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827A -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 Google Patents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827A
KR20090016827A KR1020070081095A KR20070081095A KR20090016827A KR 20090016827 A KR20090016827 A KR 20090016827A KR 1020070081095 A KR1020070081095 A KR 1020070081095A KR 20070081095 A KR20070081095 A KR 20070081095A KR 20090016827 A KR20090016827 A KR 20090016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body portion
fixture
screw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4986B1 (ko
Inventor
박상오
김병국
엄태관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986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픽스츄어의 외주면에 상단몸통부와 하단몸통부로 구성된 몸통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단몸통부 및 하단몸통부의 이중나사산 구조를 통해 피질골에 대한 응력집중을 해면골에 대한 응력으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골흡수를 방지하고 골융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동시에, 식립시 피질골에 형성된 암나사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단몸통부와 하단몸통부의 나사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식립시 골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하단몸통부의 외주면이 샤프트축에 대해 경사지게 감소하는 테이퍼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여 해면골에서 압박을 가하여 쐐기효과에 따른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식립후 주로 피질골에 접하는 상단몸통부와 주로 해면골에 접하는 하단몸통부를 가진 픽스츄어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는 하단몸통부에만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큰나사골과 상기 제1큰나사골에 의해 규정되는 제1큰나사산과, 상기 제1큰나사산의 산마루에서 상기 하단몸통부와 상단몸통부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제1작은나사골과 상기 제1작은나사골에 의해 규정되는 제1작은나사산과, 상기 제1작은나사산의 산마루에서 상기 상단몸통부에만 형성되는 제2작은나사골과 상기 제2작은나사골에 의해서만 규정되는 제2작은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산 산마루에 형성된 제2작은나사산의 나사산 줄수는 상기 하단몸통부의 제1큰나사산 산마루에 형성된 제1작은나사산의 줄수보다 많으며, 상기 하단몸통부는 그 외주가 하측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과용 임플란트, 스크류타입, 픽스츄어, 테이퍼 구조

Description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Screw Type Dental Implant Fixture}
본 발명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픽스츄어의 외주면에 상단몸통부와 하단몸통부로 구성된 몸통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단몸통부 및 하단몸통부의 이중나사산 구조를 통해 피질골에 대한 응력집중을 해면골에 대한 응력으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골흡수를 방지하고 골융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동시에, 식립시 피질골에 형성된 암나사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단몸통부와 하단몸통부의 나사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식립시 골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하단몸통부의 외주면이 샤프트축에 대해 경사지게 감소하는 테이퍼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여 해면골에서 압박을 가하여 쐐기효과에 따른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식립후 주로 피질골에 접하는 상단몸통부와 주로 해면골에 접하는 하단몸통부를 가진 픽스츄어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는 하단몸통부에만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큰나사골과 상기 제1큰나사골에 의해 규정되는 제1큰나사산과, 상기 제1큰나사산의 산마루에서 상기 하단몸통부와 상단 몸통부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제1작은나사골과 상기 제1작은나사골에 의해 규정되는 제1작은나사산과, 상기 제1작은나사산의 산마루에서 상기 상단몸통부에만 형성되는 제2작은나사골과 상기 제2작은나사골에 의해서만 규정되는 제2작은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산 산마루에 형성된 제2작은나사산의 나사산 줄수는 상기 하단몸통부의 제1큰나사산 산마루에 형성된 제1작은나사산의 줄수보다 많으며, 상기 하단몸통부는 그 외주가 하측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를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뼈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에는 스크류타입의 픽스츄어가 사용되는데, 상기 픽스츄어 몸통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치과 및 정형외과의 보철물 등을 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로서 사용된다.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스츄어(1)가 고정되는 치조골(9)의 골조직은 피질골(91)과 해면골(93)로 이루어진다. 해면골(93)은 뼈의 내부에 있는 비교적 연한 골조직이며, 피질골(91)은 해면골(93)보다 단단하며 일반적으로 해면골(93)을 둘러싸는 비교적 얇은 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픽스츄어(1)가 골조직에 완전히 식립된 경우에는, 해면골(93)에 접하는 부분의 길이가 피질골(91)에 접하는 부분의 길이보다 크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스크류타입의 픽스츄어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의 하나가 골흡수이다. 골흡수란 픽스츄어가 식립된 주위의 골조직의 양이 줄어들면서 퇴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골흡수가 발생되는 경우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약화시켜 보철물의 안정성을 저해하고, 보철물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골흡수는 픽스츄어가 치과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픽스츄어를 둘러싸는 잇몸조직에 염증을 발생시키는 치석을 침착시키거나 픽스츄어의 노출단부를 따라 잇몸조직을 하향 성장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골흡수는 보철물의 안정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골흡수의 생물학적인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고 있다. 다만, 픽스츄어의 인접골조직에 작용하는 응력이 불균등하게 분포하여 응력집중으로 인한 과자극 및 저자극 모두가 골흡수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골흡수를 방지하고 픽스츄어와 골조직 간의 골융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응력집중의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즉, 상기 응력집중의 문제 해소와 더불어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식립시 나사식으로 식립하므로 골을 파괴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보철물의 안정성은 물론 외관상 나쁜 영향을 미치는데, 이에 따라 식립시 골파괴를 방 지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상단몸통부의 응력집중을 하단몸통부로 분산시키게 될지라도, 하단몸통부에 다시 집중된 응력으로 인해 해면골과의 해리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상단몸통부에서 받는 과도한 응력집중을 이중나사산을 통해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하단몸통부로 상기 상단몸통부가 받는 응력을 고르게 분산시키게 되는데, 이렇게 하단몸통부에서의 골해리를 방지하기 위해 해면골에 대해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픽스츄어(1)는 보철물(미도시)이 장착되는 최상단부(11)와 치조골의 골조직에 식립되는 몸통부(12) 및 셀프태핑(self-tapping)을 위한 커팅에지(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통부(12)는 픽스츄어(1)의 외주면에 삼각나사 또는 사다리꼴나사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단일한 나사산(121)과 나사골(122) 형상이 몸통부(12)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산(121)은 주로 골조직이 비교적 무른 해면골에 식립되기 때문에,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크게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121)의 피크간의 거리(p)와 바깥지름(D1a 