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993B1 - 고정체 - Google Patents

고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993B1
KR100755993B1 KR1020050111355A KR20050111355A KR100755993B1 KR 100755993 B1 KR100755993 B1 KR 100755993B1 KR 1020050111355 A KR1020050111355 A KR 1020050111355A KR 20050111355 A KR20050111355 A KR 20050111355A KR 100755993 B1 KR100755993 B1 KR 100755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thread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uppe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3503A (ko
Inventor
정성민
조순도
윤구열
김인호
최명석
최부근
이현근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움
Priority to KR1020050111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993B1/ko
Publication of KR2007005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랜트 시술용 고정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구조물이 안착되어 인공치아의 치근이 되는 고정체에 있어서, 상부에서 하부로 3°경사각을 이루고 외주면에 작은나삿니가 형성되어 치밀골과 결합되는 제1경사부와, 제1경사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로 15~45°의 경사각을 이루어 상부구조물이 안착되는 무치부와, 제1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1큰나삿니가 형성되어 해면골과 결합되는 직선부와, 직선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로 8~15°의 경사각을 이루며 외주면에 작은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도록 형성된 제2큰나삿니와 제2큰나삿니가 형성된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면골과 결합되는 제2경사부와, 무치부 내부 상부에서 제1경사부 내부 하부로 11°경사각을 이루어 상부구조물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경사진 홈과 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구조물의 회전을 막는 헥사를 포함하는 경사홈부와, 경사홈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직선홈부와, 직선홈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구조물의 나사와 결합되는 나사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체가 제공된다.
고정체, 상부구조물, 제1경사부, 제1직선부, 경사홈부, 직선홈부, 나사홈부

Description

고정체{Fixture}
도 1 은 종래 치과용 임플란트의 사시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체를 나타낸 사시정면도,
도 3 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체의 사용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체의 실험데이터를 나타낸 그래프,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체를 나타낸 사시정면도,
도 7 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체의 사용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체를 나타낸 사시정면도,
도 10 은 도 9의 C-C'선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체의 사용상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정체를 나타낸 사시정면도,
도 13 은 도 12의 D-D'선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정체의 사용상태도.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100,200,300 : 고정체 10,130,211,320 : 제1경사부
11,111,221,341 : 작은 나삿니
12,32,112,132,222,232,342,352 : 직선골 20,120 : 무치부
30,230,350 : 직선부 31,131,231,351 : 제1큰나삿니
40,150,212,330 : 제2경사부 41,141,241,361 : 제2큰나삿니
43,153,243,363 : 절단홈 50,160,250 : 경사홈부
51,161,251 : 홈 52,162,252 : 헥사
60,170 : 직선홈부 70,180,260 : 나사홈부
110 : 제1직선부 140 : 제2직선부
151 : 제3큰나삿니 210 : 헤드부
220,340 : 제3경사부 240,360 : 제4경사부
310 : 지대치부 321 : 편평면
400 : 잇몸 500 : 치조골
510 : 치밀골 520 : 해면골
600,600a,600b,600c : 상부구조물 α·β·τ·θ : 경사각
본 발명은 상부구조물이 안착되어 인공치아의 치근이 되는 고정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체의 기본적인 기능인 치조골과의 결합성 향상과 함께 상부구조물과의 실링 및 항회전(antirotation)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치과용임플랜트란 고정성 또는 가철성 보철물의 유지와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점막 또는 골막층 하방, 그리고 골조직 내부 등의 구강 조직에 매식되는 이물성형재료의 보철장치로써, 가철성 또는 고정성 보철물의 지지를 위해서 악골위나 내부에 식립된다. 치과임플랜트는 외형이나 기하학적인 형태 즉, fin, 스크류, 실린더, blade, basket, 치근형 등에 의해서 분류되지만, 일반적으로 지지와 안정을제공하는 골과 관계되어 임플랜트의 고정요소에 근거하여 분류된다. 이와 같이 치과임플랜트는 골바깥(eposteal) 치과용 임플랜트, 골내(endosteal) 치과용 임플랜트, 그리고 골관통(transosteal) 치과용 임플랜트 등 3가지 기본형태가 있다. 몇가지 임플랜트는 골바깥과 골내 임플랜트의 요소를 같이 가지고 있다.
