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245B1 -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245B1
KR100666245B1 KR1020050074579A KR20050074579A KR100666245B1 KR 100666245 B1 KR100666245 B1 KR 100666245B1 KR 1020050074579 A KR1020050074579 A KR 1020050074579A KR 20050074579 A KR20050074579 A KR 20050074579A KR 100666245 B1 KR100666245 B1 KR 100666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implant fixture
bone
impla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일모
Original Assignee
유일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일모 filed Critical 유일모
Priority to KR1020050074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가 빠진 상하악골에 치아의 대체용으로 식립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로서, 골정의 두께가 얇은 시술 부위에의 식립을 위해, 임플란트 고정체의 측면 상부에 함입부(concavity)가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함입부를 형성함으로써, 골정 직하부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골 하부로부터 골정으로의 혈액 공급을 늘려 골정이 일부 흡수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잇몸 연조직의 퇴축 - 특히 전치부에서 - 을 방지함으로써 심미적 문제를 예방한다. 이러한 함입부는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에서 종종 문제가 되었던, 과도한 초기 고정력으로 인한 원하는 깊이까지의 식립 불가 또는 치유 초기 주변골의 압박 괴사의 예방효과를 거둘 수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함입부, 골정, 골흡수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Dental Implant Fixture}
도 1은 상악 전치부 치아 및 주변 조직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전치부 치아의 발치와(extraction socket)에 스트레이트형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전치부 치아의 발치와에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쐐기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악 중절치 위치의 자연 치아, 스트레이트형 및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정면 이머전스 프로파일(emergence profil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악 중절치 위치의 자연 치아, 스트레이트형 및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측면 이머전스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임플란트 고정체에 의한 골흡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골흡수 방지 목적의 미세나사산(microthread)이 형성된 임플란트 고정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 임플란트 고정체의 식립 직후 및 장시간 경과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골정 퇴축의 예방을 위해 작은 직경의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한 상 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함입부를 구비한 외부 연결형 임플란트 고정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함입부를 구비한 내부 연결형 임플란트 고정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의 함입부에 신생골이 채워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식별표지가 형성된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고정체 마운트 및 상기 마운트가 본 발명의 고정체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를 인접하여 식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미세나사산이 없는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에 본 발명의 함입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함입부를 구비한 스트레이트형 임플란트 고정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자연 치아 20: 치조골
30: 잇몸 연조직
50: 종래의 스트레이트형 임플란트 고정체
60: 종래의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
65: 미세나사산을 구비한 종래의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
70: 보철 치관
100, 105: 미세나사산을 구비한 본 발명의 외부 연결형 임플란트 고정체
110: 미세나사산이 없는 본 발명의 외부 연결형 임플란트 고정체
112, 212, 312, 322: 매끈한 표면의 고리형 끝단
130: 식별표지 140: 고정체 마운트
150: 나사홈
200, 205: 미세나사산을 구비한 본 발명의 내부 연결형 임플란트 고정체
210: 미세나사산이 없는 본 발명의 내부 연결형 임플란트 고정체
310, 320: 본 발명의 스트레이트형 임플란트 고정체
본 발명은 치아가 빠진 상하악골(maxillary and mandibular bone)에 치아의 대체용으로 식립(placement)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dental implant fixture)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일직선의 스트레이트형(straight type) 임플란트 고정체가 주종을 이루었으나 근자에 와서는 테이퍼형(tapered type. 치근형(root form)이라고도 함) 임플란트 고정체가 다음과 같은 장점들로 인해 우세를 보이고 있다. (김영균,황정원. 『치과 임플란트와 관련된 다양한 논쟁』. 서울:군자출판사, 2004, pp.79-91,341-344.)
(1)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가 발치(tooth extraction) 후 발치와(extraction socket)의 형태와 유사하므로 발치와에서 더 많은 접촉면적을 얻을 수 있고,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immediate placement of implant after extraction)에 유리하다.