및 D1b)과 골지름(D2)의 차이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그러나 나사산(121)의 피크간의 거리 p 및 바깥지름 D1a 및 D1b과 골지름 D2의 차이를 크게 할수록 픽스츄어의 고정력이 증가하는 대신, 개개의 나사산에 대한 부분적인 응력집중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픽스츄어의 초기고정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개개의 나사산에 대한 부분적인 응력집중의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상단몸통부와 하단몸통부의 이중나사산을 통해 상기 상단몸통부의 응력집중을 상기 하단몸통부에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해 상단몸통부의 나사 산 구조를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설계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비록 상기 상단몸통부 및 상기 하단몸통부의 이중나사산 구조를 통해 상기 상단몸통부의 응력집중은 상기 하단몸통부에 고르게 분포시켰을지라도, 상기 하단몸통부는 반대로 보다 더 큰 응력을 받게 되기 때문에 상기 하단몸통부의 응력집중에 따른 해면골과의 고정력 약화로 인한 해면골과의 해리를 초래하여 보철물의 안정성 저해와 외관상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상단몸통부와 하단몸통부의 이중나사산 구조에 따를지라도 식립시 골파괴의 문제 및 식립후 상기 하단몸통부의 해면골과의 고정력 강화 등의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 응력집중에 따른 골흡수를 방지하고 골융합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된 상단몸통부와 하단몸통부에 이중나사산을 형성하여 상단몸통부에서 크게 받는 응력을 하단몸통부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스트레이트(Straight) 타입의 픽스츄어의 경우, 골에 식립되는 과정에서 나사의 연속성이 유지되지 아니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로 인해 식립시 골을 파괴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괴된 치조골로 인해 골융합이 저해되고, 응력의 불균등 분포에 따른 제반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 이중나사산을 가진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에 따라 골에 식립되는 경우, 치조골에 식립홈이 스트레이트(Straight)하게 뚫리고 상기 픽스츄어가 상기 식립홈과 직선방향으로 식립되기 때문에 상기 픽스츄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 및 나사골에 의하여 치조골이 손상되어 골파괴를 초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식립된 후에도 골과의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하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픽스츄어의 식립된 후에 치조골과의 고정력을 살펴보면, 도 14에 도시되 어 있는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의 경우 식립토크를 도시한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종래의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대한 고정력이 약화되고, 이에 따라 골해리가 초래되어 단기적으로는 시술 후 초기 고정력 약화로 문제가 야기되기도 하며, 더욱 심각하게는 장기적으로 상기 픽스츄어를 이용하여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한 경우 골해리에 따른 염증 발생 등으로 재시술이 불가피한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이 피질골에서의 응력집중을 해면골로의 응력을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골해리를 방지하고 골융합을 촉진하기 위해 이중나사산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일지라도, 나사의 연속성이 유지되지 아니하는 이상, 픽스츄어의 상단몸통부가 상기 피질골에 식립되는 경우 상기 하단몸통부의 나사산에 의해 형성된 피질골 안쪽 벽의 암나사산이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피질골 안쪽 벽의 파괴에 따라 초기 고정력이 약화되고, 식립 시술된 후에 지속적인 압력과 하중에 따라 골 해리가 발생하게 되며, 마찰 등으로 염증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스트레이트(Straight) 타입은 상단몸통부에 접촉 고정되는 최상단부(11)에서 이어진 상부의 상단몸통부 나사산(121) 바깥지름(D1a)은 하단에서 하단몸통부에서 고정결합되는 하단몸통부의 하단 나사산(121) 바깥지름(D1b)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지는데, 이러한 종래 픽스츄어를 사용하여 식립하는 경우에는 치조골을 동일하게 스트레이트 타입으로 드릴링하게 되고, 샤프트축(X)과 평행한 직선으로 식립홈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단몸통부에서 식립홈의 직경(A)이 하부의 하단몸통부에서 식립홈 직경(A)와 동일하게 직선으로 식립하게 된다. 즉, 상기 샤프트축(X)과 평행하도록 직진시켜 식립하게 되므로 매식하는 도중 상기 픽스츄어(1)의 나사산(121) 및 나사골(122)에 의해 골을 파괴할 우려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골해리를 촉진시키게 될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 더 나아가 종래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1)로 식립하는 경우 그 고정력이 약화되어 골융합이 저해될 수 있고, 골해리가 발생되어 제반문제가 발생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픽스츄어(1)의 몸통부(12) 외주면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이 해면골(93)에 고정되는데, 이러한 해면골(93)에 정착되는 하단부가 스트레이트(Straight) 타입으로 형성될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해면골(93)은 피질골(91)에 비해 비교적 연하고 무른 골조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력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픽스츄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몸통부와 하단몸통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단몸통부 및 하단몸통부의 이중나사산 구조를 통해 피질골에 대한 응력집중을 해면골에 대한 응력으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골흡수를 방지하고 골융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픽스츄어 외주면에 형성된 큰나사산의 산마루에 작은나사산을 형성하여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뼈에 대한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골조직에 대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픽스츄어 하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에서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 상호 간의 피크간 거리는 상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에서 인접한 제2작은나사산 상호 간의 피크간 거리와 동일하도록 하고, 상기 제1작은나사산은 상기 하단몸통부와 상기 상단몸통부에 동일한 나사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피크간의 거리가 동일하여 상기 상단몸통부와 하단몸통부의 나사의 연속성을 유지되도록 하여 식립시 피질골에 형성된 암나사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식립시 피질골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이에 따른 골해리를 방지하여 보철물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단몸통부의 이웃하는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는 상단몸통부의 이웃하는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도록 하며, 상기 하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는 상기 상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2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도록 하여, 나사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경우 먼저 치조골의 상단몸통부에 하단몸통부의 식립에 의해 형성된 상기 피질골의 안쪽 벽의 암나사산에 연속적으로 상기 픽스츄어의 하단몸통부의 나사와 상단몸통부의 나사가 연속적으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골파괴를 최소화함으로써 골해리를 방지하고 보철물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드릴링으로 만들어진 식립홈을 통하여 매식시, 상기 픽스츄어의 하단몸통부에 테이퍼 구간을 형성한 큰나사산과 작은 나사산을 구성하여, 픽스츄어 식립시 테이퍼 구조에 따른 상기 하단몸통부의 쐐기효과를 통해 상기 하단몸통부에 압박을 주어 상기 픽스츄어의 하단몸통부와 접촉된 해면골에서 결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픽스츄어의 하단몸통부에서의 테이퍼 구조와 함께 상단몸통부에 있어서도 제1작은나사골의 골지름이 상단몸통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하여 피질골에서도 상기 픽스츄어의 제1작은나사골의 테이퍼 구조에 따른 쐐기효과의 압박을 주게 되므로, 상기 하단몸통부에서 외주면의 테이퍼 구조에 따른 쐐기효과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를 