치과용 임플랜트에 있어서, 고정체는 그 자체로 임플랜트라고도 불리워지는 가장 중요한 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될 때 나사를 내면서 박히게 되고, 식립된 후에는 접촉되는 뼈와 융합되어 단단하게 고정된다. 치조골은 잇몸으로부터 어느 정도까지는 단단한 치밀골로 되어 있고, 그 하부는 연한 해면골로 되어 있는데, 종래의 등록특허 제473141호 '치과용 임플란트'는 도 1에서 보듯이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동일한 형상의 나사로 되어 있거나, 나사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고정체와 치조골과의 결합면적이 적고, 치조골과의 결합력이 약하여 고정체의 초기 고정성이 저하되고, 치밀골에 자극이 없어 골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 치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직접 치조골에 식립되는 몸체와 그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 구조물이 장착되는 지대치로 구성되는 고정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랜트는 크게 치아 뿌리 형상의 금속을 턱뼈 내에 심는 과정인 1차 수술로 끝나는 임플랜트와 1차 및 2차 수술을 시행한 후 보철 치료를 하게 되는 임플랜트로 또한 분류할 수 있다. 종래의 2차에 걸친 임플랜트 수술의 경우, 1차의 외과적 수술에 의해 턱뼈에 임플랜트의 고정체를 식립한 다음, 식립된 임플랜트에 골조직을 유착시키기 위하여 3개월 내지 6개월 정도의 긴 시간을 기다린 후에야 2차적인 수술을 통하여 최종 보철물을 임플랜트에 연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환자는 임플랜트 식립 후 오랜 시간동안 상당한 불편을 감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술을 두 번에 걸쳐서 해야한다는 환자의 심리적, 경제적 부담이 따르고, 시술 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체의 상부에는 작은 나삿니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큰 나삿니를 형성하되, 작은 나삿니의 리드와 큰 나삿니의 리드를 동일하게 하면서 작은 나삿니를 겹치지 않게 적어도 2줄 이상 형성함으로써, 고정체를 치조골에 심을 때 조직이 느슨한 해면골에서는 고정체의 큰 나삿니 부분과 접촉되어 그 결합력이 강화되고, 치밀골에서는 고정체의 작은 나삿니 부분과 접촉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치조골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골파괴를 방지하며, 고정체 자체는 외측으로 형성된 다단의 작은 나삿니에 의해 이 부위에서의 강성이 보강되고, 고정체의 상부는 경사지게 함으로써 연조직의 혼입 가능성을 배제하고, 고정체의 하부에는 고정체의 자가 태핑(Self-tapping)을 위해 절단홈이 형성된 고정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치 후 곧바로 식립할 수 있도록 지대치가 일체화된 치과용 즉시 기능 고정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랜트 시술용 고정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구조물이 안착되어 인공치아의 치근이 되는 고정체에 있어서, 상부에서 하부로 3°경사각을 이루고 외주면에 작은나삿니가 형성되어 치밀골과 결합되는 제1경사부와, 제1경사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로 15~45°의 경사각을 이루어 상부구조물이 안착되는 무치부와, 제1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1큰나삿니가 형성되어 해면골과 결합되는 직선부와, 직선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로 8~15°의 경사각을 이루며 외주면에 작은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도록 형성된 제2큰나삿니와 제2큰나삿니가 형성된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면골과 결합되는 제2경사부와, 무치부 내부 상부에서 제1경사부 내부 하부로 11°경사각을 이루어 상부구조물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경사진 홈과 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구조물의 회전을 막는 헥사를 포함하는 경사홈부와, 경사홈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직선홈부와, 직선홈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구조물의 나사와 결합하는 나사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구조물이 안착되어 인공치아의 치근이 되는 고정체에 있어서, 외주면에 2개의 작은나삿니가 형성되어 치밀골과 결합되는 제1직선부와, 제1직선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부 구조물이 안착되는 무치부와, 제1직선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1큰나삿니가 형성되어 해면골과 결합되는 제1경사부와, 제1경사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2큰나삿니가 형성되어 해면골과 결합되는 제2직선부와, 제2직선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도록 형성된 제3큰나삿니와 제3큰나삿니가 형성된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면골과 결합되는 제2경사부와, 무치부 내부 상부에서 제1경사부 내부 하부로 상부구조물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경사진 홈과 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구조물의 