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306B1 -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306B1
KR100742306B1 KR1020050110246A KR20050110246A KR100742306B1 KR 100742306 B1 KR100742306 B1 KR 100742306B1 KR 1020050110246 A KR1020050110246 A KR 1020050110246A KR 20050110246 A KR20050110246 A KR 20050110246A KR 100742306 B1 KR100742306 B1 KR 100742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screw
bone
implants
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2526A (ko
Inventor
이종석
김정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솔루션
Priority to KR1020050110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306B1/ko
Publication of KR2007005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polymer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31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on-metallic elements or compounds thereof, e.g. carbon
    • A61K6/838Phosphorus compounds, e.g. apat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0Inorganic materials
    • A61L27/32Phosphorus-containing materials, e.g. apat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의 단면이 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뭉툭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스크루를 갖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의 빗면 또는 경사면에 나선형의 미세요철구조 또는 미세나사구조(microthread)를 추가로 형성시킴으로써 골내에 회전 식립할 때 주변 골조직에 영향을 주지않고 무리없이 식립되며 식립 후에도 단위 골조직에 가해지는 모든 방향에서의 응력을 적절히 분산시켜 초기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골조직의 충실한 생성을 촉진함과 동시에 나사산과의 긴밀한 결착을 통하여 더욱 견고한 결합력과 초기 고정을 발휘하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의 임플란트를 통하여 보다 작은 직경의 임플란트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골조직이 부족한 부위에도 사용할 수 있고 잇몸을 젖히는 피판 형성과 드릴링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등, 시술 과정을 현저하게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미세 나사구조

Description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Implant for Dental Prosthesis}
도 1은 일반적인 의치용 임플란트로 인공치아를 식립한 모형도.
도 2는 종래에 사용된 의치용 임플란트의 모형도.
도 3(a)(b)는 본 발명에 따른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의 제 1 실시례.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의 제 2 실시례.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의 제 3 실시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스크루부의 나사의 경사면에 미세나사구조가 형성된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의 제 4 실시례.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의치용 임플란트 20, 30 :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11 : 인공치아(의치) 12 : 악골
21. 31 : 스크루부 22, 32 : 결착부
23, 33 : 크라운부 34 : 절삭날부
35 : 절삭구(cutting groove)
40, 50 : 나사부 41, 42, 51, 52 : 미세나사구조
본 발명은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임플란트는 본래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분야에서는 구강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치아의 뿌리 형태를 갖는 금속을 턱뼈에 심어 뼈와 결착되게 한 다음 인공치아를 이식하기 위한 인공치근 역할을 하는 스크루 형상의 기구를 일컫는다. 그리고 임플란트 시술이란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재료로 만든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시술을 말하며 최근 틀니를 대체하여 크게 각광받는 분야이기도 하다.
의치용 임플란트의 전체적인 구성은 의치시술에 적용되는 의치받침(abutment 또는 implant fixture) 및 의치받침에 결합되는 의치로 구성되며, 시술과정은 치아가 상실된 부분의 턱뼈(악골)에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의치받침을 식립한 후 일정기간 경과 후 의치받침이 식립된 악골과 잇몸조직이 안정되면 미리 식립되어져 있는 의치받침의 상부에 의치를 결합하게 되며, 다른 용어로는 통상 보철용 임플란트라고도 한다.