전체적으로 볼 때, 치조골 전체적으로 쐐기효과를 통한 결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며,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식립후 주로 피질골에 접하는 상단몸통부와 주로 해면골에 접하는 하단몸통부를 가진 픽스츄어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는 하단몸통부에만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큰나사골과 상기 제1큰나사골에 의해 규정되는 제1큰나사산과, 상기 제1큰나사산의 산마루에서 상기 하단몸통부와 상단몸통부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제1작은나사골과 상기 제1작은나사골에 의해 규정되는 제1작은나사산과, 상기 제1작은나사산의 산마루에서 상기 상단몸통부에만 형성되는 제2작은나사골과 상기 제2작은나사골에 의해서만 규정되는 제2작은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산 산마루에 형성된 제2작은나사산의 나사산 줄수는 상기 하단몸통부의 제1큰나사산 산마루에 형성된 제1작은나사산의 줄수보다 많으며, 상기 하단몸통부는 그 외주가 하측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기 하단몸통부의 이웃하는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는 상기 상단몸통부의 이웃하는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며, 상기 하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는 상기 상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2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단몸통부는 그 외주가 식립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기 하단몸통부의 제1큰나사골은 그 직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내향 경사지거나, 또는 식립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기 상단몸통부에서 제1작은나사골은 그 직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내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기 제1작은나사골은 상기 하단몸통부와 상기 상단몸통부에 동일한 나사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골간의 거리가 동일하여 식립시 피질골에 형성된 암나사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기 상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산은 산마루에 2줄의 제2작은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작은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제2작은나사산의 피크간 의 거리는 상기 하단몸통부의 제1큰나사골에서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의 피크간 거리의 절반값을 가지게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상기 최상단부의 구성에 있어서, 단지 상기 픽스츄어의 내부에 치아보철물이 안착되어 연결 결합될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일체로 연결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치아보철물이 안착되어 연결 결합될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치아 보철물이 결합될 수 있는 커넥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앞서 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과제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픽스츄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몸통부와 하단몸통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단몸통부 및 하단몸통부의 이중나사산 구조를 통해 피질골에 대한 응력집중을 해면골에 대한 응력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픽스츄어 전체에 응력을 균등하게 분포하게 함으로써 골흡수를 방지하고 골융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픽스츄어 외주면에 형성된 큰나사산의 산마루에 작은나사산을 형성하여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뼈에 대한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골조직에 대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픽스츄어 하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에서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 상호 간의 피크간 거리는 상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에서 인접한 제2작은나사산 상호 간의 피크간 거리와 동일하도록 하고, 상기 제1작은나사산은 상기 하단몸통부와 상기 상단몸통부에 동일한 나사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피크간의 거리가 동일하여 상기 상단몸통부와 하단몸통부의 나사의 연속성을 유지되도록 하여 식립시 피질골에 형성된 암나사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식립시 피질골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이에 따른 골해리를 방지하여 보철물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픽스츄어 하단몸통부의 이웃하는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는 상단몸통부의 이웃하는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도록 하며, 상기 하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는 상기 상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2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도록 하여, 나사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경우 먼저 치조골의 상단몸통부에 하단몸통부의 식립에 의해 형성된 상기 피질골의 안쪽 벽의 암나사산에 연속적으로 상기 픽스츄어의 하단몸통부의 나사와 상단몸통부의 나사가 연속적으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골파괴를 최소화함으로써 골해리를 방지하고 보철물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면골에 대한 고정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개개의 나사산에 대한 부분적인 응력집중을 분산시켜 골흡수를 방지하고 골융합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드릴링으로 만들어진 식립홈을 통하여 매식 시, 상기 픽스츄어의 하단몸통부에 테이퍼 구간을 형성한 큰나사산과 작은 나사산을 구성하여, 픽스츄어 식립시 테이퍼 구조에 따른 상기 하단몸통부의 쐐기효과를 통해 상기 하단몸통부에 압박을 주어 상기 픽스츄어의 하단몸통부와 접촉된 해면골에서 결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의 하단몸통부에서 외주면의 테이퍼 구조에 따른 쐐기효과뿐만 아니라, 상단몸통부에 있어서도 제1작은나사골의 골지름이 상단몸통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하여 피질골에서도 상기 픽스츄어의 제1작은나사골의 테이퍼 구조에 따른 쐐기효과의 압박을 주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를 전체적으로 볼 때, 치조골 전체적으로 쐐기효과를 통한 결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피크거리" 또는 "피크간의 거리"의 용어사용은 단순히 상호 인접하는 나사산의 정점인 피크와 피크 사이의 거리를 지칭하는 용어로써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피크간의 거리를 살펴보면, p1은 상단몸통부에서 제2작은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2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로 정의되고, p2는 상단몸통부에서 제1작은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2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로 정의되며, p3는 하단몸통부에서 제1작 은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로 정의되고, p4는 하단몸통부에서 제1큰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로 정의된다. 또한 w1은 상단몸통부에서 제1작은나사산의 산마루폭으로 정의되고, w2는 하단몸통부에서 제1큰나사산의 산마루폭으로 정의된다. 또한 a는 하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이고, b는 상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이며, 하단몸통부로부터 상단몸통부까지 동일한 나사골 가공용 바이트로 동일한 조건에서 가공하게 되는 경우 a는 b와 동일한 길이를 갖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나사산 형성 단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사시정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단몸통부의 제1큰나사골에서 테이퍼 구조가 형성된 픽스츄어의 상세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단몸통부의 제1큰나사골에서 스트레이트 구조가 형성된 픽스츄어의 상세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의 골지름에 테이퍼 구조가 형성된 픽스츄어의 사시정면도이다.
