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594B1 -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594B1
KR101642594B1 KR1020140151607A KR20140151607A KR101642594B1 KR 101642594 B1 KR101642594 B1 KR 101642594B1 KR 1020140151607 A KR1020140151607 A KR 1020140151607A KR 20140151607 A KR20140151607 A KR 20140151607A KR 101642594 B1 KR101642594 B1 KR 101642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butment
post
polygon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482A (ko
Inventor
이도상
Original Assignee
이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상 filed Critical 이도상
Priority to KR102014015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59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1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7Telescopic anchoring, i.e. using spring biased de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 내입부에 내입부 벽에 수직의 절개 홈을 형성한 지대주를 결합하는 인터널식과 기둥(포스트) 엑스터널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상부 기둥 하방에 한면을 절단한 절단면(Ledge)를 형성하고, 절단면(Ledge) 아래로 나사 결합부를 형성하며, 하단에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를 형성하여 확장고정자, 다각형 너트,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들의 부속품을 결합하여 초기 고정을 견고히 해주어 인공치아를 바로 올릴 수 있는 구조로 기둥 상부에 내입부를 형성하고, 내입벽에 십자형(+), 또는 3등분(Y) 된 절개 홈을 형성하여 임플란트 픽스츄어 내입부나 지대주 내입부의 원추형의 지대주 안치 홈과 호나 원추형 안치 홈 중간에 다각형 공구가 결합되는 육각 홈을 형성하고, 아래로 원주형 홈 그리고, 하단에 고정나사가 결합되는 나사 결합 홈을 형성하여 지대주가 안치 결합되고, 관통된 인공치아를 제작해 지대주(어버트먼트)에 올려 고정나사를 관통된 홀를 통해 지대주(어버트먼트) 내입부 나사 결합 홈에 결합하거나,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내입부 나사 결합부에 회전 결합시키면 절개 홈(물림척)이 벌어지면서 인공치아를 고정해주는 구조로 세멘트를 꼭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인공치아를 필요할 때 탈거할 수 있는 구조로 식립부의 픽스쳐 몸체 나사산의 외형은 상부에서 하부중앙으로 경사져 내려오며, 나사골의 외형은 항아리 형태로 좁은 하부에서 넓어져 오면서, 상부로 좁아지다가 상부의 나사산 외형과 연결되는 형태로 나사산의 높이를 위치에 따라 차이를 주고, 하부에서 컷팅엣지(탭)이 형성하여 최대한 접촉하는 면을 형성하여 식립시는 수월하나, 탈락을 최소화한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쳐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Hybrid Jar Style Implant Fixtur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에 내입부를 형성하여 지대주를 결합하는 인터널 타입과 원추기둥(포스트)과 원추기둥(포스트)에 내입부에 형성하여 절개 홈(물림척)를 형성하고, 고정나사로 결합하는 엑스터널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로 세멘트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와 그 외 부속물를 포함한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 픽스츄어 몸체 나사산의 외형은 상부에서 하부중앙으로 경사져 내려오며, 나사골의 외형은 도자기 형태로 좁은 하부에서 넓어져 오면서, 상부로 좁아지다가 상부의 나사산 외형과 연결되는 형태로 나사산의 높이를 위치에 따라 차이를 주어 최대한 접촉하는 면을 넓게 형성하며, 식립 시는 수월하게, 탈락은 최소화하고, 부속물를 이용하여 초기고정은 향상 시키고, 지대주의 파절을 방지하지 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치아가 빠진 경우 기존에는 틀니를 끼우거나, 주변의 치아를 기둥으로 하여 빠진 부분을 금속 등으로 씌우는 브릿지 시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술과정은 틀니나 브릿지 시술된 인공치아가 음식물을 씹는 힘이 약하고 주변의 치아에 악영향을 끼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발전된 치과의료의 한 시술로 임플란트 시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인공적인 치아뿌리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치아와 흡사하게 제작된 인공치아를 결합하여 환자가 실제치아를 사용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과정은 치아가 빠진 치조골에 픽스츄어(fixture)를 매식하기 위해 드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매식 홈을 형성하고, 매식 홈 내부에 픽스츄어가 견고하게 매식되기 위한 탭핑을 수행한다. 이 후,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매식 홈 내에 매식한 후, 커버스크류로 마감하고, 봉합하여 1차 수술를 마치고, 수개월 후 2차 수술를 시행 픽스츄어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하고, 지대주에 인공치를 결합하여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지대주는 시술방법에 따라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과,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지대주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 제시된다.
이러한 형태들은 초기고정에 취약하고, 골 융합 후, 인공치아를 올린 후에도 저작 시, 과도한 저작압과 측방 저작 습관에 의한 지대주의 풀림이나 인공치아를 올린 픽스츄어가 빠지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여 난처한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쳐의 경우 지대주가 풀렸을 때를 대비하여 인공치아만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엑스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경우는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일체화 되면서 지대주 풀림을 방지하는 콜렉척 기능을 부과하고,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초기고정을 보조적으로 도와주는 확장자와 같은 보조적 수단과 픽스츄어의 외형 나사산의 높낮이로 나사골의 형태에 변화를 주어 탈락를 줄이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부에 내입부를 형성하여 내입부에 대응 배치되는 결합부를 형성한 지대주 하부를 결합하고, 지대주 상부에는 항아리형과 원추형 기둥(포스트)에 내입부에 절개 홈을 내재하여 관통된 인공치아를 올려 고정나사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인공치아를 셋팅하기 위해 인공치아 내면에 세멘트를 도포할 수 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으며, 인공치아를 유사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를 돌출시켜 내,외주를 형성하여 식립 시 공구를 결합하는 상위 다각형 결합부나 원추주에 한 면을 절단하여 형성한 절단면(Ledge)를 형성하여 차후, 인공치아가 올려지며, 아래로 다각형 너트가 결합하는 나사 결합부를 형성하고, 하단으로 임플란트 픽스츄어 확장고정자를 삽입 결합하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를 형성하여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매식한 후, 확장고정자를 삽입하여 위에 배치되는 구조의 다각형 너트나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를 나사 결합부에 나사결합하면, 샌드표면 처리된 확장고정자(티타늄 골격)가 치조골을 압착하여 고정되므로 초기고정에 도움이 되고, 샌드표면 처리된 티타늄 징은 치조골의 안착을 도와 골 증식을 증진하며, 내,외주에서 견고하게 잡아주도록 하여 인공치를 올린다음 과도한 저작압이나, 피로저항 한계에도 저항할 수 있는 구조로 지대주의 부러짐을 줄일 수 있으며,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풀림에 저항하는 샌드표면 처리된 티타늄 확장고정자를 포함하는 엑스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로 식립부인 하부는 치조골에 식립되는(묻히는)부위로 픽스츄어(10) 나사산의 전체적 외형은 하부로 경사져 테이퍼드한 형태를 이루며, 나사골은 하부로 이어지는 형태는 도자기형태로 상부 외측의 턱에서 경사져 시작하여 아래로 점점 좁게 내려오면서 목(neck)을 형성하고, 하부로 차차 다시 넓어지는 하부가 볼록한 도자기 형태로 형성되면서 하단으로 둥글게 둥근(물방울) 형태를 이루어 마무리 된다.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 내입부에 결합되는 절개 홈(물림 척) 항아리형이나 원추형 지대주는 고정나사를 조여 인공치아를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유사시 고정나사를 풀어 인공치아를 탈거할 수 있는 구성이고, 절개 홈(물림 척) 기둥(포스트)의 내입부에 고정나사가 결합되면서, 인공치아를 꽉 물어 고정하고, 엑스터널 임플란트는 지대주 파절 요인를 최소화한 견고한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픽스츄어에 있어서, 지대주가 픽스츄어 상부 내입부(10)로 나사 결합되는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1); 와 픽스츄어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기둥(포스트)들과 기둥(포스트)들에 부속되는 부속품들이 결합되어 지대주로 구성되는 엑스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들; 로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하부 식립 몸체부 외형은 상부에서 아래로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진(원추형) 나사산(28) 연결 형태; 와
주둥이가 열려있는 도자기형 나사골(29) 연결 형태로 상부 외측에서 경사져 시작하여 아래로 점점 좁게 내려오면서 오목한 목(neck)(30) 부위를 형성하고, 다시 하부로 차차 다시 넓어지는 볼록한 물방울형 하부(35) 형태로 형성되면서 위치에 따라 나사산의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치조골에 식립되는 2중적 유지구조를 가지는 하부 식립 몸체 풍융부(32)를; 포함하며,오목한 목(30) 부위 둘레 방향을 따라 나사산에 다수의 컷팅엣지(31)을 절취해 형성하고, 볼록한 물방울형 하부(35) 부위 둘레에도 둘레 방향을 따라 나사산에 다수의 컷팅엣지(31)을 절취해 형성하거나, 180도 간격으로 양쪽에 2개의 몸체부 절단면(33)을 형성하여 절삭을 위한 치조골 내벽의 가까운 몸체부 절단면(33)에 전,후로 수직의 2개씩 4개의 아크형이나 삼각형 컷팅엣지(34)를 절취 형성하며, 또한,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나사산이 형성되되, 나사산이 외주 상단의 180도와 360도에서 시작되는 2중 나사산이나 여러 각도에서 시작하는 다중 나사산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2)는 지대주가 결합되는 부위로 도 1의 치은 점막 하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2) 외주는 다각형 결합부(27a)에 확장고정자(47)를 결합하며, 상부 내주에는 내입부(10)를 형성한 픽스츄어와 도 2의 노출형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치은 위로 노출되는 다각형 결합부(27a) 하방 치은 점막 하에서 치은 표피까지 상부 외주에 치은 높이별로 직경이 넓어지는 원추형 주(41a)를 형성하고, 상부 내주에는 내입부(10)를 형성하여 내입부(10)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는 아크(Arc)형 안착 홈(3)이나 원추형 안착 홈(4)과 안착 홈(3,4) 중간에 다각형 안착 홈(5)과 원주형 안착 홈(6) 그리고, 나사 결합 홈(7)을 구성하고, 외주는 식립나사부로 형성된 인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1) 상부(2) 내입부(10)에 결합되는 지대주들은 상부 내입부(10a) 내주에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안착 홈(4a)과 원주형 안착홈(6a) 그리고, 관통된 홀(18)을 형성 구성하고, 하부의 외주에 다각형 결합부(15)와 중심축으로 하향 경사지는 중앙의 원추형 결합부(14)나, 중심축으로 하향 경사지는 중앙의 원추형 결합부(14)에 하단의 다각형 결합부(15)가 형성되어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들에 올려져 관통된 홀(18a) 인공치아(51)을 씌워 긴 고정나사(22)로 관통시켜 픽스츄어 내입부(10)의 나사 결합 홈(7)에 결합되는 관통된 홀(18) 지대주와 긴 고정나사(22)가 구비 구성된 도 2, 2-1, 4. 4-1, 5의 2 바디(듀얼) 지대주로 세멘트 없이 결합하는 인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기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 내입부(10)에 결합되는 지대주들은 상부 내입부(10a)와 외주 하부의 중심축으로 하향 경사지는 중앙의 원추형 결합부(14)와 원주형 결합부(16) 그리고, 나사 결합부(17)가 형성되어 픽스츄어에 올려져 픽스츄어 내입부(10)의 나사 결합부(17)에 나사 결합되는 도 1-1, 3-1, 6의 1 바디(원바디) 지대주에 관통된 홀(18a) 인공치아(51)를 씌워 고정나사(22)로 인공치아(51)를 거쳐 지대주 내입부(10a) 나사 결합부(7a)에 고정하여 세멘트 없이 결합하는 인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기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1)의 지대주(어버트먼트)들은 상부(2)에 관통된 홀(18a) 내입부(10a)를 형성한 도 7의 순면(19)과 설면(9) 그리고 근심면(20)과 원심면(21) 절단연(8)을 가지는 전치 형태를 닮은 전치용 지대주와 도 8의 협면(19)과 설면(9) 그리고 근심면(20)과 원심면(21) 교합면(8)을 가지는 소구치를 닮은 소구치용 지대주와 도 9의 협면(19)과 설면(9) 그리고 근심면(20)과 원심면(21) 교합면(8)을 가지는 대구치를 닮은 대구치용 지대주 그리고, 도 2-1의 항아리형 지대주 형태와 도 5, 6의 원추형 지대주 형태를 가진 지대주들을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 내입부(10)에 결합하여 관통된 홀(18) 인공치아(51)를 씌워 고정나사(22a)로 관통된 홀(18c) 인공치아(51)를 거쳐 지대주 내입부(10a)를 관통하여 픽스츄어 내입부(10)의 나사 결합 홈(7)에 고정하여 세멘트 없이 결합하는 인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엑스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기둥(포스트) 외측에 체결하는 부속품을 포함하는 아래의 엑스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들은 상부의 부속품 연결부위가 기둥(포스트)형으로 항아리형 기둥(포스트) 형태와 원추형 기둥(포스트) 형태와 항아리와 원추형 형태의 기둥에 기둥 하부에 원추형 주를 형성한 형태 그리고 나사 기둥 형태의 상부에 내입부(10a)를 형성한 엑스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로 구분되며,