치아이식은 과거 20세기 초반에 금이나 은ㅇ납ㅇ이리듐ㅇ철ㅇ코발트 합금 등으로 제작한 금속 임플란트가 개발되어 이용되어 오다 1940년대 이후 골막하 임플란트와 티타늄 블레이드 임플란트가 개발되며 대중화되었으나 당시에는 기술적 한계 때문에 수명이 짧고 성공률이 낮았다. 이후 1982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스웨덴의 브로네마르크(Branemark)가 15년 동안 연구한 골유착 임플란트를 발표한 뒤 성공률이 90%를 넘어 세계적으로 널리 대중화되기에 이르렀다. 일반적으로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의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위의 치아 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으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똑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관리를 잘못하면 플러그나 치석 등이 생겨 주위 조직에 염증을 일으켜 치주질환 등을 야기할 수 있고, 또한 재료의 가격이 비싸고 수술 뒤 완치까지 정도에 따라 3??6개월이 소요되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의치받침의 크기는 대체로 치아뿌리와 거의 같은 정도이고 형상은 대체로 의치를 수용할 수 있는 실린더형이거나 또는 하부가 어느 정도 두께를 갖는 상광하협의 원추형을 이루기 때문에 그 자체에 형성된 스크루만을 이용하여 턱뼈에 심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먼저 드릴로 턱뼈에 적절한 크기의 구멍을 형성한 후, 구멍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tapping), 상기 형성된 구멍과 나사산에 의치받침을 밀어 넣어 고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크루 하단에 절삭날을 형성하여 적절한 크기의 구멍을 형성한 후, 구멍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과정을 생략한 채, 자체 탭핑형식으로 고정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다. 의치용 임플란트는 악골에 식립되어 음식물을 씹을 때 사용되는 것이므로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는 것은 주로 상하 수직방향이다. 따라서 의치용 임플란트의 구성은 이러한 수직방향의 힘에 잘 견딜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 특징이며, 의치용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악골의 구조를 보면 악골을 둘러 싼 외각부는 단단한 골 조직층(dense cortical bone layer)으로 되어 있는 반면에 악골의 내부는 연약한 조직(cancellous, soft spongy bone)으로 되어 있으며 의치받침은 그 양단이 악골의 외각부에 맞닿는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공치아 이식시 가장 많은 장애를 주는 요인은 다른 여러 가지 요인도 있겠지만 골의 양의 부족을 가장 흔하게 접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의 대부분은 골의 흡수현상에 기인하며 그 외에 골 형성의 장애로 인하여 치조골의 폭과 높이의 부족으로 이 부위에 인공치근을 식립할 때 인공치근의 노출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특성상 의치용 임플란트는 식립 후 초기 고정력이 매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여 왔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초기 고정력을 증가시키려는 노력이 시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술 후 오래지 않아 임플란트가 탈락하고 마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원인은 임플란트가 골내에 식립된 후 파괴된 주변의 골조직이 다시 형성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지지와 적절한 응력을 통한 골형성 촉진(stimulation)이 필요한데 이러한 응력이 주로 임플란트의 나사 끝단에서 발생하는데도 제한된 나사 끝단의 수로 인하여 새로운 골조직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나사의 경사면에 의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전단 응력(shear stress)은 골형성에 매우 해로 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즉, 임플란트의 스크루에는 지속적으로 힘이 가해지고 작은 외력에 의한 미소거동(micro-movement)에 대해서도 골조직이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응력을 스크루 전체로 골고루 분산시키는 것과 전단 응력 발생을 최소로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임플란트 스크루의 경우 나사의 경사면 또는 옆면에 발생하는 전단력과 나사산의 수가 제한적이어서 응력의 집중이 일어나 골세포의 형성과 흡수 메카니즘의 균형이 깨어져 주위 골조직에 나사산이 흡수되는 부작용이 발생하여 결국 임플란트가 고정되지 못하고 탈락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였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의 일환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2-45638에는 지대치영역과 인공치근영역 사이의 결착부위는 나사구조로 형성하되 인공치근영역에 식립되어지는 임플란트 스크루부는 나사의 단면을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나사의 단면을 사다리꼴 또는 사각형으로 할 경우 초기 고정이 우수하고 측방향의 압력과 수직방향의 압축력에는 내구성이 강하다는 장점을 갖지만 골조직에 접하는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지 않고 나사산의 끝단에만 골이 형성되어 골조직의 형성과 중장기 고정력이 개선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 공고번호 20-204815에는 턱뼈에 식립되는 어바트-픽스츄어의 수나사부에 레이저로 다수의 미세한 돌기를 형성하여 턱뼈와 어바트-픽스츄어간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임플란트의 지지력을 강화시키는 기술이 공지된 바 있으나, 이 때 미세한 돌기들은 수나사부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임플란트의 회전방향을 고려한 것이 아니어서 시술시 주변의 골조 직을 필요이상으로 파괴한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의치용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력과 중기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최적의 임플란트 구성은 