도 1은 상악 전치부의 자연 치아 및 그 주변 조직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서 자연 치아를 제외한 치조골의 발치와에 스트레이트형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할 경우 고정체와 치조골 사이의 공간이 생기나 (도 2),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경우 발치와의 형태와 유사해 공간의 발생을 예방하고 넓은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
(2) 쐐기 효과(wedge effect)로 보다 강한 초기 고정력(initial stability)을 얻을 수 있다.(도 4)
쐐기 효과란 쐐기 끝의 각도가 작을수록 쐐기 측면의 수직분력이 커진다는 것으로, 드릴링(drilling)에 의해 치조골에 생긴 와동(窩洞, cavity)에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하는 경우 고정체 하부의 좁은 직경은 와동 심부의 좁은 공간을 더 잘 밀고 들어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체 측면에서의 수직분력 증가로 치조골과의 초기 고정력이 증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3) 치근(tooth root)의 형태에 가까워 더 좋은 보철 치관(prosthetic crown)의 이머전스 프로파일(emergence profile. 치관(crown)이 잇몸 속으로부터 잇몸 바깥으로 빠져나오는 부위의 형태)을 만들어 줄 수 있다.
도 5는 상악 중절치 위치의 자연 치아, 스트레이트형 및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의 정면 이머전스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그의 측면 이머전스 프로파일에 대한 것이다. 자연 치아는 치조골 심부로부터 경사의 큰 변화 없이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이머전스 프로파일을 형성함에 반해 (a), 스트레이트 고정체는 보철 치관부(70)가 고정체(50)와 만나는 부분에서 경사가 크게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 테이퍼형 고정체(60)는 전체적으로 자연 치아에 가까운 이머전스 프로파일을 보여준다 (c).
기존의 임플란트들은 식립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일부 골정(crestal bone)의 골이 흡수(resorption)되는 단점들이 있었으나 (도 7) (전게서. 한종현 등. "임플란트의 미세나사산(microthread)의 역할". 치과임상, 25(7), 서울:의치학사, 2005, pp.794-801.), 거친 표면(rough surface)을 고정체의 상단까지 처리하는 디자인의 개선, 고정체의 측면 상부에 미세나사산(microthread)을 두는 디자인의 도입 등으로 이러한 단점이 많이 해소되었다. (상게서. 전게서)
도 7은 종래 임플란트 고정체에서 일어나는 골흡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임플란트 고정체의 식립 직후에는 골정이 고정체 상단의 매끈한 표면의 고리형 끝단(smooth surface collar/cuff)의 연장선 상에 있으나 (a), 식립 후 1 년이 경과하면 고정체의 첫째 나사산까지 골흡수가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 이러한 골흡수를 방지하기 위해 거친 표면(rough surface)을 고정체 상단까지 형성하고 고 정체의 측면 상부에 미세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골흡수를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었다. 도 8은 거친 표면과 미세나사산을 구비한 임플란트 고정체들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치부와 같이 골정의 두께가 얇은 경우 발치와에 꽉 맞는 직경의 임플란트를 식립하면 골 하부로부터 골정으로의 혈액 공급(blood supply)이 줄어 골정이 일부 흡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골정의 흡수는 이에 따르는 잇몸 연조직(gingiva)의 퇴축을 야기해 특히 전치(anterior teeth)부에서 심미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즉, 잇몸 연조직(gingiva)은 하부의 치조골이 흡수되면 그에 따라 퇴축(recession)되게 되는데, 이러한 잇몸 연조직의 퇴축은 치아의 길이가 길어 보이게 되어 심미적으로 불리하고 심한 경우 임플란트 고정체의 일부가 잇몸 밖으로 노출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도 9는 상악 전치부에서 상기 혈류의 감소에 따른 치조골 흡수 및 잇몸 연조직의 퇴축을 도시한 것이다. 각 도면의 오른쪽은 입술 방향이고, 왼쪽은 입천장 방향을 가리킨다. 고정체의 상부(도면의 우측 하단 방향)로 갈수록 치조골의 두께가 얇아져 치조골 심부로부터의 혈액 공급이 제한받고 (a), 이는 치조골의 흡수와 이에 따른 잇몸 연조직의 퇴축으로 말미암아 고정체의 상부가 바깥으로 노출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b). 이러한 고정체의 노출은 심미적으로 극히 불리할 뿐만 아니라, 치조골과의 접촉면적의 감소로 인해 임플란트 자체의 실패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작은 직경의 임플란트 고정 체를 식립하여야 한다. 도 10은 작은 직경의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심미적으로 가장 중요한 입술 방향의 골정을 보존하기 위해 골정과 고정체 상단 사이에 1 내지 2 mm의 간격을 유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체와 치조골 사이의 공간은 향후 재생골로 채워지게 되는데,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technique)로 불리우는 이러한 시술법은 그 자체로 고비용을 요구하고, 긴 수술시간 또는 1회 시술이 아닌 2회 시술에 따른 환자 및 시술자의 부담이 증가하며, 감염 확률의 증가에 따른 임플란트 실패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설령 시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좁은 직경의 고정체는 이머전스 프로파일의 불리, 초기 골 접촉면적의 감소를 피할 수 없다.