이하 출원인은 나사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골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식립될 수 있는 작용 및 기능을 갖는 픽스츄어(2)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픽스츄어(2)를 제작하는 성형단계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이해를 돕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2)의 제작공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픽스츄어(2)는 피질골에 주로 접하는 상단몸통부(23a)와 해면골에 주로 접하는 하단몸통부(23b)를 포함하는데, 상기 상단몸통부(23a) 및 하단몸통부(23b)에 나사산의 형 성은 먼저 (1)단계에서와 같이 하단몸통부(23b)에 제1큰나사산 가공용 바이트로 제1큰나사골(232)을 형성하여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제1큰나사골(232)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제1큰나사산(231)을 성형하게 되는데, 이는 가장 깊은 바이트로 가공 성형된다. 다만 이 경우 상기 도 4의 (1)단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몸통부(23b)에만 바이트 가공을 하게 되고, 상단몸통부(23a)에는 바이트 가공하지 아니한다. 이어서 다음 (2)단계에 이르러 바이트를 바꾸어 제1작은나사산 가공용 바이트를 상기 (1)단계에서 형성된 하단몸통부(23b)의 제1큰나사산(231)의 산마루에 위치시킨 뒤 제1큰나사산(231)의 산마루에 제1작은나사골(236)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외주를 회전하여 바이트 가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제1작은나사산(235)이 성형되고, 상기 제1작은나사골(236)의 깊이는 상기 제1큰나사골(232)의 깊이보다 더 깊지 않도록 형성되는데, 이로써 하단몸통부(23b)의 나사부는 가공 제작 완료된다. 다만 이 때 상기 도 4의 (2)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계와는 달리 상기 제1작은나사골(236)은 하단몸통부(23b)에서 상단몸통부(23a)까지 몸통부(23) 전체에 걸쳐 동일한 바이트로 가공된다. 다만 상단몸통부(23a)와 하단몸통부(23b)의 제1작은나사골(236)은 가공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나사산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골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동일한 바이트로 동일 조건하에 제1작은나사골(236)을 상단몸통부(23a)와 하단몸통부(23b) 전체에 형성하는 경우, 하단몸통부(23b)의 제1작은나사골(236) 간의 거리 a와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골(236) 간의 거리 b가 동일하게 된다. 다음 마지막으로 (3)단계에 이르러 제2작은나사산 가공용 바이트로 바꾸어 상기 (2)단계에서 형성된 상단몸통부(23b)의 사다리꼴 제1작은나 사산(235)의 산마루에 복수의 제2작은나사골(238)을 성형 가공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상단몸통부(23a)에만 바이트 가공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상단몸통부(23a)에는 제2작은나사골(238)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제2작은나사산(237)을 형성하게 되고, 종국적으로 상단몸통부(23a)의 나사부도 가공 제작 완료된다. 결국 이렇게 가공 제작된 본 발명의 픽스츄어(2)를 통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상단몸통부(23a)와 하단몸통부(23b)에 형성된 나사산들 간 피크간의 거리의 관계(p2=p3, p4=w1)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나사의 연속성을 통한 본 발명의 픽스츄어(2) 식립시 피질골에의 골 파괴를 최소화하여 골 해리를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픽스츄어(2)는 치아 보철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치조골에 식립되는 치과용 픽스츄어로써, 원통형상을 가지며 골조직과 픽스츄어와의 골유착을 촉진하도록 순수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 등과 같은 생체친화적 금속으로 제작된다. 상기 픽스츄어(2)는 식립후 골조직 외부로 돌출되는 최상단부(21), 치조골 조직 중 주로 피질골에 위치하는 상단몸통부(23a), 주로 해면골에 위치하는 하단몸통부(23b), 셀프태핑을 위한 커팅에지(25)가 상단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최상단부(21)는 픽스츄어(2)의 최상단에 위치하며, 상향 축경되는 원뿔형상을 가진다. 상기 최상단부(21)는 픽스츄어의 식립후 뼈의 외부로 돌출되는 유일한 부분으로써, 픽스츄어 전체길이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최상단부(21)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인공치아인 치아 보철물이 결합되는 데, 이러한 치아 보철물과의 결합형태에 따라 인터널 타입(Internal Type)과 익스터널 타입(External Type)으로 구분된다. 상기 치아 보철물의 결합형태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들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단몸통부(23a)는 픽스츄어(2)의 식립이 완료된 경우 주로 피질골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최상단부(21)와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하단몸통부(23b) 사이에 일정한 길이 L1을 가지며, 직선(Straight)구간이다. 사람의 골조직에서 피질골의 깊이는 다양한 편차를 가지지만, 일반적으로 3mm를 넘지 않으므로,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길이 L1은 약간의 여유를 두어 3.5mm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상단몸통부(23a) 구간 L1은 치조골 중 보다 견고한 부위인 피질골에 식립되는 부분인데, 하기에서 설명할 제2작은나사산(237)의 바깥지름(D237)은 샤프트 축(X)에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직선구간을 이룬다. 또한 상기 상단몸통부(23a)는, 제1작은나사산(235), 제1작은나사골(236), 제2작은나사산(237)과 제2작은나사골(238)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제1작은나사산(235)은 상기 최상단부(21)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바깥지름 D237를 갖고, 상기 제1작은나사골(236)은 골지름 D236을 가진다. 상기 제1작은나사산(235)의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 산마루에는 상기 제2작은나사산(2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작은나사산(237)은 제1작은나사산(235)의 산마루에 형성되며, 상기 제1작은나사산(235)은 산마루폭 w1을 가진다. 제2작은나사골(238)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제2작은나사산(237) 상호간의 피크간의 거리 p1, 제1작은나사골(236)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제2작은나사산(237) 상호간의 피크간의 거리는 p2를 가진다. 제2작은나사골의 골지름(D238)은 제1작은나사골의 골지름(D236)보다 크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작은나사산(237)은 상기 제1작은나사산(235)의 산마루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지름은 상기 제1작은나사산(235)의 바깥지름과 일치되는 D237을 가진다. 상기 제2작은나사산(237)은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하단몸통부(23b) 외주면의 제1큰나사산(231) 산마루에 형성된 제1작은나사산(235)의 줄수보다 많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렇게 형성함으로써 피질골에 대한 응력집중을 해면골로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산(235)의 산마루 상에 2줄의 제2작은나사골(238)을 성형 가공하였고, 이에 따라 3줄의 제2작은나사산(237)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산(235)의 산마루 상에 형성된 제2작은나사산(237)의 피크 간 거리(p1)는 상기 제1작은나사산(235)의 산마루 폭(w1)의 절반값을 가지게 되는데, 이에 결과적으로 하기의 하단몸통부(23b)에서 제1큰나사골(232)에서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235)의 피크 간의 거리(p4=w1)의 절반값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므로,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산(235)의 산마루에 형성된 제2작은나사산(237)의 줄 수는 하단몸통부(23b)의 제1큰나사산(231) 산마루에 형성된 제1작은나사산(235)의 줄 수보다 많다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단몸통부(23b)는 픽스츄어(2)의 식립이 완료된 경우 주로 해면골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몸통부(23)의 하단부에서 일정한 길이 L2을 가지며, 이는 경사(Taper)구간이다. 상기 픽스츄어(2)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경우 대부분의 치조골과의 접촉부는 상기 하단몸통부(23b)이므로 상기 상단몸통부(23a)에서 집중되는 응력을 상기 하단몸통부(23b)로 분산시키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이에 따라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이중나사산 구조를 통해 집중된 응력을 상기 하단몸통부(23b)에 고르고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상기 하단몸통부(23b) 구간 L2은 치조골 내부에 있는 비교적 연한 골조직인 해면골에 식립되는 부분인데, 하기의 제1큰나사산(231) 바깥지름(D231)은 샤프트 축(X)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하부로 감소하는 테이퍼(Taper) 구조로 형성되는 경사구간이다. 