회전을 막는 헥사를 포함하는 경사홈부와, 경사홈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직선홈부와, 직선홈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구조물의 나사와 결합하는 나사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구조물이 안착되어 인공치아의 치근이 되는 고정체에 있어서, 상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되는 제1경사부와 제1경사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화관형상의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제2경사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가 형성되어 치밀골과 결합되는 제3경사부와, 제3경사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1큰나삿니가 형성되어 해면골과 결합되는 직선부와, 직선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도록 형성된 제2큰나삿니와 제2큰나삿니가 형성된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면골과 결합되는 제4경사부와, 제1경사부 내부 상부에서 제2경 사부 내부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부구조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진 홈과 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구조물의 회전을 막는 헥사를 포함하는 경사홈부와, 경사홈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구조물의 나사와 결합하는 나사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조골에 식립되어 상부구조물이 장착될 수 있도록 인공치근 역할을 하는 고정체에 있어서, 상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평면이 형성된 제1경사부와 제1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지대치부와, 제2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가 형성되어 치밀골과 결합되는 제3경사부와, 제3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1큰나삿니가 형성되어 해면골과 결합되는 직선부와, 직선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도록 형성된 제2큰나삿니와 제2큰나삿니가 형성된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면골과 결합되는 제4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체를 나타낸 사시정면도이고, 도 3 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체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체의 실험데이터를 나태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인 고정체(1)는 제1경사부(10), 무치부(20), 직선부(30), 제2경사부(40), 경사홈부(50), 직선홈부(60), 나사홈부(70)로 구성된다.
제1경사부(10)는 상부에서 하부로 2~4°바람직하게는 3°경사각(α)을 이루고, 외주면에는 적어도 2줄 이상의 작은 나삿니(11)가 형성되며, 작은 나삿니(11) 사이에는 축방향으로 직선골(12)이 형성된다. 작은 나삿니(11)는 후술한 큰 나삿니와 리드를 같게 함으로써, 제1경사부(10)와 치밀골(510)이 나사결합되게 하고, 이에 의하여 치밀골(510)부분과 맞물려 미세하면서도 단단하게 결합되고, 치밀골(510)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골파괴를 방지한다. 축방항 직선골(12)은 작은 나삿니(11)보다 넓은 면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고정체(1)와 치밀골(51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무치부(20)는 제1경사부(1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며, 상부로 15~45°경사각(β)을 이루어 상부구조물(600a)이 안착되게 한다. 무치부(20)는 1차 수술과 2차 수술시 잉여 치조골(500)의 형성을 차단하고, 잉여 치조골(500)이 고정체(1) 상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무치부(20)는 고정체(1)의 식립후 치조골(5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유일한 부분으로서, 고정체(1)의 전체 길이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직선부(30)는 제1경사부(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11)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1큰나삿니(31)가 형성되어 해면골(520)과 결합한다. 제1큰나삿니(31) 사이에는 축방향 직선골(32)이 형성되며, 축방향 직선골(32)은 제1큰나삿니(31)보다 넓은 면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고정체(1)와 해면골(52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제2경사부(40)는 직선부(3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로 8~15°경사각( τ)을 이루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11)와 동일한 리드를 갖도록 형성된 제2큰나삿니(41)와, 제2큰나삿니(41)가 형성된 외주면에 대칭적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된 절단홈(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해면골(520)과 결합한다. 