나아가,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는 종종 과도한 초기 고정력으로 원하는 깊이까지 식립되지 못하거나 치유 초기 주변골의 압박 괴사(necrosis by pressure)를 일으킬 수도 있다. (한종현 등. "테이퍼형 임플란트 식립시 골질에 따른 수술 기법", 치과임상, 25(5), 서울:의치학사, 2005, pp.558-56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치아가 빠진 상하악골에 치아의 대체용으로 식립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로서, 골정의 두께가 얇은 시술 부위에의 식립을 위해, 임플란트 고정체의 측면 상부에 함입부(concavity)가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고정체의 측 면 상부에 함입부(concavity)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는 테이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입부는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의 중심축에 대칭하여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입부의 최대 깊이는 0.2 내지 1.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입부의 높이는 2 내지 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 상면에 식별표지가 형성되고, 상기 식별표지는 상기 함입부의 방향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입부의 상단은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단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함입부의 상단까지의 간격은 0.1 내지 2.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치과의사들에게 고정체 경부의 골흡수(bone resorption around fixture cervix)는 현재 가장 큰 관심사다. 임플란트 시술의 예지성(predictability)이 확보된지 오래인 시점에서 보다 심미적인 임플란트 시술이 현 시점에서의 가장 큰 이슈이고 고정체 경부의 골흡수가 그의 가장 큰 장애요인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 상부에 함입부(concavity. 요면)를 형성하여 향후 이 부위에 뼈가 차 올라와 골정 직하부의 두께를 늘려 줌으로써 장기적으로 골 하부로부터 골정부로의 혈액 공급을 늘려 주고 이로써 골정의 흡수를 예방하려는 주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함입부의 존재로 인해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에서 종종 있을 수 있는 과도한 초기 고정력으로 인한 주변골의 압박 괴사를 예방하고자 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도 11 및 12는 각각 본 발명의 함입부를 구비한 외부 연결형 및 내부 연결형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함입부(도면에서 'ㄱ' 부분)는 골정에 인접하여 상기 골정 주변의 신생골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그 목적이므로, 임플란트 고정체(100, 20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입부의 상단이 측면의 나사산이 형성된 영역의 상단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의 (a), (b) 및 도 12의 (a), (b)). 이 경우 고정체(100, 200)의 상단이 치조골(20)의 골정에 밀착되어 잇몸 연조직(30)의 침입을 막게 된다.
특히, 골흡수의 예방을 위해 고정체의 상부에 미세나사산이 형성된 임플란트 고정체의 경우에는 고정체(105, 205) 상단으로부터 0.1 내지 2.5 mm 정도의 간격(도면에서 'ㄴ' 부분)을 두고 함입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미세나사산이 골정부의 골을 잡아주어 골정의 흡수를 감소시킨다는 기존에 알려진 효과를 함께 도모할 수 있어 골정 흡수 방지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1의 (c), (d) 및 도 12의 (c), (d)). 상기 간격이 0.1 mm 미만이면 골정에 의한 외부 차단이 완벽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고, 2.5 mm를 초과하면 그 하부의 함입부가 지나치게 내려가 높이 및 최대깊이 등 함입부 자체의 크기에 제한을 받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의 함입부에 신생골이 채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함입부에 의해 생겨난 공간(도면에서 'ㄹ' 부분)은 모두 뼈로 둘러싸여 있어 치조골(20)로부터 조골세포(osteoblast)만이 이동해 올 수 있으며, 그 결과 신생골로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골정 직하부에 보다 두꺼운 골기저부(bone base)를 가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골정의 흡수를 현저히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12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와 보철 치관(70)을 결합시키는 지대주(abutment) 또는 고정체 마운트(mount, 14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홈(150)을 나타낸다. 