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628B1 -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628B1
KR100649628B1 KR1020040103165A KR20040103165A KR100649628B1 KR 100649628 B1 KR100649628 B1 KR 100649628B1 KR 1020040103165 A KR1020040103165 A KR 1020040103165A KR 20040103165 A KR20040103165 A KR 20040103165A KR 100649628 B1 KR100649628 B1 KR 100649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abutment
bone
dental
soft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348A (ko
Inventor
최경수
Original Assignee
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수 filed Critical 최경수
Priority to KR102004010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628B1/ko
Publication of KR2006006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with platform switching, i.e. platform between implant and abu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에 있어서, 임플란트 상단의 정면부 및 배면부는 침강된 형태이고 임플란트 상단의 양쪽 측면부는 융기된 형태인 스칼로프(scallope) 형태를 가지고, 임플란트의 표면은 거칠기를 가지며 수평형 그루브 또는 나사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
도 1a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일 구현예의 정면도 또는 배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일 구현예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가 지대치부 및 보철물이 부착된 형태의 정면 모식도 또는 배면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가 지대치부 및 보철물이 부착된 형태의 측면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임플란트를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지대치부와 결합시키고 보철물까지 장착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실제 사람의 악골에 식립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치조골 및 연조직의 분포 상태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a 중에서 임플란트와 지대치부가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연결된 부위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임플란트
2: 지대치부
3: 보철물
4: 치조골
5: 연조직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된 치아 보철물 하부에 치조골 및 연조직이 자연 상태의 높낮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분야에서 사용되는 임플란트란 구강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의 턱뼈에 식립함으로써 뼈와 유착되는 치아의 뿌리 형태를 갖는 금속 구조물을 말한다.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5235호 및 특허공개 제1999-009886호가 참조될 수 있다.
임플란트는 그 식립 위치에 따라 골막하 임플란트, 골내 임플란트, 골관통형 임플란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임프란트의 외형에 따라 나사형 임플란트, 실린더형 임플란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임플란트는 인접 치아를 깎을 필요가 없고, 잇몸 뼈가 흡수되는 것을 막아 기능 및 심미적으로 우수한 보철물을 만들 수 있으며, 말하거나 웃을 때, 또는 식사시 틀니가 탈락되는 일이 없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치과치료의 영역으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으며 그 보급 또한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지금까지의 임플란트의 발전에는 치조골의 유지와 치조골과의 유착(osseointegration)을 높이기 위해 임플란트의 표면을 처리하여 과거의 매끄러운 표면(smooth surface) 처리에서 거친 표면(rough surface) 처리로 발전해 왔고, 아무런 그루브(groove)이나 나사선(thread)이 없는 원통형(cylinder)의 구조에서 현재의 거의 모든 치과용 임플란트가 그루브나 나사선이 있는 임플란트 구조로 발전되어왔다 (Brunski JB: Biomaterials and biomechanics in dental implant design.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8;3:85-97; Lozada JL, Abbate MF, Pizzarello FA, James RA.: Comparative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wo finite element endosseous implant desgins, J Oral Implatol 1994;20(4):315-321). 