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618B1 -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618B1
KR101090618B1 KR1020100120133A KR20100120133A KR101090618B1 KR 101090618 B1 KR101090618 B1 KR 101090618B1 KR 1020100120133 A KR1020100120133 A KR 1020100120133A KR 20100120133 A KR20100120133 A KR 20100120133A KR 101090618 B1 KR101090618 B1 KR 101090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diameter
fixture
thread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노국
Original Assignee
김노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노국 filed Critical 김노국
Priority to KR1020100120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고정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치조골의 상부에 무리한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치조골을 보호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는 제1나사부와, 제2나사부와, 제3나사부와, 제4나사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나사부는 상단에서 시작하여 하부로 갈수록 나사산의 직경이 커진다. 상기 제2나사부는 상기 제1나사부에서 시작하여 하부로 갈수록 나사산의 직경이 작아진다. 상기 제3나사부는 상기 제2나사부에서 시작하여 하부로 갈수록 나사산의 직경이 커진다. 상기 제4나사부는 상기 제3나사부에서 시작하여 하단으로 갈수록 나사산의 직경이 작아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조골의 상부와 결합하는 픽스쳐의 나사산의 직경의 크기를 치조골의 내부와 결합하는 나사산의 직경의 크기보다 작게함으로써 치조골의 상부가 과다하게 변형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치조골의 내부와 결합하는 나사산의 직경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표면적이 늘어나고 힘이 분산되어 픽스쳐가 저작압에 견디는 힘이 강해진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Fixture for inplant operation}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고정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치조골의 상부에 무리한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치조골을 보호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에 대한 것이다.
치아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 치근을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그 인공 치근에 치아 보철(prosthesis or crown)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 치아 구조 또는 이러한 치과 시술방법을 의미한다.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픽스쳐를 치조골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결합시킨다.
도 3은 공개특허 제10-2009-0059302호에 개시된 종래의 픽스쳐의 구조이다. 픽스쳐의 외주면에는 치조골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가 형성되며 그 나사의 나사산의 직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나사산의 직경은 상단이 가장 크고 하단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치조골의 경우 상부는 강도 및 강성이 높은 반면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강도가 낮고 연성이 높다. 즉 치조골은 상부가 강하고 딱딱한 대신 안쪽은 부드럽고 신축성이 있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픽스쳐는 나사산의 직경이 상단이 가장 크고 하단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즉 치조골의 상부와 결합하는 부위의 직경이 가장 크다. 따라서 종래의 픽스쳐에 의하면 치조골의 상부에서 가장 많은 변형이 일어난다. 이 경우 치조골의 상부가 손상되거나 뼈 손실(bone loss)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픽스쳐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나사산의 직경이 작아진다. 이로인하여 픽스쳐가 저작압에 견디는 힘이 약하고 초기 고정력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조골의 상부에 무리한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치조골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기 고정력이 높고 저작압에 견디는 힘이 강한 픽스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는 제1나사부와, 제2나사부와, 제3나사부와, 제4나사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나사부는 상단에서 시작하여 하부로 갈수록 나사산의 직경이 커진다. 상기 제2나사부는 상기 제1나사부에서 시작하여 하부로 갈수록 나사산의 직경이 작아진다. 상기 제3나사부는 상기 제2나사부에서 시작하여 하부로 갈수록 나사산의 직경이 커진다. 상기 제4나사부는 상기 제3나사부에서 시작하여 하단으로 갈수록 나사산의 직경이 작아진다.
또한, 상기의 픽스쳐에 있어서, 나사골의 직경은 상기 제1나사부에서는 하부로 갈수록 커지다가 상기 제2나사부부터 하단까지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픽스쳐에 있어서, 나사산의 두께는 상기 제2나사부부터 하단까지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픽스쳐에 있어서, 하단에서부터 상부로 형성된 커팅에지가 복수 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조골의 상부와 결합하는 픽스쳐의 나사산의 직경의 크기를 치조골의 내부와 결합하는 나사산의 직경의 크기보다 작게함으로써 치조골의 상부가 과다하게 변형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치조골의 내부와 결합하는 나사산의 직경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표면적이 늘어나고 힘이 분산되어 픽스쳐가 저작압에 견디는 힘이 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픽스쳐의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는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부(11)와, 제2나사부(15)와, 제3나사부(19)와, 제4나사부(23)를 구비한다.