항아리처럼 중앙을 살짝 풍융하게 형성한 항아리형 기둥(포스트)의 몸체 풍융부(32)와 원추형 기둥처럼 상부가 약간 좁은 형태에 원추형 기둥과 상부와 항아리와 원추형 형태의 기둥 하부에 원추형 주(41)를 형성한 형태 기둥의 한 면을 원주 마진(40) 위까지 절삭하여 절단면(25)을 형성하여 하방으로 아크형으로 부드럽게 원주 마진(40)에 연결 형성하여 몸체 풍융부(32) 하단에 하위 다각형 결합부(27)를 형성한 형태와 나사 기둥 형태의 기둥 하단에 하위 다각형 결합부(27)를 형성 구성된 엑스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기 기둥(포스트) 외주는 도 10의 상부(윗 부분)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기둥(포스트) 형태로 상부로 인공치아(51)가 씌워져 움직이지 않게 기둥 한 면을 절단하여 형성한 절단면(Ledge)(25); 과 아래로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가 나사 결합되는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 및 픽스츄어를 고정하는 확장고정자(47)를 끼우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27)를 가지며;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와 확장고정자(47) 또는, 마진이 형성된 와셔(36)와 다각형 너트(38) 그리고, 확장 고정자(47)의 부속품들을 포함한 엑스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기 기둥(포스트) 외주는 도 12의 상부(윗 부분)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기둥(포스트) 형태로 상부(윗 부분) 내입부(10a)가 형성된 원추형 기둥(포스트)에 관통된 홀(18a) 인공치아(51)를 올려 고정나사(22)로 관통시켜 상부 내입부(10a)내 나사 결합 홈(7)에 나사결합 시키며; 상부로 인공치아(51)가 씌워져 움직이지 않게 기둥 한 면을 절단하여 형성한 절단면(Ledge)(25); 과 아래로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가 나사 결합되는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 및 픽스츄어를 고정하는 확장고정자(47)를 끼우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27)를 가지며;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와 확장고정자(47) 또는, 마진이 형성된 와셔(36)와 다각형 너트(38) 그리고, 확장 고정자(47)의 부속품들을 포함한 엑스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기 기둥(포스트)은 상부(윗 부분) 내입부(10a)와 외주는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기둥(포스트) 형태에 관통된 홀(18a) 인공치아(51)를 올려 고정나사(22)로 관통시켜 상부 내입부(10a)내 나사 결합 홈(7)에 나사결합 시키며; 기둥의 한 면을 절단하여 형성한 절단면(25); 과 아래로 도 13의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주(41)를 형성하고, 하방으로 식립 나사 몸체부를 형성 포함하는 엑스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기 기둥(포스트)은 상부(윗 부분) 내입부(10a)을 형성한 도 11의 항아리형 기둥(포스트)과 도 12의 원추형 기둥(포스트) 형태로 형성된 상부(2)로 관통된 홀(18a)인공치아(51)가 씌워져 안착되는 기둥 한 면을 절단하여 형성한 절단면(25); 과 아래로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가 나사 결합되는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 및 픽스츄어를 고정하는 확장고정자(47)를 끼우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27)를 가지며; 중앙이 관통된 홀(18a)인공치아(51)에 고정나사(22)을 관통시켜 상부 내입부(10a)내 나사 결합 홈(7)에 나사결합 시키며;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와 확장고정자(47) 또는, 마진이 형성된 와셔(36)와 다각형 너트(38) 그리고, 확장 고정자(47)의 부속품들을 포함하는 엑스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기 기둥(포스트)은 도 14, 15의 상부(윗 부분) 내입부(10a)와 외주는 나사 기둥(포스트)(21) 형태로 형성되어, 마진이 형성된 긴 너트 지대주(42)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기둥(포스트)(21); 및 나사 기둥(포스트) 하단에 픽스츄어를 고정하는 확장고정자(47)를 끼우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27)를 가지며; 중앙이 관통된 홀(18) 긴 너트 지대주(42)을 고정나사(22)을 관통시켜 상부(2) 내입부(10a)내 나사 결합 홈(7)에 나사결합 시키고 인공치아(51)를 올려 마무리 하며;마진이 형성된 긴 너트 지대주(42)와 확장고정자(47)의 부속품들을 포함하는 엑스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기 지대주(어버트먼트)들과 기둥(포스트)들은 인공치아(51)가 결합되는 부위에 상,하위에 O링 홈(45)을 절취 형성하여 O링(46)을 끼워 음식물 섭취 시, 음식물 침투 방지와 약간의 완충작용을 부여한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기 내입부(10a)는 내주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안착 홈(4a)과 원주형 안착 홈(6a) 그리고, 나사 결합 홈(7a)을 형성 구성한 지대주들과 기둥(포스트)들에 관통된 홀(18a) 인공치아(51)를 올려 고정나사(22)로 관통시켜 상부 내입부(10a)내 나사 결합 홈(7)에 나사결합 시켜 세멘트가 필요 없는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기 내입부(10a)는 내주 벽에 수직으로 물림 척 역할을 하는 4등분(+)(11)이나, 3등분(Y)된 절개 홈(12)을 형성한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기 고정나사(22)는 도 18의 원주형 헤드부(23)와 헤드부 상부에 다각형 (결합부)홈(27a); 과 외면에는 원주형 헤드부(23) 하방의 직경을 줄여 턱(23a)을 형성하여 턱 하방으로 엑스터널 픽스츄어의 기둥(포스트)의 내입부(10a)나 지대주 내입부(10a)의 원추형 안착 홈(4a)과 원주형 안착 홈(6a)에 안치되는 원추형 결합부(14a)와 원주형 결합부(16a)가 형성되고, 하부로 기둥(포스트) 내입부(10a)나 지대주 내입부(10a) 또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내입부(10)의 나사 결합 홈(7)에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17a)를 형성한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기 확장고정자(47)는 중앙에 중앙 다각형 고정 홈(48)을 형성하여 픽스츄어 상부 항아리 기둥(포스트) 하단의 하위 다각형 결합부(27)에 결합되며, 중앙 다각형 고정 홈(48) 테두리 변연에서 순&협측, 설측으로 X형태로 2개씩의 연결자(49)로 4개의 연결자(49) 끝단에 형성된 뽀족한 쐐기 발(50)이 치조골에 안착되며, 다각형 너트(38)로 회전 고정시키며, 연성의 확장고정자(47) 연결자(49)의 들떠있는(일어난) 부분 4개의 연결자(49)는 치조골에 압축 밀착되게 눌러주고 쐐기 발(50)은 마렛팅(망치질)으로 치조골에 박는다.
확장고정자(47)의 표면과 배면에는 샌딩(거칠기)처리된 티타늄 재질로 치조골과의 융착을 도와주며, 도중에 확장고정자(47)를 제거하거나, 픽스츄어가 수명을 다 할 때 까지 함께하는 구성의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본 발명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인터널 타입과 엑스터널 타입으로 형성되었으며, 인터널 타입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부 내입부에 결합되는 지대주는 상부에 내입부를 형성하고, 내입부에 절개 홈(물림척)을 형성한 지대주로 인공치아에 세멘트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세멘팅을 하여도 필요시, 인공치아의 착,탈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엑스터널타 입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부에 결합기둥(포스트)를 형성하여 부가적인 부속품인 확장고정장치와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와 다각형 너트 마진이 형성된 와셔 그리고, O링등 구성으로 초기고정의 향상과 지대치의 파절과 풀림이 없는 픽스츄어로 세멘트 안한 인공치아는 물론 세멘팅한 인공치아도 절삭없이 탈거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편리함을 극대화 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로 인공치아의 파절로 인한 제거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식립 후, 인공치아를 바로 올려 수술기간을 줄일 수 있어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시술자의 불안을 해소하여 인공치가 목적하는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치아를 결합한 후 인공치아에 인가되는 외력에 대해 완충기능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부가하여 우수한 시술결과 및 환자의 시술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 다각형 결합부(27a) 상부(2)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한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도 1a; 다각형 결합부(27a) 상부(2)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한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항아리형 지대주와 관통된 홀(18a) 인공치아, 고정나사를 결합한 정단면도.
도 2; 다각형 결합부(27a) 상부(2)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한 노출형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도 2a; 다각형 결합부(27a) 상부(2)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한 노출형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통된 홀 항아리형 지대주를 분리한 정단면도.
도 3; 상부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한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도 3a; 상부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한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항아리형 지대주를 올려 인공치아를 결합한 정단면도.
도 4; 상부(2)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한 노출형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도 4a; 상부(2)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한 노출형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원추형 지대주를 분리한 정단면도.
도 5; 상부(2)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한 노출형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통돤 홀 원추형 지대주를 분리한 정단면도.
도 6; 상부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한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원추형 지대주를 분리한 정단면도.
도 7; 관통된 홀 전치용 지대주 평,정단면도.
도 8; 관통된 홀 소구치용 지대주 평,정단면도.
도 9; 관통된 홀 대구치용 지대주 평,정단면도.
도10: 원추형 기둥(포스트)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확장고정자와 다각형 너트 그리고, 마진이 형성된 와셔와 인공치아를 결합한 정단면도.
도 11; 절개 홈 항아리형 기둥(포스트)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확장고정자와 다각형 너트 그리고, 마진이 형성된 와셔와 인공치아를 분리한 정단면도.
도 12; 절개 홈 원추형 기둥(포스트)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확장고정자와 다각형 너트 그리고, 마진이 형성된 와셔와 인공치아를 분리한 정단면도.
도 13; 절개 홈 원추형 기둥(포스트)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의 하부에 원추형 주를 형성하여 인공치아를 결합한 정단면도.
도 14; 절개 홈 나사 기둥(포스트)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긴 너트 지대주와 확장고정자 그리고, 인공치아를 분리한 정단면도
도 15; 절개 홈 나사 기둥(포스트)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긴 너트 지대주와 확장고정자를 결합하여 인공치아를 결합한 정단면도.
도 16; 4등분(+) 절개 홈 평면도.
도 17; 3등분(Y) 절개 홈 평면도.