제2경사부(40)는 고정체(1)가 치조골(500)에 식립될 때 가장 먼저 치조골(500)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절단홈(43)은 고정체(1)가 치조골(500)에 식립될 때 자가 탭핑(self-tapping)하는 역할을 하며, 제2경사부(40) 원주면에 세 개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큰나삿니(41) 사이에는 축방향 직선골(32)이 형성되며, 축방향 직선골(32)은 제2큰나삿니(41)보다 넓은 면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고정체(1)와 해면골(52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경사홈부(50)는 고정체(1) 내부에 형성되며, 무치부(20) 내부 상부에서 제1경사부(10) 내부 하부로 11°경사각(θ)을 이루어 상부구조물(600a)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진 홈(51)과, 홈(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구조물(600a)의 회전을 막는 헥사(52)를 포함한다. 경사홈부(50)는 무치부(20)와 제1경사부(10)에 대응한 높이로 형성된다. 헥사(52)는 6각,8각,12각 등의 다면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헥사(52)는 상부구조물(600a)이 결합된 후 상부구조물(600a)의 유동을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직선홈부(60)는 경사홈부(5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경사홈부(50)와 후술할 나사홈부(7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나사홈부(70)는 직선홈부(60)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구조물(600a)의 나사가 결합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체(1)의 사용 상태 즉, 고정체(1)가 치조골(500)에 식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체의 실험데이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드릴(미도시)을 이용하여 고정체(1)를 심을 치조골(500) 부위에 구멍을 형성하고, 고정체(1)를 핸드피스(미도시)를 이용하여 치조골(500)에 심게 되는데, 미리 형성되는 구멍은 고정체(1)의 나사골부위 직경에 해당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고정체(1)는 치조골(500)에 나사를 형성하면서 박히게 된다. 이때, 치조골(500)은 잇몸으로부터 어느 정도까지는 치밀골(510)로 되어 있고, 그 내부는 조직이 느슨한 해면골(520)로 되어 있어 고정체(1)가 치조골(500)에 박힐 때 제2경사부(40)와 직선부(30)가 조직이 느슨한 해면골(520)과 접촉되고, 제1경사부(10)가 치밀골(510)과 접촉되는 것으로, 해면골(520)이 고정체(1)의 큰 나삿니와 접촉하게 되면 많은 부분에서 크게 맞물릴 수 있어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치밀골(510)에서는 작은 나삿니(11)가 미세하고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특히 작은 나삿니(11)가 적어도 2줄이상 형성되므로 치밀골(510)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든 시술이 완료된 후 음식물을 씹을 때 치조골(500)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골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체(1)의 상부에는 상부구조물(600a)이 결합되어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픽스쳐를 드릴을 사용하여 치조골에 심을 때 식립 깊이[mm]에 따른 픽스쳐에 작용되는 식립 토크[N·cm]를 비교한 실험데이터이다. 작은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기술(B)에 비해 작은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A)에 작용되는 식립토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고, 이에 의하여 치밀골에서 작은 나삿니가 미세하고 단단하게 결합되고 나아가 치밀골에서 균일하게 응력분포가 된다. 그 결과, 본 발명(A)은 종래기술(B)에 비하여 픽스쳐의 초기고정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작은 나삿니에 대한 실험데이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유효함을 밝혀둔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체를 나타낸 사시정면도이고, 도 7 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인 고정체(100)는 제1직선부(110), 무치부(120), 제1경사부(130), 제2직선부(140), 제2경사부(150), 경사홈부(160), 직선홈부(170), 나사홈부(180)로 구성된다