이러한 거친 표면처리 방식과 표면의 나사선을 갖는 형태로의 발전으로 인해 치조골이 임플란트에 더욱 안정적인 골유착(osseointegration)을 이루었고, 치조골의 유지를 향상시겼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및 형태의 변화는 임플란트의 안정적인 골유착 및 치조골 유지의 향상으로 인해 안정적인 임플란트의 골내로의 식립에는 발전을 가져왔으나, 치아가 가지고 있는 기능적인 측면 이외에도 심미적 측면이 중요한 오늘날의 요구는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아가 없는 부분에 보철물 유지만을 위해 만들어져서 임플란트의 상부 구조는 아무런 높낮이의 차이 없이 일정한 높를 갖도록 제작되었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는 치아가 전혀 없는 무치아 환자를 위해서 만들어진 구조로 현재까지 유지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높낮이 없이 균일한 높이를 갖는 임플란트의 구조는 심미적인 요소가 필요 없고 기능만 필요한 구강 내의 보철적 회복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심미적으로 예민한 곳의 보철적 회복에는 많은 단점이 있다. 심미적 요소가 중요한 구강내 상악 전치부 연조직(soft tissue)의 높이를 보면 높고 낮음이 있고, 연조직을 지지하는 치조골(alveolar bone)또한 이에 따른 높낮이가 있다. 이런 높낮음이 고려되어있지 않은 기존의 치과용 임플란트로 시술을 할 경우에는 시술 후에 보철물 주의의 연조직 또한 높낮음 없이 형성되어 원래의 자연스런 잇몸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심미적 요소가 중요한 전치부의 복구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심미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임플란트로서 임플란트의 상단에 높낮이를 부여한 임플란트가 개발되었다(Wohlre PS: Nobel perfect esthetic scalloped implant:rationale for a new design. Clin Implat Dent Relat Res 2003;5 Suppl 1:64-73). 상기 임플란트는 그 표면만을 거칠게 해서 치조골의 높낮이를 유지를 도모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표면처리만으로는 실제 환자에게 식립이 이루어졌을 때, 저작력에 의한 임플란트 주위의 골흡수가 필연적으로 일어난다(Hansson S, The implant neck smooth or provided with retention elements. Cli Oral Implant Res 1999;10: 394-405; Sennerby L, Roos J. Surgical determinant of clinical success of osseointegrated oral impla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Perio Rest Dent 1998;11:408-420; Wiskott HWA, Belser UC. Lack of integration of smooth titanium surfaces a working hypothesis based on strain generated in the surrounding bone. Clin Oral Implant Res 1999;10:429-444). 따라서 초기에 치조골의 심미적인 높낮이가 상기 스칼로프 임플란트 주위에 형성되어도 보철물의 저작력으로 인한 임플란트 주위의 골흡수가 일어나고, 그에 따라 치조골 및 연조직이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있지 못하여 연조직 및 치조골의 높낮이 유지가 이루어지지 않아, 당초 도달하고자 했던 심미적 기능이 이루지지 않는다.
한편, 종래에는 치과용 임플란트와 그와 결합되는 지대치의 연결부분의 접점에서의 임플란트의 외직경과 지대치부의 직경이 동일하여 임플란트와 지대치부의 연결부분이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매끈한 형태였다. 그러나 이런 구조는 연조직(soft tissue)의 임플란트와의 융합을 보다 증강시키는데 있어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서, 연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설계이다.
또한 많은 임플란트와 지대치와의 연결부분은 수직적, 수평적으로만 되어있다. 이런 형식의 연결방식은 저작력의 압력을 임플란트 주위골에게 집중시켜 골흡수를 일으킨다.
상기 스칼로프 형태의 임플란트 또한 표면에 거칠기만을 갖도록 처리되어 있을 뿐이며 상기와 같이 임플란트와 결합되는 지대치의 연결부분의 접점에서 임플란트 및 지대치의 직경이 동일한 것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연결부분의 접점에서 지대치와 임플란트의 직경에 차이를 두는 형태는 아니며, 이러한 구조는 저작력으로 인한 압력을 그대로 주위에 있는 골에게 전달해 골흡수를 발생시켜 치조골 및 연조직을 자연스런 형태의 높낮이를 갖도록 유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적인 치아 주위의 연조직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연조직을 형성시키고 장기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철적 회복만이 아닌 심미적인 기능까지 보강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플란트 상단의 정면부 및 배면부는 침강된 형태이고 임플란트 상단의 양쪽 측면부는 융기된 형태인 스칼로프(scallope) 형태를 가지고, 임플란트의 표면은 거칠기 및, 수평형 그루브 또는 나사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상기 임플란트는 그 임플란트의 스칼로프 상단과 맞물리는 형태의 하단을 갖는 지대치부와 결합되어 임플란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대치부의 하단이란 임플란트와 연결되었을 때 임플란트 상단과 경계를 이루는 선을 가리킨다.
