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703B1 -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 Google Patents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703B1
KR100712703B1 KR1020060027962A KR20060027962A KR100712703B1 KR 100712703 B1 KR100712703 B1 KR 100712703B1 KR 1020060027962 A KR1020060027962 A KR 1020060027962A KR 20060027962 A KR20060027962 A KR 20060027962A KR 100712703 B1 KR100712703 B1 KR 100712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tissue
tissue portion
shape
artificial tooth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4935A (ko
Inventor
한종현
김신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랜텍
Publication of KR20060104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7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with shape following the gingival surface or the bone surface

Abstract

본 발명은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연조직부를 태극 모양 인공치근과 일체화시켜 인공 치아의 미세 운동을 방지하고, 인공치근 주위에서의 균의 침투를 차단하며, 자연 치아의 치은 형태를 보존할 수 있는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에 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인공 치아의 미세 운동을 방지하고, 인공치근 주위에서의 균의 침투를 차단하며, 자연 치아의 치은 형태를 보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임플란트, 인공치근, 태극, 연조직부, 골조직부

Description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Waved or Taeguk Shaped Implant Integrating Soft Tissue Area and Osseous Tissue Area}
도 1은 종래의 일반형 인공치아의 구조 및 이식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인공치근이 앞니 부위에 시술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이 앞니 부위에 시술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도 4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이 앞니 부위에 시술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이중 태극 모양을 갖는 도 6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이 앞니 부위에 시술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도 9는 이중 태극 모양을 갖는 도 8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인공치근
9: 치조골 9': 피질골
13: 나사부 14: 절삭날
15: 플랜지 15a: 피질골 접촉부
15b: 잇몸 접촉부 17: 나사
21: 미세나사 22, 22a, 22b, 22c: 연조직부
본 발명은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인공 치아의 미세 운동을 방지하고, 인공치근 주위에서의 균의 침투를 차단하며, 자연 치아의 치은 형태를 보존할 수 있는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갈아서 소화가 잘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만일 이러한 치아가 소실되면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 없고 소화가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음식을 마음껏 먹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영양분의 원활한 섭취를 곤란하게 할 수 있다.
아동기에 1회에 걸쳐 영구치로 교환된 이후에 다시 그 치아를 상실하게 될 경우, 인간의 치아는 더 이상 새로운 치아가 생겨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치과에서 보철치료를 통해 상실된 치아나 그 주위조직을 수복하여 저작기능 등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런 일반적 치과치료방법은 인접해 있는 치아나 주위 잇몸 및 뼈 조직에 어느 정도의 손상을 가져온다. 틀니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도 자연치아에 비해 저작 능력의 감소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불편감이나 이물감 등을 초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보편적인 보철치료방법의 단점을 보완 및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인공치아 이식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치아 결손 시 주위의 치아나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거의 자연치아와 동일한 모든 기능과 외모를 회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최근 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인공치아는 일반적으로 자연치아의 인공 대체물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도 1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치아는 인공치근(103), 지대주(105), 및 가공치아(107)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공치근(fixture; 103)은 자연치아의 치근과 같이 결손된 치아부위의 치조골(109) 속에 심어져 가공치아(107)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체이다. 그리고, 지대주(105)는 지대치(abutment)라고도 하며, 잇몸(111)에 심어져 인공치근(103)과 가공치아(107)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공치아(107)는 지대주(105)에 의해 구강 내에 고정되어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재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인공치아(101)를 이용하여 상실된 치아를 회복하고자 할 때의 이식과 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식과정은 크게 외과적 술식 즉, 수술방식과 보철적 수복으로 구분된다.
수술에 앞서 적합성 여부를 검사한다. 이를 위해 혈액검사 등의 기본적인 검사를 시행한다. 이식할 부위를 선정한다. 이식 부위 골조직의 질과 양을 평가하기 위해 구강검사, 방사선 사진검사 등을 선행한다.
이러한 일련의 검사가 완료되면 외과적 술식에 들어간다.
먼저, 국소마취 하에 치근에 해당하는 인공치근(103)을 치조골(109) 내에 이식하기 위한 1차 수술을 진행한다. 이때, 잇몸(111)을 절개하고 치조골(109) 조직을 노출시킨 다음 인공치근(103)을 삽입한 후 잇몸(111)을 일단 봉합한다.