특별히 제안되지 않았으며 결국 초기 식립 후 수개월을 기다려 임플란트가 골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기다려 시술을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또한 교합력(씹는 힘)을 견디어야 하므로 종래에는 3mm 이상의 굵은 직경의 임플란트를 사용해야 했는데, 이를 위해서는 적어도 5mm 이상의 공간이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5mm 이하의 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에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아 수복이 불가능하고, 건강한 인접 치아를 삭제하고 종래 일반 보철 치료를 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스크루부의 나사의 나사골로부터 끝단면에 이르는 경사면에 나선형의 미세요철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골내에 식립할 때 임플란트의 회전방향과 상기 미세요철구조의 결방향을 일치시켜 별도의 부가적인 과정 없이 식립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이와 함께 주변 골조직의 파괴를 방지하고 식립 후에도 치조골과 임플란트 스크루부 나사와의 긴밀한 결착과 증가된 결착면적의 증가로 인한 골조직에 유해한 경사면에서의 전단응력의 발생을 최소화 하고 수직력 뿐 아니라 수평력과 비스듬한 방향에서의 모든 힘을 잘 분산시킬 수 있음으로써 임플란트 시술후 치조골과의 초기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중기 안정성과 지지력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세요철구조는 미세나사구조(micro thread)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안정성과 지지력을 높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임플란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5mm 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서도, 골조직이 부족한 부위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시술후 환자의 불편감을 증가시키는 잇몸을 젖히는 피판 형성을 생략하면서 동시에 골내에 유해한 외과적 외상을 주는 드릴링 작업을 생략하거나 최소로 하면서 식립이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는 상부에 인공치아가 고정되는 크라운부, 악골에 식립되는 하부의 스크루부, 그리고 상기 크라운부와 스크루부 사이에 형성된 골조직 부착대인 결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루부 나사의 끝단면은 뭉툭한 형상이거나 삼각형 혹은 사다리꼴로 되고 상기 나사의 나사골로부터 끝단면에 이르는 경사면에는 나선형의 미세요철구조가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미세요철구조는 미세나사구조(micro thread)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미세나사구조는 나선형으로 되어 임플란트의 회전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나사구조는 그 단면이 계단형상이거나 또는 곡선파형으로 형성하며, 이때 상기 미세나사구조는 인산칼슘 또는 인산칼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인산염 또는 생체적합적 다공성 폴리머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식립 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스크루부 하부에는 절삭날부가 형성될 수도 있고, 상대적으로 3mm 미만의 가는 직경의 임플란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는 잇몸을 젖히는 피판 형성을 생략하고 드릴링 과정을 최소화하거나 생략하기 위해 스크루 하부에는 날카로운 끝단과 절삭을 위한 절삭구(35; cutting groove)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인공치아 시술에 있어 임플란트 식립 시 미세 요철구조가 골조직에 물려 들어감으로써 식립 시 초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식립 후에도 임플란트 스크루 나사부에 미세하게 형성된 미세요철구조 또는 미세나사구조에 의해 수직방향 및 측방향을 포함하는 모든 방향에서 작용하는 압력의 적절한 분산을 통하여 임플란트의 스크루 나사부와 치조골이 조기에 긴밀히 일체화되는 것을 용이하도록 하여 임플란트 시술 후 중기고정력을 향상시켜 치조골로부터 임플란트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며, 치조골에 임플란트가 정착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켜 임플란트와 치조골의 계면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의치용 임플란트(10)가 악골(12)에 식립되어 인공치아(11)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시술방법은 적절한 위치에 잇몸을 열고 임플란트를 심은 후, 잇몸을 덮어 고정시키고 뼈가 아물기까지 하악은 3~4개월 정도, 상악은 5~6개월 정도 기다렸다가 정해진 기간이 지난 후에 덮인 잇몸을 열어 인공치아 복구를 위한 기둥(Post)을 세우고 잇몸이 아문 후에 그 기둥 위에 인공치아를 부착함으로써 완성되는 것이다.
도 2는 상부에 인공치아가 고정되는 크라운부(23), 악골에 식립되는 하부의 스크루부(21), 그리고 상기 크라운부와 스크루부 사이에 형성된 골조직 부착대인 결착부(22)로 구성되고 스크루부(21) 나사의 끝단면이 날카로운 예각의 삼각형으로 된 종래의 의치용 임플란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임플란트는 일종의 나사로서 나사산과 나사골이 교대로 반복 형성되어 나선 형상을 갖는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와 같이 스크루의 나사부 끝단이 날카로울수록 식립작업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의치용 임플란트의 경우 소형의 치열교정용 임플란트와 달리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고 또한 악골에 수직방향으로 식립되므로 어느 정도의 드릴링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미리 드릴링되어 뚫려있는 자리에 날카로운 나사산을 가져야 할 필요는 반감되며 오히려 식립 후 날카로운 나사산 끝단에 응력이 쉽게 집중될 수 있어 측방향 압력에 취약하게 되어 임플란트 주위로 새로운 골조직이 형성되는데 장애가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에 의해 작은 직경의 임플란트도 사용이 가능하고, 이때는 드릴링 과정을 생략하거나 드릴링 과정을 최소로 하면서 식립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잇몸을 여는 피판 형성을 생략하거나 단순화할 수도 있다.