상기 임플란트의 바깥 표면 중 상단의 융기된 부분은 임플란트 상부의 침강과 융기된 형태의 부분에는 작은 나사선 (micro threads) 또는 마이크로 그루브 (micro groove)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하부에는 골유착에 도움이 되는 일반적인 나사선 형태를 갖는다
상기 임플란트 표면 중 상단의 스칼로프 형태를 갖는 주변은 그루브 또는 나사산 간의 간격이 0.2 내지 0.8 mm인 마이크로 그루브 또는 마이크로 나사산을 갖고, 임플란트의 하부는 골유착에 도움이 되는 일반적인 크기의 간격을 갖는 나사선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에 형성된 스칼로프 형태는 침강된 부분의 최저점과 융기된 부분의 최고점 간의 높이가 3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존재하는 치조골의 형태나 모양, 그에 따른 연조직의 상태, 임플란트의 크기나 구강내의 위치에 따라 높이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지대치부의 하단은 그 직경이 상기 임플란트 상단의 직경보다 작아 상기 지대치부 및 상기 임플란트가 플랫폼 스위칭(platform switching)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대치부의 하단의 아랫 부분은 상기 임플란트 내부에 원뿔형으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플란트는 바깥 표면이 거칠기를 가지며, 이러한 표면의 거칠기는 블라스팅, 엣칭 공법에 의한 함몰부의 형성으로 생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이러한 방법으로만 표면치리가 한정되어 있지 않고, 골유착 (osseointegration)을 유도하는 생체학적 방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플란트는 어떠한 치아을 회복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나, 치아의 회복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 심미적 기능까지 갖춘 임플란트이므로 미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전치부에 사용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상단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지 않고 인간의 본래의 치아 주변의 연조직의 높이의 차이에 맞추어 임플란트 상단의 높낮이에 변화를 갖는 것과 임플란트의 표면이 거칠기, 및 수평형의 그루브 또는 나사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인간의 전치부는 연조직의 높이가 균일한 것이 아니라 차이가 있고, 연조직의 높이 차이에 따라 연조직을 지지하는 치조골 또한 높이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임플란트의 상단의 높이에 변화를 주어 인간 본래의 연조직의 구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짐으로서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던 연조직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복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복구되는 연조직이 본래의 상태와 유사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인간의 치아 주변의 연조직의 모양과 유사하도록 그 상단의 높이를 달리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는 그 상단이 정면부 및 배면부는 침강된 형태이며, 양쪽의 측면부는 융기된 형태의 스칼로프 형태를 갖는다. 상기 임플란트에서 융기된 부분 중 최고점과 침강된 부분 중 최저점 간의 높이의 차이는 3 mm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인간이 본래 가질 수 있는 치아 주위의 연조직의 높이 차이 범위에 해당한다. 그러나 임플란트 상단의 높이 차이는, 인간치아주위의 연조직높이에 범위가 있는 것 같이, 존재하는 치조골의 형태나 모양, 그에 따른 연조직의 상태, 임플란트의 크기 구강내의 위치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의 상단의 높이 차이에 의해 임플란트 시술 시 생성되는 연조직은 본래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임플란트의 상단의 높이 차이만으로는 그 높이 차이에 따라 연조직이 생성될 수는 있겠으나, 연조직이 그 형태를 그대 로 유지하기는 어렵다. 이는 임플란트가 시술된 이후에 사람이 보철물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저작력에 의해 임플란트가 힘을 받아 악골에 흡수되거나 치조골 및 연조직과의 안정적 유착이 깨져 치조골과 연조직이 안정적으로 임플란트 주변에 고정되어 있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연구 노력한 끝에 놀랍게도 상기 임플란트의 표면에 거칠기 및 수평형의 그루브 또는 나사산을 함께 도입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임플란트의 골흡수 및 연조직의 안정적 유지의 붕괴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스칼로프 형태의 상단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표면에 거칠기 및, 수평형의 그루브 또는 나사산이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칠기는 예를 들어 블라스팅, 에칭 공법에 의한 함몰부의 형성으로 생성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표면에 도입되는 수평형 그루브나 나사산은 임플란트 상부의 스칼로프 형태 부근에서는 특히 수평형 마이크로 그루브나 마이크로 나사선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한 수평형 마이크로 그루브나 마이크로 나사선은 간격이 0.2 mm - 0.8 mm, 나사산 또는 그루브 폭이 0.1 mm 내지 0.4 mm일 수 있다. 수평형 마이크로 그루브 또는 마이크로 나사선이 형성되는 임플란트 상부의 길이는 특별히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며 스칼로프 형태대로 연조직이 잘 결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칼로프 주위에 형성되어 있기만 하면 된다. 또한, 이러한 마이크로 그루브 또는 마이크로 나사선의 폭, 높이, 각도는 임플란트의 직경의 크기, 길이, 표면거칠기의 정도, 구강 내 위치, 치조골의 상태 등에 따라 저작력의 분산을 최대화하기 위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의 스칼로프 형태 부근이 아니 중간부 및 하부의 표면에는 임플란트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간격 및 길이의 나사산 또는 수평형 그루브가 골유착을 안정적으로 이루는 모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부의 마이크로 나사선(micro threads)이나 마이크로 그루브(micro groove)는 임플란트의 식립 시술시 임플란트와 치조골의 초기고정을 도울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가 저작력을 받을 때 생기는 압력을 분산시켜 임플란트가 주위의 치조골에 의해 흡수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임플란트의 일 구현예를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었다. 