그리고 나서, 골질에 따라 3 내지 6 개월이 경과한 뒤 2차 수술을 시행한다.
이때에는 봉합했던 잇몸(111)을 재차 절개하고, 이미 치조골(109) 내에 이식된 인공치근(103)의 상면에 지대주(105)를 얹어놓는다. 그런 다음 지대주(105)의 중심에 형성된 삽입공(113)을 통해 연결나사(115)를 삽입한다. 연결나사(115)를 인공치근(103)의 중심부에 삽입공(113)과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17)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잇몸(111) 내에서 지대주(105)를 인공치근(103) 상단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잇몸(111)을 통해 구강 내로 지대주(105)를 돌출시킴으로써 2차 수술이 완료된다.
이후, 보철치료를 시행한다.
먼저 지대주(105)의 상면에 골드 실린더(gold cylinder; 121)를 동축상으로 얹어놓는다. 이때, 연결나사(115)의 상단 돌출부(119)는 골드 실린더(121)의 원뿔 대 모양의 하부 관통공(123)에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골드 실린더(121) 상단에서 가공치아(107)를 제작한다. 가공치아(107)의 중심선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는 치아공(127)을 통해 골드 스크류(129)를 삽입한다. 골드 스크류(129)를 연결나사(115)의 돌출부(119) 상면에 관통된 체결공(125)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인공치아(101)의 이식은 완결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인공치아(101)를 앞니에 적용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공치근(103)을 치조골(109)에 박았을 때 절제되는 부분인 치조골(A)을 제외한 부분(B)은, 인공치근(103)과 인접한 부분(C)과 달리, 유착될 지지물을 갖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치조골 부분(B)은 치유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골흡수가 일어난다. 그리고, 상부의 잇몸(111)에는 퇴축 현상이 일어난다.
상기 퇴축 현상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상기 인공치아와 상기 잇몸 또는 상기 인공치아와 상기 치조골 사이를 들뜨게 만들므로 인공치아의 수명을 짧게 한다.
둘째, 상기 인공치아와 상기 잇몸 또는 상기 인공치아와 상기 치조골 사이를 들뜨게 만들므로 세균의 침투가 용이하여 입냄새와 구강 질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치아와 잇몸 또는 인공치아와 치조골의 간격을 줄여, 치조골의 흡수와 연조직의 퇴축을 방지함으로써, 인공치아의 수명을 길게 하고 잇몸의 변형을 방지하며 입냄새와 구강 질환을 유발하지 않는 연조직부와 골 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조골에 삽입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의 상단과 결합하고 상기 치조골에 삽입되며, 상부의 상단면 모서리 부분이 전후 부분은 오목하고 좌우 부분은 볼록한 태극 모양의 곡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의 나사보다 피치 및/또는 산 높이가 작고 조밀하게 형성된 조밀 나사부인 다수의 태극 모양의 미세 나사를 갖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상단과 일체형으로 결합한 연조직부를 포함하는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은 태극 모양을 갖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일정 경사각을 이루는 연조직을 인공치근에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인공 치아의 미세 운동을 방지하고, 인공치근 주위에서의 균의 침투를 차단하며, 자연 치아의 치은 형태를 보존할 수 있다.
상기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의 상기 나사부는 삼각나사 또는 사각나사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플랜지의 미세 나사(microthread)는 ㎛ 단위로 표면 처리되며, 바람직하게는 약 1 ~ 2 ㎛ 정도의 평균 표면거칠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 기 미세 나사의 표면 처리는 블라스팅, 에칭, 아노다이징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플랜지의 상단면과 같은 모양의 태극 문양은 상기 미세나사가 형성된 플랜지의 외주면을 따라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조직부의 상단 모양은 상기 플랜지의 상단면의 모양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연조직부의 상단 모양은 귀가 달린 다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연조직부의 상단 모양은 그 상부가 평탄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연조직부의 상단 모양은 파형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연조직부와 상기 플랜지 사이는 상기 플랜지로부터 상부 내측 방향으로 급격하게 만곡되면서 상기 연조직부로 연장되는 잘록한 형태(먼로의 허리; Monroe's waist)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와 상기 연조직부와의 사이각은 10°내지 90°일 수 있다.
