 수 있는 홀캡의 파절이 발생하지 않으며, 저작력에 의한 파절 및 탈락의 저항성이 높아서, 시술된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의 장기간 유지 장착이 가능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이에 따른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임플란트, 상부보철물, 어버트먼트, 픽스쳐, 관통홀, 스크류홀,홀캡, 홀키퍼, 홀플러그, 홀스토퍼

Description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Hole Cap for Implant Super Structure}
본 발명은 나사유지형(screw retained type) 상부보철물의 관통홀을 충전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면,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와 중심부에 관통홀을 갖는 상부보철물, 그리고 관통홀을 통해 픽스쳐에 상부보철물을 결합시키는 연결나사로 이루어지는 치과임플란트에서, 나사에 의해 상부보철물이 픽스쳐에 결합된 이후, 외부로 노출된 관통홀을 충전하기 위한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implant)의 사전적 의미는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치아 이식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으로 만든 인공치근을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시술"이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의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위의 치아 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 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현재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상부보철물은 어버트먼트(abutment)에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세멘트유지형 상부보철물”(cement retained type super structure)과 “나사유지형 상부보철물”(screw retained type super structure)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과 관련된 “나사유지형 상부보철물”방식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상부보철물에 형성된 관통홀을 치과용 충전레진으로 충전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임플란트는 치조골(50)에 식립하여 유착되는 임플란트 식립체 즉, 픽스쳐(fixture)(20)와 어버트먼트(abutment)(13)와, 상기 어버트먼트(13)의 외부를 감싸는 인공치관(11)이 일체로 구성된 상부보철물(15)로 구성되며, 픽스쳐(20)와 상부보철물(15)은 나사(4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임플란트 시술방식 및 그 기술은 주지 관용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20)와 상부보철물(15)이 나사(4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보철물(15)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홀(17)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홀(17)은 임플란트 시술을 마친 후, 일반적으로 “연질의 임시충전재”(soft temporary filling material)(31) 및 치과용레진(30) 등으로 충전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시술방식 즉, 임시충전재(31) 및 치과용레진(30)으로 관통홀(17)을 충전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기존 시술 방식의 문제점
1) 픽스쳐(20)와 상부보철물(15)을 결합시킨 나사(40)가 풀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임시충전재(31)와 나사(40)가 접촉된 상태이므로 음식물을 씹는 과정에서 상부보철물(15)의 교합면(交合面)에 가해지는 교합력(交合力)이 레진(30)을 통하여 임시충전재(31)로 전달되며, 이를 통해 교합력이 직접 나사(40)에 전달됨으로써, 교합력에 의해 나사(40)가 풀릴 수 있기 때문이다.
2) 관통홀(17)의 최상단을 매우는 레진(30)이 훼손되거나 탈락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레진(30)은 연질의 임시충전재(31)에 의해 지지되어 관통홀(17)의 최상단을 충전하게 되는데, 관통홀(17)의 내부를 충전하는 연질의 임시충전재(31) 즉, 솜이나 실리콘 등은 음식물 저작시, 교합력에 의해 압착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연질의 임시충전재(31)에 지지된 레진(30) 또한, 관통홀(17)의 최상단으로 부터 임시충전재(31)와 함께 관통홀(17) 내부로 함몰되거나 탈락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한다.
3) 시술된 임플란트(10)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는, 시술된 임플란트(10)에 문제가 발생 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부보철물(15)을 분리해야 하는데, 이때, 관통홀(17)을 충전하기 위한 레진(30) 및 임시충전재(31)를 제거한 후, 나사(40)를 풀어주어야 하지만, 솜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임시충전재(31)가 관통홀(170) 내주면 등에 압착되어 있어 제거가 용이하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나사(40)의 해체가 어려워져 시술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 다.