제1직선부(110)는 외주면에 2개의 작은 나삿니(111)가 형성되며, 치밀골(510)과 결합한다. 작은 나삿니(111)를 2개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제1경사부(130)의 경사를 유지함과 더불어 치조골(500)의 치밀골(510)부분과 맞물려 미세하면서도 단단하게 결합되고, 치밀골(510)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골파괴를 방지한다. 작은 나삿니(111) 사이에는 축방향 직선골(112)이 형성되며, 축방향 직선골(112)은 작은 나삿니(111)보다 넓은 면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고정체(100)와 치밀골(51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무치부(120)는 제1직선부(1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부구조물(600b)이 안착되게 한다. 무치부(120)는 1차 수술과 2차 수술시 잉여 치조골(500)의 형성을 차단하고, 잉여 치조골(500)이 고정체 (100) 상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무치부(120)는 고정체(100)의 식립후 치조골(5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유일한 부분으로서, 고정체(100)의 전체 길이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경사부(130)는 제1직선부(110)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111)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1큰나삿니(131)가 형성되어 해면골(520)과 결합한다. 제1경사부(130)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므로 해면골(520)에 후술한 제2직선부(140)보다 넓고 안정적으로 식립되고, 식립된 후에는 고정체(100)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큰나삿니(131) 사이에는 축방향 직선골(132)이 형성되며, 축방향 직선골(132)은 제1큰나삿니(131) 보다 넓은 면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고정체(100)와 치밀골(51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제2직선부(140)는 제1경사부(130)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향해 직경이 일정하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111)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2큰나삿니(141)가 형성되어 해면골(520)과 결합한다. 제2큰나삿니(141) 사이에는 축방향 직선골(132)이 형성되며, 축방향 직선골(132)은 제2큰나삿니(141)보다 넓은 면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고정체(100)와 해면골(52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제2경사부(150)는 제2직선부(14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111)와 동일한 리드를 갖도록 형성된 제3큰나삿니(151)와, 제3큰나삿니(151)가 형성된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홈(1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해면골(520) 과 결합한다. 제2경사부(150)는 고정체(100)가 치조골(500)에 식립될 때 가장 먼저 치조골(500)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절단홈(153)은 고정체(100)가 치조골(500)에 식립될 때 자가 탭핑(self-tapping)하는 역할을 하며, 제2경사부(150) 원주면에 세 개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큰나삿니(141) 사이에는 축방향 직선골(132)이 형성되며, 축방향 직선골(132)은 제2큰나삿니(141)보다 넓은 면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고정체(100)와 해면골(52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경사홈부(160)는 고정체(100) 내부에 형성되며, 무치부(120) 내부 상부에서 제1경사부(130) 내부 하부로 경사를 이루어 상부구조물(600b)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진 홈(161)과, 홈(16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구조물(600b)의 회전을 막는 헥사(162)를 포함한다. 경사홈부(160)는 무치부(120),제1직선부(110),제1경사부(130)에 대응한 높이로 형성된다. 헥사(162)는 6각,8각,12각 등 다면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헥사(162)는 상부구조물(600b)이 결합된 후 상부구조물(600b)의 유동을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직선홈부(170)는 경사홈부(16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경사홈부(160)와 후술할 나사홈부(18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나사홈부(180)는 직선홈부(170)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구조물(600b)의 나사가 결합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체의 사용 상태 즉, 고정체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500) 내로 고정체(100)가 식립되며, 무치부(120)는 치조골(500)로부터 돌출되며, 제1직선부(110)는 치밀골 (510)에 접하고, 제1경사부(130)·제2직선부(140)·제2경사부(150)는 해면골(520)과 접한다. 그리고, 고정체(100)의 상부에는 상부구조물(600b)이 결합되어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체를 나타낸 사시정면도이고, 도 10 은 도 9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인 고정체(200)는 헤드부(210), 제3경사부(220), 직선부(230), 제4경사부(240), 경사홈부(250), 나사홈부(260)로 구성된다.