도 18; 고정나사 정단면도.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피질골과 해면골로 이루어진
치조골 조직에 삽입되는 도자기형 인공치근과 상부에 인공치아(51)를 올리는 지대주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예들에 따른 도 1,1-1,2,2-1,3,3-1,4,4-1,5,6,7,8,9를 참조하여 실시되는 예를 설명하면 본 실시 예들에 따른 도 1의 치은에 묻히는 다각형 결합부(27a) 상부(2)에 내입부(10)를 형성한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부(2)의 내입부(10)를 형성한 다각형 결합부(27a)에 결합용 공구나 확장고정자(47)를 결합 하는거나, 도 2의 다각형 결합부(27a) 상부에 내입부를 형성한 치은 위로 노출시킨 노출형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치은 위로 노출시키는 상부(2)에 내입부(10)를 형성한 다각형 결합부(27a)를 형성하여 투 바디(듀얼) 지대주를 올리거나, 도 3의 다각형 결합부(27a) 형성 없이 상부의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하는 것과, 도 4의 다각형 결합부(27a) 형성 없이 상부(2)를 치은위로 노출시켜 상부의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하여 내입부(10a)에 수직으로 도 16의 4등분(+)(11)이나, 도 17의 3등분(Y)된 절개 홈(12)을 원주 마진(40)위로 형성한 항아리형과 원추형 지대주와, 관통된 홀(18) 내입부(10a)에 4등분(+)(11)이나, 3등분(Y)된 절개 홈(12)을 형성한 관통된 홀(18) 항아리형과 관통된 홀(18) 원추형 지대주와 도 7의 관통된 홀 전치용 지대주와 도 8의 관통된 홀 소구치용 지대주와 도 9의 관통된 홀 대구치용 지대주가 결합되는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2) 중앙에 기둥을 형성한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들은 도 10,11,12,13,14,15을 참조하여 실시되는 예를 설명하면 도 10의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2) 중앙에 민 원추형 기둥을 형성한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상부(2) 중앙에 내입부(10a)를 형성하여 수직으로 4등분(+)(11)이나, 3등분 된 절개 홈(12)을 내재한 도 11의 항아리형 기둥(포스트)과 도 12의 원추형 기둥(포스트)그리고, 도 13의 상부(12)의 하부 원추형 주(41)에 원추형 기둥(포스트)과 도 14,15의 나사 기둥(포스트) 상부(2) 중앙에 내입부(10a)를 형성하여 수직으로 도 16의 4등분(+)(11)이나, 도 17의 3등분 (Y) 절개 홈(12)을 내재하고, 하부 몸체 나사부는 공통으로 같은 형태로 형성한 경사진(테이퍼드한) 나사산(28) 연결 형태와 주둥이가 열려있는 도자기형 나사골(29) 연결 형태의 몸체 풍융부(32)와, 물방울형 하부(35)로 구성되어진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외주면 나사산에는 식립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상,하에 다수의 컷팅엣지(3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가 그 중심축을 따라 회전하면 상기 피질골(치밀골)과 해면골로 이루어진 치조골에 삽입되면서 컷팅엣지(31.34)로 인해 미리 드릴에 의하여 치조골에 마련 된 식립 와의 내주면에 나사산 홈(셀프 탭핑)을 형성하면서 식립되므로 식립 시, 치조골에 마찰열을 줄여주며, 원활한 식립을 주도하며, 셀프 탭핑 시, 생긴 잔 치조골를 양쪽의 몸체부 절단면(33)과 컷팅엣지(34)의 빈 공간에 모아 골 융합 시, 치조골 증진에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이때, 픽스츄어로 사용되는 소재로는 일반적으로 치과용 픽스츄어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티타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것이라면 다른 종류의 금속소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상부(2)는 내주로 내입부(10)을 이루는 것으로서, 그 중심에는 드라이버등의 회전공구가 삽입되고, 상부 중앙의 내입부(10a)에 수직으로 4등분(+)(11)이나, 3등분(Y)절개 홈(12)이 형성된 지대주가 안치되게 형성된다.
픽스츄어의 이러한 상부(헤드부)(2) 내입부(10)는 그 하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원추형) 형상에 하방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아크형 안착 홈(3)이나 원추형 안착 홈(4)이 형성되고 다각형 공구를 체결할 수 있도록 아크형(3)이나 원추형 안착 홈(4) 중간에 다각형 안착 홈(5)을 형성하고, 하방으로 좁은 원주형 안착 홈(6)과 나사 결합 홈(7)으로 형성하여 지대주 하부의 아크형(13)이나 원추형 결합부(14)와 나사 결합부(17)가 결합되는 구성이나 하부의 아크형(13)이나 원추형 결합부(14)와 다각형 결합부(15) 구성이나, 또는, 다각형 결합부(15)와 하부의 아크형(13)이나 원추형 결합부(14)으로 형성하여 식립 와에 식립 시, 다각형 안착 홈(5)에 공구를 결합하여 회전시켜 식립하고, 식립 후,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아크형(13)이나 원추형 안착 홈(14)과 나사 결합 홈(7)에 커버스크류(미도시)를 결합하여 치은을 봉합 후, 1차 수술을 마무리한다.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골 융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수개월 기다린 후, 2차 수술를 시도하는 방식으로 2차 수술 시, 치은을 절개나 타공 후, 내입부(10)의 커버스크류(미도시)를 제거하고, 내입부(10)에 지대주를 올려 인상을 채득하고, 기성 임시치관을 끼우고 중앙에 관통된 홀(18a)를 형성한 인공치아(51)를 제작해 대응되는 도 18의 고정나사(22)로 지대주와 결합하여 시술을 완료한다.
<본 실시 예1>
도 1; 다각형 결합부(27a) 상부(2)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한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도 1-1; 다각형 결합부(27a) 상부(2)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한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항아리형 지대주와 인공치아를 올려 대응되는 고정나사(22)로 결합한 정단면도.
도 1-1의 항아리형 지대주를 결합한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각형 결합부(27a) 상부(2)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한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항아리형 지대주를 올려 인공치아를 결합시킨 확대 정면도로서
상세히 기술하면, 항아리형 지대주는 상부 중앙 내입부(10a) 벽에 수직으로 도 16의 4등분(+)(11)이나, 도 17의 3등분(Y) 절개 홈(12)을 형성하고, 내입부(10a)에는 원추형 안착 홈(4a)과 다각형 안착 홈(5a)과 원주형 안착 홈(6a) 그리고, 나사 결합 홈(7a)이 형성되어 절개 홈에 악력이 주어지면 오므러지고, 악력을 풀면 원 위치되는 원리로 중앙에 관통된 홀(18a)을 형성한 인공치아(51)를 끼울 때는 교합면을 아래로 힘을 주어 누르면 딸깍 들어가게 되면, 고정나사(22)로 고정하며, 탈거할 때는 리무버기구를 사용하여야 탈거할 수 있으며, 외부 힘에 쉽게 탈락되지 않는 구조로 구강에서 보다 안전한 구조이다.
외주면은 항아리 형태에 상부에서 하부로 한 면을 절단해 형성한 절단면(Ledge)
(25)를 형성하고, 하방으로 이어져 인공치아(51)의 마진이 안치되는 마진을 형성하고, 식립된 픽스츄어 상부(2)에서 부터 치은 높이에 맞춰 높이별로 형성한 원추형 주(41a)와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2) 내입부(10)에 삽입 결합되는 항아리형 지대주 하부로는 아크형(13)이나 원추형 결합부(14)에 원주형 결합부(16) 그리고, 나사 결합부(17)를 포함 형성한 구조이다.
또한, 외주 상부 1mm 하에 상위 O링 홈(45)을 형성하여 O링(46)을 끼우고, 하부의 오목한 목(Neck)부위(30)에서 넓어지는 오메가 형태에서 오목한 부위에서 바닥이 경사져 넓어지는 부위에 하위 O링 홈(45)을 형성하여 O링(46)을 끼워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내입부(10)의 아크형 안착 홈(3)나 원추형 안착 홈(4)과 안착 홈(4) 중간에 다각형 공구가 결합되는 다각형 안착 홈(5)과 원주형 안착 홈(6) 그리고, 나사 결합 홈(7)에 항아리형 지대주가 나사결합 되는 형태로 결합되면 중앙에 관통된 홀(18a)을 형성한 인공치아(51)를 항아리형 지대주에 씌워 고정나사(22)로 항아리형 지대주 내입부(10a)에 고정할 때. 인공치아(51) 중앙에 관통된 홀(18a)를 통한 고정나사(22)의 원추형 결합부(14a)와 나사 결합부(17a)가 대응 결합되면서, 고정나사(22)의 원추형 결합부(14a)의 경사진 면이 내입부(10a) 벽을 측,하방으로 압박을 가해 수직의 4등분(+)(11)이나, 3등분(Y) 절개 홈(12)이 벌어지면서 중앙에 관통된 홀(18a)을 형성한 인공치아(51)의 내벽을 밀어주므로 세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하며, 한 면을 절단해 형성한 절단면(Ledge)(25)은 인공치아(51)를 삽입 시, 제자리로 인도 해주는 가이드 역할을 하며 인공치아(51)가 돌아가지 않도록 막아주며, 음식물 섭취 시, O링(46)은 침과 음식물 침투을 방지할 수 있고, 약간의 완충작용까지 해줄 수 있는 것이다.
인공치아(51)의 관통된 홀(18a)에 마감된 고정나사(22)위의 여분의 홈은 컴포짓으로 막으므로서 완료된다.
<실시 예1-1>
도 4-1; 상부(2) 중앙에 내입부(10)를 형성한 노출형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원추형 지대주를 분리한 정단면도.
인터널 타입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도 4-1의 원추형 지대주는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의 원추형 형태가 항아리 형태와 다르게 형성되어 관통된 홀(18a) 인공치아(51)를 더 쉽게 원추형 지대주 상부에 끼우기 수월한 형태이고, 그 외 형성된 부분은 항아리형 지대주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4-1의 원추형 지대주 실시 예는 항아리형 지대주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 1-1의 항아리형 지대주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다음 설명은
상부에서 하부로 중앙을 관통 시킨 관통된 홀(18) 항아리형 지대주와 원추형 지대주는 하부로 다각형 결합부(15)가 형성되어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내입부(10)에 결합되어 길이가 긴 고정나사(22)가 결합되는 구성의 예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1-2>
도 2-1의 관통된 홀(18) 항아리형 지대주 실시 예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된 홀(18) 항아리형 지대주는 상부 중앙 내입부(10a)를 상,하로 관통시켜 형성하고, 내입벽에 수직으로 도 15의 4등분(+)(11)이나, 도 16의 3등분(Y) 절개 홈(12)을 형성하고, 내입부(10a)에는 원추형 안착 홈(4a)과 다각형 안착 홈(5a) 그리고, 원주형 안착 홈(6a)이 형성되어 절개 홈(11,12)이 악력이 주어지면 오므러지고, 악력을 풀면 원 위치되는 원리로 중앙을 관통시킨 인공치아(51)를 끼울 때는 교합면을 아래로 힘을 주어 누르면 딸깍 들어가게 되면, 긴 고정나사(22)로 고정하며, 탈거할 때는 리무버기구를 사용하여야 탈거할 수 있으며, 외부 힘에 쉽게 탈락되지 않는 구조로 구강에서 보다 안전한 구조이다.