상기 연조직부의 성분은 인공치근부의 성분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최선의 실시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이 앞니 부위에 시술된 상태의 정면도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치근(3)은 나사부(13)와, 상기 나사부(13) 상단에 결합된 플랜지(15), 및 상기 플랜지(15) 상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연조직부(22a)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부(13)는 상기 인공치근(3)이 치조골(9)에 식립되는 부분이다. 상기 나사부(13)는 나사(17)와 절삭날(14)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17)는 일반적으로 삼각 나사를 많이 사용하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각 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13)는 상부의 외측 직경이 약 3.0 내지 5.0 mm 정도이고 하단부의 직경이 약 1.0 내지 3.0 mm 정도로 대체로 직선형의 몸체가 하단부 부분에서 급격하게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나사부(13) 내 나사(17)는 약 400 ㎛ 정도의 골깊이, 약 800 ㎛ 정도의 피치, 및 상방 0° 내지 10° 정도의 구조로 나사부(13)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로써 나사부(13)의 회전에 따라 인공치근(3)이 골조직 내로 식립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삭날(14)은 인공치근(3)의 식립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나사부(13)의 하부를 각기 약 90°의 각도로 부분적으로 절개시켜 형성한 것이다. 절삭날(14)은 인공치근(3)의 삽입에 따라 나사부(13)의 주변을 더욱 압축할 수 있게 되므로 나사부(13) 주변의 골밀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동시에, 골조직이 인공치근(3)에 유착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5)는 상기 치조골(9) 상부의 피질골(9') 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플랜지(15) 상부의 상단면은 앞니 잇몸의 퇴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귀가 있는 삼각, 사각 등 다각형 모양의 곡선으로 형성된다. 이 외에도 상기 플랜지(15) 상부의 상단면을 태극 모양, 삼각파 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나사부(13)에 의해 상기 인공치근(3)이 삽입된 후 나타날 수 있는 치조골의 흡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플랜지(15) 상부의 상단면의 형상을 태극 모양(waved edge, or Taeguk edge)으로 형성하는 경우, 그 형상은 전후 부분은 오목하고 좌우 부분은 볼록한 파형, 혹은 전후 부분은 볼록하고 좌우 부분은 오목한 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5)의 몸체에는 상단면과 같거나 다른 모양의 미세 나사(21)가 촘촘하게 형성된다. 상기 미세 나사(21)는 피질골(9')과의 결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인공치근(3)의 사용 도중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상기 미세 나사(21)는 상기 나사부(13)의 나사(17)보다 피치 및/또는 산 높이가 작고 조밀하게 형성된 조밀 나사부인 것이다. 예컨대, 상기 미세나사(21)의 나사(17)는 약 1 내지 25 ㎛ 정도의 골깊이, 약 200 ㎛ 내지 400 ㎛ 정도의 피치, 및 상방 0° 내지 5° 정도의 구조로 플랜지(15)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미세나사(21)는 상기 플랜지(15)의 외주면에 걸쳐 상방으로 약 0° 내지 5° 정도로 경사진 직선형으로 형성되거나, 플랜지(15)의 상단면과 같이, 태극모양 혹은 삼각파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 나사(21)는 앞니 잇몸(11)이 내려가는 퇴축현상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 그 표면을 거칠게 가공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 나사 (21)의 표면 처리는 블라스팅, 에칭, 아노다이징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그 일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라스팅 중 샌드 블라스팅 방법은 상기 미세 나사(21)의 표면을 거칠게 하기 위하여 규사 등 모래를 강한 압력으로 분사시켜 나사의 표면을 거칠게 개질시키는 표면처리방법이다.
블라스팅 중 그리트 블라스팅 방법은 모래 대신 주철의 구를 파쇄하여 만든 예리한 날을 가진 소립(그리트 : Grit)을 사용하여 상기 미세 나사(21)의 표면에 블라스팅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표면처리방법이다.
그리고, 에칭법은 화학 약품으로 상기 미세 나사(21)의 표면을 부식시켜 높낮이 차이가 나게 하여 상기 미세 나사의 표면을 거칠게 하는 표면처리방법이다.
이상과 같은 거칠기 방법의 재료를 선택하여 상기 미세 나사(21)의 표면을 ㎛ 단위, 바람직하게는 약 1 ㎛ 내지 2 ㎛ 정도의 평균 표면거칠기를 갖도록 표면처리 할 수 있다.