이에 테이퍼 구조(Taper Type)이란 원형이나 그와 비슷한 단면을 갖는 부재에 있어서 하단부분의 지름이 상단부분의 지름에 비해 작아지는 것으로 하부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테이퍼 구조를 갖는 부재를 식립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스트레이트 타입(Straight Type)의 부재에 비하여 더 큰 식립토크를 갖게 되어 보다 높은 부착력과 고정력을 갖게 된다. 이는 쐐기효과로써 식립시 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주변의 물질이 더 큰 압력을 주어 고정하기 때문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하기에서 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하기의 실험결과는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산(235) 외주면은 샤프트 축(X)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제1큰나사산(231)의 외주는 샤프트 축(X)에 대해 내향 경사지도록 감소하는 테이퍼 구조(Taper Type)으로 형성되는 이유를 제공해 준다. 상기 하단몸통부(23b)는, 제1큰나사 산(231), 제1큰나사골(232), 제1작은나사산(235)과 제1작은나사골(236)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제1큰나사산(231)은 하단몸통부(23b)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해면골과 접촉되는 나사산이며, 상기 상단몸통부에서 하단몸통부가 시작되는 부위에서부터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나사산들과 연이어져 형성되고, 산마루에는 제1작은나사산(2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큰나사골(232)은 상기 제1큰나사산(231) 사이에 형성된 골이며, 상기 제1작은나사골(236)은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제1큰나사산(231)의 산마루에 형성된 제1작은나사산(235) 사이에 형성된 골이다. 이와 같은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나사산 구조는 상기 상단몸통부(23a)에서의 이중나사산 구조와 같이 역시 해면골과의 접촉부에서도 골접촉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제1큰나사산(231)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 및 나사골의 구성상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의 픽스츄어(2)가 갖는 테이퍼 구조에 따른 쐐기효과 및 나사 연속성에 따른 식립시 골파괴 최소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바 이는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상단몸통부(23a)와 하단몸통부(23b)에 형성된 나사산들 간의 피크간의 거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하단몸통부(23b)와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나사산 구성에 따라 나사 연속성에 따른 식립시 피질골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하단몸통부(23b)는 상기 제1큰나사골(232)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제1 작은나사산(235)의 피크간의 거리 p4, 제1작은나사골(236)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제1작은나사산(235)의 피크간의 거리 p3를 가진다.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제1큰나사골(232)에서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235) 간의 피크간의 거리(p4)와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산(221)의 산마루폭(w1)은 동일하게 가공되고, 하단몸통부(23b)의 제1작은나사골(236) 간의 거리 a와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골(236) 간의 거리 b는 동일하게 되는데, 이는 나사의 연속성을 유지하여 하단몸통부(23b)의 나사산에 의해 형성된 피질골의 암나사산이 상단몸통부(23a)의 나사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나사의 연속성에 따라 식립시 피질골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관계 및 효과는 아래의 작용관계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산(235)의 산마루폭(w1)은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제1큰나사산의 산마루폭(w2)에 비해 더 크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산마루폭의 차이(w1>w2)는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산(221)의 산마루에 형성된 제2작은나사산(237)의 줄 수가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제1큰나사산(231)의 산마루에 형성된 제1작은나사산(235)의 줄 수보다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배경을 제공하여 피질골과의 접촉부위인 상단몸통부(23a)에서의 응력집중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커팅에지(25)는 상기 하단몸통부(23b) 하단의 나사산의 일부를 축방향으로 절개함으로써 형성되어 셀프태핑(Selp-Tapping)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9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픽스츄어(2)를 식립하고자 하는 골조직 부위에 상기 픽스츄어(2)의 바깥지름(D231a=D237)보다 다소 작은 홈(A)을 형성한 후 픽스츄어(2)를 매 식하면 상기 커팅에지(25)가 상기 홈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암나사산을 통해서 식립을 인도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살펴본 상단몸통부(23a) 및 하단몸통부(23b) 각각에서의 나사산 및 나사골의 관계를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2) 몸통부(23) 전체에 걸쳐 살펴보기로 한다. 이는 하기의 작동관계에서도 자세히 살펴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2)가 나사의 연속성으로 인하여 피질골의 골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식립될 수 있도록 하는 배경을 제공한다. 이에 상기 나사산들의 피크간의 거리와 관련하여 도 5의 우측 상세도에서 보다 세밀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단의 상단몸통부(23a)에서의 제1작은나사산(235) 및 제2작은나사산(237) 간의 피크간의 거리를 살펴보면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2작은나사골(238)을 사이에 두고 이웃한 제2작은나사산(237) 상호 간의 피크간의 거리(p1)는 나사산들의 피크 간 거리 중 가장 작은 값을 가지며, 상단몸통부(23a)에서 제1작은나사골(236)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2작은나사산(237)의 피크간의 거리(p2)는 상기 p1보다 큰 값을 가진다. 상기 상단몸통부(23a) 제1작은나사산(235)의 산마루폭(w1)은 상기 제1작은나사산(235)의 산마루에 형성된 복수의 제2작은나사산(237) 상호 간의 피크간의 거리(p1)를 모두 더한 값과 동일하게 된다.
다음, 하단의 하단몸통부(23b)에서의 제1큰나사산(231) 및 제1작은나사산(235) 간의 피크간의 거리를 살펴보면 우선 상기 하단몸통부(23b)에서 제1작은나사골(235)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p3)는 결국에는 도 5의 우측 하단 그림에서와 같이 제1큰나사산(231)의 산마루에 두개의 제1작은나사산(235) 및 한개의 제1작은나사골(236)이 형성되는 경우, 제1큰나사산(231)의 산마루폭(w2)과 동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단몸통부(23b)에서 제1작은나사사골(236)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235)의 피크간의 거리(p3=w2)는 상기 상단몸통부(23a)에서 제1작은나사골(236)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2작은나사산(237)의 피크간의 거리(p2)와 일치하게 된다. 상기 하단몸통부(23b)에서 제1큰나사산(231)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제1작은나사산(235) 간의 피크간의 거리(p4)는 상기 상단몸통부(23a)에서 제1작은나사산(235)의 산마루폭(w1)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렇게 각 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p)를 볼 때, 나사의 연속성을 유지하게 하여 치조골에 보다 안정적으로 식립할 수 있고, 골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데, 특히 식립시 피질골(91)에서의 안쪽 벽에 형성되는 암나사산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식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단몸통부(23a)의 나사산과 하단몸통부(23b)의 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에 따른 나사의 연속성 유지에 대하여는 하기의 작동관계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2)의 몸통부(23) 전체를 볼 때, 상기 가공단계에 따라 제1작은나사골(236)이 몸통부(23) 전체적으로 동일한 바이트로 그리고 동일한 조건에서 가공되므로,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a)와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b)는 본 발명의 픽스츄어(2) 몸통부(23) 전체에서 동일하게 유지된다.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 및 나사골 구성에 따른 테 이퍼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1큰나사산(231) 외주의 바깥지름(D231a 및 D231b)은 하단몸통부 쪽의 상부는 D231a를 갖고, 하부는 D231b를 갖게 되는데 하부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띤다. 