도 3(a)는 끝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된 나사부(40)의 경사면에 계단모양의 미세요철구조(41)를 형성시킨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30)에 관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나사부의 끝단면을 삼각형 형상으로 한 도 2의 삼각나사구조를 갖는 임플란트(20) 나사부의 경사면에 미세요철구조(41)를 형성시킬 경우 임플란트 식립 후 수직방향 및 측방향으로의 압력에 저항하는 전단력이 발생하여 임플란트의 고정 및 환자의 고통감각에 영향을 주는 미세거동까지 방지하며, 골조직과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넓어진 접촉면적의 증대로 인하여 새로운 골조직의 생성을 촉진하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 미세요철구조(41)는 임플란트를 회전시켜 식립할 때 그 회전방향과 일치하도록 3~4개의 나선형으로 형성하되 나선형 미세나사구조(microthread)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세나사구조의 개수는 필요에 의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나선형의 미세나사구조로 인하여 요철형상을 갖더라도 회전식립 시 주변의 골조직을 파괴하지 아니하고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여기서 상기 미세나사구조는 끝단면이 날카로운 계단모양 외에 도 3(b)와 같이 곡선파형(42)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나사부의 나사골로부터 끝단면에 이르는 경사면 뿐만 아니라 끝단면에도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4(a)는 끝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된 나사부(40)의 나사골로부터 끝단면에 이르는 경사면에 계단모양의 미세요철구조(41)를 형성시킨 임플란트(30)에 관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나사부의 끝단면을 사다리꼴 형상으로만 할 경우, 도 2의 삼각나사구조를 갖는 임플란트(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초기고정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측방압과 수직압에 잘 견딘다는 장점은 있으나 골조직 내에서 표면적을 최대한 확보한다는 점에서는 미약하고 결국 나사산의 끝단에만 골이 형성되어 안정적인 중기 고정력을 확보하는데 다소 기일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의 식립 직후에는 임플란트 스크루부 주위에 임플란트의 삽입으로 인한 골조직의 손상이 있게 마련이다. 그리고 이러한 골조직은 어느 정도 충분한 시간이 지나야 새로운 골조직이 생성되고 주위의 장애물과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이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식립된 임플란트의 움직임은 나사산 끝단에 응력이 작용하고 나사의 빗면부는 매끄러운 상태이므로 전단응력이 거의 작용하지 아니하고 나사산의 끝단의 좁은 면적 부분에 집중응력이 발생하여 주위의 골조직을 쉽게 파고들어 임플란트 자체의 고정력이 감소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결국 임플란트의 탈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상기 도 4(a)와 같이 나사부의 경사면에 미세요철구조(41)를 형성시킬 경우 임플란트 식립 후 수직방향 및 측방향으로의 압력에 저항하는 전단력이 발생하여 임플란트의 고정 및 환자의 고통감각에 영향을 주는 미세거동까지 방지하며, 골조직과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넓어진 접촉면적의 증대로 인하여 새로운 골조직의 생성을 촉진하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 미세요철구조(41)는 임플란트를 회전시켜 식립할 때 그 회전방향과 일치하도록 3~4개의 나선형으로 형성하되 나선형 미세나사구조(microthread)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세나사구조의 개수는 필요에 의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나선형의 미세나사구조로 인하여 요철형상을 갖더라도 회전식립 시 주변의 골조직을 파괴하지 아니하고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여기서 상기 미세나사구조는 끝단면이 날카로운 계단모양 외에 도 4(b)와 같이 곡선파형(42)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나사부의 나사골로부터 끝단면에 이르는 경사면 뿐만 아니라 끝단면에도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의 또 다른 제 3 실시예로서, 스크루 나사부의 끝단면 형상이 도 3, 4와 달리 원형의 뭉툭한 곡면으로 형성된 스크루 나사부(50)의 나사골로부터 끝단면에 이르는 경사면에 계단모양의 미세나사구조(51)가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에서 스크루 나사부의 나사골로부터 끝단면에 이르는 경사면에 곡선파형의 미세나사구조(52)가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스크루부 제조 시의 다양한 설계변경을 허용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형상변경에 의하더라도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목적과 작용효과는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미세나사구조는 인산칼슘 또는 인산칼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인산염 또는 생체적합적 다공성 폴리머로 코팅되도록 하여 치조골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산칼슘 또는 인산칼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인산염 자체는 생체적합적 물질로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생체적합적 다공성 폴리머 또한 많은 문헌을 통해 공지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스크루부 하단에는 식립 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절삭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3mm 미만의 가는 직경의 임플란트를 사용할 있으므로 드릴링 과정을 최소화하거나 생략하기 위하여 스크루 하부에는 날카로운 끝단과 절삭을 위한 절삭구(3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인공치아 시술에 있어 임플란트 식립 시 스크루 나사부의 미세 요철구조가 골조직에 물려 들어감으로써 식립 시 초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식립 후에도 임플란트 스크루 나사부에 미세하게 형성된 미세요철구조 또는 미세나사구조에 의해 수직방향 및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의 적절한 분산을 통하여 전단응력으로 골고루 분포시킴으로써 나사부 끝단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미세요철구조 또는 미세나사구조의 존재로 인하여 골조직과의 접촉 