4) 관통홀(17) 내부의 위생상태가 불량하고 세균의 번식으로 구취(口臭)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레진(30)이 교합력에 의해 쉽게 균열이 발생되거나 관통홀(17)의 밀폐가 실패하므로 인하여 관통홀(17) 내부의 임시충전재(31)로 침과 함께 세균이 침투하여 번식하게 되므로 위생상태가 불결한 환경을 만들고 악취를 발생시키며 결과적으로 하부의 픽스쳐(20) 주위의 염증을 일으켜 임플란트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의 결합을 위한 관통홀을 충전하는데 있어서, 원추형으로 기성의 고형화된 홀캡을 이용함으로써 종래 방식에 비해 작업의 편의성 및 시술 시간을 단축시키며, 기존 시술방식의 레진 충전재가 쉽게 탈락하여 발생되는 유지 및 보수의 횟수를 현저히 줄이고, 관통홀 내부의 위생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해 주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보철물의 관통홀을 통해 픽스쳐와 상부보철물을 결합시키는 나사와, 관통홀을 매우는 홀캡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음식물 섭취에 따른 교합력에도 나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보철물의 관통홀에 홀캡이 삽입되어 관통홀이 충전되어지는 것으로, 시술 및 제거가 용이하여 임플란트의 유지보수가 편리한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절 저항성이 우수한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진 홀캡으로 관통홀을 충전함으로써 상부보철물의 유지 및 보수의 빈도를 줄여서 소요되는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치조골에 매식되는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및 인공치관으로 구성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보철물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치조골에 매식된 픽스쳐에 상기 상부보철물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나사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임플란트용 홀캡에 있어서, 상기 홀캡은, 외주면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원추형상으로, 단면의 형상이 등변 사다리꼴을 가지는 홀캡몸체; 및 상기 홀캡몸체의 일면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된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홀캡은 상기 상부보철물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매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을 개시한다.
상기 홀캡몸체의 타면 중앙에 원기둥 형태의 음각(陰刻)홈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12° 내지 16°의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캡몸체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은, 상기 홀캡몸체의 외주면에 음각의 띠 혹은 반원의 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캡몸체의 타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은, 상기 홀캡몸체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원형, 타원 및 다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캡몸체와 핸들은, 7:3 내지 6:4의 길이 비율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홀캡의 재질은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산화지르코니움(ZrO2)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c)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형화된 홀캡에 의해 관통홀을 충전하는 것으로, 시술의 편의성 및 임플란트의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에 의한 교합력에도 픽스쳐와 상부보철물을 결합시키는 나사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형화의 홀캡에 의해 임플란트의 시술 및 추후, 유지보수를 위한 홀캡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형화된 홀캡이 높은 강도의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산화지르코니움(ZrO2)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으로 제작되어, 음식물 섭취시 홀캡에 작용되는 교합력으로 인하여 홀캡이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관통홀내의 위생상태를 양호하게 보존하여 픽스쳐 주위의 염증 발생을 억제하며, 또한, 유기물에 대한 내식성(耐蝕性)이 강하여 음식물에 의한 변색을 예방할 수 있고, 외적으로 인공치아의 색과 거의 유사한 색깔을 구현할 수 있어 심미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산화알루미늄 및 산화지르코니움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홀캡으로 산이나 알칼리에 대한 높은 저항성 및 높은 파절 저항성으로 음식 저작시 교합력의한 손상이 방지되고, 시술된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에 대해 장기간 장착 및 유지가 가능해 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임플란트 시술 후의 유지 및 관리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픽스쳐(120), 상부보철물(어버트먼트와 인공치관의 일체형)(130) 및 나사(140)의 구조 및 구성 그리고 재질 등은 주지 관용의 구성 및 기술에 해당되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치과임플란트(100)는 손실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한 수단으로, 치조골(150)에 매식되고, 치조골(150)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면에 암나사(121) 가 일체로 형성된 픽스쳐(120)와, 치아 형상으로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홀(131)이 형성된 상부보철물(130) 및 관통홀(131)을 통해 암나사(121)와 결합되어 픽스쳐(120)와 보철물(130)을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나사(140)에 의해 보철물(130)이 픽스쳐(120)에 결합된 이후, 상부보철물(130)에 형성된 관통홀(131)을 충전하기 위한 홀캡(110)이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홀캡(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선을 따라 관통홀(131)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관통홀(131)의 내부로 삽입되는 홀캡몸체(111)와 홀캡몸체(111)의 상단으로 소정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핸들(113)로 구성된다.