또한, 아노다이징법은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티타늄 합금의 표면을 산화피막처리하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전해액 중에 양극으로 처리할 금속을 걸고, 음극으로 불활성금속을 사용한다. 이들 전극에 전류를 흘려서,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티타늄 표면에 산화물계 피막을 형성시킨다. 이로써, 금속 내부로 더 이상 산화가 진행되지 않아 내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랜지(15)는 치조골(9) 상부의 피질골(9')과 접촉하는 부분(15a)과 잇몸(11)과 접촉하는 부분(15b)으로 구분된다. 상기 피질골(9')과 접촉하 는 부분(15a)은 미세나사(21)와 상기 형성된 거친 면에 의해 상기 피질골(9')의 끝 부분(B)이 상기 플랜지(15)에 잘 유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5)는 상기 태극 모양의 미세나사(21)에 의해 가공치아와 잘 접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부(22a)는 상기 플랜지(15)에 일체형으로 결합한 귀가 달린 삼각, 사각, 오각, 육각 등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조직부(22a)는 상기 귀가 상기 잇몸(11) 상부까지 연장된다. 그러므로 절제되고 남은 상기 피질골(9')의 끝 부분(B)은 골흡수 되지 않는다. 또한, 절제되고 남은 상기 잇몸(11)의 끝 부분(D)은 퇴축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잇몸(11)이 퇴축되지 않으므로, 인공치아와 잇몸(11) 또는 인공치아와 치조골(9) 사이에 세균의 침투가 일어나지 않으며, 자연치아의 치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잇몸(11)의 끝 부분(D)은 상기 잇몸과 접촉하는 부분(15b) 및 상기 연조직부(22a)와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조직부(22a)는 상기 잇몸(11) 상부에까지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인공치아(미도시) 시술을 쉽게 할 수 있다. 즉, 가공치아(미도시)는 일체형인 상기 연조직부(22a) 위에 시술되므로 인공치아가 미세움직임 없이 형성되고, 상기 잇몸(11)의 추가적인 퇴축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잇몸(11)의 추가적인 퇴축이 없으므로 자연치아의 잇몸(11)을 유지할 수 있어 심미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연조직부(22a)와 상기 플랜지(15)와의 사이각(θ)은 10°내지 90°으로 가공치아와 연조직부의 모양에 따라 사이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각 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조직부(22a) 및 플랜지(15)와의 접합 부위의 효과적인 폐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조직부(22a)의 연조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인공치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조직부(22a)의 성분은 인공치근부와 동일하나 선반가공된 상태로서 표면처리가 되지 않은 미끈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조직부(22a)의 성분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수산화인회석) 등을 포함하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도 4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5)의 상단면은 꼭지점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서 연조직부(22a)도 꼭지점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인공치근(3)의 미세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조직부(22a)가 상기 인공치근(3)에 일체형이고 상기 플랜지(15)가 태극 모양으로 상기 잇몸(11)까지 연장되므로 절제에 따른 상기 피질골(9')의 골흡수와 상기 잇몸(11)의 퇴축이 발생하지 않아 세균의 침입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연조직부(22a)와 상기 플랜지(15) 사이는 상기 플랜지(15)로부터 상부 내측 방향으로 급격하게 만곡되면서 상기 연조직부(22a)로 연장되는 먼로의 허리(Monroe's waist)라 지칭되는 잘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잇몸(11)의 퇴축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이 앞니 부위에 시술된 상태의 측면도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5)의 상단면은 반구형으로, 하부는 태극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인공치근(3)의 미세 움직임을 차단한다. 연조직부(22b)는 상부가 평탄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조직부(22b)가 상기 인공치근(3)에 일체형이고 상기 플랜지(15)가 중심이 반구형인 태극 모양으로 상기 잇몸(11)까지 연장되므로, 절제에 따른 상기 피질골(9')의 골흡수와 상기 잇몸(11)의 퇴축이 발생하지 않아 세균의 침투를 차단한다.
도 6a는 플랜지(15) 내 미세나사(21)를 직선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6b는 플랜지(15) 내 미세나사(21)를 태극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6c는 플랜지(15) 내 미세나사(21)를 삼각파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외의 실시 조건은 도 4도 5의 설명 부분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 7도 6의 일 실시예로서 이중 태극 모양을 플랜지(15)의 외표면에 형성시킨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 태극 모양을 갖는 플랜지(15)의 상단면을 반구형으로 하부를 이중 태극 모양으로 형성하여 상기 인공치근(3)의 미세 움직임을 더욱 차단한 것이다. 상기 연조직부(22b)가 상기 인공치근(3)에 일체형이고 상기 플랜지(15)가 중심이 반구형인 이중 태극 모양으로 상기 잇몸(11)까지 연장되므로, 절제에 따른 상기 피질골(9')의 골흡수와 상기 잇몸(11)의 퇴축이 발생하지 않아 세균의 침투를 더욱 차단하고 심미적인 형태를 유지한다. 상기 연조직부(22b)는 상부가 평탄한 모양을 갖는다.