도 1a는 임플란트의 정면도 또는 배면도이며, 도 1b는 임플란트의 측면도에 해당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의 정면 및 배면에서는 침강된 형태를 가지며 측면에서는 융기된 형태를 갖는다. 도 1a 및 1b에 나타낸 a 지점이 융기된 부분의 최고점에 해당하고, b 지점이 침강된 부분의 최저점에 해당한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수직 거리에 해당하는 c가 융기된 부분의 최고점과 침강된 부분의 최저점의 높이차에 해당하며, c는 3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a 및 1b에 나타낸 임플란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거칠기 및 나사산을 가지고 있으며, 임플란트의 상부 (f)는 중간부 및 하부보다 간격 및 폭이 더 좁은 마이크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지대치부와 결합되어 보철물의 고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지대치부는 상기 임플란트가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 하단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가 갖는 스칼로프된 상단과 맞물리도록 제작되고, 그 하단 아래 로 지대치부가 임플란트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지대치부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에 고정시 플랫폼 스위칭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폼 스위칭이란 어느 한 요소와 다른 한 요소가 서로 결합을 형성할 때 어느 한 요소의 연결부의 직경이 다른 요소의 연결부의 외직경보다 작고 내직경과 같아 작은 직경을 갖는 요소가 큰 직경을 갖는 요소에 결합된 결과 연결부위에 v자 형의 홈을 갖는 둘레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방식이다. 그리고 그 직경의 차이만큼 연결접합 부분이 외직경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방식을 말한다. 발명에서 지대치부는 이러한 플랫폼 스위칭 방식으로 임플란트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랫폼 스위칭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임플란트 및 지대치부가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위에 v자 형의 홈을 갖는 둘레거리만큼 연결부분이 치조골과 떨어져 있어, 임플란트 상에 연조직이 유지되는 것이 더욱 최적화될 수 있다. 이는 플랫폼 스위칭 방식에 의해 지대치부가 임플란트에 연결되면 그 연결부에 생성되는 v자형의 홈으로 연조직 더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어 연조직의 유지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지대치부는 지대치부 하단의 아랫부분이 임플란트의 내부에 원뿔형으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에 지대치부가 고정되고 그 위에 보철물이 고정되어 치아의 재생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세가지의 요소가 모두 결합된 형태의 모식도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에 지대치부와 보철물이 장착된 형태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의 정면도 또는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그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임플란트 및 그에 결합되는 지대치부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임플란트 (1)의 상단은 정면 및 배면이 침강된 형태이고, 측면은 융기된 형태를 갖는 스칼로프 형태이다. 또한, 도 2a 및 도 2b의 임플란트 (1)의 표면은 융기된 부분이나 침강된 부분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거칠기 및 나사산을 갖는다. 도 2a 및 2b에는 나사산의 형태로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수평한 그루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나사산은 임플란트의 상부 (f)는 스칼로프 형태의 부근에서는 중간부 및 하부보다 나사산의 간격 및 나사산의 폭이 더 좁은 마이크로 나사산을 갖는다. 이러한 거칠기 및 나사산 또는 그루브는 상기 임플란트 (1)이 악골에 식립될 때 상단이 스칼로프 형태인 임플란트 (1)에 치조골 (4) 및 연조직 (5)의 융합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본래 환자가 가지고 있었던 잇몸의 모양과 유사한 스칼로프 형태의 임플란트 상단에 연조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자연스런 잇몸이 보철물 주위에 새성될 수 있는 것이다.
임플란트 (1)은 지대치부 (2)가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랫폼 스위칭은 결합 부위에서 v자형의 홈이 생성되는데, 도 2a 및 도 2b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대치부와 임플란트의 연결부에서의 지대치부와 임플란트의 직경의 차이로 인해 플랫폼 스위칭이 생성되고, 그러한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생성되는 v자형의 홈은 임플란트 (1)을 식립할 경우 임플란트 (1) 주위에 생성되는 연조직이 임플란트에 더욱 긴밀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플랫폼 스위칭에서 생성되는 v자형 홈이 어떻게 연조직이 임플란트에 더욱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지는 도 3을 참조하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1)을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지대치부와 결합시키고 보철물까지 장착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실제 사람의 악골에 식립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치조골 및 연조직의 분포된 상태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플란트 (1)을 악골에 식립하고 지대치부 (2)를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결합시킬 경우, 임플란트 주위로 치조골이 위치하고 치조골 주위에 존재하는 연조직이 임플란트와 지대치부 사이에 형성된 v자형 홈으로까지 분포하게 되어 임플란트 및 지대치부 하단에 연조직이 더욱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되며, 그리하여 임플란트는 치조골 및 연조직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도 2a 중에서 임플란트 (1)과 지대치부 (2)가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연결된 부위만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d)는 지대치부 (2)의 하단의 외직경 또는 임플란트 (1)의 상단의 내직경을 나타내며, (e)는 상기 임플란트 (1)의 상단의 외직경을 나타낸다. 