즉, 상부의 D231a가 더 크게 되어 샤프트 축(X)에 대해 내향 경사지도록 감소하는 경사(Taper) 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하단몸통부(23b)에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본 픽스츄어의 식립축인 샤프트축(X)에 경사진 각도를 가진 테이퍼 구조에 따라 쐐기효과를 가짐으로써 치조골에 강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 나아가 상기 제1큰나사골(232)이 스트레이트(Straight) 구조인지, 테이퍼(Taper) 구조인지에 따라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데, 이는 도 6 및 도 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2)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제1큰나사골(232)의 골지름(D232)은 식립축인 샤프트축(X)에 내향 경사지도록 감소하는 Taper Type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평행 직선인 Straight Type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우선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픽스츄어(2)는 어떠한 실시예에서든 간에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제1큰나사산(231) 외주면이 식립축인 샤프트축(X)에 평행한 Y축과 내향 경사지도록 감소하는 일정한 각도 θ를 갖고 있는데, 경사구간인 테이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도 6에서는 제1큰나사골(232) 역시 내향 감소 경사구간인 Taper 구간을 형성하여 결국에는 제1큰나사산(231)의 외주면의 형성방향과 평행한 축인 Z축을 형성하게 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렇게 형성된 Z축은 역시 하단몸통부(23b)의 외주면과 함께 테이퍼 구간을 형성하여 골과 접촉하는 나사산의 사면이 넓어져서 골 접촉면적이 더욱 증가하여 쐐기효과에 따른 고정력 및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2)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큰나사골(232)을 식립축에 평행한 Y축과 평행한 Z축을 형성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이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상단몸통부(23a)에서 제1작은나사골(236)을 성형함에 있어서 최상단으로 갈수록 바이트를 일정비율로 후퇴시켜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골(236)의 골지름(D236)이 최상단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바깥지름(D237)과 골지름(D236)의 차이가 작아지게 하여(제1큰나사골지름이 D236a 및 D236b로 변하게 되어 하부로 갈수록 작아짐), 상기 제1작은나사골(236)에 테이퍼 구조를 형성하도록 한 것인데, 하단몸통부(23b)에서의 테이퍼 구조에 따른 쐐기효과와 더불어 더 나아가 상단몸통부(23a)에서의 쐐기효과도 도모할 수 있으므로, 피질골에 매식되고 난 뒤에는 치조골 전체적으로 쐐기효과에 의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치조골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의 단면도들인데, 이는 픽스츄어(2)의 최상단부(21)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1 및 도 12는 인터널 타입(Internal Type)을 보여주고, 도 13은 익스터널 타입(External Type)을 보여준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볼 때, 상기 인터널 타입(Internal Type)의 픽스츄어는 내부에 치아보철물 결합부(27)를 포함하게 된다. 이에 상기 인터널 타 입(Internal Type)의 픽스츄어는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치아 보철물(미도시)이 상기 픽스츄어의 내부에서 고정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형태를 말하는데, 이러한 상기 결합부(27)에 인공치아 보철물이 견고히 고정결합하게 되어 반영구적인 치과용 임플란트 치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픽스츄어(2)의 내부에는 상기 치아 보철물이 안착될 수 있는 치아보철물 결합부(2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27)는 상기 치아보철물의 어댑터(미도시)가 안착되는 어댑터안착홈(271) 및 상기 치아보철물의 스크류(미도시)가 체결되는 스크류체결홈(273)을 포함한다. 이에 상기 인터널 타입(Internal Type)의 픽스츄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상단부(21)에 돌출부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상단부(21)에 돌출부(211)를 포함하여 인공치아 보철물을 좀더 작게 형성하게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인터널 타입에서의 형태 선택은 시술하는 환자의 상태나 환자의 치조골의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어댑터안착홈(271)은 도 11 및 도 12의 픽스츄어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경사진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최상단부(21)에서부터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픽스츄어(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체결홈(273)은 상기 어댑터안착홈(271)의 하단에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는 상기 치아보철물의 스크류(미도시)가 나사결합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암나사부(273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볼 때, 상기 익스터널 타입(External Type)의 픽스츄어는 내부에 인공치아 보철물이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최상단부(21)의 외부에서 결합되는 관계로 상기 최상단부(21)는 상기 치아 보철물 결합돌기(212)를 포함하게 된다. 이에 인공치아 보철물은 상기 보철물 결합돌기(212)와 결합되게 되는데, 결국엔 치아 보철물에 홈이 형성되어 맞물림 되도록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작동관계 및 사용상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픽스츄어 식립시 피질골에의 암나사산 형성 단계도이며, 도 1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가공 제작된 픽스츄어(2)의 나사산 형성을 통해, 본 발명의 픽스츄어(2)가 치조골에 식립시 나사의 연속성을 유지하여 골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작용 및 사용관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이러한 작용 및 사용상태를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치조골(9)에 본 발명의 픽스츄어(2)를 매식하고자 하는 경우, 드릴링으로 식립홈을 형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픽스츄어(2)의 외경(D237=D231a)보다 약간 짧은 지름(A)으로 드릴링되어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픽스츄어(2)가 회전하면서 치조골(9)에 암나사산을 형성하면서 식립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치조골(9)에 식립홈을 형성한 후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 어(2)를 매식하게 되는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팅에지(25)를 통해 치조골에 나사부가 형성되면 자연스럽게 먼저 하단몸통부(23a)의 제1큰나사산(231) 및 제1작은나사산(235)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픽스츄어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는 치조골의 식립홈으로 삽입되고 결국에는 상단몸통부(23a)가 상기 치조골(9)의 피질골(91)에 이르러 더욱 견고히 식립된다.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나사산과 하단몸통부(23b)의 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에 따른 나사의 연속성 유지는 상기 구성에서 살펴보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2)의 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가 p2=p3를 갖게 되고, 또한 w1=p4를 갖게 됨으로써 실현된다(즉, 하단몸통부(23b)의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a)와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b)가 동일). 이에 식립단계에 따른 나사의 연속성에 의한 골파괴 최소화를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좌측의 (1)단계에서 볼 수 있듯이, 먼저 상기 식립홈을 통해 피질골(91)에 본 발명의 픽스츄어(2)가 식립되는 경우, 하단몸통부(23b) 최하단의 커팅에지(25)로 인하여 치조골(9)의 피질골(91)의 안쪽 벽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제1작은나사산(235) 상호 간의 피크간의 거리(p3) 및 상기 제1큰나사골(232)에서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235) 간의 피크간의 거리(p4)에 해당되는 암나사산이다. 