헤드부(210)는 상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경사부(211)와, 제1경사부(211)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화관형상의 제2경사부(212)를 포함한다. 헤드부(210)는 고정체(200)가 치조골(500)에 식립된 후 치조골(500)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으로서, 돌출된 헤드부에 의해서 상부구조물(600c)을 구강내에서 고정체(2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체결 부위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제3경사부(220)는 제2경사부(212)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221)가 형성되어 치밀골(510)과 결합된다. 작은 나삿니(221)는 후술한 큰 나삿니와 리드를 같게 함으로써, 제3경사부(220)와 치밀골(510)이 나사결합되게 하고, 이에 의하여 치밀골(510)부분과 맞물려 미세하면서도 단단하게 결합되고, 치밀골(510)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골파괴를 방지한다. 작은 나삿니(221) 사이에는 축방향 직선골(222)이 형성되고, 축방항 직선골(222)은 작은 나삿니(221)보다 넓은 면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고정체(200)와 치밀골(51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직선부(230)는 제3경사부(220)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직경이 일정하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221)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1큰나삿니(231)가 형성되어 해면골(520)과 결합한다. 제1큰나삿니(231) 사이에는 축방향 직선골(232)이 형성되며, 축방향 직선골(232)은 제1큰나삿니(231)보다 넓은 면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고정체(200)와 해면골(52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킨다.
제4경사부(240)는 직선부(230)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221)와 동일한 리드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큰나삿니(241)와, 제2큰나삿니(241)가 형성된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홈(24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면골(520)과 결합한다. 제4경사부(240)는 고정체(200)가 치조골(500)에 식립될 때 가장 먼저 치조골(500)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절단홈(243)은 고정체(200)가 치조골(500)에 식립될 때 자가 탭핑(self-tapping)하는 역할을 하며, 제4경사부(240) 원주면에 세 개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큰나삿니(241) 사이에는 축방향 직선골(232)이 형성되며, 축방향 직선골(232)은 제2큰나삿니(241)보다 넓은 면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고정체(200)와 해면골(52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경사홈부(250)는 고정체(200) 내부에 형성되며, 제1경사부(211) 내부 상부에서 제2경사부(212) 내부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부구조물(600c)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진 홈(251)과, 홈(2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구조물(600c)의 회전을 막는 헥사(252)를 포함한다. 헥사(252)는 6각,8각,12각 등의 다면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헥사(252)는 상부구조물(600c)과 결합된 후 상 부구조물(600c)의 유동을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나사홈부(260)는 경사홈부(25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구조물(600c)의 나사와 결합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체의 사용 상태 즉, 고정체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500)내로 고정체(200)가 식립되며, 헤드부(210)는 치조골(500)로부터 돌출되어 잇몸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으며, 제3경사부(220)는 치밀골(510)에 접하고, 직선부(230)·제4경사부(240)는 해면골(520)과 접한다. 그리고, 고정체(200) 상부에는 상부구조물(600c)이 결합되어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정체를 나타낸 사시정면도이고, 도 13 은 도 12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14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정체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인 고정체(300)는 지대치부(310), 제3경사부(340), 직선부(350), 제4경사부(360)로 구성된다.
지대치부(310)는 상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평면(321)이 형성된 제1경사부(320)와, 제1경사부(32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경사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편평면(321)은 고정체(300) 상단부에 형성됨으로써 상부구조물(600) 장착 시 고정체(300)와 시멘트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상부구조물(600)이 장착된 후에는 상부구조물(600)과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상부구조물(600)의 회전을 방지한다.