외주면은 항아리 형태에 상부에서 하부 원주 마진(40)위로 한 면을 절단해 형성한 절단면(Ledge)(25)를 형성하고, 하방으로 이어져 인공치아(51)의 마진이 안치되는 원주 마진(40)을 형성하고,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 내입부(10)에 삽입 결합되는 항아리형 지대주 하부로는 식립된 픽스츄어 상부(2)에서부터 치은 높이에 맞춰 높이별로 형성된 원추형 주(41a)와 중앙이 관통된 홀(18) 아크형(13)이나 원추형 결합부(14)에 다각형 결합부(15)를 포함 형성한 구조이다.
또한, 상부 1mm 하에 상위 O링 홈(45)을 형성하여 O링(46)을 끼우고, 하부의 목 부위에서 넓어지는 오메가 형태에서 오목한 부위에서 바닥이 경사져 넓어지는 부위에 하위 O링 홈(45)을 형성하여 O링(46)을 끼워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내입부(10)의 아크형 안착 홈(3)이나 원추형 안착 홈(4)과 안착 홈(3,4) 중간에 다각형 공구가 결합되는 다각형 안착 홈(5)과 원주형 안착 홈(6) 그리고, 나사 결합 홈(7)에 항아리형 지대주 하부의 다각형 결합부(15)가 다각형 안착 홈(5)에 안치되고, 긴 고정나사(22)를 관통된 홀(18)에 관통 시켜 픽스츄어의 나사 결합 홈(7)에 나사결합 되는 형태로 중앙에 관통된 홀(18a)을 형성한 인공치아(51)를 항아리형 지대주에 씌워 긴 고정나사(22)로 고정할 때. 인공치아(51) 중앙에 관통된 홀(18a)를 통한 긴 고정나사(22)의 원추형 결합부(14a)와 나사 결합부(17a)가 항아리형 지대주를 관통하여 픽스츄어 내입부(10) 나사 결합 홈(7)에 대응 결합되면서, 긴 고정나사(22)의 원추형 결합부(14a)의 경사진 면이 항아리형 지대주 내입부(10a) 벽을 측,하방으로 압박을 가해 수직의 4등분(+)(11)이나, 3등분(Y) 절개 홈(12)이 벌어지면서 중앙에 관통된 홀(18a)을 형성한 인공치아(51)의 내벽을 밀어주므로 세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하며, 항아리형 지대주 외주 상부에서 원주 마진(40)위에 한 면을 절단해 형성한 절단면(Ledge)(25)은 인공치아(51)를 삽입 시, 제자리로 인도 해주는 가이드 역할을 하며 인공치아(51)가 돌아가지 않도록 막아주며, 음식물 섭취 시, O링(46)은 침과 음식물 침투을 방지할 수 있고, 약간의 완충작용까지 해줄 수 있는 것이다.
인공치아(51)의 관통된 홀(18)에 마감된 긴 고정나사(22)위의 여분의 홈은 컴포짓으로 막으므로서 완료된다.
<실시 예1-3>
도 5,6의 인터널 타입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관통된 홀(18) 원추형 지대주는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의 원추형 형태가 항아리 형태와 다르게 형성되어 관통시킨 인공치아(51)를 더 쉽게 원추형 지대주 상부에 끼우기 수월한 형태이고, 그 외 형성된 부분은 관통된 홀(18) 항아리형 지대주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5,6의 관통된 홀(18) 원추형 지대주 실시 예는 도 2-1의 관통된 홀(18) 항아리형 지대주와 동일한 방법 시술되므로 관통된 홀(18) 항아리형 지대주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전, 소, 대구치용 상부는 도 7처럼 전치용는 자연치아 전치처럼 넓적한 순면(19)과 근심면(20)과 원심면(21)과 절단연(8) 그리고, 약간 함몰시킨 설면(9)을 형성하고, 도 8의 소구치용은 소구치처럼 좁은 둥근 협면과 설면에 조금 넓은 근심면과 원심면을 형성하고, 도 9의 대구치용은 자연치아 대구치처럼 모서리들이 둥그런 직사각형 형태의 근심면과 원심면 그리고, 협면과 설면을 절취 형성한 상부와 원주 마진(40) 위까지 절삭하여 아크형으로 부드럽게 원주 마진(40)에 하부에 다각형 결합부(24)를 형성한 형태 상부와 관통된 홀(18) 외면 하부로는 아크형(13)이나 원추형 결합부(14)에 다각형 결합부(15)로 구성되어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관통된 홀(18,18a)를 긴 고정나사(22)로 관통시켜 나사 결합되는 특징을 가지는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실시 예1-4>
도 7은 관통된 홀(18) 전치용 지대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결합한 예로서,
관통된 홀(18) 전치용 지대주는 상부 중앙 내입부(10a)를 상,하로 관통시켜 형성하고, 내입벽에 수직으로 도 13의 4등분(+)(11)이나, 도 14의 3등분(Y) 절개 홈(12)을 형성하여 내입부(10a)에는 원추형 안착 홈(4a)과 다각형 안착 홈(5a) 그리고, 원주형 안착 홈(6a)이 형성되어 절개 홈(11,12)이 악력이 주어지면 오므러지고, 악력을 풀면 원 위치되는 원리로 중앙을 관통시킨 인공치아(51)를 끼울 때는 교합면을 아래로 힘을 주어 누르면 들어가게 되며, 고정나사(22)를 인공치아(51)의 관통된 홀(18a)를 통해 임플란트 픽스츄어 내입부(10) 나사 결합 홈(7)에 나사 고정되며, 외부 힘에 쉽게 탈락되지 않는 구조로 구강에서 보다 안전한 구조이다.
외주면은 자연치아 전치처럼 넓적한 순면 또는 협면(19)과 근심면(20)과 원심면(21)과 절단연(8) 그리고, 약간 함몰시킨 설면(9)을 형성하고, 하방으로 이어져 인공치아(51)의 마진이 안치되는 원주 마진(40)을 형성하고,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 내입부(10)에 삽입 결합되는 전치용 지대주 외면 하부로는 식립된 픽스츄어 상부(2)에서부터 치은 높이에 맞춰 높이별로 형성된 원추형 주(41a)와 중앙이 관통된 홀(18)에 아크형 결합부(13)나 원추형 결합부(14)에 다각형 결합부(15)를 포함 형성한 구조이다.
또한, 외주 상부 1mm 하에 상위 O링 홈(45)을 형성하여 O링(46)을 끼우고, 하부의 원주 마진(40) 부위 원주에 하위 O링 홈(45)을 형성하여 O링(46)을 끼워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내입부(10)의 아크형 안착 홈(3)이나 원추형 안착 홈(4)과 안착 홈(3,4) 중간에 다각형 공구가 결합되는 다각형 안착 홈(5)과 원주형 안착 홈(6) 그리고, 나사 결합 홈(7)에 전치용 지대주 하부의 다각형 결합부(15)가 다각형 안착 홈(5)에 안치되고, 고정나사(22)를 전치용 지대주의 관통된 홀(18)에 관통 시켜 픽스츄어의 나사 결합 홈(7)에 나사결합 되는 형태로 중앙에 관통된 홀(18a)을 형성한 인공치아(51)를 전치용 지대주에 씌워 고정나사(22)로 고정할 때. 인공치아(51) 중앙에 관통된 홀(18a)를 통한 고정나사(22)의 원추형 결합부(14a)와 나사 결합부(17a)가 대응 결합되면서, 고정나사(22)의 원추형 결합부(14a)의 경사진 면이 내입부(10a) 벽을 측,하방으로 압박을 가해 수직의 4등분(+)(11)이나, 3등분(Y) 절개 홈(12)이 벌어지면서 중앙에 관통된 홀(18a)을 형성한 인공치아(51)의 내벽을 밀어주므로 세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하며, 전치용 지대주 설면(9)은 외주 하부 원주 마진(40)위에 인공치아(51)를 삽입 시, 제자리로 인도 해주는 가이드 역할을 하며 인공치아(51)가 돌아가지 않도록 막아주며, 음식물 섭취 시, O링(46)은 침과 음식물 침투을 방지할 수 있고, 약간의 완충작용까지 해줄 수 있는 것이다.
인공치아(51)의 관통된 홀(18a)에 마감된 고정나사(22)위의 여분의 홈은 컴포짓으로 막으므로서 완료된다.
<실시 예1-5>
도 8의 관통된 홀(18) 소구치용 지대주 정단면도와
<실시 예1-6>
도 9의 관통된 홀(18) 대구치용 지대주가 결합되는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구성과 실시 예는 도 7은 관통된 홀(18) 전치용 지대주와
동일하므로 관통된 홀(18) 전치용 지대주로 설명을 대신한다.
<실시 예1-7>
도 2, 도 4의 노출형 인터널 타입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부(2)가 치은 위로 노출되는 형태로 상기의 모든 지대주에 적용되며, 상부 내입부(10)는 대응 결합되는 지대주의 하부 결합부와 부합되는 형태를 가진다.
다만, 식립된 픽스츄어 상부(2)에서부터 치은 높이에 맞춰 높이별로 형성된 원추형 주(41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모든 지대주와 동일한 구조와 시술방법으로 일맥상통하므로, 노출형 인터널 타입 임플란트 픽스츄어 실시 예는 원추형 주(41a)가 없는 상기 지대주 중 어느 하나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고정나사(22) 정단면도
상기 고정나사(22) 형태는 원주형 헤드부(23)에 상부 내주로 다각형 공구를 결합하는 다각형(결합부) 홈(27a)을 형성하고, 외면에는 원주형 헤드부(23) 하방의 직경을 줄여 턱(23a)을 형성하여 인공치아(51) 관통된 홀(18a)의 걸림 턱(53)에 고정나사(22) 턱(23a)이 안치되며, 턱(23a) 하방으로 기둥(포스트)들의 내입부(10a)나 지대주들 내입부(10a)의 원추형 안착 홈(4a)과 원주형 안착 홈(6a)에 안치되는 원추형 결합부(14a)와 원주형 결합부(16a)가 형성되고, 하부로 기둥(포스트) 내입부(10a)나 지대주 내입부(10a) 또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내입부(10)의 나사 결합 홈(7)에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17a)를 형성한 구성이다.
고정나사(22)의 기능은 외주의 원추형 형태의 원추형 결합부(14a)와 원주형 결합부(16a) 그리고, 나사 결합부(17a)는 중앙에 관통된 홀(18a)을 형성한 인공치아(51)를 씌우는 인터널 하이브리드 임플란트 픽스츄어들이나, 인터널 하이브리드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지대주들 내입부(10a)의 나사 결합 홈(7a)이나,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임플란트 픽스츄어들의 지대주들에 해당되는 기둥(포스트) 내입부(10a)의 나사 결합 홈(7a)에 회전 결합되면서, 수직의 절개 홈(11,12) 원추형 안착 홈(4a)과 원주형 안착 홈(6a)에 위치되면서, 절개된 내입부(10a) 벽을 측,하방으로 벌리면서, 인터널 하이브리드 임플란트 픽스츄어 지대주들이나,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기둥(포스트)들에 씌워진 Cap(52)이나 인공치아(51)의 내벽을 밀면서 단단하게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도록 고안하였다.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내입부(10) 나사 결합 홈(7)에 대응 결합되는 도 18의 고정나사(22)들은 중간부 원주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고정나사(22)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위 형태의 결합은 세멘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세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인공치아(51)를 올릴 수 있고, 움직임을 방지하고, 안정하게 고정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인공치아(51)를 탈거할 때는 인공치아(51) 상부에 있는 컴포짓을 제거한 후, 고정나사(22)를 풀어서 제거한 후, 리무버로 인공치아(51)를 제거한다.
도 10,11,12,13,14,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들 결합상태 정 단면도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부(2)에 기둥(포스트)이 형성된 임플란트 픽스츄어로 지대주의 파절를 줄일 수 있는 여러 형태의 굵은 기둥(포스트)들로 구성된다.