즉, 상기 플랜지(15)가 이중 태극 모양이므로 단일 태극 모양일 때보다 미세움직임에 대한 저항이 크고, 골흡수와 잇몸 퇴축에 대한 저항도 크다.
상기 태극 모양의 경계는 상기 플랜지(15)의 상기 피질골(9')과 접촉하는 부분(15a) 및 상기 잇몸(11)과 접촉하는 부분(15b)의 경계이거나 그 상하 부분일 수 있다.
도 7a는 이중 태극 모양의 플랜지(15) 내 미세나사(21)를 직선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7b는 이중 태극 모양의 플랜지(15) 내 미세나사(21)를 태극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도 7c는 이중 태극 모양의 플랜지(15) 내 미세나사(21)를 삼각파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외의 실시 조건은 도 6의 설명 부분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이 앞니 부위에 시술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5)가 태극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부의 연조직부(22c)도 태극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인공치근(3)의 미세 움직임을 더욱 차단한다. 상기 연조직부(22c)가 상기 인공치근(3)에 일체형이고 상기 플랜지(15)가 태극 모양으로 상기 잇몸(11)까지 연장되므로, 절제에 따른 상기 피질골(9')의 골흡수와 상기 잇몸(11)의 퇴축이 발생하지 않아 세균의 침투를 차단한다.
상기 외의 실시 조건은 도 4도 5의 설명 부분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 9도 8의 일 실시예로서 이중 태극 모양을 플랜지(15)의 외표면에 형성시킨 측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5)가 이중 태극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부의 연조직부(22c)도 태극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인공치근(3)의 미세 움직임을 방지한다. 상기 연조직부(22c)가 상기 인공치근(3)에 일체형이고 상기 플랜지(15)가 이중 태극 모양으로 상기 잇몸(11)까지 연장되므로, 절제에 따른 상기 피질골(9')의 골흡수와 상기 잇몸(11)의 퇴축이 발생하지 않아 세균의 침투를 차단한다.
즉, 상기 플랜지(15)가 이중 태극 모양이므로 단일 태극 모양일 때보다 미세움직임에 대한 저항이 크고, 골흡수와 잇몸 퇴축에 대한 저항도 크다.
상기 태극 모양의 경계는 상기 플랜지(15)의 상기 피질골(9')과 접촉하는 부분(15a) 및 상기 잇몸(11)과 접촉하는 부분(15b)의 경계이거나 그 상하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외의 실시 조건은 도 7의 설명 부분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은 인공치근 시술 시 주변의 잇몸을 절개하고 복개할 때 생체 또는 인공 연조직을 상기 인공치근에 일체형으로 형성하므로, 골흡수와 잇몸 퇴축이 유발되지 않아 세균의 침투를 막을 수 있고 시술된 인공치근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공치근을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이며, 자연치아의 잇몸을 복구하여 심미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Claims (14)

  1. 치조골에 삽입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의 상단과 결합하고 상기 치조골에 삽입되며, 상부의 상단면 모서리 부분이 전후 부분은 오목하고 좌우 부분은 볼록한 태극 모양의 곡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의 나사보다 피치 및/또는 산 높이가 작고 조밀하게 형성된 조밀 나사부인 다수의 태극 모양의 미세 나사를 갖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상단과 일체형으로 결합한 연조직부
    를 포함하는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삼각나사 또는 사각나사를 포함하는 것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미세 나사는 태극 모양의 곡선 혹은 삼각파 모양의 구조로 형성된 것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미세 나사는 1 ㎛ 내지 25 ㎛의 골깊이, 200 ㎛ 내지 400 ㎛의 피치, 및 상방 0° 내지 5°의 경사진 구조로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미세 나사는 그 평균 표면 거칠기가 1 ㎛ 내지 2 ㎛로 표면처리된 것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는 블라스팅, 에칭 또는 아노다이징의 방법에 의한 것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내 태극 모양은 이중으로 형성된 것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부의 모양은 상기 플랜지의 모양과 같은 것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부의 모양은 귀가 달린 다각형인 것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부의 모양은 상부가 평탄한 것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부의 모양은 파형인 것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부와 상기 플랜지 사이는 상기 플랜지로부터 상부 내측 방향으로 급격하게 만곡되면서 상기 연조직부로 연장되는 잘록한 형태로 형성한 것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와 상기 연조직부와의 사이각(θ)은 10°내지 90°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조직부의 성분은 상기 인공치근부의 성분과 같은 것인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KR1020060027962A 2005-03-28 2006-03-28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KR100712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585 2005-03-28