즉, 이러한 상기 암나사산은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제1큰나사산(231) 및 제1작은나사산(235)에 의해 형성되어 결국에는 제1큰나사산(231)의 산마루폭(w2=p3)에 해당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큰나사골(232)에서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235) 간의 피크간의 거리(p4)에 해당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픽스츄어(2)가 먼저 하단몸통부(23b)가 식립되면서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하부로 깊숙히 식립된 후 상단몸통부(23a)에 이르게 되면 상기 치조골의 피질골(91)은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산(235)과 제2작은나사산(237)을 만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도 10의 우측 (2)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산(235)의 산마루는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제1큰나사골(232)에 의해 형성된 암나사산(S)과 만나게 되며 이에 대응되어 맞물리게 된다. 이에 결국에는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산(235) 산마루폭(w1)이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제1큰나사골(232)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235)의 피크간의 거리(p4)와 동일하게 되어 이 부분의 연속성이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피질골(91)에 본 발명의 픽스츄어(2)의 상단몸통부(23a)가 맞물리며 식립되면서, 상기 p4에 의해 피질골(91) 내측에 형성된 피질골(91)의 암나사산 산마루(S)에는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산(235) 산마루에 형성된 제2작은나사산(237)들에 의해 압박 받아 작은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진다(도 10의 우측 (2)단계에서 상세히 도시됨). 또한,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골(236)은 상기 (1)단계에서 하단몸통부(23b)의 제1작은나사골(236)에 의해 형성된 암나사산을 만나게 된다. 이 경우 역시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골(236)에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235) 사이의 피크간의 거리(p2)는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제1작은나사산(235) 상호 간의 피크간의 거리(p3)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자연스럽게 이 부분은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1작은나사골(236)을 통해 연속적으로 맞물림되어 나사의 연속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나사의 연속성을 통 해 상기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도중 치조골(9)의 피질골(91)에서 골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2)의 가공단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몸통부(23) 전체에서 동일한 바이트로 가공되는 제1작은나사골(236) 간의 거리(a)는 도 10에서 보이는 것처럼 하단몸통부(23b)의 피질골에의 식립단계인 (1)단계에서와 상단몸통부(23a)의 피질골에의 식립단계인 (2)단계에서 동일하게 유지됨으로써 피질골의 안쪽 벽에 형성된 암나사산의 파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픽스츄어(2)는 상기 상단몸통부(23a)의 제2작은나사산(237)의 외주는 샤프트 축(X)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단몸통부(23b)의 제1큰나사산(231)의 외주는 샤프트 축(X)에 대해 내향 경사지도록 감소하게 된다. 이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하단몸통부(23b)에서 제1큰나사산(231)의 상단 바깥지름(D231a)이 샤프트 축(X)에 대하여 경사지게 감소하여 테이퍼(Taper) 구조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식립시 테이퍼 구조에 따라 상기 해면골(93)이 상기 하단몸통부(23)의 쐐기효과를 통해 상기 하단몸통부에 압박을 주어 상기 픽스츄어의 하단몸통부와 접촉된 해면골에서 결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픽스츄어의 하단몸통부에 Taper 구조 형성에 따른 고정력에 대한 효과는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식립토크 실험에서 보여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몸통부에 테이퍼 구조가 형성된 픽스츄어의 효과를 실험에 따라 첨부한 그래프를 참고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4는 종래발명에 따른 스트레이트(Straight) 타입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경우의 식립토크 분포 그래프이며,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Taper) 타입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경우의 식립토크 분포 그래프이다.
실험1 : 하단몸통부 테이퍼 ( Taper ) 구조로 형성된 픽스츄어에 대한 식립토크 측정
실험조건
하단몸통부의 제1큰나사산(231)의 바깥지름(D231)이 식립되는 샤프트 축(X)과 직선으로 평행을 이루며 스트레이트(Straight) 구조로 형성된 픽스츄어(이하 "스트레이트 픽스츄어"라 함)와 하단몸통부의 제1큰나사산(231)의 바깥지름(D231)이 식립되는 샤프트 축(X)과 경사를 이루며 테이퍼(Taper) 구조로 형성된 픽스츄어(이하 "테이퍼 픽스츄어"라 함)을 치조골에 식립하는 과정에서 나사식으로 매식을 함으로써 회전수에 따른 토크를 측정하였다. 이에 식립토크(Ncm)의 값이 클수록 치조골과의 결합력 및 고정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결국엔 본 실험과 같이 식립토크의 값을 실험함으로써 스트레이트 픽스츄어와 테이퍼 픽스츄어의 치조골에의 골부착력 및 결합력, 고정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식립토크는 Ncm 단위로 측정하였고, 매 회전수마다 상기 스트레이트 픽스츄어와 테이퍼 픽스츄어 각각의 식립토크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아래의 표 1은 스트레이트 픽스츄어와 테이퍼 픽스츄어의 치조골에 식립시 회전수에 따라 측정되는 식립토크의 값이다.
표 1 : 회전수에 따른 식립토크 측정값
회전수 1 2 3 4 5 6 7 8 9 10 11
Straight 3 15 28 30 25 20 17 16 24 31 39
Taper 4 12 16 21 30 32 34 33 35 32 28
단위 : Ncm
실험결과
상기 표 1에서 보여준 수치는 또한, 종래발명에 따른 스트레이트 픽스츄어의 식립과정에서 측정되는 식립토크를 나타낸 도 14의 그래프 및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 픽스츄어의 식립과정에서 측정되는 식립토크를 나타낸 도 15의 그래프에 도시된다. 결국, 상기 표 1 및 도 14, 도 15을 살펴보면, 하단몸통부가 스트레이트한 픽스츄어의 경우 식립과정 중에 식립토크가 떨어져서 픽스츄어의 초기 고정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현저히 보여준다. 그러나, 이에 반해 하단몸통부에 테이퍼 구조를 형성한 픽스츄어는 해면골처럼 연하고 덜 견고한 골에서도 식립토크가 떨어지지 않고 상승하여 원하는 초기 고정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히 표 1 및 도 14 및 도 15에 표시된 구간의 회전수가 "4"인 경우부터 회전수가 "8"인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표 1에서 측정된 수치를 볼 때, 종래발명의 Straight 타입 픽스츄어의 경우 식립토크 수치가 "30Ncm"에서 "25Ncm", "20Ncm", "17Ncm", "16Ncm"의 순서로 대폭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결국에는 식립하는 도중에 초기 고정력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Taper 타입 픽스츄어의 경우 식립토크 수치가 "21Ncm"에서 "30Ncm", "32Ncm", "34Ncm", "33Ncm"의 순서로 대폭 감소하는 것 없이 지속적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Straight 타입에서의 식립토크 수치의 대폭 감소에 따른 초기 고정력 저하를 방지하여 골해리 및 골파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실험에 따른 실험값 및 수치를 분석해 보면, 식립과정에서 스크류 타입의 회전에 따른 식립으로 종래의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는 초기(상기에서 살펴본 회전수 "4" 내지 "8"에서의 식립토크 값)에 식립토크가 대폭 감소하는데, 이러한 초기 식립시의 식립토크 감소구간에서 골의 파괴나 골과의 해리를 유발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픽스츄어와 치조골 간의 초기 고정력을 약화시키고 골융합을 저해하게 된다. 결국에는 종래발명에 따른 스트레이트 타입의 픽스츄어로 식립하는 경우 종국적으로 골파괴 및 골해리로 인한 초기 고정력 약화로 인해 지속적으로 치아가 압력을 받게 되는 상황에서 픽스츄어와 치조골 간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게 되고 치조골에의 염증 유발을 발생시키기도 하며, 골파괴를 촉진시킴으로써 픽스츄어의 수명을 감소시키게 되는데, 심각한 경우 재시술을 요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실험결과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의 경우, 식립시 회전수에 따라 식립토크가 꾸준히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그에 따라 초기 고정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식립되는 도중에 골파괴 및 골과의 해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골과의 융합을 촉진시키게 되고 종국적으로는 픽스츄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식립시 초기 고정력을 나타내 주는 회전수 "4" 내지 "8"까지의 식립토크 수치를 볼 때, 하단몸통부의 테이퍼(Taper) 구조 형성에 따른 골 부착력 및 결합력, 고정력은 종래 스트레이트(Straight) 구조에 비해 탁월하고 현저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고, 종래의 스트레이트 타입 픽스츄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발명에 따른 스트레이트(Straight) 타입 픽스츄어의 사시정면도
도 2는 종래발명에 따른 스트레이트(Straight) 타입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상태도