제3경사부(340)는 제2경사부(330)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341)가 형성되어 치밀골(510)과 결합된다. 작은 나삿니(341)는 후술한 큰 나삿니와 리드를 같게 함으로써, 제3경사부(340)와 치밀골(510)이 나사결합되게 하고, 이에 의하여 치밀골(510)부분과 맞물려 미세하면서도 단단하게 결합되고, 치밀골(510)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골파괴를 방지한다. 작은 나삿니(341) 사이에는 축방향 직선골(342)이 형성되고, 축방항 직선골(342)은 작은 나삿니(341)보다 넓은 면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고정체(300)와 치밀골(51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직선부(350)는 제3경사부(340)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향해 직경이 균일하도록 형성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341)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1큰나삿니(351)가 형성되어 해면골(520)과 결합된다. 제1큰나삿니(351) 사이에는 축방향 직선골(352)이 형성되고, 축방항 직선골(352)은 작은 나삿니(341)보다 넓은 면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고정체(300)와 치밀골(51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제4경사부(360)는 직선부(35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341)와 동일한 리드를 갖도록 형성된 제2큰나삿니(361)와, 제2큰나삿니(361)가 형성된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홈(36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면골(520)과 결합한다. 제4경사부(360)는 고정체(300)가 치조골(500)에 식립될 때 가장 먼저 치조골(50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절단홈(363)은 고정체(300)가 치조골(500)에 식립될 때 자가 탭핑(self-tapping)하는 역할을 하며, 제4경사부(360) 원주면에 세 개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큰나삿니(361) 사이에는 축방향 직선골 (352)이 형성되며, 축방향 직선골(352)은 제2큰나삿니(361)보다 넓은 면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고정체(300)와 해면골(52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고정체의 사용 상태 즉, 고정체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500) 내로 고정체(300)가 식립되며, 지대치부(310)는 치조골(500)로부터 돌출되며 지대치부(310)의 제2경사부(330)는 잇몸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으며, 이 지대치부(310) 상부에 상부구조물(600) 즉, 크라운이 장착된다. 제3경사부(340)는 치밀골(510)과 나사결합되고, 직선부(350)와 제4경사부(360)는 해면골(520)과 나사결합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작은 나삿니의 리드와 큰 나삿니의 리드를 동일하게 하면서 작은 나삿니를 겹치지 않게 적어도 2줄 이상 형성함으로써, 고정체를 치조골에 심을 때 조직이 느슨한 해면골에서는 고정체의 큰 나삿니 부분과 접촉되어 그 결합력이 강화되고, 치밀골에서는 고정체의 작은 나삿니 부분과 접촉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치조골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어 골파괴를 방지하고, 고정체 자체는 외측으로 형성된 다단의 작은 나삿니에 의해 이 부위에서의 강성이 보강되고, 고정체의 상부는 경사지게 함으로써 연조직의 혼입 가능성을 배제하고, 고정체의 하부에 형성된 절단홈에 의하여 고정체의 식립시 자가 태핑(Self-tapping)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대치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서 수술후의 감염에 대한 위험성이 적고 단시간에 시술을 끝낼 수 있으며, 초기 고정시간이 짧아서 골량이 적은 악골이나 치간 공간이 적은 전치부 결손치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부구조물이 안착되어 인공치아의 치근이 되는 고정체에 있어서,
    상부에서 하부로 3°경사각을 이루고, 외주면에 작은나삿니가 형성되어 치밀골과 결합되는 제1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로 15~45°의 경사각을 이루어 상부구조물이 안착되는 무치부;
    상기 제1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은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1큰나삿니가 형성되어 해면골과 결합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로 8~15°의 경사각을 이루며, 외주면에 상기 작은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도록 형성된 제2큰나삿니와, 상기 제2큰나삿니가 형성된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면골과 결합되는 제2경사부;
    상기 무치부 내부 상부에서 상기 제1경사부 내부 하부로 11°경사각을 이루어 상기 상부구조물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경사진 홈과, 상기 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의 회전을 막는 헥사를 포함하는 경사홈부;
    상기 경사홈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직선홈부; 및
    상기 직선홈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부구조물의 나사와 결합하는 나사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체.