또한, 홀캡(110)은 보철물(130)의 관통홀(131) 내부로 삽입되어 관통홀(131)을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재질은 다른 강한 경도를 가지는 재질도 채용될 수 있으나,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산화지르코니움(ZrO2) 또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산화알루미늄(Al2O3) 또는 산화지르코니움(ZrO2) 이란 우수한 물리적 성질을 가진 파인세라믹으로 모스경도 “9”의 단단함을 지니며, 산이나 알칼리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제품이다.
참고로, 광물 중 모스경도가 가장 높은 것은 금강석으로 그 모스경도는 “10”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홀캡(110)이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산화지르코니움(ZrO2) 재 질로 마련되면 음식물을 섭취시 홀캡(110)에 작용되는 교합력으로 인하여 홀캡(110)이 훼손되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유기물에 대한 내식성이 강하여 음식물에 의한 변색을 예방할 수 있고, 외적으로 인공치아의 색과 거의 유사한 색깔을 구현할 수 있어 심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화알루미늄 및 산화지르코니움(ZrO2)으로 제작된 홀캡(110)은 산이나 알칼리에 대한 저항성 및 교합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됨으로 시술된 임플란트(100)에 대해 장기간 장착이 가능해지며 , 이에 따른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약할 수도 있다.
한편, 홀캡몸체(111)의 밑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의 음각홈(117)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음각홈(117)은 임플란트(100)의 정기점검 또는 시술된 임플란트(100)에 문제가 발생시, 상부보철물(130)을 픽스쳐(120)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산화알루미늄으로 제작된 홀캡(110)의 제거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홀캡(110)의 제거가 용이할 수 있도록 음각홈(117)이 형성된 것이다. 이는 즉, 시술된 홀캡(110)의 일면으로 치과용 다이아몬드 버(bur) 또는 도 8에 도시된 드릴(drill(180,181)) 등으로 홀캡(110)을 천공 시, 음각홈(117)에 의해 관통되는 깊이를 최소화해줌으로써, 관통홀(131) 내면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홀캡(110)의 신속한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음각홈(117)은 다이아몬드 드릴(180)이 홀캡(110)의 중앙을 정확히 관 통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된다.
이때, 홀캡몸체(111)의 밑면에 형성된 음각홈(117)은 홀캡(110)의 강도 즉, 홀캡(110)의 시술시 혹은 저작시 교합력에도 파절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캡(110)의 재질로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산화지르코니움(ZrO2)으로 으로 예시하고, 이에 대한 모스경도가 “9”라고 하였으나, 홀캡(110) 제거가 용이하게 되기 위해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산화지르코니움(ZrO2) 최고치의 모스경도는 제품화하는 과정에서 열처리에 따라 그 경도를 선택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따라서, 홀캡(110)의 재질인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산화지르코니움(ZrO2)의 모스경도는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홀캡(1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홀캡몸체(111)와 핸들(113)이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홀캡몸체(111)는 원추형의 형상이며, 이는 즉 외주면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등변 사다리꼴로 하부의 둘레보다 상부의 둘레가 더 크게 형성된 것이다.