표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임플란트의 스크루 나사부와 치조골이 조기에 긴밀히 일체화되는 것을 용이하도록 하여 임플란트 시술 후 중기고정력을 향상시켜 치조골로부터 임플란트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며, 가해지는 응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골형성을 촉진함으로써 치조골에 임플란트가 정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켜 임플란트와 치조골의 계면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골내에 식립되는 스크루 형태의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부 나사의 끝단면은 사다리꼴 형상 또는 원형의 곡선파형으로 되고 상기 나사의 나사골로부터 끝단면에 이르는 경사면에는 임플란트의 회전방향과 일치하는 나선형의 미세나사구조(micro thread)가 인산칼슘 또는 인산칼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인산염 또는 생체적합적 다공성 폴리머로 코팅되어 다수 형성되며, 상기 스크루부 하부는 날카로운 끝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나사구조는 그 단면이 계단형상이거나 또는 곡선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골내에 식립되는 스크루 형태의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부 나사의 끝단면은 날카로운 예각의 삼각형 형상으로 되고 상기 나사의 나사골로부터 끝단면에 이르는 경사면에는 임플란트의 회전방향과 일치하는 나선형의 미세나사구조(micro thread)가 인산칼슘 또는 인산칼륨으로부터 선택되는 인산염 또는 생체적합적 다공성 폴리머로 코팅되어 다수 형성되며, 상기 스크루부 하부는 날카로운 끝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9. 삭제
  1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부 하부의 날카로운 끝단 측면에 절삭날부 또는 절삭구(cutting groove)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KR1020050110246A 2005-11-17 2005-11-17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KR100742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246A KR100742306B1 (ko) 2005-11-17 2005-11-17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246A KR100742306B1 (ko) 2005-11-17 2005-11-17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526A KR20070052526A (ko) 2007-05-22
KR100742306B1 true KR100742306B1 (ko) 2007-07-25

Family

ID=3827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246A KR100742306B1 (ko) 2005-11-17 2005-11-17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3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5428A1 (ko) * 2010-07-06 2012-01-12 (주)덴토스 표면처리된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플란트 및 그 제조방법
CN102307538B (zh) * 2009-02-09 2014-01-01 李道相 具有经过改良的植入结构的种植体夹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695B1 (ko) * 2008-10-01 2012-04-19 이도상 개량된 매식구성을 갖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077A (ko) * 2003-05-01 2004-11-09 학교법인 영남학원 칼슘 메타포스페이트로 코팅된 치과용 금속 임플란트 및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077A (ko) * 2003-05-01 2004-11-09 학교법인 영남학원 칼슘 메타포스페이트로 코팅된 치과용 금속 임플란트 및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7538B (zh) * 2009-02-09 2014-01-01 李道相 具有经过改良的植入结构的种植体夹具
WO2012005428A1 (ko) * 2010-07-06 2012-01-12 (주)덴토스 표면처리된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플란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526A (ko) 200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8473B2 (en) Immediate provisional implant
JP4747240B2 (ja) 骨に使用するための固定要素
JP5275460B2 (ja) 医療用インプラントおよび植設方法
RU2612487C2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US6527554B2 (en) Natural implant system
JP4212239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JP4417957B2 (ja) 骨内インプラント
US20060199152A1 (en) Natural implant system
JP2007502648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EP1467674B1 (en) Dental implant system
US20090202963A1 (en) Expandable polymer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KR100938991B1 (ko) 미니 임플란트.
JP5259557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
KR100742306B1 (ko) 골내 매식용 임플란트
KR100929987B1 (ko) 임플란트
JP5450046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フィクスチャー
KR200444952Y1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372093B1 (ko) 루우트 스크류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KR20130096341A (ko) 임프란트용 곡면 픽스처
EP4295809A1 (en) Oroantral prosthetic attachment
KR20190043697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20230372067A1 (en) Dental implant for preserving bone and improving osseointegration
Bhat et al. Self-Tapping Implants: Clinical Review
KR101033175B1 (ko)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 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
WO2024062492A1 (en) Dental implant system for enhancing secondary st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