  2. 삭제
  3. 삭제
  4. 상부구조물이 안착되어 인공치아의 치근이 되는 고정체에 있어서,
    외주면에 2개의 작은나삿니가 형성되어 치밀골과 결합되는 제1직선부;
    상기 제1직선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이 안착되는 무치부;
    상기 제1직선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은 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1큰나삿니가 형성되어 해면골과 결합되는 제1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은 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2큰나삿니가 형성되어 해면골과 결합되는 제2직선부;
    상기 제2직선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은 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도록 형성된 제3큰나삿니와, 상기 제3큰나삿니가 형성된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면골과 결합되는 제2경사부;
    상기 무치부 내부 상부에서 상기 제1경사부 내부 하부로 상기 상부구조물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경사진 홈과, 상기 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의 회 전을 막는 헥사를 포함하는 경사홈부;
    상기 경사홈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직선홈부; 및
    상기 직선홈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부구조물의 나사와 결합하는 나사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체.
  5. 상부구조물이 안착되어 인공치아의 치근이 되는 고정체에 있어서,
    상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되는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화관형상의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헤드부;
    상기 제2경사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가 형성되어 치밀골과 결합되는 제3경사부;
    상기 제3경사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은 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1큰나삿니가 형성되어 해면골과 결합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은 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도록 형성된 제2큰나삿니와, 상기 제2큰나삿니가 형성된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면골과 결합되는 제4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 내부 상부에서 상기 제2경사부 내부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진 홈과, 상기 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의 회전을 막는 헥사를 포함하는 경사홈부; 및
    상기 경사홈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부구조물의 나사와 결합하는 나사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체.
  6. 치조골에 식립되어 상부구조물이 장착될 수 있도록 인공치근 역할을 하는 고정체에 있어서,
    상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평면이 형성된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지대치부;
    상기 제2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작은 나삿니가 형성되어 치밀골과 결합되는 제3경사부;
    상기 제3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은 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는 제1큰나삿니가 형성되어 해면골과 결합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은 나삿니와 동일한 리드를 갖도록 형성된 제2큰나삿니와, 상기 제2큰나삿니가 형성된 외주면에 형성된 절단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해면골과 결합되는 제4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체.
KR1020050111355A 2005-11-21 2005-11-21 고정체 KR100755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355A KR100755993B1 (ko) 2005-11-21 2005-11-21 고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355A KR100755993B1 (ko) 2005-11-21 2005-11-21 고정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503A KR20070053503A (ko) 2007-05-25
KR100755993B1 true KR100755993B1 (ko) 2007-09-06

Family

ID=3827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355A KR100755993B1 (ko) 2005-11-21 2005-11-21 고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245A1 (ko) * 2018-02-21 2019-08-29 이태경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11B1 (ko) * 2016-01-21 2017-03-23 김영재 픽스쳐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157A (ko) * 2002-04-19 2003-10-30 한중석 치과용 골유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157A (ko) * 2002-04-19 2003-10-30 한중석 치과용 골유착 임플란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245A1 (ko) * 2018-02-21 2019-08-29 이태경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503A (ko) 200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945B2 (en) Dental implant for a jaw with reduced bone volume and improved osseointegration features
US6273720B1 (en) Dental implant system
RU2612487C2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US5052930A (en)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US7845945B2 (en) Anchoring element for use in bone
EP2799031B1 (en) Bone condensing dental implant
JP4713568B2 (ja) 管状骨固定要素
US8651866B2 (en) One piece dental implant and use thereof in prostodontic and orthodontic applications
JP4212239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US20050214714A1 (en) Dental implant system
US20050014108A1 (en) Dental implant system
US20060194170A1 (en) Dental implant system
JP5543914B2 (ja) 人工歯根システム
US5695336A (en) Dental implant fixture for anchorage in cortical bone
JP2007502648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US20080081316A1 (en) Fixture
US20090202963A1 (en) Expandable polymer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US7377781B1 (en) Molar dental implant
KR100755993B1 (ko) 고정체
KR200392241Y1 (ko) 치과용 임시 임플란트
RU2314059C1 (ru) Винтовой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KR20240018759A (ko) 일체형 임플란트용 앵글어버트먼트
RU60341U1 (ru) Винтовой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