제1나사부(11)는 픽스쳐의 상단에 형성되며 제1나사부(11)의 나사산(12)의 직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커진다. 즉 제1나사부(11)의 나사산(12)의 직경은 상부가 작고 하부가 크다. 그리고 제1나사부(11)의 나사골(13)의 직경도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커진다.
제2나사부(15)는 제1나사부(11)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2나사부(15)의 나사산(16)의 직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진다. 즉 제2나사부(15)의 상부의 나사산(16)의 직경이 하부의 나사산(16)의 직경보다 크다. 그리고 제2나사부(15)의 나사골(17)의 직경도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진다.
제3나사부(19)는 제2나사부(15)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3나사부(19)의 나사산(20)의 직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커진다. 즉 제3나사부(19)의 상부의 나사산(20)의 직경보다 하부의 나사산(20)의 직경이 크다. 그리고 제3나사부(19)의 나사골(21)의 직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진다.
제4나사부(23)는 제3나사부(19)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4나사부(23)의 나사산(24)의 직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진다. 즉 제4나사부(23)의 상부의 나사산(24)의 직경이 하부의 나사산(24)의 직경보다 크다. 그리고 제4나사부(23)의 나사골(25)의 직경도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픽스쳐의 나사산(12, 16, 20, 24)들을 가상으로 연결하면 나사산선(27)의 형상이 되며, 픽스쳐의 나사골(13, 17, 21, 25)들을 가상으로 연결하면 나사골선(28)의 형상이 된다. 그리고 제2나사부(15)와 제3나사부(19)와 제4나사부(23)의 나사산(16, 20, 24)들의 두께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나사부(15)의 상부에서 제4나사부(23)의 하단으로 갈수록 나사산의 두께는 작아진다.
또한, 픽스쳐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커팅에지(30)가 형성된다. 커팅에지(30)는 2 ~ 4개가 적당하다.
픽스쳐는 치조골에 삽입되므로 제1나사부(11)가 치조골의 상부와 결합하며 제2나사부(15) 내지 제4나사부(23)가 치조골의 내부에 깊이 삽입된다. 치조골의 상부는 강도 및 강성이 높아서 변형이 작게 된다. 반면 내부는 강도가 낮고 연성이 높다. 따라서 치조골의 내부는 변형이 상대적으로 잘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강도 및 강성이 높은 치조골의 상부와 접촉하는 제1나사부(11)의 나사산(12)의 직경은 상부로 갈수록 작아진다. 반면 강도가 낮고 연성이 높은 치조골의 내부에 접촉하는 제3나사부(19)의 나사산(20)의 직경은 하부로 내려갈수록 커진다. 따라서 제1나사부(11)의 나사산(12)의 직경은 상부로 갈수록 작으므로 강도 및 강성이 높은 치조골의 상부는 변형이 작게 된다. 이로 인하여 치조골 상부의 뼈 손실(bone loss)을 최소화하여 치조골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나사부(23)의 나사산(24)은 하부로 내려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므로 강도가 낮고 연성이 높은 치조골의 내부는 변형이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또한 제2나사부(19)부터 나사골은 하부로 내려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져서 제3나사부(23)와 제4나사부(23)의 나사의 접촉면적은 커진다. 따라서 픽스쳐가 치조골에 삽입되면 나사부의 표면적이 늘어나서 치조골과 접촉면적이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응력이 분산되어 픽스쳐는 저작압에 견디는 힘이 증가한다. 즉 픽스쳐의 초기 고정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치조골의 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픽스쳐의 초기 고정력을 증가시키며 픽스쳐가 저작압에 견디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11 : 제1나사부 12 : 나사산
13 : 나사골 15 : 제2나사부
16 : 나사산 17 : 나사골
19 : 제3나사부 20 : 나사산
21 : 나사골 23 : 제4나사부
24 : 나사산 25 : 나사골
27 : 나사산선 28 : 나사골선
30 : 커팅에지

Claims (4)

  1. 상단에서 시작하여 하부로 갈수록 나사산의 직경이 커지는 제1나사부와,
    상기 제1나사부에서 시작하여 하부로 갈수록 나사산의 직경이 작아지는 제2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에서 시작하여 하부로 갈수록 나사산의 직경이 커지는 제3나사부와,
    상기 제3나사부에서 시작하여 하단으로 갈수록 나사산의 직경이 작아지는 제4나사부를 구비하며,
    나사골의 직경은 상기 제1나사부에서는 하부로 갈수록 커지다가 상기 제2나사부부터 하단까지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2. 제1항에 있어서,
    나사산의 두께는 상기 제2나사부부터 하단까지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단에서부터 상부로 형성된 커팅에지가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4. 삭제
KR1020100120133A 2010-11-30 2010-11-30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KR101090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33A KR101090618B1 (ko) 2010-11-30 2010-11-30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33A KR101090618B1 (ko) 2010-11-30 2010-11-30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618B1 true KR101090618B1 (ko) 2011-12-08