이때, 홀캡몸체(111)의 하부의 둘레는 관통홀(131)의 내주면 보다 작아야 하며, 상부의 둘레는 관통홀(131)의 내주면 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홀캡몸체(111)의 경사는 홀캡몸체(111)가 관통홀(131)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경사가 형성되며, 이때, 경사도는 관통홀(131)의 내주면에 삽입된 홀캡몸체(111) 경사면과 관통홀 내면과의 이격(離隔)거리를 최소하여, 홀캡(110) 시술 시, 관통홀(131) 주변에 도포되는 접착부재(미도시)가 관통홀(131) 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홀캡(110)이 관통홀(131)로 삽입 시, 삽입이 용이하도록 홀캡몸체(111)의 밑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경사면을 가진 홀캡몸체(111)가 관통홀(131)에 삽입시,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캡(110)이 삽입되는 관통홀(131)의 내주면을 홀캡(1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홀캡(110)과 동일한 형태의 그라인더(160)로 관통홀(131)의 내주면을 가공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통홀(131) 내부의 경사면과 홀캡몸체(111)의 경사면이 긴밀히 접촉되고, 이에 따라 교합력이 홀캡(110)에 가해질 때, 이 접촉된 경사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교합력이 분사되어, 홀캡(111)이 관통홀(131) 내부로 함몰 또는 탈락에 저항하는 구조적 형태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홀캡(110)은 관통홀(131) 내부 공간 전체를 매우는 것이 아니고 관통홀(131) 상층의 기설정된 영역까지만을 매우기 위한 것으로, 이것은 관통홀(131)에 삽입된 홀캡몸체(111)의 하부와 관통홀(131) 내부에서 결합된 나사(140) 사이를 격리키기 위한 공간부(空間部)(133)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간부(133)를 부여하는 이유는, 캡몸체(111)가 관통홀(131) 전체를 매울 시, 홀캡몸체(111)의 하부와 나사(140)가 서로 맞닿게 되며, 이로 인해 음식물을 섭취시 보철물(130) 및 홀캡(110)으로 가해지는 교합력이 홀캡몸체(111)의 하부와 맞닿는 나사(140)로 전달되고, 그 전달된 교합력에 의해 나사(14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홀캡몸체(111)의 경사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예각의 각도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12°내지 16°(중심축에서 6° 내지 8°)의 경사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홀캡몸체(111)와 일체로 형성된 핸들(1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홀캡몸체(111)에 비해 짧게 형성되며, 홀캡(110)을 시술할 때, 핀셋(미도시) 등으로 잡기 위한 용도로 제작된 것이다.
이때, 홀캡몸체(111)의 길이(H2)와 핸들(113)의 길이(H1)는 7:3 내지 6:4의 비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홀캡몸체(111)의 길이(H2)가 3.5일 때, 핸들(113)의 길이(H1)는 1.5의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홀캡(110)은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례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의 핸들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홀캡몸체(111)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1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홈(115)은 음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홀캡(110)의 시술 시, 관통홀(131)에 삽입된 홀캡몸체(111)의 홈으로 소정의 접착부재(미도시)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접착부재(미도시)는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경화되고, 경화된 접착부재(미도시)는 관통홀(131)의 내주면으로부터 홀캡몸체(111)의 홈(115)까지 연장된 돌기(미도시) 형태를 이루게 되어 관통홀(131) 내부에 삽입된 홀캡(110)의 유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음각의 홈(11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홀캡몸체(111)의 외주면을 감싸는 띠 형태인 것을 나타내며, 또한, (b)는 홈(115)의 형상이 반원의 링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홈(115)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홀캡몸체(111)의 외주면 곳곳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핸들(113)은 시술자가 핀셋(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홀캡(110)을 잡기 위한 것으로,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핸들(113)의 (a)는 핸들이 원기둥 형태이며, (b)는 사각의 기둥의 형태 및 (c)는 오각의 기둥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각 핸들(115)의 형상은 