상기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기둥(포스트) 임플란트 픽스츄어들은 커버스트류(미도시) 대신 Cap(52)를 사용한다.
도 10,11,12,13,14,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0의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2) 중앙에 원추형 기둥(포스트)을 형성한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도 10,11,12,13,14,15의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2) 중앙 내입부(10a)에 원추형 안착 홈(4)과 원주형 안착 홈(6)을 형성하고, 내입벽에 수직으로 4등분(+)(11)이나, 3등분(Y) 절개 홈(12)을 내재한 도 11의 항아리형 기둥(포스트)과 도 12의 원추형 기둥(포스트)그리고, 도 13의 원추형 기둥(포스트)의 하단에 원추형 주(41)를 형성한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도 14,15의 절개 홈 나사 기둥(포스트) 상부 중앙 내입부(10a)에 원추형 안착 홈(4)과 원주형 안착 홈(6)을 형성하고, 내입벽에 4등분(+)(11)이나, 3등분(Y) 절개 홈(12)을 내재하고,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들에 공통의 경사진(테이퍼드한) 나사산(28) 연결 형태와 주둥이가 넓게 열려있는 도자기형 나사골(29) 연결형태의 몸체 풍융부(32)와, 물방울형 하부(35)로 이루어진다.
도 10,11,12,13,14,15를 참조해서 실시되는 엑스터널 타입 임플란트 픽스츄어들에 부속품들을 결합시켜 설명한 개략적 설명으로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중 본 실시 예는 상부 중앙에 내입부(10a)와 절개 홈(11,12)을 내재하지 않은 도 10의 원추형 기둥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부속품 결합상태도로 원추형 기둥(포스트)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와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 또는, 원추형 기둥(포스트)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마진이 형성된 와셔(36)와 다각형 너트(38) 그리고,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등의 부속품을 내재되도록 한 구성이다.
<본 실시 예2>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추형 기둥(포스트)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와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를 내재되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원추형 기둥(포스트)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부 원추형 기둥(포스트)의 하단부터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둥글게)된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가 결합되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27)와 인공치아 하단의 마진이 안치되는 원주 마진(40)부위를 형성한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가 결합되는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 그리고, 인공치아(51)와 결합되는 원추형 기둥(포스트) 아래에 한 부분에 절단면(Ledge)(25)를 형성해 형태에 맞는 공구를 채택 결합하여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식립할 수 있고, 또한, 인공치아(51) 결합(셋팅) 시, 제자리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여 인공치아(51)가 돌아가지 않도록 고정하여준다.
원추형 기둥(포스트) 하단의 하위 다각형 결합부(27)에는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가 결합되어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가 원추형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에 회전 결합되면 밑에 있는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가 눌리면서 고정되는데,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의 중앙은 중앙 다각형 고정 홈(48)으로 형성되어 중앙 다각형 고정 홈(48) 테두리 변연에서 순&협측, 설측으로 X형태로 2개씩의 연결자(49)로 4개의 연결자(49)가 형성되고, 연결자(49) 끝단에는 뽀족한 쐐기 발(50)이 형성되어 있어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로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에 회전 고정시키면, 치조골 표면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들뜨게 되는데, 약간의 연성이 있게 만들어진 연결자(49)는 들떠있는(일어난) 부분를 치조골에 맞춰 기구로 압박 밀착되게 눌러주고, 쐐기 발(50)은 가볍게 마렛팅(망치질)으로 치조골에 박는다.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의 표면과 배면에는 샌딩(거칠기)처리된 티타늄 재질로 치조골과의 융착을 도와주며, 픽스츄어가 수명을 다 할 때까지 함께하는 구성과 탈거하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높이는 치은(잇몸) 높이(두께)에 해당하게 형성하여, 치은높이에 따라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의 원주 마진(40) 높이를 선택하여 사용하며, 원추형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에 회전 결합되어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를 고정하는데, 치은(잇몸) 높이(두께)에 맞춰 mm수를 정하여 선택할 수 있게 형성한다.
즉, 원추형 기둥(포스트)의 나사 결합부(26)까지의 높이가 치은 높이므로 치은높이에 맞춰 각 환자의 치은 높이별로 차이를 주어 나사 결합부(26)를 구성한다.
상부에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는 다각형 공구를 체결할 수 있게 외형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하고 외주에는 1,2,3,4mm등 높이 치수로 형성되어 치은(잇몸) 높이(두께)에 따라 적용할 수 있으며, 중앙에 너트 홀(44)(암나사)이 형성되어 원추형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에 체결 회전 결합된다.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의 외형은 원주 상부 상단에서 1mm 하방으로 직경이 작은 원주 마진(40)를 형성하여 인공치아(51) 하단의 변연이 안치되며,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의 위에 위치하며, 중앙에 형성된 중앙 너트 홀(44)이 원추형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에 회전 고정되어 술 후, 인공치아(51)가 결합되어 완성된다.
또한, 다각형 너트(38), 마진이 형성된 와셔(36)와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 (39)는 상호호환이 가능하여 서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의 역할은 측방에서 다각형 공구를 결합하여 풀으면 상부로 올라가면서 인공치아(51)의 세멘트를 분리시켜 인공치아(51)가 들리면서 탈거되는 것이고, 다른 예의 마진이 형성된 와셔(36)의 역할은 하방에 있는 다각형 너트(38)를 회전시켜 풀으면 밀리면서 마진이 형성된 와셔(36)가 상방으로 올려지며 세멘트된 인공치아(51)를 탈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치근에 해당하는 식립 몸체 나사부는 상기 모든 픽스츄어의 하부 식립 몸체 나사부의 경사진(테이퍼드한) 나사산(28)과 주둥이가 열려있는 도자기형 나사골(29)과 동일하므로 이하생략 한다.
도 10은 원추형 기둥(포스트)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 그리고,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를 내재되도록 한 구성한 예로 시술 후, 저작 기능 중 인공치아(51)(PFM도재치)가 파절되어 재제작을 위해 인공치아(51)의 탈거가 필요할 때,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의 외측 다각형 결합부에 다각형 공구를 체결하여 회전시키면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가 위로 올라가면서 인공치아(51)를 탈거하는데 이때, 픽스쳐 기둥(포스트)에 끼워져 대응되는 인공치아(51) 내면에 상위 다각형 결합부(24)이나 절단면(Ledge)(25)으로 인해 인공치아(51)는 회전되지 않고,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가 위로 풀려지며, 인공치아(51)를 들어 올려 탈거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마진이 형성된 와셔(36)를 사용할 경우는 마진이 형성된 와셔(36)의 역할은 하방에 있는 다각형 너트(38)를 회전시켜 풀으면 밀리면서 마진이 형성된 와셔(36)가 상방으로 올려지며 인공치아(51)를 탈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결합 후, 저작시나, 불시하중에 인공치아(51)의 움직임이나 파절시 인공치아(51)를 절단할 필요없이 탈거시켜 수정 수선 후, 재부착할 수 있어 시술시간과 고생을 줄일 수 있고 환자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기둥(포스트)의 굵기에 따라 전치용과 구치용으로 구분되는데, 가는 것은 전치에 사용하고, 굵은 것은 구치에 사용한다.
<실시 예2-1>
도 11는 절개 홈 항아리형 기둥(포스트)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확장고정자(47)와 다각형 너트(38) 그리고, 마진이 형성된 와셔(36)와 인공치아(51)를 분리한 정단면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술하면,항아리형 기둥(포스트)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2)는 결합돌기의 중앙이 돌출되어 헤드부위가 항아리 형태에 상부는 중앙에 내입부(10a)를 형성하고, 내입벽에 수직으로 도 13의 4등분(+)(11)이나 도 14의 3등분(Y)된 절개 홈(12)을 형성하여 내입부(10a)에는 원추형 안착 홈(4)과 원주형 안착 홈(6) 그리고, 나사 결합 홈(7)이 형성되어 악력을 주면 오므라들며, 악력을 풀면 원위치로 돌아가는 콜렉척처럼 형성하고, 항아리 헤드의 풍융부 위와 오목한 목(neck)(30) 부위 아래 넓어지는 부위에 O링 홈(45)을 형성하여 합성수지나 실리콘 연질의 재료로 형성한 O링(46)을 삽입하여 저작 시, 충격완화(완충작용)와 침과 음식물를 차단하는 방수처리로 세멘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오목한 목(neck)(30) 부위는 완만하고, 오목하게 형성하여 똑딱이 장치처럼 인공치아(51)를 삽입시 원활하게 들어갈 수 있게 형성하고, 마진이 형성된 와셔(36)를 항아리형 기둥(포스트)의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 위로 형성한 원주 마진(40)에 삽입하여 안치시키면 마진이 형성된 와셔(36)가 수직으로 4등분(+)(11)이나 3등분(Y)된 절개 홈(12) 때문에 빡빡하게 안치되며, 지대주 피로강도 테스트 (510)에 견디는 직경이상으로 형성된 항아리형 기둥(포스트) 하방으로 면취(다듬어진)된 나사 결합부(26)가 이루어져 다각형 너트(38)가 결합되며, 하단에 형성되어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를 삽입하고 픽스츄어를 식립 할 때, 다각형 공구를 결합하여 식립하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27)가 형성되어 있어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가 결합되어 다각형 너트(38)회전 결합되면 하위 다각형 결합부(27)의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 상부를 압박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는 중앙에 중앙 다각형 고정 홈(48)을 형성하여 픽스츄어 상부 항아리 기둥(포스트) 하단의 하위 다각형 결합부(27)에 결합되며, 중앙 다각형 고정 홈(48) 테두리 변연에서 순&협측, 설측으로 X형태로 2개씩의 연결자(49)로 4개의 연결자(49) 끝단에 형성된 뽀족한 쐐기 발(50)이 치조골에 안착되며, 다각형 너트(38)로 회전 고정시키며, 다른 폼이 만들어져 있는 와셔징 보다 연성이 있게 만들어진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 연결자(49)의 들떠있는(일어난) 부분 4개의 연결자(49)는 치조골에 압축 밀착되게 눌러주고 쐐기 발(50)은 마렛팅(망치질)으로 치조골에 박는다.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의 표면과 배면에는 샌딩(거칠기)처리된 티타늄 재질로 치조골과의 융착을 도와주며, 픽스츄어가 수명을 다 할 때 까지 함께하는 구성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각형 너트(38)와 마진이 형성된 와셔(36)의 높이는 치은(잇몸) 높이(두께)이므로 치은(잇몸) 높이(두께)에 따라 다각형 너트(38)높이를 결정하여 사용하며, 다각형 너트(38)는 항아리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에 회전 결합되어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를 고정하는데, 치은(잇몸) 높이(두께)에 맞춰 mm수를 정하여 선택할 수 있게 형성한다.
형상은 중앙에 너트 홀(암나사)(44)이 형성되어 항아리형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에 회전 결합되며,외형은 다각형 공구를 체결할 수 있게 다각형 형태로 형성하여 항아리형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에 체결되는 외주에는 1,2,3,4mm등 치은(잇몸) 높이(두께)에 따라 형성되며, 항아리형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에 회전 결합되고, 마진이 형성된 와셔(36)는 인공치아(51) 하단의 변연이 안치되는 원주 마진(40)을 상부에 형성하여 다각형 너트(38) 위에 안치된다.