도 3은 종래발명에 따른 스트레이트(Straight) 타입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나사산 형성 단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사시정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단몸통부의 제1큰나사골에서 테이퍼 구조가 형성된 픽스츄어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단몸통부 제1큰나사골에서 스트레이트 구조가 형성된 픽스츄어의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의 골지름에 테이퍼 구조가 형성된 픽스츄어의 사시정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픽스츄어 식립시 피질골에의 암나사산 형성 단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 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종래발명에 따른 스트레이트(Straight) 타입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경우의 식립토크 분포 그래프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taper) 타입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경우의 식립토크 분포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 설명 *
1 : 종래발명의 픽스츄어 11 : 종래발명의 최상단부
12 : 종래발명의 몸통부 121 : 종래발명의 나사산
122 : 종래발명의 나사골 13 : 종래발명의 커팅에지
2 : 픽스츄어 21 : 최상단부
211 : 돌출부(칼라) 212 : 보철물 결합돌기
23 : 몸통부 23a : 상단몸통부
23b : 하단몸통부 231 : 제1큰나사산
232 : 제1큰나사골 235 : 제1작은나사산
236 : 제1작은나사골 237 : 제2작은나사산
238 : 제2작은나사골 25 : 커팅에지
27 : 치아보철물 결합부 271 : 어탭터안착홈
273 : 스크류체결홈 2731 : 스크류체결 암나사부
9 : 치조골 91 : 피질골
93 : 해면골 D1 : 나사산바깥지름
D2 : 나사골지름 D231,D237 : 바깥지름
D236 : 제1작은나사골지름 a :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
p : 나사산 피크간의 거리
p1 : 상단몸통부에서 제2작은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2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
p2 : 상단몸통부에서 제1작은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2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
p3 : 하단몸통부에서 제1작은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
p4 : 하단몸통부에서 제1큰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
w1 : 상단몸통부에서 제1작은나사산의 산마루폭
w2 : 하단몸통부에서 제1큰나사산의 산마루폭
A : 치조골의 드릴링 지름 X : 식립축(샤프트축)
Y : Stratight(식립방향과 평행방향) Z : 제2큰나사골의 경사방향
S : 하단몸통부의 제1큰나사골에 의해 형성된 피질골의 암나사산

Claims (5)

  1. 식립후 주로 피질골에 접하는 상단몸통부와 주로 해면골에 접하는 하단몸통부를 가진 픽스츄어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는 하단몸통부에만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큰나사골과 상기 제1큰나사골에 의해 규정되는 제1큰나사산과, 상기 제1큰나사산의 산마루에서 상기 하단몸통부와 상단몸통부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제1작은나사골과 상기 제1작은나사골에 의해 규정되는 제1작은나사산과, 상기 제1작은나사산의 산마루에서 상기 상단몸통부에만 형성되는 제2작은나사골과 상기 제2작은나사골에 의해서만 규정되는 제2작은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산 산마루에 형성된 제2작은나사산의 나사산 줄수는 상기 하단몸통부의 제1큰나사산 산마루에 형성된 제1작은나사산의 줄수보다 많으며,
    상기 하단몸통부는 그 외주가 하측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몸통부의 이웃하는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는 상기 상단몸통부의 이웃하는 제1작은나사골 간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며, 상기 하단몸통부의 제1작은나 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1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는 상기 상단몸통부의 제1작은나사골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제2작은나사산의 피크간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몸통부는 그 외주가 식립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몸통부의 제1큰나사골은 그 직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내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몸통부에서 제1작은나사골은 그 직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내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츄어.
KR1020070081095A 2007-08-13 2007-08-13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894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095A KR100894986B1 (ko) 2007-08-13 2007-08-13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095A KR100894986B1 (ko) 2007-08-13 2007-08-13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827A true KR20090016827A (ko) 2009-02-18
KR100894986B1 KR100894986B1 (ko) 2009-04-24

Family

ID=4068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095A KR100894986B1 (ko) 2007-08-13 2007-08-13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9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6343A3 (en) * 2009-05-01 2011-03-03 Osstemimplant Co., Ltd. Implant fixture
KR101040850B1 (ko) * 2009-06-25 2011-06-14 현영근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WO2018038284A1 (ko) * 2016-08-24 2018-03-01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730A1 (ko) * 2014-07-09 2016-01-14 (주)예스바이오테크 임플란트용 스크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752B1 (ko) * 2004-12-02 2006-06-30 김정찬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0386050Y1 (ko) 2005-01-06 2005-06-07 김정찬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0381367Y1 (ko) 2005-01-22 2005-04-11 김정찬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6343A3 (en) * 2009-05-01 2011-03-03 Osstemimplant Co., Ltd. Implant fixture
KR200454191Y1 (ko) * 2009-05-01 2011-06-2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픽스쳐
KR101040850B1 (ko) * 2009-06-25 2011-06-14 현영근 치과용 임플란트의 고정체 제조 방법
WO2018038284A1 (ko) * 2016-08-24 2018-03-01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986B1 (ko) 200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3029B2 (en) Self-clearing self-cutting implant
ES2302833T5 (es) Implante óseo
CN110944598B (zh) 牙科连接系统
KR200443018Y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US20090048633A1 (en) Fixture
RU2459594C2 (ru) Постэкстракционный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KR10109231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2384530B1 (ko) 치과 임플란트
KR20100096327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12213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0894986B1 (ko)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109020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및 그 제조방법
KR100860356B1 (ko) 인공치아
KR200386050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100090006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59475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807289B1 (ko) 임플란트 조립체
KR100598937B1 (ko) 컷팅 에지를 갖는 치근형 인공치아 시술용 픽쳐
KR200377963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09075459A1 (en) Dental implant fixture
KR1011912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90117091A (ko)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950278B1 (ko) 인공치아
KR20110002771U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2