시술자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특히 도시된 (b)와 (c)는 사각 또는 오각의 기둥 형태로, 시술자가 핀셋(미도시) 등으로 핸들(115)을 집을 때, 핀셋(미도시)에 집어진 핸들(115)이 핀셋(미도시)으로부터 미 끄러지는 것 등에 의해 핀셋(미도시)으로부터 홀캡(1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례는 핸들(115)을 설명함에 있어 핸들(115)을 집는 핀셋(미도시)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홀캡(115)을 잡아주는 도구에 따라 그 형상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원기둥으로 보다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핸들(115)의 외주면에는 핀셋(미도시)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그루브(groove)나 여러개의 미세한 돌기나 홈 또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수단이 추가적으로 부가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6을 통하여 설명한 홀캡(110)은 도 7의 시술과정에 의해 시술되며,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의 시술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시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 도 2과 같이 치조골(150)에 픽스쳐(150)가 매식되고, 이후, 나사(140)를 통해 픽스쳐(140)에 보철물(130)을 결합시키며, 이후, 홀캡(110)을 이용하여 보철물(130)에 형성된 관통홀(131)을 매우는 것으로, 이는 통상의 임플란트 시술과정이며, 주지 관용의 기술 및 방법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보철물(130)이 나사(140)를 통해 픽스쳐(120)와 결합된 이후의 시술과정 즉, 홀캡(110)을 통해 관통홀(131)을 매우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의 (a)는 임플란트의 시술 단계에 있어서 상부보철물(130)까지 시술이 완료된 상태이며, 관통홀(131)의 형태가 적절치 않을 경우 홀캡(110)과 동일한 형태로 디자인된 그라인더(160)로 관통홀(131)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대략 1분 이내로 완료될 수 있다
도 7의 (b)는 홀캡(110)이 관통홀(131)에 잘 적합 되는지 시적(試適)하는 과정이다. 이때 적합되지 않으면 앞의 (a) 과정을 다시 한번 시행한 후, 홀캡을 관통홀에 접착하기 위해 소정의 접착부재를 관통홀에 도포하고, 홀캡(110)을 지시선을 따라 관통홀(131)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접착부재(미도시)의 초기 경화시간(일반적으로 2분) 이내에 작업이 완료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홀캡(110)이 관통홀(131) 내로 적절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치과용 접착부재는 일반적인 크라운 브릿지용 접착제 중 글라스아이오노머 계통 접착제, 레진 계통 접착제 및 콤포머 계통 접착제 등이 바람직하며, 접착부재의 경화시간은 그 종류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3분 내지 5분 사이에 경화가 일어난다.
도 7의 (c)는 접착부재가 경화된 후, 관통홀(131) 외부로 노출된 여분의 홀캡을 치과용 다이아몬드 연삭기(硏削機)(170)로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d)는 연삭기(170)에 의해 삭제된 홀캡(110)과 상부보철물(130)의 교합면을 다듬기 위한 것으로, 폴리싱용 고무포인트(polishing rubber point)(171)로 연마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고무포인트(171)는 교합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관통홀(131) 외부로 노출된 여분의 제거 및 연마의 과정은 대체로 1분 내지 2분 이내로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홀(131)을 매우기 위한 시술이 종래의 시술 방식에 비해 시술이 간단하여 시술의 편의성과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캡(110)을 사용하여 관통홀(131)을 충전할 경우, 추후 발생될 수 있는 임플란트(100)의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며,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7에 의해 시술된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의 제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된 임플란트(100)를 정기검진을 하거나 혹은 염증 등의 문제가 발생 시, 도 2에 도시된 지시선의 역순으로 분리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관통홀(131)을 매운 홀캡(110)을 제거해야 한다.
이러한 홀캡(110)의 제거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에서 흔히 사용하는 다이아몬드 드릴(180,181)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제거의 순서는 구경 약 1mm 정도의 다이아몬드 드릴(180)을 이용하여 홀캡(110)의 중심부를 관통시킨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홀캡(110)의 하단면 중앙의 원기둥 형태의 음각홈(117)은 다이아몬드 드릴(180)이 홀캡(110)의 중앙을 정확히 관통할 수 있게 유도한다.