이때, 다각형 너트(38) 높이와 마진이 형성된 와셔(36)의 높이를 합친 것이 치은(잇몸) 높이(두께)에 해당되고, 원주 마진(40) 위로는 인공치아(51) 하단의 변연(마진)이 안치되며, 술 후 인공치아(51)가 올려져 완성되며, 세멘트는 사용하지 않는 구조로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를 결합하여 엑스터널식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되는 작용과 기능을 설명하면, 항아리형 기둥(포스트) 상부는 중앙에 내입부(10a)를 형성하여 수직의 4등분(+)(11)이나 3등분(Y)된 절개 홈(12)을 내재하여 인공치아(51)와 결합되는 절개 홈(11,12) 기둥(포스트) 부위로 외형은 항아리형 형태로 상부 1mm 밑에 상위 O링 홈(45)을 형성하여 O링(46)이 끼워지고,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4등분(+) 절개홈(11)이나 3등분된 절개 홈(12)을 기둥(포스트)하부까지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 내입부(10a)를 형성하여 고정나사(51)의 원추형(팽창) 결합부(14a)와 원주형 결합부(16a) 그리고, 나사 결합부(17a)가 안치되는 원추형 안착 홈(4)과 원주형 안착 홈(6) 그리고, 나사 결합 홈(7)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나사(22)로 인공치아(51)를 결합하며, 기둥(포스트) 하부쪽은 공구을 결합하여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27)를 형성하고, 하방에 하위 O링 홈(45)을 형성하여 연질의 O링(46)이 끼워지며, 픽스츄어 식립 시, 결합부 형태에 맞는 공구를 채택 결합하여 회전 식립하며, 인공치아(51)를 제작하기 위한 인상 채득 시, 연질 O링(46)을 끼운채로 인상을 채득하여 관통된 홀를 내재한 인공치아(51)를 제작 한 후, 인공치아(51)를 끼울 때(셋팅), 결합부가 제자리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여 삽입 후에 인공치아(51)가 돌아가지 않도록 막아주며, 연질 O링(46)은 침과 음식물 침투방지와 약간의 완충작용까지 해주며, 고정나사(22)가 회전 결합될 때, 고정나사(22)의 원추형 결합부(14a)가 측,하방으로 압축 하강하며, 절개부의 물림척이 이개 되면서 인공치아(51)의 내면를 꽉 밀어주므로 세멘트없이 고정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치조골에 식립되는 치근에 해당하는 식립 몸체 풍융부(32) 나사부는 설명되어질 임플란트 픽스츄어들 모두 동일한 형태이므로 인터널이나 엑스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들의 어느 하나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아리형 기둥(포스트)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부 기둥(포스트)의 상측에 결합 마무리되는 커버스크류(미도시)를 필요로 하지않고 내부는 기둥(포스트)상단에 대응되는 캡(52)을 형성하여 기둥(포스트)를 덮을 수 있도록 원주형 외형의 캡(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항아리 기둥(포스트)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쳐에 결합되는 다각형너트(38)의 조여지는 힘은 일반 지대주를 결합할 때 조여지는 힘은 25-30N 정도의 힘이 요구된다.
<실시 예2-2>
도 12은 절개 홈 원추형 기둥(포스트)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확장고정자(47)와 다각형 너트(38) 그리고, 마진이 형성된 와셔(36)와 인공치아(51)를 분리한 정단면도로 절개홈 원추형 기둥(포스트)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부속품 결합한 상태의 도면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절개 홈(11,12) 원추기둥(포스트)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부 지대주 역할의 절개 홈(11,12) 기둥과 하부 치근 역활의 도자기 형태 식립부인 도자기형 나사부로 이루어진다.
원추형 기둥(포스트) 상부는 중앙에 내입부(10a)를 형성하여 수직의 4등분(+)(11)이나 3등분(Y)된 절개 홈(12)을 내재하여 인공치아(51)와 결합되는 절개 홈(11,12) 기둥(포스트) 부위로 외형은 원추형 형태로 상부 1mm 밑에 상위 O링 홈(45)을 형성하여 O링(46)이 끼워지고,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4등분(+) 절개홈(11)이나 3등분된 절개 홈(12)을 기둥(포스트)하부까지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 내입부(10a)를 형성하여 고정나사(51)의 원추형(팽창) 결합부(14a)와 원주형 결합부(16a) 그리고, 나사 결합부(17a)가 안치되는 원추형 안착 홈(4)과 원주형 안착 홈(6) 그리고, 나사 결합 홈(7)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나사(22)로 인공치아(51)를 결합하며, 기둥(포스트) 하부쪽은 공구을 결합하여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27)를 형성하고, 하방에 하위 O링 홈(45)을 형성하여 연질의 O링(46)이 끼워지며, 픽스츄어 식립 시, 결합부 형태에 맞는 공구를 채택 결합하여 회전 식립하며, 인공치아(51)를 제작하기 위한 인상 채득 시, 연질 O링(46)을 끼운채로 인상을 채득하여 관통된 홀를 내재한 인공치아(51)를 제작 한 후, 인공치아(51)를 끼울 때(셋팅), 결합부가 제자리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여 삽입 후에 인공치아(51)가 돌아가지 않도록 막아주며, 연질 O링(46)은 침과 음식물 침투방지와 약간의 완충작용까지 해주며, 고정나사(22)가 회전 결합될 때, 고정나사(22)의 원추형 결합부(14a)가 측,하방으로 압축 하강하며, 절개부의 물림척(콜렉척)이 이개 되면서 인공치아(51)의 내면를 꽉 밀어주므로 세멘트없이 고정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부 치근 역할의 식립부는 모두 동일한 형태이므로 실시예의 어느 하나로 대신한다.
<실시 예2-3>
도 13은 절개 홈 원추형 기둥(포스트)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의 하부에 원추형 주를 형성하여 인공치아를 결합한 정단면도로
하위 다각형 결합부(27)와 기둥(포스트)나사 결합부(26) 대신 원추형 주(41)를 형성한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통된 홀(18) 인공치아(51)를 올려 대응되는 고정나사(22)로 결합한 실시 예로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추형 기둥(포스트)의 내입부(10a)에 절개 홈(11,12)을 형성한 상부(2)에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가 결합되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27)와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를 형성하지 않고, 절단면(25) 아래로 인공치아(51)가 안치되는 원주 마진(40)을 형성하여 원주 마진(40) 하방에서 픽스츄어의 상부 하단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치은 높이에 따라 높이별로 원추형 주(41)를 형성한다.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헤드부)(2)는 치조골에는 삽입되지 않고, 몸체 풍융부(32)는 그 치조골로부터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헤드부)(2)의 하측에 배치되어 치조골에 식립되고, 전체적으로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몸체 풍융부(32)는 2중 구조로 경사진(테이퍼드한) 나사산(28) 연결형태와 주둥이가 열려있는 도자기형 나사골(29) 연결형태로 구분되는데,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같은 구조 역활의 치근에 해당하는 식립 몸체 나사부는 외형의 경사진(테이파드한) 나사산(28)의 연결형태는 절단면(Ledge)(25) 결합부 아래의 원주 마진(40) 하방 외곽으로 확장된 면에 면의 테두리를 면취 시킨 면에 하방으로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진(테이퍼드한) 나사산(28) 형태에 하단은 물방울형 하부(35)처럼 둥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반면에 나사골의 연결형태는 상부(2)의 면취 시킨 면 외주에서부터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다가 다시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주둥이가 열려있는 도자기형 나사골(29) 형태로 오목한 목(Neck)(30)부위와 도자기 몸체 풍융부(32) 그리고, 물방울형 하부(35)로 둥글게 형성된다.
식립 와는 기존의 테이퍼드한 드릴을 사용하며, 나사산은 기본적인 60도 나사산과 여러 나사산으로 형성 가능하다.
픽스츄어의 경사진(테이퍼드한) 나사산(28)과 주둥이가 열려있는 도자기형 나사골(29)의 관계로 오목한 목(30)부위의 긴 나사산에는 나사산에 몸체 풍융부(32)의 나사골과 같은 직경의 나사산 위치에 도 13의 180도 간격으로 2개의 제한된 컷팅엣지(31)를 형성하여 몸체 풍융부(32)에서 시작되는 도 13의 양쪽 2개의 몸체부 절단면(33)에 형성되는 2개식의 절단면 컷팅엣지(34) 총4개의 컷팅엣지(34)가 형성된 몸체 풍융부(32)의 중간에 위치시켜 몸체 풍융부(32)가 시작되는 부위에서 오목한목(Neck)(30) 부위의 나사산까지 몸체 풍융부(32)의 직경과 같게 컷팅엣지(31)가 형성되어 임플란트 픽스츄어 식립 시,원활하게 식립되며, 오목한 목(Neck)(30)부위의 나사산은 임플란트 픽스츄어 중심에서 길게 부여된 긴 나사산이 형성되어 원활한 식립과 치조골로부터 많은 유지를 받으면서 나사골의 몸체는 작아지기 때문에 식립 시, 치조골과 닿지 않기 때문에 치조골에 마찰열(히트 데미지)를 덜 주게되어 골 괴사를 줄여주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자기 형태 몸체 풍융부(32)의 도 14의 컷팅엣지(31)는 풍융한 부위에 120도 별로 3군데 형성하여 주거나 180도 별로 양쪽에 몸체부 절단면(33)를 형성하여 몸체부 절단면(33)에 수직의 1개씩의 컷팅엣지(34)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컷팅엣지(34)의 수는 같은 위치에서 형성 조절 가능하다.
이와 같은 컷팅엣지(31,34)구조는 식립 시, 원활한 식립을 주도하며, 셀프 탭핑 시, 발생한 잔 치조골를 양쪽의 몸체부 절단면(33)과 컷팅엣지(34)의 빈 공간에 모아 골 융합 시, 치조골 증진에 도움을 주도록 하였다.
골 융합 후에는 경사진 외형의 경사진(테이퍼드한) 나사산(28) 연결형태와 주둥이가 열려있는 도자기형 나사골(29)연결형태의 2중적 접촉구조로 치조골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골 융합을 도모하여 지대주 결합 시나, 저작압에 의한 회전에 보다 안정적인 구조로 탈락을 줄여주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경사진 (테이퍼드한) 나사산(28)은 상측에서 몸체 하측으로 배치되고, 그 몸체 풍융부(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헤드부)(2)에서 하측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경사진(테이퍼드한) 나사산(28)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진다.
반면에 주둥이가 열려있는 도자기형 나사골(29)은 도자기 오목한 목(Neck)(30) 부위와 물방울형 하부(35)형의 하단에서 직경이 제일 좁아지고, 몸체 풍융부(32)에서 직경이 제일 커진다.
도자기형 오목한 목(30) 부위 나사산의 높이는 도자기 몸체 풍융부(32) 나사산보다 돌출되는 특징이 있다.
기존의 임플란트 픽스츄어들은 골 융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수개월 기다린 후, 2차 수술를 시도하는 방식으로 2차 수술시, 치은을 절개나 타공 후, 커버스크류를 제거하고, 지대주를 올려 인공치를 제작해 시술을 완료하였으나, 인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기둥(포스트) 임플란트 픽스쳐들은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가 결합되는 경우는 식립 후, 즉시 인공치아(51)를 올릴 수도 있고, 수개월간 기다렸다가 인공치아(51)를 올릴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5는 절개 홈 나사 기둥(포스트)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확장고정자(47)를 긴 너트 지대주(42)로 고정하고, 관통된 홀(18) 긴 너트 지대주(42)를 대응되는 고정나사(22)로 결합하여 인공치아(51)를 결합한 정단면도.