KR20050025585 2005-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935A KR20060104935A (ko) 2006-10-09
KR100712703B1 true KR100712703B1 (ko) 2007-05-02

Family

ID=37087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962A KR100712703B1 (ko) 2005-03-28 2006-03-28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53064A1 (ko)
KR (1) KR100712703B1 (ko)
WO (1) WO20061099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08612A4 (en) * 2006-04-18 2010-10-27 Saban Francisco Javier Garcia IMPROVED DENTAL IMPLANT
EP1870054A3 (en) * 2006-06-12 2008-05-14 Vilardell Purti, S.A. Dental implant
CN101677845B (zh) * 2007-05-16 2014-03-19 诺贝尔生物服务公司 陶瓷一件式牙植入物
KR200443018Y1 (ko) * 2008-06-18 2009-01-07 주식회사 코텍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ES2657693T3 (es) * 2008-07-24 2018-03-06 Zeev Implants Ltd. Método y sistema para implantación dental
US20100248187A1 (en) * 2009-03-31 2010-09-30 Gc Corporation Dental abutment
GB2473482A (en) * 2009-09-14 2011-03-16 Dental Devices Ltd Ab Jaw bone implant
US10064707B2 (en) * 2011-07-20 2018-09-04 Parsa T. Zadeh Self-osteotomizing bone implant and related method
US9168110B2 (en) 2012-05-29 2015-10-27 Biomet 3I, Llc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enhanced soft-tissue growth featur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097A (ko) 2004-04-16 2005-10-20 주식회사 워랜텍 앞니용 인공치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4268A (en) * 1992-03-03 1994-11-15 Implant Innovations, Inc. Method for installing a dental implant fixture in cortical bone
WO2003047455A1 (en) * 2001-12-03 2003-06-12 Cottrell Richard D Modified dental implant fixture
US20050214714A1 (en) * 2003-05-16 2005-09-29 Wohrle Peter S Dental implant system
KR100649628B1 (ko) * 2004-12-08 2006-11-28 최경수 치과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097A (ko) 2004-04-16 2005-10-20 주식회사 워랜텍 앞니용 인공치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935A (ko) 2006-10-09
US20080153064A1 (en) 2008-06-26
WO2006109935A1 (en)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703B1 (ko) 연조직부와 골조직부가 일체형인 태극 모양 인공치근
KR100841218B1 (ko) 임플란트 장치
US7845945B2 (en) Anchoring element for use in bone
JP5275460B2 (ja) 医療用インプラントおよび植設方法
US8657602B2 (en) Waved implant integrating soft tissue area and osseous tissue area
US20090191508A1 (en) Mini implant
KR101446072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101388185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200456292Y1 (ko) 임플란트 픽스쳐
JP2605165B2 (ja) 人工歯根
CN215306865U (zh) 一种新型口腔种植体结构
US20130059271A1 (en) Implant detector cover screw
KR100929987B1 (ko) 임플란트
RU186260U1 (ru)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KR100742306B1 (ko)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KR100622545B1 (ko) 앞니용 인공치근
CN106667597B (zh) 金属-陶瓷口腔种植体
ES2820346T3 (es) Implante dental
KR200357422Y1 (ko) 플랜지에 이단 홈이 가공된 인공치아의 지대주
WO2017206138A1 (zh) 一种牙种植体
CN113274151B (zh) 双轴即刻种植口腔种植体结构
RU2146113C1 (ru) Остеоинтегрируемый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US20230372067A1 (en) Dental implant for preserving bone and improving osseointegration
CN214484682U (zh) 一种组织水平牙科种植体系统装置
KR200345611Y1 (ko) 치과용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