그 다음 조금 더 큰 크기의 다이아몬드 드릴(181)로 홀캡(110)속의 관통홀을 넓히고, 홀캡(110)과 정확히 같은 형태의 특수 제작된 다이아몬드 드릴(미도시)을 사용하여 관통홀(131) 상단을 정리하면 홀캡(110) 제거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다이아몬드 드릴(180,181)을 사용할 때는 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반드시 물로 냉각시켜야 한다.
이러한 다이아몬드 드릴(181)는 홀캡(110)과 크기 및 형태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른 홀캡(110)의 제거 작업은 1분 내지 2분 정도 소요된다.
따라서, 고형화된 홀캡(110)만을 제거하는 것으로, 시술된 임플란트(100)의 분해가 용이하여, 시술자로 하여금 유지보수의 시술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종래 기술에 비해 시술이 간편하며, 강도 및 심미성 등이 우수하여 상부보철물의 관통홀을 충전시에 사용되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의료 산업에 이용 가능성이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의료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상부보철물에 형성된 관통홀을 치과용 충전레진으로 충전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의 핸들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의 시술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도 7에 의해 시술된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의 제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임플란트 110 : 홀캡
111 : 홀캡몸체 113 : 핸들
115 : 홈 117 : 음각홈
120 : 픽스쳐 121 : 암나사
130 : 상부보철물 131 : 관통홀
133 : 공간부 140 : 나사
150 : 치조골 160 : 그라인더
170 : 연삭기 171 : 고무포인트
180,181 : 드릴

Claims (9)

  1. 치조골에 매식되는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및 인공치관으로 구성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보철물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치조골에 매식된 픽스쳐에 상기 상부보철물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나사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임플란트용 홀캡에 있어서,
    상기 홀캡은,
    외주면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원추형상으로, 단면의 형상이 등변사다리꼴을 가지는 홀캡몸체;
    상기 홀캡몸체의 일면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된 핸들; 및
    상기 홀캡몸체의 하면 중앙에 원기둥 형태의 음각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홀캡은 상기 상부보철물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매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12° 내지 16°의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캡몸체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홀캡몸체의 외주면에 음각의 띠 혹은 반원의 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캡몸체의 하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홀캡몸체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원형, 타원 및 다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캡몸체와 핸들은, 7:3 내지 6:4의 길이 비율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9.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캡의 재질은 산화알루미늄(Al2O3) 및 산화지르코니움(ZrO2)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KR1020090042530A 2009-05-15 2009-05-15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KR100963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530A KR100963432B1 (ko) 2009-05-15 2009-05-15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530A KR100963432B1 (ko) 2009-05-15 2009-05-15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432B1 true KR100963432B1 (ko) 2010-06-17

Family

ID=4236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530A KR100963432B1 (ko) 2009-05-15 2009-05-15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4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20312A1 (it) * 2012-02-29 2013-08-30 Matteo Antonini Dispositivo medico per sistemi protesici dentali, sistema protesico dentale, uso del dispositivo medico e metodo di formazione di sistemi protesici
CN106031664A (zh) * 2015-03-09 2016-10-19 福建省级机关医院 口腔种植修复的消极吻合工艺
WO2017200137A1 (ko) * 2016-05-19 2017-11-23 이민영 경사형 어버트먼트를 일체로 구비한 세라믹 임플란트
WO2019086913A3 (en) * 2017-10-30 2019-08-01 Markopoulou Alexandra Dental implant plug
CN111110376A (zh) * 2018-10-30 2020-05-08 (株)名门口腔 非粘合式螺纹型种植体
KR20200134851A (ko) * 2019-05-24 2020-12-02 이정혁 치과 보철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8150A (en) * 1993-10-21 1995-11-21 Brammann; Dierk Mean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US5733122A (en) * 1995-05-31 1998-03-31 Gordon; Basil Dental implant attachment assembly including device and method for resisting loosening of attachment