이러한 나사홈(150)의 직경은 고정체 자체의 직경에 따라 최적화된 직경이 선정되어 양산되고 있는데, 예컨대 장경형(wide diameter type)은 고정체의 직경이 5.0 내지 6.0 mm이고 나사홈의 직경은 3.3 mm 내외이며, 표준형(regular diameter type)은 고정체의 직경이 3.75 내지 4.2 mm이고 나사홈의 직경은 2.7 mm 내외이며, 단경형(small diameter type)은 고정체의 직경이 3.3 내지 3.4 mm이고 나사홈의 직경은 2.4 mm 내외이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에서의 함입부는 그 최대깊이(도면에서 'ㄷ' 부분)가 0.2 내지 1.5 mm인 것이 바람직한데, 0.2 mm 미만에서는 골정 직하부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미미하여 골흡수 및 잇몸 연조직의 퇴축을 예방하기 어려우며, 1.5 mm를 초과하면 함입부의 최대깊이 부분과 상기 나사홈(150)과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아 고정체(100 등) 자체의 기계적 강도를 담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함입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의 경우 상기 양산되고 있는 규격을 기계적으로 따를 것이 아니라, 고정체 자체의 직경은 장경형에 속하더라도 나사홈(150)의 직경은 표준형 또는 단경형의 규격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은 직경의 나사홈(150)에 대한 요구는 도 12에 도시된 내부 연결형 임플란트 고정체(200, 205)에서 그 필요성이 더욱 커지는데, 내부 연결형 고정체(200, 205)의 경우 지대주 또는 고정체 마운트(140)를 위한 나사홈(150)의 직경이 커지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작은 규격의 나사홈 직경을 채용할 뿐만 아니라, 함입부의 최대 깊이 자체도 작은 범위에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나사홈(150)의 경사 프로파일을 고려하여 함입부의 만곡면을 평행하게 설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에서의 함입부의 높이는 2 내지 5 mm가 바람직한데, 2 mm 미만에서는 함입부가 형성하는 공간이 작아 골흡수 예방효과가 미미하며, 5 mm를 초과하면 치조골(20)과 결합하는 나사산의 면적 및 이에 따른 치조골(20)과의 접촉면적이 지나치게 작아져 충분한 초기 고정력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는 중심축에 대칭하여 한 쌍의 상기 함입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술 방향 골정(labial crestal bone)의 흡수(resorption) 여부는 전치부 치아(anterior teeth)의 심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므로 본 발명의 함입부는 주로 입술 방향으로 향하게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고정체의 중심축에 대칭하여 180° 방향으로 두 개의 함입부를 두면 적은 회전으로도 이 함입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만약, 함입부의 수를 하나로 하게 되면 이 함입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기 위해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를 더 많이 회전시켜야 하고 그 경우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를 원하는 깊이보다 더 깊게 식립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도 14는 함입부를 구비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함입부가 서로 대칭하여 한 쌍이 있으면 하나의 함입부가 입술 방향을 향하고 있으나 식립 깊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180°만 돌려 다른 함입부를 입술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으나 (a), 함입부가 하나만 존재하면 360°를 돌려야 하고 이 경우 고정체가 지나치게 깊이 식립될 가능성이 커진다 (b).
또한,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는 그 상면에 상기 함입부의 방향을 가리키는 식별표지(1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식별표지(130)가 형성된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의 안정성과 예측성이 이미 충분히 확립됨에 따라 이제는 시술의 편의성과 환자에게 어떻게 하면 덜 침습적인(less invasive) 치료를 제공하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되어가고 있다. 그래서 근자에는 잇몸 연조직(30)을 절개하지 않고 티슈펀치(tissue punch) 등으로 작게 천공하여 고정체(100 등)를 식립함으로써 봉합의 필요성을 제거하고, 환자의 수술후 통증(post-op pain)도 많이 줄여줄 수 있는 수술법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수술법은 충분한 절개로 시야를 확보하는 기존의 수술법에 비해 고정체(100 등) 식립 중 함입부의 방향이 잇몸 연조직(30) 속에 가려져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고정체(100 등) 상면 또는 고정체 마운트(140)의 상면, 구체적으로 이들의 어깨 부위에 있는 식별표지(130)를 보고 원하는 방향으로 본 발명의 함입부를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체 마운트(140)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체(100 등)를 회전시켜 치조골(20)에 식립시 회전시키는 도구가 상기 고정체(100 등)에 직접 힘을 가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고정체(100 등)의 변형 등을 예방하고, 식립이 많이 진행된 경우 상기 고정체(100 등)와 별도로 노출부위를 확보함으로써 회전시키는 도구가 힘을 전달할 수 있는 부위를 제공하는 부품을 말한다.