Family

ID=4550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133A KR101090618B1 (ko) 2010-11-30 2010-11-30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61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188B1 (ko) * 2012-05-11 2014-10-01 주식회사 덴티스 픽스츄어
WO2015115692A1 (ko) * 2014-01-28 2015-08-0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592141B1 (ko) * 2015-04-14 2016-02-04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KR20160051482A (ko) * 2014-11-03 2016-05-11 이도상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2053588B1 (ko) * 2019-08-28 2019-12-06 김기수 임플란트용 픽스쳐 구조
KR20200065335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이클레틱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245B1 (ko) 2005-08-13 2007-01-24 유일모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KR100981719B1 (ko) * 2008-08-20 2010-09-1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997553B1 (ko) 2010-05-14 2010-11-30 김노국 일체형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245B1 (ko) 2005-08-13 2007-01-24 유일모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KR100981719B1 (ko) * 2008-08-20 2010-09-1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997553B1 (ko) 2010-05-14 2010-11-30 김노국 일체형 임플란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188B1 (ko) * 2012-05-11 2014-10-01 주식회사 덴티스 픽스츄어
WO2015115692A1 (ko) * 2014-01-28 2015-08-0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160051482A (ko) * 2014-11-03 2016-05-11 이도상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1642594B1 (ko) * 2014-11-03 2016-07-26 이도상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1592141B1 (ko) * 2015-04-14 2016-02-04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KR20200065335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이클레틱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2198192B1 (ko) * 2018-11-30 2021-01-04 주식회사 이클레틱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2053588B1 (ko) * 2019-08-28 2019-12-06 김기수 임플란트용 픽스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61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US10441386B2 (en) Dental implant
KR101592141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US8932059B2 (en)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KR102278335B1 (ko) 지대주 시스템 및 치과 방법들
US9855119B2 (en) Dental implant fixture
JP2019509851A (ja) 角度付き歯科インプラント
KR200467684Y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스크루 및 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107266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0712703B1 (ko)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KR100997553B1 (ko) 일체형 임플란트
US20070111164A1 (en) Dental implant
US20140186799A1 (en) Dental implant
KR102262184B1 (ko) 골 소실의 방지를 위한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KR20150115057A (ko) 임플란트용 인공치근
US20100216094A1 (en) Dental implant fixture
KR20150068555A (ko) 픽스츄어
CN108403235B (zh) 一种口腔种植体及口腔种植体组件
KR20130084387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140017898A (ko) 임플란트용 시술용픽스쳐
KR20140017900A (ko) 임플란트용 시술용픽스쳐
KR1015971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87953B1 (ko) 픽스츄어
KR20100138491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KR20160073749A (ko) 지대주에 형성된 수직절개부에 곡면절개부를 형성한 치과용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