<실시 예2-4>
도 14의 절개 홈 나사 기둥(포스트)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긴 너트 지대주(42)와 확장고정자(47) 그리고, 인공치아(51)를 분리한 정단면도와 도 15의 절개 홈 나사 기둥(포스트) 엑스터널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긴 너트 지대주(42)와 확장고정자(47)를 결합하여 인공치아(51)를 결합한 정단면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 기둥(포스트)형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2)는 나사 기둥(포스트) 결합돌기의 중앙이 돌출되어 헤드부위 테두리가 면취(다듬어진)된 기둥(포스트)에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를 형성하여, 나사 결합부(26) 상부 내주로 내입부(10a)를 형성하여 내입벽에 수직의 4등분(+)(11)이나, 3등분(Y) 절개 홈(12)을 내재하고, 외주 하부로 원주에 하위 다각형 결합부(27)가 형성되어 공구나 확장고정자(47)가 결합되며, 이 결합부에서 직경이 넓어지면서 턱을 형성하여 턱의 가장자리(테두리)는 면취(경사지게)처리 하여 치근에 해당하는 식립 나사부로 이어지는데, 식립 나사부의 외형 나사산 연결형상은 상부에서 하부으로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경사진(테이퍼드한) 나사산(28) 형태에 하단은 물방울형 하부(35)로 둥글게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나사골의 연결형상은 반면에 상부의 면취 시킨 면 외주에서부터 직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다가 다시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주둥이가 열려있는 도자기형 나사골(29)형태로 오목한 목(Neck)(30)부위와 도자기 몸체 풍융부(32) 그리고 하부로 물방울형 하부(35)로 둥글게 형성된다.
상기 나사 기둥(포스트)은 상부(2) 중앙에서 하부로 내입부(10a)를 형성하여 내입부(10a)에 원추형 안착 홈(4)과 원주형 안착 홈(6) 그리고, 나사 결합 홈(7)를 형성하여 관통된 홀(18)의 긴 너트 지대주(42)나 틀니에 들어가는 Cap(52)을 올려 고정나사(22)를 관통시켜 고정나사(22)의 원추형 결합부(14a)와 원주형 결합부(16a) 그리고, 나사 결합부(17a)가 대치되어 나사 결합되는 구조로 나사 기둥(포스트) 상부 중앙 내입부(10a) 내벽에 수직의 4등분(+) 절개 홈(11)이나 3등분(Y)으로 나눈 절개 홈(12)(콜렉척 형상)을 형성하여, 여기에 결합되는 긴 너트 지대주(42)나 틀니에 들어가는 Cap(52)의 상부에 관통된 홀(18)을 형성해 고정나사(22)가 긴 너트 지대주(42)나 틀니에 들어가는 Cap(52)을 관통하여 고정나사(22)의 나사 결합부(17)가 나사 기둥(포스트)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2)의 내입부(10a)의 원추형 안착 홈(4)과 원주형 안착 홈(6)에 안치되고 나사 결합 홈(7)에 나사 결합되며, 고정나사(22) 원추형 결합부(14a)가 측,하방으로 내려가면서 절개 홈(Chuck)(11,12)이 벌어지면서 긴 너트 지대주(42)나 Cap(52)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되어 풀리지 않는 원리이다.
나사 기둥(포스트) 하부로 원주에 하위 다각형 결합부(27)을 형성하여 식립 시, 대응되는 공구를 결합 식립하며, 식립 후, 이 다각형 결합부(27)에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가 결합되어 긴 너트 지대주(42)나 Cap(52)이 나사 기둥(포스트)에 회전 결합되며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가 고정되는데,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는 중앙에 중앙 다각형 고정 홈(48)을 형성하여 픽스츄어 상부 나사 기둥(포스트) 하단의 하위 다각형 결합부(27)에 결합되며, 중앙 다각형 고정 홈(48) 테두리 변연에서 순&협측, 설측으로 X형태로 2개씩의 연결자(49)로 4개의 연결자(49) 끝단에 형성된 뽀족한 쐐기 발(50)이 치조골에 안착되며, 긴 너트 지대주(42)나 Cap(52)로 회전시켜 고정하면 폼이 만들어져 있는 다른 와셔징 보다 연성이 있게 만들어진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는 수술시, 연결자가 들뜨게 되는데, 연결자의 들떠있는(일어난) 4개의 연결자(49) 부분은 치조골에 압축 밀착되게 눌러주고 쐐기 발(50)은 마렛팅(망치질)으로 치조골에 박는다.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의 표면과 배면에는 샌딩(거칠기)처리된 티타늄 재질로 치조골과의 융착을 도와주며, 픽스츄어가 수명을 다 할 때 까지 함께하는 구성이다.
긴 너트 지대주(42)의 높이는 치은(잇몸) 높이(두께)에 따라 원주 마진(40)이 형성되어 치은높이에 따라 긴 너트 지대주(42) 높이를 결정하여 사용하며, 나사 기둥(포스트)의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에 회전 결합되어 픽스츄어 확장고정자(47)를 고정하는데, 치은(잇몸) 높이(두께)에 맞춰 mm수를 정하여 선택할 수 있게 형성한다.
형상은 중앙에 중앙 너트 홀(44)(암나사)이 형성되어 나사 기둥(포스트)의 나사 결합부(26)에 회전 결합되며, 외형은 공구를 체결할 수 있게 다각형 형태로 형성하여 나사 기둥(포스트)에 체결되는 외주에는 1,2,3,4mm등 치은(잇몸) 높이(두께)에 따라 인공치아(51) 하단의 변연이 안치되는 원주 마진(40)을 형성하여 나사 기둥(포스트)에 회전 결합된다.
원주 마진(40) 위로는 원주로 형성하여 인공치아(51) 하단의 변연이 안치되며, 술 후, 관통된 홀(18a) 인공치아(51)가 올려져 완성된다.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몸체 풍융부(32)(나사부) 설명은 공통으로 설명 되었으므로 상기 인터널이나 엑스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들 몸체 풍융부(32)(나사부) 설명으로 대신한다.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나사산이 형성되되, 나사산이 외주 상단의 180도와 360도에서 시작되는 2중 나사산이나 여러 각도에서 시작하는 다중 나사산으로 형성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다중 나사산은 식립와에 식립시 적은 회전으로 빨리 식립할 수 있고, 치조골에 손상을 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부 나사 기둥(포스트)의 상측에서 결합 마무리 되는 캡(Cap)(52)을 필요로 하는데, 내부는 나사 기둥(포스트)상단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에 대응되는 캡(52)을 형성하여 내측은 기둥(포스트)상단에 대응되는 원주를 형성한 캡(Cap)(52)으로 기둥(포스트)를 덮을 수 있도록 원주형 외형의 캡(Cap)(52)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 3; 아크(arc)형 안착 홈
4; 원추형 안착 홈 5; 다각형 안착 홈
5a; 다각형 안착 홈 5b; 다각형 안착 홈
6; 원주형 안착 홈 7; 나사 결합 홈
8; 절단연 또는 교합면 9; 설면
10; 내입부 11; 4등분(+) 절개홈
12; 3등분(Y) 절개 홈 13; 아크(arc)형 결합부
14; 원추형 결합부 15; 다각형 결합부
16; 원주형 결합부 17; 나사 결합부
18; 관통된 홀 18a; 관통된 홀
19; 순면 또는 협면 20; 근심면
21; 원심면 22; 고정나사
23; 원주형 헤드부 23a; 턱
24; 상위 다각형 결합부 25; 절단면(Ledge)
26;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 27; 하위 다각형 결합부
27a; 다각형 (결합부)홈 28; 경사진(테이퍼드한) 나사산
29; 주둥이가 열려있는 도자기형 나사골 30; 오목한 목(Neck)부위
31; 컷팅엣지 32; 몸체 풍융부
33; 몸체부 절단면 33a; 기둥(포스트) 절단면(Ledge)
34; 절단면 컷팅엣지 35; 물방울형 하부
36; 마진이 형성된 와셔 37; 중앙 원주 홀
38; 다각형 너트 39;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
40; 원주 마진 41; 원추형 주
41a; 원추형 주 42; 긴 너트 지대주
43; 긴 너트 지대주 마진 44; 중앙 너트 홀
45; O링 홈 46; O링
47; 확장고정자 48; 중앙 다각형 고정 홈
49; 연결자 50; 쐐기 발
51; 인공치아 52; 캡(Cap)
53; 걸림 턱

Claims (16)

  1.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픽스츄어에 있어서,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하부 식립 몸체부 외형은 상부에서 아래로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진(원추형) 나사산(28) 연결 형태; 와
    주둥이가 열려있는 도자기형 나사골(29) 연결 형태로 상부 외측에서 경사져 시작하여 아래로 점점 좁게 내려오면서 오목한 목(neck)(30) 부위를 형성하고, 다시 하부로 차차 다시 넓어지는 볼록한 물방울형 하부(35) 형태로 형성되면서 위치에 따라 나사산의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치조골에 식립되는 2중적 유지구조를 가지는 하부 식립 몸체 풍융부(32)를; 포함하며, 오목한 목(30) 부위 둘레 방향을 따라 나사산에 다수의 컷팅엣지(31)을 절취해 형성하고, 볼록한 물방울형 하부(35) 부위 둘레에도 둘레 방향을 따라 나사산에 다수의 컷팅엣지(31)을 절취해 형성하거나, 180도 간격으로 양쪽에 2개의 몸체부 절단면(33)을 형성하여 절삭을 위한 치조골 내벽의 가까운 몸체부 절단면(33)에 전,후로 수직의 2개씩 4개의 아크형이나 삼각형 컷팅엣지(34)를 절취 형성하며, 또한,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나사산이 형성되되, 나사산이 외주 상단의 180도와 360도에서 시작되는 2중 나사산이나 여러 각도에서 시작하는 다중 나사산 구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2)는 지대주가 결합되는 부위로 치은 점막 하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2) 외주는 다각형 결합부(27a)에 확장고정자(47)를 결합하며, 상부 내주에는 내입부(10)를 형성하고, 치은 위로 노출되는 다각형 결합부(27a) 하방 치은 점막 하에서 치은 표피까지 상부 외주에 치은 높이별로 직경이 넓어지는 원추형 주(41a)를 형성하고, 내입부(10)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는 아크(Arc)형 안착 홈(3)이나 원추형 안착 홈(4)과 안착 홈(3,4) 중간에 다각형 안착 홈(5)과 원주형 안착 홈(6) 그리고, 나사 결합 홈(7)을 구성하고, 외주는 식립나사부로 형성된 인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1) 상부(2) 내입부(10)에 결합되는 지대주들은 상부 내입부(10a) 내주에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안착 홈(4a)과 원주형 안착홈(6a) 그리고, 관통된 홀(18)을 형성 구성하고, 하부의 외주에 다각형 결합부(15)와 중심축으로 하향 경사지는 중앙의 원추형 결합부(14)나, 중심축으로 하향 경사지는 중앙의 원추형 결합부(14)에 하단의 다각형 결합부(15)가 형성되어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들에 올려져 관통된 홀(18a) 인공치아(51)을 씌워 긴 고정나사(22)로 관통시켜 픽스츄어 내입부(10)의 나사 결합 홈(7)에 결합되는 관통된 홀(18) 지대주와 긴 고정나사(22)가 구비된 바디(듀얼) 지대주로 세멘트 없이 결합하는 인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 내입부(10)에 결합되는 지대주들은 상부 내입부(10a)와 외주 하부의 중심축으로 하향 경사지는 중앙의 원추형 결합부(14)와 원주형 결합부(16) 그리고, 나사 결합부(17)가 형성되어 픽스츄어에 올려져 픽스츄어 내입부(10)의 나사 결합부(17)에 나사 결합되는 바디(원바디) 지대주에 관통된 홀(18a) 인공치아(51)를 씌워 고정나사(22)로 인공치아(51)를 거쳐 지대주 내입부(10a) 나사 결합부(7a)에 고정하여 세멘트 없이 결합하는 인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1)의 지대주(어버트먼트)들은 상부(2)에 관통된 홀(18a) 내입부(10a)를 형성한 순면(19)과 설면(9) 그리고 근심면(20)과 원심면(21) 절단연(8)을 가지는 전치 형태를 닮은 전치용 지대주와 협면(19)과 설면(9) 그리고 근심면(20)과 원심면(21) 교합면(8)을 가지는 소구치를 닮은 소구치용 지대주와 협면(19)과 설면(9) 그리고 근심면(20)과 원심면(21) 교합면(8)을 가지는 대구치를 닮은 대구치용 지대주 그리고, 항아리형 지대주 형태와 원추형 지대주 형태를 가진 지대주들을 인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 상부 내입부(10)에 결합하여 관통된 홀(18) 인공치아(51)를 씌워 고정나사(22a)로 관통된 홀(18c) 인공치아(51)를 거쳐 지대주 내입부(10a)를 관통하여 픽스츄어 내입부(10)의 나사 결합 홈(7)에 고정하여 세멘트 없이 결합하는 인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6. 기둥(포스트)형으로 항아리형 기둥(포스트) 형태와 원추형 기둥(포스트) 형태와 항아리와 원추형 형태의 기둥에 기둥 하부에 원추형 주를 형성한 형태 그리고 나사 기둥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 상부에 내입부(10a)를 형성한 엑스터널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있어서,
    항아리처럼 중앙을 살짝 풍융하게 형성한 항아리형 기둥(포스트)의 몸체 풍융부(32)와 원추형 기둥처럼 상부가 약간 좁은 형태에 원추형 기둥과 상부와 항아리와 원추형 형태의 기둥 하부에 원추형 주(41)를 형성한 형태 기둥의 한 면을 원주 마진(40) 위까지 절삭하여 절단면(25)을 형성하여 하방으로 아크형으로 부드럽게 원주 마진(40)에 연결 형성하여 몸체 풍융부(32) 하단에 하위 다각형 결합부(27)를 형성한 형태와 나사 기둥 형태의 기둥 하단에 하위 다각형 결합부(27)를 형성하고,