플랫폼 스위칭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e)가 (d)보다 긴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임플란트 (1)은 지대치부 (2)와 연결 시 지대치부 (2)의 하단의 아랫부분이 임플란트 (1)에 원추형의 형태로 접합되어 있다. 이것은 도 2a 및 2b에 점선으로 나타낸 지대치부 (2)의 하단의 아랫부분을 보면 알 수 있다. 지대치부의 연결이 원뿔형의 각도로 연결이 되면, 임플란트가 저작력으로 받는 수평적 압력이 치조골이 더 견딜 수 있는 방향인 수직으로 전환되어, 임플란트주위의 골흡수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임플란트의 상단이 인간의 본래의 잇몸 모양과 유사한 형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정면부 및 배면부는 침강된 형태이고 측면부는 융기된 형태인 스칼로프 형태이며, 이러한 형태로 연조직 및 치조골이 안정적으로 융합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임플란트의 표면 전체에 거칠기 및, 수평형의 그루브 또는 나사산을 도입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 임플란트에 지대치부를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부착시켜 연조직이 지대치부와 임플란트 사이에 형성된 v자형 공간으로 더욱 증식하여 임플란트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잇몸의 형성이 임플란트의 스칼로프 형태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술 시 인간의 본래의 잇몸 모양과 유사하게 잇몸을 안정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어 심미적 요소가 더욱 보강된 임플란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에 있어서, 임플란트 상단의 정면부 및 배면부는 침강된 형태이고 임플란트 상단의 양쪽 측면부는 융기된 형태인 스칼로프(scallope) 형태를 가지고, 임플란트의 표면은 거칠기 및, 수평형 그루브 또는 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은 지대치부의 하단과 맞물려서 결합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지대치부 하단의 직경이 상기 임플란트 상단의 외직경보다 작아 상기 지대치부 및 상기 임플란트가 플랫폼 스위칭(platform switching)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표면 중 임플란트의 상부는 그루브 또는 나사산 간의 간격이 0.2 내지 0.8 mm인 마이크로 그루브 또는 마이크로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 중에서 침강된 부분의 최저점과 융기된 부분의 최고점 간의 높이가 3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치부가 지대치부 하단의 아랫부분이 상기 임플란트 내에 원뿔형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전치부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
KR1020040103165A 2004-12-08 2004-12-08 치과용 임플란트 KR100649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65A KR100649628B1 (ko) 2004-12-08 2004-12-08 치과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65A KR100649628B1 (ko) 2004-12-08 2004-12-08 치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348A KR20060064348A (ko) 2006-06-13
KR100649628B1 true KR100649628B1 (ko) 2006-11-28

Family

ID=3715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165A KR100649628B1 (ko) 2004-12-08 2004-12-08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935A1 (en) * 2005-03-28 2006-10-19 Warantec Waved implant integrating soft tissue area and osseous tissue area
US8657602B2 (en) 2005-03-28 2014-02-25 Warantec Waved implant integrating soft tissue area and osseous tissue area
KR100817642B1 (ko) * 2006-06-16 2008-03-27 허영구 임플란트
KR100857425B1 (ko) * 2007-10-22 2008-09-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픽스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348A (ko) 200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802B1 (ko)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JP4740139B2 (ja) 容易に挿入可能な骨圧縮インプラント
EP2308413B1 (en) Modified dental implant fixture
JP5017285B2 (ja) セラミック/金属製の歯科用アバットメント
EP1460960B1 (en) Modified dental implant fixture
KR0119187B1 (ko) 에노살 임플란트
AU2010266567B2 (en) Modified asymmetrical dental implant
KR100662583B1 (ko) 크라운 임시고정용 임플란트 유니트
KR100408568B1 (ko) 즉시 고정 가능한 팽창형 치과용 임플란트
KR10064962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08170B1 (ko) 임플란트 유닛
JP4558038B2 (ja) 位置決め手段を備えた歯科インプラント
Petrie et al. Shape optimization of dental implant designs under oblique loading using the p-version finite element method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KR101608169B1 (ko) 임플란트 유닛
JP5450046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フィクスチャー
WO2001006944A1 (en) A device for dental implantation
KR100755993B1 (ko) 고정체
Prakash et al. Biomechanics in Dental Implants
RU2139010C1 (ru) Внутрикостный пластинчатый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KR20120014187A (ko) 안락 헤드 미니 치아 임플란트
RU9141U1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AU2012200657B2 (en) Condensing Skeletal Implant that Facilitate Insertions
Yahav Immediate Loading of a Multi-Threaded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