US5785524A (en) * 1994-10-06 1998-07-28 Metaux Precieux Sa Metalor Securing device for tooth implants
US20050064373A1 (en) * 2002-05-03 2005-03-24 Yehouda Harpaz Hand-writing practic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8150A (en) * 1993-10-21 1995-11-21 Brammann; Dierk Mean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US5785524A (en) * 1994-10-06 1998-07-28 Metaux Precieux Sa Metalor Securing device for tooth implants
US5733122A (en) * 1995-05-31 1998-03-31 Gordon; Basil Dental implant attachment assembly including device and method for resisting loosening of attachment
US20050064373A1 (en) * 2002-05-03 2005-03-24 Yehouda Harpaz Hand-writing practicing system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20312A1 (it) * 2012-02-29 2013-08-30 Matteo Antonini Dispositivo medico per sistemi protesici dentali, sistema protesico dentale, uso del dispositivo medico e metodo di formazione di sistemi protesici
WO2013128406A3 (en) * 2012-02-29 2013-12-19 Antonini Matteo A medical device for dental prosthetic systems, a dental prosthetic system, use of the medical device and a forming method of prosthetic devices
CN104168852A (zh) * 2012-02-29 2014-11-26 马泰奥·安东尼尼 用于牙齿修复系统的医疗装置、牙齿修复系统、医疗装置的应用及修复装置的形成方法
RU2612800C2 (ru) * 2012-02-29 2017-03-13 Маттео АНТОНИНИ Медицин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стем зубных протезов, система зубных протезов, использование медицин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 формования протезирующих устройств
US9603680B2 (en) 2012-02-29 2017-03-28 Matteo Antonini Medical device for dental prosthetic systems, a dental prosthetic system, use of the medical device and a forming method of prosthetic devices
CN106031664A (zh) * 2015-03-09 2016-10-19 福建省级机关医院 口腔种植修复的消极吻合工艺
WO2017200137A1 (ko) * 2016-05-19 2017-11-23 이민영 경사형 어버트먼트를 일체로 구비한 세라믹 임플란트
WO2019086913A3 (en) * 2017-10-30 2019-08-01 Markopoulou Alexandra Dental implant plug
CN111110376A (zh) * 2018-10-30 2020-05-08 (株)名门口腔 非粘合式螺纹型种植体
KR20200134851A (ko) * 2019-05-24 2020-12-02 이정혁 치과 보철물
KR102243249B1 (ko) * 2019-05-24 2021-04-22 이정혁 치과 보철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219B1 (ko)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 및 나사/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CA2609100C (en) Improvements in components for permanent removable and adjustable dentures and bridges
KR100841218B1 (ko) 임플란트 장치
KR100963432B1 (ko)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EP3040047A1 (en) Attachment for plate denture
KR101869348B1 (ko)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임플란트 고정체
KR100788455B1 (ko)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1280869B1 (ko) 임플란트 구조체
KR101965332B1 (ko) 투피스 힐링어버트먼트용 하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힐링어버트먼트
KR101172838B1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KR100894315B1 (ko) 응급 임플란트용 고정체
US1080654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untering gingival effects in dental restoration
KR20120100060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2043772B1 (ko) 임플란트 크라운
JPWO2019021337A1 (ja) 余剰歯科用セメントによる炎症防止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炎症防止シート
KR20150115057A (ko) 임플란트용 인공치근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KR200392276Y1 (ko) 치과용 임플란트
JP7128396B2 (ja) 人工歯構造体、及び人工歯構造体用の充填体
KR20100060828A (ko) 임플란트 구조
US20190321142A1 (en) Dental implant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1034370B1 (ko) 정밀유도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용 스텐트 고정체
KR101886901B1 (ko) 잇몸 부형 캡 및 잇몸 부형 캡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214

Effective date: 201004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