    기둥(포스트) 외주는 상부(윗 부분)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기둥(포스트) 형태로 상부로 인공치아(51)가 씌워져 움직이지 않게 기둥 한 면을 절단하여 형성한 절단면(Ledge)(25); 과 아래로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가 나사 결합되는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 및 픽스츄어를 고정하는 확장고정자(47)를 끼우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27)를 가지며;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와 확장고정자(47) 또는, 마진이 형성된 와셔(36)와 다각형 너트(38) 그리고, 확장 고정자(47)의 부속품들을 포함한 엑스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포스트) 외주는 상부(윗 부분)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기둥(포스트) 형태로 상부(윗 부분) 내입부(10a)가 형성된 원추형 기둥(포스트)에 관통된 홀(18a) 인공치아(51)를 올려 고정나사(22)로 관통시켜 상부 내입부(10a)내 나사 결합 홈(7)에 나사결합 시키며; 상부로 인공치아(51)가 씌워져 움직이지 않게 기둥 한 면을 절단하여 형성한 절단면(Ledge)(25); 과 아래로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가 나사 결합되는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 및 픽스츄어를 고정하는 확장고정자(47)를 끼우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27)를 가지며;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와 확장고정자(47) 또는, 마진이 형성된 와셔(36)와 다각형 너트(38) 그리고, 확장 고정자(47)의 부속품들을 포함한 엑스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포스트)은 상부(윗 부분) 내입부(10a)와 외주는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기둥(포스트) 형태에 관통된 홀(18a) 인공치아(51)를 올려 고정나사(22)로 관통시켜 상부 내입부(10a)내 나사 결합 홈(7)에 나사결합 시키며;
    기둥의 한 면을 절단하여 형성한 절단면(25); 과 아래로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주(41)를 형성하고, 하방으로 식립 나사 몸체부를 형성 포함하는 엑스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포스트)은 상부(윗 부분) 내입부(10a)을 형성한 항아리형 기둥(포스트)과 원추형 기둥(포스트) 형태로 형성된 상부(2)로 관통된 홀(18a)인공치아(51)가 씌워져 안착되는 기둥 한 면을 절단하여 형성한 절단면(25); 과 아래로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가 나사 결합되는 기둥(포스트) 나사 결합부(26); 및 픽스츄어를 고정하는 확장고정자(47)를 끼우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27)를 가지며; 중앙이 관통된 홀(18a)인공치아(51)에 고정나사(22)을 관통시켜 상부 내입부(10a)내 나사 결합 홈(7)에 나사결합 시키며; 마진이 형성된 다각형 너트(39)와 확장고정자(47) 또는, 마진이 형성된 와셔(36)와 다각형 너트(38) 그리고, 확장 고정자(47)의 부속품들을 포함하는 엑스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포스트)은 상부(윗 부분) 내입부(10a)와 외주는 나사 기둥(포스트)(21) 형태로 형성되어, 마진이 형성된 긴 너트 지대주(42)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기둥(포스트)(21); 및 나사 기둥(포스트) 하단에 픽스츄어를 고정하는 확장고정자(47)를 끼우는 하위 다각형 결합부(27)를 가지며;
    중앙이 관통된 홀(18) 긴 너트 지대주(42)을 고정나사(22)을 관통시켜 상부(2) 내입부(10a)내 나사 결합 홈(7)에 나사결합 시키고 인공치아(51)를 올려 마무리 하며; 마진이 형성된 긴 너트 지대주(42)와 확장고정자(47)의 부속품들을 포함하는 엑스터널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12. 제3항 내지 제4항, 제5항, 제6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어버트먼트)들과 기둥(포스트)들은 인공치아(51)가 결합되는 부위에 상,하위에 O링 홈(45)을 절취 형성하여 O링(46)을 끼워 음식물 섭취 시, 음식물 침투 방지와 약간의 완충작용을 부여한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13. 제4항 내지 제6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부(10a)는 내주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 안착 홈(4a)과 원주형 안착 홈(6a) 그리고, 나사 결합 홈(7a)을 형성 구성한 지대주들과 기둥(포스트)들에 관통된 홀(18a) 인공치아(51)를 올려 고정나사(22)로 관통시켜 상부 내입부(10a)내 나사 결합 홈(7)에 나사결합 시켜 세멘트가 필요 없는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14. 제3항, 제4항, 제5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부(10a)는 내주 벽에 수직으로 물림 척 역할을 하는 4등분(+)(11)이나, 3등분(Y)된 절개 홈(12)을 형성한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15. 제3항, 제4항, 제5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22)는 원주형 헤드부(23)와 헤드부 상부에 다각형 (결합부)홈(27a); 과 외면에는 원주형 헤드부(23) 하방의 직경을 줄여 턱(23a)을 형성하여 턱 하방으로 엑스터널 픽스츄어의 기둥(포스트)의 내입부(10a)나 지대주 내입부(10a)의 원추형 안착 홈(4a)과 원주형 안착 홈(6a)에 안치되는 원추형 결합부(14a)와 원주형 결합부(16a)가 형성되고, 하부로 기둥(포스트) 내입부(10a)나 지대주 내입부(10a) 또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내입부(10)의 나사 결합 홈(7)에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17a)를 형성한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16. 제2항 내지 제6항, 제8항, 제10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고정자(47)는 중앙에 중앙 다각형 고정 홈(48)을 형성하여 픽스츄어 상부 항아리 기둥(포스트) 하단의 하위 다각형 결합부(27)에 결합되며, 중앙 다각형 고정 홈(48) 테두리 변연에서 순&협측, 설측으로 X형태로 2개씩의 연결자(49)로 4개의 연결자(49) 끝단에 형성된 뽀족한 쐐기 발(50)이 치조골에 안착되며, 다각형 너트(38)로 회전 고정시키며, 연성의 확장고정자(47) 연결자(49)의 들떠있는(일어난) 부분 4개의 연결자(49)는 치조골에 압축 밀착되게 눌러주고 쐐기 발(50)은 마렛팅(망치질)으로 치조골에 박고,
    확장고정자(47)의 표면과 배면에는 샌딩(거칠기)처리된 티타늄 재질로 치조골과의 융착을 도와주며, 도중에 확장고정자(47)를 제거하거나, 픽스츄어가 수명을 다 할 때 까지 함께하는 구성의 특징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20140151607A 2014-11-03 2014-11-03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1642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607A KR101642594B1 (ko) 2014-11-03 2014-11-03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607A KR101642594B1 (ko) 2014-11-03 2014-11-03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482A KR20160051482A (ko) 2016-05-11
KR101642594B1 true KR101642594B1 (ko) 2016-07-26

Family

ID=5602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607A KR101642594B1 (ko) 2014-11-03 2014-11-03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5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716A (ko)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쓰리디산업영상 치근형 임플란트 식립 시스템
KR20200087300A (ko) * 2018-12-28 2020-07-21 주식회사 쓰리디산업영상 치근형 임플란트 식립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6076B2 (ja) * 2016-09-27 2022-04-01 ヴァロック アーゲー 歯科用修復物を歯科用インプラントに連結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881421B1 (ko) * 2018-04-13 2018-07-24 주식회사 하이니스 어버트먼트 조립체
KR20220081547A (ko) *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618B1 (ko) * 2010-11-30 2011-12-08 김노국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EP2561824A1 (en) 2010-03-03 2013-02-27 Luis Mauricio Chiquillo Perez Multi-tapered implant screw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270B1 (ko) * 2009-04-28 2011-07-13 김영재 이중 테이퍼 구조의 임플란트용 픽스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61824A1 (en) 2010-03-03 2013-02-27 Luis Mauricio Chiquillo Perez Multi-tapered implant screw
KR101090618B1 (ko) * 2010-11-30 2011-12-08 김노국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716A (ko)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쓰리디산업영상 치근형 임플란트 식립 시스템
KR20200087300A (ko) * 2018-12-28 2020-07-21 주식회사 쓰리디산업영상 치근형 임플란트 식립 시스템
KR102169577B1 (ko) 2018-12-28 2020-10-23 주식회사 쓰리디산업영상 치근형 임플란트 식립 시스템
KR102279149B1 (ko) 2018-12-28 2021-07-19 주식회사 쓰리디산업영상 치근형 임플란트 식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482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5152B2 (en) Method for forming bis-acrylic or other crown
US20200306014A1 (en) Dental implant
US9572640B2 (en) Casting jig for chair-side manufacture of customizable sculptable anatomical healing caps
US8628327B1 (en) Casting jig for chair-side manufacture of customizable sculptable anatomical healing caps
KR101642594B1 (ko)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RU2586739C2 (ru) Абатмент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коронок на имплантатах, изготовленных под разными углами, выполняющий функцию формирователя десны со съемным колпачком,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на имплантат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акого абатмента и способ имплантации с применением такого абатмента
KR10079936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
US20130177872A1 (en) Customizable sculptable anatomical healing cap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A3050089C (en) Dental implant
TWI578965B (zh) Dental implants
US20200315749A1 (en) Dental implants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KR101571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102389090B1 (ko) 조립형 힐링 어버트먼트
US20120046697A1 (en) Anchoring element and method
KR101059741B1 (ko) 미니 임플란트
WO2013106542A1 (en) Customizable sculptable anatomical healing caps, pontic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150086699A (ko) 멀티플 어버트먼트
KR200493322Y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04014247A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dental implants
KR20150134581A (ko) 이중구조의 맞춤형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KR20220089296A (ko) 미세 커팅 엣지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TWM519950U (zh) 牙植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