이 때, 회전시키는 도구가 고정체(100 등)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체(100 등)의 상면에 식별표지(130)를 하고, 고정체 마운트(14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마운트(140)의 상면에 식별표지(130)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함입부를 구비한 임플란트 고정체(100 등)는 수 개의 임플란트 고정체를 인접해서 식립해야 하는 경우 또는 자연 치아의 치근에 인접해서 고정체를 식립해야 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이다.
즉, 고정체와 고정체 사이 또는 고정체와 치근 사이의 간격이 충분치 못한 경우 혈액 공급의 부족으로 상기 사이 부분의 골정이 흡수될 수 있다 (도 17의 (a)). 이런 경우 상기 함입부를 그 사이 부분(또는 근원심 방향)으로 위치시키면, 고정체와 고정체 사이 또는 고정체와 치근 사이가 넓어져 혈액 공급이 원활해지므로 골흡수를 예방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의 (b)).
이러한 고정체 측면 상부의 함입부는 고정체 식립시 과도한 상부의 압박으로 얇은 골정부의 골절(bone fracture)이나, 원하는 깊이만큼 고정체를 삽입하지 못하는 문제점, 또는 골의 압박 괴사 등을 예방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고정체에 적용된 함입부는 미세나사산이 없는 임플란트 고정체 등 종래의 전통적인 고정체(110, 21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8은 이러한 미세나사산이 없는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110, 210)를 도시한 것으로, 미세나사산이 없는 경우 고정체 상부의 매끈한 표면의 고리형 끝단(smooth surface collar/cuff. 112, 212)이 잇몸 연조직(30)과 밀착되어 본 발명의 함입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상기 공간에 신생골이 채워지는 것을 돕는다. 이 때 본 발명의 함입부의 상단은 매끈한 표면의 고리형 끝단(112, 212)의 상단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18의 (a), (b)), 잇몸 연조직(30)과의 밀착을 위한 접촉면적 확보를 위해 매끈한 표면의 고리형 끝단(112, 212)의 하단에 접하거나 그 중간에 상기 함입부의 상단이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함입부는 스트레이트형 임플란트 고정체(310, 320), 특히 장경형 고정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스트레이트형 임플란트 고정체(310, 320) 역시 골정이 얇은 부위나, 타 고정체 또는 자연 치아(10)의 치근과 인접 식립시 골정의 골흡수 및 잇몸 연조직(30)의 퇴축이 일어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함입부 적용시 이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9는 함입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스트레이트형 임플란트 고정체(310, 320)를 도시한 것이며,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함입부의 상단은 매끈한 표면의 고리형 끝단(312, 322)의 상단 (도 19의 (a), (b)) 내지 하단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골정의 두께가 얇은 시술 부위에의 식립을 위해, 임플란트 고정체의 측면 상부에 함입부를 형성함으로써, 골정 직하부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골 하부로부터 골정으로의 혈액 공급을 늘려 골정이 일부 흡수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잇몸 연조직의 퇴축 - 특히 전치부에서 - 을 방지함으로써 심미적 문제를 예방한다. 이러한 함입부는 테이퍼형 임플란트 고정체에서 종종 문제가 되었던, 과도한 초기 고정력으로 인한 원하는 깊이까지의 식립 불가 또는 치유 초기 주변골의 압박 괴사의 예방효과도 거둘 수 있다.

Claims (8)

  1. 임플란트 고정체(implant fixture)의 측면 상부에 함입부(concavity)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는 테이퍼형(taper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는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의 중심축에 대칭하여 한 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의 최대 깊이는 0.2 내지 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의 높이는 2 내지 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 상면에 식별표지가 형성되고, 상기 식별표지는 상기 함입부의 방향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의 상단은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단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의 상부에 미세나사산(microthread)이 형성된 경우, 상기 미세나사산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함입부의 상단까지의 간격이 0.1 내지 2.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KR1020050074579A 2005-08-13 2005-08-13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KR100666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579A KR100666245B1 (ko) 2005-08-13 2005-08-13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579A KR100666245B1 (ko) 2005-08-13 2005-08-13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245B1 true KR100666245B1 (ko) 2007-01-24

Family

ID=3801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579A KR100666245B1 (ko) 2005-08-13 2005-08-13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24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315B1 (ko) * 2007-05-23 2009-04-24 주식회사 덴티움 응급 임플란트용 고정체
KR101067278B1 (ko) * 2010-09-07 2011-09-23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KR101090618B1 (ko) 2010-11-30 2011-12-08 김노국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KR101337417B1 (ko) 2011-06-02 2013-12-06 정제교 영상정보 정합을 위한 골 고정형 표지물
WO2016145394A1 (en) 2015-03-11 2016-09-15 Fereidoun Daftary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JP2017529980A (ja) * 2014-08-29 2017-10-12 ダフタリー、フェレイドウン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の修復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090138B2 (en) 2014-08-29 2021-08-17 Fereidoun Daftary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1332A (ja) * 1989-06-28 1991-02-12 Matsushita Refrig Co Ltd 発泡断熱材
US5310343A (en) 1992-10-14 1994-05-10 Jiro Hasegawa Endo-osseous implant
KR200357422Y1 (ko) 2004-04-16 2004-07-27 주식회사 워랜텍 플랜지에 이단 홈이 가공된 인공치아의 지대주
KR200357420Y1 (ko) 2004-04-16 2004-07-30 주식회사 워랜텍 틀니용 인공치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1332A (ja) * 1989-06-28 1991-02-12 Matsushita Refrig Co Ltd 発泡断熱材
US5310343A (en) 1992-10-14 1994-05-10 Jiro Hasegawa Endo-osseous implant
KR200357422Y1 (ko) 2004-04-16 2004-07-27 주식회사 워랜텍 플랜지에 이단 홈이 가공된 인공치아의 지대주
KR200357420Y1 (ko) 2004-04-16 2004-07-30 주식회사 워랜텍 틀니용 인공치근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315B1 (ko) * 2007-05-23 2009-04-24 주식회사 덴티움 응급 임플란트용 고정체
KR101067278B1 (ko) * 2010-09-07 2011-09-23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KR101090618B1 (ko) 2010-11-30 2011-12-08 김노국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KR101337417B1 (ko) 2011-06-02 2013-12-06 정제교 영상정보 정합을 위한 골 고정형 표지물
JP2020062470A (ja) * 2014-08-29 2020-04-23 ノベル バイオケア サーヴィシィズ アーゲー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の修復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7529980A (ja) * 2014-08-29 2017-10-12 ダフタリー、フェレイドウン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の修復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292792B2 (en) 2014-08-29 2019-05-21 Nobel Biocare Services Ag Restoration dental implant and method
US10610333B2 (en) 2014-08-29 2020-04-07 Nobel Biocare Services Ag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US11090138B2 (en) 2014-08-29 2021-08-17 Fereidoun Daftary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JP7008902B2 (ja) 2014-08-29 2022-01-25 ダフタリー、フェレイドウン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の修復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847301A (zh) * 2015-03-11 2018-03-27 费瑞杜恩·达夫塔里 修复牙科植入体系统和方法
WO2016145394A1 (en) 2015-03-11 2016-09-15 Fereidoun Daftary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CN107847301B (zh) * 2015-03-11 2021-09-28 费瑞杜恩·达夫塔里 修复牙科植入体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5460B2 (ja) 医療用インプラントおよび植設方法
EP1250100B1 (en) Apparatus for intraoral distraction osteotomy to widen the upper jaw
Misch et al. Available bone and dental implant treatmentplans
KR10066624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JP4417957B2 (ja) 骨内インプラント
EP3017785A1 (en) System for securing a dental prosthesis
JP2007502648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RU2472466C2 (ru) Система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US20060199152A1 (en) Natural implant system
WO2007058125A1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Le Gall Localized sinus elevation and osteocompression with single-stage tapered dental implants
JP2011104222A (ja) 歯科インプラント
Hwang et al. Vertical alveolar bone distraction at molar region using lag screw principle
CN107847301B (zh) 修复牙科植入体系统和方法
KR20150014932A (ko) 타원형 플랫폼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및 그의 부품
US8562349B2 (en) Dental implant that increases bone support
EP1374796A1 (en) Dental implant
CN215306865U (zh) 一种新型口腔种植体结构
RU2661019C1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и комплект для дентальной имплантации
RU2427343C2 (ru) Ортодонт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CN204318950U (zh) 一种钛板种植体
CN107456288B (zh) 一种牙种植体
KR101339320B1 (ko) 미니 치과용 임플란트
RU2799138C1 (ru) Двухэтапный имплантат из диоксида циркония
RU2314059C1 (ru) Винтовой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